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56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568A
KR20230171568A KR1020220071894A KR20220071894A KR20230171568A KR 20230171568 A KR20230171568 A KR 20230171568A KR 1020220071894 A KR1020220071894 A KR 1020220071894A KR 20220071894 A KR20220071894 A KR 20220071894A KR 20230171568 A KR20230171568 A KR 2023017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ules
guide groove
support shaf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채정우
엄진오
Original Assignee
(주)엑스오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스오비스 filed Critical (주)엑스오비스
Priority to KR102022007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568A/ko
Publication of KR2023017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부, 디스플레이 공간을 가로지도록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축, 지지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지지축에 대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시키고,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AN APPARATUS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키네틱 아트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장, 공연장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지나는 공공장소에는 정보 전달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 벽면에 단일 또는 복수로 장착되어 있는데, 복수로 장착된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별적으로 영상을 출력하거나, 파노라마 형식으로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로지 영상 컨텐츠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유도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최근, 기계적인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입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키네틱 아트(Kinetic Art)를 이용한 조형물이나 구조물 등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타 장르의 미디어 아트와 결합하여 광고, 브랜드 홍보, 전시회, 공공조형물 및 공연 등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고정된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여 화면을 움직이게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특허 제2022-0046266호(공개일: 2022.04.14)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부 내측에 복수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이동시켜, 다채로운 영상 출력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키네틱 아트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부, 디스플레이 공간을 가로지도록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축, 지지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지지축에 대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시키고,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회전 구동부는, 지지축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게 복수로 구비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된 영상과 연동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에 영상 출력을 위한 화면이 구비되고, 후면에 반사판 또는 LED 모듈이 구비되며, 측면에 LED 모듈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지지축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지지축을 선택적으로 소정 간격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공간 내에서 지지축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부의 테두리 내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지지축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이동부재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지지축을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축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가이드홈은, 프레임부의 테두리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과, 제1 가이드홈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이동부재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지지축을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방향,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부 내측에 복수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영상 표현을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역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키네틱 아트(Kinetic Art)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축, 디스플레이 모듈 및 회전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를 통해 지지축을 승강시키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축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축(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 회전 구동부(14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레임부(110) 내측에 복수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다양한 영상 표현을 제공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이용한 키네틱 아트(Kinetic Art)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레임부(110), 복수의 지지축(120),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 복수의 회전 구동부(1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틀 형태로 형성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고, 틀 안쪽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의 프레임부(110)는 상부틀, 하부틀, 좌측부틀 및 우측부틀을 포함하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형 설계에 따라 사각틀 형태 이외에도 다각틀, 원형틀 또는 타원형틀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지지축(120)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프레임부(110) 내측의 디스플레이 공간(111)을 가로지도록 프레임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축(120)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일단이 프레임부(110)의 상부틀에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부(110)의 하부틀에 결합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11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110) 안쪽의 디스플레이 공간(111)에는 수직한 복수의 지지축(120)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지지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사각 패널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 이외의 다각 패널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전면에 영상 출력을 위한 화면이 구비되고, 후면은 무채색으로 형성되거나, 반사판 또는 LED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측면에도 반사판 또는 LED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각각의 지지축(120)에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10) 안쪽의 디스플레이 공간(111)에 복수로 배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두께가 지지축(120)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지지축(120)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관통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지지축(120)에 지지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회전 구동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모터와 기어 구조로 이루어져,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기어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구동부(140)는 지지축(120)의 둘레에 형성되는 고정기어(141)와, 고정기어(141)에 맞물리는 회동기어(142)와, 디스플레이 모듈(130) 내에 고정되고 회동기어(142)를 회전시켜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고정된 구동모터(143)가 회동기어(142)를 회전시키면, 회동기어(142)가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고정기어(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맞물려 이동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되고, 후면에 반사판이 구비되는 경우, 회전 구동부(140)를 통해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전방 쪽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노출시키거나 반사판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구동부(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일대일로 대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회전 구동부(140)는 후술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대응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시키고, 출력된 영상과 연동하여 복수의 회전 구동부(140)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미도시)는 프레임부(110)에 모듈형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회전 구동부(140)를 제어하거나, 외부의 서버로 형성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회전 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어부(미도시)는 프레임부(110)에 모듈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미도시)가 서버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제어부(미도시)와 통신하도록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회전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개별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출력하는 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 중 일부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일부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회전시켜 후면의 반사판(131)을 전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 중 일부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일부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며,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된 LED 모듈(132)을 동작시켜 시각적으로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레임부(110)에 지지축(120)을 소정 간격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150)를 통해 지지축(120)을 승강시키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부재(150)는 프레임부(110)에 내장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실린더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지지축(120)을 소정 간격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150)는 단일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축(120)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거나, 복수의 지지축(120)에 각각 구비되어 대응하는 지지축(1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승강부재(15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프레임부(110)의 디스플레이 공간(111)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축(120) 중에 홀수열에 배치된 지지축(120)을 일체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함께 상승시키고, 짝수열에 배치된 지지축(120)을 일체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함께 하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통한 키네틱 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이 구비된 지지축(220)이 프레임부(2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축(2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이동부재(221)가 구비될 수 있고, 프레임부(210)의 테두리 내측면에는 이동부재(22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프레임부(210)의 상부틀(210a)과 하부틀(210b)에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가이드홈(212)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축(220) 상단의 이동부재(221)는 상부틀(210a)에 형성된 가이드홈(212)에 결합되고, 지지축(220) 하단의 이동부재(221)는 하부틀(210b)에 형성된 가이드홈(2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재(221)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모터, 조향부 및 바퀴 등을 포함하여, 가이드홈(212)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220)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지지축(220)에 각각 구비된 이동부재(221)를 동작시켜, 프레임부(210)의 디스플레이 공간(211)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축(220)을 선택적으로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며 키네틱 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써, 지지축(220)의 상하단에 구비된 이동부재(221)를 통해, Y축 방향으로 지지축(220)의 상단은 후진시키고 지지축(220)의 하단은 전진시켜, 지지축(220)을 기울여지게 함으로써, 지지축(220)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기울어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축(220)은 텔레스코픽 구조에 의해 자유롭게 신장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시키고, 출력된 영상과 연동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에 구비된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다채로운 영상 표현과 함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회전 및 이동시켜 키네틱 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프레임부(210)의 좌측부틀(210c)과 우측부틀(210d)에도 가이드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부(210)의 좌측부틀(210c)과 우측부틀(210d)에는 Z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가이드홈(212)이 형성될 수 있고, Z축 방향의 가이드홈(212)은 상부틀(210a)과 하부틀(210b)에 형성된 X축 방향의 가이드홈(2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210)의 코너 쪽에 배치된 가이드홈(212)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지지축(220)에 구비된 이동부재(221)가 상부틀(210a), 하부틀(210b), 좌측부틀(210c) 및 우측부틀(210d)에 형성된 가이드홈(21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지지축(220)에 각각 구비된 이동부재(221)를 동작시켜, 프레임부(210)의 디스플레이 공간(211)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축(220)을 상부틀(210a), 하부틀(210b), 좌측부틀(210c) 및 우측부틀(210d)에 형성된 가이드홈(212)을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키네틱 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프레임부(210)의 디스플레이 공간(211)에서 지지축(220)을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30)의 배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200)는, 프레임부(110,210)에 설치되는 지지축(120,220)이 프레임부(110,2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축(120,2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30,230)도 지지축(120,22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110,210)에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0,230)이 배열된 지지축(120,220)을 분리하거나, 지지축(120,220)에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0,230)을 분리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230)을 이용한 연출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축(1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후면에는 지지축(120)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삽입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축(120)의 소정 위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베어링 구조의 지지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축(120)에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결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구비된 도어(133)를 개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삽입부에 지지축(120)을 삽입 배치시킨 후,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하단을 지지축(120)에 형성된 지지턱(121)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축(120) 상에 형성된 고정기어(141)가 디스플레이 모듈(130) 내측의 회동기어(142)와 맞물리게 되어, 구동모터(143)의 구동에 따라 지지축(12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133)를 닫아 지지축(120)에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축(12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분리할 때에는, 도어(133)를 개방하여 지지축(120) 상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의 테두리 내측면을 따라 X축 및 Z축 방향으로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홈과 교차하도록 Y축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축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이동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제1 가이드홈 또는 제2 가이드홈과 교차하는 사선 방향의 가이드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00)는, 프레임부(110,210) 내측에 복수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모듈(130,23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2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영상 표현을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0,230)을 역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키네틱 아트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2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210 : 프레임부
111,211 : 디스플레이 공간 120,220 : 지지축
130,230 : 디스플레이 모듈 140 : 회전 구동부
150 : 승강부재 212 : 가이드홈
221 : 이동부재

Claims (8)

  1. 디스플레이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디스플레이 공간을 가로지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시키고, 상기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게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출력된 영상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면에 영상 출력을 위한 화면이 구비되고, 후면에 반사판 또는 LED 모듈이 구비되며, 측면에 LED 모듈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지지축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지지축을 선택적으로 소정 간격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공간 내에서 상기 지지축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 내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일단 및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지지축을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지지축을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방향,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71894A 2022-06-14 2022-06-14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71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894A KR20230171568A (ko) 2022-06-14 2022-06-1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894A KR20230171568A (ko) 2022-06-14 2022-06-1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568A true KR20230171568A (ko) 2023-12-21

Family

ID=8932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894A KR20230171568A (ko) 2022-06-14 2022-06-1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5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266A (ko) 2020-10-07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266A (ko) 2020-10-07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4216B2 (ja) ローラ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155492B (zh) 用于车辆的显示装置
US7877910B2 (en) Display system
KR20090104135A (ko) 로봇 제어 디스플레이
JP2007268040A (ja) 遊技機用の可動式演出装置
US10319408B2 (en)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KR100780294B1 (ko)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US20200058238A1 (en) Visual display device
KR20140073791A (ko) 무빙 디스플레이장치
CN111473226A (zh) 一种多角度自适应调节式软件开发展示方法
JP2004191601A (ja) 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並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の使用方法
KR202301715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9188B1 (ko) 마네킹의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한 마네킹 전시부쓰
JP5892278B1 (ja) スクリーン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
CN106409144A (zh) 百变旋转屏
JP3160260U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8157946A (ja) 玩具用テーブル
KR101702211B1 (ko) 움직이는 간판
KR20150124492A (ko) 다중 광고판 장치
KR101074476B1 (ko) 이동식 멀티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52353B1 (ko) 스마트 픽셀 블라인드
CN218076373U (zh) 玩具的显示切换机构和玩具
KR2007006322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40006247A (ko) 트라이비젼
CN217153651U (zh) 一种旋转型三面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