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509A -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509A
KR20230170509A KR1020220071077A KR20220071077A KR20230170509A KR 20230170509 A KR20230170509 A KR 20230170509A KR 1020220071077 A KR1020220071077 A KR 1020220071077A KR 20220071077 A KR20220071077 A KR 20220071077A KR 20230170509 A KR20230170509 A KR 20230170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main
insertion portion
housing
powe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총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07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509A/ko
Publication of KR2023017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는, 고전압 릴레이조립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결합부에 각각 구비되고, 와이어링유닛을 통해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에 연결되는 메인 버스바와,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인터락결합부에 각각 구비되고, 와이어링유닛을 통해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에 연결되는 인터락 핀과, 메인 버스바와 인터락 핀에 결합되고, 외부유닛에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INTERLOCK DEVICE OF POWER RELAY BOX}
본 발명은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전압 커넥터의 메인단자를 인터락단자에 비해 더 돌출시켜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 결합시 메인단자와 먼저 접촉한 후 인터락의 후행 결합을 통해 인터락의 체결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의 연결을 허가하거나,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서 분리시 인터락이 먼저 분리된 후 메인단자의 후행 분리를 통해 인터락의 분리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를 차단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 체결시 메인단자의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spark)를 방지하여 안전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릴레이박스(PRA, power relay box)는 배터리팩에 장착되는 박스류 부품으로서, 배터리팩의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콘트롤(ON/OFF)하고, 전류량, 온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워 릴레이박스는 일측에 배터리팩의 플러스(+) 전원과 마이너스(-) 전원이 각각 연결되고, 타측에 외부유닛(졍션블록을 포함)과 연결되는 인버터 플러스(INV+) 전원과 인버터 마이너스(INV-) 전원을 구비하면서 전기가 흐르도록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워 릴레이박스에는 인터락(INTERLOCK) 구조가 없어서 커넥터의 체결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여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시 메인단자의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안전에 관한 문제점을 갖는다. 인터락 회로는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여부를 전류의 흐름을 통해 확인하고 릴레이의 차단과 작동을 허가하는 기능으로서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에 대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82372호(2017.01.10, 발명의 명칭: 파워릴레이 어셈블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파워 릴레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전압 커넥터의 메인단자를 인터락단자에 비해 더 돌출시켜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 결합시 메인단자와 먼저 접촉한 후 인터락의 후행 결합을 통해 인터락의 체결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의 연결을 허가하거나,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서 분리시 인터락이 먼저 분리된 후 메인단자의 후행 분리를 통해 인터락의 분리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를 차단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 체결시 메인단자의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spark)를 방지하여 안전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는, 고전압 릴레이조립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결합부에 각각 구비되고, 와이어링유닛을 통해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에 연결되는 메인 버스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인터락결합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링유닛을 통해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에 연결되는 인터락 핀; 및 상기 메인 버스바와 상기 인터락 핀에 결합되고, 외부유닛에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상기 외부유닛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메인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버스바에 결합되는 메인 단자홈이 구비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인터락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인터락 핀에 결합되는 인터락 단자홈이 구비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2삽입부에 비해 상기 본체부에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2삽입부에 비해 더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 결합시, 상기 제1삽입부의 메인 단자홈이 상기 메인 버스바와 선행 결합한 후, 상기 제2삽입부의 인터락 단자홈이 상기 인터락 핀과 후행 결합을 통해 인터락회로의 체결신호를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고 전류의 복귀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의 릴레이를 후행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 분리시, 상기 제2삽입부의 인터락 단자홈이 상기 인터락 핀과 선행 분리되어 인터락회로의 분리신호를 BMS에 전달하고 전류의 미복귀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의 릴레이를 선행 차단한 후, 상기 제1삽입부의 메인 단자가 상기 메인 버스바와 후행 분리되므로, 상기 제1삽입부의 메인단자가 상기 메인 버스바와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하여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핀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바디부에 몰딩 형성되고,
상기 인터락 핀의 하단부는 상기 와이어링유닛에 구비되는 연결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메인결합부에 체결시 슬라이드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안내부는, 상기 제1삽입부의 상면에 슬롯홈부를 갖도록 한 쌍 돌출 형성되는 슬롯돌기; 상기 메인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삽입부가 상기 메인결합부에 체결시 상기 슬롯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슬롯돌기의 진입을 안내하는 안내돌기; 상기 제1삽입부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진입홈부; 및 상기 진입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결합부의 바닥에 구비되는 진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인터락결합부에 체결시 밀착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밀착 안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전압 커넥터의 메인단자를 인터락단자에 비해 더 돌출시켜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 결합시 메인단자와 먼저 접촉한 후 인터락의 후행 결합을 통해 인터락의 체결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의 연결을 허가하거나,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서 분리시 인터락이 먼저 분리된 후 메인단자의 후행 분리를 통해 인터락의 분리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를 차단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 체결시 메인단자의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spark)를 방지하여 안전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 체결시 슬라이드안내부와 밀착안내부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지 않는 견고한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가 배터리팩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분리 상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분리 상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제1삽입부의 선행 결합과 제2삽입부의 후행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제2삽입부의 선행 분리와 제1삽입부의 후행 분리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에 의한 BMS를 통한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의 릴레이 연결허가 및 차단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가 배터리팩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분리 상태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분리 상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제1삽입부의 선행 결합과 제2삽입부의 후행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제2삽입부의 선행 분리와 제1삽입부의 후행 분리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에서, 고전압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에 의한 BMS를 통한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의 릴레이 연결허가 및 차단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는, 하우징(100), 메인 버스바(200), 인터락 핀(300), 고전압 커넥터(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하우징(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를 포함한 여러 수용 부품을 고정하는 상태로 체결한다.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는 후술하는 고전압 커넥터(400)를 하우징(100)에 삽입 및 분리시, 인터락회로를 통해 연결되거나 차단된다. 이러한 인터락회로는 후술하는 고전압 커넥터(400)의 인터락 단자홈(432)이 하우징(100)에 구비된 인터락 핀(300)에 체결되면, BMS(142,배터리 관리 시스템, 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전류를 보내면 고전압 커넥터의 인터락회로를 거쳐 보낸 전류의 복귀를 확인한 후 릴레이(144)를 통해 고전압 작동을 허가(ON)하거나, 인터락회로를 거쳐 보낸 전류의 복귀가 없다면 릴레이(144)를 통해 안전을 위해 고전압 작동을 차단(OFF)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때, BMS(142,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팩(10)의 설정 위치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 또는 차량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는 배터리팩(10)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하우징(100)은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와 와이어링유닛(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바닥을 커버하는 하부커버(120)와, 몸체부(110)에 걸림 결합되고,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를 덮어주는 상부커버(130)를 포함한다.
메인 버스바(2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결합부(210)에 각각 구비되고, 와이어링유닛(220)을 통해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메인 버스바(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양극과 음극별로 각각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고전압 커넥터(400)는 양극 메인 버스바(200)와 음극 메인 버스바(200)에 별물로 상호 분리되어 일극체계로 2개 구비되어 양극 메인 버스바(200)와 음극 메인 버스바(200)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고전압 커넥터(400)는 양극 메인 버스바(200)와 음극 메인 버스바(200)에 이극체계로 일체형으로 1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2개의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400)의 경우 양극과 음극을 갖는 인터락회로 연결부가 2개 구비되고, 1개의 일체형 고전압 커넥터(400)의 경우 양극과 음극을 갖는 인터락 체결부가 1개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극 고전압 커넥터(400)에 인터락 체결부를 갖고, 음극 고전압 커넥터(400)에 인터락 체결부를 별도로 각각 갖는 일극체계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인터락 핀(300)은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인터락결합부(310)에 각각 구비되고, 와이어링유닛(220)을 통해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인터락 핀(300)은 양극과 음극으로 한 쌍씩 구비된다.
인터락 핀(300)은 양극 고전압 커넥터(400)와 음극 고전압 커넥터(400)에 양극과 음극으로 한 쌍씩 구비된다. 이는 양극 메인 버스바(200)에 체결되는 양극 고전압 커넥터(400)와, 음극 메인 버스바(200)에 체결되는 음극 고전압 커넥터(400)에 일극체계로서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상호 별개로 연결 또는 차단시켜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고전압 커넥터(400)는 메인 버스바(200)와 인터락 핀(300)에 결합되고, 외부유닛(2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외부유닛(20)은 차량에 전원을 분배하는 고전압 졍션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커넥터(400)는, 외부유닛(20)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410)와, 본체부(410)에 구비되고, 한 쌍의 메인결합부(210)에 삽입되어 메인 버스바(200)에 결합되는 메인 단자홈(422)이 구비되는 제1삽입부(420)와, 본체부(410)에 구비되고, 한 쌍의 인터락결합부(310)에 삽입되어 인터락 핀(300)에 결합되는 인터락 단자홈(432)이 구비되는 제2삽입부(430)를 포함한다.
제1삽입부(420)는 사각형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메인결합부(210)에 각각 삽입된다. 제2삽입부(430)는 제2삽입부(420)에 비해 훨씬 작은 사각형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인터락결합부(310)에 삽입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삽입부(420)는 제2삽입부(430)에 비해 본체부(410)에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우징(100)에 삽입시 제1삽입부(420)는 제2삽입부(430)에 비해 먼저 삽입되고, 제2삽입부(430)는 후행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100)에서 분리시 제2삽입부(430)는 선행 분리되고, 제1삽입부(420)는 제2삽입부(430)에 비해 나중에 후행 분리된다.
이와 같이, 제1삽입부(420)를 본체부(410)에서 제2삽입부(430)에 비해 더 돌출 형성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400)의 하우징(100) 결합시, 제1삽입부(420)의 메인 단자홈(422)이 메인 버스바(200)와 선행 결합한 후, 제2삽입부(430)의 인터락 단자홈(432)이 인터락 핀(300)과 후행 결합을 통해 인터락회로의 체결신호를 BMS(142,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고 전류의 복귀를 확인하여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의 릴레이(144)의 후행 연결을 허가(ON)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커넥터(400)의 하우징(100) 분리시, 제2삽입부(430)의 인터락 단자홈(432)이 인터락 핀(300)과 선행 분리되어 인터락회로의 분리신호를 BMS(142)에 전달하고 전류의 미복귀를 확인하여 안전을 의해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의 릴레이(144)를 선행 차단(OFF)한 후, 제1삽입부(410)의 메인 단자홈(422)이 메인 버스바(200)와 후행 분리되므로, 인터락회로를 통한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의 릴레이(144)의 연결허가와 차단을 통해 제1삽입부(420)의 메인단자홈(422)이 메인 버스바(200)와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spark)를 미연에 방지하여 회로를 보호하고, 차량을 점검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즉, 도 7를 참조하면, 고전압 커넥터(400)의 하우징(100)에 삽입시, 메인단자홈(422)이 메인 버스바(200)와 선행 결합한 후, 인터락단자홈(432)이 인터락 핀(300)에 후행 결합하는 경우, 메인단자홈(422)이 메인 버스바(200)와 반드시 결합이 이루어져 불완전 접속에 의한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고전압 커넥터(400)의 하우징(100)에 분리시, 인터락단자홈(432)이 인터락 핀(300)에 선행 분리하는 경우, 인터락회로를 통해 고전압 릴레이조립체(140)의 릴레이(144)를 미리 차단(OFF)시킨 후, 메인단자홈(422)을 메인 버스바(200)에서 후행 분리함으로써, 메인 버스바(200)의 연결을 미리 차단시켜 메인 버스바(200)와 메인단자홈(422) 간의 불완전 접속에 의한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인터락 핀(300)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바디부(320)에 몰딩 형성된다. 인터락 핀(300)의 하단부는 와이어링유닛(220)에 구비되는 연결소켓(330)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바디부(320)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바디부(320)는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삽입부(420)는 메인결합부(210)에 체결시 슬라이드안내부(500)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 결합된다.
슬라이드안내부(210)는, 제1삽입부(420)의 상면에 슬롯홈부(512)를 갖도록 한 쌍 돌출 형성되는 슬롯돌기(510)와, 메인결합부(210)에 구비되고, 제1삽입부(420)가 메인결합부(210)에 체결시 슬롯홈부(512)에 끼워지면서 슬롯돌기(510)의 진입을 안내하는 안내돌기(520)와, 제1삽입부(420)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진입홈부(530)와, 진입홈부(530)에 삽입되도록 메인결합부(210)의 바닥에 구비되는 진입돌기(540)를 포함한다.
제1삽입부(420)는 메인결합부(210)에 체결시, 메인결합부(21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된 안내돌기(520)에 제1삽입부(42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슬롯홈부(422)가 끼워지면서, 슬롯홈부(420의 양측에 돌출된 슬롯돌기(510)가 메인결합부(210)의 내측 상면 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연이어, 메인결합부(210)의 내측 하면에 돌출된 진입돌기(540)에 제1삽입부(420)의 진입홈부(530)가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고전압 커넥터(400)의 제1삽입부(420)의 체결이 완료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삽입부(430)는 인터락결합부(310)에 체결시 밀착안내부(600)에 의해 슬라이드 밀착 안내 결합된다.
밀착안내부(600)는, 제2삽입부(43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제2삽입부(430)가 인터락결합부(310)에 결합시 진입이 이루어질수록 제2삽입부(430)의 좌우측을 밀착 안내하는 좌우밀착돌부(610)와, 제2삽입부(430)의 상하 양측에 구비되어 제2삽입부(430)의 인터락결합부(310) 결합시 진입이 이루어질수록 제2삽입부(430)의 상하측을 밀착 안내하는 상하밀착돌부(620)를 포함한다.
좌우밀착돌부(610)는 제2삽입부(430)의 좌우 양측에서 본체부(410)로 갈수록 좌우측으로 점차 확장된다, 이는 제2삽입부(430)가 진입이 이루어질수록 좌우밀착돌부(610)의 좌우측으로 확장된 부위가 인터락결합부(310)의 내부 좌우양측면에 점차 더욱더 밀착됨으로써, 제2삽입부(43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긴밀한 체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하밀착돌부(620)는 제2삽입부(430)의 상하 양측에서 본체부(410)로 갈수록 상하측으로 점차 확장된다. 이는 제2삽입부(430)가 진입이 이루어질수록 상하밀착돌부(620)의 상하측으로 확장된 부위가 인터락결합부(310)의 내부 상하측면에 점차 더욱더 밀착됨으로써, 제2삽입부(43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긴밀한 체결을 제공할 수 있다.
좌우밀착돌부(610)와 상하밀착돌부(630)의 길이(b)는 제2삽입부(430)의 본체부(410)로 부터 전체 길이(a)의 65~80% 지점에서 돌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전압 커넥터의 메인단자를 인터락단자에 비해 더 돌출시켜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 결합시 메인단자와 먼저 접촉한 후 인터락의 후행 결합을 통해 인터락의 체결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의 연결을 허가하거나,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서 분리시 인터락이 먼저 분리된 후 메인단자의 후행 분리를 통해 인터락의 분리신호를 전달하여 릴레이를 차단함으로써, 고전압 커넥터 체결시 메인단자의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spark)를 방지하여 안전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를 하우징에 체결시 슬라이드안내부와 밀착안내부를 이용하여 분리가 용이하지 않는 견고한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팩 20: 외부유닛
100: 하우징 110: 몸체부
120: 하부커버 130: 상부커버
140: 고전압 릴레이조립체 142: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144: 릴레이 200: 메인 버스바
210: 메인결합부 220: 와이어링유닛
300: 인터락 핀 310: 인터락결합부
320: 바디부 330: 연결소켓
400: 고전압 커넥터 410: 본체부
420: 제1삽입부 420: 메인단자홈
430: 제2삽입부 432: 인터락단자홈
500: 슬라이드안내부 510: 슬롯돌기
512: 슬롯홈부 520: 안내돌기
530: 진입홈부 540: 진입돌기
600: 밀착안내부 610: 좌우밀착돌부
620: 상하밀착돌부

Claims (8)

  1. 고전압 릴레이조립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결합부에 각각 구비되고, 와이어링유닛을 통해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에 연결되는 메인 버스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인터락결합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링유닛을 통해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에 연결되는 인터락 핀; 및
    상기 메인 버스바와 상기 인터락 핀에 결합되고, 외부유닛에 연결되는 고전압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커넥터는,
    상기 외부유닛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메인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버스바에 결합되는 메인 단자홈이 구비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인터락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인터락 핀에 결합되는 인터락 단자홈이 구비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2삽입부에 비해 상기 본체부에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제2삽입부에 비해 더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 결합시, 상기 제1삽입부의 메인 단자홈이 상기 메인 버스바와 선행 결합한 후, 상기 제2삽입부의 인터락 단자홈이 상기 인터락 핀과 후행 결합을 통해 인터락회로의 체결신호를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고 전류의 복귀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의 릴레이를 후행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고전압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 분리시, 상기 제2삽입부의 인터락 단자홈이 상기 인터락 핀과 선행 분리되어 인터락회로의 분리신호를 BMS에 전달하고 전류의 미복귀를 확인하여 상기 고전압 릴레이조립체의 릴레이를 선행 차단한 후, 상기 제1삽입부의 메인 단자가 상기 메인 버스바와 후행 분리되므로,
    상기 제1삽입부의 메인단자가 상기 메인 버스바와 불완전한 접속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하여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핀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바디부에 몰딩 형성되고,
    상기 인터락 핀의 하단부는 상기 와이어링유닛에 구비되는 연결소켓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메인결합부에 체결시 슬라이드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안내부는,
    상기 제1삽입부의 상면에 슬롯홈부를 갖도록 한 쌍 돌출 형성되는 슬롯돌기;
    상기 메인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삽입부가 상기 메인결합부에 체결시 상기 슬롯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슬롯돌기의 진입을 안내하는 안내돌기;
    상기 제1삽입부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는 진입홈부; 및
    상기 진입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결합부의 바닥에 구비되는 진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인터락결합부에 체결시 밀착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밀착 안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KR1020220071077A 2022-06-10 2022-06-10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KR20230170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077A KR20230170509A (ko) 2022-06-10 2022-06-10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077A KR20230170509A (ko) 2022-06-10 2022-06-10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509A true KR20230170509A (ko) 2023-12-19

Family

ID=8938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077A KR20230170509A (ko) 2022-06-10 2022-06-10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5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4054B (zh) 熔断器连接器组件
US8657621B2 (en) Connector apparatus
JP4226797B2 (ja) 電気接続箱
US20120231644A1 (en) Vehicle charge cable socket connector
EP3591769B1 (en) Connector device
US20130244508A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KR20190057883A (ko) 정션 블록
JP2006012842A (ja)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1688979B2 (en) Connector assembly
US8414334B2 (en) Holder-mounting structure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KR20180005633A (ko) 차량용 커넥터
KR20230170509A (ko)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KR101720617B1 (ko) 인터락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WO2020100731A1 (ja) コネクタ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US11417982B2 (en) Connector
KR102302286B1 (ko) 커넥터
CN107634379B (zh) 连接器
US8079866B2 (en) Receiving device for accommodating a connector
KR102264938B1 (ko) 차량용 전기 접속장치
JP5479160B2 (ja) 充電コネクタの共用構造
KR102302288B1 (ko) 커넥터
US9773631B2 (en) Power circuit interrupting device
KR102077011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