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602A - 냉온 선풍기 - Google Patents

냉온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602A
KR20090088602A KR1020080013986A KR20080013986A KR20090088602A KR 20090088602 A KR20090088602 A KR 20090088602A KR 1020080013986 A KR1020080013986 A KR 1020080013986A KR 20080013986 A KR20080013986 A KR 20080013986A KR 20090088602 A KR20090088602 A KR 2009008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ing
central shaft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670B1 (ko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윤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수 filed Critical 윤근수
Priority to KR102008001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6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개부의 중심축부에 냉온 발생수단을 설치하여 냉기 또는 온기의 선택적 생성 및 이 냉기 또는 온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수단을 수직으로 세워 냉온기가 사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방향으로 냉온기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한 냉온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는, 제어부(11)가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10); 스탠드(10)에 장착되어 제어부(11)의 제어를 받는 구동수단(20); 중심축부(31)에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냉온기를 생성시켜 주는 냉온발생수단(32)이 구비되고, 구동수단(20)에 의해 구동되는 날개부(30); 및 서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한 상하부 보호망(40a,40b)으로 구획되며, 날개부(30)를 감싸주는 보호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온 선풍기, 열전모듈

Description

냉온 선풍기{Electric Fan for exhausting Cold or Warm Air}
본 발명은 냉온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개부의 중심축부에 냉온기발생수단을 구비하여 냉기 또는 온기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선택된 냉기 또는 온기가 사방으로 토출되도록 한 냉온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바닥에 세워서 사용하는 스탠드형, 벽면 또는 천정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벽걸이형 또는 천정걸이형, 책상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탁상형, 그리고 타워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선풍기는 보통 좌우 90°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천정걸이형 선풍기의 경우, 볼조인트 방식을 적용하여 대략 180°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풍기도 있다.
또한, 풍향에 따라 선풍기를 분리해 보면, 보통 한방향으로만 바람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 와서는 앞뒤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구성된 선풍기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풍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종래 선풍기는 냉방 효과를 얻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사 용이 가능하나 겨울철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는 겨울철에는 별도의 온풍기 또는 발열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2) 겨울철이 되면, 사용하지 않는 선풍기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보관의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사용하지 않는 선풍기에 대한 관리도 필요로 하게 된다.
3) 구동수단의 좌우 선회 및 팬의 회전속도에 따라 풍향 및 풍속을 제어하기 때문에 냉기의 온도를 제어하기가 어렵다. 이는 노약자라든가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유해한 냉기를 토출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날개부의 중심축부에 냉온 발생수단을 설치하여 냉기 또는 온기의 선택적 생성 및 이 냉기 또는 온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수단을 수직으로 세워 냉온기가 사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방향으로 냉온기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한 냉온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는,
제어부(11)가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10);
스탠드(10)에 장착되어 제어부(11)의 제어를 받는 구동수단(20);
중심축부(31)에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냉온기를 생성시켜 주는 냉온발생수단(32)이 구비되고, 구동수단(20)에 의해 구동되는 날개부(30); 및
서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한 상하부 보호망(40a,40b)으로 구획되며, 날개부(30)를 감싸주는 보호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11)는 구동수단(20)의 구동 시간 선택 버튼(12), 온오프 버튼(13), 풍속 조절버튼(14), 그리고 냉온발생수단(32)의 절환스위치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환스위치부(15)는 냉온발생수단(32)의 극성을 절환시켜 주는 절환버튼(15a) 및 냉온발생수단(32)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해 주는 조절스위 치(1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수단(20)은 지면에 대해 회전축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날개부(30)는 각 날개(30a,30b,30c) 내부에 냉온발생수단(32)과 접촉되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전도성 세라믹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날개부(30)의 중심축부(31)는 FRP, 내열성 폴리머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날개(30a,30b,30c)는 표면에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코팅층(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심축부(31)는 냉온발생수단(32)의 설치 또는 냉온기를 방출시킬수 있도록 장착구멍(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온발생수단(32)은 중심축부(31)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제어부(11)의 제어를 받는 열전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온발생수단(32)은 양측면에 각각 열전도판(3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보호망(40)은 차단막(41)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차단막(41)은 안쪽면에 반사판(4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냉온 선풍기는 중심축부(31)의 상하단에 각각 날개부(3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하부 보조날개(37a,37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는 상하부 보조날개(37a,37b)에 중심축 부(31) 내부의 내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용 날개(38a,38b)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는 중심축부(31)의 내부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냉온기 방출수단(10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계절에 상관없이 냉온 선풍기를 이용할 수 있다.
2) 스탠드 타입이면서 구동수단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냉온기가 사방으로 토출하게 되어 냉온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3) 풍속 뿐만 아니라 냉온기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설치하더라도 최적의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4) 냉온기와 함께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의 발생으로 살균 효과와 같이 위생적인 면에서 유익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10)와, 이 스탠드(10)에 장착되는 구동수단(20)과, 제어부(11)의 제어를 받는 구동수단(20)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부(30)와, 이 날개부(30)를 감싸주는 보호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탠드(10)는 구동수단(20)을 지지해 주며, 특히 구동수단(20) 및 후술하게 될 냉온발생수단(32)을 제어하는 제어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10)는 통상의 방법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제어부(11)는 통상적으로 선풍기가 갖는 기능, 예를 들어, 구동수단(20)의 동작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12), 선풍기의 온오프 버튼(13), 풍속 조절버튼(14)이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11)는 냉온발생수단(32)에 공급되는 전원의 절환 및 그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절환스위치부(15)가 더 구성된다.
여기서, 절환이란 냉온발생수단(32)에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을 바꿔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냉온발생수단(32)에는 양단에 각각 (+)와 (-)가 공급되는데, 절환스위치부(15)는 이 극성을 절환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절환 작용을 하는 절환스위치부(15)는 절환기능을 담당하는 절환버튼(15a)과, 냉온발생수단(32)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스위치(1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수단(20)은 날개부(30)를 회전시켜 주는 구성요소로서 통상 구동모터를 이용한다. 또한, 구동수단(20)은 회전축(21)을 날개부(30) 및 후술하게 될 상하부 보조날개(37a,37b) 및 배출용 날개(38a,38b)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연장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축(21)은 외주면에 절연재(22)가 씌워져 있 다. 또한, 회전축(21)의 하부와 상단에는 핀결합으로 고정된 지지판(23)과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캡(24)이 각각 구비된다. 특히, 캡(24)은 회전축(21)과의 나사체결을 진행함에 따라 날개부(30)를 가압 또는 나사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24)은 날개부(30)의 중심축부(31)와 연통되도록 배기구멍(24a)이 형성된다.
한편, 지지판(23)에는 흡입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멍(23a)은 후술하게 될 날개부(30)의 중심축부(31)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수단(20)은 스탠드(10)의 베이스, 즉 바닥면에 대하여 회전축(21)이 수직되도록 스탠드(10)의 상단에 설치한다.
날개부(30)는 절연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FRP, 내열성 폴리머 또는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중심축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중심축부(31)에는 적어도 2개의 날개가 구비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날개(30a,30b,30c)가 구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각 날개(30a,30b,30c)에는 내부에, 도 2a에서와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판상의 금속 또는 전도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열전도판(33)이 구비된다. 또한, 각 날개(30a,30b,30c)에는 표면에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코팅층(34)이 형성된다. 코팅층(34)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숯, 게르마늄, 토루마린 등이 함유된 도료를 이용하고,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토루마린, 아크릴, 세라믹 등이 함유된 도료를 예로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날개부(30)의 중심축부(31)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부(31)는 저부에 테두리를 따라 흡입구멍(31a)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중심축부(31)에는 도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내주면 또는 중심축부(31)에 냉온발생수단(32)이 구비된다. 냉온발생수단(32)으로는, 일예로서 열전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냉온발생수단(32)은, 일예로 도 2a에서와 같이,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중심축부(31)의 내주면에 장착한다. 이때의 냉온발생수단(32)은 서로 직렬로 연결하여 냉온 발생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냉온발생수단(32)에의 전원공급은 캡(24)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캡(24)은 날개부(3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캡(24)의 상부에 슬립링(25)을 구비한다. 또한, 냉온발생수단(32)은 중심축부(31)에 장착에 앞서, 그 양면에 각각 열전도판(35)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날개부(30)의 중심축부(31)에는 이웃한 2개의 날개(30a,30b,30c) 사이에 장착구멍(36)을 형성하여 냉온발생수단(32)과 외기의 열교환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날개부(30)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멍(36) 내에 냉온발생수단(32)을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술한 경우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냉온발생수단(32)은 장착구멍(36) 내부에 설치한다. 내부의 열전도판(35)은 중심축부(31)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한다. 또한, 외부의 열전도판(35)은 각 날개(30a,30b,30c) 및 중심축부(31)의 외주면을 일체로 감싸주는 형태로 형성한다. 물론, 코팅층(34)은 외부의 열전도 판(35) 상에 코팅한다.
보호망(40)은 서로 분해 및 조립 가능한 상하부 보호망(40a,40b)으로 구분된다. 하부보호망(40a)은 스탠드(10)에 장착된 구동수단(20)의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보호망(40b)은 풍향 조절을 위한 차단막(41)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차단막(41)의 안쪽면에는 반사판(4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보호망(40b)은 중앙 부분에 슬립링(25)이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냉온발생수단(32)에의 전원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냉온 선풍기는 도 3과 같이 조립된다.
1) 스탠드(10)의 상단에 회전축(21)이 위를 향하도록 구동수단(20)을 설치하고, 그 위로 하부보호망(40a)을 설치한다. 2) 회전축(21)에 지지판(23)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위로 날개부(30)를 삽입하여 나사 또는 핀결합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3) 미도시되었으나 냉온발생수단(32)의 전원을 슬립링(25)에 연결하고, 회전축(21)의 상단에 캡(24)을 체결한다. 4) 캡(24)의 상부에 구성된 슬립링(25)이 상부 보호망(40b)의 중심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이 상부보호망(40b)을 하부 보호망(40a)에 결합한다.
도 3에서, 미설명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중심축부(31)로부터 빠져나가는 내기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냉온발생수단(32)으로부터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준다. 특히, 내기는 각 흡입구멍(23a,31a)를 통해 외기 가 흡입되게 함으로써 배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는 선풍기의 효율 증대를 위하여, 도 4a에서와 같이, 상하부 보조날개(37a,37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부 보조날개(37a,37b)는,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부(31)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한다. 이를 위해 회전축(21)의 길이를 축소하고, 그 단부에 하부 보조날개(37a)를 고정시킨다. 이때, 이 하부 보조날개(37a) 위로 날개부(30) 및 상부 보조날개(37b)를 각각 나사 체결 방식 또는 핀결합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도 1과 비교해 볼 때, 캡(24)의 구성이 없어지게 되며, 특히 슬립링(25)이 상부 보조날개(37b)의 상부에 구성된다. 또한, 상부 보조날개(37b)는 중공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하부 보조날개(37a,37b)는 각각 풍향이 중심축부(31)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도 4b에서, 미설명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중심축부(31)로부터 빠져나가는 내기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냉온발생수단(32)으로부터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고, 2중 화살표는 각각 보조날개(37a,37b)의 풍향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보호망(40) 내부에 지지대(43)를 구비한다. 지지대(43)는 봉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이 구동수단(20)의 윗면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대(43)는 보호망(40)의 내면을 따라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슬립링(2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43a)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a에서와 같이, 배출용 날개(38a,38b)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하부의 배출용 날개(38a)는 하부 보조날개(37a)의 상면에 설치한다. 상부의 배출용 날개(38b)는 상부 보조날개(37b)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부의 배출용 날개(38b)는, 도 5a 및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뿔 형상의 지지브라켓(39)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된다. 도 5b에서, 미설명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중심축부(31)로부터 배출용 날개(38a,38b)의 작동으로 빠져나가는 내기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냉온발생수단(32)으로부터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고, 2중 화살표는 각각 보조날개(37a,37b)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설치된 배출용 날개(38a,38b)는 상부 보조날개(37b)를 통해 바깥쪽으로 내기를 내보낼 수 있도록 회전방향을 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배출용 날개(38a,38b)는 슬립링(25) 방식의 전기적 연결기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내기는 각 흡입구멍(23a,31a)를 통해 외기가 흡입되게 함으로써 배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 보조날개(37b)의 상부에 방출수단(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출수단(100)은 통상적인 호스나 관일 수 있으며, 진공압을 이용하는 진공호스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출수단(100)은 상부 보조날개(37b)에 연결되어 중심축부(31)로부터 내기를 흡수하게 된다.
(작동방법)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온 선풍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1)의 온오프 버튼(13)을 켜서 구동수단(20)을 구동시킨다. 이에 날개부(30) 및 상하부 보조날개(37a,37b)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킨다. 이때의 바람은 전방향으로 발산된다. 이때, 절환스위치부(15)의 위치에 따라 냉온발생수단(32)이 작동하게 된다.
즉, 절환버튼(15a)이 온기 상태이면 냉온발생수단(32)의 외주면이 뜨거운 상태이고 내주면이 차가운 상태가 된다. 이때, 냉온발생수단(32)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열전도판(33,35)을 통해 각 날개(30a,30b,30c)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열은 날개부(30)의 회전에 의해 방출되게 된다. 동시에 각 날개(30a,30b,30c)의 표면에서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이 함께 방출된다.
만일, 냉기가 필요한 경우라면, 절환버튼(15a)을 냉기로 절환시키게 된다. 이에, 냉온발생수단(32)에 공급되는 전원이 절환되기 때문에 상술한 것과 반대 작용에 의해 날개부(30)로부터 냉기가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과 함께 방출된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냉온기는 차단막(41)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풍속 조절버튼(14)을 통해 구동수단(2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풍속을 조절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조절스위치(15b)를 통해 냉온발생수단(32)에 인가 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냉온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배출용 날개(38a,38b)는 온오프 버튼(13)의 조작과 함께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회전으로 중심축부(21)의 내기를 냉온 선풍기의 외부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물론, 이때 배출되는 내기는 방출수단(100)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심축부(31)의 장착구멍(36)을 통해 냉온발생수단(32)으로부터 생성된 냉온기가 직접 날개부(30)로 토출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의 다른 구성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의 또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온 선풍기의 또 다른 구성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탠드
11 : 제어부
12 : 시간 선택버튼
13 : 온오프버튼
14 : 풍속 조절버튼
15 : 절환스위치부
15a : 절환스위치
15b : 조절스위치
20 : 구동수단
21 : 회전축
22 : 절연재
23 : 지지판
23a : 흡입구멍
24 : 캡
24a : 배기구멍
25 : 슬립링
30 : 날개부
30a, 30b, 30c : 날개
31 : 중심축부
31a : 흡입구멍
32 : 냉온발생수단
33, 35 : 열전도판
34 : 코팅층
36 : 장착구멍
37a, 37b : 상하부 보조날개
38a, 38b : 배출용 날개
39 : 지지브라켓
40 : 보호망
40a, 40b : 상하부 보호망
41 : 차단막
42 : 반사판
43 : 지지대
43a : 지지구멍
100 : 방출수단

Claims (8)

  1. 제어부(11)가 구비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탠드(10);
    회전축(21)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스탠드(10)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는 구동수단(20);
    저부에 흡입구멍(31a)이 형성된 중심축부(31)에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냉온기를 생성시켜 주는 냉온발생수단(32)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20)에 의해 구동되는 날개부(30); 및
    서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한 상하부 보호망(40a,40b)으로 구획되며, 상기 날개부(30)를 감싸주는 보호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구동수단(20)의 구동 시간 선택용 버튼(12), 온오프 버튼(13), 풍속 조절버튼(14), 그리고 절환스위치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절환스위치부(15)는 상기 냉온발생수단(32)의 극성을 절환시켜 주는 절환버튼(15a) 및 상기 냉온발생수단(32)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해 주는 조절스위치(1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는 FRP, 내열성 폴리머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된 중심축부(31)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30)의 각 날개(30a,30b,30c) 내부에 상기 냉온발생수단(32)과 접촉되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전도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열전도판(33)과, 상기 각 날개(30a,30b,30c)의 표면에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코팅층(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31)는 상기 냉온발생수단(32)의 설치 또는 냉온기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장착구멍(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발생수단(32)은 상기 중심축부(31)의 내주면 또는 상기 장착구멍(36)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를 받는 열전모듈이고, 그 양측면에 각각 열전도판(3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40)은 차단막(4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41)의 안쪽면에는 반사판(4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 선풍기는 상기 중심축부(31)의 상하단에 각각 상기 날개부(3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하부 보조날개(37a,37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 선풍기는 상기 상하부 보조날개(37a,37b)에 상기 중심축부(31) 내부의 내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용 날개(38a,38b)와, 상기 중심축부(31)의 내부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냉온기 방출수단(10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선풍기.
KR1020080013986A 2008-02-15 2008-02-15 냉온 선풍기 KR10091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986A KR100917670B1 (ko) 2008-02-15 2008-02-15 냉온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986A KR100917670B1 (ko) 2008-02-15 2008-02-15 냉온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602A true KR20090088602A (ko) 2009-08-20
KR100917670B1 KR100917670B1 (ko) 2009-09-16

Family

ID=4120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986A KR100917670B1 (ko) 2008-02-15 2008-02-15 냉온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6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6302A (zh) * 2009-12-31 2011-07-06 尹根洙 具有热风吹出功能的全向电风扇
KR101404145B1 (ko) * 2013-04-04 2014-06-10 이수영 유동 발생기
CN108435422A (zh) * 2018-03-23 2018-08-24 太以环境科技(北京)有限公司 大气电离模式选择器
KR20200046675A (ko) 2018-10-25 2020-05-07 박노영 위치조절이 용이한 선풍기
KR102377075B1 (ko) 2020-11-10 2022-03-21 정덕수 레일 장착식 선풍기
CN114877433A (zh) * 2022-04-29 2022-08-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半导体风扇控制方法、半导体风扇控制装置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635B1 (ko) 2010-02-17 2012-07-25 허종목 선풍기
KR101523990B1 (ko) * 2013-02-25 2015-05-29 김현표 다중 유동 발생기
KR101416303B1 (ko) * 2013-04-04 2014-07-09 주식회사 네프론 직립형 유동 발생기
CN115540343A (zh) * 2021-06-29 2022-12-30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加热式贯流风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24U (ko) * 1998-04-17 1999-11-15 윤근수 선풍기
KR200349630Y1 (ko) * 2004-02-05 2004-05-08 손정인 선풍기 겸용 온풍기
KR200371260Y1 (ko) * 2004-10-13 2004-12-30 이태성 열전소자가 구성된 날개를 이용한 냉온풍기
KR100789437B1 (ko) * 2006-09-05 2007-12-28 주식회사 지오나스 온풍기 겸용 선풍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6302A (zh) * 2009-12-31 2011-07-06 尹根洙 具有热风吹出功能的全向电风扇
KR101404145B1 (ko) * 2013-04-04 2014-06-10 이수영 유동 발생기
CN108435422A (zh) * 2018-03-23 2018-08-24 太以环境科技(北京)有限公司 大气电离模式选择器
KR20200046675A (ko) 2018-10-25 2020-05-07 박노영 위치조절이 용이한 선풍기
KR102377075B1 (ko) 2020-11-10 2022-03-21 정덕수 레일 장착식 선풍기
CN114877433A (zh) * 2022-04-29 2022-08-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半导体风扇控制方法、半导体风扇控制装置及存储介质
CN114877433B (zh) * 2022-04-29 2024-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半导体风扇控制方法、半导体风扇控制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670B1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670B1 (ko) 냉온 선풍기
WO2011081475A2 (ko)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CN215899070U (zh) 干燥设备
JP2016079859A (ja) 扇風機及び空調方法
KR20180083279A (ko) 냉온방장치
CN113573609B (zh) 干燥设备
WO2021227960A1 (zh) 干燥设备
KR20110075761A (ko) 사방향 냉온풍기
US20210231316A1 (en) Multifunctional hand warmer
US6324340B1 (en) Combined electric fan and radiation heater
KR20100009912U (ko) 선풍기
KR200339264Y1 (ko) 냉난방 겸용 송풍기
KR200322904Y1 (ko)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히터
US20110220637A1 (en) Heater Apparatus
KR20130077365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도자기
KR200386476Y1 (ko) 전기온풍기
KR200252181Y1 (ko) 냉,온풍이 토출되는 의자 겸용 선풍기
CN219282039U (zh) 一种具有驱蚊功能的电风扇
KR100348757B1 (ko) 온풍기
KR200316314Y1 (ko) 온풍기
CN216844846U (zh) 踢脚线取暖器
CN203880826U (zh) 具有摇头功能的暖炉散热扇
CN215723494U (zh) 一种智能取暖器
KR200349630Y1 (ko) 선풍기 겸용 온풍기
KR101091840B1 (ko) 열전도가 향상된 전기스토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