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077A -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077A
KR20230168077A KR1020220068559A KR20220068559A KR20230168077A KR 20230168077 A KR20230168077 A KR 20230168077A KR 1020220068559 A KR1020220068559 A KR 1020220068559A KR 20220068559 A KR20220068559 A KR 20220068559A KR 20230168077 A KR20230168077 A KR 2023016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element
portable
fan
clause
way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인나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인나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인나노
Priority to KR102022006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077A/ko
Publication of KR2023016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가 개시된다. 상기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방열판과 팬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대향되게 양측에 배치되는 열전소자모듈; 상기 열전소자모듈이 내장되고, 양측으로 송풍구가 형성되며, 측면 및 상면에 흡기구가 형성된 헤드 케이스; 및 상기 헤드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PORTABLE TWO-WAY FAN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팬을 설치하여 양방향으로 각각 냉풍 및 온풍을 송풍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각 가정의 필수품으로 우리에게 매우 친숙하며 보편화된 가전제품으로, 헤드 내부에 수용된 모터가 팬을 구동하여 후방측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켜 바람을 생성하는 기기이다.
통상적으로 단상 유도전동기 방식의 모터 속도 제어방식은 저속, 중속, 고속, 그리고 자연풍 또는 수면풍이라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해서 3-4개 사이의 접점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단 스위치를 선택하여 원하는 속도로 모터를 회전하게 된다.
일반적인 선풍기는 날개의 회전력으로 후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다시 전면부로 토출하여 바람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는 선풍기 후면에서 유입되는 공기 온도(실내 온도)와 실질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다.
또한, 선풍기의 회전수 조절로 토출되는 바람의 양과 속도는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으나, 무더운 하절기의 경우 후방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고온 상태이므로, 선풍기의 회전 단수를 최고로 선택한다 하더라도 시원함을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근래에는 선풍기의 크기를 줄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제작된 휴대용 선풍기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휴대용 선풍기는 대기 중의 공기를 흡기구와 송풍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원리이다. 따라서, 휴대용 선풍기는 일반적인 선풍기의 원리와 동일하고, 휴대용 선풍기의 송풍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공기는 사용환경의 온도와 동일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통상의 선풍기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열전소자를 포함한 휴대용 냉풍기(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86941)'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열전소자를 포함한 휴대용 냉풍기'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사용환경 온도보다 시원한 바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열전소자를 포함한 휴대용 냉풍기'는 열전소자의 냉각부 측에 팬이 가동함으로써 냉풍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발열부 측에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방열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과열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 제품의 내구성 저하 및 과부하 발생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8694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팬을 설치하고, 열전소자 일측의 냉각부 측에서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여 냉풍을 제공하되, 열전소자 타측의 발열부 측에서 발열되는 열 방출을 유도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양방향으로 각각 냉풍 및 온풍을 송풍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방열판과 팬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대향되게 양측에 배치되는 열전소자모듈; 상기 열전소자모듈이 내장되고, 양측으로 송풍구가 형성되며, 측면 및 상면에 흡기구가 형성된 헤드 케이스; 및 상기 헤드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모듈은, 중심에 열전소자가 배치되고, 상기 열전소자 일측으로 상기 열전소자와 밀착되게 방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 외측으로 상기 방열판과 밀착되게 팬이 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 타측으로 상기 열전소자와 밀착되게 방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 외측으로 상기 방열판과 밀착되게 팬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곳은 냉각부 또는 발열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모듈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곳은 냉각부 또는 발열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냉각부 또는 발열부는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 전환을 통해 그 위치가 서로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모듈은, 기설정된 상기 팬의 회전속도 및 가동시간에 대한 세팅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부 및 발열부의 가동시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냉각부 및 발열부의 가동시 온도를 기반하여, 기설정된 상기 팬의 회전속도 및 가동시간에 대한 세팅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케이스는, 사각형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절반으로 분리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케이스는, 전면과 후면의 양측으로 상기 열전소자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냉기 및 열기가 토출되는 송풍구가 형성되되, 상기 송풍구는 원형 구역 내에 방사형으로 홀이 타공되고, 측면 및 상면에 상기 열전소자모듈 위치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흡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흡기구는 측면 및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 개의 홀이 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사용자가 온풍 및 냉풍의 토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식별부는, 상기 헤드 케이스 양측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헤드 케이스의 표면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스티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식별부는, 절반으로 분리되는 상기 헤드 케이스 양측이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시온 안료가 도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식별부는, 상기 헤드 케이스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냉풍 및 온풍의 토출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 고정되는 충전 크래들과 결합되어 충전 및 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팬을 설치하고, 열전소자 일측의 냉각부 측에서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여 냉풍을 제공하되, 열전소자 타측의 발열부 측에서 발열되는 열 방출을 유도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방향으로 각각 냉풍 및 온풍을 송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측면도.
도 5는 열전소자모듈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제어부 및 온도식별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팬을 설치하고, 열전소자 일측의 냉각부 측에서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여 냉풍을 제공하되, 열전소자 타측의 발열부 측에서 발열되는 열 방출을 유도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양방향으로 각각 냉풍 및 온풍을 송풍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측면도이며, 도 5는 열전소자모듈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열전소자모듈(100), 헤드 케이스(200) 및 손잡이(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열전소자모듈(100)은 냉기와 온기를 조성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중심에 열전소자(110)가 배치되고, 상기 열전소자(110) 일측으로 상기 열전소자(110)와 밀착되게 방열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120) 외측으로 상기 방열판(120)과 밀착되게 팬(13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110) 타측으로 상기 열전소자(110)와 밀착되게 방열판(120)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120) 외측으로 상기 방열판(120)과 밀착되게 팬(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1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곳은 냉각부(냉풍이 조성되는 부근) 또는 발열부(온풍이 조성되는 부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열전소자모듈(100)은 열과 전기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나는 열전 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두 종류의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도록 할 때,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한 쪽의 접점은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져 냉각되도록 하는 열전소자(110), 상기 열전소자(110) 양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방열판(120) 및 상기 방열판(120) 외측에 설치되는 팬(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전소자(110)의 일측은 열을 방출하고, 타측은 열을 흡수하는 구조로서, 일측의 팬(130)이 작동할 경우에는 발생된 열을 포함한 공기를 일측으로 토출하고, 타측의 팬(130)이 작동할 경우에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된 공기를 타측으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모듈(100)은 상기 열전소자(11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곳은 냉각부 또는 발열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후술하는 제어부(400)를 통해, 냉각부 또는 발열부는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 전환을 통해 그 위치가 서로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모듈(100)이 작동하는데 있어, 열전소자(110) 중 열기를 발산하는 부분의 팬(130)만 가동하고 열전소자(110)의 냉각 부분의 팬(130)이 정지하게될 경우, 냉각 부분의 방향의 열전소자(110), 방열판(120) 및 팬(130)에 열교환에 따른 물기가 맺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기설정된 세팅에 따라 냉각 부분의 팬(130)이 일시적으로 가동되도록 세팅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헤드 케이스(200)는 상기 열전소자모듈(100)이 내장되고, 양측으로 송풍구(210)가 형성되며, 측면 및 상면에 흡기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케이스(200)는 사각형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절반으로 분리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케이스(200)는 전면과 후면의 양측으로 상기 열전소자모듈(100)로부터 발생하는 냉기 및 열기가 토출되는 송풍구(210)가 형성되되, 상기 송풍구(210)는 원형 구역 내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홀이 타공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및 상면에 상기 열전소자모듈(100) 위치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흡기구(220)가 형성되되, 상기 흡기구(220)는 측면 및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 개의 홀이 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케이스(200)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불안정한 파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트랩(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한 스트랩고리(230)가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손잡이(300)는 상기 헤드 케이스(200)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20)가 내장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300) 내부에는 충정 가능한 배터리(320)가 내장되고 외부 일측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미도시)가 마련되며, 사용자가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10)는 본 발명의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를 가동하기 위한 ON/OFF 스위치는 물론, 냉각부 또는 발열부는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 전환을 통해 그 위치가 서로 전환되어 동작시키기 위한 전환스위치 등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스위치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 및 온도식별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열전소자모듈(100)은, 기설정된 상기 팬(130)의 회전속도 및 가동시간에 대한 세팅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냉각부 및 발열부의 가동시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부(410)를 통해 측정된 상기 냉각부 및 발열부의 가동시 온도를 기반하여, 기설정된 상기 팬(130)의 회전속도 및 가동시간에 대한 세팅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부(410)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냉각부 및 발열부 부근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며, 상기 온도센서부(410)를 통해 측정된 냉각부 및 발열부 부근의 온도를 기반으로 열전소자모듈(100)의 가동에 따른 기설정 온도값과 비교하여 기설정 온도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400)가 열전소자(110)의 가동 및 팬(130)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사용자가 온풍 및 냉풍의 토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식별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식별부(500)는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를 사용 시 어느 방향에서 냉풍 및 온풍이 토출되는지 가늠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다양한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냉풍과 온풍이 토출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온도식별부(500)는 상기 헤드 케이스(200) 양측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헤드 케이스의 표면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스티커일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식별부(500)는 시온스티커가 적용되어 냉풍이 토출되는 송풍구(210) 방향과 온풍이 토출되는 송풍구(2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온도식별부(500)는 절반으로 분리되는 상기 헤드 케이스(200) 양측이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시온 안료가 도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식별부(500)는 상기 헤드 케이스(200)의 양측이 서로 다른 색상의 시온 안료가 도포됨으로써 냉풍이 토출되는 송풍구(210) 방향과 온풍이 토출되는 송풍구(2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온도식별부(500)는 상기 헤드 케이스(200)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냉풍 및 온풍의 토출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식별부(500)는 상기 헤드 케이스(200)의 양측에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여 냉풍이 토출되는 송풍구(210) 방향과 온풍이 토출되는 송풍구(2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상기 손잡이(300)가 삽입 고정되는 별도의 충전 크래들(미도시)과 결합되어 충전 및 거치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팬을 설치하고, 열전소자 일측의 냉각부 측에서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여 냉풍을 제공하되, 열전소자 타측의 발열부 측에서 발열되는 열 방출을 유도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방향으로 각각 냉풍 및 온풍을 송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열전소자모듈 110: 열전소자
120: 방열판 130: 팬
200: 헤드 케이스 210: 송풍구
220: 흡기구 230: 스트랩고리
300: 손잡이 310: 스위치
320: 배터리 400: 제어부
410: 온도센서부 500: 온도식별부

Claims (12)

  1.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기준으로 방열판과 팬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대향되게 양측에 배치되는 열전소자모듈;
    상기 열전소자모듈이 내장되고, 양측으로 송풍구가 형성되며, 측면 및 상면에 흡기구가 형성된 헤드 케이스; 및
    상기 헤드 케이스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모듈은,
    중심에 열전소자가 배치되고,
    상기 열전소자 일측으로 상기 열전소자와 밀착되게 방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 외측으로 상기 방열판과 밀착되게 팬이 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 타측으로 상기 열전소자와 밀착되게 방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 외측으로 상기 방열판과 밀착되게 팬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곳은 냉각부 또는 발열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모듈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곳은 냉각부 또는 발열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냉각부 또는 발열부는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 전환을 통해 그 위치가 서로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모듈은,
    기설정된 상기 팬의 회전속도 및 가동시간에 대한 세팅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부 및 발열부의 가동시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냉각부 및 발열부의 가동시 온도를 기반하여, 기설정된 상기 팬의 회전속도 및 가동시간에 대한 세팅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케이스는,
    사각형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절반으로 분리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케이스는,
    전면과 후면의 양측으로 상기 열전소자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냉기 및 열기가 토출되는 송풍구가 형성되되, 상기 송풍구는 원형 구역 내에 방사형으로 홀이 타공되고,
    측면 및 상면에 상기 열전소자모듈 위치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흡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흡기구는 측면 및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복수 개의 홀이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사용자가 온풍 및 냉풍의 토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식별부는,
    상기 헤드 케이스 양측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헤드 케이스의 표면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스티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식별부는,
    절반으로 분리되는 상기 헤드 케이스 양측이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시온 안료가 도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식별부는,
    상기 헤드 케이스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냉풍 및 온풍의 토출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 고정되는 충전 크래들과 결합되어 충전 및 거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KR1020220068559A 2022-06-03 2022-06-03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KR2023016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559A KR20230168077A (ko) 2022-06-03 2022-06-03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559A KR20230168077A (ko) 2022-06-03 2022-06-03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077A true KR20230168077A (ko) 2023-12-12

Family

ID=8915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559A KR20230168077A (ko) 2022-06-03 2022-06-03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0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41A (ko) 2017-01-24 2018-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포함한 휴대용 냉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41A (ko) 2017-01-24 2018-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포함한 휴대용 냉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81246C (en) Battery operated hair dryer
JP3229943U (ja) スマート型電子冷却扇風機
US20020076213A1 (en) Portable heater
CN206073280U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
KR100721904B1 (ko) 타워형 냉온풍기
KR101980175B1 (ko) 냉온방장치
KR20090088602A (ko) 냉온 선풍기
CN106152465A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20230168077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양방향 선풍기
TW201741556A (zh) 冷暖風扇結構
KR102342700B1 (ko) 냉풍 및 온풍 송풍구가 별도로 형성된 헤어드라이어
KR101700912B1 (ko) 냉온선풍기
KR100824087B1 (ko) 다기능 냉온풍기
CN216744678U (zh) 便携式挂脖空调
KR20110075761A (ko) 사방향 냉온풍기
JP2006010156A (ja) 輻射暖房機
KR200252181Y1 (ko) 냉,온풍이 토출되는 의자 겸용 선풍기
KR20190000964U (ko) 휴대용 선풍기
KR20130077365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도자기
KR101254626B1 (ko) 열전소자가 구비된 냉풍 드라이기
WO2024032685A1 (zh) 便携式调温装置
KR102522552B1 (ko) 헤드셋 타입의 송풍팬
KR102535500B1 (ko) 냉온풍 살균 송풍장치
KR200349630Y1 (ko) 선풍기 겸용 온풍기
CN212585044U (zh) 一种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