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343A -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343A
KR20230167343A KR1020237028911A KR20237028911A KR20230167343A KR 20230167343 A KR20230167343 A KR 20230167343A KR 1020237028911 A KR1020237028911 A KR 1020237028911A KR 20237028911 A KR20237028911 A KR 20237028911A KR 20230167343 A KR20230167343 A KR 20230167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unit
control panel
integrated control
treat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카 오베
히로유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처리 유닛과 통합 제어반 사이의 배선 공사가 불필요한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펌프 (2, 5),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RO 장치 (6) 및 탈이온 장치 (7) 와, 펌프 (2, 5),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RO 장치 (6) 및 탈이온 장치 (7) 에 형성된 개별 제어기 (12 ∼ 17) 와, 개별 제어기 (12 ∼ 17) 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하는 통합 제어반 (20) 을 구비한다. 개별 제어기 (12 ∼ 17) 끼리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펌프 (2, 5),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RO 장치 (6) 및 탈이온 장치 (7) 는 규격품이다.

Description

수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복수의 수처리 유닛과, 수처리 유닛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반을 가진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수처리 유닛과 통합 제어반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처리 유닛과 통합 제어반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실시된다.
특허문헌 1 에는, 역침투 (RO) 모듈 내에 센서 및 그 센서에 접속된 마이크로 처리 유닛을 설치하고, 그 마이크로 처리 유닛과 중앙 처리 유닛의 사이에서 와이어 (0019 단락) 에 의해 데이터 통신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0019 단락에는, 마이크로 처리 유닛으로서 아두이노 (Arduino : 등록 상표)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9-524440호
복수의 수처리 유닛의 각각과 통합 제어반을 유선으로 접속시키는 경우, 배선 공사가 필요하여, 시스템의 원가가 비싸지고, 또한 공사 기간도 길어진다.
또한, 종래의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합 제어반을 수처리 유닛의 종류, 수나 조합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계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설계 비용이 비싸지고, 납기도 길어졌다.
본 발명은, 수처리 유닛과 통합 제어반 사이의 배선 공사가 불필요한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일 양태에 있어서, 신규 설치되는 수처리 시스템과는 별도의, 기존에 설치된 다른 수처리 시스템의 운전 데이터도 수집하여, 신규 설치와 기존 설치를 통합하여 운전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일 양태에 있어서, 수처리 유닛을 규격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수처리 유닛과, 각 수처리 유닛에 형성된 개별 제어기와, 각 개별 제어기와 통신하는 통합 제어반을 구비하고, 각 개별 제어기끼리 및 개별 제어기와 통합 제어반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수처리 유닛으로서 펌프, 전처리 장치, 활성탄 여과기, RO 장치 및 탈이온 장치의 적어도 1 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수처리 유닛이 규격품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ZigBee (등록 상표) 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개별 제어기 및 통합 제어반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Arduino (등록 상표) 또는 Raspberry Pi (등록 상표) 를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은, 수처리 유닛과 통합 제어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실시하므로, 수처리 유닛과 통합 제어반 사이의 배선 공사가 불필요하다. 수처리 유닛을 규격화함으로써, 수처리 시스템의 설계의 노력 및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타사 제조의 수처리 시스템 내의 수위계, 유량계 등의 측정기에, 신규 설치 시스템과 같은 통신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용이하게 기존 설치 시스템의 운전 데이터 (예를 들어, 수위, 유량, pH, 수질 등) 를 수집할 수 있고, 신규 설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운전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신규 설치 시스템의 통합 제어반이, 각 유닛 장치나 기존 설치 유닛과 통신하여 데이터 송신이나 감시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수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개별 제어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관련된 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수처리 시스템은 순수 장치이며, 공수, 정수, 회수수 등의 원수가 원수 탱크 (1) 에 도입된다. 원수 탱크 (1) 내의 원수는, 원수 펌프 (2) 에 의해 전처리 장치 (이 실시 형태에서는 MF 장치) (3) 에 송수되고, MF 막 여과에 의한 전처리가 실시된다. 전처리된 물은, 활성탄 여과기 (4) 에 송수되어, 활성탄 여과 처리된다.
활성탄 여과수는, 고압 펌프 (5) 에 의해 RO (역침투막) 장치 (6) 에 송수된다. RO 장치 (6) 의 농축수 일부는, 원수 탱크 (1) 에 반송되고, 잔부는 계외로 배출된다. RO 장치 (6) 의 투과수는, 탈이온 장치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탈이온 장치. 다만, 이온 교환 수지 장치 등이어도 된다.) (7) 에 송수되고, 탈이온 처리되어 처리수 (순수) 가 되어, 순수 탱크 (8) 에 도입된다. 순수 탱크 (8) 내의 순수는, 순수 수요 지점 (보일러, 이차 순수 장치 (서브 시스템) 등) 에 공급된다.
원수 펌프 (2),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고압 펌프 (5), RO 장치 (6), 탈이온 장치 (7) 등의 각 수처리 유닛에는 개별 제어기 (12 ∼ 17)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원수 펌프 (2),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고압 펌프 (5), RO 장치 (6), 탈이온 장치 (7) 를, 이하 수처리 유닛 (2 ∼ 7)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펌프 (2, 5) 에는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등의 센서가 형성되어 있다.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및 RO 장치 (6) 에는 압력 센서 및 유량 센서 등의 센서가 형성되어 있다. 탈이온 장치 (7) 에는 전기 전도도계 및 유량 센서 등의 센서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2, 5) 의 개별 제어기 (12, 15) 에는, 펌프 회전수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및 RO 장치 (6) 에는, 역세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개별 제어기 (13, 14, 16) 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역세가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역세 기구는, 처리수를 모아 두는 탱크와, 역세용 펌프와, 역세용 배관 및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다.
탈이온 장치 (7) 는 전류 제어용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류 제어용 전원 장치는 개별 제어기 (17) 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각 개별 제어기 (12 ∼ 17) 끼리 및 통합 제어반 (20) 과 각 개별 제어기 (12 ∼ 17) 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이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규격은 ZigBee (등록 상표).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 의해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개별 제어기 (12 ∼ 17) 및 통합 제어반 (20) 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Arduino (등록 상표) 또는 Raspberry Pi (등록 상표) 를 구비하고 있다.
개별 제어기 (12 ∼ 17) 는, 도 2 와 같이 프로그램 및 운전 정보 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억부 (30) 를 갖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이 컴퓨터의 CPU (중앙 연산부) 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 제어부 (31) 및 신호 분별부 (32) 가 구성된다. 연산 제어부 (31) 에는, 각 수처리 유닛 (2 ∼ 7) 의 센서 검출 신호가 A/D 변환기 (33) 를 통해서 입력된다.
통합 제어반 (20) 은, 제어 프로그램 및 운전 정보를 격납하는 기억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갖는다. 이 컴퓨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Arduino (등록 상표) 또는 Raspberry Pi (등록 상표) 이다. 통합 제어반은, 수처리 유닛 (2 ∼ 7) 의 운전 데이터 (각 수처리 유닛의 센서에 의한 검출 데이터를 포함한다.) 신호의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의 데이터와 격납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수처리 유닛에 송신하는 제어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 제어부에 의해 제어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통합 제어반 (20) 으로부터 발신된 신호는 수신부 (34) 에 의해 수신되어, 신호 분별부 (32) 에 입력된다. 통합 제어반 (20) 으로부터의 발신 신호에는, 신호를 부여해야 할 수처리 유닛을 특정하기 위한 ID (유닛 식별 정보) 와, 각 수처리 유닛에 부여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신호 분별부 (32) 는, 수신 신호 중, 당해 수처리 유닛을 지정하는 ID 를 포함하는 신호를 분별하고, 당해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연산 제어부 (31) 에 전송한다. 또한, 신호 분별부 (32) 는, 당해 수처리 유닛을 지정하지 않는 ID를 포함하는 신호에 대해서는 발신부 (35) 에 전송한다. 발신부 (35) 는 이 전송된 신호를 다른 수처리 유닛을 향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발신한다.
또한, 연산 제어부 (31) 는, A/D 변환기 (33) 를 통해서 수취한 센서 검출 데이터를 발신부 (35) 에 전송하고, 발신부 (35) 는 이 데이터를 통합 제어반 (20) 및 다른 수처리 유닛을 향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발신한다.
또한, 연산 제어부 (31) 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센서 검출 데이터 및 신호 분별부 (32) 를 통해서 수취한 통합 제어반 (20) 으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내용을 연산하고, 이 연산 결과를 제어 신호 출력부 (36) 에 전송한다. 제어 신호 출력부 (36) 로부터 당해 수처리 유닛에 제어 신호가 송신되어, 각 수처리 유닛 (2 ∼ 7) 의 제어가 실시된다. 예를 들어, 펌프 (2, 5) 의 온, 오프 및 회전수 제어가 실시되고, 탈이온 장치 (17) 의 전류 제어가 실시된다. 또한, 전처리 장치 (3), 활성탄 여과기 (4) 및 RO 장치의 여과 운전 및 역세 운전의 전환 제어가 실시된다. 또, 제어 내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것 이외의 각종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통합 제어반 (20) 과 각 수처리 유닛 (2 ∼ 7) 의 개별 제어기 (12 ∼ 17) 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실시하므로, 각 통합 제어반 (20) 과 수처리 유닛 (2 ∼ 7) 을 데이터 송신용 케이블로 접속시키는 것이 불필요하여, 설치 비용의 저감 및 수처리 시스템 구축 공사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반 (20) 과 각 개별 제어기 (12 ∼ 17) 뿐만 아니라, 각 개별 제어기 (12 ∼ 17) 끼리에서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방식으로 하고 있고, 통합 제어반 (20) 으로부터 이격된 수처리 유닛과 통합 제어반 (20) 의 사이에서도, 다른 수처리 유닛의 개별 제어기를 중계하여 통신이 실시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수처리 유닛 (2 ∼ 7) 은 규격품이다. 즉, 용량, 성능이 미리 설정된 사양으로 되어 있는 제품이며, 개별 현장에 맞춰서 설계된 특별 사양품은 아니다. 그래서, 통합 제어반 (20) 에 설정되는 각 수처리 유닛의 제어 프로그램도 규격품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처리 유닛 (2 ∼ 7) 및 통합 제어반 (20) 을 현장에 맞춰서 설계 내지 제작하는 것이 불필요하며, 설계 및 제작의 노력 및 비용이 낮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21년 4월 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1-66612호에 의거하여 있으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1 : 원수 탱크
3 : 전처리 장치
4 : 활성탄 여과기
6 : RO 장치
7 : 탈이온 장치
8 : 순수 탱크
20 : 통합 제어반

Claims (5)

  1. 복수의 수처리 유닛과,
    각 수처리 유닛에 형성된 개별 제어기와,
    각 개별 제어기와 통신하는 통합 제어반을 구비하고,
    각 개별 제어기끼리 및 개별 제어기와 통합 제어반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수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유닛으로서, 펌프, 전처리 장치, 활성탄 여과기, RO 장치 및 탈이온 장치의 적어도 1 개를 갖는 수처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처리 유닛이 규격품인 수처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ZigBee (등록 상표) 인 수처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어기 및 통합 제어반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Arduino (등록 상표) 또는 Raspberry Pi (등록 상표) 를 사용한 것인 수처리 시스템.
KR1020237028911A 2021-04-09 2022-03-15 수처리 시스템 KR20230167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6612A JP7192909B2 (ja) 2021-04-09 2021-04-09 水処理システム
JPJP-P-2021-066612 2021-04-09
PCT/JP2022/011632 WO2022215461A1 (ja) 2021-04-09 2022-03-15 水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343A true KR20230167343A (ko) 2023-12-08

Family

ID=8354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911A KR20230167343A (ko) 2021-04-09 2022-03-15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92909B2 (ko)
KR (1) KR20230167343A (ko)
CN (1) CN117120378A (ko)
TW (1) TW202240520A (ko)
WO (1) WO202221546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4440A (ja) 2016-08-31 2019-09-0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統合された透過液監視を含む螺旋巻き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486A (ko) 2003-12-04 2006-12-07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정균 유체 필터
WO2011130089A1 (en) 2010-04-12 2011-10-20 Veolia Water Solutions & Technologies Support Membrane bioreactor having mixed liquor and air conduits in a filtration tank
US20160096741A1 (en) 2013-01-03 2016-04-07 Huei Meng Chang Data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fluids
CN207269233U (zh) 2017-05-27 2018-04-24 南京水杯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技术的中央净水设备远程监控系统
EP3740302A1 (en) 2018-01-15 2020-11-25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Inc. Spiral wound assembly with integrated flow restrictor and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4440A (ja) 2016-08-31 2019-09-0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統合された透過液監視を含む螺旋巻き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5461A1 (ja) 2022-10-13
JP2022161646A (ja) 2022-10-21
CN117120378A (zh) 2023-11-24
JP7192909B2 (ja) 2022-12-20
TW202240520A (zh) 202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5546A1 (en) Method of integrating water treatment assemblies
US20210194278A1 (en) Smart power system
US9018862B2 (en) Alternating current rotating machine control device
CN111612678B (zh) 污水管理云平台的实现方法
CN102792236A (zh) 用于通过新的调节装置替换自动化系统中已有的调节装置的方法和为此设计的自动化系统
CN100362440C (zh) 稀土串级萃取分离智能控制系统及方法
CN111721907A (zh) 污水处理原位监测系统
KR20230167343A (ko) 수처리 시스템
CN104516325A (zh) 基于多传感器数据融合的污水处理远程监控系统
CN107942969A (zh) 一种水厂自动化监控系统
KR101501749B1 (ko) 스마트 설비진단 기능을 구비한 하수처리 자동제어 시스템
CN106248899A (zh) 一种泵房水质在线监测处理装置
CN203164641U (zh) 一种状态指示系统、一种状态指示器以及一种主控制器
CN106745978B (zh) 一种含镍废液的处理工艺
CN204790489U (zh) 分布式污水处理系统
CN211292853U (zh) 一种水质监测控制系统
CN211725364U (zh) 反渗透系统
Choshnova Improving of the water preparation systems in the industry thermal power plants
US201000072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operating voltage to field devices
CN112631221A (zh) 一种污水处理远程监控系统及其方法
CN205593563U (zh) 污水处理运行状态监测系统
CN212833123U (zh) 基于反渗透水处理的预处理系统
CN214751509U (zh) 一种dcs控制系统
KR20030075428A (ko) 오,폐수처리시스템의 원격 감시와 제어방법 및 장치
CN113713624B (zh) 一种污水处理的双陶瓷膜一体化装置及压力故障判断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