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160A - 수동 밸브 - Google Patents

수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160A
KR20230172160A KR1020220072652A KR20220072652A KR20230172160A KR 20230172160 A KR20230172160 A KR 20230172160A KR 1020220072652 A KR1020220072652 A KR 1020220072652A KR 20220072652 A KR20220072652 A KR 20220072652A KR 20230172160 A KR20230172160 A KR 20230172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ing
concave
rotation axi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코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코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코밸브
Priority to KR102022007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160A/ko
Publication of KR2023017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타측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부; 상기 밸브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개폐구동장치부; 및 일단은 상기 밸브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구동장치부와 연결되는 밸브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장치부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일정 영역에 제1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제1영역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링;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링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이탈방지링과 접촉하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적은 힘으로 상기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 밸브{A MANUAL VALVE}
본 발명은 수동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동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지름이 큰 배관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밸브는, 내부에는 유로(1a)가 형성되고 양단에 유입구(1b)와 배출구(1c)가 형성된 밸브하우징(1);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관통공(5a)이 형성된 요크(5); 상기 밸브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하우징(1) 내부의 유로(1a)를 개폐하는 밸브체(2);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는 나사산(3a)이 형성된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은 상기 밸브체(2)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요크(5)의 관통공(5a)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밸브스템(3);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스템(3) 상단의 나사산(3a)에 나사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요크(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드라이버부싱(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밸브는, 상기 드라이버부싱(10)의 외측에는 링형상의 핸들(4)이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핸들(4)을 정역회전 시키면 상기 드라이버부싱(10)이 회전되면서, 상기 드라이버부싱(10)과 밸브스템(3)의 나사산(3a)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밸브체(2)가 승강되면서 상기 유로(1a)의 중간부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밸브하우징(1)을 통과하는 유로(1a)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밸브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핸들(4)을 회전시켜서 유로(1a)를 개폐하는데, 이러한 밸브에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작용됨으로, 핸들(4)을 회전시켜 유로(1a)를 개폐하는데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핸들(4)을 회전시키는데 힘이 많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핸들(4)을 회전시켜 유로(1a)를 폐쇄시킬 때, 밸브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른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핸들(4)을 회전시킬 때 힘이 많이 들게 됨으로, 작업자가 핸들(4)에 별도의 랜치 등을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핸들(4)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배관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밸브에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동밸브의 개폐구동장치에 대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758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은 힘으로도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동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타측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부; 상기 밸브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개폐구동장치부; 및 일단은 상기 밸브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구동장치부와 연결되는 밸브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장치부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일정 영역에 제1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제1영역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링;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링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이탈방지링과 접촉하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탈방지링은, 제1중공홀을 포함하는 환형의 이탈방지링 본체부; 및 상기 이탈방지링 본체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제1볼록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링은, 제2중공홀을 포함하는 환형의 가이드링 본체부; 상기 가이드링 본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볼록링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환형의 제1오목링부를 포함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볼록링부는 상기 제1오목링부와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볼록링부가 상기 제1오목링부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의 가장 돌출된 지점과 상기 제1오목링부의 가장 오목인 지점에서만 상호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볼록링부가 돌출된 방향 또는 상기 제1오목링부가 오목된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볼록링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1오목링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2측면 방향에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을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체를 포함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은 볼록부의 형태이고, 상기 볼록부는 일정 곡률반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체는 원통형의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 및 상기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2측면 방향으로 오목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홈부와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홈부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가장 돌출된 지점과 상기 오목홈부의 가장 오목인 지점의 단일 지점에서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록부가 돌출된 방향 또는 상기 오목홈부가 오목된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볼록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오목홈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링을 통해 상기 제1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소한의 힘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2측면 방향에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을 가이드하는 상기 보조 가이드체를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소한의 힘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개폐구동장치부에서 커버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개폐구동장치부에서 커버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밸브의 제1구동원, 제2구동원 및 밸브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밸브의 제1구동원, 제2구동원 및 밸브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구동암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상기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가 개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의 분리도이고,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의 결합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Y 방향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가이드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회전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어지는 도 2 내지 도 13의 내용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수동 밸브에 관한 내용으로, 본 출원에 따른 발명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밸브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로 표현하기로 하며,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의 내용은 도 13 이후의 내용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100)는, 내부에는 유로(120a)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0b)를 포함하며, 타측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0c)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부(110); 상기 밸브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를 개폐하는 밸브체(130); 상기 밸브 본체부(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체(130)를 구동하기 위한 개폐구동장치부(200); 및 일단은 상기 밸브체(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구동장치부(200)와 연결되는 밸브스템(14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100)는 상기 개폐구동장치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밸브스템(14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밸브스템(1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의 일단과 연결되는 밸브체(1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30)는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를 개폐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100)의 상기 개폐구동장치부(200)는, 본체 하우징(210); 상기 본체 하우징(210)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220);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원(230); 및 상기 커버 하우징(2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구동원(24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구동원(230) 및 상기 제2구동원(240)은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원(230) 또는 상기 제2구동원(240)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상기 제1구동원(230) 및 상기 제2구동원(240)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이 회전하고, 상기 밸브스템(1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의 일단과 연결되는 밸브체(1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30)는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동장치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개폐구동장치부에서 커버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개폐구동장치부에서 커버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동장치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10); 상기 본체 하우징(210)을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미도시);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원(230); 및 상기 커버 하우징(미도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구동원(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원(230)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210)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일정 영역에 제1나사산(232)을 포함하는 제1회전축(232);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일측면 외측에 위치하는 제1손잡이(2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손잡이(233)는 핸들형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손잡이(233)의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상기 제1나사산(232)을 포함하며, 그 이외의 영역에는 제1나사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210)에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관통홀(211a)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에 위치하는 홈부(211b)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에는 나사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나사산(232)을 포함하는 제1회전축(232)의 일정 영역을,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과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의 사이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원(240)은, 상기 커버 하우징(미도시)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밸브스템(140)의 타단과 직접 체결되는 제2손잡이(24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손잡이(241)는 플레이트형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손잡이(241)의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손잡이(241)는 상기 제1손잡이(233)와 동일하게 핸들형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손잡이(241)는 플레이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구동원(230) 또는 상기 제2구동원(240)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상기 제1구동원(230) 및 상기 제2구동원(240)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이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구동원(240)은 상기 밸브스템(140)을 회전시키는 역할과 함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구동원(24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원(240)의 제2손잡이(241)는 상기 커버 하우징(220)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플레이트형의 상기 제2손잡이(24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동 밸브가 오픈 상태인지 클로즈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손잡이(241)가 상기 제1손잡이(233)와 동일하게 핸들형인 경우, 핸들의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수동 밸브가 오픈 상태인지 클로즈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나, 상기 제2손잡이(241)가 플레이트형인 경우, 상기 제2손잡이(24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동 밸브가 오픈 상태인지 클로즈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제2손잡이(241)가 "CLOSE"의 상태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경우, 사용자는 수동 밸브가 클로즈 상태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1구동원에 따른 밸브스템의 회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밸브의 제1구동원, 제2구동원 및 밸브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밸브의 제1구동원, 제2구동원 및 밸브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원(230)은, 상기 본체 하우징(미도시)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미도시)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일정 영역에 제1나사산(232)을 포함하는 제1회전축(232);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미도시)의 일측면 외측에 위치하는 제1손잡이(2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본체 하우징(미도시)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미도시)에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234a)은 상기 본체 하우징(미도시)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관통홀(미도시)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은 상기 본체 하우징(미도시)의 제2측면에 위치하는 홈부(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234a)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에는 나사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234a)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2구동원(240)은, 상기 커버 하우징(미도시)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밸브스템(140)의 타단과 직접 체결되는 제2손잡이(241)를 포함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동장치부(200)는, 상기 제1구동원(230)과 상기 밸브스템(140)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구동원(230)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스템(140)에 전달시키는 구동암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암부(300)는, 상기 제1구동원(230)의 상기 제1회전축(232)의 길이방향(도 7의 X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 구동암부(310); 및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를 기준으로 힌지 운동하는 힌지 구동암부(3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암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암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원(미도시)의 상기 제1회전축(미도시)의 길이방향(도 11의 X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 구동암부(310); 및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를 기준으로 힌지 운동하는 힌지 구동암부(3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는, 수평 구동암부 몸체부(311); 상기 수평 구동암부 몸체부(311)의 길이방향(도 9의 Y 방향)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나사산(232)에 체결되며, 내부에 제2나사산(313)을 포함하는 제1체결홀(312); 및 상기 수평 구동암부 몸체부(311)의 길이방향(도 9의 Y 방향) 타측에 위치하고, 힌지축(33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힌지축 체결홀(31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체결홀(312)과 상기 힌지축 체결홀(314)은 직각을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제1체결홀(312)은 상기 수평 구동암부 몸체부(311)의 두께 방향(도 9의 X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 체결홀(314)은 상기 수평 구동암부 몸체부(311)의 폭방향(도 9의 Z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체결홀(312)의 상기 제2나사산(313)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나사산(232)에 체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2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나사산(232)이 회전하여, 상기 제2나사산(313)이 상기 제1나사산(23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는 상기 제1구동원(미도시)의 상기 제1회전축(미도시)의 길이방향(도 11의 X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는 힌지 구동암부 몸체부(321); 상기 힌지 구동암부 몸체부(321)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스템(140)의 일정 영역에 체결고정되는 제1고정홀(322); 및 상기 힌지 구동암부 몸체부(321)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축(330)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힌지축 이동홀(3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은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300)은 상기 타원 형상의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 체결홀(314)에는 상기 힌지축(3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힌지축(330)의 타단은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을 따라 이동하며, 이때, 상기 힌지축의 타단이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는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가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면서, 상기 힌지 구동암부 몸체부(321)의 제1고정홀(322) 영역이 회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1고정홀(322) 영역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고정홀(322)과 체결고정되는 상기 밸브스템(1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구동원(230)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암부(300)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에 전달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구동암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구동원(230)의 제1손잡이(233)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회전축(23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의 상기 제1체결홀(312)의 상기 제2나사산(313)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나사산(232)에 체결되어 있어, 상기 제1회전축(2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나사산(232)이 회전하여, 상기 제2나사산(313)이 상기 제1나사산(23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는 상기 제1구동원(230)의 상기 제1회전축(231)의 길이방향(도 11의 X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축 체결홀(314)에는 상기 힌지축(3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힌지축(330)의 타단은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을 따라 이동하며, 이때, 상기 힌지축의 타단이 상기 힌지축 이동홀(3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는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가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를 기준으로 힌지운동하면서, 상기 힌지 구동암부 몸체부(321)의 제1고정홀(322) 영역이 회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1고정홀(322) 영역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고정홀(322)과 체결고정되는 상기 밸브스템(1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230)은 상기 밸브스템(140)을 회전시키고, 상기 밸브스템(1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의 일단과 연결되는 밸브체(1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30)는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상기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가 개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가 폐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시,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가 상기 제1구동원(230)의 상기 제1회전축(231)의 길이방향(도 11의 X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는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를 기준으로 힌지 운동하여, 상기 제1고정홀(322) 영역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고정홀(322)과 체결고정되는 상기 밸브스템(14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스템(140)의 일단과 연결되는 밸브체(1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30)는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를 개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가 상기 수평 구동암부(310)을 기준으로 힌지 운동함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의 이동 영역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스토퍼(213a) 및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스토퍼(21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가 상기 밸브스템(140)을 중심축으로 회전운동한다고 정의시, 상기 힌지 구동암부(320)는 상기 제1스토퍼(213a) 및 상기 제2스토퍼(213b)의 사이 영역 내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브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핸들을 회전시켜서 유로를 개폐하는데, 이러한 밸브에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작용됨으로, 핸들을 회전시켜 유로를 개폐하는데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핸들을 회전시키는데 힘이 많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유로를 폐쇄시킬 때, 밸브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른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구동원(230)과 상기 밸브스템(140)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구동원(230)의 구동력을 상기 밸브스템(140)에 전달시키는 구동암부(300)를 포함하는 개폐구동장치를 통해, 적은 힘으로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를 개폐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동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동장치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밸브스템(140)의 타단과 직접 체결되는 제2손잡이(241)를 포함하는 제2구동원(240)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구동원(230) 또는 상기 제2구동원(240)의 작동에 의하여, 또는, 상기 제1구동원(230) 및 상기 제2구동원(240)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이 회전하고, 상기 밸브스템(1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140)의 일단과 연결되는 밸브체(1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30)는 상기 밸브 본체부(110) 내부의 유로(120a)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구동원(240)은 상기 밸브스템(140)을 회전시키는 역할과 함께, 상기 제2구동원(24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된 도 2 내지 도 13의 내용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수동 밸브에 관한 내용으로, 본 출원에 따른 발명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밸브에 해당하며,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의 분리도이고,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의 결합도이다. 한편, 도 14 내지 도 2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회전축의 형태를 최대한 간결하게 표현하였으며, 예를 들면, 제1손잡이 및 나사산 등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230)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210)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일정 영역에 제1나사산(232)을 포함하는 제1회전축(232);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일측면 외측에 위치하는 제1손잡이(2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210)에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관통홀(211a)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에 위치하는 홈부(211b)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에는 나사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234a)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에는 나사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상기 제1회전축(232)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234a) 및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1회전축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내용을 추가 개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230)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1영역(234a)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410); 및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1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링(410)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이탈방지링(410)과 접촉하는 가이드링(4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링(410)은, 제1중공홀(411)을 포함하는 환형의 이탈방지링 본체부(412); 상기 이탈방지링 본체부(412)로부터 상기 가이드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제1볼록링부(4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링(420)은, 제2중공홀(421)을 포함하는 환형의 가이드링 본체부(422); 상기 가이드링 본체부(422)에 위치하되, 상기 제1볼록링부(413)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환형의 제1오목링부(4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볼록링부(413)는 상기 제1오목링부(423)와 접촉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탈방지링(410)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볼록링부(413)는 상기 제1오목링부(42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링(420)은,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1측면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관통홀(211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공홀 및 상기 제2중공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게 되며, 상기 제1중공홀에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링이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5의 좌측방향으로, 또는 도 14의 X 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축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9의 Y 방향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볼록링부(413)가 상기 제1오목링부(423)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가장 돌출된 지점(A)과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가장 오목인 지점(B)이 상호 접촉하게 된다.
이를 달리 표현하는 경우, 도 22의 X 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제1볼록링부(413)가 상기 제1오목링부(423)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가장 돌출된 지점(A)과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가장 오목인 지점(B)에서만 상호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22의 X 방향은, 상기 제1볼록링부가 돌출된 방향 또는 상기 제1오목링부가 오목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가장 돌출된 지점(A)의 곡률반경은 4R(단위 mm)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가장 오목인 지점(B)의 곡률반경은 6.6R(단위 mm)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가장 돌출된 지점(A)과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가장 오목인 지점(B)에서만 상호 접촉된다 함은, 상기 제1볼록링부 및 상기 제1오목링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고려시,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가장 돌출된 지점(A)과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가장 오목인 지점(B)에서 접촉되는 영역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볼록링부(413)가 상기 제1오목링부(423)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가장 돌출된 지점(A)과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가장 오목인 지점(B)에서만 상호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1볼록링부(413)와 상기 제1오목링부(423)가 접촉하는 영역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볼록링부(413)와 상기 제1오목링부(423)가 접촉하는 영역이 최소화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413)와 상기 제1오목링부(423)가 접촉하는 영역에 의한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링을 통해 상기 제1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사용자는 최소한의 힘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원(230)은,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 방향에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과 접촉하여,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을 가이드하는 상기 보조 가이드체(4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가이드체(430)는 원통형의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431); 및 상기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431)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 방향으로 오목되는 오목홈부(4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은 대략 반구형의 볼록부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은 대략 반구형의 형태라 함은, 구의 중심(O)으로부터 구의 면까지의 거리를 r이라고 정의시, 상기 구의 중심(O)을 기준으로 수직단면으로 절단한 상태를 반구형으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구의 중심(O)으로부터 구의 면까지의 거리 중, 상기 구의 면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임의의 한 점을 기준으로 수직단면으로 절단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볼록부 형태의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은, 상기 일정 곡률반경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가이드체(430)는,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에 위치하는 홈부(211b)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 형태의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이 상기 오목홈부(432)와 접촉하여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을 제1회전축의 볼록부(234b)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볼록부(234b)가 상기 오목홈부(432)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34b)의 가장 돌출된 지점(C)과 상기 오목홈부(432)의 가장 오목인 지점(D)이 상호 접촉하게 된다.
이를 달리 표현하는 경우, 도 22의 X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볼록부(234b)의 곡률반경은 상기 오목홈부(432)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볼록부(234b)가 상기 오목홈부(432)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34b)의 가장 돌출된 지점(C)과 상기 오목홈부(432)의 가장 오목인 지점(D)에서만 상호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22의 X 방향은, 상기 볼록부가 돌출된 방향 또는 상기 오목홈부가 오목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록부(234b)의 가장 돌출된 지점(C)의 곡률반경은 19R(단위 mm)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부(432)의 가장 오목인 지점(D)의 곡률반경은 37R(단위 mm)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록부(234b)의 가장 돌출된 지점(C)과 상기 오목홈부(432)의 가장 오목인 지점(D)에서만 상호 접촉 상호 접촉된다 함은,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홈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고려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234b)의 가장 돌출된 지점(C)과 상기 오목홈부(432)의 가장 오목인 지점(D)의 단일 지점에서만 접촉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볼록부(234b)가 상기 오목홈부(432)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34b)의 가장 돌출된 지점(C)과 상기 오목홈부(432)의 가장 오목인 지점(D)에서만 상호 접촉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1볼록링부(413)의 가장 돌출된 지점(A)과 상기 제1오목링부(423)의 가장 오목인 지점(B)의 단일 지점에서만 접촉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홈부가 접촉하는 영역이 최소화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킴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홈부가 접촉하는 영역에 의한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최소한의 힘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링을 통해 상기 제1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420)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소한의 힘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 방향에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을 가이드하는 상기 보조 가이드체(430)를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소한의 힘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이탈방지링, 가이드링, 보조 가이드체 및 제1회전축의 형태를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후술하는 이탈방지링, 가이드링, 보조 가이드체 및 제1회전축의 형태는, 상술한 도 14 내지 도 22에서 정의한 형태와 동일하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링(410)은, 상기 이탈방지링(410)은, 제1중공홀(411)을 포함하는 환형의 이탈방지링 본체부(412); 상기 이탈방지링 본체부(412)로부터 상기 가이드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제1볼록링부(413)를 포함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링(420)은, 제2중공홀(421)을 포함하는 환형의 가이드링 본체부(422); 상기 가이드링 본체부(422)에 위치하되, 상기 제1볼록링부(413)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환형의 제1오목링부(423)를 포함한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가이드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가이드체(430)는, 원통형의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431); 및 상기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431)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제2측면 방향으로 오목되는 오목홈부(432)를 포함한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회전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회전축(232)은, 대략 반구형의 볼록부의 형태의 상기 제1회전축(232)의 제2영역(234b)을 포함하며,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232)은 일정 나사산을 포함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7 및 도 28에서는 상기 제1회전축의 형태를 최대한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도 23 내지 도 30의, 이탈방지링, 가이드링, 보조 가이드체 및 제1회전축의 형태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타측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밸브 본체부;
    상기 밸브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 본체부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개폐구동장치부; 및
    일단은 상기 밸브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구동장치부와 연결되는 밸브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장치부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일정 영역에 제1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제1영역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링;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1측면과 상기 이탈방지링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이탈방지링과 접촉하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은, 제1중공홀을 포함하는 환형의 이탈방지링 본체부; 및 상기 이탈방지링 본체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제1볼록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링은, 제2중공홀을 포함하는 환형의 가이드링 본체부; 상기 가이드링 본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볼록링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환형의 제1오목링부를 포함하는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는 상기 제1오목링부와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볼록링부가 상기 제1오목링부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의 가장 돌출된 지점과 상기 제1오목링부의 가장 오목인 지점에서만 상호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록링부가 돌출된 방향 또는 상기 제1오목링부가 오목된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볼록링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1오목링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원은,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2측면 방향에 배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과 접촉하여,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을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체를 포함하는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의 제2영역은 볼록부의 형태이고, 상기 볼록부는 일정 곡률반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체는 원통형의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 및 상기 보조 가이드체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제2측면 방향으로 오목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는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홈부와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홈부와 접촉하여 배치됨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가장 돌출된 지점과 상기 오목홈부의 가장 오목인 지점의 단일 지점에서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돌출된 방향 또는 상기 오목홈부가 오목된 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볼록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오목홈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220072652A 2022-06-15 2022-06-15 수동 밸브 KR20230172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52A KR20230172160A (ko) 2022-06-15 2022-06-15 수동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52A KR20230172160A (ko) 2022-06-15 2022-06-15 수동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160A true KR20230172160A (ko) 2023-12-22

Family

ID=8930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652A KR20230172160A (ko) 2022-06-15 2022-06-15 수동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1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80Y1 (ko) 2005-03-30 2005-06-20 강회구 디스크 기구를 사용한 게이트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80Y1 (ko) 2005-03-30 2005-06-20 강회구 디스크 기구를 사용한 게이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4164A (en) Flow control device
US4872638A (en) Slow acting fluid valve
US20080271766A1 (en) Tool for Crushing Coke
KR20230172160A (ko) 수동 밸브
CA2217337A1 (en) Valve indicator and handle assembly
US8584909B2 (en) Dispensing tap for beverages
US3342453A (en) Stop valve
KR100892073B1 (ko) 다축조작 기어 박스를 형성한 수막 밸브
JP5038265B2 (ja) 充填バルブ
KR102202744B1 (ko) 수동 밸브
KR102587250B1 (ko) 밸브
US20070194263A1 (en) Valve arrangement
US1609879A (en) Quick-opening valve
US20210341061A1 (en) Switch Valves for High Pressure Gas
US6085645A (en) Ice cream making apparatus
CN208348527U (zh) 高安全性铝制阀门
CN208845778U (zh) 一种应用于焦炭塔汽油吸附装置的耐磨球阀
KR101838854B1 (ko)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RU2418221C2 (ru) Задвижка с дублирующим приводом
JP6623732B2 (ja) 爆薬装填機
US6783112B2 (en) Tap
EP3361031A1 (en) Damping device
US11911542B2 (en) Opening cover
KR200493492Y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볼 밸브
KR102591729B1 (ko) 스템 밀봉 케이싱을 구비한 라이징 스템 볼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