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616A - 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 Google Patents

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616A
KR20230169616A KR1020220069978A KR20220069978A KR20230169616A KR 20230169616 A KR20230169616 A KR 20230169616A KR 1020220069978 A KR1020220069978 A KR 1020220069978A KR 20220069978 A KR20220069978 A KR 20220069978A KR 20230169616 A KR20230169616 A KR 2023016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device
earth retaining
temporary earth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해광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주식회사 쓰리디엠씨
광웅종합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주식회사 쓰리디엠씨, 광웅종합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22006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616A/en
Publication of KR2023016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6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서포트(110)와 조절서포트(120)의 사이 통로를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 또는 자동으로 조작되는 임팩트 렌치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스레드샤프트(130)와 전후진되는 인너슬라이드(140)의 상호 연동에 의해서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가변되는 수평버팀장치(10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P)을 보조로프에 걸어서 트렌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양하는 과정에서 배관(P)이 수평버팀장치(100)에 걸리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관(P)이 작업자를 향해 기울어져 낙하 또는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수평버팀장치(100)의 설치 또는 철거가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규격화할 수 할 수 있으므로 체결상태 불안정으로 인한 낙하 또는 붕괴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ad shaft that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a manually operated handle or an automatically operated impact wrench in the passage between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adjustable support 120,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Since it is composed of a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that can be changed to close or open by interlocking with (130) and the inner slide (140)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pipe (P) can be pulled into or lifted into the trench by hanging it on an auxiliary rope. In the process, the pipe (P) can be kept horizontal so as not to get caught in the horizontal brace 100, so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safety accidents where the pipe (P) tilts toward the worker and falls or collides,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where the pipe (P) tilts toward the worker and falls or collides. 100) can be standardized so that installation or removal can be done quickly and accurately, so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falling or collapsing accidents due to unstable fastening conditions.

Description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본 발명은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를 사용하여 근원적 사고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brace for a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rizontal brace for a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to eliminate the fundamental risk of an accident using a variable and open/closed horizontal brace.

일반적으로 지하에 공작물(가스관, 상수도, 열배관, 흄관, 공동구 등)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토압에 의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해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한 후 작업을 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bury works (gas pipes, water pipes, heat pipes, hume pipes, utility ducts, etc.) underground, work is done after constructing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to prevent the ground from collapsing due to earth pressure.

즉, 지반에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한 후에 지반을 굴착하고, 공작물인 배관을 매설한 다음 흙막이 가시설을 해체한다.In other words, after installing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in the ground, the ground is excavated, pipes, which are workpieces, are buried, and then the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are dismantled.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P)이 매설되는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지반(G)에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10);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10) 사이에 끼워지는 흙막이 판(20); 상기 다수의 H빔 파일(10)의 안쪽에 배관(P)이 매설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버팀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includes a plurality of H-beam piles (10) each inserted perpendicularly into the ground (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P) is buried; A retaining plate (20) inserted between adjacent H-beam piles (10);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pipe (P) is buried inside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10); It includes a horizontal brace (40)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에 의하면, 가시설 내 배관(P) 이송 시 수평버팀대(40)의 걸림 발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위험성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re was the following risk due to the horizontal brace 40 becoming caught when transporting the pipe (P) within the temporary facility.

첫째, 배관(P)이 기울어져 빠질 경우 트렌치(Trench)내 작업자가 낙하 또는 충돌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there was a problem that if the pipe (P) was tilted and fell out, workers in the trench could fall or have a collision accident.

둘째, 배관(P)이 기울어져 빠질 경우 작업자가 배관(P)에서 미끄러져 추락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Second, there was a problem that if the pipe (P) was tilted and fell out, the worker would slip on the pipe (P) and a fall accident would occur.

셋째, 수평버팀대(40)의 설치 또는 철거를 신속하게 하기 위해 체결상태 불안정으로 인하여 낙하 또는 붕괴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ird, in order to quickly install or remove the horizontal brace 40, there was a problem that a falling or collapsing accident occurred due to instability in the fastening stat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3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20374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에 의해 지하에 공작물을 설치하기 위해 굴착에 따른 H빔 파일(Pile)의 가시설과 공작물 인양과정에서 수평버팀대에 걸림이 발생되는 근원적 사고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existing problems. In order to install a workpiece underground by means of a variable and open/close horizontal brace device, the temporary facility of the H-beam pile following excavation and the horizontal brace during the lifting of the workpiece are us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that can eliminate the fundamental risk of accidents that occur due to jamming.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는, 배관이 매설되는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지반에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 다수의 상기 H빔 파일의 안쪽에 마주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보;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에 양단이 설치되어 가변 및 개폐되는 수평버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버팀장치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 중 어느 하나의 수평보에 설치되는 고정서포트;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 중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서포트와 좌우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조절서포트; 및 일측단이 상기 조절서포트 내측에서 스레드샤프트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스레드샤프트의 정역 회전 시 수평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고정서포트의 끝단과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가변되면서 사이 통로를 개폐하는 인너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plurality of H-beam piles each inserted vertically into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is buried;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each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And a horizontal support devic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to be variable and open and closed,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includes: a fixed support installed on one of the pair of horizontal beams of the left and right; An adjustable support installed on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and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left and right from the fixed support; and an inner e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via a thread shaft inside the adjustment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moves forward and backward horizontally when the thread shaf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change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 from the end of the fixed support,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therebetwee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lid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서포트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H빔 형태로서, 하면에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의 일측 두께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의 일측 두께를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fixed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n H beam that is sea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one of the horizontal beams, and has left and right sides that are tightly fitted on the lower surface wit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beam in between. a pair of supports; And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and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one horizontal beam.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다수의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조절서포트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각관 형태로서, 하면에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의 일측 두께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의 일측 두께를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adjustment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that is sea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between the lower surfaces. Pair of support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and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다수의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서포트와 조절서포트의 상면 일측에는 각각 섀클을 매개로 슬링벨트가 연결되도록 섀클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a shackl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and the adjustabl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nect a sling belt via a shackle, respectively.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스레드샤프트는, 후측단이 상기 조절서포트의 후측단 중앙을 관통하여 핸들 또는 임팩트 렌치 조작에 의해 상기 스레드샤프트가 정역 회전되도록 유니트베어링에 결합되고, 전측단이 상기 인너슬라이드의 후측단 중앙을 관통하는 너트를 매개로 나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hread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unit bearing so that the rear end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adjustment support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operating a handle or impact wrench,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unit bearing.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pirally coupled via a nut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inner slid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인너슬라이드의 후측단에는 상기 조절서포트와 상기 인너슬라이드 연결 틈새, 상기 스레드샤프트와 인너슬라이드의 연결 틈새로 먼저 유입을 차단하도록 더스트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rear end of the inner sl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ust cover is coupled to first block the inflow into the connection gap between the adjustment support and the inner slide, and the connection gap between the thread shaft and the inner slid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인너슬라이드의 전측단에는 상기 고정서포트의 끝단과 밀착 또는 분리되는 밀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서포트의 끝단 가장자리가 상기 밀착판으로 안내되도록 도킹안내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a close contact plat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l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 from the end of the fixed support, and the end edges of the fixed support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close contact plate. The docking gu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guide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인너슬라이드는 상기 조절서포트 내부 둘레와 대응되는 각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슬라이드의 외부 사각 코너부분에는 상기 인너슬라이드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다수의 보강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sl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djustment support,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lide are coupled to the outer square corner portion of the inner slide. It is characterized by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다수의 H빔 파일의 상부는 레버블록에 의해 트렌치 반대방향측으로 당겨지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so as to be pull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ench by a lever block.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레버블록은 다수의 상기 H빔 파일 중 상기 수평버팀장치가 설치되는 방향과 좌우 일직선에 위치한 H빔 파일의 상부와 지반의 일측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lever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one side of the ground and the upper part of the H-beam pile located in a straight line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is installed among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레버블록은, 상기 지반의 일측에 박히는 앵커; 상기 H빔 파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 및 상기 앵커와 클램프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lever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chor driven into one side of the ground; A clamp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H-beam pile; and a wire connecting the anchor and the clamp.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수평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서포트와 조절서포트의 사이 통로를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 또는 자동으로 조작되는 임팩트 렌치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스레드샤프트와 전후진되는 인너슬라이드의 상호 연동에 의해서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가변되는 수평버팀장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을 보조로프에 걸어서 트렌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양하는 과정에서 배관이 수평버팀장치에 걸리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관이 작업자를 향해 기울어져 낙하 또는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ad shaft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passage between the fixed support and the adjustable support, respectively installed on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by a manually operated handle or an automatically operated impact wrench, and an inner slide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ecause it is composed of a horizontal brace that can be changed to close or open, the pipe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so as not to get caught in the horizontal brace during the process of pulling or lifting the pipe into the trench by hanging it on an auxiliary rope, so the pipe is tilted toward the worker.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falling or colliding.

또한, 수평버팀장치의 설치 또는 철거가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규격화할 수 할 수 있으므로 체결상태 불안정으로 인한 낙하 또는 붕괴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or removal of the horizontal brace can be standardized so that it can be don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falling or collapsing accidents due to unstable fastening conditions.

도 1은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현장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가 흙막이 가시설에 설치 상태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가 흙막이 가시설에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의 조절서포트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의 이동서포트와 조절서포트 사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및 개폐형 수평버팀장치의 이동서포트와 조절서포트 사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Figure 1 is a field photo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variable and open/close horizont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Figure 3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variable and open/close horizont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and open/close horizont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nternal side view showing the adjustable support of the variable and open/close horizontal br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between the movable support and the adjustment support of the variable and open/close type horizont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n state between the movable support and the adjustment support of the variable and open/close type horizont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Hereinafter,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2 to 7.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in each drawing.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기존)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name and reference numeral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existing)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배관(P)이 매설되는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지반(G)에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10); 다수의 상기 H빔 파일(10)의 안쪽에 마주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에 양단이 설치되어 가변 및 개폐되는 수평버팀장치(1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7,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beam piles (10) each inserted perpendicularly into the ground (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P) is buried;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each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10); And it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that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and is variable and open and closed.

이때, 상기 수평버팀장치(100)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중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에 설치되는 고정서포트(110);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중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서포트(110)와 좌우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조절서포트(120); 및 일측단이 상기 조절서포트(120) 내측에서 스레드샤프트(Thread Shaft)(130)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스레드샤프트(130)의 정역 회전 시 수평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고정서포트(110)의 끝단과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가변되면서 사이 통로를 개폐하는 인너슬라이드(Inner Slide)(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includes a fixed support 110 installed on one of the horizontal beams 30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An adjustable support (120) installed on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and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left and right from the fixed support (110); And one end is connected inside the adjustment support 120 via a thread shaft 130, and the other end is horizontally forward and backward when the thread shaft 130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o support the fixed support 110. ) It includes an inner slide (140)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while changing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 from the end of the.

즉, 상기 고정서포트(1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H빔 형태로서, 하면에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112,114);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대(112,114)와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수단(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at is, the fixed support 110 is in the form of an H beam that is sea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one of the horizontal beams 30, and is tightly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wit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beam 30 in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112,114) fitted;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16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112 and 114 and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one horizontal beam 30.

상기 조절서포트(120)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각관(角管) 형태로서, 하면에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122,124);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대(122,124)와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수단(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djustment support 120 is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that is sea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wit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in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122,124) that are preferably inserted;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26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122 and 124 and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이때, 상기 다수의 체결수단(116,126)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16 and 126 a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여기서, 상기 고정서포트(110)와 조절서포트(120)의 상면 일측에는 각각 섀클(Shackle)(152)을 매개로 슬링벨트(Sling Belt)(150)가 연결되도록 섀클연결부(118,128)가 각각 형성된다. Here, shackle connection parts 118 and 128 are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adjustable support 120 to connect the sling belt 150 via a shackle 152, respectively. .

즉, 상기 고정서포트(110)의 섀클연결부(118)와 조절서포트(120)의 섀클연결부(128)는 섀클(152)을 매개로 슬링벨트(150)에 의해 연결되어 포크레인 등의 기중기에 의해 트렌치 부분에 용이하게 운반되어 설치되거나 해체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shackle connection part 118 of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shackle connection part 128 of the adjustable support 120 are connected by the sling belt 150 through the shackle 152 and can be used in the trench by a crane such as an excavator.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installed, or dismantled.

상기 스레드샤프트(130)는, 후측단이 상기 조절서포트(120)의 후측단 중앙을 관통하여 핸들 또는 임팩트 렌치 조작에 의해 상기 스레드샤프트(130)가 정역 회전되도록 유니트베어링(Unit Bearing)(132)에 결합되고, 전측단이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후측단 중앙을 관통하는 너트(134)를 매개로 나선 결합된다. The thread shaft 130 has a unit bearing (132) whose rear end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adjustment support 120 so that the thread shaft 130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operating a handle or impact wrench. is coupled to, and the front end is spirally coupled via a nut 134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inner slide 140.

이때, 상기 유니트베어링(132)은 조절서포트(120)의 후측단 외부면 중앙에 밀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볼트(부호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스레드샤프트(13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unit bearing 1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adjustment support 120 and is coupled by a plurality of bolts (not shown) to ensure smooth rotation of the thread shaft 130. do.

상기 스레드샤프트(130)의 후측단은 유니트베어링(132)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레드샤프트(130)의 후측단에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 또는 자동으로 조작되는 임팩트 렌치를 연결할 경우 스레드샤프트(130)가 전후진되지 않으면서 정역 회전되게 된다. Since the rear end of the thread shaft 130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unit bearing 132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 manually operated handle or an automatically operated impact wrench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hread shaft 130. In this case, the thread shaft 130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moving forward or backward.

상기 너트(134)의 가장자리는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후측단 외부면 중앙에 밀착된 상태에서 헛돌지 않도록 인너슬라이드(140)와 다수의 볼트(134)에 의해 결합된다. The edge of the nut 134 is coupled to the inner slide 140 by a plurality of bolts 134 to prevent it from turning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inner slide 140.

즉, 상기 너트(134)는 스레드샤프트(130)가 조절서포트(120) 내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레드샤프트(130)의 나선면을 타고 전진되면서 도 6과 같이 인너슬라이드(140)의 전측단에 형성된 밀착판(142)을 고정서포트(110)의 끝단에 밀착됨으로써 고정서포트(110)와 조절서포트(120)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버팀장치(100)는 다수의 H빔 파일(10)의 안쪽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가 트렌치 방향으로 쏠리거나 무너지는 위험성을 방지하도록 구조적 안전성 유지할 수 있는 수평버팀대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That is, the nut 134 moves forward along the spiral surface of the thread shaft 130 when the thread shaft 13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in the adjustment support 120 and moves to the front end of the inner slide 140 as shown in FIG. 6. The contact plate 142 formed i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ixed support 110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adjustable support 120. Accordingly,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H beams.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installed inside the pile 10 serve as horizontal braces that can maintain structural stability to prevent the risk of tilting or collapsing in the direction of the trench.

그리고, 스레드샤프트(1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레드샤프트(130)의 나선면을 타고 후진되면서 도 7과 같이 조절서포트(120) 내부 깊숙이 삽입됨과 동시에 인너슬라이드(140)의 전측단에 형성된 밀착판(142)이 고정서포트(110)의 끝단과 분리되어 멀어짐으로써 고정서포트(110)와 조절서포트(120)의 사이 공간을 개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버팀장치(100)는 트렌치 내부로 배관(P) 등의 공작물을 인입 또는 인양과정에서 수평버팀장치(100)에 걸리지 않도록 통로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And, when the thread shaft 13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t moves backward along the spiral surface of the thread shaft 130 and is inserted deep into the adjustment support 120 as shown in FIG. 7, while at the same time forming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inner slide 140. As the plate 142 separates from the end of the fixed support 110 and moves away, the space between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adjustable support 120 is opened, and as a result,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is piped into the trench ( A passage is provided to prevent workpieces such as P) from being caught in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during the loading or lifting process.

이 처럼,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서포트(110)와 조절서포트(120)의 사이 통로를 수동으로 조작되는 핸들 또는 자동으로 조작되는 임팩트 렌치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스레드샤프트(130)와 전후진되는 인너슬라이드(140)의 상호 연동에 의해서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가변되는 수평버팀장치(10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P)을 보조로프에 걸어서 트렌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양하는 과정에서 배관(P)이 수평버팀장치(100)에 걸리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관(P)이 작업자를 향해 기울어져 낙하 또는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수평버팀장치(100)의 설치 또는 철거가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규격화할 수 할 수 있으므로 체결상태 불안정으로 인한 낙하 또는 붕괴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passage between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adjustable support 12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forward and backward by a manually operated handle or an automatically operated impact wrench. Since it is composed of a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that can be changed to close or open by interlocking the thread shaft (130) and the inner slide (140)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pipe (P) is hung on an auxiliary rope and brought into the trench. Alternatively, during the lifting process, the pipe (P) can be kept horizontal so as not to get caught in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so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safety accidents where the pipe (P) tilts toward the worker and falls or collides, and it is also horizontal. Since the installation or removal of the support device 100 can be standardized so that it is carried out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falling or collapsing accidents due to unstable fastening conditions.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후측단에는 상기 조절서포트(120)와 상기 인너슬라이드(140) 연결 틈새, 상기 스레드샤프트(130)와 인너슬라이드(140)의 연결 틈새로 먼저 유입을 차단하도록 더스트커버(Dust Cover)(136)가 결합된다.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lide 140, there is a dust cover ( Dust Cover (136) is combined.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전측단에는 상기 고정서포트(110)의 끝단과 밀착 또는 분리되는 밀착판(14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142)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서포트(110)의 끝단 가장자리가 상기 밀착판(142)으로 안내되도록 도킹안내면부(142a)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A contact plate 14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lide 14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 from the end of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fixed support 110 i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contact plate 142. The docking guide surface portion 142a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end edge of is guided to the contact plate 142.

상기 인너슬라이드(140)는 상기 조절서포트(120) 내부 둘레와 대응되는 각관(角管)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외부 사각 코너부분에는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다수의 보강바(144)가 결합된다. The inner slide 140 is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djustment support 120, and the outer square corner of the inner slide 140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lide 140.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reinforcing bars 144 are combined.

상기 다수의 H빔 파일(10)의 상부는 레버블록(200)에 의해 트렌치 반대방향측으로 당겨지도록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블록(Lever Block)(200)은 다수의 상기 H빔 파일(10) 중 상기 수평버팀장치(100)가 설치되는 방향과 좌우 일직선에 위치한 H빔 파일(10)의 상부와 지반(G)의 일측을 연결한다.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10) is It is supported to be pull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ench by a lever block 200, and the lever block 200 is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is installed among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10. Connect the upper part of the H-beam pile (1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one side of the ground (G).

이때, 상기 레버블록(200)은, 상기 지반(G)의 일측에 박히는 앵커(210); 상기 H빔 파일(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220); 및 상기 앵커(210)와 클램프(220)를 연결하는 와이어(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lever block 200 includes an anchor 210 driven into one side of the ground (G); A clamp 22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H-beam pile 10; and a wire 230 connecting the anchor 210 and the clamp 220.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wit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applied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patent claims. Must see.

G : 지반 P : 배관
10 : H빔 파일 30 : 수평보
100 : 수평버팀장치 110 : 고정서포트
112 : 지지대 114 : 지지대
116 : 체결수단 118 : 섀클연결부
120 : 조절서포트 122 : 지지대
124 : 지지대 126 : 체결수단
128 : 섀클연결부 130 : 스레드샤프트
132 : 유니트베어링 134 : 너트
136 : 더스트커버 138 : 볼트
140 : 인너슬라이드 142 : 밀착판
142a : 도킹안내면부 144 : 보강바
150 : 슬링벨트 152 : 섀클
200 : 레버블록 210 : 앵커
220 : 클램프 230 : 와이어
G: Ground P: Piping
10: H beam pile 30: Horizontal beam
100: horizontal support device 110: fixed support
112: support 114: support
116: fastening means 118: shackle connection part
120: Adjustable support 122: Support
124: support 126: fastening means
128: Shackle connection 130: Thread shaft
132: unit bearing 134: nut
136: dust cover 138: bolt
140: Inner slide 142: Adhesion plate
142a: Docking guide surface 144: Reinforcement bar
150: sling belt 152: shackle
200: lever block 210: anchor
220: clamp 230: wire

Claims (13)

배관(P)이 매설되는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지반(G)에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H빔 파일(10);
다수의 상기 H빔 파일(10)의 안쪽에 마주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에 양단이 설치되어 가변 및 개폐되는 수평버팀장치(10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버팀장치(100)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중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에 설치되는 고정서포트(110);
상기 좌우 한 쌍의 수평보(30) 중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서포트(110)와 좌우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조절서포트(120); 및
일측단이 상기 조절서포트(120) 내측에서 스레드샤프트(130)를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스레드샤프트(130)의 정역 회전 시 수평으로 전후진되어 상기 고정서포트(110)의 끝단과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가변되면서 사이 통로를 개폐하는 인너슬라이드(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A plurality of H-beam piles (10) each inserted vertically into the ground (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P) is buried;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each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10); and
It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that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and is variable and open and closed,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A fixed support 110 installed on any on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An adjustable support (120) installed on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beams (30) and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left and right from the fixed support (110); and
One end is connected inside the adjustment support 120 via a thread shaft 130, and the other e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horizontally when the thread shaft 130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ixed support 110. Or,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ner slide (140)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while being variable to be separ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서포트(1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H빔 형태로서,
하면에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112,114);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대(112,114)와 상기 어느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수단(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
The fixed support 110 is in the form of an H beam that is sea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one of the horizontal beams 30,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112, 114) fitted on the lower surfa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beam (30) sandwiched between them; and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16)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112, 114) and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one of the horizontal beams (30).
청구항 2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체결수단(116)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2,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16) a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서포트(120)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의 상부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각관 형태로서,
하면에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122,124);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대(122,124)와 상기 나머지 하나의 수평보(30)의 일측 두께를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수단(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
The adjustment support 120 is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that is sea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s (122, 124) fitted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sandwiched between them; and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26)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s (122, 124) and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remaining horizontal beam (3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기 체결수단(126)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4,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126) is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서포트(110)와 조절서포트(120)의 상면 일측에는 각각 섀클(152)을 매개로 슬링벨트(150)가 연결되도록 섀클연결부(118,128)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
A horizontal support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shackle connection parts 118 and 128 are form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ixed support 110 and the adjustable support 120 to connect the sling belt 150 via a shackle 152, respectivel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샤프트(130)는,
후측단이 상기 조절서포트(120)의 후측단 중앙을 관통하여 핸들 또는 임팩트 렌치 조작에 의해 상기 스레드샤프트(130)가 정역 회전되도록 유니트베어링(132)에 결합되고,
전측단이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후측단 중앙을 관통하는 너트(134)를 매개로 나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
The thread shaft 130 is,
The rear e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adjustment support 120 and is coupled to the unit bearing 132 so that the thread shaft 130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operating a handle or impact wrench,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spirally coupled via a nut (134)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inner slide (14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후측단에는 상기 조절서포트(120)와 상기 인너슬라이드(140) 연결 틈새, 상기 스레드샤프트(130)와 인너슬라이드(140)의 연결 틈새로 먼저 유입을 차단하도록 더스트커버(136)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lide 140, there is a dust cover ( 136)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bi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전측단에는 상기 고정서포트(110)의 끝단과 밀착 또는 분리되는 밀착판(14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142)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서포트(110)의 끝단 가장자리가 상기 밀착판(142)으로 안내되도록 도킹안내면부(142a)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
A contact plate 14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slide 14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r separate from the end of the fixed support 110,
A horizontal support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cking guide surface portion 142a is formed at an angle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adhesive plate 142 so that the end edge of the fixed support 110 is guided to the adhesive plate 142.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너슬라이드(140)는 상기 조절서포트(120) 내부 둘레와 대응되는 각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외부 사각 코너부분에는 상기 인너슬라이드(14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다수의 보강바(14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9,
The inner slide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adjustment support 120,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44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lide 140 are coupled to the outer square corner portion of the inner slide 140.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H빔 파일(10)의 상부는 레버블록(200)에 의해 트렌치 반대방향측으로 당겨지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10) is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by a lever block (200) to be pull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ench.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레버블록(200)은 다수의 상기 H빔 파일(10) 중 상기 수평버팀장치(100)가 설치되는 방향과 좌우 일직선에 위치한 H빔 파일(10)의 상부와 지반(G)의 일측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1,
The lever block 200 connects one side of the ground (G) with the upper part of the H-beam pile 10 located on a straight left and right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100 is installed among the plurality of H-beam piles 10.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버블록(200)은,
상기 지반(G)의 일측에 박히는 앵커(210);
상기 H빔 파일(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220); 및
상기 앵커(210)와 클램프(220)를 연결하는 와이어(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용 수평버팀장치.
In claim 12,
The lever block 200 is,
An anchor 210 driven into one side of the ground (G);
A clamp 22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H-beam pile 10; and
A horizontal support devic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ies, comprising a wire 230 connecting the anchor 210 and the clamp 220.
KR1020220069978A 2022-06-09 2022-06-09 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KR202301696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978A KR20230169616A (en) 2022-06-09 2022-06-09 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978A KR20230169616A (en) 2022-06-09 2022-06-09 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616A true KR20230169616A (en) 2023-12-18

Family

ID=8930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978A KR20230169616A (en) 2022-06-09 2022-06-09 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96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22610A (en) * 2024-03-06 2024-04-05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Building foundation supporting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74B1 (en) 2013-06-26 2014-07-16 부산교통공사 Brack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74B1 (en) 2013-06-26 2014-07-16 부산교통공사 Brac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22610A (en) * 2024-03-06 2024-04-05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Building foundation supporting structure
CN117822610B (en) * 2024-03-06 2024-05-03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Building foundation support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665B1 (en) Trench shielding and shoring device
KR20230169616A (en) Horizontal brace apparatus of temporary soil retaining work
KR102228553B1 (en) Ground hole guide member for retaining wall
US3593528A (en) Safety trenching box
US5302054A (en) Hole shoring system
JP2021181746A (en) Open shield machine
US5522678A (en) Ground anchors
JP2021025246A (en) Planer-type main rope support
KR102424715B1 (en)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for pipe construction for worker safety
US5154541A (en) Modular earth support system
KR102259961B1 (en) Pile reinforcement guide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S5873623A (en) Sheathing work for excavated trench and sheeting therefor
CN112627827A (en) Control device for excavating and deslagging of vertical shaft at upper part of existing tunnel
US20100104378A1 (en) Temporary safety box for assistance in excavation of foundation
US20220195684A1 (en) Flexible in-ground shield apparatus
JP2010236326A (en) Hanging scaffold
JP2000257069A (en) Earth retaining and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CN116838379B (en) Pile pipe curtain supporting structure for protecting subway and basement structure
JP6465531B1 (en) Fall prevention fence and excav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19183437A (en) Waling installation tool and waling installation structure
EP2820192B1 (en) Trench box with plane walls
CN111926800B (en) Underground construction underground diaphragm wall construction method
CN215213500U (en) Control device for excavating and deslagging of vertical shaft at upper part of existing tunnel
JP2764697B2 (en) Equipment for carrying in cable protection tubes in pipe laying
KR20230010922A (en) Suppor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soil e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