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205A -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205A
KR20230167205A KR1020220066276A KR20220066276A KR20230167205A KR 20230167205 A KR20230167205 A KR 20230167205A KR 1020220066276 A KR1020220066276 A KR 1020220066276A KR 20220066276 A KR20220066276 A KR 20220066276A KR 20230167205 A KR20230167205 A KR 20230167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catenary
insulato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민
손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명성알엔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명성알엔피(주)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6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205A/en
Publication of KR2023016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2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6Suspension ins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차량부와, 차량부에 구비되고, 전차선부를 세척하는 제1세척부 및 차량부에 구비되고, 전차선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를 세척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enary washing device, which includes a vehicle part that moves along a rail, a first washing part provided in the vehicle part and cleaning the catenary part, and an insulator part provided in the vehicle part and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tenary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washing unit.

Figure P1020220066276
Figure P1020220066276

Description

전차선 세척 장치{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Catenary cleaning device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본 발명은 전차선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전차선 및 애자를 세척할 수 있는 전차선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enary clea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tenary clean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lean the catenary and insulators while moving along a rail.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전차선(전기 공급용 가공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차선은 천장에 설치되고, 절연을 위한 애자가 구비되며, 이격된 주선 사이를 교차하는 단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한다.In general, railway vehicles ar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catenaries (overhead wires for electricity supply) to generate the power needed for the vehicle. These tram line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equipped with insulators for insulation, and continuously supply electricity through single wires that cross between spaced main lines.

전차선의 가선방식으로는 가공식(Over Head System), 제3 궤조식(Third Rail System)과, 강체식(Rigid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공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 지상구간에 적용되고 있으나, 전차선과 조가선 및 보조조가선을 함께 가선해야 하기 때문에 소요 가선고가 높아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가공식 전차선을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함과 더불어 전차선의 마모시 전차선은 물론 조가선까지 함께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The catenary system of the tram line can be divided into Overhead System, Third Rail System, and Rigid System. The processing type is a method of catenary wire using a catenary wire and is applied to general ground sections. However, since the tramline, a catenary wire, and an auxiliary catenary wire must be wired together, the required catenary height is high,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o tunnel sections. In other words, in order to apply an overhead tram line to a tunnel sec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unnel must be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ing in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In addition, daily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not easy due to the narrow space, and when the tram line is worn, the tram line is damaged. Of course, it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replace the steering wire as well.

한편, 상기 제3 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상 또는 측면에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상 감전이 위험이 높아 일부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Meanwhile, the third rail type is a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installing a feed rail on the road surface or on the sid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 tunnel,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feed rail being placed on the ground, Due to the high risk of electric shock, it is only applied to certain special sections.

강체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터널 등 조가선의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The rigid body type integrates the catenary into a rigid body and installs it using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bracket. Since it does not require a clamshell wire, it is applied to sec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clamshell wire, such as tunnels.

강체식 전차선은 T-Bar 와 R-Bar로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전류용량이 큰 DC 1,500V 구간에서 T-Bar를 사용하고 있고, 전류용량이 적은 AC 25,000V 구간에서는 R-Bar가 사용되고 있다. Rigid catenaries are divided into T-Bar and R-Bar. In Korea, T-Bar is used in the DC 1,500V section with large current capacity, and R-Bar is used in the AC 25,000V section with low current capacity.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전차선을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R-bar의 경우, T-bar 대비 고난도의 추종 및 세척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세척을 위한 막대한 유지보수 예산 소요되고, 긴 세척 주기에 따른 작업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past,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automatically clean these tram lines, but in the case of R-bar, as more sophisticated tracking and cleaning technology is required compared to T-bar, a huge maintenance budget for cleaning is required, and a long time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effectiveness decreases depending on the cleaning cycl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3007호(2017.08.24. 등록, 발명의 명칭 : 전차선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73007 (registered on August 24, 2017, title of invention: catenary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전차선 및 애자 청소가 가능한 전차선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atenary clean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lean the catenary and insulator while moving along the rail.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차량부; 상기 차량부에 구비되고, 전차선부를 세척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차량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차선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를 세척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한다.The catenary wa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unit moving along a rail; A first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unit and cleaning the tram line unit; and a second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unit and cleaning the insulator part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tram line unit.

또한,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차량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세척바디부; 및 상기 제1세척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차선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노즐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washing unit may include a first washing body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to b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nd a first washing nozzle unit provided in the first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on the tram line unit.

또한, 상기 제1세척노즐부는 상기 전차선부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차선부의 하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제1세척노즐;을 포함In addition,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washing nozzle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ram line portion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또한,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제1세척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세척노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세척이동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lean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cleaning moving part that is mounted on the first cleaning body and moves the first cleaning nozzle unit to the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차량부에 장착되고, 전차선부를 실시간 압박하면서 상기 전차선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전차선부의 변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vehicle unit and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tram line while pressing the tram line in real tim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tram line unit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제2세척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차선부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washing unit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unit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또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차량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세척바디부;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애자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세척노즐부; 및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애자부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wash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washing body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to b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 second washing nozzle unit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insulator unit; and a brush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cleaning body portion and contacting the insulator portio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또한, 상기 제2세척노즐부는, 상기 제2세척바디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부의 주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전방세척노즐; 및 상기 제2세척바디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부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후방세척노즐;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second washing nozzle unit may include: a second front washing nozzle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nit; and a second rear washing nozz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nit.

또한, 상기 제2전방세척노즐과 상기 제2후방세척노즐은 세척수의 분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and 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are provided so that the spray angle of the washing water can be independently adjusted.

또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부로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브러시노즐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washing unit further includes a brush nozzle unit installed o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brush unit.

또한, 상기 차량부에 설치되고, 상기 애자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애자부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제2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Additionally, a second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air of second cleaning units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sulator unit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또한,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차량부에 설치되는 제2감지바디부; 및 상기 제2감지바디부의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차량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전차선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상기 애자부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제2감지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second detection body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and a pair of second sensing membe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and each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vehicle por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차선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애자부측에 설치된 상기 제2세척부를 상승 이동시키고, 상기 애자부와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제2세척부를 하강 이동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cleaning uni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sulator part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upward, and moves the second cleaning unit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insulator unit downward, based on the catenary unit.

또한,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차선부를 세척하는 제3세척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third washing part installed in the second washing body part and cleaning the tram line part.

또한, 상기 제3세척부는 상기 전차선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세척노즐부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차선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세척노즐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hird washing unit includes a third washing nozzle unit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washing nozzle unit with respect to the tram line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tram line unit.

또한, 상기 제3세척노즐부는 상기 제2세척바디부가 상승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차선부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차선부의 상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In addition, the third washing nozzle unit is disposed above the tram line portion as the second washing body portion moves upward, and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는 제1세척부, 제2세척부 및 제3세척부의 세척 동작이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된 각각 전차선부의 변위 및 애자부의 위치를 정보에 의해 능동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세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catenary wa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catenary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part, as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first cleaning part, the second washing part, and the third washing part is detected in real time from the first sensing part and the second sensing part. As it is actively controlled,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는 제2세척부가 제2전방세척노즐부, 브러시부, 제2후방세척노즐부에 의해 애자부를 다중에 걸쳐 세척함에 따라 애자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enary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the insulator part more effectively as the second cleaning part cleans the insulator part multiple times by the second front cleaning nozzle part, the brush part, and the second rear cleaning nozzle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부 및 애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감지센서부 중 어느 하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감지센서부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감지센서부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이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세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부 및 제3세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부 및 제3세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m lin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m lin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This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tenary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tenary section and the insulator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one of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wa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hing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hing deterg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leaning unit and the third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washing unit and the third wa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atenary wa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m lin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m lin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This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tenary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1)는 차량부(100), 제1감지부(200), 제2감지부(300), 제1세척부(400), 제2세척부(500), 제3세척부(600), 제어부(700)를 포함한다.1 to 3, the catenary wash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unit 100, a first detection unit 200, a second detection unit 300, and a first washing unit. It includes (400), a second washing unit (500), a third washing unit (600), and a control unit (700).

차량부(100)는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고, 후술하는 제1감지부(200), 제2감지부(300), 제1세척부(400), 제2세척부(500), 제3세척부(6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100)는 하단부에 바퀴가 마련된 대차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레일부(10) 상에서 이동된다. 차량부(100)는 엔진, 모터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동력을 생성하여 레일부(1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차량부(10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도 1,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일부(1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형상 및 구조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vehicle unit 100 moves along the rail unit 10 and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200, a second detection unit 300, a first washing unit 400, a second washing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washing section 600 is supported as a whole. The vehicle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bogie with wheels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is moved on the rail unit 10. The vehicle unit 100 can move on the rail unit 10 by generating its own power using an engine, motor, etc. The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of the vehicle unit 100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FIGS. 1 and 2,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a shape and structure that can move along the rail unit 10.

차량부(100)의 상측에는 철도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차선부(20) 및 전차선부(20)를 지지하는 애자부(30)가 설치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unit 100, a catenary unit 20 that supplies power to the railway vehicle and an insulator unit 30 that supports the catenary unit 20 are install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부 및 애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tenary section and the insulator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부(20)는 팬터그래프 식 전차 집전부와 접촉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차선부(20)과, 대략 "U"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개구된 측으로 전차선부(20)이 끼워져 고정되는 강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차선부(20)는 길이 방향이 레일부(1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 tram line portion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to have a catenary line portion 20 that is in contact with a pantograph-type tram current collector to supply power, and has an approximately “U” shape, and has an open side. The catenary portion 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igid body 22 into which it is inserted and fixed. The catenary section 20 is installed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il section 10 extends.

애자부(30)는 터널 등의 벽면 또는 천장면에 고정된 서포트(40)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어 전차선부(20)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애자부(30)는 절연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어 전차선부(20)를 따라 흐르는 고압의 전기가 서포트(40)를 비롯한 기타 구조물들로 전달되지 않게 절연함과 동시에 전차선부(20)를 레일부(10)와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자부(30)는 일단이 서포트(40)에 용접 고정되고, 나머지 타단은 전차선부(20)를 향해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애자부(30)의 타단은 전차선부(20)의 수평 방향 변위를 조절하기 위한 클램프부(50)를 매개로 전차선부(20)에 구비되는 강체(22)의 상단에 연결된다. 애자부(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전차선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애자부(30)는 외팔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애자부(30) 중 일부는 전차선부(20)의 우측(도 1 기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애자부(30) 중 나머지 일부는 전차선부(20)의 좌측(도 1 기준)에 배치된다.The insulator part 30 is installed to extend from the support 40 fixed to the wall or ceiling of a tunnel, etc., and supports the tram line part 20. More specifically, the insulator portion 3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insulate the high-voltage electricity flowing along the catenary portion 20 from being transmitted to other structures, including the support 40, and at the same time, the catenary portion 20. It functions a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rail portion 10 in a vertically spaced state. One end of the insulator portion 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welded and fixed to the support 40,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extend in a cantilever shape toward the catenary portion 20. The other end of the insulator part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igid body 22 provided in the catenary part 20 via a clamp part 50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catenary part 20. The insulator section 30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enary section 20. As the insulator section 30 is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cantilever, some of the plurality of insulator sections 30 are disposed on the right side (based on FIG. 1) of the catenary section 2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plurality of insulator sections 30 is placed on the left side (based on Figure 1) of the catenary section 20.

제1감지부(200)는 차량부(100)에 장착되고, 전차선부(20)를 실시간 압박하면서 차량부(100)의 이동에 따른 전차선부(20)의 변위를 감지한다.The first detection unit 200 is mounted on the vehicle unit 100 and senses the displacement of the tram line unit 20 as the vehicle unit 100 moves while pressing the catenary unit 20 in real tim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200)는 제1감지바디부(210)와, 제1감지베이스부(220)와, 감지롤러부(230) 및 제1감지부재(240)와, 감지측정부(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sens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body portion 210, a first sensing base portion 220, a sensing roller portion 230, and a first sensing body portion 210. 1Includes a sensing member 240 and a sensing and measuring unit 250.

제1감지바디부(210)는 차량부(100)에 장착되고 상하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바디부(210)는 차량부(100)에 장착되고,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자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The first sensing body unit 210 is mounted on the vehicle unit 100 and has an adjustable upper and lower length. The first sensing body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vehicle unit 100, and its length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제1감지베이스부(220)는 제1감지바디부(210)에 장착되어 승강 이동되며 높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베이스부(220)는 제1감지바디부(210)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제1감지바디부(210)의 상하 길이 조절 동작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base unit 220 is mounted on the first sensing body unit 210 and moves up and down to adjust its height. The first sensing base par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ensing body part 210, and its height can be adjusted by the up and down length adjustment operation of the first sensing body part 210. You can.

감지롤러부(2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감지베이스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감지롤러부(230)는 전차선부(20)와 접촉되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감지롤러부(230)는 상호 마주보는 롤러지지부(2231)에 롤러접촉부(2322)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1감지바디부(210)에 의해 한 쌍의 롤러접촉부(2322)가 전차선부(20)의 하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The sensing roller unit 230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sensing base unit 220. The sensing roller unit 230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tram line unit 20. Each sensing roller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so that the roller contact part 2322 can rotate on the roller support part 2231 facing each other, and is formed as a pair by the first sensing body part 210. The roller contact portion 23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20.

제1감지부재(2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감지베이스부(220)에 장착되고, 한 쌍의 감지롤러부(23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감지부재(240)는 감지롤러부(230) 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차선부(20)의 하측면을 가압한다. 제1감지부재(240)는 전차선부(20)의 하측면을 가압하며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The first sensing member 240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mounted on the first sensing base portion 220, and disposed between a pair of sensing roller portions 230. This first sensing member 240 protrudes upward higher than the sensing roller portion 230 and presses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20. The first sensing member 240 generates a sensing signal by pressing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2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따라서, 제1감지바디부(210)가 상승하여 감지롤러부(230)가 전차선부(20)와 접촉되면, 감지롤러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감지부재(240)가 전차선부(20)에 의해 가압되고, 어느 하나의 제1감지부재(240)가 가압되며 발생시키는 감지 신호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부(700)는 전차선부(20)의 변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sensing body portion 210 rises and the sensing roller portion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am line portion 20, each first sensing member 240 disposed between the sensing roller portions 230 moves to the tram line portion.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tram line unit 20 in real time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pressurized by the unit 20 and generated when one of the first sensing members 240 is pressed.

감지측정부(250)는 감지롤러부(230) 또는 제1감지부재(240)가 전차선부(20)에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측정부(250)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롤러지지부(223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detection and measurement unit 250 detects whether the detection roller unit 230 or the first detection member 240 is pressed to the tram line unit 20 at a certain pressure. The sensing and measuring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oller support unit 2231 whose length is adjusted by external force.

감지컨트롤부(260)는 감지측정부(2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1감지바디부(21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간에서는 전차선부(20)의 자체 높이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감지컨트롤부(260)는 전차선부(20)에 가압되는 감지롤러부(230) 또는 제1감지부재(240)가 설정압력 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감지바디부(210)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detection control unit 26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and measurement unit 250 and controls the first detection body unit 210. In the underground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tram line unit 20 may occur, and the detection control unit 260 is a sensing roller unit 230 or a first detection unit that is pressed against the tram line unit 20. The height of the first sensing body 210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so that the member 240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ithin the set pressure rang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감지센서부 중 어느 하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one of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부재(240)는 제1감지센서부(241), 제2감지센서부(242), 제3감지센서부(243), 제4감지센서부(244), 제5감지센서부(245) 및 제6감지센서부(24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first detection member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ction sensor unit 241, a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a third detection sensor unit 243, and a first detection sensor unit 243. It includes a 4th detection sensor unit 244, a 5th detection sensor unit 245, and a 6th detection sensor unit 246.

제1감지센서부(241)는 제1감지베이스부(220)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감지센서부(241)는 제1감지베이스부(220)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감지돌기부(2411) 및 제1감지돌기부(241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감지덮개부(24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241 is mounted on the first detection base unit 220.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2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irst detection base unit 220 and includes a first detection protrusion 2411 protruding upward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detection protrusion 2411. It may include a first sensing cover part 2412 connected to the sensor.

제2감지센서부(242)는 제1감지센서부(241)의 상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센서부(242)는 제1감지덮개부(24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감지하판부(2421) 및 제2감지하판부(2421)의 양측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감지돌기부(24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is disposed above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241.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detection lower plate 2421 disposed to face the first detection cover 2412 and both ends of the second detection lower plate 2421. It may include a second sensing protrusion 2422 that protrudes upward.

제3감지센서부(243)는 제2감지센서부(24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전차선부(20)와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다. 제3감지센서부(243)는 전차선부(20)와 접촉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 제3감지접촉부(2431)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3감지경사부(2432) 및 제2감지센서부(242)에 장착되고 제3감지경사부(2432)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3감지축부(24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감지접촉부(2431)와 제3감지경사부(2432)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3감지축부(2433)에 지지되어 축 방향 이동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전차선부(20)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하고, 전차선부(20)가 제3감지접촉부(2431)에서 벗어나면 제3감지접촉부(243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The third detection sensor unit 24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and is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tram line unit 20. The third detection sensor unit 243 includes a third detection contact unit 243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ram line unit 20, and a third detection inclination unit 2432 that extends in both directions from the third detection contact unit 2431 and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it may include a third sensing shaft portion 2433 that is mounted on the second sensing sensor portion 242 and rotatably supports the third sensing inclined portion 2432.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and the third sensing inclined portion 24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s one body and are supported on the third sensing shaft portion 2433 so that they can rotate without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atenary unit 20 pressurizes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and when the catenary part 20 moves away from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the pressure on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released. .

제4감지센서부(244)는 제2감지센서부(242)를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감지센서부(244)는 제1감지베이스부(220)에 하단부가 장착되고, 제1감지센서부(241)를 관통하여 제2감지하판부(2421)를 지지할 수 있으며, 가스 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갖는 쇼바가 될 수 있다.The fourth detection sensor unit 244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The fourth detection sensor unit 24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end mounted on the first detection base unit 220, and penetrates the first detection sensor unit 241 to form a second detection lower plate unit 2421. It can support and can become an elastic shock absorber using gas or springs.

제5감지센서부(245)는 제2감지센서부(242)와 연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감지센서부(245)는 제2감지하판부(2421)에 장착되고 제1감지덮개부(2412)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5감지가이드부(2451) 및 제5감지가이드부(2451)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5감지이동부(24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fth detection sensor unit 245 is linked with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The fifth detection sensor unit 24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econd detection lower plate part 2421 and includes one or more fifth detection guide units 2451 penetrating the first detection cover part 2412 and It may include a fifth sensing moving part 2452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fth sensing guide part 2451.

제6감지센서부(246)는 제5감지센서부(245)의 하방 이동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6감지센서부(246)는 제1감지베이스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단부가 제5감지이동부(2452)의 저면에 가압될 수 있다. The sixth sensor unit 246 detect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fth sensor unit 245. The sixth detection sensor unit 24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detection base unit 220, and one end may be pressed against the bottom of the fifth detection moving unit 2452.

따라서, 전차선부(20)에 의해 제2감지센서부(242)가 하방 이동되면, 제2감지센서부(242)와 연동되어 제5감지센서부(245)가 하방 이동되면서 제6감지센서부(246)를 가압한다. 제6감지센서부(246)는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700)로 전달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is moved downward by the tram line unit 20, the fifth detection sensor unit 245 moves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2, and the sixth detection sensor unit Pressurize (246). The sixth detection sensor unit 246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by this pressing forc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감지센서부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감지센서부의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감지롤러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감지부재(240)는 각각 상술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 제4센서(264), 제5센서(265), 제6센서(266), 제7센서(267), 제8센서(268), 제9센서(269), 제10센서(270), 제11센서(271), 제12센서(272) 및 제13센서(27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members 240 disposed between a pair of sensing roller units 230 are each formed to hav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nclude a first sensor 261, a second Sensor 262, third sensor 263, fourth sensor 264, fifth sensor 265, sixth sensor 266, seventh sensor 267, eighth sensor 268, ninth sensor (269), including the 10th sensor 270, the 11th sensor 271, the 12th sensor 272, and the 13th sensor 273.

제1센서(261)는 감지롤러부(230)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롤러부(230)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전차선부(20)는 제1센서(261)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261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ing roller portion 230. The catenary portion 20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ing roller portion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ss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first sensor 261.

제2센서(262)는 제1센서(261)의 좌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1센서(261)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2센서(262)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262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left detection range of the first sensor 261.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econd sensor 262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first sensor 261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3센서(263)는 제2센서(262)의 좌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2센서(262)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3센서(263)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third sensor 263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left detection range of the second sensor 262. The tram line portion 20 having an inclination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third sensor 263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second sensor 262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4센서(264)는 제3센서(263)의 좌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3센서(263)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4센서(264)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fourth sensor 264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left detection range of the third sensor 263.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ourth sensor 264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third sensor 263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5센서(265)는 제4센서(264)의 좌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4센서(264)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5센서(265)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fifth sensor 265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left detection range of the fourth sensor 264.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ifth sensor 265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fourth sensor 264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6센서(266)는 제5센서(265)의 좌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5센서(265)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6센서(266)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sixth sensor 266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left detection range of the fifth sensor 265.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ixth sensor 266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fifth sensor 265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7센서(267)는 제6센서(266)의 좌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6센서(266)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7센서(267)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seventh sensor 267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left detection range of the sixth sensor 266.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l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eventh sensor 267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sixth sensor 266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8센서(268)는 제1센서(261)의 우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1센서(261)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8센서(268)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eighth sensor 268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right detection range of the first sensor 261.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eighth sensor 268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first sensor 261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9센서(269)는 제8센서(268)의 우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8센서(268)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9센서(269)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9th sensor 269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right detection range of the 8th sensor 268.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ninth sensor 269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eighth sensor 268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10센서(270)는 제9센서(269)의 우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9센서(269)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10센서(270)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tenth sensor 270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right detection range of the ninth sensor 269.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tenth sensor 270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ninth sensor 269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11센서(271)는 제10센서(270)의 우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10센서(270)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11센서(271)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11th sensor 271 detects the tram line 20 that is outside the right detection range of the 10th sensor 270.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11th sensor 271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10th sensor 270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12센서(272)는 제11센서(271)의 우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11센서(271)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12센서(272)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twelfth sensor 272 detects the tram line portion 20 that is outside the right detection range of the eleventh sensor 271.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twelfth sensor 272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eleventh sensor 271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13센서(273)는 제12센서(272)의 우측 감지범위를 벗어난 전차선부(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측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전차선부(20)는 제12센서(272)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와의 가압이 해제된 후 제13센서(273)에 형성되는 제3감지접촉부(2431)를 가압할 수 있다.The 13th sensor 273 detects the tram line 20 that is outside the right detection range of the 12th sensor 272. The tram line portion 20 inclined to the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13th sensor 273 after the pressure with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formed on the 12th sensor 272 is released. The third sensing contact part 2431 can be pressed.

제1감지부재(240)는 전차선부(2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즉 압상력에 대응하여 수직 댐퍼 능력을 가진다. 예컨데 제1센서 내지 제13센서(61 내지 73)에 가해지는 압상력은 0.6~1.5kgf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센서 내지 제13센서(61 내지 73) 각각은 10~15mm의 눌림이 작용될 수 있다. 제1센서 내지 제13센서(61 내지 73)에 가해지는 압상력 및 이에 따른 제1센서 내지 제13센서(61 내지 73)의 눌림량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센서 내지 제13센서(61 내지 73)의 설치 구조나 높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member 240 has a vertical damper capability in response to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tram line unit 20, that is, the upward force. For exampl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first to thirteenth sensors (61 to 73) may be 0.6 to 1.5 kgf, and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to thirteenth sensors (61 to 73) is pressed with a force of 10 to 15 mm. It can b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first to thirteenth sensors (61 to 73) and the resulting pressing amount of the first to thirteenth sensors (61 to 73)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first to thirteenth sensors (61 to 73)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may chang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r height of the 13th sensor (61 to 73).

또한, 제3감지접촉부(2431)의 길이, 전차선부(20)의 좌우 변위 폭에 따라 제1감지부재(24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umber of first sensing members 24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third sensing contact portion 2431 and the left and right displacement width of the tram line portion 20.

제2감지부(300)는 차량부(100)에 설치되고, 차량부(100)의 주행 방향에 놓인 애자부(30)의 위치를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감지부(300)는 차량부(100)의 주행 과정에서 전차선부(20)와 연결된 애자부(30)가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The second detection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100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unit 30 loc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nit 1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etection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insulator unit 30 connected to the catenary unit 20 is installed on the left or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20 dur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vehicle unit 100. sens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300)는 제2감지바디부(310), 제2감지부재(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sens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and a second sensing member 320.

제2감지바디부(310)는 차량부(100)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2감지부재(32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바디부(310)는 대략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단부가 제1감지바디부(210)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제2감지바디부(310)는 차량부(100)의 상측면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감지바디부(3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차량부(100)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2감지바디부(310)의 상단부는 차량부(100)의 좌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제2감지바디부(310)는 차량부(100) 상에서 제1감지부(2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portion 100 and supports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L”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nsing body portion 210. In contrast, the second sensing body unit 310 can also be directly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unit 100. The second sensing body unit 310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20.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ensing body unit 310 extends horizontally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unit 100. The second sensing body unit 310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ensing unit 200 on the vehicle unit 100.

제2감지부재(320)는 제2감지바디부(310)로부터 연장되고, 차량부(100)의 이동 시 전차선부(20)와 연결된 애자부(30)의 위치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재(320)는 제2감지바디부(310)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감지부재(3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2감지바디부(310)의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2감지부재(320)는 차량부(100)의 이동에 연동되어 각각 전차선부(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30)와 접촉된다. 즉, 도 9를 기준으로, 제2감지바디부(310)의 좌측에 배치된 제2감지부재(320)는 전차선부(20)의 좌측에 연결된 애자부(30)와 접촉되고, 제2감지바디부(310)의 우측에 배치된 제2감지부재(320)는 전차선부(20)의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30)와 접촉된다. 한 쌍의 제2감지부재(320)는 애자부(30)와 접촉되어 각각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제2감지부재(320)는 상술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외선 센서 등 비접촉 방식에 의해 애자부(3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extends from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portion 30 connected to the catenary portion 20 when the vehicle portion 100 moves.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bar shap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The second sensing members 320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The pair of second sensing members 320 are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unit 10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ulator unit 30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tenary unit 20, respectively. That is, based on FIG. 9,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30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catenary portion 20,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30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catenary portion 20.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portion 310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30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catenary portion 20. The pair of second sensing members 320 are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30, each generates a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tails, and can also detect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30 using a non-contact method such as an infrared sensor.

제1세척부(400)는 차량부(100)에 구비되고, 차량부(100)와 함께 이동되며 전차선부(20)를 세척한다.The first washing unit 4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unit 100, moves together with the vehicle unit 100, and cleans the tram line unit 2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wa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부(400)는 세척탱크부(410), 제1세척바디부(420), 제1세척노즐부(4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clean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tank unit 410, a first cleaning body unit 420, and a first cleaning nozzle unit 440.

세척탱크부(410)는 차량부(100)에 장착되고 세척수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탱크부(4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부(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shing tank unit 410 is mounted on the vehicle unit 100 and stores washing water. The washing tank unit 4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mpty barrel and can b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unit 100.

제1세척바디부(420)는 차량부(10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바디부(420)는 제1감지바디부(210)의 상측면에 장착되고,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자체적으로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세척바디부(420)는 차량부(100)의 상측면에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세척바디부(420)는 제1감지부(200) 및 제2감지부(3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washing body unit 42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100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cleaning body par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nsing body part 210, and can increase or decrease its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In contrast, the first washing body part 420 can also be mounted directly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part 100. This first cleaning body unit 420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detection unit 200 and the second detection unit 300.

제1세척바디부(420)는 제1세척베이스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베이스부(430)는 제1세척바디부(420)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1세척바디부(4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높이가 조절된다.The first cleaning body portion 420 includes a first cleaning base portion 430. The first cleaning base portion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flat plat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leaning body portion 420, and is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cleaning body portion 420. It moves up and down by movement and the height is adjusted.

제1세척노즐부(440)는 제1세척베이스부(430)에 구비되고, 세척탱크부(410)에 연결되며, 전차선부(20)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is provided in the first washing base unit 430, is connected to the washing tank unit 410, and sprays washing water on the tram line unit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노즐부(440)는 복수개의 제1세척노즐(4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세척노즐(441)이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제1세척노즐(441)의 개수는 3개, 4개 등 다양한 개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first cleaning nozzle unit 4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leaning nozzles 441. Hereinafter, the first cleaning nozzles 44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y are formed as a pair, but the number of the first cleaning nozzles 441 can be changed to various numbers such as three or fo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노즐(441)은 하단부가 후술하는 제1세척이동부(450)를 매개로 제1세척베이스부(430)의 상측면에서 지지되고, 상단부가 제1세척베이스부(430)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1세척노즐(441)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차선부(20)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1세척노즐(441)은 호스 등을 매개로 세척탱크부(4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세척수를 전차선부(20)의 하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1세척노즐(441)은 전차선부(20)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전차선부(20)의 하측면 양측 전체에 걸쳐 세척수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세척노즐(441)은 분사 각도와 분사량이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세척노즐(441)은 전차선부(20) 외에도 필요에 따라 터널의 천정, 벽면의 세척 또한 실시가 가능하다.The first washing nozzle 4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end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shing base part 430 via a first washing moving part 450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upper end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washing nozzle 441. It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cleaning base portion 430. The first washing nozzles 441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arranged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ram line portion 20. The first washing nozzle 441 receives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tank unit 410 through a hose, etc., and sprays the supplied washing wat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unit 20. In this case, the pair of first washing nozzles 441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ram line 2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prayed uniformly over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20. . The pair of first washing nozzles 441 are provided so that the spray angle and spray amount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Accordingly, the first cleaning nozzle 441 can also clean the ceiling and walls of the tunnel, if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tram line portion 2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이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hing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부(400)는 제1세척이동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wash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shing moving unit 450.

제1세척이동부(450)는 제1세척베이스부(430)에 장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제1세척노즐부(44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제1세척이동부(450)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7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cleaning moving unit 450 is mounted on the first cleaning base unit 430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irst cleaning nozzle unit 440 to the left and right.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shing moving unit 45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이동부(45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세척베이스부(430)의 좌우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세척노즐부(4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안내부(451) 및 이동안내부(451)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각각의 제1세척노즐부(44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액추에이터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액추에이터부(452)는 후술하는 제어부(700)에 의해 자체 길이가 가변되거나 회전되면서 제1세척노즐부(440)를 좌우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세척이동부(450)는 제1세척노즐부(440)와 전차선부(20)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washing moving parts 4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washing base part 430, and move the first washing nozzle part 440. It may include a supporting moving guide 451 and a moving actuator part 452 connected to the moving moving part 451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individually move each first washing nozzle part 440. there is. The moving actuator unit 452 moves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left and right while its length is changed or rotated by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first washing moving unit 450 can prevent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and the catenary unit 20 from colli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부(400)는 세척가열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lean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and heating unit 460.

세척가열부(460)는 세척탱크부(410)에 장착되어 세척수를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가열부(460)는 세척탱크부(410)에 내장되어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재(461)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heating unit 460 is mounted on the washing tank unit 410 and heats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heating unit 4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ing member 461 built into the washing tank unit 410 to heat the washing water.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세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shing deterg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부(400)는 세척세제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세제부(470)는 제1세척베이스부(430)에 장착되고, 전차선부(20) 및 애자부(30)에 세제를 분사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first wash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detergent unit 470. The washing detergent unit 470 is mounted on the first washing base unit 430 and sprays detergent on the catenary unit 20 and the insulator unit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세제부(470)는 차량부(100)에 장착되는 세제탱크부(471), 세제탱크부(471)와 연결되어 세제를 안내하는 세제공급부(472), 세제공급부(472)와 연결되고 제1세척베이스부(430)에 장착되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노즐부(47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노즐부(473)는 제1세척노즐부(440)과 대응되는 구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차선부(20)와 충돌하지 않고 세제를 분사할 수 있다. The washing detergent unit 4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rgent tank unit 471 mounted on the vehicle unit 100, a detergent supply unit 472 connected to the detergent tank unit 471 to guide detergent, and detergent. It may include a detergent nozzle unit 473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472 and is mounted on the first washing base unit 430 to spray detergent. The detergent nozzle unit 473 is formed to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so that detergent can be sprayed without colliding with the tram line unit 20.

제2세척부(500)는 차량부(100)에 구비되고, 전차선부(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30)를 세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세척부(5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차량부(10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2세척부(500)는 전차선부(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30)를 각각 세척한다. 한 쌍의 제2세척부(500)는 상호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차량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leaning unit 5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unit 100 and cleans the insulator unit 30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tenary unit 2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washing unit 500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tram line unit 20. The pair of second cleaning units 500 each clean the insulator unit 30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tenary unit 20. The pair of second washing units 50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unit 100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부 및 제3세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부 및 제3세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ure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leaning unit and the third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leaning unit and the third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chematic front view.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부(500)는 제2세척바디부(510), 제2세척노즐부(530), 브러시부(540), 브러시노즐부(550)를 포함한다.13 and 14,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leaning body unit 510, a second cleaning nozzle unit 530, a brush unit 540, and a brush. Includes a nozzle unit 550.

이하에서는 한 쌍의 제2세척부(500) 중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우측(도 1 기준)에 연결된 애자부(30)를 세척하는 제2세척부(5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제2세척부(500) 중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좌측(도 1 기준)에 연결된 애자부(30)를 세척하는 제2세척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우측(도 1 기준)에 연결된 애자부(30)를 세척하는 제2세척부(500)와 설치 방향만을 달리할 뿐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which cleans the insulator part 30 connected to the right side (based on FIG. 1)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part 20, among the pair of second cleaning parts 5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Among the pair of second cleaning units 500,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which cleans the insulator part 30 connected to the left side (based on FIG. 1)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part 20, is as shown in FIG. The same explanation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which cleans the insulator unit 30 connected to the right side (based on FIG. 1)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20, except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is different.

제2세척바디부(510)는 차량부(10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바디부(510)는 차량부(100)의 상측에 장착되고,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자체적으로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제2세척바디부(510)는 제1세척부(4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세척부(500)에 구비되는 제2세척바디부(510)는 후술하는 제어부(700)에 의해 승강 작동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5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100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unit 100, and can increase or decrease its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This second cleaning body unit 510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cleaning unit 400.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510 provided in the pair of second washing units 500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2세척바디부(510)는 제2세척베이스부(520)를 포함한다. 제2세척베이스부(520)는 제2세척베이스부(520)에 장착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베이스부(520)는 제2세척바디부(510)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된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세척바디부(51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높이가 조절된다. 제2세척바디부(510)는 좌우 양측이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좌우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세척바디부(510)는 좌우 양측에 각각 후술하는 제2세척노즐부(530)와 제3세척노즐부(61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The second cleaning body portion 510 includes a second cleaning base portion 520. The second cleaning base unit 520 is mounted on the second cleaning base unit 520 and its height is adjusted. The second cleaning base portion 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flat plat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leaning body portion 510, and is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cleaning body portion 510. It moves up and down by movement and the height is adjusted. The second washing body portion 510 is formed so that both left and right sides exte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tram line portion 20. Accordingly, the second washing body part 510 can provide a spac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here the second washing nozzle part 530 and the third washing nozzle part 6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respectively.

제2세척노즐부(530)는 제2세척바디부(510)에 설치되고, 애자부(3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The second cleaning nozzle unit 530 is installed in the second cleaning body unit 510 and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insulator unit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노즐부(530)는 제2전방세척노즐(531), 제2후방세척노즐(532)를 포함한다.The second cleaning nozzle unit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front cleaning nozzle 531 and a second rear cleaning nozzle 532.

제2전방세척노즐(531)과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제2세척노즐부(530)는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제2세척베이스부(520)의 일측(도 13 기준 우측)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제2전방세척노즐(531)과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세척탱크부(4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1 and 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532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washing base part 520 with respect to the tram line part 20 (right side in FIG. 13). ) and sprays washing water in different directions. 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1 and 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532 can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tank unit 410 and spray the washing w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방세척노즐(531)은 제2세척바디부(510), 보다 구체적으로 제2세척베이스부(520)의 전방에 설치되고, 차량부(100)의 주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즉, 제2전방세척노즐(531)은 후술하는 브러시부(540)가 애자부(30)를 청소하기에 앞서 애자부(3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애자부(30)를 1차적으로 세척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제2전방세척노즐(53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애자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전방세척노즐(531)은 애자부(3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세척수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제2전방세척노즐(531)의 구체적인 개수는 도 13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애자부(30)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2전방세척노즐(531)은 애자부(30)의 높이 등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51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washing base unit 520, and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unit 100 while driving. Spray washing water in this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front cleaning nozzle 531 primarily cleans the insulator portion 30 by spraying washing water on the insulator portion 30 before the brush portion 5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eans the insulator portion 30. It functions as a composition. A plurality of second front cleaning nozzles 531 are provided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portion 30. Accordingly, 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1 can spray washing water uniform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sulator part 30. The specific number of the second front cleaning nozzles 531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in FIG. 13,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insulator portion 30, etc. 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1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spray angle of the washing water can be independently adjus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insulator part 30,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제2세척바디부(510), 보다 구체적으로 제2세척베이스부(520)의 후방에 설치되고, 차량부(100)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즉,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후술하는 브러시부(540)가 애자부(30)를 청소한 이후 애자부(3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애자부(30)를 최종적으로 세척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애자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애자부(3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세척수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구체적인 개수는 도 13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애자부(30)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2후방세척노즐(532)은 애자부(30)의 높이 등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5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washing body part 51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washing base part 520, and is installed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unit 100. Spray the washing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rear cleaning nozzle 532 is a configuration that finally cleans the insulator section 30 by spraying washing water on the insulator section 30 after the brush section 5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leans the insulator section 30. It functions. A plurality of second rear cleaning nozzles 532 are provided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portion 30. Accordingly, 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532 can spray washing water uniforml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sulator part 30. The specific number of the second rear cleaning nozzles 532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in FIG. 13,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insulator portion 30, etc. 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532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spray angle of the washing water can be independently adjus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insulator part 30, etc.

브러시부(540)는 제2세척바디부(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애자부(30)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부(540)는 제2세척베이스부(52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통형의 롤러 브러시로 예시될 수 있다. 브러시부(540)는 제2전방세척노즐(531)과 제2후방세척노즐(532)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축의 방향이 애자부(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브러시부(540)는 제2세척바디부(510)가 소정 높이 이상 상승됨에 따라 애자부(30)의 표면에 접촉된다. 브러시부(540)는 애자부(30)와 접촉된 상태에서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애자부(30)의 표면에 묻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경우, 브러시부(540)는 섬유나 수지 재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애자부(30)와의 직접 접촉시 애자부(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브러시부(540)는 중심축이 전동 모터 등과 연결되어 자체적인 구동력에 의해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brush unit 54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cleaning body unit 510 and contacts the insulator unit 3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 brush unit 5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as a cylindrical roller brush rotatably supported on the second washing base unit 520. The brush unit 54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ront cleaning nozzle 531 and the second rear cleaning nozzle 532, and its central axis is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or portion 30. The brush unit 540 contacts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unit 30 as the second cleaning body unit 510 is rais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brush unit 540 is rotated about its central axis while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unit 30, there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unit 30. In this case, the brush portion 540 is formed to include fiber or a resin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the insulator portion 30 when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30. The brush unit 540 has a central axis connected to an electric motor, etc., and can be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by its own driving force.

브러시노즐부(550)는 제2세척바디부(510)에 설치되고, 브러시부(540)로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노즐부(550)는 제2세척베이스부(520) 상에 고정되어 브러시부(54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브러시노즐부(5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브러시부(540)와 제2전방세척노즐(531)의 사이 및 브러시부(540)와 제2후방세척노즐(532)의 사이에 배치된다. 브러시노즐부(550)는 세척탱크부(4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브러시부(540)가 애자부(30)의 표면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브러시부(54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에 따라 브러시노즐부(550)는 애자부(30)의 청소 과정에서 브러시부(540)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수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브러시부(540)의 세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brush nozzle unit 550 is installed i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510 and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brush unit 540. The brush nozzle unit 5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on the second cleaning base unit 520 and disposed to face the brush unit 540. The brush nozzle unit 5400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rush unit 540 and 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1 and between the brush unit 540 and 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532. Brush The nozzle unit 550 receives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tank unit 410 and sprays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brush unit 540 while the brush unit 540 cleans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unit 30. Accordingly, the brush unit 540 The nozzle unit 550 can further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brush unit 540 by continuous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brush unit 540 with washing water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insulator unit 30.

제3세척부(600)는 제2세척바디부(510)에 설치되고, 제1세척부(400)와 함께 전차선부(20)를 세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세척부(600)는 제3세척노즐부(610)를 포함한다.The third washing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510 and washes the tram line unit 20 together with the first washing unit 400. The third washing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washing nozzle unit 6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세척노즐부(6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제2세척베이스부(520)에 각각 설치된다. 제3세척노즐부(610)는 제2세척베이스부(520)의 타측(도 13 기준 좌측) 즉, 제2세척베이스부(520) 상에서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제2세척노즐부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3세척노즐부(610)는 제2세척바디부(510)의 승강 과정에서 애자부(3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3세척노즐부(610)는 제2세척바디부(510)가 소정 높이 이상 즉, 브러시부(540)가 애자부(30)와 접촉 가능한 높이로 상승 이동됨에 따라, 전차선부(2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3세척노즐부(610)는 전차선부(20)보다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차선부(20)의 상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에 따라 제3세척노즐부(610)는 제1세척부(400)에 의해 직접적으로 세척되지 않는 전차선부(20)의 상측면을 세척할 수 있어 전차선부(20)의 세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rd washing nozzle unit 6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different second washing base units 520. The third washing nozzle unit 61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ashing base unit 520 (left side in FIG. 13), that is, on the second washing base unit 5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washing nozzle unit with respect to the tram line unit 20. is placed in Accordingly, the third cleaning nozzle part 61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insulator part 30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second cleaning body part 510. The third cleaning nozzle unit 610 moves higher than the catenary unit 20 as the second cleaning body unit 510 moves upwar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to a height at which the brush unit 540 can contact the insulator unit 30. It is placed on the upper side. The third washing nozzle unit 610 is disposed above the tram line unit 20 and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ram line unit 20. Accordingly, the third washing nozzle unit 610 can clean the upper side of the catenary part 20 that is not directly cleaned by the first washing part 400,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catenary part 20. You can.

제어부(700)는 제1감지부(200)로부터 감지된 전차선부(20)의 변위 정보에 따라 제1세척부(4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전차선부(20)의 상하, 좌우 위치 변동에 관계 없이 제1세척부(400)로 하여금 일정한 세척 성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sh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tram line unit 20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20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can enable the first washing unit 400 to maintain constant washing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fluctuation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tram line unit 20.

또한, 제어부(700)는 제2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애자부(3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2세척부(500) 및 제3세척부(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한 쌍의 제2세척부(500) 중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제2감지부(300)가 감지한 애자부(30)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를 상승 이동시키고, 애자부(30)와 반대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를 하강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700)는 제2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애자부(30) 및 전차선부(20)의 상측면이 세척되도록 상승 이동된 제2세척부(500) 및 제3세척부(60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애자부(30)의 위치에 따라 동작이 필요한 제2세척부(500)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제2세척부(500)의 승강 과정에서 제3세척부(600)가 애자부(3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and the third cleaning unit 600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sulator unit 30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30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700 is a second cleaning uni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sulator unit 30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300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20 among the pair of second cleaning units 500. (500) is moved upward,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insulator unit (30) is moved downward.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moves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and the third cleaning unit ( 600) operate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can selectively operate only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that requires opera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unit 30,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process of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ird cleaning unit 600 from colliding with the insulator unit 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선 세척 장치(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tenary wash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차량부(100)가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감지부(200)는 전차선부(20)의 변위를 감지한다.While the vehicle unit 100 moves along the rail unit 10, the first detection unit 200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catenary unit 20.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부(100)가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지컨트롤부(260)는 감지측정부(250)로부터 측정된 압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감지부재(240)가 설정압력 범위 내에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감지바디부(21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여 제1감지부재(240)를 전차선부(20)와 접촉시킨다.More specifically, while the vehicle unit 100 moves along the rail unit 10, the detection control unit 260 detects the first detection member 240 based on the pressure data measured from the detection measurement unit 250. The first sensing member 2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tenary section 20 by adjusting the elevation height of the first sensing body portion 210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ithin the set pressure range.

이에 따라, 제1센서 내지 제13센서(61 내지 7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전차선부(20)에 의해 가압되고, 제6감지센서부(246)는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teenth sensors (61 to 73) is pressurized by the tram line unit 20, and the sixth detection sensor unit 246 outputs a detection signal.

제어부(700)는 제6감지센서부(246)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감지 신호로부터 전차선부(20)의 변위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70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ixth detection sensor unit 246 and deter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tram line unit 20 from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제어부(700)는 판단된 전차선부(20)의 변위에 따라 제1세척바디부(420) 및 제1세척이동부(450)를 동작시켜 제1세척노즐부(440)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제어부(700)는 제1세척노즐부(44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세척노즐(441) 사이에 전차선부(20)가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제1세척노즐부(440)와 전차선부(20) 간의 거리가 전차선 세척에 적합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세척노즐부(440)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한다.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first washing body part 420 and the first washing moving part 45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cement of the catenary part 2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nozzle part 440.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positions the catenary unit 20 between the pair of first washing nozzles 441 provided in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and simultaneously positions each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 and the tram line unit 20 adjust the up-down and left-right positions of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m line unit 20 can be maintained at a distance suitable for washing the tram line.

제어부(700)는 제1세척노즐부(440)가 정위치로 위치됨에 따라 제1세척노즐부(440)를 동작시킨다.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first cleaning nozzle unit 440 as the first cleaning nozzle unit 440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제1세척노즐부(44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세척노즐(441)은 전차선부(20)의 하측면 양측으로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전차선부(20)의 하측면을 세척한다. A pair of first washing nozzles 441 provided in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440 spray washing water toward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part 20 to clean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part 20.

차량부(100)가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2감지부(300)는 애자부(30)의 위치를 감지한다.While the vehicle unit 100 moves along the rail unit 10, the second detection unit 3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unit 30.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감지부재(320) 중 어느 하나의 제2감지부재(320)는 차량부(100)의 이동에 연동되어 전차선부(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30)와 접촉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제2감지바디부(310)의 우측에 배치된 제2감지부재(320)가 전차선부(20)의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30)와 접촉되는 경우, 제2감지부재(320)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More specifically, one of the second sensing members 320 of the pair of second sensing members 320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uni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tenary unit 20 ( 30) is contacted. For example, based on Figure 1, when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310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30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20,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generates a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700)는 제2감지부재(32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 신호로부터 애자부(30)가 전차선부(20)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insulator unit 3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tenary unit 20 from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이후 제어부(700)는 한 쌍의 제2세척부(500) 중 차량부(100)의 우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에 구비되는 제2세척바디부(510)를 상승 이동시키고, 차량부(100)의 좌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에 구비되는 제2세척바디부(510)는 하강 이동시킨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700 moves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510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unit 500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unit 100 among the pair of second washing units 500 upward and moves the vehicle unit 510 upward. The second cleaning body unit 510 provided in the second cleaning unit 500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unit 100 is moved downward.

이후, 제어부(700)는 우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에 구비된 제2세척노즐부(530), 브러시부(540), 브러시노즐부(550)를 동작시켜 전차선부(20)의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30)를 세척한다.Afterwards,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econd washing nozzle unit 530, the brush unit 540, and the brush nozzle unit 550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unit 500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tram line unit 20. Clean the insulator part (30) connected to the right.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부(100)가 애자부(30)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제2전방세척노즐(531)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애자부(30)의 표면을 1차적으로 세척한다.More specifically, as the vehicle unit 100 moves toward the insulator unit 30, 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1 sprays washing water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primarily clean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unit 30. Wash.

이후, 제2전방세척노즐(531)가 애자부(30)를 통과함에 따라 브러시부(540)가 애자부(30)의 표면에 접촉된다. Thereafter, as the second front cleaning nozzle 531 passes through the insulator portion 30, the brush portion 540 contacts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portion 30.

브러시부(540)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며 애자부(30)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The brush unit 540 rotates about its central axi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unit 30.

이 과정에서, 브러시노즐부(550)는 브러시부(540)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브러시부(540)의 표면으로 옮겨진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한다.In this process, the brush nozzle unit 550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brush unit 540 to continuously remove foreign substance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brush unit 540.

브러시부(540)가 애자부(30)를 통과함에 따라 제2후방세척노즐(532)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애자부(30)의 표면을 최종적으로 세척한다.As the brush unit 540 passes through the insulator unit 30, the second rear cleaning nozzle 532 sprays washing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finally clean the surface of the insulator unit 30.

이후, 제2감지부(300)가 전차선부(20)의 좌측에 위치한 애자부(30)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700)는 차량부(100)의 좌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에 구비되는 제2세척바디부(510)를 상승 이동시키고, 차량부(100)의 우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에 구비되는 제2세척바디부(510)는 하강 이동시킨다.Thereafter, when the second detection unit 300 detects the insulator unit 3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tenary unit 20, the control unit 700 detects the second washing unit 500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unit 100. The second washing body part 510 provided in is moved upward, and the second washing body part 510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part 500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unit 100 is moved downward.

이후, 제어부(700)는 좌측에 설치된 제2세척부(500)에 구비된 제2세척노즐부(530), 브러시부(540), 브러시노즐부(550)를 동작시켜 전차선부(20)의 좌측에 연결된 애자부(30)를 상술한 동작에 의해 세척한다.Afterwards,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second washing nozzle unit 530, the brush unit 540, and the brush nozzle unit 550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unit 500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tram line unit 20. The insulator part 30 connected to the left is cleane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한편, 제2세척바디부(510)가 소정 높이 이상 상승됨에 따라, 제3세척노즐부(610)는 전차선부(2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3세척노즐부(610)는 제2세척베이스부(520) 상에서 전차선부(20)를 기준으로 제2세척노즐부(530)의 반대측에 배치됨에 따라 애자부(30)와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제3세척노즐부(610)는 전차선부(20)의 상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전차선부(20)의 상측면을 세척한다.Meanwhile, as the second washing body part 510 is rais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third washing nozzle part 610 is disposed above the tram line part 20. In this case, the third cleaning nozzle unit 610 is disposed on the second cleaning base unit 5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leaning nozzle unit 530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20, thereby preventing collision with the insulator unit 30. This can be prevented. Thereafter, the third washing nozzle unit 610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20 to clean the upper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20.

아울러, 제어부(7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차선부(20) 및 애자부(30)의 세척 과정에서 세척가열부(460)를 제어하여 세척수를 가열함으로써 고온의 세척수를 제1세척부(400), 제2세척부(500) 및 제3세척부(6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세척세제부(470)를 제어하여 전차선부(20) 또는 애자부(30)에 세제를 추가적으로 더 분사함으로써 세척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washing heating unit 460 to heat the washing water during the washing process of the catenary unit 20 and the insulator unit 30 as described above, thereby sending the high temperature washing water to the first washing unit 400. ,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unit 500 and the third washing unit 6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washing detergent unit 470 to spray additional detergent on the tram line unit 20 or the insulator unit 30, thereby further improving clean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 : 전차선 세척 장치 10 : 레일부
20 : 전차선부 21 : 전차선
22 : 강체 30 : 애자부
40 : 서포트 50 : 클램프부
100 : 차량부 200 : 제1감지부
210 : 제1감지바디부 220 : 제1감지베이스부
230 : 감지롤러부 240 : 제1감지부재
241 : 제1감지센서부 242 : 제2감지센서부
243 : 제3감지센서부 244 : 제4감지센서부
245 : 제5감지센서부 246 : 제6감지센서부
250 : 감지측정부 260 : 감지컨트롤부
300 : 제2감지부 310 : 제2감지바디부
320 : 제2감지부재 400 : 제1세척부
410 : 세척탱크부 420 : 제1세척바디부
430 : 제1세척베이스부 440 : 제1세척노즐부
441 : 제1세척노즐 450 : 제1세척이동부
460 : 세척가열부 470 : 세척세제부
500 : 제2세척부 510 : 제2세척바디부
520 : 제2세척베이스부 530 : 제2세척노즐부
531 : 제2전방세척노즐 532 : 제2후방세척노즐
540 : 브러시부 550 : 브러시노즐부
600 : 제3세척부 610 : 제3세척노즐부
700 : 제어부
1: Tram line cleaning device 10: Rail section
20: tram line 21: tram line
22: rigid body 30: insulator
40: Support 50: Clamp part
100: vehicle unit 200: first detection unit
210: first sensing body part 220: first sensing base part
230: Sensing roller unit 240: First sensing member
241: first detection sensor unit 242: second detection sensor unit
243: Third detection sensor unit 244: Fourth detection sensor unit
245: 5th detection sensor unit 246: 6th detection sensor unit
250: detection measurement unit 260: detection control unit
300: second detection unit 310: second detection body unit
320: second sensing member 400: first washing unit
410: Washing tank part 420: First washing body part
430: first washing base part 440: first washing nozzle part
441: first washing nozzle 450: first washing moving part
460: Washing heating unit 470: Washing detergent unit
500: second washing part 510: second washing body part
520: Second washing base part 530: Second washing nozzle part
531: Second front washing nozzle 532: Second rear washing nozzle
540: Brush unit 550: Brush nozzle unit
600: Third washing unit 610: Third washing nozzle unit
700: Control unit

Claims (16)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차량부;
상기 차량부에 구비되고, 전차선부를 세척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차량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차선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애자부를 세척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Vehicle parts moving along rails;
A first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unit and cleaning the tram line unit; and
A second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unit and cleaning the insulator part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tenary unit. A catenary wash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차량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세척바디부; 및
상기 제1세척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차선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washing unit,
a first washing body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hicle unit; and
A catenary wash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washing nozzle part provided in the first washing body part and spraying washing water on the catenary pa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노즐부는 상기 전차선부의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전차선부의 하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제1세척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ram line unit, and a plurality of first washing nozzles that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tram line unit. A tram line washing device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제1세척바디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세척노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세척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first washing unit is mounted on the first washing body part, and a first washing moving part that moves the first washing nozzle unit to the left and righ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에 장착되고, 전차선부를 실시간 압박하면서 상기 전차선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전차선부의 변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A first sensing unit mounted on the vehicle unit and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tram line while pressing the tram line in real tim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catenary unit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차선부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부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catenary wa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ashing unit is provided as a pair and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unit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차량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세척바디부;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애자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세척노즐부; 및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애자부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second washing unit,
a second washing body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hicle unit;
a second washing nozzle unit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insulator unit; and
A catenary washing device comprising a brush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contacting the insulator un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노즐부는,
상기 제2세척바디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부의 주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전방세척노즐; 및
상기 제2세척바디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부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후방세척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second washing nozzle part,
a second front washing nozzle installed in front of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nit; and
A catenary wash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rear washing nozz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세척노즐과 상기 제2후방세척노즐은 세척수의 분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catenary wash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ront washing nozzle and the second rear washing nozzle are provided to independently adjust the spray angle of the washing wat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부로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브러시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second washing unit is installed on the second washing body unit, and a brush nozzle unit that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brush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에 설치되고, 상기 애자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애자부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제2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second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insulator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air of second cleaning units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sulator unit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차량부에 설치되는 제2감지바디부; 및
상기 제2감지바디부의 양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차량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전차선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된 상기 애자부와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제2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second detection unit,
a second sensing body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unit; and
A pair of second sensing membe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ensing body portion and each in contact with the insulator portion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tram line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vehicl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atenary washing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차선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애자부측에 설치된 상기 제2세척부를 상승 이동시키고, 상기 애자부와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제2세척부를 하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cleaning uni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sulator part detected by the second detection unit upward based on the catenary unit, and moves the second cleaning unit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ulator unit downward.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차선부를 세척하는 제3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catenary was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washing part installed in the second washing body part and washing the catenary par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세척부는 상기 전차선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세척노즐부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차선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세척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third washing unit is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washing nozzle unit with respect to the catenary unit, and a third washing nozzle unit that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catenary uni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세척노즐부는 상기 제2세척바디부가 상승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전차선부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차선부의 상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 세척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third washing nozzle unit is disposed above the tram line as the second washing body moves upward, and sprays washing wat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ram line.
KR1020220066276A 2022-05-30 2022-05-30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KR202301672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276A KR20230167205A (en) 2022-05-30 2022-05-30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276A KR20230167205A (en) 2022-05-30 2022-05-30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205A true KR20230167205A (en) 2023-12-08

Family

ID=8916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276A KR20230167205A (en) 2022-05-30 2022-05-30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20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92200B2 (en) System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current collector
KR102109961B1 (en) Apparatus for washing rigid bar
AU638867B2 (en) A machine for checking the contact wire of an overhead contact line
KR100979520B1 (en) a device for tester which state of regulate the tension at streetcar line
KR20230167205A (en) Cleaning device for conductor rail
CN104024028A (en) Electric power supply assembly with assisted establishment of electrical contact with a power-collecting track carried by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KR102432012B1 (en) Apparatus for washing rigid bar
CN111023825B (en) Self-diagnosis sintering machine end seal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32013B1 (en) Cleaning device for rigid bar
KR102432097B1 (en) Cleaning device for rigid bar
KR102432098B1 (en) Cleaning device for rigid bar
CN217358823U (en) Onlin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contact pressure of collector shoe and third rail
KR102233507B1 (en) Cleaning device for rigid bar
US20080313832A1 (en) Rollover Wash Unit For a Vehicle Wash System
KR200296589Y1 (en) Automatic washing system for washing insulator and t-bar
KR101202618B1 (en) Apparatus for cleanning tunnel lamp
KR100995912B1 (en) System for detecting the damage of electric rail car's pantograph
CA1066786A (en) Current collecting system for vehicle
KR102083004B1 (en) a spray nozzle type antifreeze substance coating apparatus for a catenary
JP5239902B2 (en) Car wash machine
RU2015240C1 (en) Device for installation of tool frame on track rails
JP3634491B2 (en) Train line overhead structure
CN216141822U (en) Rail sideslip device of polishing
CN208897079U (en) Earthed brush assembly, bogie and rail vehicle
US200400653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