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818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818A
KR20230167818A KR1020220067925A KR20220067925A KR20230167818A KR 20230167818 A KR20230167818 A KR 20230167818A KR 1020220067925 A KR1020220067925 A KR 1020220067925A KR 20220067925 A KR20220067925 A KR 20220067925A KR 20230167818 A KR20230167818 A KR 20230167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late
main frame
side part
in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수
윤지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818A/ko
Priority to US18/323,108 priority patent/US20230397351A1/en
Priority to EP23176444.0A priority patent/EP4286984A1/en
Publication of KR2023016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왕복 이동하는 무빙 블록을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에 인접하여 상기 리어 커버의 후방에 고정되는 윙 브라켓;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무빙 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리어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상기 윙 브라켓에 피봇 연결되는 윙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왕복 이동하는 무빙 블록을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에 인접하여 상기 리어 커버의 후방에 고정되는 윙 브라켓;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무빙 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리어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상기 윙 브라켓에 피봇 연결되는 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4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 플레이트(120) 또는 프레임(120) 또는 모듈커버(120)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가변 곡률을 지닐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좌우측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화상을 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오목하게 커브드 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한 곡률로 휘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곡률에 대응되어 휘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 모듈(130)은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130F), 리어 브라켓(130R), 그리고 윙 브라켓(131,132)은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130F)은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리어 브라켓(130R)은 프런트 브라켓(130F)의 후방에 위치하고, 프런트 브라켓(130F)과 이격되며, 프런트 브라켓(130F)을 마주할 수 있다.
윙 브라켓(131,132)은 브라켓 프레임(131a,132a), 그리고 윙 홀더(131b,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프레임(131a,132a)은 사각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윙 홀더(131b,132b)는 브라켓 프레임(131a,132a)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윙 홀더(131b,132b)는 브라켓 프레임(131a,132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윙 홀더(131b,132b)는 한쌍일 수 있다. 한쌍의 윙 홀더(131b,132b)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윙 브라켓(131,132)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윙 브라켓(131,132)은 제1 윙 브라켓(131), 그리고 제2 윙 브라켓(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윙 브라켓(131)은 프런트 브라켓(130F) 및/또는 리어 브라켓(130R)에 결합 또는 고정되고, 프런트 브라켓(130F)에 대하여 제2 윙 브라켓(13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윙 브라켓(132)도 프런트 브라켓(130F) 및/또는 리어 브라켓(130R)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윙(141,142)은 블레이드(141a,142a), 넥(141b,142b), 그리고 레버(141c,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윙(141,142)은 금속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윙(141,142)은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블레이드(141a,142a)는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일 수 있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141c,142c) 및 넥(141b,142b)은 블레이드(141a,142a)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넥(141b,142b)은 레버(141c,142c)와 블레이드(141a,142a) 사이에서 레버(141c,142c)와 블레이드(141a,142a)를 연결할 수 있다. 넥(141b,142b)의 너비는 레버(141c,142c)의 너비 보다 작을 수 있고, 레버(141c,142c)의 너비는 블레이드(141a,142a)의 너비 보다 작을 수 있다. 피봇 축(141p,142p)은 넥(141b,142b)에 형성될 수 있다. 피봇 축(141p,142p)은 윙 홀더(131b,132b)에 삽입될 수 있다. 윙(141,142)은 피봇 축(141p,142p) 및 윙 홀더(131b,132b)는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제1 윙(141)은 제1 윙 브라켓(131)에 회동 또는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윙(142)은 제2 윙 브라켓(132)에 회동 또는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윙(141)은 구동 유닛(130)에 대하여 제2 윙(142)과 대칭일 수 있다.
슬라이딩 마운트(151,152)는 플레이트(120)의 후방 또는 후면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마운트(151)는 플레이트(120)의 좌측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마운트(152)는 플레이트(120)의 우측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윙(141)의 말단은 이동 가능하게 제1 슬라이딩 마운트(1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윙(142)의 말단은 이동 가능하게 제2 슬라이딩 마운트(152)에 결합될 수 있다.
플립 프레임(flip frame, 133)은 제1 윙(141)의 레버(141c)와 제2 윙(142)의 레버(142c)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레버들(141c,142c)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립 프레임(133)은 금속일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은 제1 프레임(133a)과 제2 프레임(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33a)은 U형상일 수 있고, 제2 프레임(133b)은 U형상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33a)은 제2 프레임(133b)과 피봇 연결될 수 있다. 피봇 핀(133c)이 제1 프레임(133a)과 제2 프레임(133b)을 관통하여 제1 프레임(133a)과 제2 프레임(133b)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3a)은 제2 프레임(133b)에 대하여 피봇할 수 있고, 제2 프레임(133b)은 제1 프레임(133a)에 대하여 피봇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3a)은 제1 윙(141)의 레버(141c)에 고정되거나 결합할 수 있고, 제2 프레임(133b)은 제2 윙(142)의 레버(142c)에 고정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무빙 블록(134)은 플립 프레임(13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무빙 블록(134)은 플립 프레임(133)의 제1 프레임(133a)과 제2 프레임(133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는 무빙 블록(134)에 삽입될 수 있다. 무빙 블록(134)은 리드 스크류(135)의 회전에 따라서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가 회전 및 역회전하면 무빙 블록(134)은 리드 스크류(135)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는 구동기어(136)에 결합되고, 구동기어(136)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136)는 플레이트(120, 도 2 참조)의 후면에 마주하고 회전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는 구동기어(136)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베어링(B)은 리드 스크류(135)의 일단 및/또는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의 일단은 프런트 베어링(B)에 삽입되어 회전하고, 리드 스크류(135)의 타단은 리어 베어링(B)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 스크류(135)는 프런트 베어링(B) 및 리어 베어링(B)에 압입될 수 있다.
모터(137)는 무빙 블록(134)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137)는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어 박스(138)는 모터(137)의 회전력을 구동기어(136)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어(138a)는 모터(137)의 회전축(137a)에 고정되어 모터(137)의 회전축(137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어(138a)는 웜일 수 있다. 제2 기어(138b)는 제1 기어(138a)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기어(138b)는 웜기어일 수 있다.
제1 기어(138a) 및 제2 기어(138b)는 기어 박스(138)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달기어(138c)는 기어 박스(138)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달기어(138c)는 제2 기어(138b)의 회전축(137a)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기어(138b)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달기어(138c)는 구동기어(136)에 맞물릴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는 구동기어(136)의 회전축일 수 있다. 구동기어(136)는 리드 스크류(135)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기어(136)는 리드 스크류(135)에 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리드 스크류(135)는 축바디(135a)와 스크류(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바디(135a)는 길게 연장된 원기둥일 수 있고, 스크류(135b)는 축바디(135a)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블록(134)은 무빙 바디(134a)와 슬라이딩 블록(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빙 바디(134a)는 금속일 수 있고, 슬라이딩 블록(134b)은 합성수지일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134b)은 무빙 바디(134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134b)은 리드 스크류(135)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는 슬라이딩 블록(134b)에 삽입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블록(134b)은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134b)의 내주면과 리드 스크류(135)의 스크류(135b) 사이에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 블록(134)이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하면서 걸리거나 이동 간에 잠기는(locking)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빙 바디(134a)는 아우터 파트(134a1)와 이너 파트(134a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파트(134a1)는 무빙 바디(134a)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파트(134a2)는 아우터 파트(134a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파트(134a1)는 U형상의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고, 이너 파트(134a2)는 내부 수용공간을 지니는 금속 쉘일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134b)은 이너 파트(134a2)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피봇 핀(133c)은 무빙 바디(134a)의 아우터 파트(134a1)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의 제1 프레임(133a) 및 제2 프레임(133b)은 홀들(133H1,133H2)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 핀(133c)은 제2 프레임(133b)의 홀(133H2) 및 제1 프레임(133a)의 홀(133H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33a)과 제2 프레임(133b) 사이에 디스크(133d)가 위치할 수 있고, 피봇 핀(133c)은 디스크(133d) 홀(133dH)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133d)는 높은 내구성을 지니고, 낮은 마찰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무빙 바디(134a) 및 피봇 핀(133c)과 플립 프레임(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무빙 바디(134a)의 상면과 피봇 핀(133c)의 외면을 덮을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저마찰부재(139) 또는 윤활부재(139)라 칭할 수 있다. 또 중간부재(139)는 스킨부재(139)라 칭할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바디부(139a)와 플랜지부(139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39a)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피봇 핀(133c)은 바디부(139a)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부(139a)는 피봇 핀(133c)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고, 플랜지부(139b)는 무빙 바디(134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낮은 마찰력을 지니는 합성 수지일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저마찰성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부재(139)는 POM아세탈 호모폴리머 소재일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의 제1 프레임(133a) 및 제2 프레임(133b)은 중간부재(139)와 접촉 또는 마찰하며 피봇 핀(133c)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플립 프레임(133)의 제1 프레임(133a)의 홀(133H1)과 피봇 핀(133c)의 간극을 채울 수 있다. 중간부재(139)는 플립 프레임(133)의 제2 프레임(133b)의 홀(133H2)과 피봇 핀(133c)의 간극을 채울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의 제2 프레임(133b)은 중간부재(139) 상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봇 핀(133c)은 플립 프레임(133)에 소음이나 진동 없이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리드 스크류(135)가 회전하면, 무빙 블록(134) 및 플립 프레임(133)은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은 리드 스크류(135)의 길이방향에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의 이동은 제1 윙(141) 및/또는 제2 윙(142)을 피봇축(141P,142P)을 중심으로 피봇 시킬 수 있다.
피봇 핀(133c)으로부터 피봇 축(141P,142P)까지는 제1 거리(D1)는 피봇 축(141P,142P)으로부터 슬라이딩 마운트(151,152)까지의 제2 거리(D2)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1)의 1/4일 수 있다. 윙(141,142)의 레버(141c,142c)가 플립 프레임(133)에 고정되고, 플립 프레임(133)이 피봇 핀(133c)이 움직이면 함께 움직이면서 리드 스크류(135) 상에서 이동하는 무빙 블록(134)의 구동력이 플립 프레임(133)을 통해 윙(141,142)의 레버(141c,142c)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윙(141,142)의 레버(141c,142c)가 플립 프레임(133)에 고정되어 함께 움직여서 제1 거리(D1)가 증가하게 되어, 작은 힘으로 윙(141,142)의 구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유닛(130)의 동력전달 효율이 증가하고, 모터(137)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01)는 제1 파트(101a), 제2 파트(101b), 그리고 제3 파트(101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는 제1 탄성부재(101) 또는 클립(101)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파트(101a)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파트(101b)는 제1 파트(101a)로부터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101c)는 제2 파트(101b)로부터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101c)는 제1 파트(101a)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파트(101a)와 제2 파트(101b)가 형성하는 제1 각도 보다 제2 파트(101b)와 제3 파트(101c)가 형성하는 제2 각도가 클 수 있다.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3 파트(101c)의 길이가 제1 파트(101a)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탄성부재(101)는 금속 판일 수 있고, 탄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101)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결합홀(101H1)은 제1 파트(101a)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01H1)은 복수개일 수 있다. 지지 리브(101R)는 제3 파트(101c)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리브(101R)는 제3 파트(101c)의 연장방향에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리브(101R)는 복수개일 수 있다. 지지 리브(101R)는 제3 파트(101c)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리브(101R)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는 무빙 블록(134)과 윙(141,142)의 레버(141c,142c)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101)의 제1 파트(101a)는 윙(141,142)의 레버(141c,142c)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101)의 제1 파트(101a)는 윙(141,142)의 레버(141c,142c)에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01)의 제3 파트(101c)는 무빙 블록(134)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의 제3 파트(101c)는 무빙 블록(134)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의 제3 파트(101c)는 무빙 바디(134a)의 아우터 파트(134a1) 및/또는 이너 파트(134a2)와 접촉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의 제3 파트(101c)와 접촉하는 무빙 바디(134a)의 아우터 파트(134a1) 및/또는 이너 파트(134a2)는 라운딩될 수 있다. 탄성부재(101)의 제3 파트(101c)에 형성된 지지 리브(101R)는 무빙 블록(134)의 이너 파트(134a2)와 접촉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부재(101)의 각각이 무빙 블록(134)과 제1 윙(141)의 레버(141c) 사이 및 무빙 블록(134)과 제2 윙(142)의 레버(142c)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이 피봇 핀(133c)을 중심으로 플립 또는 피봇 되는 메커니즘에서 무빙 블록(134)의 피봇 핀(133c)과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 도 7 참조)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는 무빙 블록(134)을 일방향으로 푸쉬할 수 있다. 탄성부재(101)는 무빙 블록(134)을 일방향으로 푸쉬하여 무빙 블록(134)의 피봇 핀(133c)이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의 일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 블록(134)이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하는 모든 구간에서 플립 프레임(133)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무빙 블록(134)이 플립 프레임(133)에 힘을 전달하는 메커니즘에서 구성요소들간의 유격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을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02)는 레버부(102a), 지지부(102d,102e), 그리고 코일부(102b,102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02)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02)는 제2 탄성부재(102)라 칭할 수 있다.
레버부(102a)는 U형상으로 굽어진 와이어일 수 있다. 코일부(102b,102c)는 레버부(102a)와 연결될 수 있다. 코일부(102b,102c)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코일부(102b)는 레버부(102a)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코일부(102c)는 레버부(102a)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02d,102e)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지지부(102d)는 제1 코일부(102b)의 말단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지지부(102e)는 제2 코일부(102c)의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102d,102e)가 고정되면, 레버부(102a)는 코일부(102b,102c)를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피봇할 수 있다. 코일부(102b,102c)는 레버부(102a)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02)는 윙 브라켓(132)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02)의 지지부(102d,102e)는 윙 브라켓(132)의 브라켓 프레임(132a)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02)의 레버부(102a)는 윙(142)의 레버(142c)에 지지될 수 있다.
윙(142)은 지지홈(142c2)과 마찰패드(142c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142c2)은 탄성부재(102)의 레버부(102a)의 길이의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찰패드(142c1)는 지지홈(142c2)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찰패드(142c1)는 지지홈(142c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표면이 부드럽게 연마될 수 있다.
윙(141,142)이 윙 브라켓(131,13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면, 윙(141,142)의 피봇 축(141p,142p)과 윙 브라켓(131,132)의 윙 홀더(131b,132b) 사이에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블록(134)이 플립 프레임(133)에 힘을 전달하여 윙(141,142)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굽히는 메커니즘에서 구성요소들간의 유격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윙(141,14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을 향해 탄성부재(102)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을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벤딩시키기 위한 모터(137)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슬라이딩 블록(134b, 도 6 참조)과 리드 스크류(135)의 나사 결합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134b)이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하기 위한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02)가 윙(141,142)을 푸쉬하여 슬라이딩 블록(134b)을 리드 스크류(135)의 일방향으로 밀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을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평편하게 된 상태에서, 모터(137) 및 리드 스크류(135)의 회전력이 해제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평편도가 변할 수 있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평편한 상태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소정의 곡률로 커브드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립 프레임(133)은 홀(133H1,133H2)을 구비할 수 있다. 홀(133H1,133H2)은 플립 프레임(133)의 제1 프레임(133a) 및/또는 제2 프레임(133b)의 말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홀(133H1,133H2)은 장축과 단축을 지니는 장홀(133H1,133H2)일 수 있다. 홀(133H1,133H2)의 장축은 프레임(133)의 길이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홀(133H1,133H2)의 단축은 프레임(133)의 길이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피봇 핀(133c)은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에 삽입되고, 무빙 블록(134)은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블록(134)이 리드 스크류(135)에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편한 상태(도 15 참조)에서 커브드 되면서(도 16 참조) 일정한 곡률로 커브드 될 수 있다(도 17 참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평편한 상태에서 커브드되기 시작할 때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소정의 곡률로 커브드 되었다가 곡률반경이 소정의 곡률반경 보다 더 커지면서 평편해 질 때, 무빙 블록(134)의 이동방향이 변할 수 있다. 즉, 무빙 블록(134)의 시점과 종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편하거나 소정의 곡률로 커브드 될 수 있다.
무빙 블록이 시점 및/또는 종점에서 이동방향을 바꾸는 경우, 피봇 핀(133c)이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에 힘을 가하는 방향이 변할 수 있다. 피봇 핀(133c)이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에 힘을 가하는 방향을 바꾸면서 피봇 핀(133c)과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 사이의 유격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곡률의 변화에 연속성이 깨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의 장축은 플립 프레임(13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각도(theta)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theta)는 윙(141,142, 도 8 참조)의 피봇 축(141p,142p)을 중심으로 윙들(141,142)의 피봇 축(141p,142p)을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무빙 블록(134)의 시점 또는 종점이 형성하는 각도(theta)에 대응될 수 있다.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은 무빙 블록(134)의 시점 또는 종점에 가까워지면서 홀(133H1,133H2)의 장축이 무빙 블록(134)의 윙들(141,142)의 피봇 축(141p,142p)을 연결한 기준선에 대하여 평행해질 수 있다. 피봇 핀(133c)이 이동 방향을 바꾸는 경우, 피봇 핀(133c)의 이동방향은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의 단축방향에 정렬될 수 있다.
피봇 핀(133c)이 이동방향을 바꾸는 순간 피봇 핀(133c)의 이동방향이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의 단축에 정렬되면, 피봇 핀(133c)과 플립 프레임(133)의 홀(133H1,133H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 블록(134)의 이동 및/또는 방향전환에 따라 피봇 핀(133c)이 플립 프레임(133)에 동력 또는 힘을 연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 마운트(151)는 플레이트(120)의 제1 단변(SS1)에 인접하여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마운트(152)는 플레이트(120)의 제2 단변(SS2)에 인접하여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 모듈(130)은 제1 슬라이딩 마운트(151)와 제2 슬라이딩 마운트(152) 사이에 위치하고, 플레이트(1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윙(141)은 일단이 구동 모듈(130)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슬라이딩 마운트(15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윙(141)의 타단은 제1 슬라이딩 마운트(151)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2 윙(142)은 일단이 구동 모듈(130)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슬라이딩 마운트(15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윙(142)의 타단은 제2 슬라이딩 마운트(152)에서 이동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159)는 구동 모듈(1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159)는 구동 모듈(130)의 리어 브라켓(130R, 도 2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PCB기판들이 PCB 플레이트(159)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00)는 구동 모듈(130)의 측면들의 주위에 월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드 커버(300)는 사각 프레임일 수 있다. 백커버(미도시)는 구동 모듈(130)을 덮으며 사이드 커버(300)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윙(141,142)의 말단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의 바디(161)와 바디(161)의 양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돌기(162,16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62,163)는 마찰돌기(162,163) 또는 접촉돌기(162,163)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금속일 수 있다.
바디(161)는 센터 파트와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파트는 윙(141,142)과 마주하거나 중첩될 수 있다. 사이드 파트는 센터 파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윙(141,14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돌기(162,163)는 바디(161)의 사이드 파트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162,163)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162,163)는 프런트 돌기(163)와 리어 돌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바디(161)의 제1 코너(C1) 및/또는 제4 코너(C4)에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바디(161)의 전방으로 프레스 되면서 돌출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돔 또는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바디(161)의 제2 코너(C2) 및/또는 제3 코너(C3)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바디(161)의 후방으로 프레스 되면서 돌출될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돔 또는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프런트 돌기(163)와 이웃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 및 리어 돌기(162)는 바디(161)의 단변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한쌍의 프런트 돌기(163) 및 리어 돌기(162)는 윙(141,142)에 대하여 제1 한쌍의 프런트 돌기(163) 및 리어 돌기(162)와 대향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가이드 커버(170)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가이드 커버(170)에 삽입되고, 가이드 커버(170)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커버(170)는 낮은 마찰력을 지니는 합성 수지일 수 있다. 가이드 커버(170)는 저마찰성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커버(170)는 POM아세탈 호모폴리머 소재일 수 있다.
가이드 커버(170)는 베이스(171), 사이드 레일(172), 그리고 고정판(17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71)는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슬라이드 브라켓(160)과 마주할 수 있다. 사이드 레일(172)은 베이스(171)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레일(172)은 로어 파트(172L)와 어퍼 파트(172U)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파트(172L)는 베이스(17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로어 파트(172L)는 로어 트렌치(172LT)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트렌치(172LT)는 로어 파트(172L)의 상면이 내측으로 길게 함몰되면서 로어 파트(172L)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어 트렌치(172LT)는 하프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의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의 곡률반경은 로어 트렌치(172LT)의 곡률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와 점접촉할 수 있다.
어퍼 파트(172U)는 로어 파트(172L)와 이격되고, 로어 파트(172L)와 마주할 수 있다. 어퍼 파트(172U)와 로어 파트(172L)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갭에 삽입될 수 있다. 어퍼 파트(172U)는 어퍼 트렌치(172UT)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트렌치(172UT)는 어퍼 파트(172U)의 하면이 내측으로 길게 함몰되면서 어퍼 파트(172U)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퍼 트렌치(172UT)는 하프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의 리어 돌기(162)는 어퍼 트렌치(172UT)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리어 돌기(162)의 곡률반경은 어퍼 트렌치(172UT)의 곡률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돌기(162)는 어퍼 트렌치(172UT)와 점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과 가이드 커버(170)가 결합하여 윙(141,142)이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윙(141,142)과 결합을 위한 결합부(161a)와 팸넛(161b) 또는 결합돌기(161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커버(170)는 슬라이딩 마운트(151,152)와 결합을 위한 팸넛(170b) 또는 결합돌기(17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윙(141,142)의 말단에 인접하여 윙 블레이드(141a,142b)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커버(170)는 슬라이딩 마운트(151,152)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가이드 커버(170)에 삽입되고, 가이드 커버(170)에서 윙(141,14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소정의 곡률로 커브드 되었다가 평편하게 되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플레이트(120)의 단변(SS1,SS2)을 향하여 가이드 커버(170)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부드럽게 마찰하면서 로어 트렌치(172LT)에서 이동할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어퍼 트렌치(172UT)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부드럽게 마찰하면서 어퍼 트렌치(172UT)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편평하다가 소정의 곡률로 커브드 되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플레이트(120)의 단변(SS1,SS2)으로부터 구동 모듈(130)을 향하여 가이드 커버(170)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부드럽게 마찰하면서 로어 트렌치(172LT)에서 이동할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어퍼 트렌치(172UT)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부드럽게 마찰하면서 어퍼 트렌치(172UT)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돌기(162,163)와 트렌치(172LT,172UT)가 점접촉을 하면서 마찰이 줄어들고,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윤활제가 불필요하여 메커니즘의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로어 트렌치(172LT)는 제1 경사면(172a)과 제2 경사면(172b)을 포함할 수 있고, 어퍼 트렌치(172UT)는 제3 경사면(172c)과 제4 경사면(17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72a)은 베이스면(LB)에 대하여 제1 각도(theta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경사면(172b)은 베이스면(LB)에 대하여 제2 각도(theta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경사면(172b)은 제1 경사면(172a)과 접할 수 있다.
제3 경사면(172c)은 베이스면(UB)에 대하여 제3 각도(theta3)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경사면(172d)은 베이스면(UB)에 대하여 제4 각도(theta4)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경사면(172d)은 제3 경사면(172c)과 접할 수 있다. 제3 경사면(172c)과 제4 경사면(172d)의 경계는 제1 경사면(172a)과 제2 경사면(172b)의 경계에 대응되거나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경사면(172c)과 제4 경사면(172d)의 경계는 제1 경사면(172a)과 제2 경사면(172b)의 경계와 수직방향에서 동일선상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각도(theta2)는 제1 각도(theta1) 보다 클 수 있다. 제3 각도(theta3)는 제4 각도(theta4) 보다 클 수 있다. 제1 경사면(172a)의 길이는 제2 경사면(172b)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제4 경사면(172d)의 길이는 제3 경사면(172c)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제3 경사면(172c)은 제1 경사면(172a)과 마주할 수 있고, 제2 경사면(172b)은 제4 경사면(172d)과 마주할 수 있다.
도 28을 도 24와 함께 참조하면, 윙(140)이 결합된 슬라이드 브라켓(160)이 가이드 커버(170) 및 슬라이딩 마운트(151,152)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윙(151,152)이 구동 모듈(130)을 중심으로 피봇하여 움직이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가이드 커버(170)에서 윙(1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윙(140)이 평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커브드 시키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제1 경사면(172a)에서 제2 경사면(172b)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윙(140)이 소정의 곡률로 커브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평편하게 하면, 슬라이드 브라켓(160)은 제2 경사면(172b)에서 제1 경사면(172a)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5를 함께 참조하면, 윙(140)이 평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커브드 시키는 동안, 슬라이드 브라켓(160)의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와 접촉을 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를 누르면서 마찰할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어퍼 트렌치(172UT)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거나 어퍼 트렌치(172UT)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윙(140)이 소정의 곡률로 커브드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평편하게 하는 동안, 슬라이드 브라켓(160)의 프런트 돌기(163)는 로어 트렌치(172LT)와 접촉을 하면서 슬라이딩되거나 로어 트렌치(172LT)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리어 돌기(162)는 어퍼 트렌치(172UT)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거나 어퍼 트렌치(172UT)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면, 커브드된 곡률이 소정의 곡률로 정곡률이 되거나 정곡률에 가깝게 될 수 있다.
도 29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모터(137)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리드 스크류(135)가 회전하면서, 플립 프레임(133)이 리드 스크류(13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윙(140)을 피봇 축(141P,142P)을 중심으로 피봇 시킬 수 있다.
윙(140)이 피봇되면, 슬라이딩 마운트(151,152, 도 24 참조) 및 가이드 커버(170)에서 슬라이드 브라켓(160)이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플레이트(120)의 양단변 측을 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커브드 시킬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5)가 역회전하면, 플립 프레임(133)이 리드 스크류(135)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윙(140)을 피봇 축(141P,142P)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피봇 시킬 수 있다.
윙(140)이 반대 방향으로 피봇되면, 슬라이딩 마운트(151,152) 및 가이드 커버(170)에서 슬라이드 브라켓(160)이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플레이트(120) 양단변 측을 당기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평편하게 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 도 2 참조)는 바텀 커버(120,200) 또는 리어 커버(120,200)라 칭할 수 있다. 바텀커버(200)는 메인 프레임(210)과 사이드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은 중앙이 개구된 사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레임(210)은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은 수평부(210H)와 수직부(210V)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210H)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1 참조)의 평면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변(LS1,LS2,SS1,SS2)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210V)는 수평부(210H)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부(210H)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은 제1 장변파트(210LS1), 제2 장변파트(210LS2), 제1 단변파트(210SS1), 그리고 제2 단변파트(210S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변파트(210LS1), 제2 장변파트(210LS2), 제1 단변파트(210SS1), 그리고 제2 단변파트(210SS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도 40 참조). 메인 프레임(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는 방향으로 플렉서블할 수 있다.
사이드 브라켓(220)은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이고, 프레스 되어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브라켓(220)은 복수개일 수 있다. 사이드 브라켓(220)은 평판부(221), 리브 파트(222a,222b,222c), 그리고 서포트 파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파트(222a,222b,222c)는 평판부(221)가 전방으로 프레스 되어 평판부(2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리브 파트(222a,222b,222c)는 제1 리브(222a), 제2 리브(222b), 그리고 연결부(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222a)는 제2 리브(222b)와 나란할 수 있고, 연결부(222c)는 제1 리브(222a)와 제2 리브(222b)의 말단을 연결할 수 있다. 서포트 파트(223)는 평판부(221)로부터 후방으로 프레스 되어 평판부(2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서포트 파트(223)는 메인 프레임(210)의 단변(SS1,SS2)과 장변(LS1,LS2) 사이에 형성되는 코너(C3,C4)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브라켓(220)은 메인 프레임(210)에 체결부재(f)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f)는 스크류일 수 있다.
제1 사이드 브라켓(220)은 메인 프레임(210)의 제1 단변 파트(210SS1)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사이드 브라켓(220)은 메인 프레임(210)의 제2 단변 파트(210SS2)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브라켓(220)은 메인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브라켓(220)은 제1 단변 파트(210SS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사이드 브라켓(220)은 제2 단변 파트(210SS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21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돌기(211)는 메인 프레임(210)의 제1 장변파트(210LS1) 및/또는 제2 장변파트(210LS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1)는 결합부(211)라 칭할 수 있다. 결합돌기(211)는 복수개일 수 있다. 결합돌기(211)는 수평부(210H)에 대하여 수직부(210V)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복수개의 결합돌기(211)는 제1 장변파트(210LS1)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복수개의 결합돌기(211)는 제2 장변파트(210LS2)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복수개의 결합돌기(211)의 개수가 제1 복수개의 결합돌기(211)의 개수 보다 클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접착부재(AD)는 메인 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AD)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접착부재(AD)는 단면 테잎일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탄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AD)는 스펀지일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메인 프레임(210)의 제1 장변 파트(210LS1)의 수평부(210H, 도 31 참조)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메인 프레임(210)의 제2 장변 파트(210LS2)의 결합돌기(211)에 대응하여 결합돌기(21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제1 단변 파트(210SS1) 및/또는 제2 단변 파트(210SS2)의 수평부(210H, 도 31 참조)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메인 프레임(210) 및/또는 사이드 브라켓(220)을 덮으면서 메인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접착부재(AD)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평판부(231), 사이드부(232,233), 그리고 수납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너 플레이트(230)는 금속을 포함하고, 얇은 플레이트일 수 있다.
사이드부(232,233)는 평판부(231)로부터 전방으로 프레스되면서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부(232,233)는 평판부(231)로부터 높아지는 단차를 형성하며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부(232,233)는 사이드 브라켓(220)을 커버할 수 있다.
수납부(234)는 평판부(231)로부터 후방으로 프레스되면서 함몰될 수 있다. 수납부(234)는 평판부(231)로부터 낮아지는 단차를 형성하며 함몰될 수 있다. 수납부(234)는 평판부(231)로부터 복수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평판부(231)와 수납부(234)의 단차가 형성되는 경계를 경계부라 칭할 수 있다.
케이블 홀(SH1,SH2)은 수납부(234)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홀(SH1,SH2)은 수납부(23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홀(SH1)은 이너 플레이트(231)의 좌측에서 제1 거리(D1)에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SH2)은 이너 플레이트(230)의 우측에서 제1 거리(D1)에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H1,H2,H3,H4)이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판부(23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H1,H2,H3,H4)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복수개의 홀(H1,H2)은 이너 플레이트(230)의 상하방향에서 행과 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H1,H2)이 형성하는 열의 개수는 행의 개수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홀(H1,H2)의 열의 개수는 10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복수개의 홀(H1,H2)의 행의 개수는 19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홀(H1,H2)은 원형일 수 있고, 복수개의 홀(H1,H2)의 각각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H3,H4)이 평판부(231)와 수납부(234)의 단차를 형성하는 경계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홀(H3,H4)은 장공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홀(H3,H4)의 장축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경계부에 위치하는 홀들(H3,H4)의 개수는 평판부(231)에 위치하는 홀들(H1,H2)의 열의 개수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의 중심선(CL)으로부터 복수개의 홀(H1,H2)의 제1 최외곽 열(C1)까지의 제1 거리(D1)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1 단변(SS1) 및/또는 제2 단변(SS2)으로부터 복수개의 홀(H1,H2)의 제2 최외곽 열(C2)까지의 제2 거리(D2)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 플레이트(230)를 커브드 시킬 경우, 정곡률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1 접착부재(AD1)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중앙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D1)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이너 플레이트(230)의 중앙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D1)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 되면서 이너 플레이트(230)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부재(AD1)는 단면 테잎일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의 중앙영역 및 제1 접착부재(AD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도 29 참조)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부에 대하여 대칭을 형성하여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D2)는 제1 접착부재(AD1)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2 단변(SS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D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이너 플레이트(2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D2)는 좌우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면서 이너 플레이트(230)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접착부재(AD2)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면서, 제2 접착부재(AD2)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이너 플레이트(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립이 발생할 수 있고, 제2 접착부재(AD2)는 좌우방향으로 변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의 상대적 슬립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접착부재(AD3)는 제1 접착부재(AD1)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1 단변(SS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접착부재(AD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이너 플레이트(2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접착부재(AD3)는 좌우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면서 이너 플레이트(230)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접착부재(AD3)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면서, 제3 접착부재(AD3)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이너 플레이트(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립이 발생할 수 있고, 제3 접착부재(AD3)는 좌우방향으로 변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의 상대적 슬립에 대응할 수 있다. 제3 접착부재(AD3)의 길이, 너비, 위치는 제1 접착부재(AD1)에 대하여 제2 접착부재(AD2)와 대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커브드될 수 있다.
제4 접착부재(AD4)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1 장변(LS1)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제4 접착부재(AD4)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제4 접착부재(AD4)는 짧은 길이의 절편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접착부재(AD4)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1 장변(LS1)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접착부재(AD4)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 사이의 슬립에 대응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접착부재(AD5)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2 장변(LS2)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제5 접착부재(AD5)는 메인 프레임(210)의 결합부들(211)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너 플레이트(230)의 수납부(234)에 고정될 수 있다. 제5 접착부재(AD5)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제5 접착부재(AD5)는 절편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접착부재(AD5)의 길이는 제4 접착부재(AD4)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접착부재(AD5)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제6 접착부재(AD6)는 길게 연장되어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2 단변(SS2)에 나란하게 제2 단변(SS2)에 이웃하여 이너 플레이트(2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7 접착부재(AD7)는 길게 연장되어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1 단변(SS1)에 나란하게 제1 단변(SS1)에 이웃하여 이너 플레이트(2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6 접착부재(AD6) 및/또는 제7 접착부재(AD7)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절연시트(IS)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수납부(234)에 고정될 수 있다. 절연시트(IS)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2 장변(LS2)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메인 프레임(210, 도 30 참조)의 결합부(211)에 인접하여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2 장변(LS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소스 PCB(source PCB)가 수납부(234)에 위치할 수 있고, 절연시트(IS)는 금속을 포함하는 이너 플레이트(230)와 소스 PCB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AL)은 이너 플레이트(2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켓(AL)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AL)은 길게 연장되고, 수납부(234)에 위치할 수 있다. 수납부(234)는 평판부(231)에 대하여 복수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수납부(234)는 평판부(231)로부터 낮아지는 단차를 형성하는 제1 수납부(234b)와, 제1 수납부(234b)로부터 낮아지는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수납부(234a)를 구비할 수 있다. 가스켓(AL)은 제1 수납부(234b)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5및 도 36을 참조하면, 완충부재(RB)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완충부재(RB)는 평판부(231)의 후면 및/또는 수납부(234)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RB)는 러버(rubber)일 수 있고, 평판부(231)의 후면 및 제1 수납부(234)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제8 접착부재(AD8) 및/또는 제9 접착부재(AD9)는 사이드 브라켓(2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8 접착부재(AD8)는 길게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210)의 제2 단변(SS2)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9 접착부재(AD9)는 길게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210)의 제1 단변(SS1)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0 접착부재(AD10)는 복수개의 절편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프레임(210)의 제1 장변(LS1)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1 접착부재(AD11)는 메인 프레임(210)의 제2 장변(LS2)에 인접하여 수납부(234)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1 접착부재(AD11)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제11 접착부재(AD11)는 메인 프레임(210)의 결합부들(2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2 접착부재(AD12) 및/또는 제13 접착부재(AD13)는 사이드 브라켓(220)의 서포트 파트(223)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210) 및/또는 사이드 브라켓(2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플렉서블한 얇은 금속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플렉서블한 얇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케이블 홀(SH1,SH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홀(SH1,SH2)은 제1 케이블 홀(SH1)과 제2 케이블 홀(SH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제1 케이블 홀(SH1)은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1 케이블 홀(SH1)에 대응되고,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제2 케이블 홀(SH2)은 이너 플레이트(230)의 제2 케이블 홀(SH2)에 대응될 수 있다.
절연시트(IS)는 케이블 홀(SH1,SH2)에 인접하여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절연시트(IS)는 케이블 홀(SH1,SH2)의 엣지를 덮으면서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리어 플레이트(250)는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250)의 크기는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플레이트(250)는 얇은 금속판일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250)의 두께는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두께는 0.5 미리미터일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250)의 두께는 0.4미리미터일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250)의 길이(L)는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제1 단변(SS1) 및/또는 제2 단변(SS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250)의 너비(W)는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제1 장변(LS1) 및/또는 제2 장변(LS2)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제2 단변(SS2)으로부터 리어 플레이트(250) 까지의 제1 거리(W1)는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제1 단변(SS1)으로부터 리어 플레이트(250) 까지의 제2 거리(W2)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리어 플레이트(250)의 너비(W)는 제1 거리(W1) 및/또는 제2 거리(W2) 보다 클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250)는 케이블 홀(SH1,SH2)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플레이트(250)의 케이블 홀(SH1,SH2)은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케이블 홀(SH1,SH2)에 대응될 수 있다.
제20 접착부재(AD20)는 리어 플레이트(250)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0 접착부재(AD20)는 복수개일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250)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1 접착부재(AD21)는 리어 플레이트(250)의 상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고, 리어 플레이트(25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2 접착부재(AD22)는 복수개일 수 있고, 짧게 형성된 절편일 수 있다. 제22 접착부재(AD22)는 리어 플레이트(250)의 상변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2 접착부재(AD2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3 접착부재(AD23)는 리어 플레이트(250)의 하변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리어 플레이트(25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3 접착부재(AD23)는 복수개일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3 접착부재(AD23)는 짧은 절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10)은 수직부(210V), 프런트 수평부(210H1), 미들 수평부(210H2), 그리고 리어 수평부(210H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수평부(210H1)는 미들 수평부(210H2)와 마주할 수 있다. 리어 수평부(210H3)는 미들 수평부(210H2)에 대하여 프런트 수평부(210H1)와 대향할 수 있다. 수직부(210V)는 프런트 수평부(210H1), 미들 수평부(210H2), 그리고 리어 수평부(210H3)를 연결할 수 있다. 프런트 수평부(210H1)와 미들 수평부(210H2)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고, 미들 수평부(210H2)와 리어 수평부(210H3)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메인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메인 프레임(210)의 프런트 수평부(210H1)에 고정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AD)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AD)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2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프런트 수평부(210H1)와 미들 수평부(210H2)가 형성하는 갭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접착부재(AD)에 의해 이너 플레이트(23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미들 수평부(210H2)와 리어 수평부(210H3) 사이에 형성되는 갭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는 상대적으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이너 플레이트(230)와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상대적으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접착부재들(AD)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 그리고 이너 플레이트(230)와 아우터 플레이트(240) 간의 슬립에 대응할 수 있다. 접착부재들(AD)은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메인 프레임(210)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고,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메인 프레임(210)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너 플레이트(230)와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슬립은 2 미리미터 정도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의 슬립은 0.9 내지 1 미리미터 정도 발생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메인 프레임(210)의 수평부(210H)에 지지되거나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의 수평부(210H)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마주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의 수직부(210V)는 수평부(210H)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의 수직부(210V)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이너 플레이트(230)에 부분적으로 고정(partially fixed)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는 프레스 되어 굴곡된 단차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30)의 평판부(231, 도 34 참조)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간격은 이너 플레이트(230)의 단차부(235)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메인 프레임(210)의 수평부(210H)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의 단차부(23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이너 플레이트(230)의 후면을 마주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이너 플레이트(230)에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평판부(240H)와 사이드부(240V)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부(240H)는 얇고 넓은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사이드부(240V)는 평판부(240H)로부터 굽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부(240V)는 제1 사이드부(240V1)와 제2 사이드부(240V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240V1)는 평판부(240H)로부터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이드부(240V1)는 평판부(240H)로부터 수직으로 굽어질 수 있다. 제2 사이드부(240V2)는 제1 사이드부(240V1)로부터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240V2)는 제1 사이드부(240V1)와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사이드부(240V2)는 제1 사이드부(240V1)로부터 접히면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부(240V)는 메인 프레임(210)의 수직부(210V)와 이너 플레이트(230)의 말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커브드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230) 간에 슬립이 발생할 수 있고, 이너 플레이트(230)와 아우터 플레이트(240) 간에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메인 프레임(210)과 이너 플레이트(230) 간에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메인 프레임(210)은 아우터 프레임(2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되는 리어 커버(120,200); 상기 리어 커버(120,200)의 후방에 위치하고, 왕복 이동하는 무빙 블록(134)을 구비하는 구동 모듈(130); 상기 구동 모듈(130)에 인접하여 상기 리어 커버(120,200)의 후방에 고정되는 윙 브라켓(131,132);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무빙 블록(13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리어 커버(120,200)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상기 윙 브라켓(131,132)에 피봇 연결되는 윙(140)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130,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렉서블 메인 프레임(21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마주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23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변에 인접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사이드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10)은: 제1 장변 파트(210LS1); 상기 제1 장변 파트(210LS1)와 대향하는 제2 장변 파트(210LS2); 상기 제1 장변 파트(210LS1)의 일단과 상기 제2 장변 파트(210LS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단변 파트(210SS1); 그리고, 상기 제1 단변 파트(210SS1)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장변 파트(210LS1)의 타단과 상기 제2 장변 파트(210LS2)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 단변 파트(210SS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 파트(210LS1), 상기 제2 장변 파트(210LS2), 상기 제1 단변 파트(210SS1) 및 상기 제2 단변 파트(210SS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의 제1 장변 파트(210LS1), 제1 단변 파트(210SS1) 및 제2 단변 파트(210SS2)에 접착부재(A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의 제2 장변 파트(210LS2)에 접착부재(A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에 접착부재(A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120,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에 대하여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와 대향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210)에 접착부재(AD)에 의해 고정되는 아우터 플레이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브라켓(220)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4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40)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220)에 접착부재(A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120,200)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40)에 대하여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와 대향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40)에 고정되는 리어 플레이트(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250)의 크기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240)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1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마주하는 수평부(210H); 그리고, 상기 수평부(210H)의 엣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부(210V)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2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의 수평부(210H)에 접착부재(AD)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10)의 수평부(210H)는 상기 메인 프레임(210)의 수직부(210V)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고, 왕복 이동하는 무빙 블록을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에 인접하여 상기 리어 커버의 후방에 고정되는 윙 브라켓;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무빙 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리어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상기 윙 브라켓에 피봇 연결되는 윙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렉서블 메인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마주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너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제1 장변 파트;
    상기 제1 장변 파트와 대향하는 제2 장변 파트;
    상기 제1 장변 파트의 일단과 상기 제2 장변 파트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단변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단변 파트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장변 파트의 타단과 상기 제2 장변 파트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 단변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변 파트, 상기 제2 장변 파트, 상기 제1 단변 파트 및 상기 제2 단변 파트는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 장변 파트, 제1 단변 파트 및 제2 단변 파트에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2 장변 파트에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대향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아우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에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이너 플레이트와 대향하고,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리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크기는,
    상기 아우터 플레이트의 크기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과 마주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의 엣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수평부에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수평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067925A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7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25A KR20230167818A (ko)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8/323,108 US20230397351A1 (en) 2022-06-03 2023-05-24 Display device
EP23176444.0A EP4286984A1 (en) 2022-06-03 2023-05-3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25A KR20230167818A (ko)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18A true KR20230167818A (ko) 2023-12-12

Family

ID=8664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925A KR20230167818A (ko) 2022-06-03 2022-06-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97351A1 (ko)
EP (1) EP4286984A1 (ko)
KR (1) KR20230167818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989B1 (ko) * 2013-06-20 201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1225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760262B1 (ko) * 2015-11-04 2017-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97351A1 (en) 2023-12-07
EP4286984A1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362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EP2730968B1 (en) Curved display apparatus
CN102434820B (zh) 背光组件和具有该背光组件的显示设备
EP2437105A1 (en) Display apparatus
US8421946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143161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curvature maintaining bar
US9244299B2 (en) Backlight module of display device
US9176273B2 (en) Backlight unit for use in multiple-display device
JP200821821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面照明装置
KR202301678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781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8545081B2 (en) Edge-lit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24002938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995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78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20188747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23016781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658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667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286982A1 (en) Display device
KR2024003247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7293905B2 (en) Area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87433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322907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3007018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