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888A -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 Google Patents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888A
KR20230167888A KR1020220068091A KR20220068091A KR20230167888A KR 20230167888 A KR20230167888 A KR 20230167888A KR 1020220068091 A KR1020220068091 A KR 1020220068091A KR 20220068091 A KR20220068091 A KR 20220068091A KR 20230167888 A KR20230167888 A KR 20230167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 portion
eyewear
nos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수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Priority to KR102022006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888A/en
Publication of KR2023016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8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및 아이웨어용 코받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이웨어용 코받침은 아이웨어의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합봉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표면에 배치된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1패드부의 외부를 감싸는 제 2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패드부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vides a nose pad for eyewear combined with eyewear, eyewear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The nose pad for eyewear relates to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coupled to a coupling rod that protrudes from the nose pad frame of the eyewear toward the user, a coupl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coupling rod insid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It includes a first pad portion disposed in and a second pad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ad portion, wherein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Description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및 아이웨어용 코받침의 제조방법{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Nose pad for eyewear coupled to eyewear, eyewea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ose pad for eyewear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본 발명은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 및 아이웨어용 코받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e pad for eyewear coupled to eyewear, eyewear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아이웨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고, 굴절률을 조절한 일반적인 안경도 있으나, 투과율을 낮추어 눈부심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선글라스, 고글과 같은 제품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글라스 등은 투명한 안경 소재에 착색제 등을 넣거나 빛을 반사하는 소재를 코팅 또는 증착하여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덜 느끼게 하거나,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있다. 아이웨어의 경우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프레임에 연결되어 아이웨어를 사용자의 귀에 안착하기 위한 안경다리와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사용자의 코에 닿는 부분에서 사용자의 콧등에 아이웨어를 받치기 위한 코받침(노즈패드)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Eyewear i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s, and there are general glasses with an adjusted refractive index, but there are also products such as sunglasses and goggles that protect the user's eyes from glare or ultraviolet rays by lowering the transmittance. Commonly used sunglasses are manufactured by adding colorants to transparent eyeglass materials or coating or depositing light-reflecting materials to reduce glare to users or protect their eyes from ultraviolet rays. In the case of eyewear, there is a frame to support the lens, temples connected to the frame to seat the eyewear on the user's ears, and a nose to support the eyewear on the bridge of the user's nose at the center of the eyewear that touches the user's nose.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support (nose pad).

아이웨어의 코받침의 경우 플리스틱 수지재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는 프레임 자체가 사용자의 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아이웨어를 오랜 시간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콧등에 코받침의 모양대로 자국이 남게 되거나 단단한 재질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코받침에 아이웨어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하였는데, 프레임에서 원치 않게 쉽게 분리되거나, 이에 의해 코받침을 분실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eyewear nose pads, the frame itself, which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resi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nose. In this case, if the eyewear is worn for a long time, the bridge of the user's nose may be damage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marks were left in the shape of the nose pad or users felt uncomfortable due to the hard material. To prevent this, a separate method of attaching a nose pad made of rubber or silicone to the frame of the eyewear was used, but there was a problem of the nose pad being undesirably easily separated from the frame or losing the nose pad.

이에 사용자가 아이웨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코받침의 분리가 쉽게 되지 않도록 하는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코받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nose pads attached to eyewear that allow users to use the eyewear conveniently but also prevent the nose pa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대한민국 등록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9091호(2014년 03월 31일 공개)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9091 (published on March 31, 2014)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부드러운 재질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아이웨어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콧등에 자국이 남지않으면서도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wear that minimizes discomfort felt by the user by using a soft material for the nose pad attached to the eyewear so that no marks are left on the bridge of the nose even when the user wears the eyewear for a long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ose pad that is coupled to.

또한, 아이웨어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코받침이 프레임과 다른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면서도, 프레임에 결합 후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aim is to provide a nose pad coupled to the eyewear that is made of a soft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rame and is detachable, but is not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coupled to the frame.

또한, 코받침이 아이웨어의 프레임에 결합후에 분리가 쉽게 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닿는 부분은 보다 부드럽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we provide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attached to the eyewear to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by making the nose pad not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attached to the frame of the eyewear and making the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skin softer. I'm doing it.

또한, 상기한 코받침을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aim is to provide eyewear including the nose pad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한 코받침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aim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nose pa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 용 코받침은 아이웨어의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합봉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표면에 배치된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1패드부의 외부를 감싸는 제 2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패드부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 nose pad for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relates to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coupled to a coupling rod that protrudes from the nose pad frame of the eyewear toward the user. It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a first pad portion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pad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ad portion, wherein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is equal to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higher hardness compared to hardness.

또한, 상기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2패드부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e material,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60 to 80,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60 to 80. Hardness (shore A)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the range of 20 to 40.

또한, 상기 결합봉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과 연결되고 상기 코받침 프레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봉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는 상기 지지봉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ro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spaced apart from the nose pad fram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and protruding and extending, and a stopper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and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upport ro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se pad frame. , the first pad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또한,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패드부와 상기 제 2패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pp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inside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패드부와 상기 제 2패드부의 경계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opper may be in contact with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또한, 상기 제 1패드부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지지봉에서 두꺼워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one end of the first pad portion may be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stopper begins to become thicker on the support rod.

또한, 상기 코받침 프레임과 상기 지지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보다 두께가 두꺼운 결합봉 단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타단은 상기 결합봉 단턱부가 상기 지지봉에서 두꺼워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2패드부는 상기 결합봉 단턱부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rod step formed between the nose pad frame and the support bar and is thicker than the support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d portion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rod step begins to become thicker on the support bar, , the second pad portion may cover the coupling rod step portion by surrounding it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는 렌즈, 렌즈의 중심부에 지지되는 코받침 프레임, 상기 코받침 프레임의 중앙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 및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웨어용 코받침은 상기 결합봉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표면에 배치된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1패드부의 외부를 감싸는 제 2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lens, a nose pad frame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lens, a coupling ro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nose pad frame toward the user, and the coupling rod. It includes a nose pad for eyewear, wherein the nose pad for eyewear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coupling rod inside, a first pad portion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first pad. It includes a second pad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unit, and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또한, 상기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2패드부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e material,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60 to 80,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60 to 80. Hardness (shore A)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the range of 20 to 40.

또한, 상기 결합봉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과 연결되고 상기 코받침 프레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봉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는 상기 지지봉과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패드부와 상기 제 2패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ro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spaced apart from the nose pad fram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and protruding and extending, and a stopper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and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upport ro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se pad frame. , the first pad portion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and the stopp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inside the coupling groove.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은 아이웨어의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으로, 수직 단면이 ㄷ자 형으로 구성되고,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제 1패드부 금형과 평평한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상단을 향해 돌출한 봉을 포함하는 제 1패드부 틀의 사이에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를 넣고 온도를 가한 후 상기 제 1패드부 틀과 상기 제 1패드부 금형을 제거하여 제 1패드부를 제조하는 단계, 플레이트 상에서 상단으로 돌출한 제 1봉 및 상기 제 1봉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봉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 2봉을 포함하는 제 2패드부 틀의 상기 제 1봉과 상기 제 2봉 사이에 상기 제 1패드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개방된 면이 상기 제 1패드부 보다 크게 형성된 제 2패드부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제 2패드부 틀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 사이에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를 넣고 온도를 가한 후 상기 제 2패드부 틀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coupled to a coupling rod protruding from the nose pad frame of the eyewear toward the user, A first pad mold is formed between a first pad mold whose vertical cross-section is U-shaped, one side of which is open and has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and a first pad mold including a ro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lat plate toward the top. A step of manufacturing a first pad portion by adding a material for forming a pad portion and applying temperature and then removing the first pad portion mold and the first pad portion mold, a first rod protruding from the top on the plate and the first rod. A step of coupling the first pad portion betwee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of a second pad portion frame including a second rod that extends and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first rod, and one side of which is open to the inside. Prepare a second pad mold with a receiving space and an open surface larger than the first pad portion, and place a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between the second pad mold and the second pad mold. After applying the temperature, removing the second pad portion mold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wherein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is higher than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 및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 및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는 온도를 가하여 성형된 후 시너스랩 경도가(shore A) 상기 제 1패드부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 material, and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are heated at a temperature. After being molde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may be in the range of 60 to 80 for the first pad portion, and in the range of 20 to 40 for the second pad portion.

또한, 상기 제 2패드부 틀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단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제 1봉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1봉보다 두께가 두꺼운 단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는 일단이 상기 제 2패드부 틀의 제 2봉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단턱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protrudes from the plate to the top, is located between the plate and the first rod, and further includes a stepped portion thicker than the first rod, and the first pad portion has one end of the It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tep por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코받침은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코받침을 부드러운 재질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아이웨어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콧등에 자국이 남지않으면서도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nose pad combined with the eye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oft material to minimize discomfort felt by the user without leaving marks on the bridge of the nose even when the user wears the eyewear for a long time. You can.

또한, 아이웨어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코받침이 프레임과 다른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면서도, 프레임에 결합 후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se pad attached to the frame of the eyewear is made of a soft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rame, so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ut cannot be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attached to the frame.

또한, 코받침이 아이웨어의 프레임에 결합후에 분리가 쉽게 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닿는 부분은 보다 부드럽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se pad cannot be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attached to the frame of the eyewear, while the part that directly contacts the user's skin can be formed more gently to maximize user convenience.

또한, 상기한 코받침을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eyewear including the nose pad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한 코받침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nose pad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아이웨어 결합되는 프레임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아이웨어의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ame portion where the nose pad is combined with the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nose pad coupled to the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nose pad coupled to the frame of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Figures 6 to 11 ar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nos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refer to one element or compon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코받침 이외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코패드, 노즈패드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nose pad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mmonly referred to as a nose pad, nose pad, etc. in the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아이웨어 결합되는 프레임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아이웨어에 결합되는 면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이 아이웨어의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에서 A-A'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ame portion where the nose pad is combined with the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one. In addition, Figure 3 shows a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nose pad coupled to the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shows the nos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frame of the eyewear.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is shown, and FIG.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용 코받침은 아이웨어의 코받침 프레임(40)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100)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2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합봉(100)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된 결합홈(230), 상기 결합홈(230)의 내측표면에 배치된 제 1패드부(210), 및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외부를 감싸는 제 2패드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패드부(210)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220)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nose pad for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00 protruding from the nose pad frame 40 of the eyewear toward the user. Regarding (200), a coupling groove 230 formed to insert the coupling rod 100 inside, a first pad portion 21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30, and the first pad It includes a second pad portion 22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ortion 210, and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상기 코받침 프레임(40)은 아이웨어의 렌즈(3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코와 마주하는 위치인 중심부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코받침 프레임(40)은 렌즈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 1 및 2에서와 같이, 프레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코와 맞닿는 위치에만 별도로 코받침 프레임(4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이웨어용 코받침(200)은 코받침 프레임(40)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100)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하여 코받침 프레임(40)에 결합된다. 한편, 코받침 프레임(40)은 렌즈(30)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플라스틱 수지제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nose pad frame 40 may be coupled to the lens 30 of the eyewear and plac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where it faces the user's nose. The nose pad frame 4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coupled along the edge of the lens,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nose pad may be provided separately only at the position where it touches the user's nose to minimize the frame. A support frame 40 may be formed. The nose pad 200 for eyewear is coupled to the nose pad frame 40 by inserting the coupling rod 100 protruding from the nose pad frame 40 toward the user into the inside. Meanwhile, the nose pad frame 40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resin to firmly support the lens 30.

상기 결합봉(100)은 코받침 프레임(40)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결합봉(100)이 코받침(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봉(100)은 코받침 프레임(40)에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렌즈(30)에서 중심부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콧등과 접하는 부위에 상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포함하고, 해당 부분에는 코받침 프레임(40)이 렌즈(3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렌즈(30)의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위치 각각에 결합봉(10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좌안과 우안의 위치에서도 코받침(200)의 결합의 안정성을 위해 결합봉(100)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봉(100)은 좌측 방향에 2개 우측 방향에 2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받침(200)이 결합봉(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upling bar 100 protrudes from the nose pad frame 40 toward the user, and the protruding coupling bar 100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nose pad 200. The coupling rods 100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nose pad frame 40.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of the lens 30 includes a shape that is depressed upward at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bridge of the user's nose, and the nose pad frame 40 is coupled to the lens 30 at that area. It can be. At this time, the coupling rods 10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lens 30, and may be coupl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of the nose pad 200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 positions. A plurality of rods 100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coupling rods 100 may be formed with two in the left direction and two in the right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nose pad 200 can be more s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00. .

상기 결합홈(230)은 코받침(200) 내에서 상기 결합봉(100)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홈(230)에는 결합봉(100)이 삽입되어 결국 코받침 프레임(40)에 코받침(20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의 코받침 프레임(40)과 달리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부드러운 소재의 코받침(200)이 외측에 존재하고, 부드러운 코받침(200)이 사용자 콧등의 피부와 접하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아이웨어를 착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홈(230)은 제 2패드부(220)와 제 2패드부(220)의 내측에 결합된 제 1패드부(210)에 의해 구획되며, 결합홈(230)은 제 1패드부(210)의 중심을 관통하면서도 이를 둘러 싸고 있는 제 2패드부(220)의 중심도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coupling groove 230 is formed as an empty space to insert the coupling rod 100 inside the nose pad 200. Therefore, the coupling rod 1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30 so that the nose pad 200 can be eventually coupled to the nose pad frame 40. Unlike the nose pad frame 40, which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the rubber A nose pad 200 made of a soft silicone material is present on the outside, and the soft nose pad 200 is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bridge of the user's nose, allowing the user to conveniently wear and use the eyewear. Meanwhile, the coupling groove 230 is defined by the second pad portion 220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groove 230 is formed by the first pad portion 230.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portion 210 and als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surrounding it.

상기 제 1패드부(210)는 결합홈(230)의 내측표면에 배치되며, 제 2패드부(220)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즉, 제 2패드부(220)에는 결합홈(230)을 구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영역이 존재하고, 이 영역 중 일부에 제 1패드부(210)가 결합되어 결국 결합홈(230)에 결합봉(100)이 결합되면 제 1패드부(210)와 결합봉(100)이 접하면서도 가장 안쪽에서는 제 2패드부(220)와 결합봉(100)이 서로 접하게 된다. 즉, 제 1패드부(210)는 제 2패드부(220)에 의해 형성된 결합홈(230)의 표면의 일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The first pad portion 21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30 and is surrounded by the second pad portion 220. That is, there is a region in the second pad portion 220 that is recessed inward to form the coupling groove 230,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coupled to some of these regions and eventual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30. When the rod 100 is coupled,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coupling rod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rod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innermost part.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30 formed by the second pad portion 220.

상기 제 2패드부(220)는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제 2패드부(220)는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제 2패드부(220)에 의해 사용자의 콧등에 아이웨어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단단한 재질의 프레임(20)이나 코받침 프레임(40)에 비해 부드러운 소재의 제 2패드부(220)에 의해 코받침 프레임(40)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콧등에 닿아 지지하는 부분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한 사용감으로 아이웨어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pad portion 220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pad portion 220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ridge of the user's nose. The second pad portion 220 allows the eyewear to be supported on the bridge of the user's nos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frame 20 or the nose pad frame 40 made of a hard material, the second pad portion 220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nose pad frame 40 to support the part that touches the bridge of the user's nose. By making it soft, users can feel comfortable using it and do not feel uncomfortable even if they wear the eyewear for a long time.

한편, 상기 제 1패드부(210)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220)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른 표현으로는 상기 제 1패드부(210)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220)의 경도 보다 클 수 있다.(즉 높은 경도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제 2패드부(220)의 경도를 낮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직접 닿는 부분을 보다 부드럽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한 사용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고, 제 1패드부(210)의 경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함으로써, 결합봉(100)에 코받침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코받침에 서로 경도를 달리하는 제 1패드부(210)와 제 2패드부(220)가 결합된 구조를 취하고 제 1패드부(210)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져 결국 코받침 프레임(40)에 코받침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의 피부(콧등)와 직접 닿는 부분은 보다 부드러운 소재를 채택하여 편리한 사용감이 느껴지는 것을 극대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That is, in other words,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that is, it may have a higher hardness value). The second pad portion 220 By lowering the hardness, the part that directly touches the user can be made softer so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using it, and by making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relatively high, the nose pad is attached to the coupling rod 100. It can be firmly coupled and maintain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pad part 210 and a second pad part 220 of different hardness are combined on the nose pad, and the first pad part 210 has a relatively high hardness, which ultimately improves the nose. While ensuring that the nose pad is firm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40), the part tha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skin (bridge of the nose)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ereby maximizing the feeling of convenient use.

종래의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는 별도의 코받침을 코받침 프레임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나치게 부드러운 소재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게 코받침이 쉽게 이탈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를 방지하고자 높은 경도의 코받침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단한 재질에 의해 불편함을 느꼈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경우 코받침 프레임(4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경도가 높은 제 1패드부(210)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피부와 닿는 부분에서는 경도나 낮은 제 2패드부(220)를 적용하여 편리한 사용감을 가지면서도 견고하게 코받침 프레임(40)에 결합될 수 있는 코받침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ast, when a separate nose pad made of soft material was used by combining it with the nose pad frame for user convenience, there were cases where the nose pad could easily come off due to the excessively soft material, and to prevent this, high hardness was used. When combining the nose pads, the user felt uncomfortable due to the hard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d part 210 with high hardness is applied to the part coupled to the nose pad frame 40, and the second pad part 220 with low hardness is applied to the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se pad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nose pad frame 40.

한편, 상기 제 1패드부(210) 및 상기 제 2패드부(220)는 고무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22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5 내지 75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22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5 내지 3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패드부(22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아이웨어를 착용하였을 경우 편리함을 느낄 수 있고,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의 범위에서 결합봉(100)에 코받침(200)이 결합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and,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e material. At this time,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in the range of 60 to 80,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is in the range of 20 to 40. It can be characterized, for example,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in the range of 65 to 75,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is in the range of 65 to 75.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the range of 25 to 35. The user can feel convenience when wearing eyewear within the range of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art 220,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art 210 After the nose pad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00 within the rang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한편, 상기 결합봉(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결합봉(100)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40)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봉(110) 및 상기 지지봉(110)과 연결되고 상기 코받침 프레임(40)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봉(110)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스토퍼(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봉(100)은 사용자 안면(콧등) 쪽으로 갈수록 말단이 보다 두꺼운 스토퍼(120)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코받침 프레임(40)과 스토퍼(120) 사이에는 스토퍼(120)에 비해 두께가 얇은 지지봉(11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받침(200)이 코받침 프레임(40)에 결합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o describe the coupling bar 100 in more detail, the coupling ba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d apart support bars 110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the nose pad frame 40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and the support bar. It may include a stopper 120 that is connected to 110 and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upport bar 1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se pad frame 40. That is, the coupling rod 100 can form a stopper 120 whose end becomes thicker as it moves toward the user's face (nose bridge), and the thickness between the nose pad frame 40 and the stopper 12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topper 120. A thin support bar 110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nose pad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coupled to the nose pad frame 40.

또한, 상기 제 1패드부(210)는 상기 지지봉(110)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230)의 내측에서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제 1패드부(210)와 상기 제 2패드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받침(200)이 결합봉(100)에 결합될 때에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패드부(210)가 스토퍼(120)를 지나 지지봉(110)과 접하여 결합되고, 스토퍼(120)가 제 1패드부(210)와 제 2패드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코받침(200)이 결합봉(100)으로부터 쉽게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d portion 210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110, and the stopper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230.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located between the second pad portions 220. Accordingly, when the nose pad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00, the first pad portion 210, which has relatively high hardness, passes through the stopper 120 and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110, and the stopper 120 By being locat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the nose pad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coupling rod 100.

또한,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제 1패드부(210)와 상기 제 2패드부(220)의 경계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120)가 상기 지지봉(110)에서 두꺼워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패드부(210)는 지지봉(110)과 스토퍼(120)의 경계에 위치하고, 다른 표현으로는 지지봉(110)과 스토퍼(120)의 경계를 기준으로 제 1패드부(210)와 제 2패드부(220)의 경계가 나뉘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제 1패드부(210)가 두께가 얇은 지지봉(110)에 결합되고 이외의 영역(두꺼운 스토퍼(120)의 영역)에서는 부드러운 경도(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 2패드부(220)가 위치하면서 보다 견고하게 결합봉(100)에 코받침(20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120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and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The stopper 120 may be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support rod 110 begins to become thicker. That is,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rod 110 and the stopper 120. In other words,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are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rod 110 and the stopper 120. The boundary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may be divided. In this way, the first pad portion 210, which has relatively high hardness, is coupled to the thin support rod 110, and in the other area (the area of the thick stopper 120), the second pad portion (low hardness) has soft hardness (low hardness). As 220) is positioned, the nose pad 20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00.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코받침 프레임(40)과 상기 지지봉(11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10)보다 두께가 두꺼운 결합봉 단턱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210)의 타단은 상기 결합봉 단턱부(130)가 상기 지지봉(110)에서 두꺼워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2패드부(220)는 상기 결합봉 단턱부(130)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제 1패드부(210)와 제 2패드부(220)의 분리된 상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 2패드부(220)의 단일 표면만이 노출되도록 하여 우수한 디자인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면서 제 1패드부(210)과 결합봉 단턱부(130)와 스토퍼(120)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게 코받침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it is formed between the nose pad frame 40 and the support bar 110 and further includes a coupling bar step 130 thicker than the support bar 110, and the first pad portion ( The other end of 210)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coupling rod step 130 begins to thicken on the support rod 1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surrounds the coupling rod step 130 from the outside. It can be characterized as covering. Accordingly, the separated state of the first pad part 210 and the second pad part 2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only a single surface of the second pad part 220 is exposed, resulting in an excellent design. By being positioned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210, the coupling rod step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se pad from moving unintentionally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아이웨어용 코받침을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다시 상기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아이웨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아이웨어는 상기한 아이웨어용 코받침과 중복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yewear including the nose pad for eyewear, and hereinafter, the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omponents that overlap with the nose pad for eyewear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overlapp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는 렌즈(30), 렌즈(30)의 중심부에 지지되는 코받침 프레임(40), 상기 코받침 프레임(40)의 중앙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100), 및 상기 결합봉(100)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200)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웨어용 코받침(200)은 상기 결합봉(100)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된 결합홈(230), 상기 결합홈(230)의 내측표면에 배치된 제 1패드부(210), 및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외부를 감싸는 제 2패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210)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220)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30, a nose pad frame 40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lens 30, and a coupling ro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nose pad frame 40 toward the user ( 100), and a nose pad for eyewea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00, wherein the nose pad 200 for eyewear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coupling rod 100 inside. 230), a first pad portion 21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30, and a second pad portion 22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first pad portion 220 The hardness of the pad portion 210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상기 렌즈(30)는 아이웨어를 착용하면 사용자가 외부 사물을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착색물질이 포함되어 있거나, 착색필름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김서림 방지처리(Anti-Fog) 등 다양한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30)는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고, 프레임(20)의 양단에는 안경다리(1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안경다리(10)를 안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안경다리(10)는 힌지(hindge) 결합되어 접히고 펼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받침 프레임(40)은 도면상으로는 렌즈(30)의 중심부 하단의 위치에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렌즈(30)의 상하단부에 모두 프레임이 형성되는 경우 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see external objects when wearing eyewear, and may contain a coloring material or have a colored film attached as needed. In addition, it may be subjected to various treatments, such as separate anti-fog treatment, and ma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commonly used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The lens 30 is supported by the frame 20, and temples 1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rame 20, so that the temples 10 can be placed on the user's ears and used. Without limitation, the temples 10 may be hinged and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In the drawing, the nose pad frame 40 is formed separately at the lower center of the lens 30,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the frame is formed at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ns 30, it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it. there is.

한편, 상기 제 1패드부(210) 및 상기 제 2패드부(220)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22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5 내지 75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22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5 내지 3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경도를 가진 제 1패드부(210)에 의해 결합봉(100)에 견고하게 코받침(200)이 결합되고, 낮은 경도를 가진 부드러운 소재의 제 2패드부(220)에 의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아이웨어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 material,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60 to 80. ,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the range of 20 to 40. For example, the thinner wrap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may be in the range of 20 to 40. (shore A) may range from 65 to 75,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may range from 25 to 35. Accordingly, the nose pad 200 is firmly coupled to the coupling rod 100 by the first pad portion 210 with high hardness,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made of a soft material with low hardness allows the user to You can use eyewear conveniently.

또한, 상기 결합봉(100)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40)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봉(110), 및 상기 지지봉(110)과 연결되고 상기 코받침 프레임(40)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봉(110)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스토퍼(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210)는 상기 지지봉(110)과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230)의 내측에서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제 1패드부(210)와 상기 제 2패드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20)의 내측(렌즈 방향)에 위치하는 지지봉(110)에 경도가 높은 제 1패드부(21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결합력(고정력)을 높일 수 있고, 스토퍼(120)에 의해 코받침(200)이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bar 1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upport bars 110 that protrude and extend from the nose pad frame 40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and are connected to the nose pad frame 40. It includes a stopper 120 whose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support bar 1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topper 120,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110, and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230. The stopper 1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Therefore, the first pad portion 210 with high hardness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bar 110 located on the inside (lens direction) of the stopper 120,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fixing force) and This can prevent the nose pad 200 from being undesirably separated.

본 발명의 아이웨어에서는 상기한 구성들 이외에 아이웨어용 코받침에서 설명한 다른 구성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ll other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nose pad for eyewear can be applied to the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아이웨어용 코받침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대해 제공하며, 도 6 내지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ove-described nose pad for eyewear, and Figures 6 to 11 show sequential drawings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nos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아이웨어의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으로, 수직 단면이 ㄷ자 형으로 구성되고,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제 1패드부 금형(320)과 평평한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상단을 향해 돌출한 봉을 포함하는 제 1패드부 틀(310)의 사이에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210-1)를 넣고 온도를 가한 후 상기 제 1패드부 틀(310)과 상기 제 1패드부 금형(320)을 제거하여 제 1패드부(210)를 제조하는 단계, 플레이트 상에서 상단으로 돌출한 제 1봉(410) 및 상기 제 1봉(4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봉(410)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 2봉(420)을 포함하는 제 2패드부 틀(400)의 상기 제 1봉(410)과 상기 제 2봉(420) 사이에 상기 제 1패드부(210)를 결합하는 단계, 및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개방된 면이 상기 제 1패드부(210) 보다 크게 형성된 제 2패드부 금형(500)을 준비하고, 상기 제 2패드부 틀(400)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500) 사이에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220-1)를 넣고 온도를 가한 후 상기 제 2패드부 틀(400)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50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210-1)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220-1)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o 1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coupled to a coupling rod protruding from the nose pad frame of the eyewear toward the user. As a method, the first pad portion mold 320 has a vertical cross-section of a U-shape, one side is open and a receiving space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a first pad portion including a ro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lat plate toward the top. After placing the material 210-1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between the mold 310 and applying temperature, the first pad portion mold 310 and the first pad portion mold 320 are removed to form the first pad. Manufacturing the part 210, a first rod 410 protruding from the top on the plate, and a second rod 420 extending from the first rod 410 and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first rod 410. A step of coupling the first pad portion 210 between the first rod 410 and the second rod 420 of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400, and one side is opened to the inside. Prepare a second pad portion mold 500 with an accommodation space and an open surface larger than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form the second pad portion mold 4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 and removing the second pad portion mold 4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after adding the material 220-1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and applying temperature.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210-1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material 220-1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제 1패드부(210)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 1패드부 금형(320)과 제 1패드부 틀(310) 사이에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210-1)를 넣고 열을 가하여 찌면 제 1패드부(210)가 제조될 수 있다. 제 1패드부 금형(320)은 수직 단면이 ㄷ자 형으로 구성되고,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수용공간에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210-1)가 수용되어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패드부 틀(310)은 평평한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상단을 향해 돌출한 봉을 포함하여 이에 의해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형태의 제 1패드부(210)를 제조할 수 있다. 제 1패드부 금형(320)은 성형된 제 1패드부(210)가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패드부 틀(310)과 맞닿는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을 넘는 재료들은 절삭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first pad portion 21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mold 320 and the first pad portion mold 310, and the first pad portion forming material 210- 1) is added, heat is applied,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can be manufactured. The first pad mold 320 has a U-shaped vertical cross-section, and one side is open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so that the first pad forming material 210-1 can be accommodated and molded in the receiving space. You can. In addition, the first pad portion frame 310 includes a rod tha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flat plate toward the top,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irst pad portion 210 in the form of a central portion penetrating. The first pad portion mold 320 is formed so that the molded first pad portion 210 can be neatly separated, an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pad portion mold 310 is formed sharply so that any material exceeding the space between them can be cut. can do.

한편, 이렇게 준비된 제 1패드부(210)는 제 1패드부 틀(310)과 제 1패드부 금형(320)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7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후, 도 8과 같이, 플레이트 상에서 상단으로 돌출한 제 1봉(410) 및 상기 제 1봉(410)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봉(410)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 2봉(420)을 포함하는 제 2패드부 틀(400)을 준비하고, 상기 제 1봉(410)과 상기 제 2봉(420) 사이에 상기 성형된 제 1패드부(210)를 결합할 수 있다. 돌출된 제 1봉(410)과 제 2봉(420)은 제작되는 코받침의 형태에 따라 동일한 형태로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에 준비된 제 1패드부(210)를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pad portion 210 prepared in this way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ad portion mold 310 and the first pad portion mold 320 and manufactured in the form shown in FIG. 7. Thereafter, as shown in FIG. 8, it includes a first rod 410 protruding from the top on the plate and a second rod 420 extending from the first rod 410 and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first rod 410. A second pad portion frame 400 may be prepared, and the molded first pad portion 210 may be coupled between the first rod 410 and the second rod 420. A plurality of protruding first rods 410 and second rods 420 can be arranged in the same shape and spaced apar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nose pad being manufactured,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prepared on each of them can be combined. there is.

이후,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개방된 면이 상기 제 1패드부(210) 보다 크게 형성된 제 2패드부 금형(500)을 준비하고, 상기 제 2패드부 틀(400)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500) 사이에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220-1)를 넣고 온도를 가하여 제 2패드부(220)를 성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2패드부(220)가 제 1패드부(210)를 덮으면서 제 1패드부(210)를 내측에 결합하고 있는 형태의 코받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 2패드부 금형(500)은 복수개로 결합된 제 1패드부(210)들을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코받침의 외측에서 드러나는 형상에 맞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reafter, a second pad portion mold 500 is prepared, one side of which is opened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and the open side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400 is formed. The second pad portion forming material 220-1 is placed between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and temperature is applied to form the second pad portion 220, thereby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220. )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that covers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couples the first pad portion 210 to the inside.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may be formed in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ad portions 210 joined together, and may be formed to fit the shape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nose pad.

즉, 도 9에서는 도 8에서 B-B'에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이미 제 2패드부 틀(400)에 복수개 이격되어 준비된 제 1봉(410)과 제 2봉(420)에 제 1패드부(210)를 결합하여 도 8 및 9와 같이 준비하고 도 8과 같이 제 2패드부 금형(500)과 제 2패드부 틀(400) 사이에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220-1)를 넣고 제 2패드부 금형(500)을 덮으면 도 10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제 2패드부 틀(400)의 제 1봉(410)과 제 2봉(420)은 각각 추후 코받침이 결합되는 결합봉(100)의 지지봉(110)과 스토퍼(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결국 코받침의 결합홈(230)의 형상이 결합봉(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FIG. 9, a cross-section along B-B' in FIG. 8 is shown, and referring to FIGS. 8 to 10, the first rod 410 and the first rod 410, which are already prepar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in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400, are shown in FIG.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prepared by combining the second rod 420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a second pad is placed between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400 as shown in FIG. 8. When the part forming material 220-1 is added and the second pad part mold 500 is covered, the form may be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bar 410 and the second bar 420 of the second pad frame 400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support bar 110 and the stopper 120 of the coupling bar 100 to which the nose pad is later connected. It can be shaped so that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230 of the nose pa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rod 100.

이후, 상기 제 2패드부 틀(400)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500)을 제거하면, 단단한 재질의 상기 제 2패드부 틀(400)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500)에 비해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된 제 1패드부(210)와 제 2패드부(22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제 2패드부 틀(400)과 제 2패드부 금형(500)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11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진 코받침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지는 제 1패드부(210)가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 2패드부(220)의 내측에 배치되고 결합된 상태로 제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코받침이나 아이웨어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경도 특성을 가지는 제 1패드부(210)과 제 2패드부(220)가 독특한 배치 형태로 결합된 코받침을 제조하면서도 단단한 재질의 금형과 틀에 비해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는 코받침 형성용 재료(210-1, 220-1)를 이용하여 쉽게 코받침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second pad portion mold 4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are remove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4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are made of a soft material compared to the hard material.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formed of material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pad portion mold 4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500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1. A nose pad with can be manufactured. In the case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d portion 210, which has a relatively high hardness, can be manufactured in a state where it is placed inside and coupled to the second pad portion 220, which has a low hardness. Accordingly, nose pads or eyewear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In particular, while manufacturing a nose pad in which the first pad portion 2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20, which have different hardness characteristics, are combined in a unique arrangement, the nose pad is made of soft material compared to the mold and frame made of hard material. The nose pad can be easily produced using forming materials (210-1, 220-1).

또한,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210-1) 및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220-1)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210-1) 및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220-1)는 온도를 가하여 성형된 후 시너스랩 경도가(shore A) 상기 제 1패드부(210)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220)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패드부(21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5 내지 75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220)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5 내지 3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코받침과 이를 포함하는 아이웨어를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d forming material 210-1 and the second pad forming material 220-1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 material, and the first pad forming material 210 -1) and the second pad portion forming material 220-1 has a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after being molded by applying temperature,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ranges from 60 to 80, and the first pad portion 210 has a hardness of 60 to 80. The second pad portion 220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the range of 20 to 40. For example,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210 is in the range of 65 to 75, and the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220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the range of 25 to 35. Accordingly, the nose pad as described above and eyewear including the same can be manufactured.

한편, 상기 제 2패드부 틀(400)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단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제 1봉(410)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1봉(410)보다 두께가 두꺼운 단턱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210)는 일단이 상기 제 2패드부 틀(400)의 제 2봉(420)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단턱부(430)의 일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과 같이 제 1패드부(210)가 제 2패드부 내측에 완전히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에서는 제 2패드부(220)만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패드부 틀(400)의 단턱부(430)는 상기 코받침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결합봉 단턱부(130)에 대응하는 형상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면 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400 protrudes from the plate to the top and is located between the plate and the first rod 410, and has a stepped portion 430 that is thicker than the first rod 410.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first pad portion 210 has one end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d 420 of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40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n one end of the step portion 430.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pad portion 210 can be completely recessed inside the second pad portion and joined so that only the second pad portion 220 is visible from the outside.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epped portion 430 of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400 is used to manufactur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od stepped portion 130 as described in the nose pa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wh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안경다리
20: 프레임
30: 렌즈
40: 코받침 프레임
100: 결합봉
110: 결합봉의 지지봉
120: 결합봉의 스토퍼
130: 결합봉 단턱부
200: 코받침
210: 제 1패드부
210-1: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
220: 제 2패드부
220-1: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
230: 결합홈
310: 제 1패드부 틀
320: 제 1패드부 금형
400: 제 2패드부 틀
410: 제 2패드부 틀의 제 1봉
420: 제 2패드부 틀의 제 2봉
430: 제 2패드부 틀의 단턱부
500: 제 2패드부 금형
10: Temple of glasses
20: frame
30: lens
40: Nose pad frame
100: coupling rod
110: Support bar of coupling bar
120: Stopper of coupling rod
130: Coupling rod step portion
200: Nose pad
210: 1st pad part
210-1: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220: 2nd pad part
220-1: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230: Combination groove
310: First pad frame
320: First pad mold
400: 2nd pad frame
410: 1st rod of the 2nd pad frame
420: Second rod of the second pad frame
430: Step portion of the second pad frame
500: 2nd pad mold

Claims (13)

아이웨어의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합봉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표면에 배치된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1패드부의 외부를 감싸는 제 2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패드부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It relates to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coupled to a coupling rod that protrudes from the nose pad frame of the eyewear toward the user.
A coupl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coupling rod inside;
a first pad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Includes a second pad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ad portion,
A nose pad for eye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2패드부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e material,
A nose pad for eyewear, wherein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60 to 80,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20 to 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과 연결되고 상기 코받침 프레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봉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는 상기 지지봉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According to clause 1,
The coupling ro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that protrude and extend from the nose pad fram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And a stopper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and having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support ba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se pad frame,
A nose pad for eyewear, wherein the first pa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패드부와 상기 제 2패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According to clause 3,
A nose pad for eyewear, wherein the stopp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inside the coupling groo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패드부와 상기 제 2패드부의 경계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According to clause 3,
The stopper is a nose pad for eyewe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cts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드부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지지봉에서 두꺼워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According to clause 5,
A nose pad for eyewear,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pad portion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stopper begins to become thicker on the support r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 프레임과 상기 지지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 보다 두께가 두꺼운 결합봉 단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타단은 상기 결합봉 단턱부가 상기 지지봉에서 두꺼워지기 시작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 2패드부는 상기 결합봉 단턱부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According to clause 6,
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rod step portion formed between the nose pad frame and the support rod and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upport ro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d portion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coupling rod step portion begins to thicken in the support rod,
The second pad portion is a nose pad for eye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rod step portion is wrapped and covered from the outside.
렌즈;
렌즈의 중심부에 지지되는 코받침 프레임;
상기 코받침 프레임의 중앙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 및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웨어용 코받침은 상기 결합봉을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표면에 배치된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1패드부의 외부를 감싸는 제 2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lens;
A nose bridge frame supported by the center of the lens;
A coupling ro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nose pad frame toward the user; and
Including a nose pad for eyewear coupled to the coupling rod,
The nose pad for eyewear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coupling rod inside; a first pad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pad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pad portion, wherein the hardness of the first pad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ad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드부 및 상기 제 2패드부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의 시너스랩 경도(shore A)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According to clause 8,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e material,
Eyewear, wherein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first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60 to 80, and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of the second pad portion is in the range of 20 to 4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은 상기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과 연결되고 상기 코받침 프레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봉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는 상기 지지봉과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 1패드부와 상기 제 2패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According to clause 8,
The coupling ro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that protrude and extend from the nose pad fram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And a stopper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and having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support ba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se pad frame,
The first pad portion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Eye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inside the coupling groove.
아이웨어의 코받침 프레임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봉에 결합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으로,
수직 단면이 ㄷ자 형으로 구성되고,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제 1패드부 금형과 평평한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상단을 향해 돌출한 봉을 포함하는 제 1패드부 틀의 사이에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를 넣고 온도를 가한 후 상기 제 1패드부 틀과 상기 제 1패드부 금형을 제거하여 제 1패드부를 제조하는 단계;
플레이트 상에서 상단으로 돌출한 제 1봉 및 상기 제 1봉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봉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 2봉을 포함하는 제 2패드부 틀의 상기 제 1봉과 상기 제 2봉 사이에 상기 제 1패드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일 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개방된 면이 상기 제 1패드부 보다 크게 형성된 제 2패드부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제 2패드부 틀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 사이에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를 넣고 온도를 가한 후 상기 제 2패드부 틀과 상기 제 2패드부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의 경도는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의 경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that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rod that protrudes from the nose pad frame of the eyewear toward the user.
A first pad mold is formed between a first pad mold whose vertical cross-section is U-shaped, one side of which is open and has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and a first pad mold including a ro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lat plate toward the top. manufacturing a first pad portion by adding a material for forming a pad portion, applying temperature, and then removing the first pad portion mold and the first pad portion mold;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includes a first rod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plate and a second rod extending from the first rod and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first rod, betwee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Step 1: Combining the pad portion; and
Prepare a second pad mold with one side open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and an open surface larger than the first pad portion, and a second pad mol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ad mold and the second pad mold. Including the step of adding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pad portion, applying temperature, and then removing the second pad portion mold and the second pad portion mol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is higher than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 및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패드부 형성용 재료 및 상기 제 2패드부 형성용 재료는 온도를 가하여 성형된 후 시너스랩 경도가(shore A) 상기 제 1패드부는 60 내지 80의 범위이고, 상기 제 2패드부는 2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are composed of a component containing a silicon material,
After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econd pad portion are molded by applying temperature, the thinner wrap hardness (shore A) is in the range of 60 to 80 for the first pad portion, and 20 for the second pad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is from 40 to 4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패드부 틀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단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제 1봉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1봉보다 두께가 두꺼운 단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패드부는 일단이 상기 제 2패드부 틀의 제 2봉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단턱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용 코받침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protrudes from the plate to the top, is located between the plate and the first rod, and further includes a step portion thicker than the first ro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se pad for eyewear,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pad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d of the second pad portion frame,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n one end of the stepped portion.
KR1020220068091A 2022-06-03 2022-06-03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KR202301678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91A KR20230167888A (en) 2022-06-03 2022-06-03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91A KR20230167888A (en) 2022-06-03 2022-06-03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88A true KR20230167888A (en) 2023-12-12

Family

ID=8915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091A KR20230167888A (en) 2022-06-03 2022-06-03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88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091A (en) 2010-08-05 2014-03-31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아이엔 Nose pad and eyewe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091A (en) 2010-08-05 2014-03-31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아이엔 Nose pad and eyew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621B1 (en) Eyewear with detachable lens
CN111684338B (en) Flexible spectacle assembly and flexible part of spectacles
US20240111176A1 (en) Eyewear with adjustable temples angle and detachable the temple
KR200404740Y1 (en) A nonslip glasses
KR20230167888A (en) Nose pad connected with eyewear and eyewea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se pad
US5387950A (en) Prescription eyewear made from non-prescription lens shield material
KR102497582B1 (en)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according to frame separation
JP2006184296A (en) Spectacles with lens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90143263A (en) Lens exchangeable glasser
KR102667165B1 (en) Eyewear
KR20120021660A (en) Mask for blocking out ultraviolet ray
CN209590430U (en) Glasses structure with replaceable frame
KR20230160483A (en) Eyewear
KR200433694Y1 (en) The glass frame in which the replace of the bow on a pair of spectacles is facilitated
KR102001114B1 (en) Eyewear with detachable prescription glasses
JPH07318872A (en) Multifunctional spectacles
KR20230163791A (en) Eyewear with adjustable temples angle and nose support angle
US2613354A (en) Novel type of sunglasses
KR200278805Y1 (en) Hair band type glasses
CN106842616A (en) A kind of transparency and eyeglass for changing eyeglass lens power
KR102121603B1 (en) Custom glasses
EP3647038B1 (en) One-piece eyewear article
JP6924481B2 (en) Multi-function glasses
JP2004109741A (en) Spectacles with frames made of sheet metal
WO2015140739A1 (en) Eyeglass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