KR20220085598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598A
KR20220085598A KR1020200175793A KR20200175793A KR20220085598A KR 20220085598 A KR20220085598 A KR 20220085598A KR 1020200175793 A KR1020200175793 A KR 1020200175793A KR 20200175793 A KR20200175793 A KR 20200175793A KR 20220085598 A KR20220085598 A KR 20220085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terminal
accommodating
coupled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은
손솔산
전해룡
안선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598A/ko
Publication of KR2022008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적층한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셀 적층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는 버스바 조립체, 및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결합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결합되며 상호 간에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1 보호 커버 및 일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보호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2 보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노트북,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차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가진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며, 최근 들어 리튬 이차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파우치형(pouched type)의 배터리 셀로 제조되어 다수 개를 연결하여 모듈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배터리 모듈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들의 전극 탭이 연결되는 버스바와, 배터리 셀의 전압이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경우, 센싱부와 버스바를 연결하기 위해 용접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모듈은 센싱부와 버스바 간의 공차로 인해 배터리 모듈의 조립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적층한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셀 적층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는 버스바 조립체, 및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결합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결합되며 상호 간에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1 보호 커버 및 일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보호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2 보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체결되어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형성된 삽입 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각각 다수의 상기 단자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 소켓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는 상기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되는 제1 기판 결합부, 상기 제1 체결부가 수용되는 제1 단자 수용부, 및 상기 제2 보호 커버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되는 제2 기판 결합부, 상기 제2 체결부가 수용되는 제2 단자 수용부,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가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돌기 수용부 및 상기 돌기 수용부와 상기 제1 보호 커버의 외부를 연결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부로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되는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돌기 수용부와 상기 통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로부의 폭을 축소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보호 커버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배치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자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적층한 셀 적층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셀 적층체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셀 적층체와 상기 제2 체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셀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제1 셀 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와 제2 셀 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 상기 제1 단자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2 단자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회로부, 상기 제1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1 보호 커버, 및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보호 커버에 결합되는 제2 보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공차 흡수를 위한 유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회로부와 상기 버스바 조립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보호 커버는 관통 구멍 형태의 돌기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돌기 수용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센싱부를 버스바 조립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 후, 새로운 센싱부를 버스바 조립체에 결합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센싱부와 버스바 조립체 간의 공차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모듈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 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버스바 조립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버스바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버스바 조립체와 센싱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센싱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센싱부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보호 커버의 정면도.
도 12은 도 9에 도시된 보호 커버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에 도시된 공차 흡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상측 상부, 하측, 하부,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 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0)은 셀 적층체(1), 프레임(40), 커버 부재(50), 버스바 조립체(80) 및 센싱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적층체(1)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셀(10)을 다수 개 적층하여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셀 적층체(1)는 제1 셀 적층체(1a)와 제2 셀 적층체(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들(10)은 상하 방향(또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적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배터리 셀들(10)은 파우치형(pouched type) 이차전지일 수 있으며, 전극 리드(15)가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셀(10)은 파우치(11) 내에 전극 조립체(미도시)가 수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다수의 전극판 및 전극 리드(15)를 구비하며 파우치(11) 내에 수납된다. 여기서, 전극판은 양극판과 음극판으로 구성되며, 전극 조립체는 이러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넓은 면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양극판과 음극판은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로서 형성되는데,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보조도체, 바인더 및 가소제 등이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는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때,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에는 각각 전극 리드(15)가 구비되며, 서로 동일한 극성끼리 접촉하여 동일한 전극 리드(15)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셀은 4개의 전극 리드(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4개의 전극 리드(15)는 2개씩 쌍을 이루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전극 리드들(15)은 2개는 양극 리드와 2개의 음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우치(11)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배터리 셀(10)의 외형을 형성하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미도시)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의 전극 리드(15)는 일부가 파우치(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파우치(11)는 실링부(202)와 수용부(204)로 구분될 수 있다.
수용부(204)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 형상의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부(204)의 내부 공간에는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다.
실링부(202)는 파우치(11)의 일부가 접합되어 수용부(204)의 둘레를 밀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실링부(202)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부(204)에서 외부로 확장되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실링부(202)는 수용부(204)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파우치(11)의 접합에는 열융착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셀(10)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리튬 이온(Li-ion) 전지 또는 니켈 금속수소(Ni-MH) 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 셀(10)을 다수 개 적층한 셀 적층체(1)는 후술되는 프레임(40)의 수용 공간(D)에 삽입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셀 적층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터리 셀(10)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셀 적층체(1)가 안착되는 하판부재(44), 하판부재(44)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상판부재(46), 및 하판부재(44)와 상판부재(46)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부재(46)와 하판부재(44)를 상호 연결하는 중간판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적층체(1)는 하판부재(44), 상판부재(46), 중간판부재(4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D)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중간판부재(42)는 셀 적층체(1)의 일측에 배치되며 배터리 셀들(10)과 대략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판부재(44)는 중간판부재(42)의 하단에 체결되며 셀 적층체(1)의 하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판부재(46)는 중간판부재(42)의 상단에 체결되어 셀 적층체(1)의 상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셀 적층체(1)는 배터리 셀(10)의 수용부(204) 중 넓은 면이 하판부재(44)와 상판부재(46)에 대면하도록 프레임(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배터리 셀들(10)은 면 방향이 하판부재(44)와 상판부재(46)의 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판부재(46)는 하판부재(44)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판부재(46)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판부재(46)와 하판부재(44)는 동일한 크기 또는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판부재(42)는 하판부재(44)와 상판부재(46)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어 하판부재(44)와 상판부재(46) 사이의 공간을 양분할 수 있다. 중간판부재(42)에 의해 양분된 각각의 수용 공간(D)에는 제1 셀 적층체(1)와 제2 셀 적층체(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중간판부재(42)는 면 방향이 하판부재(44), 상판부재(46)의 면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중간판부재(42)는 하판부재(44), 상판부재(46)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어, 프레임(40)의 측면이 "工"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판부재(42)가 하판부재(44)와 상판부재(46)의 모서리에 연결되도록 배치하여 프레임(40)의 측면이 "ㄷ"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40)은 열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40)은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aluminum), 스틸(steel)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은 열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커버 부재(50)는 프레임(40)에 결합되어 프레임(40)에 수용된 배터리 셀(10)을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부재(50)는 배터리 셀(10)이 수용된 수용 공간(D)을 외부와 차단하는 형태로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수용 공간(D)을 외부와 분리한다.
커버 부재(50) 프레임 커버(52)와 측면 커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52)는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셀 적층체(1)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판부재(46)와 하판부재(44)의 장변 측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커버(52)는 일측이 상판부재(46)에 결합되고 타측이 하판부재(44)에 결합되어 중간판부재(42)와 대면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52)는 금속과 같은 열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커버(52)는 프레임(4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4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이 아니더라도 금속과 유사한 열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측면 커버(54)는 상판부재(46)와 하판부재(44)의 단변 측 모서리, 즉 프레임(40)의 양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40)의 양 단부에는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15)가 배치된다. 따라서 측면 커버(54)는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들(15)과 대면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커버(54)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면 커버(54)는 리벳, 나사, 볼트, 스냅핏(snap fit)과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프레임(40)과 프레임 커버(5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레이저 용접, 스폿 용접,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면 커버(54)와 전극 리드들(15) 사이에는 버스바 조립체(80)와 센싱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버스바 조립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버스바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버스바 조립체와 센싱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버스바 조립체(80)는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들(15)이 배치된 방향에서 전극 리드들(15)과 대면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절연 커버(81)와 버스바(86)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들(10)의 전극 리드들(15)은 절연 커버(81)를 관통하여 절연 커버(81)의 외측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 커버(81)에는 전극 리드들(15)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절연 커버(81)에는 배터리 셀들(10)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 단자(85)가 구비될 수 있다. 접속 단자(85)는 측면 커버(54)에 형성된 구멍(5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커버(54)의 구멍(55)은 접속 단자(79)의 크기와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 단자(85)는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8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86)에 접합될 수 있다.
버스바(86)는 금속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절연 커버(81)의 외부면에 결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절연 커버(81)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셀들(10)은 버스바(86)를 통해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버스바(86)와 접속 단자(85)를 매개로 하여 배터리 모듈(100)의 외부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스바(86)에는 전극 리드들(15)이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관통 슬릿(8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극 리드들(15)은 버스바(86)의 관통 슬릿(87)에 삽입된 후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버스바(86)에 접합될 수 있다. 이에 전극 리드(15)의 끝단은 적어도 일부가 버스바(86)를 완전히 관통하여 버스바(86)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 셀(10)은 일측으로 2개의 전극 리드(1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40) 내에는 제1 셀 적층체(1a)와 제2 셀 적층체(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조립체(80)의 관통 슬릿들(87)은 4개의 열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86)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단자(88)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 단자(88)는 센싱부(60)와 결합되어 센싱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이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 단자(88)는 버스바(86)를 부분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바(86)의 일측을 확장하여 형성한 후, 이를 절곡하여 버스바(86)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하여 삽입 단자(88)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부재를 버스바(86)에 접합하여 삽입 단자(88)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삽입 단자(88)는 버스바 조립체(80)와 직교하는 형태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 단자(88)는 대응하는 셀 적층체(1)와 대면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관통 슬릿(87)이 형성하는 2개의 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버스바 조립체(80)는 다수의 삽입 단자들(88)이 그룹화된 단자부(89)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89)는 후술되는 센싱부(60)의 체결부(63)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각 단자부(89)는 체결부(63)의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 단자들(88)이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89)는 셀 적층체(1)의 개수와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0)은 2개의 셀 적층체(1a, 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단자부(89)는 제1 셀 적층체(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89a), 제2 셀 적층체(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89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60)는 버스바 조립체(8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배터리 셀(10)의 전압을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센싱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센싱부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0a는 단자부와 체결부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b는 단자부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0b를 함께 참조하면, 센싱부(60)는 버스바(86)와 측면 커버(54) 사이에 배치되며 단자부(89)에 끼움 결합되어 버스바 조립체(8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싱부(60)는 회로부(61)와, 회로부(61)가 결합되는 보호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61)는 회로 기판(62)과, 회로 기판(62)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67), 그리고 버스바 조립체(80)의 단자부(89)에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 소켓(64)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62)으로는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 배선이 형성된 기판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부품(67)은 센서, 능동 소자나 수동 소자와 같은 전자 소자, 커넥터와 같은 연결 부품(67) 등 배터리 셀의 센싱에 이용되며 회로 기판(62)에 실장되거나 결합되는 모든 전자 부품(6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62)은 적어도 일부가 셀 적층체(1)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회로 기판(62)에는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68)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자 소켓(64)은 접촉 단자(64b)와, 접촉 단자(64b)를 수용하는 하우징(64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4a)은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단자(64b)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하우징(64a)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64a)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로 기판(62)에 접합될 수 있다.
단자 소켓(64)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자 소켓(64)에는 버스바 조립체(80)의 삽입 단자(88)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삽입 단자(88)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64a)의 내부로 삽입되어 접촉 단자(64b)와 접촉하며 전기적, 물리적으로 접촉 단자(64b)와 연결될 수 있다.
삽입 단자(88)는 단자 소켓(6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4a)에는 삽입 단자(88)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64c)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삽입 구멍(64c)에 삽입된 삽입 단자(88)는 접촉 단자(64b) 면접촉되도록 접촉 단자(64b) 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64a)의 내부에는 삽입 단자(88)를 접촉 단자(64b) 측으로 가압하거나, 접촉 단자(64b)를 삽입 단자(88)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싱부(60)는 다수의 단자 소켓(64)이 그룹화된 체결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소켓(64)은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체결부(63)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63)는 회로 기판(62)의 일단 측에 배치되어 제1 단자부(89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체결부(63a) 및 회로 기판(62)의 타단 측에 배치되어 제2 단자부(89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체결부(6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부(63a)와 제2 체결부(63b)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단자 소켓(64)과 회로 기판(62) 사이에는 보강 부재(66)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 부재(66)는 회로 기판(62) 중 단자 소켓(64)이 연결되는 부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단자 소켓들(64)들 접착 부재를 통해 보강 부재(66)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 부재(66)를 관통하여 회로 기판(62)에 접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63a)를 구성하는 단자 소켓들(64)은 하나의 보강 부재(66)에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체결부(63b)를 구성하는 단자 소켓들(64)도 하나의 보강 부재(6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센싱부(60)는 2개의 보강 부재(66)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 부재(66)로는 공지된 인쇄회로기판(PCB)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부(61)는 보호 커버(70)에 결합되어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보호 커버(70)는 버스바 조립체(80)와 회로부(61)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보호 커버(70)의 일면에는 회로 기판(62)이 결합되고, 보호 커버(70)의 타면은 버스바 조립체(80)와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커버(70)는 부분적으로 회로부(61)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호 커버(70)는 회로 기판(62)이 결합되는 기판 결합부(72)와, 체결부(63)가 결합되는 단자 수용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센싱부(60)는 2개의 체결부(63a, 63b)를 구비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자 수용부(75)는 제1 체결부(63a)가 수용되는 제1 단자 수용부(75a)와 제2 체결부(63b)가 수용되는 제2 단자 수용부(75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2 단자 수용부(75a, 75b)는 기판 결합부(72)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자 수용부(75)의 위치는 단자부(89)의 위치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각 단자 수용부(75)에는 단자 소켓들(64)이 삽입 배치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 단자(88)가 보호 커버(70)를 관통하여 단자 소켓(64)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단자 수용부(75)에는 삽입 단자들(88)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커버(70)는 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이 절연 코팅된 금속으로 보호 커버(70)를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호 커버(70)는 공차 흡수를 위한 유격(裕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 커버(70)는 적어도 2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보호 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12은 도 9에 도시된 보호 커버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에 도시된 공차 흡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보호 커버(70)는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결합부(72)는 제1 보호 커버(70a)에 구비되는 제1 기판 결합부(72a)와, 제2 보호 커버(70b)에 구비되는 제2 기판 결합부(72b)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호 커버(70a)는 제1 단자 수용부(75a)와 제1 기판 결합부(72a)를 포함하고, 제2 보호 커버(70b)에 제2 단자 수용부(75b)와 제2 기판 결합부(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는 상호 간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보호 커버(70)는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가 결합되는 부분에 유격(裕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공차 흡수부(7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보호 커버(70b)는 일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보호 커버(70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의 결합 구조와 상기한 공차 흡수부(73)는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가 겹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공차 흡수부(73)는 구비되는 제1 기판 결합부(72a)와 제2 기판 결합부(72b)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공차 흡수부(73)는 제1 보호 커버(70a)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74)과, 제2 보호 커버(70b)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7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74)은 제2 보호 커버(70b)가 삽입 배치되는 영역으로, 제1 보호 커버(70a)를 부분적으로 절개하는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74)은 제1 보호 커버(70a)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 수용부(74a), 돌기 수용부(74a)와 제1 보호 커버(70a)의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부(74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수용부(74a)와 통로부(74b)의 끝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돌기 수용부(74a)와 통로부(74b)는 서로 연결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 수용부(74a)는 통로부(74b)보다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부(74b)는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가 결합될 때, 후술되는 가이드 돌기(77)의 기둥부(77a)가 돌기 수용부(74a)로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통로부(74b)의 폭은 기둥부(77a)가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수용부(74a)는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가이드 돌기(77)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통로부(74b)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기 수용부(74a)에 배치된 가이드 돌기(77)는 돌기 수용부(74a)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 보호 커버(70a)의 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 수용부(74a)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이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이드 홈(74)은 통로부(74b)와 돌기 수용부(74a)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통로부(74b)의 폭을 축소하는 돌출부(74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돌기 수용부(74a)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77)가 다시 통로부(74b)로 쉽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돌출부(74c)가 형성된 부분에서 통로부(74b)의 폭은 가이드 홈(74)을 지나는 기둥부(77a)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77)는 제2 보호 커버(70b)의 제2 기판 결합부(72b)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77)는 기판 결합부(72b)의 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홈(74)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77)가 돌출되는 길이는 제1 보호 커버(70a)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돌기(77)는 기둥부(77a)와 확장부(77b)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77a)는 기둥 형태로 제2 보호 커버(70b)의 제2 기판 결합부(72b)에서 돌출 형성되며,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77a)의 두께(폭)는 통로부(74b)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돌출부(74c)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통로부(74b)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77a)는 제1 보호 커버(70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보호 커버(70a)를 관통하는 형태로 가이드 홈(7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77a)의 끝단에는 기둥부(77a)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확장부(77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호 커버(70a)의 제1 기판 결합부(72a)는 확장부(77b)와 제2 보호 커버(70b)의 제2 기판 결합부(7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확장부(77b)는 기둥부(77a)가 돌기 수용부(74a)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77b) 최대 길이가 돌기 수용부(74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0)은, 가이드 돌기(77)의 기둥부(77a)가 가이드 홈(74)의 통로부(74b)에 삽입된 후 돌기 수용부(74a) 측으로 이동되어 돌기 수용부(74a)에 배치됨으로써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돌출부(74c)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기 위해 가이드 돌기(77)나 제2 보호 커버(70b)에는 일정 크기의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기둥부(77a)가 돌기 수용부(74a)에 위치하게 되면, 일정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기둥부(77a)는 돌출부(74c)에 의해 쉽게 통로부(74b) 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 돌기(77)의 확장부(77b)에 의해 가이드 돌기(77)는 Z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Z 방향으로도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가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의 결합이 용이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기둥부(77a)가 돌기 수용부(74a) 내에 배치되므로,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는 상호 간에 면 방향(X, Y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호 커버(70)는 2개의 단자 수용부(75a, 75b)를 구비한다. 그리고 단자 수용부(75)에 수용되는 단자 소켓들(64)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 단자(88)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단자 수용부(75a, 75b) 사이의 거리와, 2개의 단자부(89a, 89b) 사이의 거리 간에 공차가 큰 경우, 어느 하나의 단자 수용부(75)는 단자부(89)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0)은 센싱부(60)의 보호 커버(70)가 공차 흡수부(73)를 구비한다. 공차 흡수부(73)의 유격 공간에 의해, 제1 단자 수용부(75a)와 제2 단자 수용부(75b)는 상호 간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는, 기둥부(77a)가 돌기 수용부(74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 단자부(89a)와 제2 단자부(89b) 사이의 거리/위치와 동일하게 제1 단자 수용부(75a)와 제2 단자 수용부(75b) 간의 거리/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로 기판(62)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보호 커버(70a)와 제2 보호 커버(70b)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회로 기판(62)은 이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센싱부(60)는 보호 커버(70)와 삽입 단자(88)들 사이의 공차를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배터리 모듈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터리 모듈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센싱부(60)가 버스바 조립체(80)에 결합된다. 따라서 센싱부(60)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센싱부(60)를 버스바 조립체(8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 후, 새로운 센싱부(60)를 버스바 조립체(8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60)만 교체가 가능하므로 배터리 모듈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배터리 모듈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는 가이드 돌기의 확장부가 기판 결합부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기 수용부 주변의 두께를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한 후, 해당 공간에 확장부가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확장부는 기판 결합부에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차 흡수부가 단자 수용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100: 배터리 모듈
1: 셀 적층체
10: 배터리 셀
40: 프레임
50: 커버 부재
60: 센싱부
70: 보호 커버
80: 버스바 조립체

Claims (13)

  1.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적층한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셀 적층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버스바를 구비하는 버스바 조립체; 및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결합되는 센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결합되며 상호 간에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는 보호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1 보호 커버; 및
    일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보호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2 보호 커버;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체결되어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형성된 삽입 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 소켓;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는 각각 다수의 상기 단자 소켓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 소켓과 상기 회로 기판 사이에는 상기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가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되는 제1 기판 결합부;
    상기 제1 체결부가 수용되는 제1 단자 수용부; 및
    상기 제2 보호 커버가 삽입 배치되는 가이드 홈;
    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회로 기판이 결합되는 제2 기판 결합부;
    상기 제2 체결부가 수용되는 제2 단자 수용부;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가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돌기 수용부; 및
    상기 돌기 수용부와 상기 제1 보호 커버의 외부를 연결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돌기 수용부로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되는 통로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돌기 수용부와 상기 통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로부의 폭을 축소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보호 커버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 홈 내에 배치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자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적층한 셀 적층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셀 적층체는 상기 제1 체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셀 적층체와 상기 제2 체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셀 적층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 셀 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와, 제2 셀 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
    상기 제1 단자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2 단자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회로부;
    상기 제1 체결부를 수용하는 제1 보호 커버; 및
    상기 제2 체결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보호 커버에 결합되는 제2 보호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공차 흡수를 위한 유격 공간이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회로부와 상기 버스바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커버와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보호 커버는 관통 구멍 형태의 돌기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보호 커버는 상기 돌기 수용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200175793A 2020-12-15 2020-12-15 배터리 모듈 KR20220085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93A KR20220085598A (ko) 2020-12-15 2020-12-15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93A KR20220085598A (ko) 2020-12-15 2020-12-15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598A true KR20220085598A (ko) 2022-06-22

Family

ID=8221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93A KR20220085598A (ko) 2020-12-15 2020-12-15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5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3289B1 (en) Battery module
US9548475B2 (en)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EP2562842B1 (en) Battery module
CN108463901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160016613A (ko) 축전 장치
KR102529975B1 (ko)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101939832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용 케이싱 제조 방법
KR20120074415A (ko)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187067B1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461833B1 (ko) 배터리 모듈
KR10201947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90007745A (ko) 배터리 팩
KR102074322B1 (ko)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537001B1 (ko) 이차 전지 팩
EP2830121A1 (en) Rechargeable battery
US11942660B2 (en) Battery pack
KR20200079774A (ko) 배터리 모듈
KR102012403B1 (ko)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85598A (ko) 배터리 모듈
CN116195115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10224413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11641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598670B1 (ko) 배터리 모듈
JP2020523773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