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829A -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 Google Patents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829A
KR20230171829A KR1020220072476A KR20220072476A KR20230171829A KR 20230171829 A KR20230171829 A KR 20230171829A KR 1020220072476 A KR1020220072476 A KR 1020220072476A KR 20220072476 A KR20220072476 A KR 20220072476A KR 20230171829 A KR20230171829 A KR 2023017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raking performance
brake cylinder
brak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협
Original Assignee
강대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협 filed Critical 강대협
Priority to KR102022007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829A/ko
Publication of KR2023017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4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6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피스톤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피스톤 내입부와,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피스톤의 이동홀에 선단부가 내입된 내측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내입부로 브레이크 액이 공급되어 피스톤과 내측피스톤에 액압을 가하여 내측피스톤이 디스크패드를 디스크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의할 때, 휠 내부의 여유공간이 좁은 차량에 두께가 얇은 캘리퍼를 사용하면서도 디스크패드의 적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제동성능의 손실 없이 대용량 브레이크를 구현하여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Structure of brake cylinder with excellent braking properties}
본 발명은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 내부의 여유공간이 좁은 차량에 두께가 얇은 캘리퍼를 사용하면서도 디스크패드의 적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제동성능의 손실 없이 대용량 브레이크를 구현하여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나 순수 전기 자동차(Battery Electric Vehicle, BEV), 연료전지 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와 같이 모터로 주행하는 전동화 차량(모터 구동 차량)에서는, 타행 주행 시나 제동 시 차량 운동에너지를 모터의 발전 작동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회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생 모드가 수행되며, 전동화 차량에서 차량 효율 증대 및 연비 향상을 위해 회생 모드의 기능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모터로 주행하는 전동화 차량에서는 감속 시 기존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유압제동(마찰제동)과 함께 모터에 의한 회생제동이 수행되고, 차량에서 필요한 제동력이 유압제동력과 마찰제동력으로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화 차량의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용량을 모터가 부재한 일반 엔진 차량에 비해 축소할 수 있는 제동 환경이 구축되었다 할 수 있고, 결국 전동화 차량 전용 플랫폼의 회생제동 시스템에 최적화된 콤팩트(compact)한 브레이크 장치를 요구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는 휠의 내부공간이 좁은 소형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필요한데,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359507호에서는 도 7, 8에서 볼 수 있듯이, 캘리퍼 유닛(100)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차량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1)에 마찰 패드(120)를 압착시켜 제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되는데, 차체에 고정되는 토크 멤버('캐리어'라고도 함)(110), 디스크(1)의 양면을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패드(120), 및 상기 토크 멤버(110)에 피스톤(134)을 매개로 결합된 캘리퍼 하우징('피스톤 하우징'이라고도 함)(130)을 포함하고, 여기서, 캘리퍼 하우징(130)의 일측에는 내부 공간을 갖는 실린더(131)가 형성되고, 이 실린더(131)의 일측에는 마스터 실린더(131)에 의해 생성된 브레이크 액압이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는 포트(132)가 형성되며, 캘리퍼 하우징(130)에서 실린더(131)의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134)이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캘리퍼 하우징(130)의 타측에는 반력지지부(135)가 형성되고, 이 반력지지부(135)의 내측면에 마찰 패드(120)의 아우터 패드(124)가 결합되며, 상기 토크 멤버(110)에는 차체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111)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토크 멤버(110)가 차체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토크 멤버(110)에는 작동홀(112)이 형성되고, 이 작동홀(112)의 내측으로 캘리퍼 하우징(130)의 실린더(131)에 설치된 피스톤(134)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이에 캘리퍼 하우징(130)의 실린더(131) 내에 설치된 피스톤(134)의 선단부가 토크 멤버(110)의 작동홀(112)에 삽입된 상태로 전후진될 수 있고, 전후진 시 피스톤(134)의 선단부가 토크 멤버(110)의 작동홀(112) 내측면에서 슬라이딩 되며, 캘리퍼 하우징(130)의 실린더(131) 내 브레이크 액압에 의해 피스톤(134)이 전진할 때, 작동홀(112)에 삽입된 상태의 피스톤(134)의 선단부가 이너 패드(121)를 접촉 및 가압하게 되고, 이때 이너 패드(121)가 디스크(1)의 표면을 압착하는 브레이크를 개시하고 있으나,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타이어 휠(TW) 내부 공간의 협소로 인하여 휠과 캘리퍼(200)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결국 캘리퍼 하우징 두께를 감소시켜야 하나(T -> t), 실린더와 같은 부품으로 인해 두께의 감소에도 한계가 존재하므로 결국 디스크(D)와 마찰하며 마모되는 브레이크 패드 마찰재의 두께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마찰재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마찰열을 해소하기 어려워 마찰재의 내구성이 급격하게 악화됨과 동시에 제동성능 저감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즉, 도 10, 11에서 볼 수 있듯이, 피스톤(134)이 디스크패드(DP)를 가압하여 디스크(D)와 마찰하며 브레이킹을 시도하는 경우에, 디스크와 디스크패드와의 계면(②')에서 고열이 발생하고(③), 고열은 캘리퍼로 전달되어 캘리퍼가 벌어지는 상황(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 두께(Thickness)의 감소로 인하여 피스톤(131)의 두께도 감소할 수 밖에 없어 결국 실린더(134)가 이탈하는 사고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휠 내부의 여유공간이 좁은 차량에 두께가 얇은 캘리퍼를 사용하면서도 디스크패드의 적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대용량 브레이크에 적용하는 경우 제동성능의 손실이 없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피스톤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피스톤 내입부와,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피스톤의 이동홀에 선단부가 내입된 내측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내입부로 브레이크 액이 공급되어 피스톤과 내측피스톤에 액압을 가하여 내측피스톤이 디스크패드를 디스크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 내입부의 상단부에는 브레이크 작동시 피스톤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스토퍼안착부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측피스톤은 피스톤이 전후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마련된 피스톤의 이동홀에 선단부가 내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측피스톤의 측부에 내측스토퍼를 돌출시켜 실린더에 마련된 스토퍼안착부에 닿아 스트로크가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측피스톤의 내측으로 별도의 내측피스톤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측피스톤과 디스크패드와의 사이에 균형부가 개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균형부의 중심부에 발란싱볼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란싱볼에 대응되는 형상의 발란싱홈을 내측피스톤의 대향하는 영역에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에 의하면, 휠 내부의 여유공간이 좁은 차량에 두께가 얇은 캘리퍼를 사용하면서도 디스크패드의 적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제동성능의 손실 없이 대용량 브레이크를 구현하여 제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린더 구조의 일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린더에 브레이크 액의 압력이 가해지며 내측실린더가 전진한 형상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내측실린더가 전진하고 실린더가 더 전진하며 실린더 가동거리가 증가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린더가 차량 휠에 장착되어 브레이킹시 디스크패드를 가압하며 차량의 브레이그 디스크를 가압하는 형상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린더에 균형부를 구비된 형상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균형부를 확대한 그림이며,
도 7, 8은 종래 캘리퍼의 사시도, 분해사시도를 각각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9는 종래 캘리퍼의 두께가 감소되어 공간의 간섭을 해소하는 형상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비교되는 2개 그림이고,
도 10은 종래 브레이킹시 디스크와 디스크패드와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는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종래 캘리퍼 두께, 실린더 두께가 감소하는 경우에 브레이킹시 실린더가 이탈할 위험을 형상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한도에서 활용되어야 하며, 도면에 의하여 청구항의 구성요소가 한정되거나 제한되도록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린더 구조의 일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린더에 브레이크 액의 압력이 가해지며 내측실린더가 전진한 형상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내측실린더가 전진하고 실린더가 더 전진하며 실린더 가동거리가 증가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린더가 차량 휠에 장착되어 브레이킹시 디스크패드를 가압하며 차량의 브레이그 디스크를 가압하는 형상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실린더에 균형부를 구비된 형상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균형부를 확대한 그림인데, 이를 참고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는 캘리퍼 하우징(200)과,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피스톤(300)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피스톤 내입부(210)와,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피스톤의 이동홀(310)에 선단부가 내입된 내측피스톤(400) 및 상기 피스톤 내입부(210)로 브레이크 액(500)이 공급되어 피스톤과 내측피스톤에 액압을 가하여 내측피스톤이 디스크패드(DP)를 디스크(D)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캘리퍼 하우징(200)은 고정 캘리퍼 (Fixed mount caliper), 부동형 캘리퍼 (Floating caliper) 또는 슬라이딩 캘리퍼 (Sliding caliper) 구조로 로 구별할 수 있다.
통상 캘리퍼는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보통 유압으로 작동되며 브레이크 작동시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이 캘리퍼 내의 피스톤에 작용하여 먼저 안쪽 패드를 디스크에 압착시키고, 이어서 캘리퍼 바디(Caliper body)가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바깥쪽 패드도 디스크에 압착시켜 패드와 디스크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되고 제동이 시작되고, 브레이크를 해제할 때는 피스톤씰(Piston seal)의 복원력에 따라 피스톤이 제자리로 돌아오고, 안쪽 패드는 디스크 회전에 의해 디스크와 간극(공극)을 유지하며 동시에 바깥쪽 패드는 하우징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압착력이 해제되면서 디스크와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잔류 토크는 제거되는 작동을 수행한다.
아울러, 고정 캘리퍼는 현가장치에 고정되어 캘리퍼에 들어있는 2개 또는 4개의 피스톤이 패드를 사이에 두고 디스크를 양측에서 동시에 압착시키는 방식으로, 피스톤이 2개의 경우를 2실린더형 또는 2피스톤형이라고 하고, 4개의 경우를 4실린더형 또는 4피스톤형이라고 하며, 4실린더형 캘리퍼의 경우는 패드와 디스크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압착력도 크게 할 수 있으나, 다른 형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고, 패드의 단면적도 작다는 단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부동형 캘리퍼 또는 슬라이딩 캘리퍼는 두 캘리퍼 형식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슬라이딩 캘리퍼는 고정형과 부동형의 장점만을 취한 하이브리드인데, 운동방식은 부동형과 유사한 측면이 있기도 하다.
이 형식의 캘리퍼는 제동시에는 피스톤이 패드를 압착하고, 반력에 의해 바디가 이동하여 반대편 패드도 디스크에 압착시켜 제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고정형 캘리퍼에 비해 부품수가 적고 가벼우며, 피스톤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어 열의 축적이 적어서 브레이크액의 온도 상승폭이 적은 장점이 있는 동시에 제동 시 피스톤의 운동거리가 길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브레이크 실린더 형식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는 적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술한 캘리퍼 하우징에 피스톤(300)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피스톤 내입부(210)가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 내입부(210)는 디스크패드(DP)를 향해 피스톤(300)이 전후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의 선단부가 밀착되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실린더의 내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내입부(210)에는 브레이크 액(500)이 공급되어 피스톤, 내측피스톤에 가압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액 유입로(220)가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 내입부(210)에는 피스톤과의 계면에서 브레이크 액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재(230')를 고정하는 실링홈(230)이 구비되는데, 실링재는 오링(O-ring) 같이 실리더 원주에 밀착되는 형태이므로 실링홈 역시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피스톤 내입부(210)의 상단부에는 피스톤의 매립이나 분리를 위하여 열린 상태일 필요도 있으나, 브레이크 작동시 피스톤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스토퍼안착부(240)가 마련되어 있어, 피스톤스토퍼(240')가 안착되어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데, 즉 브레이크 시스템의 소형화와 고집적화로 인하여 캘리퍼 두께가 얇아지고, 브레이킹시 발생된 과열로 인하여 캘리퍼 하우징이 벌어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피스톤 이탈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스토퍼(240')에 의하여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제한되는 거리는 피스톤에 마련된 스토퍼홈(330)의 깊이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 내입부(210)에는 피스톤(300)이 전후 이동하도록 내입되어 있는데, 상기 피스톤(300)은 브레이크 액의 액압으로 전진하며 디스크패드(DP)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앞서 살펴본 대로 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하는 피스톤스토퍼(240')에 제한되어 있으므로, 피스톤의 전진 스트로크(stroke)의 짧은 거리를 갖게 되어 대용량 브레이킹 시스템에 불리한 상황이 될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내측피스톤(400)을 별도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내측피스톤(400)은 상기 피스톤(300)이 전후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마련된 피스톤의 이동홀(310)에 선단부가 내입되어 브레이크 액의 액압에 의하여 전진하며 디스크패드(DP)를 디스크(D)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피스톤스토퍼(240')에 의하여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내측피스톤(400)이 피스톤과 연동되어 전진하며 디스크패드를 가압하므로 캘리퍼의 두께 변화에 무관하게 충분한 브레이킹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내측피스톤(400)의 선단부는 피스톤에 마련된 이동홀(310)에 내입되어 끼워진 형태가 되는데, 내측피스톤 역시 최대 전진 스트로크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피스톤의 측부에 내측스토퍼(410)를 돌출시켜 실린더에 마련된 스토퍼안착부(310')에 닿아 스트로크가 제한되는 동시에 내측피스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이동홀(310)이 내측피스톤(400)과의 계면에서 브레이크 액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링재(330')를 고정하는 제2실링홈(330)이 구비되는데, 제2실링재는 오링(O-ring) 같이 내측피스톤이 이동홀의 원주에 밀착되는 형태이므로 제2실링홈 역시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피스톤(300), 내측피스톤(400)의 구성, 결합관계는 내측피스톤의 내측으로 마련되는 제2내측피스톤(미도시), 제3내측피스톤(미도시) 등 내측피스톤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이 디스크패드(DP)를 가압하여 디스크(D)와 마찰하며 브레이킹을 시도하는 경우에, 디스크와 디스크패드와의 계면(②')에서 불균일성이 발생하며 고열이 발생하고 고열은 캘리퍼로 전달되어 캘리퍼가 벌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이러한 고열의 발생은 디스크패드와 접촉하는 내측실린더와 접촉계면이 불균일하여(②') 전달되는 열의 불균형이 발생되는데에서도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패드와 내측피스톤과의 사이에 균형부(600)를 개재시켜 접촉의 균형을 유도할 수 있어, 디스크패드의 전체 면을 일정하게 마찰시켜 열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페이드현상을 저감시키며,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고, 디스크패드의 올바른 자리를 잡을 수 있어 내구성 확보에 도움이 된다.
상기 균형부(600)는 그 중심부에 볼 형상의 자유도 같은 발란싱볼(610)을 구비하여 균형부 전체면으로 디스크패드(DP)와 접촉하는 힘을 분산할 수 있으며, 내측피스톤(400)의 대향하는 영역에 발란싱볼(610)에 대응하는 형상의 발란싱홈(420)을 두어 내측피스톤과 디스크패드와의 사이에 개재된 균형부가 힘의 분산을 위하여 균형잡는 움직임외에 균형부의 급격한 이동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발란싱볼(610)의 일단을 균형부(600)의 중앙에 고정시키고, 발란싱볼(610)의 타단을 발란싱홈(420)에 매립시킴으로써, 균형부(600)가 디스크패드(DP)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에 발란싱홈에 밀착된 발란싱볼이 힘을 분산시키며 분산되는 힘들이 균일해지는 방향으로 발란싱볼에 고정된 균형부로 반발력으로 인가하므로, 균형부와 디스크패드는 대향면 전체에 걸펴 힘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렇게 힘의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발란싱볼(610)의 단면적 직경(W610)과 발란싱홈(420)의 단면적 직경(W420)이 오차범위(α) 내에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W420 = W610 + 오차범위(α)로 하여 발란싱볼의 원활한 힘의 분산과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용이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α : 1㎛ 내지 2㎜)
이러한 발란싱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한 상기 발란싱홈(420)의 깊이(D420)는 상기 발란싱볼(610)의 단면적 직경(W610) 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여 균형부(60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발란싱볼(610)과 발란싱홈(420)과의 사이에는 윤활제를 개재시켜 마찰을 감소시키고 발란싱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캘리퍼 하우징(200), 피스톤(300), 피스톤 내입부(210), 피스톤의 이동홀(310), 내측피스톤(400), 브레이크 액(500), 디스크패드(DP), 디스크(D)

Claims (8)

  1. 캘리퍼 하우징;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피스톤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피스톤 내입부;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피스톤의 이동홀에 선단부가 내입된 내측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 내입부로 브레이크 액이 공급되어 피스톤과 내측피스톤에 액압을 가하여 내측피스톤이 디스크패드를 디스크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내입부의 상단부에는 브레이크 작동시 피스톤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스토퍼안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피스톤은 피스톤이 전후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마련된 피스톤의 이동홀에 선단부가 내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피스톤의 측부에 내측스토퍼를 돌출시켜 실린더에 마련된 스토퍼안착부에 닿아 스트로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피스톤의 내측으로 별도의 내측피스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피스톤과 디스크패드와의 사이에 균형부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부의 중심부에 발란싱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싱볼에 대응되는 형상의 발란싱홈을 내측피스톤의 대향하는 영역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KR1020220072476A 2022-06-14 2022-06-14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KR20230171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476A KR20230171829A (ko) 2022-06-14 2022-06-14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476A KR20230171829A (ko) 2022-06-14 2022-06-14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829A true KR20230171829A (ko) 2023-12-21

Family

ID=8932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476A KR20230171829A (ko) 2022-06-14 2022-06-14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874B2 (en) Disk brake
US9175738B2 (en) Disc brake
US10309471B2 (en) Electric caliper brake
US9347508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4375250A (en) Spot-type disc brake
US10393200B2 (en) Electric caliper brake
US9604605B2 (en) Hybrid electro-mechanical brake and system having the same
US20220025946A1 (en) Caliper brake
US2968370A (en) Disk brakes
CN110848289A (zh) 一种带驻车制动的三缸浮动式制动钳
KR20230171829A (ko) 제동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실린더의 구조
KR102477650B1 (ko) 브레이크 패드의 제조 방법
CN217234357U (zh) 一种复合式电子驻车制动钳总成
KR20170082276A (ko)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KR102359507B1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 유닛
CN109163037B (zh) 一种复合式电子机械制动器
CN213039709U (zh) 一种制动器制动钳上的圆弧形密封槽结构
CN211314910U (zh) 一种带驻车制动的三缸浮动式制动钳
CN117104205A (zh) 一种emb制动器总成及其制动系统
CN214367401U (zh) 制动钳总成、气压盘式制动器、车桥及商用车
US20230383798A1 (en) Guide pin and caliper brake having the same
US20230407931A1 (en) Brake pad for a disk brake system and disk brake system
KR20220090819A (ko)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용 슬라이딩 핀
US20230160446A1 (en) Brake pad for disc brake
KR100622473B1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