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978A - 의료용 실 삽입 기구 - Google Patents

의료용 실 삽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978A
KR20230167978A KR1020220068300A KR20220068300A KR20230167978A KR 20230167978 A KR20230167978 A KR 20230167978A KR 1020220068300 A KR1020220068300 A KR 1020220068300A KR 20220068300 A KR20220068300 A KR 20220068300A KR 20230167978 A KR20230167978 A KR 20230167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medical thread
medical
hand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강
Original Assignee
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강 filed Critical 안강
Priority to KR102022006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978A/ko
Publication of KR2023016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9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1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by means of a suture-receiving lateral eyelet machined 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33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using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되 내부가 관통된 바늘, 일부는 상기 바늘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인체에 삽입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인체 내부에 잔존되는 의료용 실, 상기 바늘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상기 바늘 외부에 노출된 상기 일부 의료용 실에 대한 임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되, 상기 바늘이 인체에 삽입될 시에는 상기 바늘의 후방 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의료용 실과 분리되는 감김홈 및 상기 의료용 실 및 상기 감기홈이 구비된 상기 바늘 상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니들가 포함하는, 의료용 실 삽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실이 바늘과 함께 체내에 삽입되었다가 제거되는 바늘에 딸려나오지 않고 체내에 잔존될 수 있어, 근막통증 등 다양한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실 삽입 기구{APPARATUS FOR INSERTING MEDICAL THREAD}
본 발명은 외과적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실을 체내에 삽입하고 고정하는 시술을 시행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실 삽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실 삽입 시술 키트에 대한 것이다.
의료용 실은 손상된 근육·혈관·신경·조직 또는 상처나 수술절개부의 연결 또는 봉합을 위하여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의료용 실은 쌍꺼풀 수술이나 또는 노화, 피부탄력 감소, 외상, 과용, 괴사 등에 의하여 생기는 조직(tissue)이나 피부의 처짐, 주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술 등을 위하여도 사용된다. 의료용 실을 사용하는 리프팅 시술은 칼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과 실로써 얼굴, 턱, 목, 복부, 질, 가슴, 힙 등의 늘어진 피부 및 조직을 올려주고 주름을 당기고 펴주는 기술로서,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흉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부기가 적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실을 이용한 리프팅 시술에서는 의료용 실을 체내에 삽입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의료용 실이 삽입되는 신체의 지점에 하나의 삽입 천공홀을 형성하고, 의료용 실을 고정하는 신체의 지점에 다시 적어도 하나의 고정천공홀을 형성한 후 의료용 실을 삽입천공홀을 통하여 삽입한 후 그 자체로 경직성을 가진 의료용 실을 후방에서 밀어주어 의료용 실의 전방 단부가 고정천공홀로 돌출되도록 하여 신체 외부로 다시 나오도록 한 후에, 매듭을 지은 후 매듭 부위를 다시 봉합하거나 피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덮어주는 시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의료용 실을 피부로 삽입되는 천공홀과 다시 피부로부터 빠져나오는 천공홀을 모두 통과하도록 한 후 의료용 실을 신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리프팅 시술에서는 피부에 다수개의 천공홀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의료용 실을 신체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리프팅 시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환자에 대한 마취의 수준을 높여야 하는 관계로 시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0722(등록일 2011.08.24.) 한국등특특허 제10-1748755(등록일 2017.06.13.)
본 발명의 목적은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약실이 바늘과 함께 체내에 삽입되었다가 제거되는 바늘에 딸려나오지 않고 체내에 잔존 될 수 있음은 물론 시술 부위를 단단하게 잡아줘 뛰어난 시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의료용 실 삽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늘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약실이 감겨지는 감김홈이 형성되어 있어 바늘이 시술자가 바늘의 선단이나 약실에 방해받지 않고 원하는 지점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는 의료용 실 삽입기구 및 그 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되 내부가 관통된 바늘이 구비되는 바늘본체와, 일부는 상기 바늘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인체에 삽입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인체 내부에 잔존 되는 의료용 실과, 상기 바늘 외부에이동 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바늘 외부에 노출된 상기 일부 의료용 실에 대한 임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되 상기 바늘이 인체에 삽입될 시에는 상기 바늘의 후방 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의료용 실과 분리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의료용 실 및 홀더부재가 구비된 상기 바늘 상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 측에 결합되는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실 삽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늘의 선단에는 그 형상이 "<"자로 형성되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의 외주연에는 상기 의료용 실이 감겨지는 스크류 형상의 감김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부재의 외주연에는 파지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파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용 실 중 1/2는 상기 바늘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1/2는 그 선단이 상기 손잡이 측을 향하도록 접혀져 상기 바늘 외주연 측에 노출 위치되되, 상기 바늘 내부로 삽입되는 의료용 실 상에는 상기 손잡이 측으로 향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늘 외주연 측에 노출된 의료용 실 상에는 상기 손잡이 측으로 향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의료용 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바늘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 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늘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 1 홀더와 상기 바늘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 2 홀더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홀더 상에는 상기 의료용 실이 끼워져 고정되는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에 따르면, 의료용 실이 바늘과 함께 체내에 삽입되었다가 제거되는 바늘에 딸려나오지 않고 체내에 잔존될 수 있어, 근막통증 등 다양한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늘의 선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의료용 실이 감겨지는 감김홈이 형성되어 있어 바늘이 시술자가 바늘의 선단이나 약실에 방해받지 않고 원하는 지점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밖에, 바늘 상에는 의료용 실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홀더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바늘 삽입시 의료용 실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고 바늘이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자연스럽게 의료용 실과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의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에 있어서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에 있어서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바늘(100)은 추후에 설명될 의료용 실(200)을 체내로 삽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의료용 실(200)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110)와 결합되되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늘(100)은 체내에 직접 삽입되는 것이고 손잡이(110)는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는 것으로, 그 후단에는 손잡이(11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13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바늘(100)의 길이와 두께 및 손잡이(110)의 크기는 시술부위와 시술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시술자에 의해 안전하게 체내에 삽입될 수 있고 높은 온도 하에서 멸균처리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강성과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늘(100)은 가이드 니들(400)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가이드 또한 내부가 비어있어 바늘(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가이드 니들(40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어 바늘(100)이 노출되고, 타측은 손잡이(110)와 결합되어 있다.
이밖에 전술한 결합구(121)와 손잡이(110)는 상호 결합 가능한 형상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늘(100)의 선단에 형성되는 삽입부(120)에는 테이퍼진 경사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인체의 피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20)는 의료용 실(200) 및 바늘(100)의 선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선단은 테이퍼진 경사면(1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의료용 실(200)은 그 일부가 전술한 바늘(120)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바늘(120) 외부에 노출되며 바늘(120)과 함께 인체에 삽입되었다가 바늘(120) 제거시 인체 내부에 잔존 되어 시술에 따른 소정의 목적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의료용 실(200)에는 생체분해성(biodegradable) 봉합사가 사용되며 그 제조방법 및 구성성분과 생체분해의 원리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의료용 실(200)은 바늘(120)의 크기와 시술목적 그리고 시술부위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길이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의 삽입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료용 실(200)을 고정시키는 방법에 따라 (a)와 (b)로 구별할 수 있는데, (a)의 경우 의료용 실(200)의 절반은 바늘(100) 안에 심처럼 들어가 있고 절반은 가이드 니들(400) 안으로 실이 들어갈 수 있다. (b)의 경우 의료용 실(200)의 절반은 바늘(100)안에 심처럼 들어가 있으며, 바늘(100) 끝 의료용 실(200)이 나오는 선단에 의료용 실(200)을 녹는 실로 묶으며, 외부로 나온 의료용 실(200)의 절반은 가이드 니들(400)안으로 의료용 실(200)의 절반이 들어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의료용 실(200), 바늘(100), 손잡이(110), 결합구(130), 가이드 니들(400)의 경우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차이점을 갖는 삽입부(1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감김홈(123)에 의해 의료용 실(200)이 그 내부로 수용되는 형태로 감겨질 수 있어 바늘(120) 삽입시 의료용 실(200)에 의해 바늘(120) 삽입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삽입시에 바늘(120) 외부에 노출된 의료용 실(200)이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해 바늘(120) 내부에 삽입된 의료용 실(200)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에 있어서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료용 실(200)을 고정시키는 방법에 따라 (a)와 (b)로 구별할 수 있는데, (a)의 경우 의료용 실(200)의 절반은 바늘(100) 안에 심처럼 들어가 있고 절반은 가이드 니들(400) 안으로 실이 들어갈 수 있다. (b)의 경우 의료용 실(200)의 절반은 바늘(100)안에 심처럼 들어가 있으며, 바늘(100) 끝 의료용 실(200)이 나오는 선단에 의료용 실(200)을 녹는 실로 묶으며, 외부로 나온 의료용 실(200)의 절반은 가이드 니들(400)안으로 의료용 실(200)의 절반이 들어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구에 있어서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의료용 실(200), 바늘(100), 손잡이(110), 삽입부(120), 결합구(130), 가이드 니들(400) 등 의 경우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차이점을 갖는 의료용 실(200), 바늘(100)과의 결합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의료용 실(200)의 절반은 바늘(100) 안에 심처럼 들어가 있고, 나머지 절반은 바늘(100)에 식물성 풀로 붙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가이드 니들(400)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바늘
110: 손잡이
120: 삽입부
123: 감김홈
130: 결합구
200: 의료용 실
400: 가이드 니들

Claims (5)

  1.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되 내부가 관통된 바늘;
    일부는 상기 바늘 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바늘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바늘과 함께 인체에 삽입되었다가 바늘 제거시 인체 내부에 잔존되는 의료용 실;
    상기 바늘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 체결되어 상기 바늘 외부에 노출된 상기 일부 의료용 실에 대한 임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되, 상기 바늘이 인체에 삽입될 시에는 상기 바늘의 후방 측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의료용 실과 분리되는 감김홈; 및
    상기 의료용 실 및 상기 감기홈이 구비된 상기 바늘 상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니들가 포함하는, 의료용 실 삽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선단에는 형성되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의 외주연에는 상기 의료용 실이 감겨지는 감김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의료용 실 삽입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 중 일부는 상기 바늘 내부로 삽입되고, 잔부는 그 선단이 상기 손잡이 측을 향하도록 접혀져 상기 바늘 외주연 측에 노출 위치되되, 상기 바늘 내부로 삽입되는, 의료용 실 삽입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외주연 측에 노출된 상기 의료용 실이 식물성 풀로 결합된, 의료용 실 삽입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실은 생체분해성(biodegradable) 봉합사인, 의료용 실 삽입기구
KR1020220068300A 2022-06-03 2022-06-03 의료용 실 삽입 기구 KR20230167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300A KR20230167978A (ko) 2022-06-03 2022-06-03 의료용 실 삽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300A KR20230167978A (ko) 2022-06-03 2022-06-03 의료용 실 삽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978A true KR20230167978A (ko) 2023-12-12

Family

ID=8915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300A KR20230167978A (ko) 2022-06-03 2022-06-03 의료용 실 삽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97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22B1 (ko) 2009-01-12 2011-08-31 이희영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KR101748755B1 (ko) 2014-12-19 2017-06-19 조현찬 의료용 실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22B1 (ko) 2009-01-12 2011-08-31 이희영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KR101748755B1 (ko) 2014-12-19 2017-06-19 조현찬 의료용 실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232B2 (en) Knotless suture, and kit containing same
JP6726247B2 (ja) 解剖学的組織を縫合するための縫合装置及び方法
US5897572A (en) Microsurgical suture needle
ES2356430T3 (es) Aparato para tratar la incontinencia urinaria femenina.
US6059801A (en) Bladder saver retropubic ligature carrier device
CN108261227B (zh) 一种穿刺芯组件及具有其的穿刺器
WO2013142487A1 (en) Suture cartridg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66866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KR20020033636A (ko) 여성의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시각에 따라배향되는 외과용 도구
US11839370B2 (en) Suturing devices and methods for suturing an opening in the apex of the heart
JP2007536981A (ja) 拡張蛇行静脈を治療する装置と方法
CN108652711B (zh) 具有缝合功能的穿刺芯组件及其穿刺器
US10952720B2 (en) Achilles tendon sutur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9793557B (zh) 一种穿刺芯组件及具有其的穿刺器
KR101643904B1 (ko) 피부 주름 제거용 봉합사 삽입장치
US10178990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RU2452402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тей с паховыми грыжами методом видеоассистированного экстраперитонеального лигирования шейки грыжевого мешка
CN108261228B (zh) 一种穿刺器
KR101392766B1 (ko) 의료용 관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관 삽입 시술 키트
KR20230167978A (ko) 의료용 실 삽입 기구
US20230200808A1 (en) Bidirectional barbed suture having needl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0228438Y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KR101189560B1 (ko) 바늘이 부착된 봉합사
CN210843253U (zh) 一种腹腔镜切口缝合针
CN109793556B (zh) 一种高度调节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