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582B1 -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according to frame separation - Google Patents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according to frame sepa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7582B1 KR102497582B1 KR1020210027811A KR20210027811A KR102497582B1 KR 102497582 B1 KR102497582 B1 KR 102497582B1 KR 1020210027811 A KR1020210027811 A KR 1020210027811A KR 20210027811 A KR20210027811 A KR 20210027811A KR 102497582 B1 KR102497582 B1 KR 1024975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frame
- upper frame
- fixing
- eyew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를 제공한다. 렌즈의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상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상단 프레임,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하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단 프레임,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부 삽입부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렌즈다리를 포함한다.Eyewear with interchangeable lenses is provided.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includes 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unit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lens unit, and an upper insertion unit formed as an empty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lens unit. An upper frame including an upper frame, a lower insertion portion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to the lower end of the lens unit, and formed as an empty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a fixing port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ward the upper end.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frame, a detachable part capable of moving back and forth while penetrating a part of the upper frame, and fixing and separating the fixing part from the upper frame when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upper insertion part. , and lens leg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레임의 분리에 따라 렌즈의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yewear in which a lens can be replaced by separating a frame.
아이웨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고, 굴절률을 조절한 일반적인 안경도 있으나, 투과율을 낮추어 눈부심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제품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글라스 등은 투명한 안경 소재에 착색제 등을 넣거나 빛을 반사하는 소재를 코팅 또는 증착하여 제조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덜 느끼게 하거나,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있다.Eyewea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re are general glasses with an adjusted refractive index, but there are also products that protect the user's eyes from glare or ultraviolet rays by lowering the transmittance. Generally used sunglasses are manufactured by adding a colorant to a transparent glasses material or coating or depositing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so that the user feels less glare or protects the eyes from ultraviolet rays.
이와 같이, 착색이 된 일종의 선글라스와 같은 제품들은 선글라스를 구성하는 일종의 차광렌즈에 의해 많은 양의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밝은 곳에서 착용자가 눈이 부시는 것을 방지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여 눈의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빛의 양을 조절하는 차광렌즈 이외에도 바람이 사용자의 안구로 직접 전달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별도로 착색이 되지 않았거나 약하게만 착색된 렌즈가 적용된 아이웨어를 이용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In this way, products such as a kind of tinted sunglasses prevent the wearer from being dazzled in a bright place by preventing a large amount of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by a kind of shading lens constituting the sunglasses, or blocking ultraviolet rays to prevent damage to the eyes. It can prevent nerve damage.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shading lens that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eyewear with untinted or only slightly tinted lenses is used to prevent win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s eyeball 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being transmitted. There are more and more people.
특히, 군용으로 사용되는 선글라스의 경우 수행하는 작전에 따라 빛을 차광하는 용도로 선글라스가 사용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혹은 단순히 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아이웨어가 사용이 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용도(경우)별로 아이웨어를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각각의 용도별 아이웨어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nglasses used for military purposes, sunglass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being performed, us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ultraviolet rays, or simply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eyes. Eyewear is used, but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eyewear for each use (case) or to carry and replace the eyewear for each use.
따라서, 최근에는 각각의 용도에 맞게 렌즈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이웨어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eyewear that can be used by easily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each purpose.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렌즈를 쉽게 탈부착하여 렌즈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eyewear in which lenses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easily replace lenses.
또한, 렌즈를 쉽게 교체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환경에서도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eyewear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in various environments due to its excellent durability while easily replacing lenses.
또한, 렌즈가 탈부착이 되면서도 안정적으로 렌즈가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아이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eyewear that prevents inconvenience in use by stably preventing the len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while the lens is detachab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상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상단 프레임,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하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단 프레임,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부 삽입부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렌즈다리를 포함한다.Eyewear with replaceable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the upper part of the lens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ens unit,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lens is fixed. An upper frame includ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formed of an empty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insert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to the lower end of the lens unit, and a lower portion formed of an empty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ns A lower frame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ward the upper end, and can be moved back and forth while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when the fixing portion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upper insertion portion, It includes a detachable part for fixing and detaching the fixing part from the upper frame, and lens leg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하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도록 만곡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상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도록 만곡되며, 상기 하부 삽입부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하부측벽, 제 1하부측벽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 및 상기 하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하부측벽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하부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삽입부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상부측벽, 제 1상부측벽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면, 및 상기 상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상부측벽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상부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하단 프레임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중심부로 향할수록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제 1하부측벽은 상기 제 2하부측벽에 비해 상기 하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제 1상부측벽은 상기 제 2상부측벽에 비해 상기 상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is curv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oward the lower end so that the plurality of lenses are inserted, the upper frame is curv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oward the top so that the plurality of lenses are inserted, and the lower insertion part is directed toward the user. A first lower sidewall formed to suppor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a lower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lower sidewall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support surface and the first lower sidewall and a second lower side wall that faces and supports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wherein the upper insertion part is formed in a user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upper side wall supporting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and a first upper part An upper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a side wall to support an upper surface of an inserted lens, and a second upp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upper support surface and facing the first upper side wall to suppor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an inserted lens. However,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have a convex shape so as to move away from the user toward the center, the first lower sidewall has a higher height from the lower support surface than the second lower sidewall, and the first upper sidewal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from the upper support surfa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upper side wall.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 후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의 중앙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부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과 착탈부 사이에서 착탈부의 절곡된 부분을 계지함으로써 고정 및 분리하고, 상기 착탈부가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toward the top,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the fixing part is fixed and separated by holding the bent part of the detachable part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detachable part, and includes an elastic material that allows the detachable part to move back and forth with the fixing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art to do.
또한, 상기 상단 프레임은 상기 아이웨어를 착용하는 사용자 얼굴과 마주하는 면상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프레임 탄력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탄력라인은 상기 착탈부의 좌우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 1 프레임 탄력라인 및 상기 제 1 프레임 탄력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착탈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프레임 탄력라인에 비해 더 거리가 멀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탄력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다리는 상단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타 영역에 비해 X자 형상으로 돌출된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ace of the user wearing the eyewear and further includes a frame elastic line formed by being recessed inward, the frame elastic lin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detachable part a plurality of first frame elastic lines and a second frame elastic line disposed farther apart from the first frame elastic lines and farther than the first frame elastic lines with respect to the detachable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frame 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rength reinforcement portion protruding in an X shape compared to other regions.
또한, 상기 렌즈다리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렌즈다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렌즈다리 탄력라인, 및 상기 렌즈다리 탄력라인과 인접하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다리 탄력라인보다 거리가 먼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다리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의 보강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보강라인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leg is formed at a position farther than the lens leg elastic line adjacent to the lens leg elastic lin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ns leg by being depressed inward and the lens leg elastic line with respect to the upper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lines formed by being recessed inward to intersec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ns leg, wherei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lines ar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하단부로 절곡된 코 받침부 지지대, 및 상기 코 받침부 지지대에 결합되는 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 받침부는 내측에 상기 코 받침부 지지대가 수용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코 받침부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se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toward the user's face and is bent toward the lower portion, and a nose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nos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nose support portion has an inside portion of the nose support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se support part insertion part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is accommodated and coupled and separated.
또한, 상기 렌즈다리의 양 말단에 형성된 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b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ns leg.
또한, 상기 렌즈는 렌즈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상에서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먼 위치의 하단부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 1돌출부 및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제 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은 상기 하부 삽입부의 일부가 상기 렌즈의 상기 제 1돌출부를 내측에 수용하며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하부 삽입부 내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렌즈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제 2돌출부는 상기 하부 삽입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렌즈홈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has a first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outward from a lower end at a position far from the center of the eyewear on an imaginary center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lens and protruding inward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eyewear. A second protrusion, and the lower frame includes a lens groov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lower insertion portion accommodates and surrounds the first protrusion of the lens inside, and penetrates the lower insertion portion of the lower frame. Further,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lens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ens gro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part.
또한, 상기 렌즈는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먼 위치에서 외곽 라인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향하는 제 1경사부, 상기 제 1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경사부에 비해 경사도가 더 낮은 제 2경사부 및 상기 제 2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경사부와 다른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제 3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2경사부 및 상기 제 3경사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has a first inclined part having an outer lin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at a position far from the center of the eyewear, and a second incline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art and having a low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inclined part. and a third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incli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partitioned b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third inclined portion. can be done with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은 양 말단에 돌출하여 형성된 하단 프레임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양 말단에 함몰되어 형성된 상단 프레임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 고정홈에 계지됨과 동시에 상기 하단 프레임의 고정부가 상기 착탈부에 고정됨에 의해 하단 프레임 및 상단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includes lower frame holders protruding from both ends, and the upper frame includes upper frame fixing grooves formed by being recessed at both ends so that the lower frame holders are accommodated inside, and the lower frame holders The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coupled by being locked in the upper frame fixing groove and simultaneously fixing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frame to the detachable part.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프레임 고정홈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의 갈고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hol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and the upper frame fixing groove may be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hook shape of the lower frame holding portion.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와 연장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에 비해 두께가 더 두꺼우며 단차가 형성되어 구성된 하단 프레임 단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와 마주하여 지지되는 상단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 상부 삽입부에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상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와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는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further includes a lower frame stepp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frame supporting portion,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lower frame supporting portion, and having a stepped structure, and the upper frame is formed with the lower frame stepped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n upper frame support portion supported facing, wherein the lower frame steppe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support portion of the upper frame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 portion of the upper frame, but the upper frame and When the lower frame is coupled, the lower frame stepped portion and the upper frame support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아이웨어는 여러 용도에 맞는 각각의 렌즈를 쉽게 프레임에 탈부착하여 교체함으로써, 여러 용도의 아이웨어를 각각 소지하지 않고 여러 용도의 렌즈를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용도의 아이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The eye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each lens suitable for various purposes from the frame and replace it, so that eyewear for various purposes can be used just by having lenses for various purposes without possessing each eyewear for various purposes. can
또한, 렌즈를 쉽게 교체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환경에서도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in various environments due to excellent durability while easily replacing lenses.
또한, 렌즈가 탈부착이 되면서도 안정적으로 렌즈가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lens is detach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 in use by stably preventing the len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이웨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이웨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아이웨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아이웨어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의 착탈부를 통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아이웨어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코 받침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의 렌즈가 교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eyewear of Figure 1;
3 is a rear view of the eyewear of FIG. 1;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eyewear of FIG. 1;
5 is a plan view of the eyewear of FIG. 1 viewed from above.
6 and 7 are views showing how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re coupled through a detachable part of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yewear according to FIG. 1 viewed from the rea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se support part is separate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12 to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lacing lenses of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different from one element or component to another.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with elements or components.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아이웨어(eyewear)라 함은 스포츠 글라스, 선글라스, 보안경, 일반 안경 등 눈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렌즈가 있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mean products that are worn on the eyes and have lens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yes of the user, such as sports glasses, sunglasses, safety glasses, and general glass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 1의 아이웨어의 정면도가, 도 3에는 도 1의 아이웨어의 배면도가, 도 4에는 도 1의 아이웨어의 좌측면도가, 그리고 도 5에는 도 1의 아이웨어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eyewear of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the eyewear of FIG. 1, FIG. 4 is a left view of the eyewear of FIG. 1, and FIG. 5 is the eyewear of FIG. 1. A plan view from above is shown.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는 복수의 렌즈(300)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300)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300) 상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130)를 포함하는 상단 프레임(100),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300)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300) 하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230),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250)를 포함하는 하단 프레임(200),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200)의 상기 고정부(250)가 상기 상부 삽입부(130)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250)를 상기 상단 프레임(100)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400) 및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렌즈다리(700)를 포함한다.1 to 5,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렌즈부는 복수의 렌즈(300)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3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유리 또는 그 밖의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렌즈(300)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적용되는 분리형이며, 상기 상단 프레임(100) 및 하단 프레임(200) 사이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상기 렌즈(300)는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을 분리한 후 각각 다른 렌즈로 교체할 수 있다.The lens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렌즈(2300)는 예를 들어, 태양광 중 일부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을 낮추어 눈부심을 방지하거나, 자외선 파장대 영역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안구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차광렌즈는 광 투과율을 낮추는 편광렌즈이거나, 착색염료가 포함된 렌즈이거나, 포토크로믹 렌즈 등일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렌즈(300)의 외측 부분에는 스크레치 방지를 위해 하드코팅이 되어 있거나, 안티포그(Anti-Fog: AF)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렌즈(300)는 특정 도수가 있는 도수렌즈 일 수 있고, 별도의 도수가 없고, 착색염료가 소량 포함되거나 거의 포함되지 않는 상태의 렌즈일 수 있다. 또한, 내충격성이 강화된 강화렌즈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아이웨어는 여러 형태의 렌즈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s 2300 may prevent glare by lowering the transmittance of a part of the visible ray region of sunlight or protect the user's eye cells from being damaged by blocking light in the ultraviolet wavelength range region. The light-shielding lens may be a polarizing lens that lowers light transmittance, a lens containing a colored dye, or a photochromic len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군용으로 사용되는 아이웨어의 경우 수행하는 작전에 따라 빛을 차광하는 용도로 선글라스로 사용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혹은 외부 인자로부터 단순히 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아이웨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용도(경우) 별로 아이웨어를 교체하여 사용하려면 각각의 용도별 아이웨어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본 발명의 경우 렌즈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각각의 용도에 맞는 렌즈를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여러 용도의 아이웨어를 소지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In the case of eyewear used for military purposes, i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eing used as sunglasses to block light depending on the operation being performed, to block ultraviolet rays, or to simply protect the eyes from external factors. Eyewear is used accordingly. To change and use the eyewear for each of these purposes (cases),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nd replace the eyewear for each purpose,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es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Just having lenses can produce the same effect as having eyewear for multiple purposes.
상기 상단 프레임(100)은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300)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상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130)를 포함하고, 하단 프레임(200)은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300)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하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230),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렌즈(300)는 상단 프레임(100)의 상부 삽입부(130)와 하단 프레임(200)의 하부 삽입부(230) 내측에 삽입되면서,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이 결합됨에 의해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의 결합은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중심부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200)의 상기 고정부(250)가 상기 상부 삽입부(130)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250)를 상기 상단 프레임(100)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하단 프레임(200)의 고정부(250)는 상단 프레임(100)의 중심부에서 상부 삽입부(130)에 삽입될 수 있고, 상단 프레임(100)을 관통하는 착탈부(400)에 의해 계지됨으로써,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고, 착탈부(400)를 다시 이동함으로써,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을 분리할 수 있다.The combination of the
상기 렌즈다리(700)는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접거나 필 수 있다. 렌즈다리(700)는 사용자의 귀에 아이웨어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플라스틱 수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하단 프레임(200)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하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300)가 삽입되도록 만곡되고, 상기 상단 프레임(100)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상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300)가 삽입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즉 렌즈(300)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렌즈(3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단 프레임(100)이 상측으로 만곡되고, 하단 프레임(200)이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렌즈(300)가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에 결합된 후 안정적으로 프레임 내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하부 삽입부(230)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하부측벽(210), 제 1하부측벽(220)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3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 및 상기 하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하부측벽(210)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300)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하부측벽(2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삽입부(130)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300)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상부측벽(110), 제 1상부측벽(110)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면, 및 상기 상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상부측벽(110)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300)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상부측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하부 삽입부(230)는 제 1하부측벽(210), 하부지지면, 제 2하부측벽(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렌즈(30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고, 상부 삽입부(130)는 제 1상부측벽(110), 상부지지면, 제 2상부측벽(1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렌즈(30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200) 및 상기 상단 프레임(100)은 중심부로 향할수록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제 1하부측벽(210)은 상기 제 2하부측벽(220)에 비해 상기 하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제 1상부측벽(110)은 상기 제 2상부측벽(120)에 비해 상기 상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이웨어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심 부분이 바깥쪽으로 만곡하도록 하단 프레임(200) 및 상단 프레임(100)이 만곡될 수 있고, 제 1하부측벽(210)이 제 2하부측벽(220)에 비해 높이가 높으면서, 제 1상부측벽(110)이 제 2상부측벽(120)에 비해 높이가 더 높음으로써, 렌즈가 사용자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하부측벽(220)과 제 2상부측벽(120)에 의해 사용자 방향으로 일종의 지지벽을 형성하여 렌즈(300)가 사용자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렌즈(300) 교체시에는 사용자의 바깥쪽 방향으로 렌즈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특히, 군용으로 사용되는 아이웨어의 경우 사용되는 환경이 활동적인 경우가 많아 렌즈의 이탈이 쉽게 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제 2하부측벽(220)과 제 2상부측벽(120)에 의해 렌즈(300)의 일 측면을 지지하고, 프레임의 만곡된 형상과, 렌즈의 만곡된 형상에 의해 렌즈 교체가 쉬우면서도 아이웨어의 사용시에는 렌즈의 이탈이 쉽게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yewear used for military purposes,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used is often active, so the lens can be easily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lens is separated by the second
한편, 상기 상단 프레임(100)은 상기 아이웨어를 착용하는 사용자 얼굴과 마주하는 면상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프레임 탄력라인(115, 1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탄력라인은 상기 착탈부(400)의 좌우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 1 프레임 탄력라인(116) 및 상기 제 1 프레임 탄력라인(116)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착탈부(40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프레임 탄력라인(116)에 비해 더 거리가 멀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탄력라인(115)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다리(700)는 상단 프레임(100)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타 영역에 비해 X자 형상으로 돌출된 강도보강부(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프레임 탄력라인(115, 116)에 의해 아이웨어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아이웨어의 상단 프레임(100)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30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상단 프레임(100)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프레임 탄력라인(116) 및 제 2프레임 탄력라인(115)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상단 프레임(100) 전체에 탄력을 부여하면서도 프레임 전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제 1프레임 탄력라인(116) 및 제 2프레임 탄력라인(115)에 의해 상단 플레임(100)의 프레임 탄력라인(115, 116)이 존재하는 부분의 단면은 일종의 ㄷ자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 무게를 줄이면서도 프레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entire eyewear by the
상기 렌즈다리(700)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렌즈다리(7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렌즈다리 탄력라인(715), 및 상기 렌즈다리 탄력라인(715)과 인접하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다리 탄력라인(715)보다 거리가 먼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다리(70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의 보강라인(7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보강라인(72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상기 렌즈다리 탄력라인(715)은 렌즈다리(700)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렌즈다리(700)의 탄력 및 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웨어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활동량이 많은 경우 아이웨어의 렌즈다리에 파손이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할 수 있는데, 렌즈다리 탄력라인(715)에 의해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강라인(72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렌즈다리(70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렌즈다리(700)의 파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lens
한편, 도 6 및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웨어의 착탈부를 통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6 and 7 show a more detailed view showing how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coupled through the detachable part of the eye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착탈부(400)를 통해 하단 프레임(200)의 고정부(250)가 착탈부(400)에 결합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250)는 상기 하단 프레임(200)의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 후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착탈부(400)는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중앙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250)가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상부 삽입부(130)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250)를 상기 상단 프레임(100)과 착탈부(400) 사이에서 착탈부(400)의 절곡된 부분을 계지함으로써 고정 및 분리하고, 상기 착탈부(400)가 상기 고정부(250)를 사이에 두고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물질은 예를 들어, 탄성 및 복원력이 있는 스프링(sp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description of the form in which the fixing
착탈부(400)는 외부로 노출되어 버튼 형식으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버튼부(470), 상기 버튼부(470)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250)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중심축(460) 및 상기 중심축(460)에서 연장되면서 중심축(460)에 비해 폭이 더 넓음으로써, 상기 고정부(250)를 계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계지면(41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50)가 착탈부(400)에 결합될 때, 상기 착탈부(400)의 계지면(410)이 착탈부(400)의 일 면을 계지함으로써,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을 서로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착탈부(400)의 버튼부(470)를 외부에서 눌러서 계지면(410)이 뒤로 이동하게 한 후 상기 하단 프레임(200)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탈부(400)를 누르는 것 만으로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을 쉽게 분리하여 렌즈(300)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렌즈 교체가 완료되면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원하지 않게 렌즈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도 8에는 도 1에 따른 아이웨어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코 받침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yewear according to FIG. 1 viewed from the rear, and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se support portion is separated is shown. In addi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단 프레임(200)의 중심부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하단부로 절곡된 코 받침부 지지대(260), 및 상기 코 받침부 지지대(260)에 결합되는 코 받침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 받침부(600)는 내측에 상기 코 받침부 지지대(260)가 수용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코 받침부 삽입부(6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 받침부(600)가 이물이나 땀에 의해 오염이 되는 경우 해당 코 받침부(600)만 분리하여 세척 후 재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하단부로 절곡된 코 받침부 지지대(260)와 이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코 받침부의 코 받침부 삽입부(610)에 의해 코 받침부(600)가 결합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활동량이 많은 사용자가 사용시 원하지 않게 코 받침부(6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8 and 9, a
한편, 상기 렌즈다리(700)의 양 말단에 형성된 결합홀(73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고정밴드(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800)는 요철(凹凸) 결합을 통해 렌즈다리(700)의 결합홀(730)에 고정밴드(800)의 결합부를 결합함으로써, 렌즈다리(700)에 고정될 수 있고, 아이웨어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얼굴에서 아이웨어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활동량이 많은 경우에도 아이웨어를 안정적으로 착용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또한, 상기 렌즈다리(700)와 상단 프레임(100)의 결합은 비제한적으로 렌즈다리 결합홀(710)과 상단 프레임(100)의 홀(미도시)에 결합핀(10)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아이웨어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아이웨어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0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1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도 10 및 11과 다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아이웨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렌즈는 렌즈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상에서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먼 위치의 하단부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 1돌출부(310) 및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제 2돌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200)은 상기 하부 삽입부(230)의 일부가 상기 렌즈의 상기 제 1돌출부(310)를 내측에 수용하며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200)의 상기 하부 삽입부(230) 내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렌즈홈(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제 2돌출부(320)는 상기 하부 삽입부(230)에 삽입되면서, 상기 렌즈홈(240)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and again to FIG. 9, the eye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lens extends from the lower end at a position far from the center of the eyewear on an imaginary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lens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상기 렌즈(300)의 제 1돌출부(3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렌즈(300)는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먼 위치에서 외곽 라인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향하는 제 1경사부, 상기 제 1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경사부에 비해 경사도가 더 낮은 제 2경사부 및 상기 제 2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경사부와 다른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제 3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돌출부(310)는 상기 제 2경사부 및 상기 제 3경사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제 1돌출부(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하단 프레임(2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돌출부(310)는 렌즈(300)가 하단 프레임(200)의 삽입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렌즈(30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렌즈의 제 1돌출부(310)에 의해 렌즈(300)가 하단 프레임(20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ding
또한, 렌즈의 제 2돌출부(320)가 하단 프레임에 관통되어 형성된 렌즈홈(240)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렌즈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렌즈(300)를 교체하는 과정은 하단 프레임(200)에 먼저 렌즈(300)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돌출부(310) 및 제 2돌출부(320)에 의해 하단 프레임(200) 상에 렌즈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제 2돌출부(320)가 렌즈홈(24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특정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렌즈(300)가 하단 프레임(200)의 하부 삽입부(2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렌즈(300)를 하단 프레임(200)에 삽입하는 방식은 제 1돌출부(310) 부분을 먼저 하단 프레임(200)의 하부 삽입부(230)에 넣은 뒤, 제 1돌출부(310)에 비해 더 첨예한 제 2돌출부(320) 부분을 중심부에 위치하는 렌즈홈(240)에 끼워맞춤으로써 하단 프레임(200)의 하부 삽입부(230)에 완전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상기 하단 프레임(200)은 양 말단에 돌출하여 형성된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100)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양 말단에 함몰되어 형성된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는 상기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에 계지됨과 동시에 상기 하단 프레임의 고정부(250)가 상기 착탈부(400)에 고정됨에 의해 하단 프레임(100) 및 상단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50)와 착탈부(400)에 의해서만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경우 원치 않는 외력에 의해 쉽게 프레임이 분리될 수 있는데, 상기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에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를 계지하면서(거치하면서) 결합함으로써, 프레임의 양단과 중심부분에서 힘을 분산하여 프레임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의 갈고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를 상단 프레임(100)의 양단에 형성된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에 계지하고, 이후에 고정부(250)를 착탈부에 결합함으로써,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이 견고하게 결합되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하단 프레임(200)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와 연장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에 비해 두께가 더 두꺼우며 단차가 형성되어 구성된 하단 프레임 단턱부(2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100)은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290)와 마주하여 지지되는 상단 프레임 지지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290)는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상부 삽입부(130)에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100)의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19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상단 프레임(100)과 상기 하단 프레임(200)이 결합되면,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290)와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190)는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가 적정 수준까지만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290)와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190)에 의해 일정부분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가 삽입된 이후에는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리한 힘에 의해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290)와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190)에 의해 하단 프레임(100)의 고정부(250)가 착탈부(400)가 형성된 방향으로 바르게 올라가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12 내지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의 렌즈가 교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S. 12 to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exchanging lenses of eyewear capable of exchanging len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17을 순차적으로 참조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들에 대해서는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도 12와 같이 제 1렌즈(300-A)가 장착되어 있는 아이웨어를 사용자가 사용한 후 도 13과 같이, 착탈부(400)를 누름으로써, 고정부(250)를 착탈부(400)에서 분리하여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의 중심 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와 같이,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의 양단부에서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를 상단 프레임(100)의 상부 삽입부(130) 내에서 분리함으로써,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을 완전히 분리한 경우에도 제 1렌즈(300-A)는 제 1돌출부(310) 및 제 2돌출부(320)가 하부 삽입부(230) 내측 및 렌즈홈(240)에 고정됨으로써, 특별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프레임(100)과 하단 프레임(200)을 분리하더라도 렌즈가 외부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sequentially to FIGS. 12 to 17 and referring again to FIG. 11 for each specific configuration, first, as shown in FIG. 12, after the user uses the eyewear on which the first lens 300-A is mounted, FIG. As such, by pressing the
다음으로, 외력을 가하여 도 15와 같이 제 1렌즈(300-A) 각각을 하단 프레임(2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다시 교체를 원하는 제 2렌즈(300-B)를 하단 프레임(200)의 하부 삽입부(230)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 2렌즈(300-B)는 제 2렌즈(300-B)의 제 1돌출부(310)를 먼저 하단 프레임(200)의 하부 삽입부(230) 내측에 삽입한 후 제 2돌출부(320)를 렌즈홈(240)에 끼워맞춰 고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도 16과 같이,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를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의 양단에 삽입하여 거치한 후 하단 프레임(200)의 중심부를 상단 프레임(100) 방향으로 올려 고정부(250)가 착탈부(4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를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의 양단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하단 프레임 단턱부(290)와 상단 프레임 지지부(190)에 의해 적절한 수준으로만 하단 프레임 거치부(270)가 상단 프레임 고정홈(180)에 삽입되도록 하면서도, 하단 프레임(100)의 고정부(250)가 착탈부(400)가 형성된 방향으로 바르게 올라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Next, each of the first lenses 300-A may be separated from the
결국,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 17과 같이 제 1렌즈(300-A)에서 제 2렌즈(300-B)로 렌즈의 구성이 변경된 아이웨어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들에 의해 여러 용도의 렌즈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렌즈 교체를 쉽게 하면서도 렌즈 교체 과정에서 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렌즈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렌즈가 외부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의 결합과 분리가 보다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Eventually,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first lens 300-A and the second lens 300-B can be replaced with eyewear having a changed len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7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durability while facilitating lens replacement for various purposes by the above configurations.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ame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lens while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lens, and to prevent the lens from being easily separated to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lens, thereby enabling stable replacement. In addition,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can be made more stable and effectiv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person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결합핀
100: 상단 프레임
110: 제 1상부측벽
115: 제 2 프레임 탄력라인
116: 제 1 프레임 탄력라인
117: 강도보강부
120: 제 2상부측벽
130: 상부 삽입부
180: 상단 프레임 고정홈
190: 상단 프레임 지지부
200: 하단 프레임
210: 제 1하부측벽
220: 제 2하부측벽
230: 하부 삽입부
235: 하단 프레임에서 렌즈의 제 1돌출부를 수용하는 부분
240: 렌즈홈
250: 고정부
251: 고정부의 절곡된 부분
260: 코 받침부 지지대
270: 하단 프레임 거치부
290: 하단 프레임 단턱부
300: 렌즈
300-A: 제 1렌즈
300-B: 제 2렌즈
310: 렌즈의 제 2돌출부
320: 렌즈의 제 1돌출부
400: 착탈부
500: 탄성부
600: 코 받침부
610: 코 받침부 삽입부
700: 렌즈다리
710: 렌즈다리 결합홀
715: 렌즈다리 탄력라인
720: 렌즈다리 보강라인
730: 고정밴드 결합홀
800: 고정밴드
830: 고정밴드 결합부10: coupling pin
100: upper frame
110: first upper side wall
115: second frame elastic line
116: first frame elastic line
117: strength reinforcement part
120: second upper side wall
130: upper insertion part
180: upper frame fixing groove
190: upper frame support
200: lower frame
210: first lower sidewall
220: second lower sidewall
230: lower insertion part
235: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rotrusion of the lens in the lower frame
240: lens home
250: fixing part
251: bent part of fixing part
260: nose support
270: lower frame holder
290: lower frame step
300: lens
300-A: 1st lens
300-B: 2nd lens
310: second projection of the lens
320: first protrusion of the lens
400: detachable part
500: elastic part
600: nose support
610: nose support insert
700: lens leg
710: lens leg coupling hole
715: lens leg elastic line
720: lens leg reinforcement line
730: fixed band coupling hole
800: fixed band
830: fixed band coupling part
Claims (12)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상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상단 프레임;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하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단 프레임;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부 삽입부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렌즈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는 렌즈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상에서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먼 위치의 하단부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 1돌출부 및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한 제 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은 상기 하부 삽입부의 일부가 상기 렌즈의 상기 제 1돌출부를 내측에 수용하며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하부 삽입부 내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렌즈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제 2돌출부는 상기 하부 삽입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렌즈홈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 upper frame includ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nd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the len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 lower insertion portion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ward the upper portion;
a detachable part that penetrates a part of the upper frame and is movable back and forth, and fixes and separates the fixing part from the upper frame when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upper insertion part; and
Including; lens leg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The lens has a first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outward from a lower end at a position far from the center of the eyewear on an imaginary center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lens,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eyewear. including,
The lower frame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insertion portion accommodates and surrounds the first protrusion of the lens inside,
The lens replacement further comprises a lens groove formed through the lower insertion part of the lower frame,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lens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ens gro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part. Eyewear available.
상기 하단 프레임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하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도록 만곡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상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도록 만곡되며,
상기 하부 삽입부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하부측벽, 제 1하부측벽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 및 상기 하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하부측벽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하부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삽입부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상부측벽, 제 1상부측벽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면, 및 상기 상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상부측벽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상부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하단 프레임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중심부로 향할수록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제 1하부측벽은 상기 제 2하부측벽에 비해 상기 하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제 1상부측벽은 상기 제 2상부측벽에 비해 상기 상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frame is curv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oward the lower end to insert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upper frame is curv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oward the top to insert the plurality of lenses,
The lower inser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lower sidewall that is formed toward the user and supports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to be inserted, a lower support surface that extends from the first lower sidewall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to be inserted, and extends from the lower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lower sidewall that faces the first lower sidewall and supports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The upper insertion part includes a first upper side wall supporting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an inserted lens formed in a user direction, an upper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upper side wall and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an inserted lens,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upper side wall that extends from and faces the first upper side wall and supports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It has a convex shape so as to move away from the user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he first lower sidewall has a higher height from the lower support surface than the second lower sidewall,
The first upper sidewall has a higher height from the upper support surface than the second upper sidewall.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상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상단 프레임;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하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단 프레임;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부 삽입부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렌즈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하단 프레임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하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도록 만곡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상단을 향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도록 만곡되며,
상기 하부 삽입부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하부측벽, 제 1하부측벽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면, 및 상기 하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하부측벽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하부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삽입부는 사용자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1상부측벽, 제 1상부측벽에서 연장되어 삽입되는 렌즈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면, 및 상기 상부지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상부측벽과 대향하며 삽입되는 렌즈의 외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 2상부측벽을 포함하되,
상기 하단 프레임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중심부로 향할수록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제 1하부측벽은 상기 제 2하부측벽에 비해 상기 하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고,
상기 제 1상부측벽은 상기 제 2상부측벽에 비해 상기 상부지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더 높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 후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의 중앙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부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과 착탈부 사이에서 착탈부의 절곡된 부분을 계지함으로써 고정 및 분리하고,
상기 착탈부가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 upper frame includ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nd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the len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 lower insertion portion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ward the upper portion;
a detachable part that penetrates a part of the upper frame and is movable back and forth, and fixes and separates the fixing part from the upper frame when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upper insertion part; and
Including; lens leg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The lower frame is curv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oward the lower end to insert the plurality of lenses, and the upper frame is curved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oward the top to insert the plurality of lenses,
The lower inser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lower sidewall that is formed toward the user and supports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to be inserted, a lower support surface that extends from the first lower sidewall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to be inserted, and extends from the lower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lower sidewall that faces the first lower sidewall and supports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The upper insertion part includes a first upper side wall supporting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an inserted lens formed in a user direction, an upper support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upper side wall and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an inserted lens,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upper side wall that extends from and faces the first upper side wall and supports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ed lens,
It has a convex shape so as to move away from the user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he first lower sidewall has a higher height from the lower support surface than the second lower sidewall,
The first upper side wall has a higher height from the upper support surface than the second upper side wall,
The fixing par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toward the top, then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plurality,
The detachable part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when the fix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art of the upper frame, the fixing part is fixed and separated by holding the bent part of the detachable part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detachable part,
The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par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art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that enables the movement back and forth with the fixing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상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상단 프레임;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하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단 프레임;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부 삽입부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렌즈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 프레임은 아이웨어를 착용하는 사용자 얼굴과 마주하는 면상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프레임 탄력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탄력라인은 상기 착탈부의 좌우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 1 프레임 탄력라인 및 상기 제 1 프레임 탄력라인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착탈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프레임 탄력라인에 비해 더 거리가 멀리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탄력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다리는 상단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타 영역에 비해 X자 형상으로 돌출된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 upper frame includ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nd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the len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 lower insertion portion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ward the upper portion;
a detachable part that penetrates a part of the upper frame and is movable back and forth, and fixes and separates the fixing part from the upper frame when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upper insertion part; and
Including; lens leg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The upper frame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ace of the user wearing eyewear and further includes a frame elastic line formed by being depressed inward,
The frame elastic lin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first frame elastic lines and the first frame elastic lin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tachable and detachable part, and has a greater distance than the first frame elastic line with respect to the attachable and detachable part. Including a second frame elastic line disposed far away,
The lens leg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frame and includes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in an X shape compared to other areas.
상기 렌즈부의 상단에 상기 렌즈의 상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상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상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상단 프레임;
상기 렌즈부의 하단에 상기 렌즈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렌즈 하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된 하부 삽입부, 및 중심부에서 상단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단 프레임;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상부 삽입부의 일부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하는 착탈부;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렌즈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다리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렌즈다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렌즈다리 탄력라인, 및
상기 렌즈다리 탄력라인과 인접하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다리 탄력라인보다 거리가 먼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다리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복수의 렌즈다리 보강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보강라인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an upper frame includ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ing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nd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ens;
a lower fram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the len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s portion, a lower insertion portion formed as an empty space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and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oward the upper portion;
a detachable part that penetrates a part of the upper frame and is movable back and forth, and fixes and separates the fixing part from the upper frame when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upper insertion part; and
Including; lens leg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The lens leg is recessed inward, and the lens leg elastic lin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ns leg, and
A plurality of lens leg reinforcement lines formed adjacent to the lens leg elastic line and formed farther from the lens leg elastic line with respect to the upper frame and recessed inward to cros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ns leg Including mo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lines are lens replaceable eyewea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하단부로 절곡된 코 받침부 지지대, 및
상기 코 받침부 지지대에 결합되는 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 받침부는 내측에 상기 코 받침부 지지대가 수용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코 받침부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ccording to claim 1,
A nose support support tha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toward the user's face and is bent toward the lower end, and
Further comprising a nose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nose support portion support,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s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nose support portion insertion portion that allows the nose support portion support to be accommodated on the inside and coupled and separated.
상기 렌즈다리의 양 말단에 형성된 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ccording to claim 1,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b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ns leg.
상기 렌즈는 상기 아이웨어의 중심에서 먼 위치에서 외곽 라인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향하는 제 1경사부, 상기 제 1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경사부에 비해 경사도가 더 낮은 제 2경사부 및 상기 제 2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경사부와 다른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제 3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2경사부 및 상기 제 3경사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includes a first inclined part having an outer lin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at a position far from the center of the eyewear, a second incline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art and having a low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inclined part, and the A third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incli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inclined portion,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divided b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third inclined portio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lenses.
상기 하단 프레임은 양 말단에 돌출하여 형성된 하단 프레임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양 말단에 함몰되어 형성된 상단 프레임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 고정홈에 계지됨과 동시에 상기 하단 프레임의 고정부가 상기 착탈부에 고정됨에 의해 하단 프레임 및 상단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mount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The upper frame includes an upper frame fixing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at both ends so that the lower frame hold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lower frame holding part is locked in the upper fram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part of the lower frame is fixed to the detachable part so that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combined.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프레임 고정홈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의 갈고리를 수용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ccording to claim 10,
The lower frame holder is formed in a hook shape,
The eyewear capable of replacing len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rame fixing groove is formed by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the hook of the lower frame holder.
상기 하단 프레임은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와 연장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 거치부에 비해 두께가 더 두꺼우며 단차가 형성되어 구성된 하단 프레임 단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와 마주하여 지지되는 상단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 상부 삽입부에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상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하단 프레임 단턱부와 상기 상단 프레임 지지부는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교체가 가능한 아이웨어.According to claim 10,
The lower frame further includes a lower frame stepp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frame supporting portion,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lower frame supporting portion, and having a step formed therein,
The upper frame further includes an upper frame support portion supported facing the lower frame stepped portion,
The lower frame stepped portion is not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upper insertion portion,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support portion of the upper frame,
Wh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coupled, the lower frame stepped portion and the upper frame support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7811A KR102497582B1 (en) | 2021-03-03 | 2021-03-03 |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according to frame sepa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7811A KR102497582B1 (en) | 2021-03-03 | 2021-03-03 |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according to frame sepa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4340A KR20220124340A (en) | 2022-09-14 |
KR102497582B1 true KR102497582B1 (en) | 2023-02-15 |
Family
ID=8327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7811A KR102497582B1 (en) | 2021-03-03 | 2021-03-03 |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according to frame sepa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75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6230B1 (en) * | 2022-10-26 | 2024-02-14 | 김용희 | Glasses for batt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0634Y2 (en) * | 1991-08-23 | 1996-09-18 | 株式会社アックス | Goggle combined sunglasses |
KR101620203B1 (en) * | 2014-10-13 | 2016-05-23 | 김응철 | A goggle |
KR102087621B1 (en) * | 2019-09-18 | 2020-03-11 | 주식회사 스포컴 | Eyewear with detachable lens |
KR102128962B1 (en) * | 2019-06-10 | 2020-07-08 | (주)시선 | Glasses with foreign substance blocking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9013B1 (en) * | 2012-07-17 | 2014-12-04 | 주식회사 오토스윙 | Protective glasses |
KR102068289B1 (en) * | 2018-06-20 | 2020-01-20 | 남희정 | Lens exchangeable glasser |
KR101947331B1 (en) | 2018-10-31 | 2019-02-12 | 박영보 | A goggles for sport |
-
2021
- 2021-03-03 KR KR1020210027811A patent/KR1024975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0634Y2 (en) * | 1991-08-23 | 1996-09-18 | 株式会社アックス | Goggle combined sunglasses |
KR101620203B1 (en) * | 2014-10-13 | 2016-05-23 | 김응철 | A goggle |
KR102128962B1 (en) * | 2019-06-10 | 2020-07-08 | (주)시선 | Glasses with foreign substance blocking function |
KR102087621B1 (en) * | 2019-09-18 | 2020-03-11 | 주식회사 스포컴 | Eyewear with detachable le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4340A (en) | 2022-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25919B2 (en) | Eyewear having lens retaining member | |
KR102087621B1 (en) | Eyewear with detachable lens | |
KR102497582B1 (en) | Eyewear with replaceable lens according to frame separation | |
US9851587B2 (en) | Eyeglass accessory | |
KR20240037231A (en) | Side shield for glasses | |
CN102439510A (en) | Safety eyewear | |
CN111684338B (en) | Flexible spectacle assembly and flexible part of spectacles | |
KR102498754B1 (en) | Eyewear with adjustable temples angle and detachable the temple | |
KR100969571B1 (en) | Glasses for watching 3d image | |
KR102667165B1 (en) | Eyewear | |
US2840821A (en) | Side shield attachment for goggles and spectacles | |
US4666266A (en) | Eyeglasses having lens storage means | |
KR20120001964U (en) | 3d glasses | |
WO2012044142A1 (en) | Glasses | |
US11960151B2 (en) | Eyewear with engageable protective shield | |
US6984036B1 (en) |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 |
KR102313737B1 (en) | Gogle with ventilation hole and detachable bend | |
KR20220002437U (en) | Single-lens glass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 |
US5818565A (en) | Eyeglasses with sunshade | |
KR101947331B1 (en) | A goggles for sport | |
KR102068289B1 (en) | Lens exchangeable glasser | |
KR200483592Y1 (en) | Sunglasses that can be worn over regular glasses | |
KR102001114B1 (en) | Eyewear with detachable prescription glasses | |
KR101961352B1 (en) | Detachable sunglasses for eyeglasses | |
CN217360477U (en) | Eye protection glasses with refractive correc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