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817A -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817A
KR20230168817A KR1020220069548A KR20220069548A KR20230168817A KR 20230168817 A KR20230168817 A KR 20230168817A KR 1020220069548 A KR1020220069548 A KR 1020220069548A KR 20220069548 A KR20220069548 A KR 20220069548A KR 20230168817 A KR20230168817 A KR 2023016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long
battery
conductive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817A/ko
Priority to US18/207,030 priority patent/US20230402725A1/en
Publication of KR2023016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4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가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는,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을 포함하는 코어 셀과, 코어 셀의 제1, 제2 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면 상에 도전성 연결된 림부와, 전극 면 상에서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전극 탭과, 전극 면과 전극 탭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도전성 압착층으로서, 도전성 입자와 상기 도전성 입자를 수용하는 절연성 수지를 구비하는 도전성 압착층을 포함하고, 절연성 수지는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 셀과 코어 셀의 충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전극 탭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이면서도, 접속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모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코어 셀과 코어 셀의 충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전극 탭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이면서도, 접속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는,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을 포함하는 코어 셀;
상기 코어 셀의 제1, 제2 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면 상에 도전성 연결된 림부와, 상기 전극 면 상에서 상기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전극 탭; 및
상기 전극 면과 전극 탭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도전성 압착층으로서, 도전성 입자와 상기 도전성 입자를 수용하는 절연성 수지를 구비하는 도전성 압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수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면 상에 형성된 림부로부터 전극 면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인출 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림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제1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르는 제2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은, 상기 제1, 제2 면이 형성하는 제1, 제2 전극 면 상에 각각 도전성 연결된 제1, 제2 전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전극 탭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제2 전극 면으로부터 제1, 제2 전극 면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제2 인출 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출 편은, 상기 제1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1 림부로부터 제1, 제2 면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면을 따라 제2 인출 편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인출 편은, 상기 제2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2 림부로부터 제2 전극 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탭의 제1 림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제1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르는 제2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탭의 제2 림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르는 제4 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제3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 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탭의 제1 림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변부를 포함하여,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 탭과 제1 전극 면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제1 도전성 압착층은, 상기 제1 림부를 추종하는 윤곽선을 갖고 제1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 면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 탭의 제2 림부는, 제2 전극 면의 원형 테두리를 추종하는 호 형상의 전방 스트립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스트립과, 상기 전방 스트립 및 후방 스트립의 양단을 서로 연결해주는 사이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스트립은, 제2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방 스트립의 양단과 제2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되는 후방 스트립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후방 스트립의 양단으로부터 90도 보다 큰 둔각을 후방 스트립과의 사잇각으로 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 탭과 제2 전극 면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제2 도전성 압착층은, 상기 제2 림부를 추종하는 윤곽선을 갖고, 제2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성 압착층은, 상기 제2 림부의 전방 스트립을 추종하는 라운드 형상 또는 다수의 절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의 림부는, 상기 전극 면 상에서 단일한 수용 공간을 구획하도록, 단일한 수용 공간을 둘러싸며, 단일한 수용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은, 상기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림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패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면 상에 형성된 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극 탭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인출 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을 포함하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1,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부는, 상기 수용 공간 각각을 형성하는 균일한 단위 형상이 제1, 제2 방향을 따라 반복된 단위 형상의 배열에서, 단위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스트립은, 제1,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과 교번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형상이 전극 탭의 경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면서, 전극 탭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형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 형상이 전극 탭의 경계와 맞닿으면서 전극 탭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형상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기 제2 방향 또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한 열의 단위 형상은 서로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형상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기 제2 방향 또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한 열의 단위 형상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 셀과 코어 셀의 충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전극 탭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이면서도, 접속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일부에 관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전성 압착층을 개재한 코어 셀과 제1 전극 탭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일부에 관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전성 압착층을 개재한 코어 셀과 제2 전극 탭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도 3a에 도시된 제1 전극 탭의 다양한 변형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도 3b에 도시된 제2 전극 탭의 다양한 변형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일부에 관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전성 압착층을 개재한 코어 셀과 제1 전극 탭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의 일부에 관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전성 압착층을 개재한 코어 셀과 제2 전극 탭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는,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10a,10b)을 포함하는 코어 셀(10)과, 상기 제1, 제2 면(10a,10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면(10a,10b) 상에 도전성 연결된 림부(32,42)와, 상기 전극 면(10a,10b) 상에서 상기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G1,G2)을 포함하는 전극 탭(30,40)과, 상기 전극 면(10a,10b)과 전극 탭(30,40)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도전성 압착층(35,45)으로서, 도전성 입자(51)와 도전성 입자(51)를 수용하는 절연성 수지(55)를 구비하는 도전성 압착층(35,45)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수지(55)는 상기 수용 공간(G1,G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셀(10)은,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10a,1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면(10a,10b)을 연결해주는 측면(1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어 셀(10)은, 원형의 제1, 제2 면(10a,10b)과, 원형의 제1, 제2 면(10a,10b)을 연결해주도록 원주면 형태로 라운드진 측면(10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제2 전극 면(10a,10b)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면(10a,10b) 상에는 제1, 제2 전극 탭(30,40)이 도전성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제1, 제2 전극 탭(30,40)과의 도전성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편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제1, 제2 방향(Z1,Z2)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 제2 면(10a,10b) 상에 형성되는 제1, 제2 전극 탭(30,40)은 제1 방향(Z1)을 따라 연장되는 인출 편(31,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Z1)과 교차하는 제2 방향(Z2)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제2 방향(Z1,Z2)과 교차하는 제3 방향(Z3)을 따라 동일한 레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 셀(10)은 원형의 제1 면(10a)의 직경(D) 또는 제2 면(10b)의 직경 보다 낮은 높이(H)로 형성된 슬림화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 셀(10)의 높이(H)란, 제3 방향(Z3)을 따르는 디멘젼에 해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 셀(10)은 상기 제1 면(10a)의 직경(D) 또는 제2 면(10b)의 직경 보다, 상기 제1, 제2 면(10a,10b) 사이의 높이(H)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슬림화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 셀(10)의 종횡비에 대해, 높이(H) 대비 제1 면(10a)의 직경(D)의 종횡비는, 5.4:12 ~ 5.4:14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면(10a)의 직경(D)과 제2 면(10b)의 직경은 서로 동등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 셀(10)의 종횡비는, 상기 제1 면(10a)의 직경(D)에 대한 종횡비와, 상기 제2 면(10b)의 직경에 대한 종횡비에서 모두 5.4:12 ~ 5.4:14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는, 슬림화된 형상의 코어 셀(10)을 포함하여 배터리의 장착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장착되는 세트 기기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횡비를 벗어나 적정 높이(H)를 초과하는 높이(H)의 코어 셀(10)을 적용할 경우, 세트 기기의 슬림화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종횡비를 벗어나 적정 높이(H)가 확보되지 못한 코어 셀(10)을 적용할 경우, 코어 셀(10)의 내부를 형성하는 전극 조립체의 형상을 과도하게 제한하여, 코어 셀(10) 내지는 코어 셀(10)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적정의 출력이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서로 다른 극성을 외부로 표출하는 제1, 제2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제2 전극 면(10a,10b)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제1, 제2 면(10a,10b)과 제1, 제2 전극 면(10a,10b)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제2 면(10a,10b)과 제1, 제2 전극 면(10a,10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본 명세서를 통하여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제1, 제2 전극 면(10a,10b)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제2 면(10a,10b)에 관한 기술적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제2 전극 면(10a,10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제2 면(10a,10b) 중에서, 어느 일 면만이 전극 면(10a,10b)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면(10a,10b)으로 기능하는 일 면 상의 서로 다른 개소에는 서로 다른 제1, 제2 전극 탭(30,40)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전극 면(10a,10b)이란 외부를 향하여 극성을 표출하는 전극을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어 셀(10)의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하도록 전극 탭(30,40)이 연결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10a,10b) 중에서 어느 일 면만이 전극 면(10a,10b)으로 기능하고, 나머지 타 면은 전극 면(10a,10b)으로 기능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면(10a,10b) 중에서, 어느 일 면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제2 전극이 모두 형성된 전극 면(10a,10b)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극 면(10a,10b)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1, 제2 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극 면(10a,10b)의 중앙 위치에는 제1 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전극 면(10a,10b)의 테두리 위치에는 제1 전극과 다른 극성의 제2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면(10a,10b)의 제1, 제2 전극 위치 사이에는 절연 갭이 형성되어, 제1, 제2 전극 사이의 절연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각각 코어 셀(10)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의 제1,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제2 면(10a,10b) 상에 도전성 연결된 제1, 제2 전극 탭(30,40)을 통하여 세트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트 기기란, 상기 코어 셀(10)의 방전 전력을 공급받는 외부 부하 또는 코어 셀(10)을 향하여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은 코어 셀(10)의 방전 전력 또는 충전 전력의 흐름을 형성하는 충, 방전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충, 방전 경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은 도전성 압착층(35,45)을 통하여 제1, 제2 면(10a,10b)에 도전성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제1, 제2 면(10a,10b) 사이에는 각각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이 개재되어,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제1, 제2 면(10a,10b) 사이의 도전성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상기 제1, 제2 면(10a,10b) 사이의 서로 다른 두 개소, 그러니까,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소에서 각각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을 이용한 도전성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상기 제1, 제2 면(10a,10b) 사이의 서로 다른 두 개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소에서 도전성 압착층(35,45)을 이용한 도전성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제1, 제2 면(10a,10b) 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일 개소에서는 도전성 압착층(35,45)을 이용한 도전성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나머지 다른 일 개소에서는 레이저 용접과 같은 압착에 따른 도전성 천이를 이용하지 않는 열 접합 방식을 통하여 도전성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어 셀(10)의 내부에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제1, 제2 전극판과, 상기 제1,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롤 형태로 권취한 권취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제2 전극판과 세퍼레이터를 서로에 대해 적층시킨 적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1, 제2 전극판은 코어 셀(10)의 제1, 제2 면(10a,10b)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면(10a,10b)을 통하여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탭(30,40)은, 상기 제1, 제2 면(10a,10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면(10a,10b) 상에 도전성 연결된 림부(32,42)와, 상기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G1,G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림부(32,42)로부터 제1 방향(Z1)을 따라 인출되는 인출 편(31,4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탭(30,40)은, 각각 상기 제1, 제2 전극 면(10a,10b)으로 기능하는 제1, 제2 면(10a,10b) 상에 도전성 연결된 제1, 제2 림부(32,42)와, 상기 제1, 제2 림부(32,42)로부터 제1, 제2 전극 면(10a,10b)을 벗어난 위치로 인출되는 제1, 제2 인출 편(31,41)을 포함하는 제1, 제2 전극 탭(30,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는 상기 제1, 제2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림부(32,42)는 림부(32,42)로 총괄적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림부(32,42)에 관한 기술적 사항은, 제1, 제2 림부(32,42)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수용 공간(G1,G2)으로 총괄적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수용 공간(G1,G2)에 관한 기술적 사항은, 제1, 제2 수용 공간(G1,G2)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인출 편(31,41)은 인출 편(31,41)으로 총괄적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인출 편(31,41)에 관한 기술적 사항은, 제1, 제2 인출 편(31,41)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탭(30,40)은, 전극 면(10a,10b) 상에 도전성 연결된 림부(32,42)로부터 제1 방향(Z1)을 따라 전극 면(10a,10b)을 벗어난 위치로 인출되는 인출 편(31,41)을 포함하여, 전극 면(10a,10b)으로부터 전극 면(10a,10b)의 외부로 연결되는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탭(30,40)의 림부(32,42)는, 전극 면(10a,10b)과의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한편으로, 전극 면(10a,10b)과의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30,40)은 림부(32,42)를 통하여 코어 셀(10)의 전극 면(10a,10b) 상에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한편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탭(30,40)은 인출 편(31,41)을 통하여 전극 면(10a,10b)의 외부로 연장되며, 전극 면(10a,10b)의 외부를 향하여, 그러니까, 코어 셀(10)의 외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전극 탭(30,40, 또는 인출 편 31,41)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물리적인 간섭에 취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어 셀(10)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전극 탭(30,40) 내지는 인출 편(31,41)에 대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코어 셀(10)의 중심(또는 제1, 제2 면 10a,10b의 원심)을 모멘트의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극 탭(30,40)을 회전시키려는 경향의 외부 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탭(30,40)의 림부(32,42)는 전극 면(10a,10b)과의 충분한 결합 면적 내지는 도통 면적을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가급적 코어 셀(1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배치되어, 외부 모멘트에 대한 저항 모멘트의 암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30,40)의 림부(32,42)의 설계에 있어, 상기 코어 셀(10)의 중심으로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지도록 상기 림부(32,42)는 전극 탭(30,40)의 외곽을 둘러싸는 중공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림부(32,42)는 전극 면(10a,10b) 상에 형성된 수용 공간(G1,G2)을 둘러싸면서 수용 공간(G1,G2)을 통하여 도전성 압착층(35,45)의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G1,G2)을 둘러싸도록 수용 공간(G1,G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림부(32,42)를 전극 탭(30,40)의 외곽으로 하는 형태의 전극 탭(30,4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탭(30,40)의 수용 공간(G1,G2)은 전극 탭(30,40)의 내측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탭(30,40)의 림부(32,42)는 전극 탭(30,40)의 외측 영역 내지는 외곽의 테두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극 탭(30,40)의 림부(32,42)는 전극 탭(30,40)의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림부(32,42)는 전극 탭(30,40)의 내측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극 탭(30,40)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 수용 공간(G1,G2)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G1,G2)은 하나의 단일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림부(32,42)는 단일한 수용 공간(G1,G2)을 둘러싸며 단일한 수용 공간(G1,G2)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일한 수용 공간(G1,G2)을 가로질러 연장되면서 하나의 단일한 수용 공간(G1,G2)을 다수의 수용 공간(G1,G2)으로 구획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탭(30,40)과 전극 면(10a,10b) 사이의 결합 면적 내지는 도통 면적을 형성하는 림부(32,42)의 면적은, 가급적 코어 셀(1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림부(32,42)의 면적을 전극 탭(30,40)의 내측 영역에 배치하기 보다는, 전극 탭(30,40)의 외측 영역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예를 들어, 외부 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코어 셀(10)의 중심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저항 모멘트의 암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탭(30,40)의 림부(32,42)는 전극 면(10a,10b)에 대해 도전성 연결되면서 배터리의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한편으로, 전극 면(10a,10b)에 대해 물리적으로 결합되면서 외부 충격에 대해 저항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극 탭(30,40)의 수용 공간(G1,G2)은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공백 상태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배터리의 충, 방전이나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에 기여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은 각각 서로 다른 제1, 제2 전극 면(10a,10b) 내지는 제1, 제2 면(10a,10b) 상에 형성되는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각각 둘러싸는 제1, 제2 림부(32,42)와, 상기 제1, 제2 림부(32,42)로부터 제1 방향(Z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제2 인출 편(31,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탭(30,40)은, 각각의 제1, 제2 면(10a,10b) 상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둘러싸는 제1, 제2 림부(32,42)와, 상기 제1, 제2 림부(32,42)로부터 제1 방향(Z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제2 인출 편(31,41)을 구비하는 제1, 제2 전극 탭(30,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상기 제1, 제2 면(10a,10b)은 각각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을 개재하여, 서로에 대해 물리적으로 결합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 및 제1, 제2 면(10a,10b) 사이에서 이들 간의 물리적으로 결합 및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은, 대체로 제1, 제2 전극 탭(30,40)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의 서로 다른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제1 전극 면(10a)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탭(30)의 제1 림부(32)는, 제1 인출 편(31)이 연장되는 제1 방향(Z1)을 따라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Z1)을 따르는 제1 림부(32)의 제1 폭(W1)은, 제2 방향(Z2)을 따르는 제2 림부(42)의 제2 폭(W2)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 면(10b)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탭(40)의 제2 림부(42)는, 제2 인출 편(41)이 연장되는 제1 방향(Z1)과 교차하는 제2 방향(Z2)을 따라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Z2)을 따르는 제2 림부(42)의 제4 폭(W4)은, 제1 방향(Z1)을 따르는 제2 림부(42)의 제3 폭(W3) 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3 폭(W1,W3)은 제1 방향(Z1)을 따라 측정된 제1, 제2 림부(32,42)의 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제2 림부(32,42)의 전체 형상에서, 제1 방향(Z1)을 따라 측정된 최광폭을 의미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제4 폭(W2,W4)은 제2 방향(Z2)을 따라 측정된 제1, 제2 림부(32,42)의 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제2 림부(32,42)의 전체 형상에서 제2 방향(Z2)을 따라 측정된 최광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방향(Z1)과 제2 방향(Z2)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 제1, 제2 면(10a,10b) 상에 형성되는 제1, 제2 전극 탭(30,40)의 제1 내지 제4 폭(W1,W2,W3,W4)이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것은, 외부 충격에 대비하여 제1, 제2 전극 탭(30,40)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부여함과 함께,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제1, 제2 전극 면(10a,10b)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고려한 설계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이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다는 것은, 상기 제1 전극 탭(30)은 제1 방향(Z1)을 따라 최광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전극 탭(40)은 제2 방향(Z2)을 따라 최광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제1, 제2 전극 탭(30,40)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한 다양한 변형에도 불구하고, 제1, 제2 전극 탭(30,40)의 전체적인 형상은,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방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최광폭으로 형성되는 제1, 제2 방향(Z1,Z2)에 따른 제1, 제2 전극 탭(30,40)의 방향성은,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극 탭(30)은, 제1, 제2 방향(Z1,Z2)이 이루는 제1 전극 면(10a) 상에 형성된 림부(32,42)로부터 제1, 제2 방향(Z1,Z2)과 교차하는 제3 방향(Z3)을 따라 코어 셀(10)의 측면(10c)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인출 편(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인출 편(31)은, 제1 전극 면(10a) 상에 형성된 제1 림부(32)로부터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면(10c)을 따라 제2 인출 편(41)을 향하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탭(30)과 달리, 상기 제2 전극 탭(40)은, 제1, 제2 방향(Z1,Z2)이 이루는 제2 전극 면(10b) 상에 형성된 제2 림부(42)로부터 제2 전극 면(10b)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제2 방향(Z1,Z2)과 교차하는 제3 방향(Z3)을 따라 같은 레벨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인출 편(31,41)이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다른 레벨에 형성된 제1, 제2 면(10a,10b)의 제1, 제2 림부(32,42)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인출 편(31)은 제1 전극 면(10a) 상의 제1 림부(32)로부터 제2 전극 면(10b) 상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인출 편(41)을 향하여 코어 셀(10)을 측면(10c)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 제2 인출 편(31,41)의 입출력단(31a,41a)이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인접한 레벨에 접근할 수 있고, 이러한 제1, 제2 인출 편(31,41)의 입출력단(31a,41a)을 통하여 외부 기기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어 셀(10)의 충, 방전 경로가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3 방향(Z3)을 따르는 높이(H) 대비 제1, 제2 방향(Z1,Z2)이 이루는 평면 상의 종횡비(제1 면 10a의 직경 D 또는 제2 면10b의 직경)가 상대적으로 큰 슬림화된 형상의 코어 셀(10)을 적용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코어 셀(10)의 높이(H)를 통하여 제1, 제2 인출 편(31,41)의 입출력단(31a,41a)을 형성함으로써, 제3 방향(Z3)을 따르는 제1, 제2 인출 편(31,41)의 레벨 차이가 감소하도록, 제1 인출 편(31)을 제3 방향(Z3)을 따라 제2 인출 편(41)을 향하여 연장시킴으로써, 제1, 제2 인출 편(31,41)의 입출력단(31a,41a) 사이의 거리, 그러니까, 제3 방향(Z3)을 따르는 입출력단(31a,41a)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인출 편(31,41)의 연장 단부가 형성하는 입출력단(31a,41a)끼리의 거리를 단축하여, 외부 기기와의 접속의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인출 편(31,41)의 입출력단(31a,41a)을 경유하는 코어 셀(10)의 충, 방전 경로가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출 편(41)은, 제3 방향(Z3)을 따라, 코어 셀(10)의 바닥에 해당되는 레벨(코어 셀 1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2 전극 면 10b의 레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낮은 레벨에 배치된 제2 인출 편(41)은, 외부 환경, 예를 들어, 외부 충격에 대해 취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인출 편(41)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부 충격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인출 편(41)이 연장되는 제2 림부(42)는 제2 방향(Z2)을 따라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림부(42)는 제2 방향(Z2)을 따르는 제4 폭(W4)이 제1 방향(Z1)을 따르는 제3 폭(W3)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으로써, 코어 셀(10)의 바닥과 같은 레벨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에 취약한 제2 인출 편(41)을 통하여 전달되는 제2 방향(Z2)의 외부 충격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인출 편(41)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부 충격은 제2 인출 편(41)이 연장되는 제1 방향(Z1)을 따라 정면으로 작용한다기 보다는, 제1 방향(Z1)과 어긋난 제2 방향(Z2)을 따라 전달되면서, 제2 인출 편(41)을 포함하는 제2 전극 탭(40)을 코어 셀(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틀려는 경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전극 탭(40)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전극 탭(40)의 제2 림부(42)를 제2 방향(Z2)을 따라 폭 넓게 형성함으로써, 제2 전극 탭(40)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탭(40)의 제2 림부(42)는, 전체적으로 제2 전극이 형성된 제2 면(10b)의 테두리 영역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림부(42)로부터 연장되는 제2 인출 편(41)을 통하여 작용하는 외부 충격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제2 림부(42)는 대체로 제2 면(10b)의 중앙 위치 보다는 테두리 영역 내지는 테두리 영역에 근접한 위치에서 제2 방향(Z2)을 따라 폭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림부(42)는, 제2 인출 편(41)을 통한 외부 충격을 제2 방향(Z2) 내지는 대체로 제2 방향(Z2)을 따르는 제2 전극 면(10b)의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폭 넓게 분산시키도록, 제2 전극 면(10b)의 원형의 테두리를 추종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 스트립(4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스트립(42a)과 마주하는 것으로, 제2 방향(Z2)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스트립(42b)과, 상기 전방 스트립(42a)의 양단과 후방 스트립(42b)의 양단을 연결해주는 한 쌍의 사이드 스트립(42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이드 스트립(42c)은 제2 방향(Z2)을 따라 상대적으로 넓게 연장되는 전방 스트립(42a)과 제2 방향(Z2)을 따라 상대적으로 좁게 연장되는 후방 스트립(42b)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사이드 스트립(42c)은 후방 스트립(42b)의 양단으로부터 90도 보다 넓은 둔각을 후방 스트립(42b)과의 사잇각으로 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탭(40)의 제2 림부(42)와 달리, 상기 제1 전극 탭(30)의 제1 림부(32)는, 제1, 제2 방향(Z1,Z2) 중에서 상대적으로 제1 방향(Z1)을 따르는 제1 폭(W1)이 제2 방향(Z2)을 따르는 제2 폭(W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전극 탭(30)의 설계는, 제1 면(10a) 상에 배치되는 절연 캡(20)을 고려하여 절연 캡(20)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림부(32)와 제1 전극 면(10a) 사이의 물리적인 결합 및 전기적인 연결을 충분하게 형성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극 면(10a) 상에는 절연 캡(20)이 덮여질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 면(10a) 상에 덮여지는 절연 캡(20)은 제1 전극 면(10a)이 제공하는 제1 전극 외의 다른 제2 전극이 제1 전극 면(10a) 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전극 면(10a) 상에 씌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제2 면(10a,10b) 내지는 제1, 제2 전극 면(10a,10b)이 제공하는 서로 다른 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 면(10a)은 제1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 면(10b)은 제1 전극과는 다른 제2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전극은 제1 전극 면(10a)의 중앙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극과 달리, 상기 제2 전극은 코어 셀(10)의 제2 전극 면(10b) 전체로부터 측면(10c)을 가로질러 제1 전극 면(10a)의 테두리 영역까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 면(10a)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된 제2 전극을 커버하도록 제1 전극 면(10a) 상에 절연 캡(20)을 씌움으로써, 제1 전극 면(10a) 상으로 제2 전극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제1 전극 면(10a) 상에 형성되는 제1 림부(32)가 제1 전극 면(10a) 상에 형성되는 제1, 제2 전극 모두와 연결되면서, 서로 반대 극성의 제1, 제2 전극이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 캡(20)은 중앙의 관통홀(20`)을 통하여 제1 전극 면(10a) 상의 제1 전극은 노출시키되, 제1 전극 면(10a) 상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된 제2 전극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캡(20)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전극 탭(30)과 제1 전극 면(10a) 사이의 충분한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극 면(10a) 상에 결합되는 제1 림부(32)는 제1 방향(Z1)을 따라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 탭(30)의 제1 림부(32)는 제1 방향(Z1)을 따르는 제1 폭(W1)이 제2 방향(Z2)을 따르는 제2 폭(W2)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면서, 제1 전극 면(10a)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전극과 충분한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림부(32)는 제1 방향(Z1)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부(32a)와 상기 제1 방향(Z1)과 교차하는 제2 방향(Z2)을 따라 연장되는 단변부(32b)를 포함하고,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장변부(32a)와 한 쌍의 단변부(32b)를 포함하여, 대략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제1 제2 면(10b)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전성 압착층(35,45)에 관한 기술적 사항은,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 중에서, 제1 도전성 압착층(35)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제1 도전성 압착층(35)에 관한 기술적 사항은, 제2 도전성 압착층(45)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압착층(35,45)은, 전극 탭(30,40)의 림부(32,42)와 전극 면(10a,10b) 사이에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도전성 입자(51)와, 상기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G1,G2) 내에 수용된 절연성 수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압착층(35,45)은 도전성 입자(51)와 상기 도전성 입자(51)를 수용하면서 도전성 입자(51)에 대한 유동성을 제공하는 절연성 수지(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전성 압착층(35,45)은 열 압착 이전의 비도전성 상태(절연 상태)로부터 열 압착 이후의 도전성 상태로의 천이, 그러니까, 도전성 압착층(35,45)의 도전성 천이를 통하여 전극 탭(30,40)과 전극 면(10a,10b)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전성 압착층(35,45)은 열 압착 이전에는 도전성을 띠지 않다가 열 압착을 통하여 비로서 도전성을 띨 수 있으며, 이러한 열 압착에서는 가압 툴(TO)을 이용하여 소정의 열 및 압력을 가하여, 도전성 압착층(35,45)을 개재한 전극 탭(30,40)과 전극 면(10a,10b) 사이를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도전성 압착층(35,45)의 도전성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열 압착 이전의 절연성 수지(55)는 실질적으로 고상 내지는 고상에 가까운 겔상의 비유동성 상태로 도전성 입자(5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열 압착 이후의 절연성 수지(55)는 액상의 유동성 상태로 도전성 입자(51)에 대한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탭(30,40)의 림부(32,42)와 전극 면(10a,10b) 사이에는 열 압착을 통하여 높은 압력이 작용하면서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떨어지는 도전성 입자(51) 보다는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절연성 수지(55)가 림부(32,42)와 전극 면(10a,10b) 사이로부터 밀려나면서,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G1,G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성을 제공하는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에 따라 유동성을 잃은 도전성 입자(51)가 전극 탭(30,40)의 림부(32,42)와 전극 면(10a,10b) 사이에 잔존하면서 전극 탭(30,40)과 전극 면(10a,10b)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성 압착층(35,45)의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G1,G2)을 제공함으로써, 전극 탭(30,40)과 전극 면(10a,10b) 사이로부터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을 허용하고, 도전성 입자(51)에 대한 유동성을 제공하던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에 따라 유동성을 잃은 도전성 입자(51)가 전극 탭(30,40)의 림부(32,42)와 전극 면(10a,10b)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는, 제1 전극 면(10a)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탭(3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면서 제1 수용 공간(G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림부(32)와, 제2 전극 면(10b)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탭(4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면서 제2 수용 공간(G2)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2 림부(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G1,G2)으로 밀려난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에 따라 유동성을 잃은 도전성 입자(51)가 제1, 제2 림부(32,42)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의 위치에 고착되면서 이들 사이의 도전성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림부(32,42)는, 각각의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서,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둘러싸면서, 제1, 제2 림부(32,42)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의 압착에 따라 배출되는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G1,G2)을, 제1, 제2 림부(32,42)와 인접한 위치에서 형성할 수 있으며, 압착에 따라 밀려나는 절연성 수지(55)를, 제1, 제2 림부(32,42)와 인접한 위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통하여 수용함으로써,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고, 절연성 수지(55)가 제1, 제2 림부(32,42)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에 존재하는 과잉의 절연성 수지(55)에 의해 도전성 입자(51)에 불필요한 유동성을 제공하여 도전성 입자(51)의 고착을 방해하거나 또는 도전성 입자(51)를 개재한 제1, 제2 림부(32,42)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의 도전성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제2 림부(32,42)로부터 밀려난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하는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제1, 제2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림부(32)와 제1 전극 면(10a)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압착층(35,45) 중에서 제1 림부(32)와 제1 전극 면(10a) 사이의 압착을 통하여 수용 공간(G1,G2)으로 밀려난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에 따라 도전성 압착층(35,45)의 도전성 입자(51)는 제1 림부(32)와 제1 전극 면(10a) 사이에서 고착되면서 제1 림부(32)를 포함하는 제1 전극 탭(30)과 제1 전극 면(10a) 사이의 도전성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림부(42)와 제2 전극 면(10b) 사이에 형성된 제2 도전성 압착층(45) 중에서, 제2 림부(42)와 제2 전극 면(10b) 사이의 압착을 통하여 제2 수용 공간(G2)으로 밀려난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에 따라 제2 도전성 압착층(45)의 도전성 입자(51)는 제2 림부(42)와 제2 전극 면(10b) 사이에서 고착되면서 제2 림부(42)를 포함하는 제2 전극 탭(40)과 제2 전극 면(10b) 사이의 도전성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림부(32,42)는 제1, 제2 전극 탭(30,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제2 전극 탭(30,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면서, 제1, 제2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 절연성 수지(55)의 수용을 위한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은, 실질적으로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제1, 제2 림부(32,42)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1, 제2 림부(32,42)를 추종하는 윤곽선을 갖는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제2 림부(32,42)의 테두리를 추종하는 윤곽선을 갖고, 상기 제1, 제2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커버하는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 중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 형성된 제1, 제2 림부(32,42)는 각각 서로 다른 제1, 제2 방향(Z1,Z2)을 따르는 방향성을 갖고, 각각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림부(32,42)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 역시 서로 다른 제1, 제2 방향(Z1,Z2)을 따르는 방향성을 갖고, 각각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림부(32)는, 제1 방향(Z1)을 따라 장변부(32a)를 갖고, 제2 방향(Z2)을 따라 단변부(32b)를 갖는 중공의 직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림부(32)와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제1 도전성 압착층(35)은, 상기 제1 림부(32)와 상응하는 직사각형의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림부(42)는, 전체적으로, 제2 방향(Z2)을 따라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되며, 제2 전극 면(10b)의 원형 테두리를 추종하는 호 형상의 전방 스트립(42a)과, 제2 방향(Z2)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스트립(42b)과, 상기 전방 스트립(42a)과 후방 스트립(42b)의 양단을 서로 연결해주는 한 쌍의 사이드 스트립(42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스트립(42a), 후방 스트립(42b) 그리고, 사이드 스트립(42c) 사이의 내부에는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림부(42)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제2 도전성 압착층(45)은, 제2 림부(42)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도전성 압착층(45)은 제2 림부(42)의 전방 스트립(42a)을 추종하는 라운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가공 상의 편이를 고려하여 제2 림부(42)의 전방 스트립(42a)을 추종하도록 다수 회의 절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도전성 압착층(35,45)은, 제1, 제2 림부(32,42)를 추종하는 윤곽선을 갖는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전성 압착층(35,45)은, 상기 제1, 제2 림부(32,42)를 따르는 외측 테두리와 상기 제1, 제2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제2 수용 공간(G1,G2)에 대응되는 내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과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의 압착을 전후로 하여, 도전성 압착층(35,45) 외측 테두리 및 내측에서 도전성 압착층(35,45)의 구성 성분(도전성 입자 51와 절연성 수지55)의 상대적인 비율은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압착 이전의 도전성 압착층(35,45)의 외측 테두리와 내측에서 도전성 압착층(35,45)의 구성 성분(도전성 입자 51와 절연성 수지 55)의 상대적인 비율은 대략 동일할 수 있으나, 압착 이후의 도전성 압착층(35,45)의 외측 테두리 및 내측에서 도전성 압착층(35,45)의 구성 성분(도전성 입자 51와 절연성 수지 55)의 상대적인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착 이후의 도전성 압착층(35,45)의 외측 테두리에서는, 도전성 압착층(35,45)의 외측 테두리에 대응되는 림부(32,42)와 전극 면(10a,10b) 사이의 압착에 따른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에 수반하여 압착 이전 보다 절연성 수지(55)의 상대적인 비율이 감소할 수 있고, 역으로, 압착 이후의 도전성 압착층(35,45)의 내측에서는, 도전성 압착층(35,45)의 내측에 대응되는 수용 공간(G1,G2)으로 절연성 수지(55)가 배출됨에 따라, 압착 이전 보다 절연성 수지(55)의 상대적인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제2 림부(32,42)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의 압착에 따라, 제1, 제2 림부(32,42)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로부터 밀려난 절연성 수지(55)가 제1, 제2 수용 공간(G1,G2)으로 배출됨에 따라, 제1, 제2 림부(32,42)에 해당되는 도전성 압착층(35,45)의 외측 테두리에서는 도전성 입자(51)의 상대적인 비율이 증가하는 한편으로, 제1, 제2 림부(32,4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제2 수용 공간(G1,G2)에 해당되는 도전성 압착층(35,45)의 내측에서는 절연성 수지(55)의 상대적인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도 5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형상을 도시한 서로 다른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극 탭(30,40)의 변형된 실시형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8에는, 도 3a에 도시된 제1 전극 탭(30)의 다양한 변형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에는, 도 3b에 도시된 제2 전극 탭(40)의 다양한 변형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제2 전극 탭(30,40)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서 단일한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형성하도록, 단일한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둘러싸는 테두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 중에서,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 형성된 제1, 제2 림부(32,42)는, 제1, 제2 전극 탭(30,4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의 내측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고, 제1, 제2 전극 탭(30,40)의 내측을 가로지르면서 단일한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형태와 달리,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 형성되는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은,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와 함께,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는, 상기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는 제1 방향(Z1)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제1 방향(Z1)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하여, 제1 방향(Z1)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하여, 제2 방향(Z2)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는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하여,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Z1)이란,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를 포함하는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제1, 제2 인출 편(31,41)이 연장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2 방향(Z2)은 제1 방향(Z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패턴부(232)는,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들을 포함하여,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구획된 다수의 제1 수용 공간(G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수용 공간(G1)은,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열 및 행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1 전극 면(10a) 상에 형성된 제1 패턴부(232)와 유사하게, 제2 전극 면(10b) 상에 형성되는 제2 패턴부도,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하여,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열 및 행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2 수용 공간(G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 각각은 하나의 균일한 단위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이나 원형과 같은 단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위 형상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이 제1, 제2 전극 탭(30,40)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제1, 제2 패턴부(333,433,343,443)를 형성하는 스트립과 함께 교번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전극 탭(30,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제1, 제2 림부(32,42)를 통하여 하나의 단일한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형성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전극 면(10a,10b)과의 결합을 형성하는 결합 면적 또는 통전 면적(제1, 제2 림부 32,42의 면적에 해당됨)을 가급적 제1, 제2 전극 면(10a,10b)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저항 모멘트의 암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저항 모멘트의 암을 길게 형성하도록, 제1, 제2 전극 면(10a,10b)과의 결합 면적 또는 통전 면적에 해당되는 제1, 제2 림부(32,42)의 면적을, 제1, 제2 전극 면(10a,10b)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배치하는 구조에서는,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는 제1, 제2 림부(32,42)의 면적을 통하여 동일한 면적 대비 제1, 제2 전극 탭(30,40)의 결합 면적 또는 통전 면적을 넓은 영역에 걸쳐서 분산시키면서, 제1, 제2 전극 탭(30,40)에 의해 제공되는 충, 방전 경로가 그만큼 길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일한 면적 대비, 제1, 제2 전극 탭(30,40)의 전기 저항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전극 면(10a,10b)과의 전기적인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와 함께,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의 내측으로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구획하는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를 형성하고,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 내에,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결합 면적 또는 통전 면적을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그만큼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은,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 내지는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압착에 따라,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 내지는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로부터 밀려난 절연성 수지(55)는, 바로 인접한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 내로 수용되면서, 그러니까,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 내지는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 내로 수용되면서,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이 촉진될 수 있으며, 절연성 수지(55)의 배출에 따라 유동성을 잃은 도전성 입자(51)는 제1, 제2 림부(132,232,332,432,142,242,342,442) 내지는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사이에서 고착되면서, 이들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1, 제2 패턴부(133,233,333,433,143,243,343,443)는 제1, 제2 방향(Z1,Z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을 추종하거나 또는 제1, 제2 방향(Z1,Z2) 모두를 추종하면서, 그러니까, 제1, 제2 방향(Z1,Z2) 중에서 어느 일 방향을 주 방향으로 하고, 상기 주 방향으로부터 나머지 다른 방향으로의 분기를 포함하여, 다수로 분할된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패턴부(333,433,343,443)는, 상기 제1 방향(Z1) 및 제2 방향(Z2) 중에서 어느 일 방향을 주 방향으로 하고, 상기 주 방향으로부터 나머지 다른 방향으로의 분기를 포함하고, 주 방향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 제2 패턴부(333,433,343,443)를 포함하여, 단위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방향으로부터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같은 위치에서 분기되는 제1, 제2 패턴부(333,433,343,443)를 포함하여,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같은 위치에 형성된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형성하거나 또는 주 방향으로부터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엇갈린 위치에서 분기되는 제1, 제2 패턴부(333,433,343,443)를 포함하여,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은 제1, 제2 패턴부(333,343)의 주 방향에 해당되는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열될 수 있으며, 주 방향과 다른 제2 방향(Z2) 또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이웃한 열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은 주 방향과 다른 제2 방향(Z2) 또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제1, 제2 패턴부(433,443)의 주 방향에 해당되는 제1 방향(Z1)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주 방향과 다른 제2 방향(Z2) 또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다수로 분할된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은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제1 방향(Z1)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2 방향(Z2)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제2 방향(Z1,Z2) 중에서 어느 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제2 방향(Z1,Z2)의 분기를 포함하여, 주 방향에 해당되는 제1 방향(Z1) 및 주 방향과 다른 제2 방향(Z2)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 중에서 일부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제1, 제2 전극 탭(30,4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일부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 예를 들어, 제2 수용 공간 G2`)은,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 예를 들어, 제2 전극 탭 340,44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도전성 압착층(35,45)의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형태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 보다는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 예를 들어, 제2 수용 공간 G2`)이 보다 많은 부피의 도전성 압착층(35,45)의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제2 방향(Z1,Z2) 중에서 어느 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상대적으로 많은 부피의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할 수 있고,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 외부를 향하는 통제되지 않는 절연성 수지(55)의 흐름을 고려하여,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형태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제2 방향(Z1,Z2)의 분기를 포함하여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배열된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은 많은 부피의 절연성 수지(55)를 수용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 예를 들어, 제2 전극 탭 340,440)의 경계에 형성된 제1, 제2 수용 공간(G1,G2, 예를 들어, 제2 수용 공간 G2`)은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 예를 들어, 제2 전극 탭 340,44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방향(Z1,Z2)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G2`)은 각각 하나의 균일한 단위 형상의 반복적인 배열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을 따라 단위 형상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면서,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경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단위 형상은,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형태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 예를 들어, 제2 전극 탭 340,440)의 경계와 맞닿는 단위 형상은 제1, 제2 전극 탭(130,230,330,430,140,240,340,440, 예를 들어, 제2 전극 탭 340,44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의 제1, 제2 수용 공간(G1,G2, 예를 들어, 제2 수용 공간 G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전성 압착층(35,45)은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나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CP,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전성 압착층(35,45)은 유리 천이 온도 이하에서는 고상으로 존재하다가 유리 천이 온도 이상에서 액상 또는 액상에 가까운 겔 상으로 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절연성 수지(55)를 포함하는 이방전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30,40)은, 제1, 제2 전극 면(10a,10b) 상에 형성된 제1, 제2 림부(32,42)와, 상기 제1, 제2 림부(32,42)로부터 제1, 제2 전극 면(10a,10b)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제2 인출 편(31,41)을 포함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제2 전극 면(10a,10b)과의 전기적인 연결 및 물리적인 결합의 강도를 고려하여, 제1, 제2 전극 면(10a,10b)과의 친화력이 우수하면서도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갖춘 금속 소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코어 셀 10a: 제1 면 또는 제1 전극 면
10b: 제2 면 또는 제2 전극 면 10c: 측면
20: 절연 캡 30: 제1 전극 탭
31: 제1 인출 편 32: 제1 림부
35: 제1 도전성 압착층 40: 제2 전극 탭
41: 제2 인출 편42: 제2 림부 45: 제2 도전성 압착층
51: 도전성 입자 55: 절연성 수지
G1: 제1 수용 공간 G2: 제2 수용 공간
TO: 가압 툴

Claims (23)

  1.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을 포함하는 코어 셀;
    상기 코어 셀의 제1, 제2 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면 상에 도전성 연결된 림부와, 상기 전극 면 상에서 상기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전극 탭; 및
    상기 전극 면과 전극 탭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도전성 압착층으로서, 도전성 입자와 상기 도전성 입자를 수용하는 절연성 수지를 구비하는 도전성 압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수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면 상에 형성된 림부로부터 전극 면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인출 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제1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르는 제2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상기 제1, 제2 면이 형성하는 제1, 제2 전극 면 상에 각각 도전성 연결된 제1, 제2 전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전극 탭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제2 전극 면으로부터 제1, 제2 전극 면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제2 인출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 편은, 상기 제1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1 림부로부터 제1, 제2 면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면을 따라 제2 인출 편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출 편은, 상기 제2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2 림부로부터 제2 전극 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탭의 제1 림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제1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르는 제2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 면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탭의 제2 림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르는 제4 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제3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탭의 제1 림부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변부를 포함하여,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탭과 제1 전극 면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제1 도전성 압착층은, 상기 제1 림부를 추종하는 윤곽선을 갖고 제1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면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 탭의 제2 림부는, 제2 전극 면의 원형 테두리를 추종하는 호 형상의 전방 스트립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스트립과, 상기 전방 스트립 및 후방 스트립의 양단을 서로 연결해주는 사이드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트립은, 제2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방 스트립의 양단과 제2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되는 후방 스트립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후방 스트립의 양단으로부터 90도 보다 큰 둔각을 후방 스트립과의 사잇각으로 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탭과 제2 전극 면 사이에 개재되어 도전성 연결을 형성하는 제2 도전성 압착층은, 상기 제2 림부를 추종하는 윤곽선을 갖고, 제2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압착층은, 상기 제2 림부의 전방 스트립을 추종하는 라운드 형상 또는 다수의 절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의 림부는, 상기 전극 면 상에서 단일한 수용 공간을 구획하도록, 단일한 수용 공간을 둘러싸며, 단일한 수용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상기 림부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림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면 상에 형성된 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극 탭을 벗어난 위치로 연장되는 인출 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을 포함하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1,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수용 공간 각각을 형성하는 균일한 단위 형상이 제1, 제2 방향을 따라 반복된 단위 형상의 배열에서, 단위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스트립은, 제1,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과 교번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이 전극 탭의 경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면서, 전극 탭의 외부로부터 폐쇄된 형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 형상이 전극 탭의 경계와 맞닿으면서 전극 탭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기 제2 방향 또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한 열의 단위 형상은 서로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기 제2 방향 또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한 열의 단위 형상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KR1020220069548A 2022-06-08 2022-06-08 배터리 KR20230168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548A KR20230168817A (ko) 2022-06-08 2022-06-08 배터리
US18/207,030 US20230402725A1 (en) 2022-06-08 2023-06-07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548A KR20230168817A (ko) 2022-06-08 2022-06-08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817A true KR20230168817A (ko) 2023-12-15

Family

ID=8907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548A KR20230168817A (ko) 2022-06-08 2022-06-08 배터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402725A1 (ko)
KR (1) KR2023016881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2725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42014B1 (en) Battery pack
US7642746B2 (en) Method of preparing battery core pack
KR102382525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배열
EP2615666B1 (en) Battery pack with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US9716258B2 (en) Battery pack
EP1901369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terminal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nd improved safety
EP1808915B1 (en) Conductive plate and secondary battery pack using conductive plate
US8697265B2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1312425B1 (ko) 이차 전지용 전지팩 및 이에 사용되는 컨넥터
KR20190064835A (ko) 배터리 팩
KR20130110048A (ko) 이차 전지
KR20190134788A (ko) 배터리 탭 구성
KR100983011B1 (ko) 물리적 접촉방식에 기반한 전지셀 접속부재
EP3846273A1 (en) Battery pack
US9088042B2 (en) Battery pack having elongate curved lead plates
CN109075277B (zh) 电池组
KR101502900B1 (ko) 전지 팩
CN115336098A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以及车辆
CN112787043A (zh) 电池模组以及用电装置
KR101826862B1 (ko) 보호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230168817A (ko) 배터리
KR101502899B1 (ko) 전지 팩
KR102511924B1 (ko) 배터리 팩
CN117561639A (zh) 电芯模块组件及包括该电芯模块组件的电池组
KR101842032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