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832A - 폴더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832A
KR20230171832A KR1020220080347A KR20220080347A KR20230171832A KR 20230171832 A KR20230171832 A KR 20230171832A KR 1020220080347 A KR1020220080347 A KR 1020220080347A KR 20220080347 A KR20220080347 A KR 20220080347A KR 20230171832 A KR20230171832 A KR 20230171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bracket
rotation axis
housing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김종윤
김형수
박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351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3815A1/ko
Publication of KR2023017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부분,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된 제 1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제 1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외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전자 장치{FOLDABLE ELECTRONIC DEVIC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폴더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 전자 장치가 언폴딩 상태로부터 폴딩 상태로 전환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중 폴더블 전자 장치의 폴딩부에 대응하는 영역은 펼쳐진 상태로부터 휘어진 상태로 변형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중 폴더블 전자 장치의 폴딩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bending stress)를 줄일 수 있는 구조가 폴더블 전자 장치에 요구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중 폴더블 전자 장치의 폴딩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폴더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부분,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된 제 1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제 1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중 힌지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중 힌지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좌굴(buckling)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 외에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로 인하여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문서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에서 폴더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전자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전자 장치에서 폴더블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의 제 1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의 제 3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의 제 2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의 제 4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브라켓의 제 5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브라켓의 제 7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원형 기어, 제 2 원형 기어, 제 3 원형 기어, 및 제 4 원형 기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부의 사시도, 및 힌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라인 D-D'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 및 라인 E-E'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 힌지부의 사시도, 및 힌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 제 1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라인 F-F'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 및 라인 E-E'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중간 상태에서 제 1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라인 H-H'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 및 라인 I-I'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중간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및 라인 J-J'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및 라인 K-K'를 따라 절단한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힌 상태에서 제 1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및 라인 L-L'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전자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어떤 실시예에서, 이 구성 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 회로(single integrated circuitry)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내장되어(embedded)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 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load)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GPU(graphics processing unit)), 신경망 처리 장치(NPU(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image signal processor)),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neural network processing device))는 인공지능 모델을 처리하기 위하여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NN),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드웨어 구조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모델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및/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예: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및/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거나 전자 장치(101)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및/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0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R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5th generation)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SIM)(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4th generation)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즉,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full-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printed circuit board))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PCB),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ultra-low delay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요소(예: 제 1 구성 요소)가 다른 요소(예: 제 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PLAYSTORE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flat or unfolded state, or unfolding state)의 전자 장치(2)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folded state 또는 folding state)의 전자 장치(2)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는 폴더블 하우징(foldable housing)(20), 및 폴더블 하우징(20)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하우징(20)은 제 1 하우징(또는, 제 1 하우징부 또는 제 1 하우징 구조)(21), 제 2 하우징(또는, 제 2 하우징부 또는 제 2 하우징 구조)(22), 힌지 하우징(23), 및/또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은 힌지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호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힌지부는 하나 이상의 힌지 모듈들(hinge modules)(또는 힌지 조립체들(hinge assemblies))(예: 도 4의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또는 제 3 힌지 모듈(5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디스플레이 영역(24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 중 이미지를 표시 가능한 액티브 영역으로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또는, 제 1 액티브 영역 또는 제 1 화면 영역)(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또는, 제 2 액티브 영역 또는 제 2 화면 영역)(②), 및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을 연결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또는, 제 3 액티브 영역 또는 제 3 화면 영역)(③)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은 제 1 하우징(21)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제 2 하우징(22)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힌지부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은 제 1 하우징(21)에 배치되고,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의 형태는 제 1 하우징(21)의 지지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제 2 하우징(22)에 배치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의 형태는 제 2 하우징(22)의 지지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평하게(flat)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약 18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고,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24A)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1)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하우징(22)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 간의 상대적 위치로 인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을 연결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에 의해 양쪽에서 당겨질 수 있고, 그 당기는 힘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평평하게 배치하면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에 의해 당겨져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는 연장된 너비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부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지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예: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 또는 전자 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과 같은 외부 압력)이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에 가해지더라도, 힌지부의 지지로 인해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쳐짐 없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좌표 축은 제 1 하우징(21)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며, 예를 들어, +z 축 방향은 평평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이 제공하는 평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디스플레이 영역(24A)이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infolding)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이 더 이상 가까워지지 않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2)의 완전히 접힌 상태(fully folded state)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2)의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서로 대면하여 위치될 수 있고, 제 3 영역(③)은 벤디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각도(또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 사이의 각도)는 약 0도 ~ 약 10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24A)은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2)의 중간 상태는 펼쳐진 상태 및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상태, 또는 완전히 접힌 상태 대비 덜 접힌 상태일 수 있다.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각도가 어느 각도 이상인 중간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24A)을 사용자가 이용함에 실질적인 어려움이 없는 사용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문서에 기재된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는 덜 접힌 상태의 중간 상태와 대비되는 완전히 접힌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를 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디스플레이 영역(24A)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을 기준으로 대칭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중심 선(A)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를 볼 때,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 사이의 제 1 경계로부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 사이의 제 2 경계로 연장된 너비의 가운데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도 3 참조)에서 벤디드 형태로 배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를 볼 때, 디스플레이 영역(24A)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24A)은 제 1 가장자리(E1), 제 2 가장자리(E2), 제 3 가장자리(E3), 및 제 4 가장자리(E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장자리(E1) 및 제 2 가장자리(E2)는 중심 선(A)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 3 가장자리(E3)는 제 1 가장자리(E1)의 일단부 및 제 2 가장자리(E2)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제 4 가장자리(E4)는 제 1 가장자리(E1)의 타단부 및 제 2 가장자리(E2)의 타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은 제 1 가장자리(E1), 제 3 가장자리(E3)의 일부, 및 제 4 가장자리(E4)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제 2 가장자리(E2), 제 3 가장자리(E3)의 일부, 및 제 4 가장자리(E4)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제 3 가장자리(E3)의 일부 및 제 4 가장자리(E4)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에서, 제 1 가장자리(E1) 및 제 2 가장자리(E2)는 중첩하여 정렬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에서, 제 3 가장자리(E3) 중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에 포함된 일부 및 제 3 가장자리(E3) 중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에 포함된 일부는 중첩하여 정렬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에서, 제 4 가장자리(E4) 중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에 포함된 일부 및 제 4 가장자리(E4) 중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에 포함된 일부는 중첩하여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1)은 제 1 프레임(frame)(또는, 제 1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또는 제 1 프레임워크(framework))(211), 및/또는 제 1 프레임(211)에 배치된 제 1 커버(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은 제 1 사이드(side)(또는, 제 1 측면 부재, 제 1 측면 구조, 또는 제 1 측면 베젤 구조)(예: 도 4의 제 1 사이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 사이드는 전자 장치(2) 중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2)의 제 1 측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은 제 1 사이드로부터 연장되거나 제 1 사이드와 연결된 제 1 지지부(예: 도 4의 제 1 지지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은 제 1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지지부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1 커버(212)는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편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사이드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및 제 1 커버(212)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은 전자 장치(2)의 외면 중 일면을 제공할 수 있고, 제 1 커버(212)는 전자 장치(2)의 외면 중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전기적 구성 요소들(또는 전자 부품들)은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 및 제 1 커버(212) 사이에서 제 1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2)은 제 2 프레임(또는, 제 2 프레임 구조 또는 제 2 프레임워크)(221), 및/또는 제 2 프레임(221)에 배치된 제 2 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221)은 제 2 사이드(또는, 제 2 측면 부재, 제 2 측면 구조, 또는 제 2 측면 베젤 구조)(예: 도 4의 제 2 사이드(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이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 사이드는 전자 장치(2) 중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2)의 제 2 측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도 3 참조)에서,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사이드 및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사이드는 중첩하여 정렬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221)은 제 2 사이드로부터 연장되거나 제 2 사이드와 연결된 제 2 지지부(예: 도 4의 제 2 지지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제 2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지지부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 및 제 2 커버(222)는 제 2 프레임(221)의 제 1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편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사이드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 및 제 2 커버(222)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전자 장치(2)의 외면 중 일면을 제공할 수 있고, 제 2 커버(222)는 전자 장치(2)의 외면 중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전기적 구성 요소들(또는 전자 부품들)은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지지부 및 제 2 커버(212) 사이에서 제 2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하우징(또는 힌지 커버)(23)은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을 연결하는 힌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도 2 참조)로부터 접힌 상태(도 3 참조)로 전환되면, 힌지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간의 상대적 위치의 변화, 및 힌지 하우징(23)과 결합된 힌지부의 상태 변화로 인해,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반대 편에서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틈이 열리게 되고, 힌지 하우징(23)은 열린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23)은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열린 틈을 통해 전자 장치(2)의 내부를 가리는 외관 일부가 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은 중간 상태보다 도 3의 접힌 상태에서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면, 힌지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간의 상대적 위치의 변화, 및 힌지 하우징(23)과 결합된 힌지부의 상태 변화로 인해,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반대 편에서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틈이 닫히게 되고, 힌지 하우징(23)은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의 조합으로 인한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는 제 2 프레임(221) 및 제 2 커버(222) 사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2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에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 1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25)는 '제 2 디스플레이'로 해석될 수 있다. 제 2 커버(222)는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5)는 제 2 커버(222)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는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25)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버(212)는 디스플레이 영역(24A)의 제 1 가장자리(E1)에 대응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ly) 연장된 제 1 곡면 영역(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커버(222)는 디스플레이 영역(24A)의 제 2 가장자리(E2)에 대응하여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제 2 곡면 영역(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곡면 영역(212a) 및 제 2 곡면 영역(222a)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 또는 접힌 상태(도 3 참조)에서 반대 편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제공되어, 미려한 외관에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5)는 제 2 곡면 영역(222a)에 대응하여 제 2 커버(222)의 휘어져 배치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커버(212)는 제 1 곡면 영역(212a) 없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커버(222)는 제 2 곡면 영역(222a) 없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25)는 실질적으로 리지드(rigi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모듈들(예: 도 1의 오디오 모듈(170)),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들(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들(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들, 하나 이상의 입력 모듈들(예: 도 1의 입력 모듈(1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 모듈들(예: 도 1의 인터페이스(177) 또는 연결 단자(1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개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디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의 외관에 제공된 마이크 홀(301)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마이크 홀(301)은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사이드에 제공될 수 있고, 마이크는 제 1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마이크 및 마이크 홀의 위치 또는 개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는데 이용되는 복수의 마이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디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의 외관에 제공된 제 1 스피커 홀(302)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멀티미디어 재생용(또는 녹음 재생용) 제 1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 1 스피커 홀(302)은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사이드에 제공될 수 있고, 제 1 스피커는 제 2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디오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의 외관에 제공된 제 2 스피커 홀(예: 리시버 홀)(303)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통화용 제 2 스피커(예: 통화용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 2 스피커 홀(303)은 제 2 커버(222)에 인접하여 제 2 프레임(221)에 제공될 수 있고, 제 2 스피커는 제 2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스피커 및 스피커 홀의 위치 또는 개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 홀 및 스피커 홀이 하나의 홀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피커 홀이 생략된 피에조 스피커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들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2)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제 2 커버(212)에 대응하여 제 2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광학 센서(30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센서(304)는 디스플레이(25)에 제공된 오프닝과 정렬하여 위치되거나 오프닝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 2 커버(222), 및 디스플레이(25)에 제공된 오프닝을 통해 광학 센서에 도달할 수 있다. 광학 센서(304)는, 예를 들어,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센서의 개수 또는 위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센서(304)는, 제 2 커버(222)의 위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25)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적어도 일부에 중첩하여 제 2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센서(304) 또는 광학 센서(304)의 위치는 시각적으로 구별(또는 노출) 또는 보이지 않으면서, 광학 센서(304)의 센싱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 센서(304)는 디스플레이(25)의 배면에 또는 디스플레이(25)의 아래에(below or beneath)에 위치될 수 있고, 광학 센서(304) 또는 광학 센서(304)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구별(또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광학 센서(304)는 디스플레이(25)의 배면에 제공된 리세스(recess)에 정렬하여 위치되거나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 중 광학 센서(304)와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은 다른 영역 대비 다른 픽셀 구조 및/또는 배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5) 중 광학 센서(304)와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은 다른 영역 대비 다른 픽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25) 중 광학 센서(304)와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에 형성된 픽셀 구조 및/또는 배선 구조는 외부 및 광학 센서(304) 사이에서 광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5) 중 광학 센서(304)와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와 같은 광학 센서(304)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센서가 디스플레이(25)에 제공된 오프닝에 대응하여 위치되거나, 디스플레이(25)의 배면에 또는 디스플레이(25)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방식, 정전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의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가 디스플레이(25)에 제공된 오프닝에 대응하여 위치되거나, 디스플레이(25)의 배면에 또는 디스플레이(25)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센서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에 제공된 오프닝에 대응하여 위치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배면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는 이 밖의 다양한 센서들(예: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들은,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 모듈(305), 제 2 카메라 모듈(306), 제 3 카메라 모듈(307), 및/또는 제 4 카메라 모듈(30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메라 모듈(305)은 제 2 커버(222)에 대응하여 제 2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 모듈(305)은 디스플레이(25)에 제공된 오프닝과 정렬하여 위치되거나 오프닝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 2 커버(222) 및 디스플레이(25)의 오프닝을 통해 제 1 카메라 모듈(305)에 도달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 모듈(305)과 정렬 또는 중첩된 디스플레이(25)의 오프닝은 도시된 예시와 같이 관통 홀(through hol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카메라 모듈(305)과 정렬 또는 중첩된 디스플레이(25)의 오프닝은 노치(notch)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메라 모듈(305)은, 제 2 커버(222)의 위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25)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적어도 일부에 중첩하여 제 2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카메라 모듈(305) 또는 제 1 카메라 모듈(305)의 위치는 시각적으로 구별(또는 노출) 또는 보이지 않으면서, 제 1 카메라 모듈(305)의 촬영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카메라 모듈(305)은 디스플레이(25)의 배면에 또는 디스플레이(25)의 아래에(below or beneath)에 위치될 수 있고, 제 1 카메라 모듈(305) 또는 제 1 카메라 모듈(305)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구별(또는 노출) 또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카메라 모듈(305)은 디스플레이(25)의 배면에 제공된 리세스에 정렬하여 위치되거나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 모듈(305)은, 예를 들어, 감춰진 디스플레이 배면 카메라(예: UDC(under display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 중 제 1 카메라 모듈(305)과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은 다른 영역 대비 다른 픽셀 구조 및/또는 배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5) 중 제 1 카메라 모듈(305)과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은 다른 영역 대비 다른 픽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25) 중 제 1 카메라 모듈(305)과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에 형성된 픽셀 구조 및/또는 배선 구조는 외부 및 광학 센서 사이에서 광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5) 중 제 1 카메라 모듈(305)과 적어도 일부 중첩된 일부 영역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카메라 모듈(306), 제 3 카메라 모듈(307), 또는 제 4 카메라 모듈(308)은 제 1 커버(212)에 대응하여 제 1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212)는 제 2 카메라 모듈(306), 제 3 카메라 모듈(307), 및 제 4 카메라 모듈(308)에 대응하여 배치된 카메라 커버부(예: 카메라 데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커버부는 제 2 카메라 모듈(306)에 대응하여 제공된 카메라 홀(또는 광 투과 영역), 제 3 카메라 모듈(307)에 대응하여 제공된 카메라 홀(또는 광 투과 영역), 및 제 4 카메라 모듈(308)에 대응하여 제공된 카메라 홀(또는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버(213)에 대응하여 제공된 카메라 모듈의 개수 또는 위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 2 카메라 모듈(306), 제 3 카메라 모듈(307), 및 제 3 카메라 모듈(308)은 서로 다른 속성(예: 화각)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 2 카메라 모듈(306), 제 3 카메라 모듈(307), 및 제 3 카메라 모듈(308)은 서로 다른 화각(또는, 서로 다른 화각의 렌즈)을 제공할 수 있고, 전자 장치(2)는 화각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반하여 해당 카메라 모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 2 카메라 모듈(306), 제 3 카메라 모듈(307), 및 제 3 카메라 모듈(308) 중 어느 하나는 광각 카메라 모듈, 망원 카메라 모듈, 컬러 카메라 모듈, 흑백(monochrome) 카메라 모듈, 또는 IR(infrared) 카메라(예: TOF(time of flight) camera, structured light camera)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IR 카메라 모듈은 센서 모듈의 적어도 일부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제 1 커버(212)의 카메라 커버부에 제공된 플래시 홀(flash hole)(또는 또는 광 투과 영역)에 대응하여 제 1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플래시(309)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309)는 제 2 카메라 모듈(306), 제 3 카메라 모듈(307), 및/또는 제 4 카메라 모듈(308)을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309)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발광 모듈(예: LED, IR LED 또는 제논 램프)은 전자 장치(2)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발광 모듈은 제 1 카메라 모듈(3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입력 모듈들은 제 1 키 입력 장치(310), 또는 제 2 키 입력 장치(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 1 키 입력 장치(310) 또는 제 2 키 입력 장치(311)는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사이드에 제공된 오프닝에 위치될 수 있다. 입력 모듈의 위치 또는 개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는 키 입력 장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는 플레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 또는 디스플레이(25)를 통해 소프트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입력 모듈 또는 키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 모듈들(또는, 커넥터 모듈(connector module) 또는 인터페이스 단자 모듈(interface terminal module))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의 외관에 형성된 커넥터 홀(312)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커넥터(또는,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커넥터 홀(312)은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사이드에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단자 모듈의 위치 또는 개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자 장치(2)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USB 커넥터 또는 HDMI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 또는 이어셋 커넥터), 및 오디오 커넥터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외관에 제공된 커넥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전자 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외관에 형성된 커넥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는 탈부탁 가능한 펜 입력 장치(예: 전자 펜, 디지털 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펜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21) 또는 제 2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펜 입력 장치는 힌지 하우징(23)에 탈부착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은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펜 입력 장치는 리세스에 끼워질 수 있다.
전자 장치(2)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전자 장치(2)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전자 장치(2)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 요소에서 특정 구성 요소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2)의 부분 분해 사시도(exploded perspective view)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2)에서 폴더블 하우징(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601), 및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602)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 및 폴더블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하우징(20)은 제 1 프레임(211), 제 2 프레임(221), 제 1 힌지 모듈(또는 제 1 힌지 조립체)(5A), 제 2 힌지 모듈(또는 제 2 힌지 조립체)(5B), 제 3 힌지 모듈(또는 제 3 힌지 조립체)(5C), 힌지 하우징(23), 제 1 플레이트(61), 및/또는 제 2 플레이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프레임(211)은 제 1 지지부(411) 및 제 1 사이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은 제 1 지지부(411) 및 제 1 사이드(412)를 포함하는 일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411)는 제 1 하우징(21)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 구조로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브라켓(bracket)', '제 1 지지체', '제 1 지지 부재, 또는 '제 1 지지 구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221)은 제 2 지지부(421) 및 제 2 사이드(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221)은 제 2 지지부(421) 및 제 2 사이드(422)를 포함하는 일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421)는 제 2 하우징(22)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2)의 내부에 위치된 내부 구조로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브라켓', '제 2 지지체', '제 2 지지 부재, 또는 '제 2 지지 구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 2 프레임(221)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재질(예: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적 구성 요소들(또는 전자 부품들), 또는 전기적 구성 요소들과 관련된 다양한 부재들은 제 1 프레임(211) 또는 제 1 지지부(411)에 배치되거나, 제 1 프레임(211) 또는 제 1 지지부(4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411)는,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으로 향하는 제 1 지지 영역(411A), 및 제 1 지지 영역(411A)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3 지지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은 제 1 지지부(411)의 제 1 지지 영역(411A)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421)는,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으로 향하는 제 2 지지 영역(421A), 및 제 2 지지 영역(421A)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4 지지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제 2 지지부(421)의 제 2 지지 영역(421A)에 배치될 수 있다. 열반응 점착 물질(또는 열반응 접착 물질), 광반응 점착 물질(또는 광반응 접착 물질), 일반 점착제(또는 일반 접착제), 및/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다양한 점착 물질(또는 접착 물질)을 통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은 제 1 지지부(411)에 배치되고,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은 제 2 지지부(42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3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언급하는 '힌지부'는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또는 제 3 힌지 모듈(5C)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는,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는 제 1 커버(212)(도 2 참조)에 대응하여(또는 제 1 커버(212)와 대면하여) 제 1 하우징(21)(도 2 참조)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제 1 내부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 지지체는,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411) 및 제 1 커버(212) 사이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구성 요소를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내부 지지체는 비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내부 지지체에는 안테나 방사체로 이용되는 도전성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은 '제 1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로 지칭될 수 있고, 제 1 내부 지지체는 '제 1 리어 케이스(rear case)'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는 제 2 커버(222)(도 2 참조)에 대응하여(또는 제 2 커버(222)와 대면하여) 제 2 하우징(22)(도 2 참조)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제 2 내부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내부 지지체는,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421) 및 제 1 커버(222) 사이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구성 요소를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제 2 프레임(221)은 '제 2 프론트 케이스'로 지칭될 수 있고, 제 2 내부 지지체는 '제 2 리어 케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단면도(24S)를 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 투명 커버(245), 광학용 투명 점착 부재(또는 광학용 투명 접착 부재)(246), 및/또는 지지 시트(24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는 광학용 투명 점착 부재(246)(예: OCA(optical clear adhesive), OCR(optical clear resin), 또는 SVR(super view resin))를 통해 투명 커버(245)와 결합될 수 있다. 투명 커버(245)(예: 윈도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를 커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투명 커버(245)는 굴곡성을 가지는 박막 형태(예: 박막 층)로 제공될 수 있다. 투명 커버(245)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예: 폴리이미드(PI(polyimimde)) 필름) 또는 박막 글라스(예: 울트라신글라스(UTG(ultra-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투명 커버(245)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커버(245)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박막 글라스에 다양한 코팅 층들이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투명 커버(245)는,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예: PET(polyester), PI(polyimide),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층 또는 코팅 층이 플라스틱 필름 또는 박막 글라스에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투명 커버(245) 및 광학용 투명 점착 부재(246)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의 일부로 정의 또는 해석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투명 커버(246)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이 아닌 폴더블 하우징(20)(도 2 참조)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41), 베이스 필름(242), 하부 패널(243), 및/또는 광학 층(24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41)은 광학 층(244) 및 베이스 필름(24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42)은 디스플레이 패널(241) 및 하부 패널(24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층(244)은 광학용 투명 점착 부재(246) 및 디스플레이 패널(24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41) 및 베이스 필름(242)의 사이, 베이스 필름(242) 및 하부 패널(243)의 사이,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41) 및 광학 층(244)의 사이에는 다양한 폴리머의 점착 물질(또는 점착 부재) 또는 접착 물질(또는 접착 부재)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41)은, 예를 들어, 발광 층(241a), TFT(thin film transistor) 필름(또는, TFT 기판)(241b) 및/또는 봉지 층(encapsulation)(예: TFE(thin-film encapsulation))(241c)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층(241a)은, 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micro LED와 같은 발광 소자로 구현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층(241a)은 유기물 증착(evaporation)을 통해 TFT 필름(241b)에 배치될 수 있다. TFT 필름(241b)은 발광 층(241a) 및 베이스 필름(24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FT 필름(241b)은 적어도 하나의 TFT를 증착(deposition), 패터닝(patterning), 및/또는 식각(etching)과 같은 일련의 공정들을 통해 유연한 기판(예: PI 필름)에 배치한 필름 구조를 가리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TFT는 발광 층(241a)의 발광 소자에 대한 전류를 제어하여 픽셀의 온 또는 오프, 또는 픽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TFT는, 예를 들어, a-Si(amorphous silicon) TFT, LCP(liquid crystalline polymer) TFT, LTPO(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TFT, 또는 LTPS(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FT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41)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 커패시터는 픽셀에 전압 신호를 유지, 픽셀에 들어온 전압을 한 프레임 내 유지, 또는 발광 시간 동안 누설 전류(leakage)에 의한 TFT의 게이트 전압 변화를 줄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TFT를 제어하는 루틴(예: initialization, data write)에 의해, 저장 커패시터는 픽셀에 인가된 전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41)은 OLED를 기초로 구현될 수 있고, 봉지 층(241c)은 발광 층(241a)을 커버할 수 있다. OLED에서 빛을 내는 유기 물질과 전극은 산소 및/또는 수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해 발광 특성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 층(241c)은 산소 및/또는 수분이 OLED로 침투하지 않도록 발광 층(241a)을 밀봉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42)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스터(PET(polyester))와 같은 폴리머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유연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42)은 디스플레이 패널(241)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베이스 필름(242)은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백 필름(back film), 또는 백 플레이트(back plate)로 지칭될 수 있다. 하부 패널(243)은 다양한 기능을 위한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패널(243)에 포함된 복수의 층들 사이에는 다양한 폴리머의 점착 부재(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패널(243)은, 예를 들어, 차광 층(243a), 완충 층(243b), 및/또는 하부 층(243c)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층(243a)은 베이스 필름(242) 및 완충 층(243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완충 층(243b)은 차광 층(243a) 및 하부 층(243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차광 층(243a)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층(243a)은 엠보 층(embossed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 층은 울퉁불퉁한 패턴을 포함하는 블랙 층일 수 있다. 완충 층(243b)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층(243b)은 스폰지 층, 또는 쿠션 층(cush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층(243c)은 전자 장치(2),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산, 분산, 또는 방열할 수 있다. 하부 층(243c)은 전자기파를 흡수 또는 차폐할 수 있다. 하부 층(243c)은 전자 장치(2)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층(243c)은 복합 시트(243d) 또는 구리 시트(243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 시트(243d)는 성질이 서로 다른 층들 또는 시트들을 합쳐 가공한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시트(243d)는 폴리이미드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시트(243d)는 하나의 물질(예: 폴리이미드, 또는 그라파이트)을 포함하는 단일 시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복합 시트(243d)는 완충 층(243b) 및 구리 시트(243e)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리 시트(243e)는 다양한 다른 금속 시트로 대체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하부 층(243c)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부재(예: 금속 플레이트)로서, 전자 장치(2)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예: DDI(display drive integrated circuit))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예를 들어, 구리(Cu(copper)), 알루미늄(Al(aluminum)), SUS(stainless steel)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층(243c)은 이 밖의 다양한 기능을 위한 다양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미도시), 디스플레이 패널(241)의 배면에는 베이스 필름(242) 이외에 추가적인 폴리머 층(예: PI, PET, 또는 TPU를 포함하는 층)이 적어도 하나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하부 패널(243)에 포함된 복수의 층들(예: 차광 층(243a), 완충 층(243b), 복합 시트(243d), 및 구리 시트(243e))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하부 패널(243)에 포함된 복수의 층들의 배치 순서는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광학 층(244)은, 예를 들어, 편광 층(polarizing layer, or polarizer), 또는 위상 지연 층(retardation layer, or retarder)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층 및 위상 지연 층은 화면의 야외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광학 층(244)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41)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편광 층 및 위상 지연 층이 합쳐진 하나의 층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층은 '원편광 층'으로 해석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점착 부재(246)는 투명 커버(245) 및 광학 층(24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편광 층(또는, 원편광 층)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편광 층을 대체하여 black PDL(pixel define layer) 및/또는 컬러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장치(2)는 터치 감지 회로(예: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회로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을 기초로 하는 투명한 전도성 층(또는,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 회로는 투명 커버(245) 및 광학 층(2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 add-on type).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 회로는 광학 층(244) 및 디스플레이 패널(2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 on-cell type).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41)은 터치 감지 회로 또는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 in-cell type). 어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41)은 OLED를 기초로 할 수 있고, 발광 층(241a) 및 광학 층(244) 사이에 배치되는 봉지 층(241c)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층(241c)은 발광 층(241a)의 복수의 픽셀들의 보호하기 위한 픽셀 보호 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미도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는 봉지 층(241c) 및 광학 층(244) 사이에서 봉지 층(241c)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 회로로서 메탈 메시(metal mesh)(예: 알루미늄 메탈 메시)와 같은 도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의 휘어짐에 대응하여, 메탈 메시는 ITO로 구현된 투명한 전도성 층보다 큰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는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41), 또는 하부 패널(243)에 포함된 복수의 층들, 그 적층 구조 또는 적층 순서는 다양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는, 그 제공 형태, 또는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구성 요소들 중 일부를 생략하여,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또는, 지지 플레이트 또는 지지 층)(24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의 배면은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41)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면과는 반대 편에 위치된 면일 수 있다. 지지 시트(24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의 하부 패널(243)의 적어도 일부 커버하여 하부 패널(243)의 배면에 배치(예: 부착)될 수 있다. 지지 시트(247)는 점착 물질 또는 접착 물질을 통해 하부 패널(243)과 결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 및 지지 시트(247) 사이의 점착 물질(또는 접착 물질)은, 예를 들어, 열반응 점착 물질(또는 열반응 접착 물질), 광반응 점착 물질(또는 광반응 접착 물질), 일반 점착제(또는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점착 물질(또는 접착 물질)은 트리아진 티올, 디티오 피리미틴, 또는 실란계 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폴리머, 또는 실란트와 같은 유기 점착 물질(또는 유기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시트(24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내구성(예: 강성 보강)에 기여할 수 있다. 지지 시트(247)는 폴더블 하우징(20)(도 2 참조)의 폴딩 시 발생할 수 있는 하중 또는 스트레스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지지 시트(247)는 폴더블 하우징(20)의 폴딩 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이 파손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247)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시트(247)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시트(247)는 이 밖의 다양한 다른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247)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24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과 적어도 일부 중첩된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예를 들어, 지지 시트(247)에 제공된 복수의 오프닝들(또는 슬릿들(slits))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복수의 오프닝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패턴 구조를 가리킬 수 있다. 복수의 오프닝들은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격자 구조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굴곡성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오프닝들을 포함하는 격자 구조는 '오프닝 패턴', '홀 패턴', 또는 '격자 패턴'과 같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247)는, 격자 구조를 대체하여,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하는 리세스 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 패턴은, 예를 들어, 지지 시트(247)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의 하부 패널(243)과 대면하는 제 1 면, 또는 지지 시트(247) 중 제 1 면과는 반대 편에 위치된 제 2 면에 제공된 파인 형태의 복수의 리세스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패턴 구조를 가리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 또는 리세스 패턴은 지지 시트(247)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1 영역(①) 및/또는 제 2 영역(②)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 또는 리세스 패턴을 포함하는 지지 시트(247), 또는 이에 상응하는 도전성 부재는 복수의 층들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24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40)에 관한 전자기 간섭(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줄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시트(247)는 열 방출 부품(예: DDI(display drive integrated circuit) 또는 DDI 칩과 같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확산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247)는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시트(247)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과는 별개의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은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은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을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제 3 힌지 모듈(5C)은 제 1 힌지 모듈(5A) 및 제 2 힌지 모듈(5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힌지 모듈(5C)은 제 1 힌지 모듈(5A) 및 제 2 힌지 모듈(5B) 사이의 중심(예: 제 1 힌지 모듈(5A) 및 제 2 힌지 모듈(5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있는 중심 선(A) 상의 지점)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힌지 모듈의 개수 또는 위치는 도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은,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51A), 제 2 브라켓(52A), 및/또는 브라켓 연결부(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브라켓(51A)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 영역(411A)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1 브라켓(51A)은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지지 영역(411A)은 제 1 브라켓(51A)의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하나 이상의 스크류 체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체결부는 스크류의 수 나사(male thread)에 대응하는 암 나사(female thread)를 포함하는 보스(boss)일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1 브라켓(51A) 및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 영역(411A)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워 맞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52A)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지지 영역(421A)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2 브라켓(52A)은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지지 영역(421A)은 제 2 브라켓(52A)의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하나 이상의 스크류 체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2 브라켓(52A) 및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지지 영역(421A)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워 맞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는 제 1 브라켓(51A) 및 제 2 브라켓(52A)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브라켓(51A) 및 제 2 브라켓(52A)은 브라켓 연결부(53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연결부(53A)는 제 1 브라켓(51A)이 고정된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브라켓(52A)이 고정된 제 2 프레임(22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는 제 1 브라켓(51A)이 고정된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브라켓(52A)이 고정된 제 2 프레임(221)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로 회전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는, 예를 들어, 프리스탑(free-stop)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는 제 1 브라켓(51A)이 고정된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브라켓(52A)이 고정된 제 2 프레임(221)이 상호 회전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힌지 모듈(5B)은 제 1 힌지 모듈(5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51B), 제 2 브라켓(52B), 및/또는 브라켓 연결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힌지 모듈(5B)은 제 1 힌지 모듈(5A)과는 반대의 배치 방향으로 전자 장치(2)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힌지 모듈(5B)의 제 1 브라켓(51B)은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지지 영역(421A)에 배치 또는 결합되고, 제 2 힌지 모듈(5B)의 제 2 브라켓(52B)은 제 1 프레임(221)의 제 1 지지 영역(411A)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 3 힌지 모듈(5C)은 제 1 힌지 모듈(5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51C), 제 2 브라켓(52C), 및/또는 브라켓 연결부(53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힌지 모듈(5C)은 제 2 힌지 모듈(5B)과 동일한 배치 방향으로 전자 장치(2)에 제공될 수 있다. 제 3 힌지 모듈(5C)의 제 1 브라켓(51C)은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지지 영역(421A)에 배치 또는 결합되고, 제 3 힌지 모듈(5C)의 제 2 브라켓(52C)은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 영역(411A)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 3 힌지 모듈(5C)은 제 1 힌지 모듈(5A)과 동일한 배치 방향으로 전자 장치(2)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은 스크류를 통해 힌지 하우징(23)과 결합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은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을 통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과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1 힌지 모듈(5A)의 브라켓 연결부(53A)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하우징(23)은 브라켓 연결부(53A)의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하나 이상의 스크류 체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2 힌지 모듈(5B)의 브라켓 연결부(53B)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하우징(23)은 브라켓 연결부(53B)의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하나 이상의 스크류 체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3 힌지 모듈(5C)의 브라켓 연결부(53C)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하우징(23)은 브라켓 연결부(53C)의 하나 이상의 스크류 홀들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하나 이상의 스크류 체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61)는 제 1 프레임(211)에 대응하여 위치되고, 제 2 플레이트(62)는 제 2 프레임(221)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2 플레이트(62)는 중심 선(A)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의 제 1 너비가 상기 방향과는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제 2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큰 형태일 수 있고,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과 중첩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2 플레이트(62)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61)는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1 브라켓(51A)에 대응하여 제 1 힌지 모듈(5A)의 브라켓 연결부(53A)와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1 플레이트(61)는 제 1 스크류 홀(SH11)을 포함할 수 있고, 브라켓 연결부(53A)는 제 1 스크류 홀(SH11)에 대응하여 정렬된 제 1 스크류 체결부(B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61) 중 제 1 힌지 모듈(5A)의 브라켓 연결부(53A)에 대응하는 부분, 및 브라켓 연결부(53A)는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끼워 맞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는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2 브라켓(52A)에 대응하여 제 1 힌지 모듈(5A)의 브라켓 연결부(53A)와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2 플레이트(62)는 제 2 스크류 홀(SH12)을 포함할 수 있고, 브라켓 연결부(53A)는 제 2 스크류 홀(SH12)에 대응하여 정렬된 제 2 스크류 체결부(B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 중 제 1 힌지 모듈(5A)의 브라켓 연결부(53A)에 대응하는 부분, 및 브라켓 연결부(53A)는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끼워 맞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61)는,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1 힌지 모듈(5A) 간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 2 힌지 모듈(5B)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는,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1 힌지 모듈(5A) 간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 2 힌지 모듈(5B)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61)는 제 2 힌지 모듈(5B)의 제 2 브라켓(52B)에 대응하여 제 2 힌지 모듈(5B)의 브라켓 연결부(53B)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는 제 2 힌지 모듈(5B)의 제 1 브라켓(51B)에 대응하여 제 2 힌지 모듈(5B)의 브라켓 연결부(53B)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61)는,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1 힌지 모듈(5A) 간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 3 힌지 모듈(5C)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는,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1 힌지 모듈(5A) 간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 3 힌지 모듈(5C)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61)는 제 3 힌지 모듈(5C)의 제 2 브라켓(52C)에 대응하여 제 3 힌지 모듈(5C)의 브라켓 연결부(53C)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는 제 3 힌지 모듈(5C)의 제 1 브라켓(51C)에 대응하여 제 3 힌지 모듈(5C)의 브라켓 연결부(53C)와 결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 3 힌지 모듈(5C)이 제 1 힌지 모듈(5B)과 동일한 배치 방향으로 전자 장치(2)에 제공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61)는 제 3 힌지 모듈(5C)의 제 1 브라켓(51C)에 대응하여 제 1 힌지 모듈(5A)의 브라켓 연결부(53C)와 결합될 수 있고, 제 2 플레이트(62)는 제 3 힌지 모듈(5C)의 제 2 브라켓(52C)에 대응하여 제 3 힌지 모듈(5C)의 브라켓 연결부(53C)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61)는 제 1 면(61A) 및 제 1 면(61A)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3 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는 제 2 면(62A) 및 제 2 면(62A)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4 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61A) 및 제 2 면(62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에서,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B)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을 기준으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일측 영역을 지지할 수 있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을 기준으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타측 영역을 지지할 수 있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은 실질적으로 약 18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고, 실질적인 높이 차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예: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 또는 전자 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과 같은 외부 압력)이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에 가해지더라도,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지지로 인해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쳐짐 없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도 2 참조)로부터 접힌 상태(도 3 참조)로 전환될 때, 힌지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벤딩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될 때, 힌지부는 좌굴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파손 또는 영구 변형을 줄일 수 있는 물방울 형태 또는 덤벨(dumbel)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에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은, 중립 면(neutral plane)(613)(도 6 참조)을 기준으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일측 영역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의 일측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 간의 충돌(예: 벤딩 스트레스)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 제 1 프레임(211), 제 2 프레임(221), 제 1 힌지 모듈(5A), 제 1 플레이트(61), 및/또는 제 2 플레이트(62)를 포하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브라켓(51A), 제 2 브라켓(52A), 제 1 부분(810), 제 2 부분(820), 제 3 부분(830), 제 4 부분(84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도 4 참조)는 제 1 부분(810), 제 2 부분(820), 제 3 부분(830), 및/또는 제 4 부분(8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브라켓(51A) 및 브라켓 연결부(53A)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1 회전 축(axis of rotation)(C1) 및 제 2 회전 축(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1 부분(810)은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제 1 브라켓(51A)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ㅅ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1 부분(810)은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브라켓(51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2 부분(820)은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제 1 브라켓(51A)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2 부분(820)은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제 1 직선 방향(LD1)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브라켓(51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직선 방향(LD1)은 제 1 회전 축(C1) 또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과 수직할 수 있고, 제 2 직선 방향(LD2)은 제 2 회전 축(C2) 또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과 수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의 방향으로 볼 때(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2 직선 방향(LD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이 평평하게 연장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제 1 직선 방향(LD1)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2 브라켓(52A) 및 브라켓 연결부(53A)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4 참조)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3 부분(830)은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제 2 브라켓(52A)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3 부분(830)은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제 3 직선 방향(LD3)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 2 브라켓(52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4 부분(840)은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제 2 브라켓(52A)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4 부분(840)은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제 3 직선 방향(LD3)과는 다른 제 4 직선 방향(LD4)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브라켓(52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3 직선 방향(LD3)은 제 3 회전 축(C3) 또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과 수직할 수 있고, 제 4 직선 방향(LD4)은 제 4 회전 축(C4) 또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과 수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의 방향으로 볼 때(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4 직선 방향(LD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이 평평하게 연장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제 3 직선 방향(LD3)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상호 슬라이딩(예: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inear moition guide)(LMG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는,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51A)에 제공된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linear motion guide rail), 및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 제 1 부분(810)의 일부(예: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은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로 인해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안정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슬라이딩(예: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LMG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LMG2)는,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51A)에 제공된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 및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 제 2 부분(820)의 일부(예: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은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LMG2)로 인해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안정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이 제 3 직선 방향(LD3)으로 상호 슬라이딩(예: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LMG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은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LMG3)로 인해 제 3 직선 방향(LD3)으로 안정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3 부분(830), 및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 및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LMG3)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4 부분(840) 및 제 2 브라켓(52A)이 제 4 직선 방향(LD4)으로 상호 슬라이딩(예: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LMG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부분(840) 및 제 2 브라켓(52A)은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LMG4)로 인해 제 4 직선 방향(LD4)으로 안정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 및 제 4 부분(840), 및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LMG2) 및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LMG4)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을 기준으로 실질저긍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61)는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1 부분(810)에 배치 또는 결합되고, 제 2 플레이트(62)는 브라켓 연결부(53A)의 제 3 부분(830)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면 부호 '601' 참조) 및 접힌 상태(도면 부호 '602' 참조) 사이의 전환 시,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하는 제 1 부분(810)의 회전 운동,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를 통한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제 1 직선 운동(또는 제 1 상호 슬라이딩),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하는 제 2 부분(820)의 회전 운동, 및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LMG2)를 통한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제 2 직선 운동(또는 제 2 상호 슬라이딩)이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하는 제 3 부분(830)의 회전 운동,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LMG3)를 통한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 간의 상호 제 3 직선 운동(또는 제 3 상호 슬라이딩),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하는 제 4 부분(840)의 회전 운동, 및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LMG4)를 통한 제 4 부분(840) 및 제 2 브라켓(52A) 간의 상호 제 4 직선 운동(또는 제 4 상호 슬라이딩)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도면 부호 '601' 참조)로부터 접힌 상태(도면 부호 '602' 참조)로 전환되면,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제 1 브라켓(51A)이 고정된 제 1 프레임(211)으로부터 더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플레이트(61)가 고정된 제 1 부분(8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후퇴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제 2 브라켓(52A)이 고정된 제 2 프레임(221)으로부터 더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2 플레이트(62)가 고정된 제 3 부분(8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후퇴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은 서로 대면하고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브라켓(51A)에 대한 제 1 부분(810)의 후퇴 및 제 2 브라켓(52A)에 대한 제 3 부분(830)의 후퇴로 인해, 제 1 부분(810)과 결합된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3 부분(830)과 결합된 제 2 플레이트(6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브라켓(51A)에 대한 제 1 부분(810)의 후퇴 및 제 2 브라켓(52A)에 대한 제 3 부분(830)의 후퇴로 인해,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 사이의 제 1 방향(611)으로의 공간 폭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좌굴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이 배치된 제 1 프레임(211)으로부터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이 멀어지는 것,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이 배치된 제 2 프레임(221)으로부터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이 멀어지는 것은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브라켓 연결부(53A)가 제 1 방향(611)과 수직하는 제 2 방향(612)으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브라켓 연결부(53A)가 제 2 방향(612)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으로 인해, 제 2 방향(612)으로의 공간 폭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좌굴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브라켓 연결부(53A)가 제 2 방향(612)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으로 인해, 브라켓 연결부(53A)에 결합된 힌지 하우징(23)은 제 1 하우징(21)과의 틈 및 제 2 하우징(22)과의 틈을 줄이면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열린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접힌 상태(도면 부호 '602' 참조)로부터 펼쳐진 상태(도면 부호 '601' 참조)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 간의 상대적 위치 변화, 및 이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제 1 힌지 모듈(5A), 제 2 힌지 모듈(5B), 및 제 3 힌지 모듈(5C)로 인해,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지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 및 제 2 힌지 모듈(5B) 사이의 제 3 힌지 모듈(5C)이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2 플레이트(62)와 결합되는 구조는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2 플레이트(62)가 들뜨는 현상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3 힌지 모듈(5C)을 대체하여 가이드 레일 조립체(guide rail assembly)(6D)(도 7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전자 장치(2)에서 폴더블 하우징(20)을 나타내는 단면도들(701, 702)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폴더블 하우징(20)은 제 1 지지부(411), 제 2 지지부(421),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가이드 레일 조립체(5D),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 및/또는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는 제 1 하우징(21)(도 2 참조)의 일부일 수 있고,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는 제 2 하우징(22)(도 2 참조)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 조립체(5D)는 힌지 하우징(23)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은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도 3 참조)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과 반대 편의 타면에 제공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 조립체(5D)는 힌지 하우징(23)의 리세스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 조립체(5D)는 가이드 레일(51D), 제 1 슬라이더(52D), 및/또는 제 2 슬라이더(5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52D) 및 제 2 슬라이더(53D)는 가이드 레일(51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1D)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힌지 하우징(23)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52D)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플레이트(61)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53D)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2 플레이트(62)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1D)은 제 1 가이드 레일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은 제 1 슬라이더(52D)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61)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제 2 가이드 레일은 제 2 슬라이더(53D)가 결합된 제 2 플레이트(62)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제 1 슬라이더(52D)는 가이드 레일(51D)의 제 1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제 1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 가능한 제 1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슬라이더(53D)는 가이드 레일 구조(51D)의 제 2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제 2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 가능한 제 2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조립체(5D)는 제 1 플레이트(61) 및 제 2 플레이트(62)가 들뜨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는 제 1 지지부(411)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지지부(411)는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에 해당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는 생략될 수 있다.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는 제 2 지지부(421)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지지부(421)는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에 해당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는 생략될 수 있다. 힌지 하우징(23) 중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도 3 참조)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 및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는 상기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곡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는 '제 1 곡면 커버'와 같은 다양한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고,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는 '제 2 곡면 커버'와 같은 다양한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에서,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 및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는 힌지 하우징(23)의 양쪽을 각각 커버할 수 있고, 힌지 하우징(23)은 실질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23)은 제 1 힌지 하우징 커버(711) 및 제 2 힌지 하우징 커버(712)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1 부분(810)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3 부분(830)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2 부분(820)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의 제 4 부분(840)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브라켓(51A)의 제 5 부분(1010)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브라켓(52A)의 제 7 부분(1110)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원형 기어(931), 제 2 원형 기어(941),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를 나타내는 단면도(1600)이다.
도 8, 9, 10, 11, 12, 13, 14, 15, 및 16을 참조하면,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부분(810), 제 2 부분(820), 제 3 부분(830), 제 4 부분(840), 액추에이터(actuator)(900), 제 1 브라켓(51A), 및/또는 제 2 브라켓(5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브라켓 연결부(53A)는 제 1 부분(810), 제 2 부분(820), 제 3 부분(830), 제 4 부분(840), 및 액추에이터(900)를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810)은 액추에이터(900)에 대하여 제 1 회전 축(axis of rotation)(C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회전 축(C1)은 제 1 부분(810)의 회전이 일어나는 중심 축(예: 회전의 중심이 되는 직선)으로서 제 1 부분(810) 및 액추에이터(9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액추에이터(900)에 대하여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회전 축(C2)은 제 2 부분(820)의 회전이 일어나는 중심 축으로서 제 2 부분(810) 및 액추에이터(9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2 부분(820)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부분(830)은 액추에이터(900)에 대하여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3 회전 축(C3)은 제 3 부분(830)의 회전이 일어나는 중심 축(예: 회전의 중심이 되는 직선)으로서 제 3 부분(830) 및 액추에이터(9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은 액추에이터(900)에 대하여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4 회전 축(C4)은 제 4 부분(840)의 회전이 일어나는 중심 축으로서 제 4 부분(840) 및 액추에이터(9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3 부분(830) 및 제 4 부분(840)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3 부분(830)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 및 제 4 부분(840)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축(C1) 및 제 3 부분(830)의 제 3 회전 축(C3)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의 제 2 회전 축(C2) 및 제 4 부분(840)의 제 4 회전 축(C4)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브라켓(51A)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브라켓(51A)을 통해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51A)은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2)의 상태 변화(예: 도 2의 펼쳐진 상태 및 도 3의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은 제 1 브라켓(51A)과 함께 운동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2 부분(820)은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 1 브라켓(51A)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브라켓(52A)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지지부(421)(도 4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2 브라켓(52A)을 통해 제 2 지지부(421)(도 4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52A)은 제 2 지지부(421)(도 4 참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2)의 상태 변화(예: 도 2의 펼쳐진 상태 및 도 3의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은 제 2 브라켓(52A)과 함께 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브라켓(51A) 및 제 2 브라켓(52A)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부분(830) 및 제 4 부분(840)은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 2 브라켓(52A)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900)는 제 1 회전 지지체(또는 제 1 회전 지지 조립체)(901) 및 제 2 회전 지지체(또는 제 2 회전 지지 조립체)(9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 지지체(901)는 제 1 부분(810) 및 제 3 부분(8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제 1 부분(810)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rotational motion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를 통해, 제 1 부분(810)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부드럽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제 3 부분(830)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를 통해, 제 3 부분(830)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부드럽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제 1 부분(810)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포함된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rotational motion guide rail), 및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제 1 부분(810)에 포함된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rotational motion slider)(8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는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가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 1 부분(810)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제 3 부분(830)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포함된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 및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제 3 부분(830)에 포함된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는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가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 3 부분(810)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 지지체(901)는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회전 지지 브라켓(910)과 결합된 브라켓 커버(9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은 힌지 하우징(23)(도 4 참조)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에 적어도 일부 위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힌지 하우징(23)과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회전 지지 브라켓(910)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에 대응하는 중심부에 제공된 스크류 홀(918)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하우징(23)(도 4 참조)은 스크류 홀(918)에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지지체(901), 회전 지지 브라켓(910), 또는 브라켓 커버(920)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는 스냅 핏 체결(snap-fit fastening)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스냅 핏 체결을 위하여, 회전 지지 브라켓(910)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편에 위치된 제 1 후크(913) 및 제 2 후크(914)를 포함할 수 있고, 브라켓 커버(920)는 제 1 후크(913)에 대응하는 제 1 후크 체결부(예: 제 1 걸림부)(923) 및 제 2 후크(914)에 대응하는 제 1 후크 체결부(예: 제 2 걸림부)(9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브라켓 커버(920)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에 대응하는 중심부에 중심 선(A)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위치된 스크류 홀들(925, 926)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 지지 브라켓(910)은 스크류 홀들(925, 926)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들(915, 91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체결부들(915, 916) 및 스크류 체결부들(915, 916)은 제 1 힌지 모듈(5A)의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에 대응하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의 중심부에 제공될 수 있고, 중심 선(A)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은 힌지 하우징(23)(도 4 참조)과 대면하는 일면과는 반대 편의 타면에 제공된 제 1 레일면(911) 및 제 2 레일면(9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는 제 1 레일면(911)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1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 1 공간은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이 될 수 있다.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 및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은 제 1 부분(81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상호 안정적인 회전 운동을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곡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부분(830)의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는 제 2 레일면(912)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2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 2 공간은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이 될 수 있다.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 및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은 제 3 부분(83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상호 안정적인 회전 운동을 위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곡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 및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 및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 및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축(C1)은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 및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미끄럼 대우(sliding pair)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은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고,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에 따라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인입된(또는 중첩된)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제 3 부분(830)의 제 3 회전 축(C3)은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 및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미끄럼 대우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부분(830)은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고,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에 따라 제 3 부분(830)의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인입된(또는 중첩된)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지지 브라켓(910), 브라켓 커버(920), 및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의 조합은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가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의 지정된 경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제 1 회전 지지체(90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브라켓 커버(920), 및 제 3 부분(830)의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의 조합은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가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의 지정된 경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제 1 회전 지지체(90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는 제 1 후크(913)에 대응하여 제공된 오프닝(8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후크(913)는 오프닝(811)에 삽입될 수 있다. 오프닝(811)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한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상호 회전 운동 시, 제 1 후크(913) 및 오프닝(811) 간의 상대적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오프닝(811)은, 제 1 부분(81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상호 회전 운동 시, 제 1 후크(913) 및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 3 부분(830)의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는 제 2 후크(914)에 대응하여 제공된 오프닝(8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후크(914)는 오프닝(831)에 삽입될 수 있다. 오프닝(831)은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한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3 부분(83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상호 회전 운동 시, 제 2 후크(914) 및 오프닝(831) 간의 상대적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오프닝(831)은, 제 3 부분(83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상호 회전 운동 시, 제 2 후크(914) 및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후크(913) 및 오프닝(811)의 일측 내면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가 제 1 회전 지지체(901)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는 제한되고, 제 1 부분(81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제 2 후크(914) 및 오프닝(831)의 일측 내면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제 3 부분(830)의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가 제 1 회전 지지체(901)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는 제한되고, 제 3 부분(830) 및 제 1 회전 지지체(901) 간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제 1 부분(810)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1 회전 운동 가이드를 대체하여, 제 1 부분(810)은 샤프트 또는 핀을 통해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제 3 부분(830)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위한 제 2 회전 운동 가이드를 대체하여, 제 3 부분(830)은 샤프트 또는 핀을 통해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회전 지지체(902)는 제 2 부분(820) 및 제 4 부분(8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제 1 샤프트 연결부(또는, 제 1 샤프트 연결 암 또는 제 1 샤프트 암)(821)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또는, 제 2 샤프트 연결 암 또는 제 2 샤프트 암)(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 연결부(821)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822)는 제 2 회전 축(C2)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 연결부(821)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822)는 제 2 회전 지지체(9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은 제 3 사프트 연결부(또는, 제 3 샤프트 연결 암 또는 제 3 샤프트 암)(841)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또는, 제 4 샤프트 연결 암 또는 제 4 샤프트 암)(8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샤프트 연결부(841)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842)는 제 4 회전 축(C4)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3 샤프트 연결부(841)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842)는 제 2 회전 지지체(902)와 연결될 수 있고,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회전 지지체(902)는 제 1 샤프트(shaft)(930), 제 2 샤프트(940), 제 3 샤프트(950), 제 4 샤프트(960), 기어 브라켓(gear bracket)(970), 캠(cam)(또는 캠 기어(cam gear))(980), 및/또는 복수의 스프링들(99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샤프트(930)는 제 2 부분(820)의 제 1 샤프트 연결부(821)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8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930)는 제 1 샤프트 연결부(821)에 제공된 샤프트 홀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822)에 제공된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의 제 2 회전 축(C2)은 제 1 샤프트(930)의 중심 축일 수 있다. 제 1 샤프트 연결부(821)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822)는 제 1 샤프트(930)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 부분(820)은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제 1 샤프트(9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샤프트(940)는 제 4 부분(840)의 제 3 샤프트 연결부(841)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8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940)는 제 3 샤프트 연결부(841)에 제공된 샤프트 홀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842)에 제공된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의 제 4 회전 축(C4)은 제 2 샤프트(940)의 중심 축일 수 있다. 제 3 샤프트 연결부(841)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842)는 제 2 샤프트(940)에 고정될 수 있고, 제 4 부분(840)은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제 2 샤프트(94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샤프트(930) 및 제 2 샤프트(940)는 기어 브라켓(97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어 브라켓(970)은 제 1 샤프트(930) 및 제 2 샤프트(94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기어 브라켓(970)은 힌지 하우징(23)(도 4 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기어 브라켓(970)은, 예를 들어, 제 1 샤프트 지지부(971), 제 2 샤프트 지지부(972), 및/또는 연결부(9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 지지부(971) 및 제 2 샤프트 지지부(972)는 제 2 회전 축(C2) 및 제 4 회전 축(C4)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고, 연결부(973)는 기어 브라켓(970) 중 제 1 샤프트 지지부(971) 및 제 2 샤프트 지지부(972)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 1 샤프트(930)는 제 1 샤프트 지지부(971)에 제공된 제 1 샤프트 홀(971a) 및 제 2 샤프트 지지부(972)에 제공된 제 3 샤프트 홀(972a)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940)는 제 1 샤프트 지지부(971)에 제공된 제 2 샤프트 홀(971b) 및 제 2 샤프트 지지부(972)에 제공된 제 4 샤프트 홀(972b)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973)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힌지 하우징(23)과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연결부(973)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에 대응하는 중심부에 중심 선(A)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위치된 스크류 홀들(973a, 973b)을 포함할 수 있고, 힌지 하우징(23)은 스크류 홀들(973a, 973b)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들(예: 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브라켓(970)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샤프트(930)는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기어 브라켓(970)의 제 1 샤프트 지지부(971) 사이에 위치된 제 1 원형 기어(9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샤프트(940)는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기어 브라켓(971)의 제 1 샤프트 지지부(971) 사이에 위치된 제 2 원형 기어(9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930) 및 제 2 샤프트(94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제 1 회전 지지체(901)의 회전 지지 브라켓(910)은 제 1 안착부(또는 제 1 샤프트 안착부)(917a) 및 제 2 안착부(또는 제 2 샤프트 안착부)(9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착부(917a) 및 제 2 안착부(917b)는 리세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샤프트(930)의 일단부는 제 1 안착부(917a)에 위치(또는 삽입)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940)의 일단부는 제 2 안착부(917b)에 위치(또는 삽입)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1 안착부(917a)에 위치된 제 1 샤프트(930)의 일단부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1 안착부(917a), 기어 브라켓(970)의 제 1 샤프트 홀(971a), 및 기어 브라켓(970)의 제 3 샤프트 홀(972a)은 제 1 샤프트(930)가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1 샤프트(930)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2 안착부(917b)에 위치된 제 2 샤프트(940)의 일단부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2 안착부(917b), 기어 브라켓(970)의 제 2 샤프트 홀(971b), 및 기어 브라켓(970)의 제 4 샤프트 홀(972b)은 제 2 샤프트(940)가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2 샤프트(94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샤프트(950)의 일단부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의 회전 지지 브라켓(910)에 제공된 제 3 안착부(또는 제 3 샤프트 안착부)(917c)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3 샤프트(950)의 타단부는 기어 브라켓(970)의 제 1 샤프트 지지부(971)에 제공된 제 5 샤프트 홀(971c)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3 안착부(917c)에 위치된 제 3 샤프트(950)의 일단부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3 안착부(917c), 및 기어 브라켓(970)의 제 5 샤프트 홀(971c)은 제 3 샤프트(950)가 제 5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3 샤프트(95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4 샤프트(960)의 일단부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의 회전 지지 브라켓(910)에 제공된 제 4 안착부(또는 제 4 샤프트 안착부)(917d)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4 샤프트(960)의 타단부는 기어 브라켓(970)의 제 1 샤프트 지지부(971)에 제공된 제 6 샤프트 홀(971d)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4 안착부(917d)에 위치된 제 4 샤프트(960)의 일단부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브라켓(910) 및 브라켓 커버(920) 사이의 제 4 안착부(917d), 및 기어 브라켓(970)의 제 6 샤프트 홀(971d)은 제 4 샤프트(960)가 제 6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4 샤프트(96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3 샤프트(950)의 제 5 회전 축 및 제 4 샤프트(960)의 제 6 회전 축은 제 1 샤프트(930)의 제 2 회전 축(C2) 및 제 2 샤프트(940)의 제 4 회전 축(C4)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샤프트(950)는 제 3 원형 기어(9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원형 기어(951)는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기어 브라켓(970)의 제 1 샤프트 지지부(97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4 샤프트(960)는 제 4 원형 기어(9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원형 기어(961)는 제 1 회전 지지체(901) 및 기어 브라켓(970)의 제 1 샤프트 지지부(97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3 샤프트(950) 및 제 4 샤프트(96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원형 기어(951)는 제 1 샤프트(930)의 제 1 원형 기어(931)와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제 4 원형 기어(961)는 제 2 샤프트(940)의 제 2 원형 기어(941)와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서로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제 1 원형 기어(931), 제 2 원형 기어(941),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예를 들어, 평 기어(spur gear)일 수 있다. 제 2 부분(820)이 제 1 샤프트(930)의 회전 축(예: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 1 샤프트(930)의 제 1 원형 기어(931)는 제 2 부분(8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이 제 2 샤프트(940)의 회전 축(예: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 2 샤프트(940)의 제 2 원형 기어(941)는 제 4 부분(84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1 원형 기어(931)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원형 기어(941)가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 사이의 힘(예: 회전 력)의 전달 및 힘의 균형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원형 기어(931)의 제 2 회전 축(C2) 및 제 2 원형 기어(941)의 제 4 회전 축(C4)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는, 예를 들어, 동일한 잇수를 가질 수 있다. 제 3 원형 기어(951)의 제 5 회전 축(C5) 및 제 4 원형 기어(961)의 제 6 회전 축(C6)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예를 들어, 동일한 잇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제 1 원형 기어(931), 제 2 원형 기어(941),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예를 들어, 동일한 잇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와는 다른 크기의 기어일 수 있다.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예를 들어, 제 1 원형 기어(9311) 및 제 2 원형 기어(941)보다 작은 기어로서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보다 적은 잇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보다 큰 기어로서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보다 많은 잇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원형 기어(931)의 제 2 회전 축(C2) 및 제 2 원형 기어(941)의 제 4 회전 축(C4)을 지나는 가상의 제 1 직선(1601)은 제 3 원형 기어(951)의 제 5 회전 축(C5) 및 제 4 원형 기어(941)의 제 6 회전 축(C6)을 지나는 가상의 제 2 직선(1602)과 이격하여 위치하고, 가상의 제 2 직선(1602)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 2 직선(1602)은 제 1 직선(1601)보다 힌지 하우징(23)(도 4 참조)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1 직선(1601) 및 제 2 직선(1602)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도록, 제 1 원형 기어(931), 제 2 원형 기어(941),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가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원형 기어(931), 제 2 원형 기어(941), 제 3 원형 기어(951), 및 제 4 원형 기어(961)는 제 1 회전 지지체(901)의 브라켓 커버(920)에 의해 가려져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커버(920)는 제 1 원형 기어(931)의 일부가 위치된(또는 삽입된) 오프닝 및 제 2 원형 기어(941)의 일부가 위치된(또는 삽입된)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커버(920)의 오프닝들은 브라켓 커버(920)가 제 1 원형 기어(931) 및 제 2 원형 기어(941)를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 커버(920)의 오프닝들은 제 1 힌지 모듈(5A)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원형 기어(931)에 포함된 이들(tooths) 중 전자 장치(2)의 상태 변화(예: 도 2의 펼쳐진 상태 및 도 3의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에 대응하여 제 3 원형 기어(951)와 맞물리지 않는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제 2 원형 기어(941)에 포함된 이들 중 전자 장치(2)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제 4 원형 기어(961)와 맞물리지 않는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캠(980)은 제 2 부분(820)의 제 1 샤프트 연결부(821)에 대응하는 제 1 캠(또는 제 1 캠 기어)(981) 및 제 2 부분(820)의 제 2 샤프트 연결부(822)에 대응하는 제 2 캠(또는 제 2 캠 기어)(9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캠(981) 및 제 2 캠(982)은 제 1 샤프트(930)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샤프트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샤프트 연결부(821)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8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캠(981)은 제 1 샤프트 연결부(821)와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1 이면(tooth suface)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샤프트 연결부(821)는 제 1 이면과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2 이면(8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캠(982)은 제 2 샤프트 연결부(822)와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3 이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샤프트 연결부(822)는 제 3 이면과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4 이면(82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캠(980)은 제 4 부분(840)의 제 3 샤프트 연결부(841)에 대응하는 제 3 캠(또는 제 3 캠 기어)(983) 및 제 4 부분(840)의 제 4 샤프트 연결부(842)에 대응하는 제 4 캠(또는 제 4 캠 기어)(9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캠(983) 및 제 4 캠(984)은 제 2 샤프트(940)이 관통하여 위치되는 샤프트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 샤프트 연결부(841)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84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3 캠(983)은 제 3 샤프트 연결부(841)와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5 이면(tooth suface)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 샤프트 연결부(841)는 제 5 이면과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6 이면(84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캠(984)은 제 4 샤프트 연결부(842)와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7 이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4 샤프트 연결부(842)는 제 7 이면과 대면하는 요철 형태의 제 8 이면(84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캠(980)은 제 1 캠(981) 및 제 3 캠(983)을 포함하는 제 1 캠 구조(또는 제 1 캠 부), 및 제 2 캠(982) 및 제 4 캠(984)을 포함하는 제 2 캠 구조(또는 제 2 캠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930) 및 제 2 샤프트(940)는 제 1 캠 구조 및 제 2 캠 구조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들(예: 압축 스프링들)(990)은 제 1 캠 구조 및 제 2 캠 구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캠(980)은 제 1 캠 구조 및 제 2 캠 구조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또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구조는 제 1 캠 구조 및 제 2 캠 구조를 연결하면서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의 방향으로 제 1 캠 구조 및 제 2 캠 구조 간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들(990)은 제 1 캠 구조 및 제 2 캠 구조 사이의 연결 구조에 지지되어 제 1 캠 구조 및 제 2 캠 구조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들(990)로 인해, 제 1 캠(981)은 제 2 부분(820)의 제 1 샤프트 연결부(821)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제 2 캠(982)은 제 2 부분(820)의 제 2 샤프트 연결부(822)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들(990)로 인해, 제 3 캠(983)은 제 4 부분(840)의 제 3 샤프트 연결부(841)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및 제 4 캠(984)이 제 4 부분(840)의 제 4 샤프트 연결부(842)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프링들(990)은 제 1 스프링, 제 2 스프링, 제 3 스프링, 및/또는 제 4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930)는 제 1 스프링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940)는 제 2 스프링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3 스프링 및 제 4 스프링은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900)는 제 2 부분(820) 및 제 4 부분(840)이 상호 회전될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900)는 제 2 부분(820) 및 제 4 부분(84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900)는 제 2 부분(820) 및 제 4 부분(840)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각도로 회전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예: 프리스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원형 기어들(931, 941, 951, 961) 간의 상호 작용, 복수의 스프링들(990)의 탄력을 이용한 제 1 캠(981)의 제 1 이면 및 제 1 샤프트 연결부(821)의 제 2 이면(821a) 간의 상호 작용, 복수의 스프링들(990)의 탄력을 이용한 제 2 캠(982)의 제 3 이면 및 제 2 샤프트 연결부(822)의 제 4 이면(822a) 간의 상호 작용, 복수의 스프링들(990)의 탄력을 이용한 제 3 캠(983)의 제 5 이면 및 제 3 샤프트 연결부(841)의 제 6 이면(841a) 간의 상호 작용, 복수의 스프링들(990)의 탄력을 이용한 제 4 캠(984)의 제 7 이면 및 제 4 샤프트 연결부(842)의 제 8 이면(842a)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액추에이터(900)의 상술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2 부분(820)은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에 고정된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 1 브라켓(51A)과 연결되고, 제 3 부분(830) 및 제 4 부분(840)은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에 고정된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 2 브라켓(52A)과 연결되므로, 액추에이터(900)의 상술한 기능들은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 간의 상호 회전 운동에 실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축(C1)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은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의 제 2 회전 축(C2)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은 제 1 직선 방향(LD1)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부분(830)의 제 3 회전 축(C3)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은 제 3 직선 방향(LD3)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의 제 4 회전 축(C4)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4 부분(840) 및 제 2 브라켓(52A)은 제 3 직선 방향(LD3)과는 다른 제 4 직선 방향(LD4)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이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제 1 직선 방향(LD1) 및 제 3 부분(830)이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제 3 직선 방향(LD3)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이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제 2 직선 방향(LD2) 및 제 4 부분(840)이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제 4 직선 방향(LD4)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회전 축(C1), 제 2 회전 축(C2),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의 조합으로 인해,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제 1 부분(810) 및 제 2 부분(820)은 액추에이터(90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직선 이동될 수 있고, 제 3 부분(830) 및 제 4 부분(840)은 액추에이터(900)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브라켓(51A) 및 제 1 부분(810)이 상호 슬라이딩되는 제 1 직선 방향(LD1)은,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가 변하면서 제 1 부분(810)이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 1 브라켓(51A) 및 제 1 부분(810)이 상호 간섭(예: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찰 저항은, 예를 들어, 두 물체들 간이 상호 슬라이딩될 때 그 접촉면에서 운동을 방해하려는 힘일 수 있다. 제 2 브라켓(52A) 및 제 3 부분(830)이 상호 슬라이딩되는 제 3 직선 방향(LD3)은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가 변하면서 제 3 부분(830)이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 2 브라켓(52A) 및 제 3 부분(830)이 상호 간섭(예: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브라켓(51A) 및 제 2 부분(820)이 상호 슬라이딩되는 제 2 직선 방향(LD2)은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가 변하면서 제 2 부분(820)이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 1 브라켓(51A) 및 제 2 부분(820)이 상호 간섭(예: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52A) 및 제 4 부분(840)이 상호 슬라이딩되는 제 4 직선 방향(LD4)은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가 변하면서 제 4 부분(840)이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제 2 브라켓(52A) 및 제 4 부분(840)이 상호 간섭(예: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원활하게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상호 슬라이딩(예: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를 통해,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은 부드럽고 원활하게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5A)은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이 제 3 직선 방향(LD3)으로 상호 슬라이딩(예: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LMG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를 통해,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은 부드럽고 원활하게 제 3 직선 방향(LD3)으로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직선 운동을 위한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는 제 1 브라켓(51A)에 포함된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 및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에 대응하여 제 1 부분(810)에 포함된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linear motion slider)(8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은 제 1 회전 운동 슬라이더(810A) 및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를 포함하는 일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는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가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 1 부분(810)은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 간의 상호 직선 운동을 위한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는 제 2 브라켓(52A)에 포함된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 및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에 대응하여 제 3 부분(830)에 포함된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부분(830)은 제 2 회전 운동 슬라이더(830A) 및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를 포함하는 일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는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에 위치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가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 3 부분(830)은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제 3 직선 방향(LD3)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 및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을 포함하는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는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에 고정된 제 1 브라켓(51A)에 대한 제 1 부분(810)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나, 제 1 브라켓(51A)에 대한 제 1 부분(810)의 회전 운동을 실질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 및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을 포함하는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LMG3))는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에 고정된 제 2 브라켓(52A)에 대한 제 3 부분(830)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나, 제 2 브라켓(52A)에 대한 제 3 부분(830)의 회전 운동을 실질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및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브라켓(51A)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은 제 1 오프닝(1001A)을 포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의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는 제 1 오프닝(1001A)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상호 슬라이딩된 위치에 따라,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가 제 1 오프닝(1001A)에 삽입되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는 제 1 오프닝(1001A)에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은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 및 제 1 오프닝(1001A)의 조합으로 인해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안정적으로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 및 제 1 오프닝(1001A)의 조합은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나,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실질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810)의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는 복수의 제 1 리세스들(R11, R12, R13, R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브라켓(51A)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은 복수의 제 1 리세스들(R11, R12, R13, R14)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위치된(또는 삽입된) 복수의 제 1 인서트들(inserts)(I11, I12, I13, I1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리세스들(R11, R12, R13, R14)은,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축(C1)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이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연장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인서트들(I11, I12, I13, I14)은, 제 1 부분(810)의 제 1 회전 축(C1)의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볼 때,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이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 1 브라켓(51A)이 고정된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 및 제 2 브라켓(52A)이 고정된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복수의 제 1 인서트들(I11, I12, I13, I14) 및 복수의 제 1 리세스들(R11, R12, R13, R14)은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상호 안내할 수 있고, 복수의 제 1 인서트들(I11, I12, I13, I14) 및 복수의 제 1 리세스들(R11, R12, R13, R14) 간의 상대적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 및 제 1 브라켓(51A)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은 복수의 제 1 리세스들(R11, R12, R13, R14) 및 복수의 제 1 인서트들(I11, I12, I13, I14)의 조합(예: 미끄럼 대우)로 인해 제 1 직선 방향(LD1)으로 안정적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리세스들(R11, R12, R13, R14) 및 복수의 제 1 인서트들(I11, I12, I13, I14)의 조합은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나,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실질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 1 브라켓(51A)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제 1 부분(810)의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대응하여 위치된(또는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부분(830)의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 및 제 2 브라켓(52A)의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을 포함하는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LMG3))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제 1 부분(810)의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 및 제 1 브라켓(51A)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을 포함하는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LMG1))와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는, 예를 들어, 제 3 부분(830)에 포함된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 및 제 2 브라켓(52A)에 포함된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은 제 2 오프닝(110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는 제 2 오프닝(1101A)에 위치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는 복수의 제 2 리세스들(R31, R32, R33, R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은 복수의 제 2 리세스들(R31, R32, R33, R34)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위치된(또는 삽입된) 복수의 제 2 인서트들(I31, I32, I33, I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LMG2))는 제 2 부분(820)에 포함된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 및 제 1 브라켓(51A)에 포함된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제 1 샤프트 연결부(821), 제 2 샤프트 연결부(822), 및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을 포함하는 일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 및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2)은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 및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2)을 포함하는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는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에 고정된 제 1 브라켓(51A)에 대한 제 2 부분(820)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나, 제 1 브라켓(51A)에 대한 제 2 부분(820)의 회전 운동을 실질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브라켓(51A)은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을 포함하는 제 5 부분(1010), 및 제 5 부분(1010)과 결합된 제 6 부분(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5 부분(1010)은 제 2 부분(820)에 대응하여 제 1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1)로부터 연장된 지지부(10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브라켓(51A)의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002)은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6 부분(102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는 스크류 홀들(1012, 1013)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는 스크류 홀들(1012, 1013)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들(예: 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6 부분(1020)은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 사이에 적어도 일부 위치될 수 있다. 제 6 부분(1020)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는 스크류 홀(10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 6 부분(1020)은 스크류 홀(1014)에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10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411)(도 4 참조)는 스크류 홀들(1015, 1016)을 포함할 수 있고, 제 6 부분(1020)은 스크류 홀들(1015, 1016)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홀들(1025, 10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는 제 6 부분(1020)의 스크류 홀들(1025, 1026)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부분(820)의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은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의 조합으로 인해,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은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슬라이딩된 위치에 따라,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이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은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의 조합으로 인해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의 조합은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나,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상호 회전 운동을 실질적으로 어렵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제 6 부분(1020) 사이의 공간은, 제 2 부분(820)의 제 2 회전 축(C2)의 방향으로 볼 때,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연장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은, 제 2 부분(820)의 제 2 회전 축(C2)의 방향으로 볼 때,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6 부분(1020)은 제 1 사이드(side)(1020a), 제 2 사이드(1020b), 및/또는 바텀(bottom)(102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1020a) 및 제 2 사이드(1020b)는 제 2 회전 축(C2)의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고, 바텀(1020c)은 제 6 부분(1020) 중 제 1 사이드(1020a) 및 제 2 사이드(1020b)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바텀(1020c)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고,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와 대면할 수 있다. 바텀(1020c)은 스크류 체결부(1024) 및 스크류 홀들(1025, 10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1020a) 및 제 2 사이드(1020b)는 바텀(1020c) 및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 및 바텀(1020c)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 체결부(1023)는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에 포함된 스크류 홀(1014)에 대응하여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제 1 사이드(1020a) 및 제 2 사이드(1020b)와 함께 제 6 부분(1020)이 제 5 부분(101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부분(1010)의 지지부(1011)는 제 6 부분(1020)의 바텀(1020c)을 향하여 돌출된 제 1 돌출부(P1) 및 제 2 돌출부(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부분(1020)의 바텀(1020c)은 제 1 돌출부(P1)에 대응하여 제공된 제 1 홀(H1), 및 제 2 돌출부(P1)에 대응하여 제공된 제 2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P1)의 단부는 제 1 홀(H1)에 끼워 맞춰질 수 있고, 제 2 돌출부(P2)의 단부는 제 2 홀(H2)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제 2 부분(820)에 포함된 하나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820A)는 제 1 돌출부(P1)가 관통하여 위치된 제 1 슬릿(S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820)에 포함된 나머지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820B)는 제 2 돌출부(P2)가 관통하여 위치된 제 2 슬릿(S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슬릿(SL1) 및 제 2 슬릿(SL2)은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상호 슬라이딩되는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슬라이딩된 위치에 따라, 제 1 슬릿(SL1)에 대한 제 1 돌출부(P1)의 상대적 위치, 및 제 2 슬릿(SL2)에 대한 제 2 돌출부(P2)의 상대적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돌출부(P1) 및 제 1 슬릿(SL1)의 일측 내면 사이의 간섭, 및 제 2 돌출부(P2) 및 제 2 슬릿(SL2)의 일측 내면의 간섭으로 인해, 제 2 부분(820)의 한 쌍의 제 2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20A, 820B)가 제 1 브라켓(51A)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는 제한되고,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부분(840) 및 제 2 브라켓(52A)이 제 4 직선 방향(LD4)으로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LMG4))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이 제 2 직선 방향(LD2)으로 상호 직선 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예: 도 6의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LMG2))과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는, 예를 들어, 제 4 부분(840)에 포함된 한 쌍의 제 4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40A, 840B), 및 제 2 브라켓(52A)에 포함된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브라켓(52A)은 제 2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을 포함하는 제 7 부분(1110), 및 제 7 부분(1110)과 결합된 제 8 부분(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7 부분(1110)은 제 4 부분(840)에 대응하여 제 3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1)로부터 연장된 지지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브라켓(52A)의 제 4 직선 운동 가이드 레일(1102)은 제 7 부분(1110)의 지지부(1111) 및 제 8 부분(1120)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7 부분(1110)은 복수의 스크류 홀들(1112, 1113, 1114, 1115, 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8 부분(1120)은 스크류 체결부(1124) 및 스크류 홀들(1125, 1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의 한 쌍의 제 4 직선 운동 슬라이더들(840A, 840B) 각각은 제 3 슬릿(SL3) 및 제 4 슬릿(SL4)을 포함할 수 있고, 제 7 부분(1110)의 지지부(1111)는 제 3 슬릿(SL3)에 대응하는 제 3 돌출부(P3) 및 제 4 슬릿(SL4)에 대응하는 제 4 돌출부(P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8 부분(11120)은 제 3 돌출부(P3)에 대응하는 제 3 홀(H3) 및 제 4 돌출부(P4)에 대응하는 제 4 홀(H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61)(도 4 참조)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부분(810)의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직선 운동 슬라이더(810B)는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스크류 홀(SH11)(도 4 참조)에 대응하여 정렬된 제 1 스크류 체결부(B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62)(도 4 참조)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3 부분(830)의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와 결합될 수 있다. 제 3 직선 운동 슬라이더(830B)는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스크류 홀(SH12)(도 4 참조)에 대응하여 정렬된 제 2 스크류 체결부(B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810)은 '제 1 로테이터(rotator)'로, 제 3 부분(830)은 '제 2 로테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제 1 힌지 암(hinge arm)' 또는 '제 1 암(arm)'으로, 제 4 부분(840)은 '제 2 힌지 암' 또는 '제 2 암'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에 포함된 어느 두 구성 요소들 간의 마찰력, 운동 전달의 손실, 또는 힘 전달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구성 요소들 사이에는 윤활제(예: 그리스(grease))가 배치(예: 도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들 간의 마찰력, 운동 전달의 손실, 또는 힘 전달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구성 요소들의 표면은 윤활 코팅(예: 테프론(teflon)과 같은 다양한 윤활 물질을 이용한 코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모듈(5A)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간의 상회 회전 운동에 작용하는 힘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강성 또는 내력을 가지는 물질(예: 금속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에서 힌지부(1700)의 사시도(1701), 및 힌지부(1700)를 나타내는 도면(1702)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에서 제 1 힌지 모듈(5A)을 나타내는 도면(1801), 라인 D-D'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5A)의 단면도(1802), 및 라인 E-E'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5A)의 단면도(1803)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닫힌 상태(도 3 참조)에서 힌지부(1700)의 사시도(1901), 및 힌지부(1700)를 나타내는 도면(1902)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닫힌 상태(도 3 참조)에서 제 1 힌지 모듈(5A)을 나타내는 도면(2001), 라인 F-F'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5A)의 단면도(2002), 및 라인 E-E'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5A)의 단면도(2003)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중간 상태에서 제 1 힌지 모듈(5A)을 나타내는 도면(2101), 라인 H-H'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5A)의 단면도(2102), 및 라인 I-I'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5A)의 단면도(2103)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2)를 나타내는 도면(2201), 중간 상태의 전자 장치(2)를 나타내는 도면(2202), 및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2)를 나타내는 도면(2203)이다.
도 17, 18, 19, 20, 21, 및 2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하는 제 1 부분(810)의 회전 운동,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직선 운동,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하는 제 2 부분(820)의 회전 운동, 및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51A) 간의 직선 운동이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하는 제 3 부분(830)의 회전 운동,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 간의 직선 운동,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하는 제 4 부분(840)의 회전 운동, 및 제 4 부분(840) 및 제 2 브라켓(52A) 간의 직선 운동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제 1 브라켓(51A)이 고정된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으로부터 더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플레이트(61)가 고정된 제 1 부분(8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 1 브라켓(51A)에 대하여 후퇴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제 2 브라켓(52A)이 고정된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으로부터 더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2 플레이트(62)가 고정된 제 3 부분(8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 2 브라켓(52A)에 대하여 후퇴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은 서로 대면하고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브라켓(51A)에 대한 제 1 부분(810)의 후퇴 및 제 2 브라켓(52A)에 대한 제 3 부분(830)의 후퇴로 인해,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 사이의 제 1 방향(2311)(예: 도 6의 제 1 방향(611))으로의 공간 폭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좌굴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이 배치된 제 1 프레임(211)으로부터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이 멀어지는 것,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이 배치된 제 2 프레임(221)으로부터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이 멀어지는 것은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브라켓 연결부(53A)가 제 1 방향(2311)과 수직하는 제 2 방향(2312)(예: 도 6의 제 2 방향(612))으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액추에이터(900)가 제 2 방향(2312)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으로 인해, 제 2 방향(2312)으로의 공간 폭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좌굴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액추에이터(900)가 제 2 방향(2312)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으로 인해, 액추에이터(900)에 결합된 힌지 하우징(23)은 제 1 하우징(21)과의 틈 및 제 2 하우징(22)과의 틈을 줄이면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열린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 간의 상대적 위치 변화, 및 이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제 1 힌지 모듈(5A)로 인해, 제 1 플레이트(61)의 제 1 면(61A) 및 제 2 플레이트(62)의 제 2 면(62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지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에서 제 1 힌지 모듈(245A)을 나타내는 도면(2301), 및 라인 J-J'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245A)의 단면도(2302)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부(2500)를 나타내는 도면(2401), 및 라인 K-K'를 따라 절단한 힌지부(2500)의 단면도(2402)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도 2 참조)에서 제 1 힌지 모듈(245A)을 나타내는 도면(2501), 및 라인 L-L'를 따라 절단한 제 1 힌지 모듈(245A)의 단면도(2502)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601), 및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2602)이다.
도 23, 24, 25, 및 26을 참조하면, 제 1 힌지 모듈(245A)은 제 1 부분(24810), 제 2 부분(820), 제 3 부분(24830), 제 4 부분(840), 액추에이터(900), 제 1 브라켓(2451A), 제 2 브라켓(2452A), 제 1 연결부(2410), 및/또는 제 2 연결부(2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은 도 24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245A)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제 제 2 힌지 모듈(5B) 또는 제 3 힌지 모듈(5C)은 도 24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245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245A)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힌지 모듈(5A) 대비, 제 1 연결부(2410) 및 제 2 연결부(2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245A)의 제 1 부분(24810) 및 제 1 브라켓(2451A)은 제 1 연결부(2410)에 대응하여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분(810) 및 제 1 브라켓(51A)을 변형한 형태일 수 있다. 제 1 힌지 모듈(245A)의 제 3 부분(24830) 및 제 2 브라켓(2452A)은 제 2 연결부(2420)에 대응하여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부분(830) 및 제 2 브라켓(52A)을 변형한 형태일 수 있다. 제 1 부분(24810) 및 제 3 부분(2843)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2451A) 및 제 2 브라켓(2452A)은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24810)은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3 부분(24830)은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은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액추에이터(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2451A)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프레임(211)의 제 1 지지부(411)(도 4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2451B)은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2 프레임(221)의 제 2 지지부(421)(도 4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부분(24810)은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하여 제 1 직선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제 1 브라켓(2451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하여 제 2 직선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제 1 브라켓(2451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3 부분(24830)은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하여 제 3 직선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제 2 브라켓(2452A)과 연결될 수 있다. 제 4 부분(840)은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하여 제 4 직선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제 2 브라켓(2452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결부(2410)는 제 1 브라켓(2451A) 및 제 1 부분(248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2410)은 핀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핀(2411)은 핀 홀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핀(2411)의 일단부는 제 1 브라켓(2451A)에 제공된 제 1 핀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핀(2411)의 타단부는 제 1 브라켓(2451A)에 제공된 제 2 핀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2410)는 제 1 핀(2411)을 기준으로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2410) 및 제 1 브라켓(2451A)을 연결하는 제 1 핀(2411)의 회전 축은 제 1 회전 축(C1)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2410)는 제 1 핀(2411)과 평행하고 제 1 핀(2411)과 이격하여 위치된 제 2 핀(2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810)은 제 2 핀(2412)에 대응하여 리세스 형태의 제 1 핀 레일(PR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핀(2412)은 제 1 핀 레일(PR12)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 및 접힌 상태(도 3 참조) 사이의 전환 시, 제 1 부분(24810)은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하여 제 1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1 연결부(24810)는 제 2 핀(2412) 및 제 1 핀 레일(PR12)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제 1 핀(241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1 핀 레일(PR12)에 대한 제 2 핀(2412)의 위치는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한 제 1 부분(24810)의 직선 운동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연결부(2420)는 제 2 브라켓(2452A) 및 제 2 부분(248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2420)는 전자 장치(2)의 중심 선(A)(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제 1 연결부(2410)와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2420)은 핀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 핀(2421)은 핀 홀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3 핀(2421)의 일단부는 제 2 브라켓(2452A)에 제공된 제 3 핀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 3 핀(2421)의 타단부는 제 2 브라켓(2452A)에 제공된 제 4 핀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2420)는 제 3 핀(2421)을 기준으로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2420) 및 제 2 브라켓(2452A)을 연결하는 제 3 핀(2421)의 회전 축은 제 3 회전 축(C3)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2420)는 제 3 핀(2421)과 평행하고 제 3 핀(2421)과 이격하여 위치된 제 4 핀(2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820)은 제 4 핀(2422)에 대응하여 리세스 형태의 제 2 핀 레일(PR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핀(2422)은 제 2 핀 레일(PR22)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 및 접힌 상태(도 3 참조) 사이의 전환 시, 제 3 부분(24830)은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하여 제 3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 연결부(24820)는 제 4 핀(2422) 및 제 2 핀 레일(PR22)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제 3 핀(242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2 핀 레일(PR22)에 대한 제 4 핀(2422)의 위치는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한 제 3 부분(24830)의 직선 운동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2561)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1 연결부(2410)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1 플레이트(2561)는 스크류 홀(2561a)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연결부(2410)는 스크류 홀(2561a)에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2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2562)는 스크류 체결을 통해 제 2 연결부(2420)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체결을 위하여, 제 2 플레이트(2562)는 스크류 홀(2562a)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연결부(2420)는 스크류 홀(2562a)에 대응하여 정렬된 스크류 체결부(2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도 2 참조) 및 접힌 상태(도 3 참조) 사이의 전환 시,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하는 제 1 부분(24810)의 회전 운동, 제 1 부분(24810) 및 제 1 브라켓(2451A) 간의 직선 운동,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하는 제 2 부분(820)의 회전 운동, 제 2 부분(820) 및 제 1 브라켓(2451A) 간의 직선 운동, 및 제 1 부분(24810) 및 제 1 브라켓(2451A)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2410)의 운동이 있을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 사이의 전환 시, 제 3 회전 축(C3)을 기준으로 하는 제 3 부분(24830)의 회전 운동, 제 3 부분(24830) 및 제 2 브라켓(2452A) 간의 직선 운동, 제 4 회전 축(C4)을 기준으로 하는 제 4 부분(840)의 회전 운동, 제 4 부분(840) 및 제 2 브라켓(2452A) 간의 직선 운동, 및 제 3 부분(24830) 및 제 2 브라켓(2452A)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2420)의 운동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제 1 브라켓(2451A)이 고정된 제 1 프레임(211)(도 4 참조)으로부터 더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플레이트(2561)가 고정된 제 1 부분(248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하여 후퇴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은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제 2 브라켓(2452A)이 고정된 제 2 프레임(221)(도 4 참조)으로부터 더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2 플레이트(2562)가 고정된 제 3 부분(248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하여 후퇴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플레이트(2561) 및 제 2 플레이트(62)는 서로 대면하고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한 제 1 부분(24810)의 후퇴, 및 제 1 부분(24810) 및 제 1 브라켓(2451A)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2410)의 운동으로 인해, 제 1 연결부(2410)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2561)는,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간섭하지 않지 않도록 제 1 브라켓(2451A)에 대하여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한 제 3 부분(24830)의 후퇴, 및 제 3 부분(24830) 및 제 2 브라켓(2452A)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2420)의 운동으로 인해, 제 2 연결부(2420)와 결합된 제 2 플레이트(2562)는, 전자 장치(2)의 펼쳐진 상태 대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간섭하지 않지 않도록 제 2 브라켓(2452A)에 대하여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플레이트(2561) 및 제 2 플레이트(2562) 사이의 제 1 방향(2711)으로의 공간 폭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좌굴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2)의 접힌 상태에서 제 1 플레이트(2561) 및 제 2 플레이트(2562) 사이의 공간은 액추에이터(900) 쪽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①)이 배치된 제 1 프레임(211)으로부터 제 1 회전 축(C1) 및 제 2 회전 축(C2)이 멀어지는 것,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②)이 배치된 제 2 프레임(221)으로부터 제 3 회전 축(C3) 및 제 4 회전 축(C4)이 멀어지는 것은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액추에이터(900)가 제 1 방향(2711)과 수직하는 제 2 방향(2712)으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액추에이터(900)가 제 2 방향(2712)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으로 인해, 제 2 방향(2712)으로의 공간 폭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이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좌굴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벤디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이 마주하는 구조로부터 액추에이터(900)가 제 2 방향(2712)로 멀어져 위치되는 것으로 인해, 액추에이터(900)에 결합된 힌지 하우징(23)은 제 1 하우징(21)과의 틈 및 제 2 하우징(22)과의 틈을 줄이면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22) 사이의 열린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가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면, 제 1 프레임(211) 및 제 2 프레임(221) 간의 상대적 위치 변화, 및 이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제 1 힌지 모듈(245A)로 인해, 제 1 플레이트(2561) 및 제 2 플레이트(256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의 제 3 디스플레이 영역(③)을 지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는 제 1 하우징(예: 도 2의 제 1 하우징(21)) 및 제 2 하우징(예: 도 2의 제 2 하우징(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모듈(예: 도 8의 제 1 힌지 모듈(5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제 1 회전 축(예: 도 9의 제 1 회전 축(C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부분(예: 도 8의 제 1 부분(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제 2 회전 축(예: 도 9의 제 2 회전 축(C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부분(예: 도 8의 제 2 부분(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축은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된 제 1 브라켓(예: 도 8의 제 1 브라켓(5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제 1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결합된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1 핀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핀과 평행하는 제 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핀은 상기 제 1 부분에 제공된 제 1 핀 레일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직선 방향 및 상기 제 2 직선 방향은 상기 제 1 회전 축과 수직하고 서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힌지 모듈에 포함된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위치된 회전 운동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축은 상기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회전 운동 슬라이더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힌지 모듈에 포함된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 축은 상기 샤프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탄력 지지된 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에 대응하는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될 ㅅ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3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4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된 제 2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4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3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4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4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결합된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부분에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브라켓 및 상기 제 3 부분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1 핀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핀과 평행하는 제 2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핀은 상기 제 1 부분에 제공된 제 1 핀 레일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3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3 핀을 통해 상기 제 2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3 핀과 평행하는 제 4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핀은 상기 제 3 부분에 제공된 제 2 핀 레일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에 대응하여 위치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 축을 제공하는 제 1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4 회전 축을 제공하는 제 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포함된 제 1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3 원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샤프트에 포함된 제 2 원형 기어 및 상기 제 3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4 원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추에이터는 탄력 지지된 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는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액추에이터와 결합된 힌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언폴딩 상태로부터 폴딩 상태로 전환될 때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축은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된 제 1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4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된 제 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4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제 1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3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4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브라켓에 대하여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브라켓에 대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과 결합된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부분과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1 핀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핀과 평행하는 제 2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핀은 상기 제 1 부분에 제공된 제 1 핀 레일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3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3 핀을 통해 상기 제 2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제 3 핀과 평행하는 제 4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핀은 상기 제 3 부분에 제공된 제 2 핀 레일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에 대응하여 위치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는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 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는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4 회전 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포함된 제 1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3 원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샤프트에 포함된 제 2 원형 기어 및 상기 제 3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4 원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추에이터는 탄력 지지된 캠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는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A: 제 1 힌지 모듈
810: 제 1 부분
820: 제 2 부분
830: 제 3 부분
840: 제 4 부분
51A: 제 1 브라켓
52A: 제 2 브라켓
C1: 제 1 회전 축
C2: 제 2 회전 축
C3: 제 3 회전 축
C4: 제 4 회전 축
LD1: 제 1 직선 방향
LD2: 제 2 직선 방향
LD3: 제 3 직선 방향
LD4: 제 4 직선 방향
61: 제 1 플레이트
62: 제 2 플레이트
2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211: 제 1 프레임
221: 제 2 프레임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부분;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된 제 1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제 1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결합된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1 핀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핀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부분에 제공된 제 1 핀 레일에 위치된 제 2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 방향 및 상기 제 2 직선 방향은 상기 제 1 회전 축과 수직하고 서로 예각을 이루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힌지 모듈에 포함된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에 위치된 회전 운동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 축은 상기 회전 운동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회전 운동 슬라이더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힌지 모듈에 포함된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 축은 상기 샤프트에 의해 제공된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탄력 지지된 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에 대응하는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된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3 부분;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4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된 제 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4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3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4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4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4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호 슬라이딩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에 결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부분에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브라켓 및 상기 제 3 부분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1 핀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핀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부분에 제공된 제 1 핀 레일에 위치된 제 2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3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3 핀을 통해 상기 제 2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3 핀과 평행하고 상기 제 3 부분에 제공된 제 2 핀 레일에 위치된 제 4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에 대응하여 위치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 축을 제공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4 회전 축을 제공하는 제 2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에 포함된 제 1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3 원형 기어; 및
    상기 제 2 샤프트에 포함된 제 2 원형 기어 및 상기 제 3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4 원형 기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탄력 지지된 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는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된 전자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결합된 힌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언폴딩 상태로부터 폴딩 상태로 전환될 때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면 일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부분;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부분;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된 제 1 브라켓;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3 부분;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 4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된 제 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4 회전 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회전 축과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대칭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제 1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는 다른 제 2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3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4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직선 방향과 대칭인 제 4 직선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의 각도가 변할 때,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브라켓에 대하여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브라켓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된 제 3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배치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에 배치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과 결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부분과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영역의 타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1 핀을 통해 상기 제 1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핀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부분에 제공된 제 1 핀 레일에 위치된 제 2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3 회전 축과 평행하는 제 3 핀을 통해 상기 제 2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3 핀과 평행하고 상기 제 3 부분에 제공된 제 2 핀 레일에 위치된 제 4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중심 선에 대응하여 위치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3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및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제 4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회전 축을 제공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제 4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4 회전 축을 제공하는 제 2 샤프트;
    상기 제 1 샤프트에 포함된 제 1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3 원형 기어; 및
    상기 제 2 샤프트에 포함된 제 2 원형 기어 및 상기 제 3 원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4 원형 기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탄력 지지된 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 및 상기 제 2 샤프트는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된 전자 장치.
KR1020220080347A 2022-06-14 2022-06-30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30171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3511 WO2023243815A1 (ko) 2022-06-14 2023-03-16 폴더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1909 2022-06-14
KR1020220071909 2022-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832A true KR20230171832A (ko) 2023-12-21

Family

ID=8932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347A KR20230171832A (ko) 2022-06-14 2022-06-30 폴더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8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48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9856B1 (ko)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68104A (ko) 슬라이딩 구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9499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30171832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30067154A (ko) 슬라이딩 구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7334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4078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200681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8472B1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40012251A (ko) 폴더블 전자 장치
EP4336809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230038719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240015047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8857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to the display module
KR20230141370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EP428002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en input device
EP434417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KR2023013837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4007241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KR20230071758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40063528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EP4344176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230022783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40016841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