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727A -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727A
KR20230168727A KR1020220069364A KR20220069364A KR20230168727A KR 20230168727 A KR20230168727 A KR 20230168727A KR 1020220069364 A KR1020220069364 A KR 1020220069364A KR 20220069364 A KR20220069364 A KR 20220069364A KR 20230168727 A KR20230168727 A KR 20230168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ot
iot devices
user terminal
mobil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22006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727A/ko
Publication of KR2023016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40Transport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 내에 설치되며 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 상기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되어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IoT 기기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관리되는 상기 IoT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IoT integrated Mobile service system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r more IoT devices in a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차량 전용 IoT 기기를 사용자 단말기의 앱 서비스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맞춤형 스마트 IoT 카를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합적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AI, 5G, AR/VR, 자율주행 등의 기술들이 잇따라 개발되면서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다양한 IVI(In-Vehicle-Infotainment)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예컨대, Toyota의 e-Palette 자율주행차량(2018), 셰플러의 Mover(2018), VW의 ID. LIFE(2021) 등 최근 5년간 무인형 매장, 카오피스, 카페테리아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형태의 컨셉카가 공개되면서 차량 공간의 새로운 활용, 새로운 차량 문화에 대한 대중의 기대감이 성장하였다.
이러한 차량 제조사에서 주도하는 개발 형태(메르세데스 벤츠, 현대자동차 등)는 차속, 노면의 상태, 생체 정보에 따른 알림 등 운전 상의 안전 및 편의 기능, 차량 내 내비게이션, 날씨 정보 등 알림 서비스(Ex. 메르세데스-벤츠가 엔비디아와 협력해 만든 ‘MBUX(Mercedes-Benz User Experience)’를 통해 기본적인 차량 제어도 가능하며 즐겨 쓰는 운전 환경을 기억하도록 인포테인먼트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개발(LG, 삼성, 애플 등)업체에서는 스마트폰을 차량에 연동하여 스마트폰의 앱 서비스를 차량 내에서 이용하기 위해 예컨대 애플의 카 플레이,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를 통해 휴대폰을 차량에 연동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상술한 인포테인먼트는 그 특성 상 정차 혹은 안전한 자율주행 상태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이 많고, 최근 차박, 피크닉 등 야외 장소에서의 정차 중에 차량을 이용하는 행태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인포테인먼트를 접목할 수 있는 제품은 빔 프로젝터, 유/무선 충전기, 공기청정기 및 조명류 등 중소형 전자제품이 많아 완성 제조사가 아닌 중소기업에서도 소비자 맞춤 형태의 유용한 커스텀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를 통한 차량 온도 조절, 생체 인식을 통한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연결 기술 등 차량 내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스마트 제품과 같은 것들도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완성차량 기성품으로 충족되기 어려운 카 IoT 애프터마켓 영역의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에는 다양한 제품과 호환 등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제품이 차량 내에서 3개 이상 늘어나게 되면 다양한 스마트 제품을 관리할 요소가 많아지고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특허출원 제10- 2021-01171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차량 전용 IoT 기기를 사용자 단말기의 앱 서비스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맞춤형 스마트 IoT 카를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합적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 내에 설치되며 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 상기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되어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IoT 기기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관리되는 상기 IoT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 사이에 음성 인식을 통해 제어하도록 상호 연동시키는 음성 인식 기기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하도록 차량 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배치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은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오디오, 차량용 공기청정기, 빔 프로젝터, 차량용 조명, 차량용 디퓨저, 차량용 스낵바 및 차량용 의류 관리기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IoT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온도,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다른 IoT 기기에게 전달하여 공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연동되어 사용하고 있는 IoT 기기의 전원 상태, 배터리 잔량, 절전모드 및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IoT 기기의 전원 온/오프 설정, 절전 모드 및 IoT 기기의 사용자 선호 환경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은, 차량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과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용 IoT 기기들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IoT 기기들을 사용자 환경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관리되는 상기 IoT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 사이에 음성 인식을 통해 제어하도록 음성 인식 기기를 상호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차량 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은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오디오, 차량용 공기청정기, 빔 프로젝터, 차량용 조명, 차량용 디퓨저, 차량용 스낵바 및 차량용 의류 관리기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IoT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온도,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다른 IoT 기기에게 전달하여 공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연동되어 사용하고 있는 IoT 기기의 전원 상태, 배터리 잔량, 절전모드 및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IoT 기기의 전원 온/오프 설정, 절전 모드 및 IoT 기기의 사용자 선호 환경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량 전용 IoT 기기를 사용자 단말기의 앱 서비스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맞춤형 스마트 IoT 카를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합적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내 복수의 IoT 기기를 장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내 음성 인식 기기의 장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서, 같은 명칭으로 나타낸 구성일지라도 도면에 따라 도면 번호가 달라질 수 있고, 도면 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된 것에 불과하고 해당 도면 번호에 의해 각 구성의 개념, 특징, 기능 또는 효과가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 또는 '모듈'이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내 복수의 IoT 기기를 장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내 음성 인식 기기의 장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 내에 설치되며 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100), 상기 IoT 기기들(100)과 상호 연동되어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IoT 기기들(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관리되는 상기 IoT 기기들(100)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합 서버(300),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하도록 차량 내에 배치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4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 사이에 음성 인식을 통해 제어하도록 상호 연동시키는 음성 인식 기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oT 기기들(100)는 차량 내에 설치된 IoT 전자제품 즉,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오디오(라디오), 스피커, 차량용 공기청정기, 빔 프로젝터, 차량용 조명, 차량용 디퓨저, 이동 시에도 옷감을 관리해 언제나 구김 없는 옷을 입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차량용 의류 관리기, 한여름에도 시원한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냉장 기능을 탑재한 차량용 스낵바를 포함하고, 다양한 IoT 제품들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IoT 기기들(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며, 상기 처리 및 분석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능을 가지는 장치로써, 센싱, 네트워킹 및 정보처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전기전자 통신장치를 통칭한다. 여기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이란, 센서와 통신 칩을 탑재한 사물이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실시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물리적 네트워크를 말한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는 센서나 통신 기능이 내장된 기기(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주변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다른 기기와 주고받으며 적절한 결정 까지 내릴 수 있다.
즉, IoT는 IoT 기기에 부착된 센서와 칩을 바탕으로 유무선 네트워킹을 하는 사물들 간의 통신을 의미하며,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NFC), 센서데이터, 네트워크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IoT 기기들(100)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온도,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다른 IoT 기기에게 전달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IoT 기기(100)는 타 IoT 기기와 구별되고 개별적으로 인식되기 위한 식별체계를 가진다. 즉, 상기 식별체계는 IoT 기기(100)가 개방형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다른 IoT 기기(100)와 구분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상기 IoT 기기(100)를 가리키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IoT 기기(100)를 생산한 제조자(미도시) 또는 생산시스템(미도시)에 의해 부여되거나, 또는 상기 식별체계를 관리하는 관리기관(미도시)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식별체계는 oneM2M 표준화에서 고려하고 있는 IoT 기기(100)의 식별체계 중 하나인 OID(Object Identifier)를 기반으로 생성되어 IoT 기기(100)로 부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식별체계는 계층적 이름 구조를 토대로 생성되며, 상기 각 IoT 기기(100)에 대한 생산정보 및 폐기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IoT 기기(100)에 개별적으로 부여된다.
또한, IoT 기기(100)에 부여되는 상기 식별체계는, IoT 기기(100)에 구비되는 저장소(예: 메모리 등)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식별체계는 해당 IoT 기기(100)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에 연결되어 IoT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때, 해당 IoT 기기(100)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IoT 기기(100)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상기 IoT 기기(100)들을 등록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IoT 기기(100)로부터 식별체계를 전송받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IoT 기기(100)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IoT 기기(100)의 생산정보, 폐기정보 및 상기 식별체계를 전송받아 IoT 기기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등록한 IoT 기기(100)의 식별체계와 해당 IoT 기기(100)의 폐기정보를 상호 매핑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이를 통해 IoT 기기(100)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되어 사용하고 있는 IoT 기기의 전원 상태, 배터리 잔량, 절전모드 및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확인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바로 기기를 끄거나 절전 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IoT 기기의 전원 온/오프 설정, 절전 모드 및 IoT 기기의 사용자 선호 환경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모든 IoT 기기(100)의 리모컨을 대신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IoT 기기의 끄기/켜기, 볼륨 조절, 밝기 조절, 채널 조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작동 조건을 저장하여(Ex. 특정 조명과 함께 흘러나오는 음악) 사용자가 저장된 환경을 켜거나, 특정 조건이 되면 저장된 환경의 Set이 동시에 작동할 수 있게 된다(Ex. 오후 8시반에 IoT 디퓨저와 함께 은은하게 들어오는 IoT 조명).
즉, 사용자가 퇴근 후, 피크닉을 갔을 때, 원하는 감성에 따라 선호하는 IoT 환경을 저장해두고, 한 번에 켜고 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행 이전 “우리 집에 가자”와 같은 자신에게 맞는 단축 명령어로 저장된 환경을 불러올 수 있다(Ex. 네비게이션 셋팅, 안전 주행을 위한 모드 시작 - 조명 OFF, 음악 변경, 도로 상황).
상기 통합 서버(300)는 상기 IoT 기기들(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다른 장소의 기기에서 접속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서버(300)는 집, 회사 등 사용자 주소 정보, 사용자 맞춤 취향 정보, 사용자 맞춤 취향 정보, IoT 기기 업데이트 관련 정보, 도난, 분실, 이상 동작 등 중요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날씨 등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도록 우리집 주소, 회사 주소를 저장해두고 사용할 수 있고, 블랙박스에서 촬영한 사진을 시간,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하거나 알고리즘 추천 음악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차에서 들을 음악 리스트를 앱/웹에서 따로 지정해 두었다가 유튜브 뮤직으로 들을 수 있다. 캠핑 가서 볼 영상 리스트를 제목/url로 저장해 두었다가 OTT/유튜브로 자동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좌석 2열 시트 태블릿에서 볼 영상 리스트를 이름/url로 저장해 두었다가 음성 명령으로 켤 수 있으며, 이어폰을 음성으로 페어링 할 수 있다.
상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40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차량 내에 배치하고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커스터머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400)는 NFC 스티커 형태로 사용자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NFC 스티커에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이 접촉되면 자동으로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즉, 운전자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앱을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기기(500)는 음성 신호(예: 사용자의 발화에 따른 입력)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마이크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항시 구동하는 상태(예: always on)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마이크는 다른 장치의 한 영역에 배치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 인식 기기(500)는 인공 지능 음성 인식 기능을 갖는 스피커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앱에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음성 인식 기기(500)에 입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IoT 기기(100)의 식별 정보 및 제어 명령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인식 기기(5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해 전용 스피커일 수 있으며, 스피커는 차량 내 차량 구조 상 거치가 용이한 컵 홀더 조립 형태를 가진 다양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음성인식 명령을 획득하고, 상황에 맞는 IoT 기기의 동작을 수행하고(Ex. 조명 켜기, 공기청정기 켜기 등), 필요할 경우, 연동된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여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가져올 수 있다.
자동차 → 클라우드 서버(Ex. 12시 35분 이후 블랙박스 사진 모두 서버에 보내기 등), 클라우드 서버 → 자동차 (Ex. 사용자 '아빠'의 음악 재생 목록 가져오기 등), 사용자가 앱/웹에서 설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IoT 기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Ex. 차량 내 미세먼지 농도 100 이상이면 공기청정기 켜기, 차속 30 kph 이하이면 라디오 켜기, 운전자 심박수 50 이하이면 음악 켜기, 100 kph 이상이면 음악 켜기, 차량 내 CO2 농도 40% 이상이면 창문/썬루프 열기 명령 등).
한편, 음성 인식 기기를 작동하기 위해 물리 버튼(optional)으로 데이터의 절약을 위해 물리 버튼을 누를 때에만 음성을 분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편의를 위해 차량의 핸들에 탈착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한적으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휴대폰의 데이터 및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복수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 모빌리티 IoT 서비스 방법은, 차량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과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10).
그리고, 상기 설치된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용 IoT 기기들 등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상기 IoT 기기(100)들을 등록하게 된다. 상기 IoT 기기들(100)는 차량 내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오디오(라디오), 스피커, 차량용 공기청정기, 빔 프로젝터, 차량용 조명, 차량용 디퓨저, 이동 시에도 옷감을 관리해 언제나 구김 없는 옷을 입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차량용 의류 관리기, 한여름에도 시원한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냉장 기능을 탑재한 차량용 스낵바를 포함하고, 다양한 IoT 제품들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IoT 기기들(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며, 상기 처리 및 분석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능을 가지는 장치로써, 센싱, 네트워킹 및 정보처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전기전자 통신장치를 통칭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IoT 기기(100)로부터 식별체계를 전송받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IoT 기기(100)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IoT 기기(100)의 생산정보, 폐기정보 및 상기 식별체계를 전송받아 IoT 기기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400)는 NFC 스티커 형태로 사용자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NFC 스티커에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이 접촉되면 자동으로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즉, 운전자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앱을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IoT 기기들을 사용자 환경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30).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등록한 IoT 기기(100)의 식별체계와 해당 IoT 기기(100)의 폐기정보를 상호 매핑한 식별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이를 통해 하나 또는 다수의 IoT 기기(100)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되어 사용하고 있는 IoT 기기의 전원 상태, 배터리 잔량, 절전모드 및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확인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바로 기기를 끄거나 절전 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IoT 기기의 전원 온/오프 설정, 절전 모드 및 IoT 기기의 사용자 선호 환경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모든 IoT 기기(100)의 리모컨을 대신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자동차 내의 환경 조건을 저장했다가 내가 원하는 순간에 한 번에 켤 수 있고, 상황에 맞는 음악, 온도, 조명, 진동, 향기 등 상황 별로 개인 맞춤형태로 최적화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 사이에 음성 인식을 통해 제어하도록 음성 인식 기기를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음성 인식 기기를 작동하기 위해 물리 버튼(optional)으로 데이터의 절약을 위해 물리 버튼을 누를 때에만 음성을 분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편의를 위해 차량의 핸들에 탈착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한적으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휴대폰의 데이터 및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관리되는 상기 IoT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4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다른 장소의 기기에서 접속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서버(300)는 집, 회사 등 사용자 주소 정보, 사용자 맞춤 취향 정보, 사용자 맞춤 취향 정보, IoT 기기 업데이트 관련 정보, 도난, 분실, 이상 동작 등 중요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IoT 기기를 앱 서비스에 연동하여 배터리, 데이터 조회, 기기 끄고켜기/저전력모드/작동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쉽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 IoT와 마찬가지로 차량 전용 IoT 시스템을 다양하게 갖춰 두고 하나의 음성 비서에게 명령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인포테인먼트를 누구나 쉽고 간편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맞춤형 '스마트 IoT 카'를 구성해 나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IoT 기기들
200: 사용자 단말기
300: 통합 서버
400: NFC
500: 음성 인식 기기

Claims (14)

  1. 차량 내에 설치되며 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
    상기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되어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IoT 기기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관리되는 상기 IoT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합 서버; 를 포함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 사이에 음성 인식을 통해 제어하도록 상호 연동시키는 음성 인식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하도록 차량 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은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오디오, 차량용 공기청정기, 빔 프로젝터, 차량용 조명, 차량용 디퓨저, 차량용 스낵바 및 차량용 의류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온도,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다른 IoT 기기에게 전달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연동되어 사용하고 있는 IoT 기기의 전원 상태, 배터리 잔량, 절전모드 및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IoT 기기의 전원 온/오프 설정, 절전 모드 및 IoT 기기의 사용자 선호 환경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8. 차량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과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식별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용 IoT 기기들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IoT 기기들을 사용자 환경 설정 및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관리되는 상기 IoT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 사이에 음성 인식을 통해 제어하도록 음성 인식 기기를 상호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차량 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어 상기 차량 내 설치된 IoT 기기들과 상호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들은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오디오, 차량용 공기청정기, 빔 프로젝터, 차량용 조명, 차량용 디퓨저, 차량용 스낵바 및 차량용 의류 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온도, 공기 오염도, 차량 내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다른 IoT 기기에게 전달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연동되어 사용하고 있는 IoT 기기의 전원 상태, 배터리 잔량, 절전모드 및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커스터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IoT 기기의 전원 온/오프 설정, 절전 모드 및 IoT 기기의 사용자 선호 환경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방법.
KR1020220069364A 2022-06-08 2022-06-08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68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64A KR20230168727A (ko) 2022-06-08 2022-06-08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64A KR20230168727A (ko) 2022-06-08 2022-06-08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727A true KR20230168727A (ko) 2023-12-15

Family

ID=8912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364A KR20230168727A (ko) 2022-06-08 2022-06-08 차량 내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통합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7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1858A1 (en) * 2021-03-26 2022-09-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linking system,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1985267B2 (en) * 2021-03-26 2024-05-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linking system, control device,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129A (ko) 2020-03-18 2021-09-28 팅크웨어(주)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운전자 주행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129A (ko) 2020-03-18 2021-09-28 팅크웨어(주)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운전자 주행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1858A1 (en) * 2021-03-26 2022-09-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linking system,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1985267B2 (en) * 2021-03-26 2024-05-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linking system, control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7771B (zh) 用于对模块的配置进行更新以支持不同功能的方法和系统
EP3132433B1 (en) Trainable transceiver system
CN107004341B (zh) 可训练收发器和云计算系统架构系统及方法
CN104883382B (zh) 车载计算系统
CN103227805B (zh) 用于在无线设备上仿真和配置车辆程序的方法
US20180144618A1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CN107632839A (zh) 车辆的区域指定的软件更新分配
US201403802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KR102456688B1 (ko) 무선 연결 관리
CN107948231B (zh) 基于场景的服务提供方法、系统和操作系统
CN104218969A (zh) 用于与车辆和车辆中的装置进行交互的设备和系统
US10045147B2 (en) Application control of primary-connected devices from secondary-connected devices
US9674756B2 (en) Expedited handover between wireless carriers
US20170075366A1 (en) Methods and Systems to Synchronize Vehicle Settings Via a Home Network Connection
CN104765547B (zh) 车载可配置软开关
CN109204322A (zh) 用于条件触发的车辆设置配置的方法和设备
US201701698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Control of a Motor Vehicle
US20190121628A1 (en) Previewing applications based on user context
CN107070962A (zh) 用于移动装置模拟车辆人机界面的方法和系统
CN110341720A (zh) 车内环境设定系统及其方法、和车内环境设定程序
KR10187673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209962A (zh) 车辆计算系统启动应用的方法和系统
JP2018032385A (ja) ハンドヘルドモバイル装置の乗り物の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hmi)装置の動作
JP2018032385A5 (ko)
CN105034984A (zh) 用于驾驶员定制的交互时间警报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