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763A -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763A
KR20230170763A KR1020237039275A KR20237039275A KR20230170763A KR 20230170763 A KR20230170763 A KR 20230170763A KR 1020237039275 A KR1020237039275 A KR 1020237039275A KR 20237039275 A KR20237039275 A KR 20237039275A KR 20230170763 A KR20230170763 A KR 20230170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hake
substrate
driving memb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넝화 쉬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7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촬영 장치를 개시하며, 렌즈, 장착 프레임, 제1 구동부재,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 제2 구동부재 및 감광성 칩을 포함하며, 렌즈는 장착 프레임에 관통 설치되고, 제1 구동부재는 장착 프레임에 설치되며, 렌즈와 감광성 칩은 렌즈의 광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는 기판,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와 베이스를 포함하며, 기판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를 통해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감광성 칩과 제2 구동부재는 모두 기판에 설치되며, 이로써 제1 구동부재는 제2 구동부재를 통해 기판의 움직임을 구동하여, 나아가 감광성 칩은 기판에 따라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발명은 2021년 4월 15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110406243.5이고, 발명명칭이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전자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촬영 장치의 흔들림 방지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칩의 이동으로 흔들림 방지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렌즈 이동 방식으로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에 비해 칩의 부피가 더 작고 무게가 더 가벼우며, 칩의 이동을 구동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면 더 작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또한, 전체 흔들림 방지기구도 더 작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칩 이동 흔들림 방지 기술은 촬영 장치에 널리 사용되어, 촬영 장치가 촬영시의 흔들림 방지를 구현하도록 돕고, 이에 따라 촬영 장치가 경량화, 저전력화를 향해 발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는 칩 흔들림 방지 기술은 하드웨어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플렉서블 회로 기판)를 사용하여 칩을 연결하고 도통시키는데, 플렉서블 회로 기판은 자체 구조적 특성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전체 칩 흔들림 방지기구를 더 이상 축소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칩 흔들림 방지기구가 장착된 촬영 장치가 경량화, 소형화를 향해 더 발전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 출원은 촬영 장치의 흔들림 방지기구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은 촬영 장치를 제안함에 있어서, 렌즈, 장착 프레임, 제1 구동부재,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 제2 구동부재 및 감광성 칩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재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와 상기 감광성 칩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는 기판,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와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감광성 칩과 상기 제2 구동부재는 모두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재는 상기 제2 구동부재를 통해 상기 기판의 움직임을 구동하고, 상기 감광성 칩은 상기 기판에 따라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출원은 전자기기를 제안함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의 촬영 장치는 기판,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 및 베이스를 포함한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기판이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를 통해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감광성 칩과 제2 구동부재를 기판에 설치함으로써, 제1 구동부재가 제2 구동부재의 움직임을 구동할 때, 감광성 칩이 기판에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므로 흔들림 방지 목적을 달성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설계는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촬영 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이고 집적도를 높이며, 또한 촬영 장치를 탑재하는 전자기기가 경량화, 소형화를 향해 더 발전하게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며,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에 대한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단히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제1 구동부재의 장착 프레임에서의 장착 위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의 전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흔들림 방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I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기구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기구의 전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구동부재의 캐리어 프레임에서의 장착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전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구동부재의 전기전도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는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 및 해당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도 1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은 촬영 장치를 개시하며, 렌즈(200), 장착 프레임(400), 제1 구동부재(700),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 제2 구동부재(1000) 및 감광성 칩(1300)을 포함한다.
장착 프레임(400)은 촬영 장치의 관련 구성 요소에 대한 장착 기반을 제공할 수 있고, 렌즈(200)는 흔히 볼 수 있는 광각 렌즈 등과 같은 촬영 이미지 형성을 구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렌즈(200)는 장착 프레임(400)에 관통 설치될 수 있고, 제1 구동부재(700)는 장착 프레임(400)에 설치될 수 있다. 감광성 칩(1300)은 촬영 장치가 영상 촬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렌즈(200)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렌즈(200)와 감광성 칩(1300)은 렌즈(200)의 광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는 촬영 장치 촬영 시의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는 기판(1100),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 및 베이스(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100)은 감광성 칩(1300)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고, 베이스(1400)는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의 캐리어 기반이며, 베이스(1400)는 구체적으로 액정 고분자 폴리머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 구동부재(700)와 제2 구동부재(1000)의 상호 감합은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의 움직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기판(1100)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를 통해 베이스(14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감광성 칩(1300)과 제2 구동부재(1000)는 모두 기판(1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구동부재(700)가 제2 구동부재(1000)의 움직임을 구동할 때 제2 구동부재(1000)를 통해 구동력을 기판(1100)에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기판(1100)이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를 통해 베이스(1400)를 기준으로 움직이게 하고, 즉 제1 구동부재(700)는 제2 구동부재(1000)를 통해 기판(1100)의 움직임을 구동할 수 있으며, 감광성 칩(1300)은 기판(1100)에 따라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촬영 과정에서 촬영 장치의 흔들림 방지를 구현하고 더 나은 촬영 품질을 달성한다.
전술한 것을 종합하면, 본 출원은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의 설치, 그리고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를 설치하여 기판(1100)과 베이스(1400)를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의 전체 부피를 축소할 수 있어, 나아가 촬영 장치의 전체 부피를 줄이고 더 높은 집적도를 가지게 한다.
나아가, 촬영 장치는 필터(9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900)는 렌즈(200)와 감광성 칩(1300) 사이에 설치되고, 여광 역할을 발휘하여 촬영 장치에 의해 형성된 영상을 더 좋게 할 수 있다.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자체 탄성 변형을 통해 베이스(1400)에 대한 기판(1100)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부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기판(1100)과 베이스(140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링 또는 탄성 쿠션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1 연결부(1210),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 및 제2 연결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는 제1 리드(1221), 제1 벤딩부(1222) 및 제2 리드(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230), 제1 리드(1221), 제1 벤딩부(1222), 제2 리드(1223) 및 제1 연결부(121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1 연결부(1210)를 통해 베이스(1400)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2 연결부(1230)를 통해 기판(110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기판(1100)이 베이스(140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흔들림 방지 움직임이 필요할 때, 제1 리드(1221)와 제2 리드(1223) 사이의 협각이 변화하며, 제1 벤딩부(1222)는 이 협각 변화에 따라 만곡 변형하여 자신의 만곡 정도를 조정하고, 이 협각이 변화할 때 제1 리드(1221) 또는 제2 리드(1223)는 제1 벤딩부(1222) 주위의 요동을 일으키는데, 이 요동에 따라 기판(1100)도 제1 리드(1221)와 제2 리드(1223) 사이의 협각 변화에 따라 움직일 수 있어, 감광성 칩(1300)이 기판(1100)에 따라 움직이게 하고, 이로써 흔들림 방지 목적을 달성한다. 촬영이 끝나면 제1 벤딩부(1222)의 만곡 변형이 사라지고 제1 리드(1221)와 제2 리드(1223)가 초기 위치로 리셋되고, 마찬가지로 기판(1100)과 그 위의 감광성 칩(1300)도 초기 위치로 리셋된다.
더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400)에 장착홈을 미리 설치하여 제1 연결부(1210)를 베이스(1400)의 장착홈에 내장할 수 있으므로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와 베이스(1400) 사이의 연결이 더욱 견고해지며, 동시에 동일한 적층 높이 다중화를 구현하여 촬영 장치의 집적도를 높이고, 나아가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00)의 광축방향을 제3 방향(Z)으로 설정하고, 제1 리드(1221)를 제1 방향(X)을 따라 설치하고, 제2 리드(1223)를 제2 방향(Y)을 따라 설치한다. 렌즈(200)의 광축, 즉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의해 결정된 평면에 수직이므로,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움직임은 구체적으로 제3 방향(Z)에 수직인 평면에 위치한 이동이고, 이로써 감광성 칩(1300)의 움직임 경로를 제어하기 더 용이하다. 더 나아가,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둘씩 직교하여 3차원 좌표계를 구성하여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움직임 방향을 더 잘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3 리드(1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리드(1225)는 렌즈(200)의 광축에 평행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제2 리드(1223)의 제1 단은 제1 벤딩부(1222)에 연결되고, 제2 리드(1223)의 제2 단은 제3 리드(1225)를 통해 제1 연결부(1210)에 연결된다.
제3 리드(1225)의 설치는 기판(1100)에 대한 지지를 구현하고, 기판(1100)이 제3 리드(1225)를 통해 베이스(140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판(1100)이 베이스(1400)를 기준으로 부상 상태가 되게 하고, 또한, 렌즈(200), 감광성 칩(1300) 및 베이스(1400)는 렌즈(200)의 광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이로써 기판(1100)이 베이스(1400)를 기준으로 더 쉽게 움직일 수 있어, 나아가 감광성 칩(1300)의 더 효과적인 흔들림 방지를 구현한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2 벤딩부(1224) 및 제3 벤딩부(1226)를 더 포함한다. 제3 리드(1225)의 제1 단은 제2 벤딩부(1224)를 통해 제2 리드(1223)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제3 리드(1225)의 제2 단은 제3 벤딩부(1226)를 통해 제1 연결부(1210)에 연결된다.
이러한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의 다중 벤딩 설치는 제1 구동부재(700)가 기판(1100)의 움직임을 구동하는 경우, 제1 벤딩부(1222), 제2 벤딩부(1224) 및 제3 벤딩부(1226)를 모두 만곡 변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연결부(1210)와 제3 리드(1225) 사이, 제2 리드(1223)와 제3 리드(1225) 사이, 그리고 제1 리드(1221)와 제2 리드(1223) 사이의 협각이 모두 변화할 수 있어, 나아가 전술한 협각 변화에 따라 기판(1100)을 움직이게 하고, 이로써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를 더 용이하게 구현한다.
더 나아가, 기판(1100)은 회로 기판이 될 수 있고, 감광성 칩(1300)은 기판(1100)을 통해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로써 기판(1100)과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의 상호 감합은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광성 칩(1300)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어, 여러가지 용도를 구현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기판(1100)은 세라믹 재료로 제조할 수 있으며, 기판(1100)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전기전도를 구현하기 위해 배선을 설치한다.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 내부는 일반적으로 전기전도를 구현하기 위해 금속 재료를 설치하며,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기재층(1201)과 제1 전기전도층(120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재층(1201)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의 외부 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정형용 기초재료이고, 제1 전기전도층(1203)은 기재층(1201)에 의해 결정된 형상을 따라 설치되어 기재층(1201)에 위치한 배선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제1 전기전도층(1203)은 구리선층 등이다. 이로써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1 전기전도층(1203)을 통해 기판(1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나아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 기판(1100) 및 감광성 칩(1300)이 전기전도성 루프를 형성하여 감광성 칩(1300) 작동 시의 전력 공급을 구현한다.
더 나아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1 절연층(1202) 및 제2 절연층(12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204), 제1 전기전도층(1203), 제1 절연층(1202) 및 기재층(1201)은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된다. 제1 절연층(1202)의 설치는 제1 전기전도층(1203)과 기재층(1201)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절연층(1202)은 무기 비금속 절연 재료로 제조하며, 제2 절연층(1204)은 제1 전기전도층(1203)과 촬영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 사이의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절연층(1204)은 전기도금으로 처리된 절연 재료를 사용하여 제1 전기전도층(1203)에 부착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서, 제1 연결부(1210)에는 제1 도통부재(1211)가 설치되고, 제2 연결부(1230)에는 제2 도통부재(1231)가 설치된다. 제1 도통부재(1211)와 제2 도통부재(1231)는 모두 용접용 핀 피스로 설정될 수 있고, 용접 방식을 통해 제2 연결부(1230)가 제2 도통부재(1231)를 통해 기판(1100)에 연결되게 하고, 제1 연결부(1210)가 제1 도통부재(1211)를 통해 베이스(1400)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연결의 견고성을 강화한다. 동시에 제2 도통부재(1231)와 제1 도통부재(1211)는 모두 제1 전기전도층(1203)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제2 도통부재(1231)가 제1 전기전도층(1203)을 통해 제1 도통부재(1211)에 연결하게 하고, 이로써 외부 전기 에너지를 기판(1100)으로 인입하여, 나아가 감광성 칩(1300)의 정상적인 작동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230)는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의 렌즈(200)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기판(1100)의 렌즈(200)에서 멀어지는 일면은 제2 연결부(1230)와 연결된다. 이로써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와 기판(1100)에 의해 결정된 평면은 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이며, 이로써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함과 동시에 기판(1100)과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의 동일한 적층 높이의 다중화를 구현하고, 기판(1100)은 적층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촬영 장치의 집적도를 높이고 나아가 소형화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
더 나아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총 4개가 될 수 있으며, 4개의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각각 기판(1100)의 모퉁이에 설치되며, 이러한 레이아웃 구조에서 4개의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서로 견제하고 감합할 수 있음으로써 감광성 칩(1300)이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수행할 때 기판(1100)의 대각선을 따라 움직일 수 있으므로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움직임 경로를 더 잘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를 설치하여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보다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00) 촬영 과정에서의 줌 요구를 구현하기 위해 촬영 장치에는 초점맞춤 구동기구(P) 및 제3 구동부재(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초점맞춤 구동기구(P)는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캐리어 프레임(500) 및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 프레임(500)은 액정 고분자 폴리머로 제조할 수 있고, 캐리어 프레임(500)은 렌즈(200)의 줌 움직임에 대한 장착 기반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해서, 캐리어 프레임(500)은 렌즈(200)와 장착 프레임(400) 사이에 관통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프레임(500)과 렌즈(200) 사이에 접착제를 통한 접착 등 방식으로 상호 고정을 구현할 수 있다. 캐리어 프레임(500)은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및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를 통해 장착 프레임(400)에 탄성 연결되어 장착 프레임(400)을 기준으로 한 움직임을 구현하여, 나아가 렌즈(200)가 캐리어 프레임(500)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 프레임(400)에 연결된다.
제3 구동부재(600)와 제1 구동부재(700)의 상호 감합은 렌즈(200)의 줌 움직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제3 구동부재(600)는 캐리어 프레임(5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재(700)가 제3 구동부재(600)의 움직임을 구동하는 경우, 캐리어 프레임(500)은 제3 구동부재(600)에 따라 렌즈(200)의 광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고, 렌즈(200)는 캐리어 프레임(500)에 따라 초점맞춤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및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는 캐리어 프레임(500)의 움직임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또한 캐리어 프레임(500)의 움직임에 따라 만곡 변형할 수 있으며, 촬영이 끝나면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및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가 변형을 회복하고, 캐리어 프레임(500)은 이 변형의 회복에 따라 렌즈(200)가 리셋하도록 구동한다.
전술한 것을 종합하면, 본 출원에서 제1 구동부재(700)는 제2 구동부재(1000), 제3 구동부재(600)와 각각 감합하여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구동과 렌즈(200)의 줌 구동을 각각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구동부재(700)의 다중화를 구현하여, 나아가 집적도를 높이고 촬영 장치에 필요한 부피를 줄인다.
더 나아가,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및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는 모두 합금 타입의 스프링 편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및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는 각각 장착 프레임(400)의 기판(1100)에서 멀어지는 단면과 기판(1100)을 향하는 단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와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로 형성된 전체는 상하 양단을 끼워 캐리어 프레임(500)을 끼워 고정하거나,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와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는 캐리어 프레임(500)의 장착 프레임(400)의 틈새에 설치된 스프링 등이다.
구체적인 구동 방식 선택에 있어서, 제1 구동부재(700)를 자성체로, 제3 구동부재(600)와 제2 구동부재(1000)를 모두 전자 코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구동부재(700)와 제3 구동부재(600) 사이, 그리고 제1 구동부재(700)와 제2 구동부재(1000) 사이는 각각 전자기적으로 구동되어 렌즈(200)의 줌 구동과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구동을 구현한다. 물론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구동 방식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장착 프레임(400)의 기판(1100)을 향하는 일면에 홈을 설치하고, 자성체인 제1 구동부재(700)를 장착 프레임(400)에 내장할 수 있으며, 캐리어 프레임(500)의 주변부에 고리형 홈을 설치하고, 캐리어 프레임(500)을 둘러싸서 설치되도록 코일인 제3 구동부재(600)를 고리형 홈에 둘러서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이러한 설치 방식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본 출원의 장치의 집적도를 더욱 높인다.
더 나아가, 제2 구동부재(1000)는 총 4개이며, 각각 기판(1100)의 모퉁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재(700)도 총 4개이며, 제2 구동부재(1000)의 위치에 대응한다. 이로써
감광성 칩(1300)은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수행할 때, 받는 구동력이 더 안정적이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프레임(500) 내에 제1 가이드부(510)가 설치되고, 장착 프레임(400) 내에 제2 가이드부(410) 및 제3 가이드부(420)가 설치된다. 가이드부(510)는 캐리어 프레임(500)에 설치된 선통과홈이고, 제2 가이드부(410) 및 제3 가이드부(420)는 장착 프레임(400)에 설치된 플러그 핀일 수 있다. 장착 프레임(400)은 제3 가이드부(420)를 통해 베이스(1400)에 연결할 수 있어, 장착 프레임(400)과 베이스(1400)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구현한다.
제3 구동부재(600), 제1 가이드부(510),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제2 가이드부(410) 및 제3 가이드부(420)가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되어 전력 공급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제3 구동부재(600)에 인입하여, 나아가 렌즈(200)의 줌 움직임을 구현한다.
또한, 기판(1100)이 회로 기판이고 제2 구동부재(1000)가 전자 코일인 경우, 외부 전기 에너지는 순차적으로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와 기판(1100)을 통해 제2 구동부재(1000), 즉,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 기판(1100) 및 제2 구동부재(1000)로 형성된 전력 공급 루프에 전달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제2 구동부재(1000)에 인입하여, 나아가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두 가지 전력 공급 루프는 서로 독립적이고 상호 간섭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촬영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장치는 하우징(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합금 타입의 금속 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설치는 촬영 장치의 관련 구성 요소를 하우징으로 보호하여 방진 및 방수, 충돌 및 손상 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장착 프레임(400), 제1 구동부재(700), 제2 구동부재(1000) 및 감광성 칩(1300)은 모두 하우징(10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렌즈(2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고,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연결부(1210)는 하우징(100) 밖으로 연장할 수 있어, 제2 구동부재(1000)와 감광성 칩(1300)으로의 용이한 외부 전류 유입을 구현할 수 있음으로써, 감광성 칩(1300)의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구현하고 감광성 칩(1300)의 이미지 형성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더 나아가, 제1 리드(1221)와 제2 리드(1223)에는 모두 중공영역이 설치되며, 중공영역의 설치는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의 전체 무게를 줄이고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와 기판(1100) 사이의 방열을 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이 중공영역은 제1 리드(1221) 및 제2 리드(1223)에 설치된 관통구멍일 수 있으며, 또한 이 관통구멍은 각각 제1 리드(1221) 및 제2 리드(1223)의 길이방향, 즉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는 제1 리드(1221) 및 제2 리드(1223)의 전체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제1 전기전도층(1203)의 레이아웃 및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전자기기는 핸드폰, 태블릿 PC, 전자책 리더,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특정 유형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주지와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진행되는 임의의 수정, 균등의 대체물,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하우징, 200-렌즈,
P-초점맞춤 구동기구,
300-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 500-캐리어 프레임, 510-제1 가이드부, 800-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
400-장착 프레임, 410-제2 가이드부, 420-제3 가이드부,
600-제3 구동부재, 700-제1 구동부재, 900-필터, 1000-제2 구동부재,
Q-흔들림 방지 구동기구,
1100-기판, 1400-베이스,
1200-흔들림 방지 탄성부재,
1201-기재층, 1202-제1 절연층, 1203-제1 전기전도층, 1204-제2 절연층,
1210-제1 연결부, 1211-제1 도통부재, 1212-제1 연장부,
1220-탄성 흔들림 방지부, 1221-제1 리드, 1222-제1 벤딩부, 1223-제2 리드, 1224-제2 벤딩부, 1225-제3 리드, 1226-제3 벤딩부,
1230-제2 연결부, 1231-제2 도통부재,
1300-감광성 칩, X-제1 방향, Y-제2 방향, Z-제3 방향.

Claims (19)

  1. 촬영 장치에 있어서, 렌즈(200), 장착 프레임(400), 제1 구동부재(700),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 제2 구동부재(1000) 및 감광성 칩(1300)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200)는 상기 장착 프레임(400)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재(700)는 상기 장착 프레임(400)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200)와 상기 감광성 칩(1300)은 상기 렌즈(200)의 광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는 기판(1100),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와 베이스(1400)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1100)은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를 통해 상기 베이스(14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감광성 칩(1300)과 상기 제2 구동부재(1000)는 모두 상기 기판(1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재(700)는 상기 제2 구동부재(1000)를 통해 상기 기판(1100)의 움직임을 구동하고, 상기 감광성 칩(1300)은 상기 기판(1100)에 따라 흔들림 방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1 연결부(1210),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 및 제2 연결부(123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는 제1 리드(1221), 제1 벤딩부(1222) 및 제2 리드(122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1230), 상기 제1 리드(1221), 상기 제1 벤딩부(1222), 상기 제2 리드(1223) 및 상기 제1 연결부(1210)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상기 제1 연결부(1210)를 통해 상기 베이스(1400)에 연결되고,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상기 제2 연결부(1230)를 통해 상기 기판(110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부재(700)가 상기 기판(1100)의 움직임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리드(1221)와 상기 제2 리드(1223) 사이의 협각이 변화하고, 상기 제1 벤딩부(1222)는 만곡 변형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판(1100)은 상기 제1 리드(1221)와 상기 제2 리드(1223) 사이의 협각 변화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1221)는 제1 방향(X)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2 리드(1223)를 제2 방향(Y)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렌즈(200)의 광축은 상기 제1 방향(X) 및 상기 제2 방향(Y)에 의해 결정된 평면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3 리드(12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리드(1225)는 상기 렌즈(200)의 광축에 평행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2 리드(1223)의 제1 단은 상기 제1 벤딩부(12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리드(1223)의 제2 단은 상기 제3 리드(1225)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1210)에 연결되며, 상기 기판(1100)은 상기 제3 리드(1225)를 통해 상기 베이스(140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렌즈(200), 상기 감광성 칩(1300) 및 상기 베이스(1400)는 상기 렌즈(200)의 광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2 벤딩부(1224) 및 제3 벤딩부(12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리드(1225)의 제1 단은 상기 제2 벤딩부(1224)를 통해 상기 제2 리드(1223)의 제2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리드(1225)의 제2 단은 상기 제3 벤딩부(1226)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12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부재(700)가 상기 기판(1100)의 움직임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벤딩부(1224) 및 상기 제3 벤딩부(1226)는 모두 만곡 변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1210) 및 상기 제2 리드(1223)는 각각 상기 제3 리드(1225)와의 협각이 모두 변화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100)은 상기 제3 리드(1225)와 상기 제1 연결부(1210) 사이의 협각 변화, 및/또는 상기 제3 리드(1225)와 상기 제2 리드(1223) 사이의 협각 변화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100)은 회로 기판이고, 상기 감광성 칩(1300)은 상기 기판(1100)을 통해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기재층(1201)과 제1 전기전도층(1203)을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상기 제1 전기전도층(1203)을 통해 상기 감광성 칩(1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제1 절연층(1202) 및 제2 절연층(120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절연층(1204), 상기 제1 전기전도층(1203), 상기 제1 절연층(1202) 및 상기 기재층(1201)은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1210)에는 제1 도통부재(12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1230)에는 제2 도통부재(123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1230)는 상기 제2 도통부재(1231)를 통해 상기 기판(110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도통부재(1231)는 상기 제1 전기전도층(1203)을 통해 상기 제1 도통부재(12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초점맞춤 구동기구(P) 및 제3 구동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초점맞춤 구동기구(P)는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캐리어 프레임(500) 및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은 상기 렌즈(200)와 상기 장착 프레임(400) 사이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은 상기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및 상기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를 통해 상기 장착 프레임(400)에 탄성 연결되며, 상기 렌즈(200)는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을 통해 상기 장착 프레임(4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구동부재(600)는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재(700)가 상기 제3 구동부재(600)의 움직임을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은 상기 제3 구동부재(600)에 따라 상기 렌즈(200)의 광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렌즈(200)는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에 따라 초점맞춤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및 상기 제2 초점맞춤 탄성부재(800)는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의 움직임에 따라 만곡 변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700)는 자성체이고, 상기 제3 구동부재(600)와 상기 제2 구동부재(1000)는 모두 전자 코일이며,
    상기 제1 구동부재(700)와 상기 제3 구동부재(600)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구동부재(700)와 상기 제2 구동부재(1000) 사이는 각각 전자기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재(1000)는 총 4개이며, 각각 상기 기판(1100)의 모퉁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재(700)도 총 4개이며, 상기 제2 구동부재(10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재(600)는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을 둘러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500) 내에 제1 가이드부(510)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프레임(400) 내에 제2 가이드부(410) 및 제3 가이드부(420)가 설치되고,
    상기 제3 구동부재(600), 상기 제1 가이드부(510), 제1 초점맞춤 탄성부재(300), 상기 제2 가이드부(410) 및 상기 제3 가이드부(420)가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400)은 상기 제3 가이드부(420)를 통해 상기 베이스(14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프레임(400), 상기 제1 구동부재(700), 상기 제2 구동부재(1000) 및 상기 감광성 칩(1300)은 모두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2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흔들림 방지 구동기구(Q)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1230)는 상기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의 상기 렌즈(200)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1100)의 상기 렌즈(200)에서 멀어지는 일면은 상기 제2 연결부(1230)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 흔들림 방지부(1220) 및 상기 기판(1100)에 의해 결정된 평면은 상기 렌즈(200)의 광축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총 4개이며, 4개의 상기 흔들림 방지 탄성부재(1200)는 각각 상기 기판(1100)의 모퉁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1221)와 상기 제2 리드(1223)에는 모두 중공영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9.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37039275A 2021-04-15 2022-04-11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 KR202301707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406243.5A CN113114901B (zh) 2021-04-15 2021-04-15 拍摄装置及电子设备
CN202110406243.5 2021-04-15
PCT/CN2022/086138 WO2022218261A1 (zh) 2021-04-15 2022-04-11 拍摄装置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763A true KR20230170763A (ko) 2023-12-19

Family

ID=7671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275A KR20230170763A (ko) 2021-04-15 2022-04-11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40252A1 (ko)
EP (1) EP4325834A1 (ko)
KR (1) KR20230170763A (ko)
CN (1) CN113114901B (ko)
WO (1) WO2022218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4901B (zh) * 2021-04-15 2022-08-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装置及电子设备
CN113489890B (zh) * 2021-08-03 2023-06-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装置以及电子设备
CN115190246A (zh) * 2022-08-01 2022-10-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装置和电子设备
CN117979141A (zh) * 2022-10-20 2024-05-03 西安欧珀通信科技有限公司 摄像组件、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6347210B (zh) * 2023-05-31 2023-08-08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水下桥墩拍摄的稳定调焦摄像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56945U (zh) * 2014-07-28 2015-02-11 惠州友华微电子科技有限公司 光学防抖摄像头电机回路结构
CN107529015B (zh) * 2017-09-12 2019-12-31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防抖摄像模组
CN108174078A (zh) * 2018-03-14 2018-06-15 欧菲影像技术(广州)有限公司 摄像模组及其线路板机构
CN210573119U (zh) * 2019-11-05 2020-05-19 深圳市世尊科技有限公司 摄像模组、摄像装置
CN110780507A (zh) * 2019-11-05 2020-02-11 深圳市世尊科技有限公司 可防抖的摄像模组、摄像装置
CN211266979U (zh) * 2020-03-19 2020-08-14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11654603B (zh) * 2020-05-27 2021-1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装置、电子设备及拍摄装置的控制方法
CN112468732A (zh) * 2020-12-13 2021-03-09 辽宁中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摄像头用四轴防抖音圈电机
CN113114896B (zh) * 2021-04-13 2022-07-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组件和电子设备
CN113114901B (zh) * 2021-04-15 2022-08-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5834A1 (en) 2024-02-21
CN113114901A (zh) 2021-07-13
US20240040252A1 (en) 2024-02-01
WO2022218261A1 (zh) 2022-10-20
CN113114901B (zh)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70763A (ko) 촬영 장치 및 전자기기
US11696032B2 (en) Camera device with OIS function by moving an image sensor and optical instrument
US20140071304A1 (en) Camera module
US11493727B2 (en) Optical system
KR102498382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US11693213B2 (en) Optical system
CN112162449A (zh)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KR102642008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102642007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N215264192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CN211123575U (zh)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CN110941128A (zh)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CN114257726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216291132U (zh) 镜头安装结构、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213122545U (zh)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KR20220081574A (ko) 카메라 장치
WO2022147839A1 (zh) 线路板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218162619U (zh) 防抖装置、摄像设备及移动终端
KR20140116737A (ko) 카메라 모듈
CN218217524U (zh) 镜头安装结构、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7204028B1 (ja) レンズモジュールと電子機器
CN113949792B (zh) 具有云台的摄像模组
KR2022009355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2014800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CN115623303A (zh) 防抖装置、摄像设备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