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498A -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498A
KR20230170498A KR1020220071052A KR20220071052A KR20230170498A KR 20230170498 A KR20230170498 A KR 20230170498A KR 1020220071052 A KR1020220071052 A KR 1020220071052A KR 20220071052 A KR20220071052 A KR 20220071052A KR 20230170498 A KR20230170498 A KR 2023017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address
delivery address
service support
simpl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현
백대현
장희라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220071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498A/ko
Priority to PCT/KR2023/007851 priority patent/WO2023239173A1/ko
Priority to KR1020230137102A priority patent/KR20230170608A/ko
Publication of KR2023017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서버는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를 간략화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server,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upporting delivery service by providing simplified shipping address}
본 발명은 배송 기사의 배송 업무를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 쇼핑몰, TV 홈쇼핑 등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의 활성화로 물류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물류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인 물류의 흐름을 단계적으로 구분하면 "픽업 단계", "집화 처리 단계", "간선상차 단계", "간선하차 단계", "배송 출고 단계", "배송 완료 단계"로 구성된다. 이 경우, 운송장은 상술한 "픽업 단계"에 부착된다.
운송장이 부착된 상품은 지역 별, 배송기사 별 분류를 위하여 적어도 2~3 회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고, 컨베이어 이송 과정에서 바코드 인식 및 영상 촬영 등이 수행된다.
한편, 물류 회사는 배송 기사에게 배송 상품이 전달되기까지 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배송 기사에게 배송 상품이 전달된 이후 배송 기사의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상황이다.
배송 기사는 "배송 출고"부터 최종적으로 상품이 수취인(받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배송 완료"까지 각각의 과정에서 배송 주소에 따라 배송 상품의 분류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류 과정에서, 배송 기사는 운송장을 확인하여 배송 상품들의 배송 주소를 식별하였는데, 운송장에는 기입되는 정보들이 많아 운송장을 통해 배송 상품들의 배송 주소를 식별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배송 주소 식별을 위한 방안들의 예시로, 도 1(a)는 배송 기사가 배송 주소의 식별을 위하여 배송 상품의 박스에 수기로 배송 주소를 간략하게 기재한 예시이다. 즉, 운송장에 기재된 배송 주소는 '가나아파트 101동 305호'인데, 운송장에 표시된 배송 주소의 가독성이 좋지 않아서, 배송 기사가 자신이 확인 가능한 형태인 '가 101-305'로 간략하고 크게 배송 상품의 박스에 수기로 기록한 것이다.
또한, 도 1(b)는 운송장 내의 배송 주소의 문자 크기를 다른 정보 대비 상대적으로 크게 인쇄하여 배송 기사의 배송 주소에 대한 가독성을 높인 예시이다.
다만, 도 1(a)의 방안은 배송 주소의 간략화에 대한 체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배송 기사의 수기 기록에 의존하기 때문에 배송 업무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성자 본인 외에는 식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b)의 방안은 배송 주소의 일부 문자 크기만을 크게 한 것으로 배송 주소가 여전히 다른 정보들과 혼재되어 있어, 배송 기사의 가독성과 식별성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10-2205637(등록일 : 2021년 1월 15일)(이하, 선행 특허 문헌 1)는"택배 물품에 부착된 운송장에서 배송지 주소를 큰 글씨 또는 두꺼운 글씨 등 가독성, 가시성 좋은 약칭으로 제공하여, 택배 기사가 택배 물품의 상세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분류할 수 있는 발명"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일 예로, 배송 주소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228번길 6 내설악아파트 120-103"에 대하여 약칭 주소로 "내설악 아파트 102동 103호"를 생성하는 발명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다만, 선행 특허 문헌 1에서 제안하는 약칭 주소는 건물의 용도 별로 특징이 되는 단어(대표 명칭)와 상세 주소(예, 동, 호수 등)로 구성된 것으로 배송 주소의 간략화로 볼 수는 있으나, 다수의 문자로 구성되어 약칭 주소에 담고 있는 정보의 양이 많기에, 하루에 150 ~ 200 건의 배송을 수행하는 배송 기사의 입장에서는 배송 주소의 가독성과 배송 주소의 식별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한정된 크기의 운송장에 약칭 주소를 나타내는 많은 글자들을 확대해야 하기에 글자 크기에 제약이 있고, 동시에 글자의 크기가 커지는 문자열로 인하여 가독성 과 식별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배송 주소로부터 자동으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배송 기사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서버는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를 간략화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단말은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에 대하여 간략화 된 간략 배송 주소 및 상기 간략 배송 주소를 수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의 배송 업무 지원 방법은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를 간략화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배송 업무 지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기사는 영업소에 속한 지역의 행정동을 담당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위치한 건물, 아파트, 도로명, 지번 등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송 기사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배송 기사가 식별 가능한 형태로 간략화 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되,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함으로써, 배송 기사 입장에서 최적의 식별성을 갖는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대표 명칭과 상세 주소를 포함하는 약칭 주소를 보여주는 선행 특허 문헌 1 대비 표시되는 정보의 양이 적기에, 제한된 크기의 운송장 영역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배송 기사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간략 배송 주소의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의 생성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배송 기사들에게 최적의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송 기사들에게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을 위한 체계화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송 주소 식별을 위한 방안의 일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특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간략 배송 주소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간략 배송 주소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송 주소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의 강조 처리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의 인쇄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송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의 간략 배송 주소의 수정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 수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1000)은 배송 기사의 배송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 및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배송 기사의 배송 업무 지원을 위한 각종 데이터의 저장, 관리 및/또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데이터의 저장, 관리 및/또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데이터는 배송 기본 정보와 배송 상품 영상과 배송 식별 정보와 배송 지역 코드 및 배송 기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배송 주소를 간략화 한 간략 배송 주소의 저장, 관리 및/또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간략 배송 주소는 배송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배송 주소를 배송 기사가 식별 가능한 형태로 간략화 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의 고도화를 위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고 생성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서버에 기 저장된 데이터 및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사용자(예 : 관제 요원)가 실시간으로 배송 차량의 위치, 출고 현황, 배송 완료 현황 등과 같은 배송 상황을 관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배송 업무를 운영하는 업체 측에 구비되어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은 배송 업무를 수행하는 배송 기사 측에 구비, 설치 또는 보유된 단말 장치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로부터 배송 업무 지원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송 기사의 위치, 시간, 업무 환경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배송 기사의 업무를 지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는 간략 배송 주소의 안내, 검색 및 수정 등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은 배송 사원이 운행하는 배송 차량에 설치된 배송 차량 단말(200-1), 배송 사원이 휴대 가능한 모바일 단말(200-2), 배송 사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단말(20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바일 단말(200-2)은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200-3)은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통신부(110), 데이터 베이스부(120) 및 데이터 처리부(1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를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와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기능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30)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처리부(130)는 데이터 베이스부(120)에 저장된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를 배송 기사가 식별 가능한 형태로 간략화 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는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의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30)는 간략 배송 주소를 구성하는 문자의 모양,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강조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가 데이터 베이스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데이터 베이스부(120)는 전체 배송 상품에 대한 배송 데이터를 관리하는 업체(예를 들어, 물류 회사)에서 관리할 수 있고,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마스터 데이터 베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데이터 처리부(230) 및 출력부(2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와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의 기능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방법을 단말(200)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30)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에서 수행되도록, 데이터 처리부(230)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230)는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로부터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거나, 간략 배송 주소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240)는 데이터 처리부(230)의 처리 결과를 기초로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240)는 간략 배송 주소의 안내, 검색 및 수정 등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 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 및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1). 여기서, 배송 데이터는 배송 기본 정보와 배송 상품 영상과 배송 식별 정보와 배송 지역 코드와 배송 기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기본 정보는 받는 사람의 주소/이름/연락처, 보내는 사람의 주소/이름/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받는 사람의 주소는 배송 목적지 또는 배송 주소로 칭해질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배송 주소"로 통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배송 상품 영상은 배송 상품의 촬영 조건을 변경하며 촬영함에 따라 생성된 복수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조건은 촬영 방향, 거리, 화각(FOV : Field Of View) 등 일 수 있다.
즉, 집화 처리, 간선 상차, 간선 하차 및 배송 차량에 적재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 중에 카메라를 통해 배송 상품이 촬영될 수 있는데, 배송 상품 영상은 이러한 다양한 과정에서 서로 다른 촬영 조건에 따라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식별 정보는 배송 기본 정보를 통합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로, 운송장 번호, 바코드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지역 코드는 배송 주소가 속한 배송 지역을 코드화 하여 분류하는 코드값 일 수 있다.
그리고, 배송 기사 정보는 배송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 기사의 이름,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를 배송 기사가 식별 가능한 형태로 간략화 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2). 이 때,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가 건물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건물 특정 정보는 건물 동 정보, 건물 층 정보 및 건물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송 주소가 건물 특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가 도로명 주소인지 또는 지번 주소인지 판단하고, 도로명 주소인 경우에는 도로명과 건물 번호를 기초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며, 지번 주소인 경우에는 행정동의 명칭 또는 행정리의 명칭과 지번을 기초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주소가 건물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배송 주소의 건물 명칭과 건물 특정 정보를 기초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대한민국의 지번 주소 체계의 배송 주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고, 아래 표 2는 대한민국의 도로명 주소 체계의 배송 주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초지방자치단체 시/군/구 읍/면 동/리 번지 상세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338-3 ㅇㅇ빌딩 A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687 ㅇㅇ아파트 A동 B호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가술리 323-4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160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 24-3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초지방자치단체 시/군/구 읍/면 도로명 건물번호 상세주소 참고항목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지하2744   (도곡동)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비슬로134길 157    
경상북도 문경시     매봉4길 12   (모전동)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동서로56번길 10 가동 104호 (동명아파트)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로 124   (망포동)
한편, 상술한 생성하는 단계(S12)에서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는 배송 주소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문자는 한글이나 영문과 같은 글자, 숫자, 기호와 같은 특수 문자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연속된 숫자는 연속된 숫자 전체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 및 간략 배송 주소 생성을 위한 추출 과정에서 연속된 숫자는 숫자 전체를 하나의 문자로 취급하여 숫자 전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주소의 식별자는 상술한 '도로명과 건물 번호의 조합', '행정동의 명칭 또는 행정리의 명칭과 지번의 조합' 및 '건물 명칭과 건물 특정 정보의 조합'과 같이, 구성 요소들 중 복수의 배송 주소들 간에 식별 가능하게 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배송 주소의 비식별자는 상술한 배송 주소의 식별자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배송 주소의 비식별자는 배송 주소의 식별과 관계없는 문자, 예를 들어, 도로명에 포함된 도로를 지칭하는 문자 '로'또는 '길', 행정동 또는 행정리에 포함된 동 또는 리를 지칭하는 문자 '동'또는'리', 건물 명칭에 포함된 건물의 종류나 용도를 특정하는 문자 '테크노타운', '아파트', '지식산업센터', '타운', 또는 '빌딩', '빌라', '오피스텔', '타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송 주소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224-5 대륭테크노타운15차 1010호"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의 식별자인'대륭', '15차'및 '1010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30, 230)는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3).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 230)는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되는 경우, 중복되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 간에 서로 구별되도록 하는 소정 정보를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더 포함하는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정보는 중복되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 간에 서로 구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 기사의 업무 영역에서 중복되는 간략 배송 주소가 없도록,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상술한 생성하는 단계(S12)에서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소정 단위를 기준으로 분류된 배송 주소 내에서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체크를 위한 소정 단위는 배송 기사 단위, 복수의 배송 기사가 포함된 지역 단위, 복수의 지역이 포함된 영업소 단위 및 복수의 영업소가 포함된 행정 구역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소정 단위가 배송 기사 단위로 설정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해당 배송 기사에게 할당된 배송 상품들의 간략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배송 기사의 업무 영역이 영업소 단위로 나뉘어지는 배송 업계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중복 체크 단위의 기준을 배송 기사 단위, 복수의 배송 기사가 포함된 지역 단위 및 복수의 지역이 포함된 영업소 단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 및 간략 배송 주소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서로 다른 종류의 식별자 간에는 구분을 위하여 구분자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아래 ① 내지 ③의 규칙을 기초로 구분자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구분자는 '-', '*' 등의 기호나 띄어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① 서로 다른 종류의 식별자 간에는 구분자를 가짐.
② 예외적으로 i) 도로명과 일련변호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식별자들은 전체를 하나의 세트로 취급하여 구분자를 추가하지 않고, ii) 도로명과 일련번호와 분기길명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식별자들은 전체를 하나의 세트로 취급하여 구분자를 추가하지 않음.
③ 서로 다른 종류의 식별자인 숫자가 연달아 배치되는 경우에는 식별자 간에 ①에서 사용된 구분자와 다른 구분자를 추가.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생성(S12) 및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S13)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특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간략 배송 주소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 230)는 배송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배송 주소에 건물 특정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1). 여기서, 건물 특정 정보는 건물 동 정보, 건물 층 정보 및 건물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건물 특정 정보가 없는 경우(S101 : NO), 데이터 처리부(130, 230)는 배송 주소가 도로명 주소인지 또는 지번 주소인지 주소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S102).
그리고, 배송 주소가 지번 주소인 경우(S102 : 지번 주소), 데이터 처리부(130, 230)는 행정동의 명칭 또는 행정리의 명칭의 첫 문자와 지번을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03).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4).
만약, 중복이 아니라고 판단되면(S104 : NO),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S103 단계에서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S1O5).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행정동의 명칭 또는 행정리의 명칭의 첫 문자와 지번의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배송 주소 리스트의 일 예시로,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224-5'로부터 행정동의 명칭의 첫 문자와 지번을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관 224-5'를 생성할 수 있고, 배송 주소 리스트에 '관 224-5'와 중복되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존재하지 않기에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관 224-5'를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중복이라고 판단되면(S104 : YES),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중복인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검출하고(S106), 중복인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행정동의 명칭 또는 행정리의 명칭을 문자 순서대로 비교하여 불일치한 첫 문자를 검출할 수 있다(S107).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불일치한 첫 문자를 더 포함하는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행정동의 명칭 또는 행정리의 명칭의 첫 문자와 불일치한 첫 문자와 지번의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08).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1동 10'으로부터 행정동의 명칭의 첫 문자와 지번을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 '관 10'을 생성하고, 배송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2동 10'으로부터 행정동의 명칭의 첫 문자와 지번을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 '관 10'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관 10'으로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행정동의 명칭 '관양1동'과 '관양2동'을 문자 순서대로 비교하여 불일치한 첫 문자인 '1'과 '2'를 검출하고,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불일치 첫 문자를 검출 위치에 조합하여 각각 '관1 10'과 '관2 10'을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배송 주소가 도로명 주소인 경우(S102 : 도로명 주소), 데이터 처리부(130, 230)는 도로명의 첫 문자와 건물 번호를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09).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상술한 중복 체크 단위로 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의 비교를 통해 중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중복이 아니라고 판단되면(S110 : NO),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S109 단계에서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S111).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 첫 문자와 건물 번호의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배송 주소 리스트의 일 예시로, 도 9(a)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27'로부터 도로명 첫 문자와 건물 번호를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 '효 27'를 생성할 수 있고, 배송 주소 리스트에 '효 27'과 중복되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존재하지 않기에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효 27'를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중복이라고 판단되면(S110 : YES),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중복인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검출하고(S112), 중복인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도로명에 일련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3).
만약, 중복인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도로명에 일련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13 : NO),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을 문자 순서대로 비교하여 불일치한 첫 문자를 검출할 수 있다(S114).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불일치한 첫 문자를 더 포함하는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15).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 첫 글자와 불일치한 첫 문자와 건물 번호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b)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시민대로 401'로부터 도로명 첫 문자와 건물 번호를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 '시 401'을 생성할 수 있고, 배송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401' 로부터 '시 40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시 401'으로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도로명의 명칭에 일련번호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일련번호가 존재하지 않기에 '시민대로'와 '시청대로'를 문자 순서대로 비교하여 불일치한 첫 문자인 '민'과 '청'을 검출하고,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불일치 첫 문자를 검출 위치에 조합하여 각각 '시민 401'과 '시청 401을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중복인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도로명에 일련번호가 존재하는 경우(S113 : YES),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으로부터 일련 번호를 검출하고, 일련번호가 포함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8).
만약, 중복이 아니라고 판단되면(S118 : NO),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 주소 첫 문자와 일련번호와 건물 번호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17).
일 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27길 1'로부터 도로명의 첫 문자와 건물 번호를 추출하여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 '효 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는 배송 주소 리스트의 다른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도로명의 명칭에 일련번호 유무를 판단하고,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일련 번호 '27'을 일련 번호의 위치에 조합하여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효27 1'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효27 1'이 배송 주소 리스트의 다른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 중복되지 않기에, '효27 1'을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 첫 문자, 일련번호 및 건물 번호의 순서로 조합되도록 도로명, 일련번호 및 건물 번호 각각을 위치시켜 최소 단위 배송 주소 및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숫자가 연달아 배치되는 일련번호 및 건물 번호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구분자와는 다른 구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중복으로 판단되면(S118 : YES),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분기길명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9). 만약, 분기길명이 존재하지 않으면(S119 : NO),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 주소 첫 문자와 일련번호와 건물 번호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17). 일 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37길 1'로부터 도로명의 첫 문자와 건물 번호를 추출하여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 '효 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는 배송 주소 리스트의 다른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도로명의 명칭에 일련번호 유무를 판단하고,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일련 번호 '37'을 일련 번호의 위치에 조합하여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효37 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는 배송 주소 리스트의 다른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에 분기길명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분기길명이 존재하지 않기에 '효37 1'을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분기길명이 존재하면(S119:YES),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 첫 문자와 일련번호와 분기길명과 건물 번호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20). 일 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37가길 1'과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37나길 1' 각각으로부터 도로명의 첫 문자와 건물 번호를 추출하여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 '효 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는 배송 주소 리스트의 다른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도로명의 명칭에 일련번호 유무를 판단하고, 1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일련 번호 '37'을 일련 번호의 위치에 조합하여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인'효37 1'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는 배송 주소 리스트의 다른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에 분기길명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2차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분기길명 '가'와 '나'를 분기길명 위치에 조합하여 '효37가 1', '효37나 1'과 같은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로명, 일련번호, 분기길명 및 건물 번호의 순서로 조합되도록 도로명, 일련번호, 분기길명 및 건물 번호 각각을 위치시켜 최소 단위 배송 주소 및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배송 주소에 건물 특정 정보가 있는 경우(S101:Y),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S13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간략 배송 주소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에 건물 명칭의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만약, 배송 주소에 건물 명칭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S130 : NO),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를 건물 명칭 데이터베이스(Data Base)에 매칭하여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건물 명칭을 획득하고(S131), 획득된 건물 명칭을 배송 주소 리스트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S132).
한편,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에 건물 명칭이 포함되거나(S130 : YES) 또는 건물 명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물 명칭이 획득된 경우, 건물 명칭의 첫 문자와 건물 특정 정보를 구성하는 건물 동 정보, 건물 층 정보 및 건물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S133),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4).
만약,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이 아니라고 판단되면(S134 : NO),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S135).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건물 명칭의 첫 문자와 건물 특정 정보를 구성하는 건물 동 정보, 건물 층 정보 및 건물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35).
다만,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이라고 판단되면(S134 : YES),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건물 명칭의 비식별자를 필터링하고(S136),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건물 명칭을 문자 순서대로 비교하여 불일치한 첫 문자를 검출할 수 있다(S137).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와 불일치한 첫 문자를 조합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38).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건물 명칭 첫 글자와 불일치한 첫 문자와 건물 특정 정보를 구성하는 건물 동 정보, 건물 층 정보 및 건물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S138).
도 10은 배송 주소 리스트의 일 예시로,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배송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401 대륭테크노타운15차 1010호'와 배송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 대륭테크노타운20차 1010호' 각각으로부터 건물 명칭의 첫 문자 '대'와 건물 호수 정보 '1010'을 추출하여 '대 1010'을 최소 단위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되기에,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건물 명칭의 비식별자 '테크노타운'을 필터링한 후 '대륭 15차'와 '대륭 20차'를 문자 순서대로 비교하여 불일치한 첫 문자 '15'와 '20'을 검출하고,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불일치한 첫 문자를 검출 위치에 조합하여 각각 '대15-1010'과 '대20-1010'을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건물 명칭, 불일치 정보 및 건물 특정 정보의 순서로 조합되도록 건물 명칭, 불일치 정보 및 건물 특정 정보 각각을 위치시켜 최소 단위 배송 주소 및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 10의 예시와 같이 불일치한 첫 문자가 숫자로 구성되고 건물 특정 정보가 숫자로 구성되어 숫자가 연달아 배치되는 경우 양 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구분자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6 내지 7에서 중복을 체크하는 단계들(S104, S110, S118, S134)은 상술한 중복 체크를 위한 소정 단위로 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들의 비교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송 기사는 영업소에 속한 지역의 행정동을 오랜 기간 담당하여 배송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위치한 건물, 아파트, 도로명, 지번 등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배송 기사의 이해도를 고려할 때, 배송 기사가 식별 가능한 형태로 최소화한 배송 주소가 배송 기사 개인, 지역, 또는 영업소 별로 중복되지 않는다면, 간략화 된 배송 주소는 배송 기사 입장에서 최적의 식별력을 갖고 가독성이 높은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략 배송 정보의 중복 체크는 배송기사의 담당 구역으로 세분화(일 예로, 관양동 1,2구역에서 1구역), 또는 행정 구역상 동일한 지역(예를 들어, 관양동 전체 또는 동안구 전체) 또는 배송기사가 속하는 영업소 담당 구역 등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배송 기사가 식별 가능한 형태로 간략화 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되,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배송 기사들에게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을 위한 체계화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데이터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간략 배송 주소를 구성하는 문자의 모양,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강조 처리할 수 있다(S21).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상술한 강조 처리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2).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130,230)에 의하여 생성된 출력 데이터는 간략 배송 주소가 강조된 운송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운송장 내의 배송 주소에서 간략 배송 주소가 강조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 및 운송장 내에서 배송 주소와 별개로 간략 배송 주소가 표시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30,230)에 의하여 생성된 출력 데이터는 운송장과는 별개로 간략 배송 주소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운송장과 별개로 배송 상품의 일측에 표시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장과 별개로 배송 상품의 일측에 표시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운송장과 별개의 용지에 간략 배송 주소를 인쇄하기 위한 데이터, 배송 상품의 포장 또는 배송 상품 자체에 인쇄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의 강조 처리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b) 및 (c)는 배송 주소에서 간략 배송 주소를 강조하는 일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 12(a)와 같이 배송 주소에서 간략 배송 주소를 구성하는 글자 '대'와 숫자 '1010'의 크기를 강조하거나, 도 12(b)와 같이 색상을 강조하거나, 도 12(c)와 같이 배송 주소에서 간략 배송 주소를 구성하는 모양(예를 들어, 글자체, 기울기, 밑줄, 배경색 등)을 강조할 수 있다.
도 12(d)는 배송 주소와 별개로 간략 배송 주소를 강조하는 일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데이터 처리부(130,230)는 도 12(d)와 같이 배송 주소와 별개로 간략 배송 주소를 구성하는 문자를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배송 주소에서 간략 배송 주소를 구성하는 모양(예를 들어, 글자체, 기울기, 밑줄, 배경색 등)을 강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출력 데이터는 인쇄 장치를 통해 출력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략 배송 주소의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의 생성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배송 기사들에게 최적의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이용한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10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도 13 내지 17에서는 간략 배송 주소가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에서 생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간략 배송 주소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의 데이터 처리부(230)에서 생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를 인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는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고(S310),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는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기초로 인쇄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20). 여기서, 인쇄용 출력 데이터는 인쇄 장치(300)를 통해 인쇄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일 수 잇다.
그리고,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생성된 인쇄용 출력 데이터를 인쇄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고, 인쇄 장치(300)는 수신한 인쇄용 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간략 배송 주소가 기록된 인쇄 용지를 인쇄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장치(300)에서 인쇄된 인쇄 용지의 일 예는 배송 상품에 부착되는 운송장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송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는 운송장 내에서 배송 주소와 별개로 간략 배송 주소가 표시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출력 데이터를 인쇄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장치(300)는 배송 주소와 별개로 간략 배송 주소(1401)가 강조된 운송장을 인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를 수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는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할 수 있고(S410),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는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기초로 표시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20). 여기서, 표시용 출력 데이터는 배송 기사 단말 장치(200)를 통해 표시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생성된 표시용 출력 데이터를 배송 기사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고(S430), 배송 기사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표시용 출력 데이터를 기초로 간략 배송 주소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S440).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간략 배송 주소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은 출고되어야 할 출고 대상 상품의 형태 정보 및 배송 상품 영상을 간략 배송 주소에 매칭시킨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배송 기사의 배송 주소에 대한 식별력 및 가독성을 높이고, 배송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6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저 인터페이스는 간략 배송 주소 기반의 검색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송 기사로부터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에 간략 배송 주소를 포함하는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의 데이터 처리부(230)는 입력된 간략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배송 상품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업무 지원 단말(200)의 출력부(240)는 검색된 배송 상품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배송 기사는 데이터 처리부(130,230)에서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자신이 식별하기 편한 형태로 수정을 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간략 배송 주소의 수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간략 배송 주소 수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는 배송 주소 및 기 설정된 생성 모델에 따라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표시하는 제1 UI 영역(1701)과 간략 배송 주소 수정을 위한 제2 UI 영역(170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기사는 제1 UI 영역(1701)을 통해 상세 배송 주소 및 기 설정된 생성 모델에 따라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 '대 1008'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UI 영역(1702)를 통해 자신이 식별하기 편한 형태로 간략 배송 주소를 수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건물 명칭인 '대륭테크노타운'에서는 '대'를 추출하고, '1008호'에서는 '1008'을 추출하며, '렉스젠㈜'에서는 '렉스'를 추출하고, 구분자는 '-'를 사용하도록 간략 배송 주소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생성 모델에 따라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 '대 1008'은 배송 기사의 수정에 따라 '대-1008-렉스'로 수정될 수 있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2 UI 영역(1702)을 통해 수정된 간략 배송 주소를 배송 기사만의 간략 배송 주소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칭으로 사용(나만 보기)(1703)'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2 UI 영역(1702)을 통해 수정된 간략 배송 주소를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설정하기 위한 'DB 업데이트 요청하기(1704)'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저 인터페이스는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 모델의 수정을 위한 제3 UI 영역(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송 기사는 제3 UI 영역을 통해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5로 돌아와서, 위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략 배송 주소 및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450), 배송 기사 단말 장치(200)의 데이터 처리부(2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정된 수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60). 그리고, 배송 기사 단말 장치(200)의 통신부(210)는 수정 데이터를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S470).
이 경우, 배송 업무 지원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신된 수정 데이터를 기초로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480).
여기서,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 모델은 학습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의 배송 기사의 상황을 고려한 최적의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도록 고도화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배송 업무 지원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배송 업무 지원 서버 200 : 배송 업무 지원 단말
300 : 인쇄 장치

Claims (26)

  1.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를 간략화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단위 배송 주소는,
    상기 배송 주소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소정 단위를 기준으로 분류된 배송 주소 내에서 체크하고,
    상기 소정 단위는 배송 기사 단위, 복수의 배송 기사가 포함된 지역 단위, 복수의 지역이 포함된 영업소 단위 및 복수의 영업소가 포함된 행정 구역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데이터는 배송 상품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송 주소에 건물 특정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건물 특정 정보는 건물 동 정보, 건물 층 정보 및 건물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송 주소에 상기 건물 특정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배송 주소가 도로명 주소인지 또는 지번 주소인지 판단하고,
    상기 지번 주소인 경우, 행정동 명칭 또는 행정리 명칭의 첫 문자와 지번을 추출하여 상기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도로명 주소인 경우, 도로명의 첫 문자와 건물 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송 주소에 상기 건물 특정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배송 주소가 건물 명칭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송 주소에 건물 명칭이 없는 경우, 상기 배송 주소를 건물 명칭 데이터베이스에 매칭하여 상기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건물 명칭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송 주소에 건물 명칭이 있는 경우, 건물 명칭의 첫 문자와 상기 건물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상기 간략 배송 주소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에 소정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략 배송 주소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정 가능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을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배송 기사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간략 배송 주소의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간략 배송 주소를 구성하는 문자의 모양,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강조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운송장 내의 배송 주소에서 상기 간략 배송 주소가 강조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 운송장 내에서 배송 주소와 별개로 상기 간략 배송 주소가 표시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 운송장과 별개로 배송 상품의 일측에 표시되는 형태의 출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는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서버.
  19.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에 대하여 간략화된 간략 배송 주소 및 상기 간략 배송 주소를 수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기사가 상기 표시된 간략 배송 주소 및 상기 간략 배송 주소의 생성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함에 따른 수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데이터를 배송 업무 지원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간략 배송 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간략 배송 주소에 대응되는 배송 상품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단말.
  23.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의 배송 업무 지원 방법에 있어서,
    배송 데이터의 배송 주소를 간략화한 최소 단위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최소 단위 배송 주소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간략 배송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간략 배송 주소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송 업무 지원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를 배송 기사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배송 기사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업무 지원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송 업무 지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071052A 2022-06-10 2022-06-10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70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052A KR20230170498A (ko) 2022-06-10 2022-06-10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23/007851 WO2023239173A1 (ko) 2022-06-10 2023-06-08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137102A KR20230170608A (ko) 2022-06-10 2023-10-13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052A KR20230170498A (ko) 2022-06-10 2022-06-10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102A Division KR20230170608A (ko) 2022-06-10 2023-10-13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498A true KR20230170498A (ko) 2023-12-19

Family

ID=891186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052A KR20230170498A (ko) 2022-06-10 2022-06-10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137102A KR20230170608A (ko) 2022-06-10 2023-10-13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102A KR20230170608A (ko) 2022-06-10 2023-10-13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30170498A (ko)
WO (1) WO20232391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83B1 (ko) * 2003-11-18 2011-02-10 (주)코테크시스템 배송분류정보 생성방법 및 장치, 그에 따른 운송장
KR20140097805A (ko) * 2013-01-30 2014-08-07 권형석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KR101863945B1 (ko) * 2016-09-19 2018-06-01 주식회사 라이브원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6595736B1 (ja) * 2019-02-28 2019-10-23 グッズフロ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運送状出力サービス装置及び運送状出力サービス方法
KR102371446B1 (ko) * 2020-05-14 2022-03-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럽연구소 우편물에 인쇄된 배송지 주소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173A1 (ko) 2023-12-14
KR20230170608A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87153B (zh) 一种财税处理方法和处理系统
US5875263A (en) Non-edit multiple image font processing of records
US7685516B2 (en) Creation of electronically processable signature files
JP2977431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装置
CN101425132B (zh) 图像识别装置和识别方法及记录图像识别程序的存储介质
US11182544B2 (en) User interface for contextual document recognition
CN103995904B (zh) 一种影像档案电子资料的识别系统
JPH0696276A (ja) 高度なデータ収集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10210470B (zh) 商品信息图像识别系统
US7694216B2 (en) Automatic assignment of field labels
CN114783584A (zh) 一种药品随货同行单的录单方法及装置
KR20230170498A (ko)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2637B1 (ko) 반송 우편물 자동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913071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
CN115661516A (zh) 商品识别方法以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102055920B1 (ko) 온라인 파츠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H08243505A (ja) 住所読取装置及び方法
KR101013883B1 (ko) 배송분류정보 생성방법 및 장치, 그에 따른 운송장
KR102674266B1 (ko) 배송 상품 식별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52934B1 (ko) 상품 상세페이지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04086846A (ja) 情報区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区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11907336B2 (en) Visual labeling for machine learning training
KR102276491B1 (ko) 시약병 특징을 이용한 영상분석 시약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JP2965609B2 (ja) 郵便物の宛名読取区分機
US11164272B2 (en) Mail carrier trai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