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928A - 마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928A
KR20230171928A KR1020237033990A KR20237033990A KR20230171928A KR 20230171928 A KR20230171928 A KR 20230171928A KR 1020237033990 A KR1020237033990 A KR 1020237033990A KR 20237033990 A KR20237033990 A KR 20237033990A KR 20230171928 A KR20230171928 A KR 2023017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member
collar
wear
locking por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린턴 에이. 우드
카메론 알. 리덤
크리스토퍼 디. 스나이더
크리스토퍼 이. 그리웰
Original Assignee
에스코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스코 그룹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7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Teeth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외부 표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및 외부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를 포함하는,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마모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 내의 잠금부로서, 잠금부는 칼라 및 칼라 내에 조정 가능한 핀을 포함하여, 핀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하기 위해 안쪽으로 이동 가능해서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해제하기 위해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잠금부. 구멍에 칼라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잠금부는 구멍 내로 외측으로 피봇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모 어셈블리
관련출원
본 출원은 2021년 4월 16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마모 어셈블리(Wear Assembly)"인 미국 가출원 제63/176,06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 및 마모 어셈블리의 마모 부재, 베이스 및/또는 잠금부에 관한 것이다.
굴토 작업 버킷 등과 같은 굴토 작업 장비는 철거, 채굴, 토공 작업 및 기타 유사하게 가혹한 적용예에서 사용된다. 굴토 작업 장비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및/또는 장비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모 부품을 굴토 작업 장비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부품은 포인트, 어댑터, 슈라우드(shrou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부품은 일반적으로 가혹한 조건, 무거운 하중, 및 극단적인 마멸을 겪는다. 따라서, 마모 부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되고, 종종 현장에서 및 이상적인 조건 미만 하에서 교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용 마모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단일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조합된 마모 부재 및 잠금부를 포함하며, 즉, 마모 부재는 마모 가능한 바디부 및 함께 결합된 잠금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잠금부, 마모 부재(예를 들어, 포인트, 어댑터, 슈라우드, 파쇄 해머, 러너(runner) 등) 및 개별적으로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른 일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는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에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와 맞물리기 위한 장착부를 갖는 마모 부재를 포함한다. 장착부는 베이스 및 대향하는 외부 표면과 정합하기 위한 내부 표면,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 및 내부 표면으로부터 구멍에 일체로 장착된 잠금부를 갖는다. 잠금부는 잠금부가 베이스에 접촉하여 마모 부재를 장비에 유지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는 잠금 위치 및 잠금부가 구멍 내에 남아있는 동안 베이스를 해제하도록 잠금부가 위치 설정되어 있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조정 가능하다. 잠금부는 잠금부를 마모 부재에 포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은 잠금 오목부를 갖는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된 공동을 갖는 마모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잠금부의 칼라를 마모 부재의 공동으로부터 잠금 오목부 내에 자기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및 잠금부의 칼라 내의 보어를 통해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마모 부재를 장비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는: 나사산형 개구부 및 자석을 갖는 칼라; 칼라와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형 핀 및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잠금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은 적어도 칼라를 설치 위치에서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에 잠근다. 마모 부재 및 설치 위치에 부착된 잠금부는 단일 마모 어셈블리로서 배송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는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에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와 맞물리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되, 상기 장착부는 베이스 및 대향하는 외부 표면과 정합하기 위한 내부 표면을 갖는, 마모 부재,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표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 및 잠금부가 베이스와 접촉하여 마모 부재를 장비에 유지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는 잠금 위치와 잠금부가 구멍 내에 남아있는 동안 베이스를 해제하도록 잠금부가 위치 설정되어 있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위해 내부 표면으로부터 구멍 내에 일체로 장착된 잠금부를 포함한다. 잠금부는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 상에 잠금부를 포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갖는 칼라, 및 칼라를 통과하는 이동 가능한 핀을 포함한다.
다른 일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는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에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와 맞물리기 위한 장착부 및 외부 표면을 갖는 마모 부재를 포함한다. 장착부는 베이스와 정합하기 위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내부 표면은 오목부 및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 마모 부재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구멍을 정의한다. 오목부는 잠금부가 마모 부재와 맞물리고, 마모 부재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스윙하기 위해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지지부를 갖는 전방 벽면을 갖는다. 오목부는 잠금부를 스윙 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자석을 갖는 잠금부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은 잠금 오목부를 갖는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된 공동을 갖는 마모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칼라의 일 측면을 중심으로 잠금부의 칼라를 피봇팅하는 단계, 및 잠금부의 칼라를 칼라의 다른 측면 상의 마모 부재의 공동으로부터 잠금 오목부 내로 자기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및 핀을 잠금부의 칼라 내의 보어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잠금부는,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에 잠금부를 유지하기 위해 자석을 갖는 일 말단 상의 베어링 표면, 개구부, 및 칼라가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설치 위치로 회전하여 마모 부재를 장비에 탈착식으로 유지시키는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에 위치된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일 말단에서의 오목부를 갖는 칼라, 및 칼라 내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핀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는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에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와 맞물리기 위한 장착부 및 외부 표면을 갖는 마모 부재를 포함한다. 마모 부재의 장착부는 베이스와 정합하기 위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내부 표면은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 마모 부재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오목부를 정의한다. 이러한 오목부는 오목부 내로 돌출하여 마모 부재와 맞물리고 마모 부재와 맞물리도록 외측으로 잠금부를 스윙하고, 그리고 잠금부를 장착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마모 부재에 부분적으로 유지시키는 지지부를 갖는다.
다른 일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은, 잠금 오목부를 갖는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된 공동을 갖는 마모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공동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칼라의 일 측면을 중심으로 잠금부의 칼라를 외측으로 피봇팅하는 단계, 및 잠금부의 칼라 내에 보어를 통해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잠금부는, 개구부, 및 칼라가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설치 위치로 회전하는 마모 부재 상의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일 말단에서의 오목부를 갖는 칼라, 및 칼라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마모 부재를 장비에 탈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한 핀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를 운송하는 프로세스는 잠금 오목부를 갖는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된 공동을 갖는 마모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공동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칼라의 적어도 일 측면 주위에서 마모 부재에 잠금부의 칼라를 자기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잠금부의 칼라 내에 보어를 통해 핀을 삽입하는 단계, 및 마모 어셈블리를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는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에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와 맞물리기 위한 장착부 및 외부 표면을 갖는 마모 부재를 포함한다. 장착부는 베이스와 정합하기 위한 내부 표면을 갖는다. 내부 표면은 내부 표면 내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구멍을 정의한다. 핀과 칼라를 갖는 잠금부는 마모 부재와 베이스 사이에 갇혀 지지된다. 통과 보어(pass through bore)를 갖는 칼라는 핀이 통과하도록 끼워지고,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다른 일 예에서, 베이스는 마모 부재의 공동과 정합하도록 크기와 형상을 갖는 노즈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잠금 구멍을 가지며, 잠금 구멍은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된다. 내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잠금부의 핀이 맞물리도록 일 측면에 2개의 평평한 섹션을 갖는다.
다른 예에서, 마모 부재는 마모 부재를 통과하고 마모 부재의 내부로 그리고 외부로 개방되는 잠금 구멍을 갖는 내부 표면 내의 잠금 엑세스 오목부를 포함한다. 잠금 엑세스 오목부는 잠금부의 칼라와 정합하도록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오목부의 일 측면은 칼라에 완전히 맞물리고 다른 측면은 칼라의 측면의 일부분과만 맞물린다.
다른 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는 마모 부재 및 베이스에 마모 부재를 탈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잠금부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 의해 마모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는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 공동을 갖는 마모 부재, 및 장착 공동 및 마모 부재의 외부 표면에서 개방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칼라는 칼라 내의 관통 구멍이 마모 부재 내의 구멍과 정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 의해 마모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핀은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탈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해 관통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는 마모 부재, 칼라 및 핀을 포함한다. 마모 부재는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 공동, 및 장착 공동 및 마모 부재의 외부 표면 내에서 개방되는 구멍을 갖는다. 칼라는 핀이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탈착식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핀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해 마모 부재 내의 구멍과 정렬된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칼라 및 마모 부재는, 칼라가 공동으로부터 제자리로 피봇될 수 있게 하는 상보적 돌출부 및 오목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칼라를 마모 부재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는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 공동, 장착 공동 및 마모 부재의 외부 표면에서 개방되는 구멍, 및 공동으로부터 구멍 내의 설치 위치 내로 잠금부의 적어도 구성요소와 협력하고 피봇하기 위한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칼라를 마모 부재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의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 공동, 장착 공동 및 제1 구성요소의 외부 표면에 개방되는 구멍, 및 장착 공동으로부터 그리고 구멍 내의 설치 위치 내로 잠금부의 적어도 구성요소와 협력하고 피봇하기 위한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칼라를 제1 구성요소에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는 외부 표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개구부, 및 외부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를 포함한다.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마모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 내의 잠금부로서, 상기 잠금부는 칼라 및 상기 칼라 내에 조정 가능한 핀을 포함하여, 상기 핀이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하기 위해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해제하기 위해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구멍에 상기 칼라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일 실시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외부 표면으로부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외부 표면에 인접한 외부 부분 및 개구부 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내부 부분을 가지며, 여기서 오목부는 외부 부분 및 오목부의 일 측면 상의 피봇 지지부를 둘러싼다. 구멍 내의 잠금부로서, 잠금부는 칼라 및 상기 칼라 내에 조정 가능한 핀을 포함하여,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하도록 내측으로 그리고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해제하도록 외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칼라는 피봇 지지부와 맞물려 칼라를 오목부 내로 피봇시키기 위한 피봇 형성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는 외부 표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상기 구멍은 상기 외부 표면에 인접한 외부 부분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내부 부분을 가지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외부 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구멍, 및 잠금부의 칼라의 상기 오목부로의 피봇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잠금부가 상기 개구부 내의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의 일 측면 상의 피봇 지지부를 포함한다.
추가의 예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 굴토 작업용 마모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로서, 칼라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상기 바디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나사산형 개구부, 및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에 상기 칼라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상기 칼라;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칼라 내에서 조정 가능한 상기 칼라 내의 나사산형 개구부 내의 나사산형 핀을 포함한다.
하나의 추가 예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 굴토 작업용 마모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로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마모 부재 상의 내부 표면에 대한 사용 가능한 위치로 상기 칼라의 피봇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칼라의 일 말단 상의 피봇 형성부, 상기 칼라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나사산형 개구부, 및 상기 칼라를 마모 부재에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칼라; 및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의 내측 및 외측으로 조정 가능한 상기 칼라 내의 상기 나사산형 개구부 내의 나사산형 핀을 포함한다.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에 잠금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으로, 상기 공정은 1)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마모 부재 및 상기 개구부와 교차하는 횡구멍(transverse hole)을 제공하는 단계; 2) 관통 구멍을 갖는 칼라를 개구부로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대해 설치하여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마모 부재 내의 상기 횡구멍과 정렬되는 단계; 3) 상기 마모 부재 및/또는 상기 칼라 상에 자석을 제공하여 상기 칼라를 상기 마모 부재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개구부를 향해 그리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리 조정 가능한 상기 칼라 내의 상기 관통 구멍에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잠금부 및 마모 어셈블리의 장점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한 후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마모 부재, 베이스, 및 잠금부를 포함하는 마모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모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베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잠금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잠금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잠금부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베이스에 장착하기 전에 잠금부가 설치된 도 1의 마모 부재의 내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해제 위치에 있는 잠금부와 함께 도 1의 8-8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부와 함께 도 1의 8-8 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마모 부재 및 잠금부를 포함하는 제2 마모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잠금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잠금부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잠금부의 상면도이다.
도 14는 베이스에 마모 부재를 장착하기 전에 설치 공정에서 잠금부를 갖는 도 10의 마모 부재의 내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잠금 설치 전의 도 10의 마모 부재 및 잠금부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6은 해제 위치에 잠금부가 있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잠금 위치에 잠금부가 있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리깅 어셈블리다.
도 19는 도 18의 리깅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잠금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잠금부의 분해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잠금부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칼라의 설치 전의 도 18의 마모 부재의 내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8의 마모 부재의 구멍 내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칼라가 설치된 도 24의 구멍 내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은 잠금 위치에 잠금부가 있는 도 18의 26-26 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개시는 굴토 작업 장비의 마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개시는 어댑터에 접지 결합 공구(ground engaging tool)(본 실시예에서는 점으로 표시됨)를 고정시키는 예를 포함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마모 어셈블리는 중간 어댑터, 슈라우드, 러너, 픽, 해머, 리깅(rigging) 구성요소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마모 부품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굴착 버킷이 굴토 작업 장비로서 본원에 개시되어 있지만, 드래지 커터 헤드, 파쇄기, 리깅 장비, 롤 크러셔, 활송 장치, 트럭 바디부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굴토 작업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논의의 편의성을 위해, 전방, 후방, 상단, 하단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가 사용된다. 용어 전방(front) 또는 앞(forward)은 일반적으로 사용 중에(예를 들어, 굴삭 동안에) 정상적인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부 또는 상단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재료가 버킷 내로 수집될 때 재료가 통과하는 표면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굴토 작업 기계의 작동에서, 마모 어셈블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고, 사용 중에 모든 종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도 1 내지 도 2의 도시된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10)는 2개의 개별 구성요소 및 잠금부, 예를 들어 마모 부재(12), 베이스 또는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58), 및 잠금부(14)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마모 부재(12) 및 잠금부(14)의 조합은, 단일 유닛으로서 선택적으로 판매, 운송, 저장 및/또는 설치될 수 있는 마모 어셈블리(10)로 간주될 수 있다. 마모 부재(12)는, 굴삭 동안 지면을 관통하도록 좁아진 전방 말단(12B)으로 수렴하는 작업부(12A) 및 베이스(58)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표면(21)에 의해 정의되는 뒤쪽으로-개방된 공동(19)을 갖는 장착부(12C)를 갖는 포인트로서 도시되어 있다. 작업부(12A)는 공동(19)의 앞에 있고 장착부(12C)는 길이 방향 A로 작업부(12A)의 뒤에 있다.
베이스(58)는 (버킷의 굴삭 에지와 같은) 굴토 작업 장비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용접 또는 기계적 부착에 의해 이러한 장비(예를 들어, 어댑터)에 부착된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내부에 수용된 공동(19) 및 베이스(58)는 사용 중에 마모 부재(12)를 적절히 지지하도록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본 구현예에서, 베이스(58)는 어댑터 또는 캐스트 립의 노즈이다. 도시된 예에서, 공동 및 노즈는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제7,882,649호(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됨)에 기술된 바와 같지만, 넓은 범위의 공동 및 노즈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노즈(58)는 핀(22)의 리딩 말단(27)을 수용하는 개구부(60)를 포함하여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고정시킨다(도 3).
잠금부(14)는 2개의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굴토 작업 동작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 배열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잠금부(14)는 장착 구성요소 또는 칼라(26) 및 보유 구성요소 또는 핀(22)을 포함한다. 잠금부(14)는 마모 부재의 벽면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장착 공동(19)과 연통하는 구멍(17)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구멍(17)은 포인트(12)의 측벽면을 통해 연장되어 있지만, 다른 벽면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구멍(17)은 다른 측벽면 또는 포인트(12)의 상단 벽면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구멍(17)(예를 들어, 각 측벽면 내)은 마모 부재(12)를 베이스(58)에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잠금부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마모 부재에서, 구멍(들)(17)은 마모 부재의 하단, 상단, 또는 다른 벽면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장착 공동 대신에 섕크(미도시)를 갖는 마모 부재에서, 구멍(17)은 섕크를 수용하기 위해 공동을 갖는 베이스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구멍(60)은 섕크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구멍(17)은 공동(19) 내로 개방되는 내부 부분 또는 오목부(16) 및 마모 부재(12)의 외부 표면 내의 외부 부분 또는 통로(18)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통로(18)는, 칼라(26)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숄더 또는 오목부 표면(35)을 정의하기 위해 더 좁지만, 칼라(26)를 유지하기 위한 다른 배열(예를 들어, 돌출부, 패스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오목부(16) 및 통로(18)는 각각 외측 방향으로(예를 들어, 제조 목적을 위해) 좁아지지만, 이들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칼라(26)는 마모 부재(12)의 오목부 또는 잠금 수용 구역(16)에 끼워 맞춰지고 보어 또는 개구부(26A)를 포함하는 바디부(25)를 갖는다. 도시된 보어는 정합하는 나사산(22B)을 갖는 핀(22)을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26B)을 포함하지만, 칼라에 대해 핀을 고정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없는 다른 구성(예를 들어, 프라잉 래치(prying latch), 오일 압력 등)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바디부(25)는 오목부(16)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 부분(31) 및 통로(18) 내에 수용되어 있는 외부 부분(30)을 포함한다. 내부 부분(31)은 사용 중에 외부 움직임에 저항하기 위해 통로(18)보다 더 크게 세장형이다. 외부 부분(30)은 구멍(17)과 보어(26A)의 정렬을 보장하고/하거나 나사산의 더 긴 런을 제공하기 위해 통로(18) 내로의 수용을 위해 더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칼라 형상이 가능하다.
칼라(26)는 칼라(26) 및/또는 잠금부(14)를 오목부(16) 내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11)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자석은 칼라(26)의 외부 표면(30) 상의 각각의 말단(13, 13') 근처에 각각 위치되어 있지만, 다른 위치 및 개수의 자석(11)이 가능하다. 각 자석(11)은 (본 실시예에서는 블라인드 구멍인) 개방 말단형 구멍(11A) 내에 설치되거나 달리 칼라(26)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석(11) 및 구멍(11A)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 자석(들)은 대안적으로 구멍(17) 내의 마모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석(11)은 칼라(26)를 유지할 수 있고, 핀(22)이 설치될 때, 잠금부(14)는 마모 부재(12)의 운송, 보관 및/또는 설치 중에 마모 부재(12) 내의 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마모 부재(12)로부터 잠금부(14)를 먼저 이동시키거나 제거하지 않고서 마모 부재(12)가 베이스(58) 상에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잠금부(14)는 바람직하게는 제1 또는 해제 위치에서 마모 부재(12)에 유지되어 있고, 핀(22)의 내부 말단(27)은 칼라(26) 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잠금부(14)는 마모 부재(12)를 베이스(58) 상에 설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도 1). 내부 말단(27)은 설치 중에 베이스를 제거하는 한 해제 위치에서 칼라(26)의 내측에 있을 수 있다(도 8).
핀(22)은 미국 특허 출원 제16/671,096호에 개시된 핀과 유사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핀(22)은 핀(22)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수용 형성부(22C)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형성부(22C)는 헤드(22A)에, 예를 들어 육각 렌치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패싯(facet)(22D)을 갖는 구멍을 포함한다. 핀(22)은 헤드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나사산(22B)을 갖는 원위 테이퍼형 섕크(distal tapering shank)(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외부 시일(28)은 핀(22) 상의 헤드(22A)의 내측 위치된 오목부(28A) 내에 보유된다(도 5). 외부 및 내부 시일(28, 29)은 조립된 잠금부를 위한 폐쇄된 나사산 공간을 제공한다. 시일들은 내부 시일이 핀 상에 있고 외부 시일이 칼라 상에 있도록 반전될 수 있다. 추가로, 대안적인 예에서, 어느 시일(28, 29)이든 칼라 또는 핀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시일(28, 29)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나사산 핀(22)은 주변 나사산(22B)을 지나 돌출되도록 편향된 선택적인 래치 또는 멈춤쇠(45)를 포함한다. 멈춤쇠(45)를 수용하기 위해 대응하는 외부 포켓 또는 오목부(46)가 칼라(26)의 나사산(26B)에 형성되어, 래칭 멈춤쇠(45)가 외부 포켓과 정렬되고 삽입될 때 나사산형 핀(22)이 칼라(26)에 대해 특정 위치로 래칭된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멈춤쇠(45)는 핀 헤드(22A) 보다 핀 말단(27)에 더 가깝게, 나사산형 핀(22) 상의 나사산(22B)의 시작부에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멈춤쇠(45)는 시트 스틸로 형성될 수 있고, 핀(22) 내의 섬프(52) 내에서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고, 탄성중합체(50)에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52)는,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52)가 제자리에 경화되고 래칭 멈춤쇠(45)에 결합되도록 래칭 멈춤쇠(45) 주위에 성형될 수 있다. 래치(45)는 대안적으로 칼라(26) 내에 있을 수 있고 핀(22) 내의 포켓(46) 내에 있을 수 있다.
단일 일체형 마모 부재(12) 및 잠금부(14)의 사용은 재고에 유지될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재고 및 저장 요구를 감소시키고, (특히 야간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설치 중에 잠금부를 떨어뜨리지 않고, 항상 적절한 잠금부가 사용되는 것을 보장하고, 마모 부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경우, 핀(22)은 언제든지 제거될 수 있다. 칼라(26)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유닛(단일편 또는 유닛으로서 조립됨)이고, 바람직하게는 강도와 단순화를 위한 단일편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핀(22)은 바람직하게는 강도 및 단순성을 위한 단일편 구성의 단일 유닛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라 및/또는 핀은 다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칼라 및 핀은 바람직하게 제조 시 마모 부재(12)로 조립되지만, 칼라(26) 및 핀(22)은 다른 시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22)이 있거나 없는 칼라(26)는 베이스에 설치하기 전에 작업 현장에 설치될 수 있다. 칼라(26)가 핀(22) 없이 설치되는 경우, 핀(22)은 마모 부재(12)를 베이스(58)에 고정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오목부(16)는 마모 부재(12)의 내부 표면(21) 내의 개구부이며, 잠금부(14)의 칼라(26)를 수용하고 이와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즉 칼라가 공동(19) 내부로부터 구멍(17) 내에 끼워 맞춰진다. 오목부(16)는 핀(22) 및 잠금부(14)의 칼라(26)의 내부 부분(30)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18)를 둘러싼다. 오목부(16) 및/또는 통로(18)는 내부 표면(33, 34)에 의해 정의된 세장형 원 형상일 수 있지만,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잠금부(14)를 설치하기 위해, 칼라(26)는 공동(19) 내에서 오목부(16) 내로 삽입되어, 칼라 상의 자석(11)은 구멍(17)의 양 측면 상의 오목부(16) 내의 오목한 표면(35)과 맞물리고, 외부 부분(30)은 구멍(17) 내에 수용된다. 자석(11)에 대한 대안적인 위치가 오목한 표면(35)에서 팬텀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석(11)은 오목한 표면(35)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오목부(16)를 정의하는 표면은 핀(22)의 설치 및/또는 조정 중에 칼라(26)의 회전에 저항한다. 오목부(16)는 또한 칼라(26)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및 후방 표면(33, 34, 35)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다른 배열이 가능하긴 하지만, 후방 표면(34)은 노즈(58)의 팽창을 수용하기 위해 전방 표면보다 더 작은 내측 연장부를 갖는다. 또한, 후방 표면(34) 및/또는 전방 표면(33)은 사용 중에 핀(22)에 인가되는 캔틸레버 및 다른 하중에 대항하는 저항성 커플을 제공한다. 자석(11)은 항상 칼라(26)를 오목부(16) 내에 유지하도록 기능하지만, 이들은 주로 핀(22)의 설치 동안 뿐만 아니라 마모 부재(12)의 운송, 보관 및/또는 설치 동안 칼라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모 부재(12)가 베이스 상에 조립될 때 칼라(26)에 대한 노즈(58)의 반대편은 칼라(26)가 사용 중에 오목부(16)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핀(22)은 핀 말단(27)이 리딩 말단(27)이고 핀 나사산(22B)이 칼라 나사산(26B)과 맞물리도록 마모 부재(12)의 외측으로부터 칼라(26) 내로 설치될 수 있지만, 칼라(26)에 연결될 수 있고, 칼라(26)로 구멍(17)내로 설치될 수 있다. 리딩 말단(27)은 바람직하게는 노즈(58)의 측면(56)의 구멍(60) 내로 수용되도록 풀린다. 외부 포켓(46) 내의 래칭 멈춤쇠(45)의 맞물림은 나사산형 핀(22)을 칼라(26)에 대한 해제 위치에 유지하고, 이는 핀(22)을 공동(19)의 외측(또는 노즈(58)에 대해 충분한 간극을 갖는 구멍(60)의 적어도 외측)에 유지하여, 마모 부재(12)가 노즈(58) 상에 설치(및/또는 노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도 8). 핀(22)은, 칼라(26)가 오목부(16) 내에 포획되는 동안 마모 부재(12)가 설치될 준비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해제 위치에 운송되고 저장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다른 예에서, 핀은 래칭 멈춤쇠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마모 부재(12)를 베이스에 잠금시키는 기능만을 가질 수 있다.
핀(22)에 토크를 추가로 인가하면 래칭 멈춤쇠(45)가 외부 포켓(46) 밖으로 압착될 것이다. 내부 포켓 또는 오목부는 칼라(26)의 나사산의 내부 말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잠금부를 잠금 위치에 놓는다(도 9).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리딩 말단(27)은 구멍(60)에 맞물려서 마모 부재(12)를 베이스(58)에 고정시킬 것이다(도 9).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개구부(60)는 구멍(60)의 깊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2개의 평평한 섹션 또는 플랫(55A, 55B)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55A, 55B)은 다른 위치들이 가능하지만, 핀(22)의 리딩 말단(27)을 위한 2개의 접촉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구부(60)의 내벽면의 앞 말단 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랫(55A, 55B)은 핀(22)에 대한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 시 잠금부의 맞물림 및 제거로부터 잠금 구멍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곡선 또는 다른 비선형 형상의 섹션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58)로부터 마모 부재(12)를 제거하기 위해, 핀(22)은 토크-인가 공구(예를 들어,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해제되어 핀(22)을 칼라(26)로부터 풀 수 있다. 핀(22)은 칼라(26)로부터 제거될 수 있지만, 핀(22)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서 해제 위치까지만 백업하면 된다. 그런 다음, 마모 부재(12)가 노즈(5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풀림 핀(22)의 토크는, 선반 표면(33)에 의해 저항되는, 칼라(26)에 실질적인 비틀림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잠금부의 사용은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i) 잠금부는, 더 적은 재고와 더 쉬운 설치를 위해 잠금부가 설치될 준비가 된 위치에 운송 및 저장되도록 마모 부재에 통합될 수 있다; (ii) 잠금부는 사용하기 쉽도록 일반적인 구동 공구(예컨대 육각 공구)만 필요하다; (iii) 잠금부는 안전한 작동을 위해 해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iv) 잠금부는 설치 준비 및/또는 제거를 위한 쉬운 공구 액세스를 제공한다; (v) 잠금부는 올바른 설치의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 (vi) 향상된 신뢰성 및/또는 용이성을 위해 새로운 잠금부가 각 마모 부품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vii) 잠금부는 단순하고, 사용하기 쉬운 직관적 작동을 갖는다; (viii) 잠금부는, 상기 통합이 고 하중을 지지하고, 특수 공구 또는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리고 영구적인 조립을 생성하는 단순 주조 가능 특징부를 중심으로 구축된 통합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ix) 자석은 빠르고 쉬운 설치 위치에서 상기 칼라를 상기 마모 부재에 유지시킨다; 및/또는 (x) 잠금부는 마모로부터 잠금부를 보호하고 잠금부 배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모 어셈블리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도 10의 도시된 예에서, 마모 어셈블리(110)는 마모 부재(112), 베이스(158), 및 잠금부(114)를 포함한다. 마모 부재(112) 및 베이스(158)는,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될 일부 구별을 제외하고, 마모 부재(12) 및 베이스(58)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시된 예에서, 마모 부재(112)는, 굴삭 동안 지면을 관통하기 위해 좁아진 전방 말단(112B) 형태의 작업부(112A) 및 베이스(158)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표면(121)에 의해 정의되는 뒤쪽으로-개방된 공동(119)을 갖는 장착부(112C)를 갖는 포인트로 도시되어 있다.
마모 부재(112)는 내부에 베이스(158)를 수용하도록 일반적으로 형상화된 공동(119)을 포함하고, 핀(122)의 내부 말단(127)와 맞물려 마모 부재(112)를 베이스(158)에 고정시키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개구부(160)를 포함한다. 개구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선형 섹션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114)는 2개의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굴토 작업 동작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 배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잠금부(114)는 마모 부재(112)의 구멍(117)에 설치되어 있다. 구멍(117)은 오목부 또는 내부 부분(116) 및 통로 또는 외부 부분(118)을 포함한다. 잠금부(114)는 장착 구성요소 또는 칼라(126) 및 보유 구성요소 또는 핀(122)을 포함한다. 핀(122)은 핀(22)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칼라(126)는 마모 부재(112)의 오목부(116)에 끼워 맞춰지고 보어 또는 개구부(126A)를 포함하는 바디부(125)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보어(126A)는 정합하는 나사산(122B)을 갖는 핀(122)을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126B)을 포함하지만,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칼라(126)는, 칼라(126) 및/또는 잠금부(114)를 오목부(116) 내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111)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자석(111)은, 다른 위치가 가능하지만, 칼라(126)의 상단 표면(172) 상의 바디부(125)의 말단(113)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자석(들)은 대안적으로 구멍(117) 내의 마모 부재(112)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125)는 오목부(116) 내에 형성된 상보적 지지 특징부(164)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결합 구조 또는 앵커 특징부(162)를 포함한다(도 14). 앵커(162) 및 지지부(164)는, 마모 부재(112)의 내부(121)로부터 상보적 지지부(164)와 앵커(16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잠금부(114)가 안착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잠금부(114)가 일반적으로 잠금 회전축(B) 주위에서 오목부(116)를 향해 그리고 오목부 내로 외측으로 스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5). 앵커(162) 및 지지부(164)는 바람직하게는 축(B) 주위에서 잠금부(11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앵커(162)는 잠금 오목부(116)의 근위 벽면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릿지에 대응하는 지지부(164)와 상호 작용하는 슬롯에 대응한다(도 14 참조). 돌출부(164)는 앵커(162)가 지지체(164)의 상단 및 하단 상에서만 맞물리도록 개구부(164A)를 포함할 수 있다(도 15). 개구부(164A)는 제조 공정에서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슬롯(162)은 대안적으로 마모 부재 및 잠금부 상의 릿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64) 및 자석(111)의 존재는 제1 또는 해제 위치에서 칼라(126) 또는 잠금부(114)를 함유하도록 기능하여 잠금부(114)가 베이스(158) 상으로 마모 부재(112)의 설치를 방해하지 않는다. 지지부(164)와 조합된 자석(111)은 마모 부재(112) 내의 제 위치에 잠금부(114)를 유지하여, 마모 부재(112)의 운송 및 보관을 허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먼저 잠금부(114)(예를 들어, 핀(122) 또는 칼라(126))를 애퍼처(117)로부터 이동시키거나 제거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마모 부재(112)가 적절한 베이스(158) 상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베이스(158)는 잠금부(114)를 제1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지만, 사용 중에 칼라에 대한 베이스의 반대편은 칼라가 오목부(116)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부(114)의 임의의 외측 이동은 슬롯(162) 내의 지지부(164)에 의해, 및 저항하는 표면(135)에 접경하는 잠금부(114)의 말단부(113) 상의 상단 표면(172)에 의해 저항된다(도 16).
바디부(125)는 상단 표면(172)에 유사하게 형상화된 하단 표면(174)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단 표면(172)은 하단 표면(174)보다 길이 방향 치수에서 더 길다. 상단 표면(172)은 근위 표면(176) 및 대향하는 원위 표면(177)에 인접한다. 슬롯(162)은 하부 측 표면(180)에 인접한 만곡 표면(178)을 정의한다(도 12). 도시된 예에서의 하부 측 표면(180)은 운송 및 잠금 위치에서 마모 부재(112) 또는 베이스(158)에 의해 맞물리지 않는다(도 16 내지 도 17). 다른 예에서, 하단 표면(174)은 베이스(158)와 맞물릴 수 있다. 바디부(125)는 측방향 측 표면(179) 및 잠금부(114)의 말단(113, 113')을 향해 수렴하는 2 세트의 수렴 표면(181 내지 184)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수렴 표면(182, 183)은 근위 말단(113)을 향해 수렴하고, 원위 말단(113')을 향해 수렴하는 수렴 표면(181, 184)보다 치수가 더 길지만,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렴 표면(181, 184)은 더 길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표면(181 내지 184)이 수렴할 수 있거나 또는 어느 것도 수렴하지 않을 수 있다.
오목부(116)는 마모 부재(112)의 내부 표면(121) 내의 개구부이며, 잠금부(114)의 칼라(126)를 수용하고 이와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5). 잠금부(114)는 해제 위치에서 마모 부재(112)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오목부(116)는 잠금부(114)의 칼라(126)의 내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118)를 둘러싼다. 구멍(117)은 마모 부재(112)의 벽면을 통해 연장되어 외부 및 내부 표면(121)에 개방된다. 통로(118)는 내부 표면(118)에 의해 정의된 세장형 원 형상일 수 있지만,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 오목부(116)는 칼라(126)의 바디부(125)와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부분(133)을 포함한다. 오목부(133)는 상부 및 하부 표면(187, 188), 후방을 향해 테이퍼지는 수렴 표면(190, 193), 및 전방을 향해 테이퍼지는 수렴 표면(191, 192)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표면(187, 188) 및 수렴 표면(190 내지 193)은 핀이 칼라 내의 통과 애퍼처 내에서 회전될 때 회전방지 표면으로서 작용하지만, 다른 배열이 가능하다. 수렴 표면(190 내지 193)은 구멍(117)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포인트 강도 및 제조 가능성을 돕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잠금부(114)를 설치하기 위해, 칼라(126)는 마모 부재(112)의 공동(119) 내부로부터 오목부(116) 내에 삽입된다. 칼라(126)는 (축 B를 따라) 지지부(164)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되고, 자석(111)은 잠금부(114)의 근위 측면(113) 상의 오목부(116) 내의 오목한 표면(135)과 자기적으로 맞물리고, 잠금부(114)의 외부 부분은 통로(118) 내에 수용되어 있다. 오목부(116)는 칼라(126)의 일 말단(113)이 맞물리는 선반 표면(133)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잠금부(114) 및 자석(111)은 숄더(135)에 대해 설정된다. 자석은 마모 부재의 다른 표면에 대해 설정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선반 표면(133), 숄더(135), 및 릿지(164)의 협력은 사용 중에 핀(122)에 인가되는 캔틸레버 및 다른 하중에 대한 저항성 결합을 제공한다. 마모 부재(112)가 베이스(158) 상에 조립될 때, 칼라(126)에 대한 베이스(158)의 반대편은, 사용 중에 칼라(126)가 오목부(116)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핀(122)은 칼라(126) 내로 끼워진다. 칼라 및 핀은, 칼라가 오목부(116) 내로 회전됨에 따라 핀에 대한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구멍(117)에 대한 조정을 갖는 유닛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잠금부(114)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2개의 위치를 갖는다. 핀(122)은 리딩 말단(127) 및 핀 나사산(122B)이 칼라 나사산(126B)과 맞물리도록 마모 부재(112)의 외측으로부터 칼라(126) 내로 설치된다. 해제 또는 운송 위치에서, 잠금부(114)는 또한 슬롯(162) 내에 수용되어 있는 릿지(164) 및 선반 표면(135)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111)에 의한 외측 이동에 대해 구속된다(도 16). 자석(111)이 고장날 경우, 핀(122)은 칼라(126)가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킬 것이다. 설치된 위치에서의 잠금부(114)의 비틀림은 슬롯(162) 내의 릿지(164), 및 잠금부(114)를 갖는 구멍(117)의 주변 벽면(133, 135, 187, 188, 190-193)의 근접성에 의해 저항된다. 추가의 비틀림은 핀(122)을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고, 여기서 리딩 말단(127)의 일부분만이 베이스(158)의 구멍(160)과 체결하여 마모 부재(112)를 베이스(158)에 유지시킨다(도 17).
마모 부재(112)를 제거하기 위해, 구멍(117) 내에 남아 있는 동안 핀(122)은 토크 인가 공구(예를 들어, 토크 렌치)를 사용하여 해제되어 핀(122)을 칼라(126)로부터 해제 위치 또는 운송 위치로 다시 풀 수 있다(도 16). 핀(122)은 칼라(126)로부터 제거될 수 있지만, 핀(122)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서 해제 위치까지만 백업하면 된다. 그런 다음, 마모 부재(112)가 노즈(15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6의 도시된 예에서, 마모 부재(212), 리깅 핀 또는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258), 및 잠금부(214)를 포함하는 리깅 어셈블리(2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마모 부재(212)는 각각의 개구부(219A, 219B)를 각각 갖는 아암(212A, 212B)을 갖는 Y 커넥터로서 도시되어 있다. 개구부들(219A, 219B) 각각은 리깅 핀(258)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표면(221A, 221B)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예에서, 리깅 핀(258)은 원통형 바디부(258A) 및 플랫(258C) 또는 다른 비-원형 구성이 구비된 헤드(258B)를 갖는다. 다른 구성을 갖는 핀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말단(212C)이 Y 커넥터(212)의 대향 말단 상에 제공되어 있다. 리깅 구성요소(212)는 전형적으로 리깅 어셈블리의 일부이고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다른 리깅 구성요소, 체인, 버킷 부품 등)에 리깅 핀(258)을 통해(즉, 아암(212A, 212B) 사이), 및 베이스 말단(212C) 내의 애퍼처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Y 커넥터 리깅 구성요소가 예로서 사용되지만, 다른 종류의 리깅 구성요소에 핀을 고정하기 위해 잠금부(214)가 사용될 수 있다.
각 개구부(219A, 219B)는 일반적으로 리깅 핀(258)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구멍(217)은 아암(212A)을 통해 연장되어 개구부(219A)와 교차한다. 구멍(217)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아암(212B)(미도시)에 위치될 수 있다. 구멍(217)은 개구부(219A)의 내부(221)로 개방되는 내부 부분 또는 오목부(217')를 포함한다. 오목부(217')는 잠금부(214)의 칼라(226)의 주요 바디부(225)를 수용하고 이와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멍(217)의 외부 부분은 내부 표면(218)에 의해 정의된 세장형 원 형상일 수 있지만, 다른 형상이 가능하다. 구멍(217)의 외부 부분 또는 통로(216)는 잠금부의 칼라(226)의 적어도 외부 부분(231)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도 25). 오목부(217')는 측 표면(290 내지 293)을 포함할 수 있는 대향 홈(287, 288)을 포함할 수 있다. 측 표면(290 내지 293)은 핀(222)이 칼라(226) 내의 통과 애퍼처(226A) 내에서 회전될 때 회전방지 표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지만, 다른 배열이 가능하다(도 24 내지 도 25). 구멍(217)은 통로(218) 및 오목부(217')와 연통하는 릴리프(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4).
리깅 마모 부재(212)는 2개의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굴토 작업 동작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배열이다. 잠금부(214)는 마모 부재(212) 내에 리깅 핀(258)을 고정시킨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잠금부(214)는 장착 구성요소 또는 칼라(226) 및 보유 구성요소 또는 핀(222)을 포함한다. 핀(222)은 핀(22)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핀(222)은 핀(22)보다 긴 섕크(224)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핀(222)과 같은 더 긴 핀은 접지 결합 공구(예를 들어, 포인트)의 형태의 마모 부재를 베이스(예를 들어, 어댑터 노즈)에 고정시키는 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핀은 베이스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포인트의 양 측벽면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더 짧은 핀이 리깅 부재에 사용될 수 있다. 칼라(226)는 핀(222) 앞에 구멍(217) 및 오목부(217')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 칼라는 아암(212A)의 외측 외부 측벽면에 대한 개구부(219A)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아암(212A)의 개방된 외부 말단을 통해 설치될 것이다. 잠금부(214)의 핀(222)은 구멍(217)을 통해 하나의 개구부(219A) 내로 통과한다(도 26).
칼라(226)는 마모 부재(212)의 아암(212A) 내의 잠금 수용 오목부(217') 내에 끼워 맞춰지고 통로(218) 내로 연장되어 있는 바디부(225)를 갖는다. 바디부(225)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보어(226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보어(226A)는 정합하는 나사산(222B)을 갖는 핀(222)을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226B)을 포함하지만,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도시된 보어는 정합하는 나사산(222B)을 갖는 핀(222)을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226B)을 포함하지만, 칼라에 대해 핀을 고정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없는 다른 구성(예를 들어, 프라잉 래치, 오일 압력 등)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바디부(225)는 오목부(217')에 수용되는 내부 부분(230) 및 구멍(217)에 수용되는 외부 부분(231)을 포함한다. 내부 부분(230)은 사용 동안 외부 움직임에 저항하기 위해 구멍(217)보다 더 크게 세장형이다. 내부 부분(230)은 구멍(217)과 보어(226A)의 정렬을 보장하고/하거나 나사산의 더 긴 런을 제공하기 위해 구멍(217) 내로의 수용을 위해 더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칼라 형상이 가능하다.
바디부(225)는 바디부(225)의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215, 215')에 의해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돌출부들(215, 215')은 잠금 수용 구역(217') 내의 홈들(287, 288) 내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들(215, 215') 중 하나는 다른 하나와 상이한 길이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3 돌출부(229)는 구멍(217)으로부터 잠금 수용 구역(217') 내로 연장되어 있는 릴리프(23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칼라(226)는 칼라(226)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211)을 포함하며, 따라서 오목부(217') 내에 잠금부(214)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자석(211)은 칼라(226)의 2개의 돌출부(215, 215')의 외부 표면(30) 상의 각각의 말단(213, 213') 근처에 각각 위치되어 있지만, 자석(211)의 다른 위치 및 개수가 가능하다. 자석(211)은 하나의 자석(211)이 다른 자석보다 높도록 상이한 고도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자석(211)은 크기가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또한 동일할 수 있다. 각 자석(211)은 개방 말단형 구멍(211A) 내에 설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칼라(226)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석(211) 및 구멍(211A)은 전술한 자석(11) 및 구멍(11A)과 유사하다. 자석(211)은 마모 부재(212)의 운송, 보관 및/또는 설치 중에 칼라(226)를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핀(222) 상의 섕크(224)의 길이에 따라, 마모 부재(212)로부터 잠금부(214)를 먼저 이동시키거나 제거하지 않고, 리깅 핀(258)이 마모 부재(212) 상에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잠금부(214)는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만 위치 설정되어 있다(도 26 참조). 핀(222)이 설치 중에 리깅 핀(258)과 맞물리거나 이를 방해할 정도로 충분히 연장되지 않는 한(미도시), 핀 말단(227)은 해제 위치에서 칼라(226)의 내측에 있을 수 있다.
바디부(225)는 상단 표면(272)과 유사하게 형상화된 하단 표면(274)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하단 표면(274)은 리깅 핀(258)과 맞물릴 수 있다. 돌출부(215, 215')는 측 표면(281 내지 284)을 포함한다. 이들 측 표면은 잠금부(214)의 말단(213, 213')을 향해 수렴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수렴 표면(283, 284)은 근위 말단(215)을 향해 수렴하고, 측 표면(281, 282)보다 치수가 더 길지만, 다른 구성(확산형, 평면형, 만곡형 등)이 가능하다.
도 23을 참조하면, 잠금부(214)를 설치하기 위해, 칼라(226)는 마모 부재(212)의 내부(221)로부터 오목부(217') 내로 삽입된다. 칼라(226)는 자석(211)이 홈(287, 288) 내의 오목한 표면(289)과 자기적으로 맞물릴 때까지 구멍(217) 내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자석(211) 및 홈(287, 288)의 측 표면의 협력은 사용 중에 핀(222)에 인가되는 캔틸레버 및 다른 하중에 대한 저항성 결합을 제공한다. 리깅 핀(258)은 칼라의 설치 후에 리깅 부재(212) 내에 삽입된다. 칼라는 제조 시, 재고 또는 현장에 설치될 수 있다. 리깅 핀(258)이 마모 부재(212) 상에 설치될 때 칼라(226)에 대한 리깅 핀(258)의 반대편은, 사용 중에 칼라(226)가 오목부(217')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다음, 핀(222)은 칼라(226) 내로 끼워진다(도 26).

Claims (33)

  1.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로서,
    외부 표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및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상기 마모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구멍 내의 잠금부로서, 상기 잠금부가 칼라 및 상기 칼라 내에 조정 가능한 핀을 포함하여 상기 핀이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하기 위해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해제하기 위해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잠금부; 및
    상기 구멍에 상기 칼라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을 포함하는, 마모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접지 결합 공구이고,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는 상기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의 굴삭 에지에 장착하기 위한 노즈인, 마모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리깅 구성요소고,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는 리깅 핀인, 마모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마모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마모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칼라에 고정되어 있는, 마모 어셈블리.
  6.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어셈블리로서,
    외부 표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여기서 상기 구멍은 상기 외부 표면에 인접한 외부 부분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내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외부 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구멍, 및 상기 오목부의 일 측면 상의 피봇 지지부를 포함하는 마모 부재; 및
    상기 구멍 내의 잠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부는 칼라 및 상기 칼라 내에서 조정 가능한 핀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하도록 내측으로 그리고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해제하도록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칼라는 피봇 지지부와 맞물려 상기 칼라를 상기 오목부 내로 피봇시키기 위한 피봇 형성부를 포함하는, 마모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접지 결합 공구이고,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는 상기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의 굴삭 에지에 장착하기 위한 노즈인, 마모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리깅 구성요소이고,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는 리깅 핀인, 마모 어셈블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마모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마모 어셈블리.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칼라에 고정되어 있는, 마모 어셈블리.
  11.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로서,
    외부 표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상기 구멍은 상기 외부 표면에 인접한 외부 부분 및 상기 개구부 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내부 부분을 가지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외부 부분을 둘러싸는, 상기 구멍, 및
    잠금부의 칼라의 상기 오목부로의 피봇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잠금부가 상기 개구부 내의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의 일 측면 상의 피봇 지지부를 포함하는, 마모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피봇 지지부에 대향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리깅 구성요소인, 마모 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접지 결합 공구인, 마모 부재.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지지부는 그의 중앙에 개구부를 포함하는 돌출부인, 마모 부재.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지지부는 상기 칼라 내의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오목부인, 마모 부재.
  17.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로서,
    외부 표면,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 및
    상기 마모 부재에 잠금부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표면에 인접한 상기 구멍 내의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리깅 구성요소인, 마모 부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접지 결합 공구인, 마모 부재.
  20.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 굴토 작업용 마모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로서, 상기 잠금부는:
    칼라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상기 바디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나사산형 개구부, 및 설치 위치에서 상기 마모 부재의 내부 표면에 상기 칼라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상기 칼라;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칼라 내에서 조정 가능한 상기 칼라 내의 상기 나사산형 개구부 내의 나사산형 핀을 포함하는, 잠금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돌출부 내에 위치 설정되어 있는, 잠금부.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서로의 대향 측면들 상에 2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되, 각 돌출부는 자석을 함유하는, 잠금부.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나사산형 핀이 상기 마모 부재 내에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나사산형 핀이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잠금부.
  24.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에 대해 굴토 작업용 마모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로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마모 부재 상의 내부 표면에 대해 사용 가능한 위치로의 상기 칼라의 피봇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칼라의 일 말단 상의 피봇 형성부, 상기 칼라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나사산형 개구부, 및 상기 칼라를 마모 부재에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칼라;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의 내측 및 외측으로 조정 가능한 상기 칼라 내의 상기 나사산형 개구부 내의 나사산형 핀을 포함하는, 잠금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바디부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돌출부 내에 위치 설정되어 있는, 잠금부.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나사산형 핀이 상기 마모 부재 내에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보유하는 잠금 위치 및 상기 나사산형 핀이 상기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잠금부.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형성부는 상기 마모 부재 내의 돌출부와 정합하는 오목부인, 잠금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에서의 상기 돌출부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
  29.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 내에 잠금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으로, 상기 공정은:
    분리 가능한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마모 부재, 및 상기 개구부와 교차하는 횡구멍을 제공하는 단계;
    관통 구멍을 갖는 칼라를 개구부로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대해 설치하여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마모 부재 내의 상기 횡구멍과 정렬되는 단계;
    상기 마모 부재 및/또는 상기 칼라 상에 자석을 제공하여 상기 칼라를 상기 마모 부재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리 조정 가능한 상기 칼라 내의 상기 관통 구멍에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상기 개구부의 내부 표면에 대해 상기 칼라를 설치할 때 상기 마모 부재 상의 피봇 지지부 주위에서 피봇하는 피봇 형성부를 포함하는, 공정.
  31.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를 상기 마모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마모 부재 및/또는 칼라 상의 제2 자석을 포함하는, 공정.
  32.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로서,
    공동을 갖는 제2 마모 부재를 그에 장착하기 위한 노즈를 포함하되, 상기 노즈는 상기 제2 마모 부재를 상기 마모 부재에 고정하도록 잠금부를 수용하기 위한 잠금 구멍을 가지며, 상기 잠금 구멍은 실질적으로 원형 부분 및 상기 잠금부와 맞물리기 위한 2개의 평평한 섹션을 갖는 내부 표면을 갖는, 마모 부재.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평평한 섹션은 2개의 위치에서 상기 잠금부의 상기 핀의 말단과 맞물리는, 마모 부재.

KR1020237033990A 2021-04-16 2022-04-15 마모 어셈블리 KR20230171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76065P 2021-04-16 2021-04-16
US63/176,065 2021-04-16
PCT/US2022/025109 WO2022221722A1 (en) 2021-04-16 2022-04-15 Wea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928A true KR20230171928A (ko) 2023-12-21

Family

ID=8360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990A KR20230171928A (ko) 2021-04-16 2022-04-15 마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20333358A1 (ko)
EP (1) EP4323592A1 (ko)
JP (1) JP2024513807A (ko)
KR (1) KR20230171928A (ko)
CN (1) CN117178098A (ko)
AR (1) AR125695A1 (ko)
AU (1) AU2022257090A1 (ko)
BR (1) BR112023019423A2 (ko)
CA (1) CA3214859A1 (ko)
CL (1) CL2023002854A1 (ko)
CO (1) CO2023013807A2 (ko)
DK (1) DK202370575A1 (ko)
PE (1) PE20240106A1 (ko)
TW (1) TW202248503A (ko)
WO (1) WO2022221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33863A (zh) * 2018-10-31 2020-09-16 美商艾斯克集團有限責任公司 磨耗總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P2014007629A0 (en) * 2011-10-20 2014-05-31 Trinity Ind Inc Tooth assembly for excavating apparatus with rare earth material
WO2017139257A1 (en) * 2016-02-08 2017-08-17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earth working equipment
TW202033863A (zh) * 2018-10-31 2020-09-16 美商艾斯克集團有限責任公司 磨耗總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3019423A2 (pt) 2023-10-24
JP2024513807A (ja) 2024-03-27
AR125695A1 (es) 2023-08-09
WO2022221722A1 (en) 2022-10-20
TW202248503A (zh) 2022-12-16
CO2023013807A2 (es) 2024-04-29
CL2023002854A1 (es) 2024-03-15
PE20240106A1 (es) 2024-01-22
CN117178098A (zh) 2023-12-05
AU2022257090A1 (en) 2023-11-16
CA3214859A1 (en) 2022-10-20
DK202370575A1 (en) 2023-12-08
US20220333358A1 (en) 2022-10-20
EP4323592A1 (en)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2132B1 (en) Wear Assembly
US6993861B2 (en)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USRE43693E1 (en) Coupling arrangement
EP1121495B1 (en) Multipiece excavating tooth assembly
EP2016230B1 (en) Wear assembly
US8468725B2 (en) Mounting pin assembly for an excavator wear member
US6079132A (en) Excavating tooth assembly
US7874086B2 (en) Lock assembly for securing a wear member to earth-working equipment
EP1404925B1 (en)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MXPA05004770A (es) Ensamble adaptador/punta del diente de excavacion con estructura de conector girablemente trabable.
US6725582B2 (en) Assembly for fastening a ground engaging tool to a support structure
US20050055853A1 (en) Mechanically attached tip assembly
AU2002320130A1 (en)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US6574892B2 (en) Retainer pin having an internal secondary retainer pin
DK202370575A1 (en) Wear assembly
US20100050402A1 (en) locking device
CN107532412B (zh) 工具保持系统
EP1852557B1 (en) Wear assembly and lock for an excavating bucket
OA21375A (en) Wear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