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844A -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844A
KR20230172844A KR1020220073518A KR20220073518A KR20230172844A KR 20230172844 A KR20230172844 A KR 20230172844A KR 1020220073518 A KR1020220073518 A KR 1020220073518A KR 20220073518 A KR20220073518 A KR 20220073518A KR 20230172844 A KR20230172844 A KR 2023017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urveillance
surveillance area
event occurre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민
양재승
엄한기
최상규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844A/ko
Publication of KR2023017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디밍 보안등이 각각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감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INTEGRATED MONITORING SYSTEM USING DIMMING SECURITY LIGHT AND ITS OPERATION METHOD}
아래 개시는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CCTV 감시 시스템은 특정 영역(예: 감시 영역)을 감시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CCTV 감시 시스템은 보안 감시용, 산업용, 차량의 화상 감시용, 또는 교통 관리용의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장소들에 설치되어 있다. CCTV 감시 시스템에서, 카메라는 특정 영역(예: 감시 영역)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표시한다. 근래에는 보안등과 결합하여, 보안등이 조명하는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또한 대두되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01794호(발명의 명칭: 모니터링 장치)가 있다.
CCTV 감시 시스템은 넓은 영역을 감시해야 할 수 있으며, 넓은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은 각종 재해나 범죄 등의 예방 및 관리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감시 대상 영역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밍 보안등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감시 대상 영역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디밍 보안등이 각각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감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를 계산하고, 각각의 조명 영역별로 계산된 밝기 값 차이의 총합과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하나의 이벤트 발생 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줌-인되어 있던 감시 영역이 기본 감시 영역으로 줌-아웃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 중에서 가장 밝아진 영역인 기준 영역 및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조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이 복수인 경우에 응답하여 기본 감시 영역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기본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기본 감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기본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생성된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카메라가 촬영할 감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방법은 복수의 디밍 보안등이 각각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하는 동작; 및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하는 동작은,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하는 동작은,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를 계산하는 동작; 조명 영역별로 계산된 밝기 값 차이의 총합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작;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하나의 이벤트 발생 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줌-인되어 있던 감시 영역이 기본 감시 영역으로 줌-아웃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 중에서 가장 밝아진 영역인 기준 영역 및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조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이 복수인 경우에 응답하여 기본 감시 영역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디밍 보안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감시 영역 재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감시 영역 재구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감시 영역 재구성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감시 영역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디밍 보안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안등은 도로 교통의 안전, 범죄 활동 저지 등을 위해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조명시설이다. 보안등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및 주택지구 도로 등에 설치되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된다. 최근에는 디밍 기능을 갖춘 보안등이 설치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보안등(100-1, 100-2, 100-3, 100-4)의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밍 보안등은 센서를 통해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다. 디밍 보안등이 보행자를 감지한 경우, 감지한 보안등은 조명의 밝기를 밝게 조절하여 보행자의 교통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디밍 보안등(100-1)은 보행자를 가까이에서 감지하여, 조명의 밝기를 100%로 설정할 수 있다. 디밍 보안등(100-2)은 보행자를 멀리서 감지하여, 조명의 밝기를 70%로 설정할 수 있다.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한 디밍 보안등(100-3, 100-4)은 밝기를 기본값(30%)로 설정할 수 있다.
디밍 보안등(100-1, 100-2, 100-3, 100-4)은 보행자를 감지한 경우에 밝기를 밝게 조절하고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운용하고 보행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디밍 보안등의 특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감시 영역 영상의 영상 처리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디밍 보안등의 밝기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감시 대상 영역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감시 대상 영역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넓은 감시 대상 영역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이벤트 발생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한 시스템일 수 있다.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각종 범죄의 예방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디밍 보안등(예: 도 1의 디밍 보안등(100)), 카메라(200), 스위칭 허브(300),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400), 제어 서버(500), 및 모니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밍 보안등(100)은 특정 영역을 각각 조명할 수 있고, 디밍 보안등(100)이 조명하는 영역은 조명 영역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디밍 보안등(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를 감지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감시 영역은 복수의 디밍 보안등이 각각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20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옥상에 설치된 카메라(201-1, , 201-n), 지상에 설치된 카메라(201-2, , 202-n)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1-1, , 201-n, 201-1, , 201-n) 각각은 설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 허브(300)는 데이터 프레임의 동시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칭 허브(300)는 카메라(200)가 생성한 감시 영역 영상을 수신하여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400)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400)는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녹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400)는 통합 감시 시스템(10)의 디지털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카메라(200)가 촬영할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영상 처리를 통해 카메라(200)가 생성한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의 n번째 프레임 프레임과 n+1번째 프레임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n번째 프레임 프레임과 n+1번째 프레임의 밝기 값 차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영상의 프레임은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픽셀 각각은 밝기 값을 가질 수 있다. 픽셀의 밝기 값은 불연속적인 밝기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써 [0, 25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픽셀(i,j)의 프레임간 밝기 값의 차이를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i,j)는 픽셀의 좌표일 수 있고, 는 n번째 프레임에 포함된 픽셀 (i,j)의 밝기 값, 는 n+1번째 프레임에 포함된 픽셀 (i,j)의 밝기 값일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픽셀의 밝기 값 차이를 모두 계산함으로써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를 조명 영역 별로 모두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500)는 조명 영역 A에 대하여, 밝기 값 차이의 총합()을 수학식 2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제어 서버(500)는 수학식 2를 활용하여, 복수의 조명 영역 B, C, D 등에 대한 밝기 값 차이의 총합(,, )을 또한 계산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각각 조명 영역 별로 계산된 밝기 값 차이의 총합과 임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영역 A의 밝기 값 차이의 총합이 음의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조명 영역 A는 과거보다 밝아진 것일 수 있다.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 조명을 밝게 변경하는 디밍 보안등의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조명 영역 A에는 보행자가 나타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조명 영역 B의 밝기 값 차이의 총합이 양의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조명 영역이 과거보다 어두워진 것일 수 있다. 감지되던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조명을 어둡게 변경하는 디밍 보안등의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조명 영역 B에 존재하던 보행자가 조명 영역 B에서 사라진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반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연속적인 영상의 프레임을 모두 탐지하지 않고 특정 프레임마다 건너 뛰면서 영상의 밝기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 서버(500)는 영상 처리 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제어 서버(500)는 선별된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가 감시 영역을 재구성하는 동작은 도 3내지 도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 서버(500)는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모니터(600)는 카메라(200)가 촬영하는 감시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감시 영역은 제어 서버(5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재구성될 수 있고, 모니터(600)가 디스플레이하는 감시 영역 또한 실시간으로 상이할 수 있다.
도 3은 감시 영역 재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 서버(예: 도 2의 제어 서버(500))는 단일 보행자가 출현했다가 사라진 경우에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200))가 촬영할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기본 감시 영역(301)을 촬영하고 있을 수 있다. 기본 감시 영역(301)은 제1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A, 제2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B, 제3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C, 및 제4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D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영역 A 내지 조명 영역 D에는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디밍 보안등 내지 제4 디밍 보안등은 조명의 밝기를 기본 값으로 설정해 둘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조명 영역 B에 보행자가 출현할 수 있다. 보행자를 감지한 제2 디밍 보안등은 조명의 밝기를 기본 값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을 영상 처리함으로써 조명 영역 B의 밝기 변화(예: 밝아짐)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조명 영역 B를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어 서버(5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예: 조명 영역 B)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된 감시 영역(302)은 하나의 이벤트 발생 영역(예: 단일 조명 영역 B)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서버(500)는 재구성된 감시 영역(302)을 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조명 영역 B에 존재하던 보행자가 사라진 경우에도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하는 제2 디밍 보안등은 조명의 밝기를 기본 값으로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을 영상 처리함으로써 조명 영역 B의 밝기 변화(예: 어두워짐)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조명 영역 B를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예: 조명 영역 B)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줌-인되어 있던 감시 영역이 기본 감시 영역(301)으로 줌-아웃된 것일 수 있고, 제어 서버(500)는 기본 감시 영역(301)을 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는 감시 영역 재구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 서버(예: 도 2의 제어 서버(500))는 단일 보행자가 기본 감시 영역 내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200))가 촬영할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기본 감시 영역(401)을 촬영하고 있을 수 있다. 기본 감시 영역(401)은 제1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A 내지 제9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I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영역 A 내지 조명 영역 I에는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디밍 보안등 내지 제9 디밍 보안등은 조명의 밝기를 기본 값으로 설정해 둘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보행자가 조명 영역 A에 출현하여 조명 영역 B에 도달할 수 있다. 보행자를 감지한 시점에 조명의 밝기를 최대로 설정한 제1 디밍 보안등은,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한 현재 시점에 최대 밝기보다는 약간 어둡게 조명을 설정할 수 있다. 보행자를 감지한 제2 디밍 보안등은 조명의 밝기를 최대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을 영상 처리함으로써 조명 영역A(밝아졌다가 어두워짐) 및 B(밝아짐)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조명 영역 A 및 B를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어 서버(5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예: 조명 영역 A 및 B)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된 감시 영역(402)은 이벤트 발생 영역 중에서 가장 밝아진 영역(예: 조명 영역 B)인 기준 영역 및 기준 영역(예: 조명 영역 B)과 인접한 조명 영역(예: 조명 영역 A, 조명 영역 C, 조명 영역 D, 조명 영역 E, 조명 영역 F)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재구성된 감시 영역(402)을 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재구성된 감시 영역(402)을 통해 움직이는 보행자를 효율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는 감시 영역 재구성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 서버(예: 도 2의 제어 서버(500))는 복수의 보행자가 기본 감시 영역 내에 나타난 경우에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200))가 촬영할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기본 감시 영역(501)을 촬영하고 있을 수 있다. 기본 감시 영역(501)은 제1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A 내지 제9 디밍 보안등(미도시)이 조명하는 조명 영역 I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영역 A 내지 조명 영역 I에는 보행자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디밍 보안등 내지 제9 디밍 보안등은 조명의 밝기를 기본 값으로 설정해 둘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보행자가 조명 영역 A에 출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행자가 조명 영역 I에 출현하여 조명 영역 F에 도달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을 영상 처리함으로써 조명 영역A, F, 및 I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조명 영역 A, F, 및 I를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제어 서버(5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예: 조명 영역 A, F, 및 I)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된 감시 영역(502)은 기본 감시 영역(501)과 동일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보행자가 나타났다고 판단하여 감시 영역을 줌인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기본 감시 영역(501)과 동일한, 재구성된 감시 영역(502)을 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의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범죄 등의 위험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고, 돌발 상황 발생 시에도 목격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제어 서버(500)는 복수의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감시 영역을 줌인하지 않음으로써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감시 영역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가 기본 감시 영역을 촬영하고 있을 수 있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2 카메라가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고 있을 수 있다.
통합 감시 시스템(예: 도 2의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복수 개의 카메라(2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00)는 기본 감시 영역(601)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재구성된 감시 영역(602)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제1 카메라가 기본 감시 영역(601)을 촬영하여 생성된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서버(500)는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제2 카메라가 촬영할 감시 영역(602)을 설정할 수 있다. 통합 감시 시스템(10)은 단일 영역을 복수 개의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빈틈없는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합 감시 시스템(예: 도 2의 통합 감시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710 내지 동작 770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710~770)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710에서, 카메라(예: 도 2의 카메라(200))는 복수의 디밍 보안등(예: 도 1의 디밍 보안등(100-1 내지 100-4))이 각각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제어 서버(예: 도 2의 제어 서버(500))는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제어 서버(5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다.
동작 770에서, 제어 서버(500)는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복수의 디밍 보안등이 각각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감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를 계산하고,
    각각의 조명 영역별로 계산된 밝기 값 차이의 총합과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하나의 이벤트 발생 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인,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줌-인되어 있던 감시 영역이 기본 감시 영역으로 줌-아웃된 것인,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 중에서 가장 밝아진 영역인 기준 영역 및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조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감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이 복수인 경우에 응답하여 기본 감시 영역으로 설정된 것인,
    감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기본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기본 감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기본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생성된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카메라가 촬영할 감시 영역을 설정하는,
    감시 시스템.
  9. 복수의 디밍 보안등이 각각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감시 영역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동작;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에 기초하여 감시 영역을 재구성하는 동작; 및
    재구성된 감시 영역을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가이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감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하는 동작은,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감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하는 동작은,
    상기 감시 영역 영상의 프레임 간의 밝기 값 차이를 계산하는 동작;
    조명 영역별로 계산된 밝기 값 차이의 총합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작;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영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선별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감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하나의 이벤트 발생 영역만을 포함하는 것인,
    감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줌-인되어 있던 감시 영역이 기본 감시 영역으로 줌-아웃된 것인,
    감시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 중에서 가장 밝아진 영역인 기준 영역 및 상기 기준 영역과 인접한 조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감시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감시 영역은,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이 복수인 경우에 응답하여 기본 감시 영역으로 설정된 것인,
    감시 방법.
KR1020220073518A 2022-06-16 2022-06-16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172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518A KR20230172844A (ko) 2022-06-16 2022-06-16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518A KR20230172844A (ko) 2022-06-16 2022-06-16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844A true KR20230172844A (ko) 2023-12-26

Family

ID=8932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518A KR20230172844A (ko) 2022-06-16 2022-06-16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8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7045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urveillance system
KR101149329B1 (ko)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능동적 객체 추적 장치 및 방법
WO2020057346A1 (zh) 视频监控方法及装置、监控服务器及视频监控系统
JP4140591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CN109151390B (zh) 一种超低照度夜视方法、系统及高清摄像装置
KR102050821B1 (ko) Ptz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검색 방법
US201402328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Exposure Settings of Video Cameras
EP2223526B1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ng a virtual window
CN103929592A (zh) 全方位智能监控设备及方法
KR101832274B1 (ko) 영상 촬영에 의한 지능형 방범 시스템 및 그 수행 방법
KR102196086B1 (ko) 카메라의 ptz 자율 자세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시스템
CN110971835A (zh) 一种基于双相曝光的监控方法及装置
KR101890134B1 (ko) Cctv 감시장치 비트맵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움직임 분석 제어 방법
KR100964726B1 (ko) 영상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동 물체 특성을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방법
KR101360244B1 (ko) Cctv 투시에 의한 객체 움직임 감시시스템
KR101178886B1 (ko)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및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2012099940A (ja) 撮影妨害検知方法、妨害検知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878491B1 (ko)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72844A (ko) 디밍 보안등을 활용한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39067B1 (ko) 전천후 영상 감시시스템
JP2019153986A (ja) 監視システム、管理装置、監視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219452A (ja) カメラ監視装置
KR101237966B1 (ko)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7350B1 (ko)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01327256B1 (ko) Ptz 카메라에 의한 차량 그림자 영역 탐지를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