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506A -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506A
KR20230169506A KR1020220069403A KR20220069403A KR20230169506A KR 20230169506 A KR20230169506 A KR 20230169506A KR 1020220069403 A KR1020220069403 A KR 1020220069403A KR 20220069403 A KR20220069403 A KR 20220069403A KR 20230169506 A KR20230169506 A KR 20230169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ritical extract
ragweed
extract
supercritical
maple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아로마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로마뉴텍 filed Critical (주)아로마뉴텍
Priority to KR102022006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506A/ko
Publication of KR2023016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5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4Supercrit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주름 개선 및 미백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항산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이 현저한 항노화 활성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바, 항노화 분야 및 피부 질환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Mixed extract comprising Ambrosia trifida supercritical extract and Erigeron annuus supercritical extract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주름 개선 및 미백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생태계 교란종은 생태계에 교란을 일으키거나, 교란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이다. 번식력이 강한 외래종은 자연생태계에 유입되면서 토종서식지를 잠식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깨고 종의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종에 대하여 정부차원에서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을 법으로 규정·규제하고, 관리기구를 설치하거나 외래종 생태계영향평가제도를 실시하여 수입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생태적·경제적·산업적·공중보건적 피해를 끼치는 일부 외래종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4항에 의거하여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로 규정된다. 또한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유전자 변형을 통하여 생산된 유전자변형 생물체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이 이에 속한다.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로는 포유류 1종(뉴트리아), 양서류·파충류 2종(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속 전종), 어류 2종(파랑볼우럭, 큰입배스), 곤충류 1종(꽃매미), 식물 15종(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가시박, 서양금혼초, 미국쑥부쟁이, 양미역취, 가시상추, 갯줄풀, 영국갯끈풀, 개망초)으로 총 21종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태계 교란종으로 분류되어있는 단풍잎돼지풀 및 개망초를 기능성 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초임계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항산화, 주름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Erigeron annuus)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항산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이 현저한 항노화 활성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바, 항노화 분야 및 피부 질환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멜라노마 세포주인 B16F10 세포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섬유아세포주인 CCD-986Sk 세포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멜라노마 세포주인 B16F10 세포에서 미백인자 TRP-1의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멜라노마 세포주인 B16F10 세포에서 미백인자 TRP-2의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Erigeron annuus)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단풍잎돼지풀 및 개망초로부터 초임계 추출한 것이며,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원료 식물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추출 또는 분획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풍잎돼지풀 및 개망초의 잎,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부위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통상적인 초임계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또는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초임계 추출, 분리 및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분리 및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임계 추출(supercritical extraction)은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는 추출조작을 의미하며, 초임계 유체 추출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liquid)는 액체와 기체가 구분되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 및 압력에서 존재하는 물질의 상태를 의미한다. 초임계유체 상태에 도달하면 밀도는 액체에 가깝지만 점도는 기체에 가까운 액체와 기체의 특성이 혼재된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해력은 용매의 밀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초임계유체의 용해력은 기체의 용해력에 비해 월등하게 높고, 액체보다 빠른 확산속도를 가지므로 액체에 비해 침투성이 좋아진다. 이처럼 액체와 기체의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점을 이용해서 의약품, 천연향, 화장품 등의 고순도 추출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다. 초임계 유체로서 이산화탄소와 펜탄 등이 사용된다. 이산화탄소는 임계점(31.1℃, 73.8atm)이 낮고 독성이 없으므로 유용 물질의 추출, 분리가 기대되고 있으며, 식품 분야에서는 호프와 카페인의 추출이 실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온도 20 내지 40℃ 및 압력 18 내지 25 MPa에서 6 내지 36시간 동안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온도 30℃ 이하 및 압력 18 내지 25 MPa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증류수,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1 : 0.1 내지 5(v/v)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 0.5 내지 3(v/v)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v/v)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혼합물’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혼합 추출물’로 지칭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1 내지 1000μg/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μg/ml,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g/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엘라스타제 또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주름 개선"은 콜라게나아제 또는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하여 콜라겐 또는 엘라스틴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산화,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폼, 비누, 마스크, 연고제, 크림, 로션, 에센스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에서,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에 관한 설명,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 용도에 관한 설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제 또는 식이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이 식품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상기 혼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은 멜라닌의 합성 증가로 인해 피부의 색깔이 어두워지는 모든 작용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멜라닌의 생성 증가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으로 유발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cyanic 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 색소 침착, 찰상, 화상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및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구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부위에 국부적으로 사용되는 피부외용제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과 같은 통상적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나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유효성분, 즉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1 내지 10,000㎎/㎏/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일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제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이하, ‘혼합 추출물’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추출물 제조에 사용한 단풍잎돼지풀 및 개망초는 경기도 오산천 일대에서 채취하였다. 채취된 단풍잎돼지풀을 세척 및 열풍건조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단풍잎돼지풀 건조물을 분쇄하였다. 단풍잎돼지풀 분쇄물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온도 30℃ 이하 및 압력 18 내지 25 MPa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도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1:1(v/v)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추출물의 생리활성 측정
2-1. 전자공여능 측정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ies) 측정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60 μl 및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5, 10, 50, 100, 500, 1000μg/ml)을 120 μl를 혼합한 후 1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반응액의 흡광도(517 nm)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추출물은 전자공여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추출물 1000 μg/ml 처리군은 전자공여능이 70.1%임을 확인하였다.
2-2. ABTS +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측정
ABTS+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증류수에 7 mM 2,2-azino-bis(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 및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용해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으며, 100% 에탄올에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희석된 ABTS+ 100 μl 및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5, 10, 50, 100, 500, 1000 μg/ml) 100 μl를 혼합한 후, 700 nm에서 혼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추출물은 ABTS+ radical 소거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추출물 1000 μg/ml 처리군은 ABTS+ radical 소거능이 95.1%임을 확인하였다.
2-3.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67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80 μl; 10 mM L-DOPA를 녹인 기질액 40 μl; 및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5, 10, 50, 100, 500, 1000 μg/ml) 40 μl;을 혼합하였다. 제조된 혼합액에 200 U/ml mushroom tyrosinase 40 μl을 첨가하여 37℃ 및 암흑 조건에서 10분간 반응시켜, DOPA chrome을 생성시켰다. 생성된 DOPA chrome을 4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저해율(%)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추출물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 추출물 50 μg/ml 처리군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이 40% 이상임을 확인하였고, 혼합 추출물 1000 μg/ml 처리군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최대 59.1%임을 확인하였다.
2-4.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을 위한 기질은 N-succinyl-(L-Ala)3-p-nitroanilide(Sigma, USA)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5, 10, 50, 100, 500, 1000 μg/ml) 40 μl씩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각 웰에 50 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 2.5 U/ml porcine pancreas elastase(Sigma, USA) 용액 40 μl씩 가한 후 기질로 50 mM tris-HCl buffer(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0.5 mg/ml)을 80 μl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반응시켜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45 nm에서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 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저해율(%)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추출물은 elastase 저해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추출물 1000 μg/ml 처리군은 elastase 저해 활성이 최대 37.4%임을 확인하였다.
2-5. Collagenase 저해 활성 측정
0.1 M tris-HCl buffer (pH 7.5)에 4 mM calcium chloride (CaCl2)를 첨가하여 Pz-Pro-Leu-Gly-Pro-D-Arg-OH trifluoroacetate salt (0.3 mg/ml)를 녹인 기질액을 미리 제조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5, 10, 50, 100, 500, 1000 μg/ml) 50 μl 및 기질액 125 μl를 혼합하여 반응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반응구를 실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 정지 시약인 6% citric acid 250 μl; 및 1.5 ml의 ethyl acetate;를 첨가하여 UV/VIS spectroscopy를 이용해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저해율(%)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추출물은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추출물 1000 μg/ml 처리군은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최대 42.3%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세포 독성 측정
3-1. 세포주 및 세포 배양
본 실험에 이용한 macrophage 세포주인 Raw 264.7 세포, melanoma 세포주인 B16F10 세포 및 fibroblast 세포주인 CCD-986Sk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은 10% FBS 및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을 첨가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3-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 및 B16F10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시딩하였다. CCD-986Sk 세포는 96 well plate에 1×106 cells/well이 되도록 시딩하였다. 각 웰에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5, 10, 50, 100, 500, 1000 μg/ml) 20 μl을 첨가한 후 37℃, 5% CO2 조건이 유지되는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플레이트에 2.5 mg/ml 농도로 제조된 MTT 용액 40 μl를 첨가하여 3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였고, 각 웰에 DMSO 10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혼합 추출물 처리에 따른 Raw 264.7 세포, B16F10 세포 및 CCD-986Sk 세포의 세포 생존율은 각각 도 6 내지 8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도 6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추출물은 대식세포, 멜라노마 세포 및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추출물 처리 시 대식세포, 멜라노마 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세포 생존율은 각각 82%, 84% 및 81%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후술되는 실험에는 세포 생존율이 80% 이상인 농도 범위(25, 50, 100 μg/ml)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아세포에서는 100 μg/ml에서 81%의 생존율을 보여 모든 cell line에서 독성이 미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하의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 관련 신호전달인자 측정은 세포 생존율이 80% 이상을 보이는 농도구간인 25, 50, 100 μg/ml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4.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양 측정
멜라노마 세포에서 미백 인자인 TRP-1 및 TRP-2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16F10 세포를 100 mm tissue culture dish에 1×106 cells/well로 시딩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5, 10, 50, 100, 500, 1000 μg/ml)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2회 세척하였다. Complete mini 1 tab을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RIPA) buffer 10 ml에 가한 용액 80μl를 상기 세척된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용해시킨 후 4℃, 13,200 rpm에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BCA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상층액에 포함된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수득된 단백질을 10% SDS-PAGE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전개하였다. 전개된 단백질은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mbrane에 transfer한 후 blocking buffer (5% skim milk in TBST)로 1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Primary antibody를 1:500의 비율로 3% skim milk in TBST에 희석하여 4℃에서 밤새도록 배양한 후, 10분 간격으로 TBST(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 버퍼로 3회 세척하였다. Secondary antibody는 1:2,0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90분간 반응시켰으며, 다시 TBST로 10분씩 3회 세척하여 Davinch-Chemi™ Imager CAS-400SM system을 이용하여 밴드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인 Control은 LPS를 처리하여 염증 활성을 과발현시킨 군이며, normal은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이다. TRP-1 및 TRP-2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는 각각 도 9 및 10에 나타내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TRP-1 및 TRP-2의 단백질 발현은 혼합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추출물 50 및 100 μg/ml 처리군은 TRP-2 단백질 발현을 알부틴과 유사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항노화 활성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바, 항노화 관련 식품 및 화장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제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의 제조
1-1. 유연화장수 제조
혼합 추출물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1-2. 밀크로션 제조
혼합 추출물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1-3. 영양크림 제조
혼합 추출물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1-4. 마사지크림 제조
혼합 추출물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1-5. 세정용 바디클렌저 제조
혼합 추출물 1g, 음이온계면활성제 18g, 비이온계면활성제 5g, 글리세린 7g, 소듐클로라이드 3g, 천연올리브액상비누 1.5g, 향료 1g 및 물 100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세정용 바디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Erigeron annuus)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잎돼지풀 또는 개망초는 줄기, 잎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부위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온도 20 내지 40℃ 및 압력 18 내지 25 MPa에서 6 내지 36시간 동안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은 1 : 0.1 내지 5(v/v)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엘라스타제 또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
  7.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8.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cyanic 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 색소 침착, 찰상, 화상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및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220069403A 2022-06-08 2022-06-08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230169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403A KR20230169506A (ko) 2022-06-08 2022-06-08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403A KR20230169506A (ko) 2022-06-08 2022-06-08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506A true KR20230169506A (ko) 2023-12-18

Family

ID=8930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403A KR20230169506A (ko) 2022-06-08 2022-06-08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95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200138870A (ko)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88682B1 (ko)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KR101768626B1 (ko) 홍화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50050995A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3113111A1 (ko)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기미, 검버섯 등의 개선을 위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01305B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3171A (ko) 까마중 추출물 또는 솔라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20230169506A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개망초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1704922B1 (ko) 4-하이드록시사타바신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42086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68316A (ko) 황벽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577787B1 (ko) 폴리필린 ⅶ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35220B1 (ko) 참까막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82196B1 (ko) 천심련 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일주기 리듬 장애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774860B1 (ko) 잣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8850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