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903A -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loc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loc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903A
KR20230166903A KR1020230060639A KR20230060639A KR20230166903A KR 20230166903 A KR20230166903 A KR 20230166903A KR 1020230060639 A KR1020230060639 A KR 1020230060639A KR 20230060639 A KR20230060639 A KR 20230060639A KR 20230166903 A KR20230166903 A KR 20230166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cking device
automatic locking
power
pyrolysis ga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덕준
Original Assignee
임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덕준 filed Critical 임덕준
Publication of KR2023016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9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1/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 E05B51/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8Cooling thereof; Tub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7/00Doors
    • F23M7/02Fram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05Y2900/6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에 관한 것이다.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는 폐기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통부; 통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도어 바디 및 도어 바디의 하부에 연결되어 도어 바디를 기 설정된 제1 위치 또는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바닥 도어부; 및 통부 및 바닥 도어부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승강 수단에 의해 도어 바디가 제1 위치에 도달하면, 통부 및 바닥 도어부를 상호 고정되도록 록킹시키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gasifier compris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includ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ncludes a barrel into which waste is introduced and pyrolyzed; a bottom door part including a door body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and a lifting mean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body to raise and lower the door body to a preset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and an automatic locking devic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portion and the bottom door portion, and locking the barrel portion and the bottom door portion to be mutually fixed when the door body reaches the first position by the lifting means.

Description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LOCKING APPARATUS}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gasifier compris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생활 폐기물, 산업 폐기물 등과 같은 폐기물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폐기물의 처리 방법 중 하나는, 유기물을 포함하여 바이오매스 연료로서 활용 가능한 폐기물,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폐합성수지 등 가연성 폐기물을 분류하여 이를 열분해하고, 열분해를 통해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활용하여 터빈을 구동하거나 스팀을 생성하는 등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가연성 폐기물들을 가스화로에서 열분해하여 발생된 가스를 활용한다면 탄산가스의 배출량을 줄여 지구 온난화의 문제를 완화시켜 줄 수 있다.Wastes such as household waste, industrial waste, etc. are treated in various ways. One of the waste disposal methods is to classify combustible waste, including organic matter, waste that can be used as biomass fuel, and polypropylene-based waste synthetic resin, pyrolyze it, and use the combustible gas generated through pyrolysis to drive a turbine. This is a method used to generate steam. If we use the gas generated by pyrolyzing combustible waste in a gasifier, we can alleviate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by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종래의 열분해 가스화로는 바닥 도어부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 방향으로 이동된 바닥 도어부는 통부의 하부를 밀폐시킨다. 바닥 도어부에 의해 통부의 하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바닥 도어부가 통부로부터 하 방향으로 이격되지 못하도록 바닥 도어부와 통부를 록킹시키는 장치가 구비된다. 이렇게 바닥 도어부와 통부가 록킹 장치에 의해 록킹된 상태에서 통부에 유입된 폐기물의 열분해가 진행되고, 열분해 및 종말 소각이 종료되면, 록킹 장치가 우선 해제된다. 록킹 장치가 록킹 해제되면, 유압 실린더에 의해 바닥 도어부는 통부로부터 하강하며, 통부로부터 하강된 바닥 도어부 상에 쌓인 소각재는 스크래퍼를 포함한 자동 재 처리 장치에 의해 제거된다.A conventional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is configured so that the bottom door par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 hydraulic cylinder. The bottom door part moved upward by this hydraulic cylinder seals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A device is provided to lock the bottom door and the barrel to prevent the bottom door from being spaced downward from the barrel 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barrel is sealed by the floor door. In this way, while the bottom door and the barrel are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waste flowing into the barrel proceeds, and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and final incineration are completed, the locking device is first released. When the locking device is unlocked, the bottom door is lowered from the barrel by a hydraulic cylinder, and the incineration ash accumulated on the bottom door lowered from the barrel is removed by an automatic ash disposal device including a scraper.

그런데, 종래의 록킹 장치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바, 작업자의 실수로 록킹 장치를 미처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 도어부가 하강된다면, 바닥 도어부를 하강시키는 힘이 록킹 장치에 가해지면서 록킹 장치의 파손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is equipped to be manually locked and unlocked by the operator. If the bottom door part is lowered without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due to the operator's mistake, the force that lowers the bottom door part is applied to the lock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locking device as it falls.

또한, 자칫 잘못하면 록킹 장치가 파손되면서 바닥 도어부가 급강하하여 바닥 도어부의 손상 및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f a mistake is made, the locking device may be damaged and the floor door may drop suddenly, causing damage to the floor door and causing a safety accident.

등록특허공보 제10-1939492호(2019.01.1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39492 (2019.01.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바닥 도어부와 통부를 록킹시키는 장치를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장치 손상 및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한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n automatic locking device that eliminates the risk of device damage and safety accidents due to operator error by automating the device for locking the floor door and barrel. We would lik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er tha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통부; 상기 통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바디를 기 설정된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바닥 도어부; 및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 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를 상호 고정되도록 록킹시키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rrel into which waste is input and pyrolyzed; A bottom door part including a door body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and a lifting mean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body to raise and lower the door body to a preset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 And an automatic locking devic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and the bottom door, and locking the barrel and the floor door to be mutually fixed when the door body reaches the first position by the elevating means. A pyrolysis gasifier compris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바닥 도어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 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 상기 도어 바디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floor door unit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oor body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ing means.

또한, 상기 승강 수단은, 제1 삽입 포인트 및 상기 제1 삽입 포인트와 다른 제2 삽입 포인트를 갖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상기 제1 삽입 포인트 및 상기 제2 삽입 포인트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1 삽입 포인트 및 상기 제2 삽입 포인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fting means includes: a cylinder having a first insertion point and a second insertion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insertion point; and a piston movab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point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of the cylinder,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unit detects the piston inserted into the cylinder at the first insertion point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it is located at a point.

또한, 상기 자동 록킹 장치는,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동력 발생부;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구속부; 및 상기 동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includes a power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any one of the barrel portion and the bottom door portion; a restraining part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barrel part and the floor door part; And it may include a locking part that is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part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restraint part.

또한, 상기 록킹부가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lock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restraint unit.

또한, 상기 자동 록킹 장치는, 상기 동력 발생부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록킹부로 중계하는 동력 중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relay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to transmit power and relays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to the locking unit.

또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와 상기 록킹부를 연결하는 록킹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relay unit includes a cam membe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it may include a locking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cam member and the locking portion.

또한, 상기 캠 부재는, 제1 길이로 형성된 제1 둘레, 상기 제1 길이와 다른 제2 길이로 형성된 제2 둘레 및 상기 제1 둘레와 상기 제2 둘레를 연결하는 제3 둘레로 구분되고, 상기 제3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록킹 연결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용 홈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member is divided into a first perimeter formed at a first length, a second perimeter formed at a second length different from the first length, and a third perimeter connecting the first perimeter and the second perime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ircumference may be provided with a guid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is movably inserted.

또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록킹부와 연결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relay unit includes a worm gea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a pinio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it may include a rack gear that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nd is connected to the locking unit.

또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록킹부가 연결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바 부재의 연장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relay unit includes a worm gea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a pinio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a bar member formed to have the same center of rotation as the pinion gear so a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pinion gear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wherein the locking par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bar member, and the lock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ar member. It can be extended in a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extension.

또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전진할 때 압축되어 압축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동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블록의 둘레면 중 상기 동력 발생부가 접촉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록킹부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relay unit includes a moving block that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moves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nd compressed when the moving block moves forward to generate compression recovery force; And a support block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via the elastic body to support the moving block, and the locking part may be connected to a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lock that is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wer generating unit. .

또한, 상기 위치 감지부의 감지 값 및 상기 접촉 감지부의 감지 값을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 상의 재를 제거하기 위한 재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감지 값을 바탕으로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개시 여부 및 상기 재 처리부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ntact detection unit; and an ash processing unit for removing ash on the floor door por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t least one of whether to start locking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and whether to drive the ash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sition detection unit. You can deci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감지부의 감지 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통부에 투입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 개시 여부 및 상기 승강 수단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whether to start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combusti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and whether to drive the elevating means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ntact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 OFF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의 동작을 정지한 후,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ston reaches bottom dead center, a detection OF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iston is located at bottom dead center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After doing so,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구동이 시작된 후,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 접촉 ON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통부와 상기 바닥 도어부가 록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부의 내부에서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starts, a contact 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act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at the cylinder and the bottom door are locked, the inside of the cylinder is The pyrolysis process of waste may proceed.

또한, 상기 통부의 내부에서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언록킹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언록킹 구동이 시작된 후,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 접촉 OFF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부와 상기 바닥 도어부가 언록킹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point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of waste inside the barrel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and afte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begins, the contact sensor detects contact OFF.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barrel part and the floor door part are unlocked, and controls the lifting means.

또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 ON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의 동작을 정지한 후, 상기 재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ston reaches top dead center, a detection 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iston is located at top dead center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After this, the operation of the ash processing unit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실린더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과 결합되는 무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록킹부의 나머지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relay unit includes a cylinder housing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and a moving plate coupled to the cylinder housing,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moving plate, and the remainder of the locking portion may protrude to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또한, 상기 자동 록킹 장치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기 록킹부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록킹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guide portion that guides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닥 도어부와 통부를 록킹시키는 장치를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장치 손상 및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제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isk of device damage and safety accidents due to operator error can be eliminated by automating the device for locking the floor door portion and the barrel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하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하부를 도 3과는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가이드 포스트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메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재 처리기를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재 처리기를 이용하여 바닥 도어부 상의 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배열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자동 록킹 장치의 언록킹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위치 감지부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접촉 감지부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B-B'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C 부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동작 및 언록킹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pyrolysis ga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ure 4 is a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ure 1 from a different side than Figure 3.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guide post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 1.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housing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6.
Figures 8 to 10 are detailed views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ure 1.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sh on the bottom door using an automatic ash processor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12 is a plan view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 1.
FIG. 1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of FIG. 13.
FIG. 15 is a diagram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detection unit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1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ntact detection unit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2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20.
FIG. 22 is a plan view viewed from part C of FIG. 21.
FIG. 23 is a flow chart explaining the locking operation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하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하부를 도 3과는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Hereinafter, a pyrolysis ga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pyrolysis gas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This is a drawing shown, and FIG. 4 is a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 1 from a different side than that of FIG. 3.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1)는 통부(10), 바닥 도어부(20), 메인 프레임(30), 베이스 프레임(40) 및 재 처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pyrolysis gas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rel 10, a bottom door 20, a main frame 30, a base frame 40, and a ash processing unit. It may include (50).

통부(10)는 폐기물의 열분해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폐기물이 열분해되는 열분해 공간을 갖는 폐기물 연소실(100), 폐기물 연소실(100)의 상면을 개폐하는 뚜껑(110), 통부(10)의 하부에 제공되어 폐기물에 착화시키기 위한 착화 유닛(120) 및 폐기물 연소실(100) 하면에 부착된 하부 플랜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rrel 10 is a part where pyrolysis of waste takes place, and is provided with a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having a pyrolysis space where waste is pyrolyzed, a lid 110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nd a lower part of the barrel 10. It may include an ignition unit 120 for igniting waste and a lower flange 13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폐기물 연소실(100)은 상면과 하면이 뚫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폐기물 연소실(100)의 열분해 공간의 상부는 뚜껑(110)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는 바닥 도어부(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뚜껑(110) 및 바닥 도어부(20)에 의해 폐기물 연소실(100)이 폐쇄된 상태에서 폐기물 연소실(100)은 외부에 대하여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이 열분해되는 동안에는 폐기물 연소실(100) 내의 연소 불꽃, 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The upper part of the pyrolysis space of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110, and the lower par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bottom door 20. Additionally, while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is closed by the lid 110 and the bottom door 20,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can remain sealed against the outside. Accordingly, while the waste is thermally decomposed, combustion flames, gases, etc. within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폐기물 연소실(10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측부내화벽-측부 냉각 쟈켓-외벽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측부 냉각 쟈켓은 외부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서 냉매가 내부에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부 냉각 쟈켓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열분해 공간과 열교환하면서 냉매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렇게 냉매에 축적된 열에너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may be constructed by stacking a side fire wall, a side cooling jacket, and an outer wall in the ord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side cooling jacke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and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inside. As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side cooling jacket exchanges heat with the pyrolysis spac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may increase. The heat energy accumulated in the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recycled.

측부 냉각 쟈켓과 열분해 공간의 사이에는 측부내화벽이 배치될 수 있다. 측부내화벽은 단열 성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측부 냉각 쟈켓과 열분해 공간 사이의 열교환을 일부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측부내화벽에 의해 측부 냉각 쟈켓 내부의 냉매가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높아지거나, 열분해 공간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 측부내화벽의 두께는 약 50mm 내지 약 100mm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 범위 내에서 측부내화벽의 두께가 결정됨에 따라 내화재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위험도 없고, 열분해 온도가 너무 과하게 상승하는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A side fire wal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de cooling jacket and the pyrolysis space. The side firewall is made of a material with insulating properties, which may partially hinder heat exchange between the side cooling jacket and the pyrolysis space. Due to this side fire wall, the refrigerant inside the side cooling jacket may not be raised to an excessively high temperature,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pyrolysis space may not be excessively lowered. The thickness of the side fire wall can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about 50 mm to about 100 mm, and as the thickness of the side fire wall is determined within this thickness range, there is no risk of losing its function as a fire resistant material, and there is no problem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rising too much. It can be resolved.

뚜껑(110)은 폐기물 연소실(100)의 내측 방향으로 내화벽(112)이 형성되어, 뚜껑(110)이 닫힌 상태에서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의 열기가 상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뚜껑(110)은 폐기물 연소실(100)에 대하여 일단이 피봇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용이하게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뚜껑(110)의 일단에는 폐기물 연소실(100)과 회전 가능하도록 뚜껑(110)을 폐기물 연소실(100)에 연결시키는 힌지(116)가 제공되고, 뚜껑(110)이 닫혔을 때 폐기물 연소실(100)의 상부와 접촉하는 뚜껑(110)의 하면에는 폐기물 연소실(100)과 접촉하는 부분에 실링부재(11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114)에 의해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lid 110 has a fireproof wall 112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which can prevent the heat inside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from being released upward when the lid 110 is closed. In addition, the lid 110 can be configured to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having one end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For this purpose, one end of the lid 110 is provided with a hinge 116 that connects the lid 110 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so as to be rotatable, and when the lid 110 is closed,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 sealing member 11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110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100 and in contact with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This sealing member 114 can prevent gas inside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메인 프레임(30), 베이스 프레임(40) 및 후술할 재 처리부(50)의 가이드 프레임(500)은 각각 I-빔이 복수 개 서로 접합 연결된 육면체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제1 호이스트(310) 및 제2 호이스트(3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스켓 주행 레일(340)이 설치될 수 있다. 바스켓 주행 레일(340)에는 폐기물 투입 바스켓(330)이 계합될 수 있으며, 폐기물 투입 바스켓(330)은 제1 호이스트(310)와 연결되어 바스켓 주행 레일(340)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main frame 30, the base frame 40, and the guide frame 500 of the ash processing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each be configured as a hexahedral frame-shap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beams are bon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first hoist 310 and a second hoist 32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30, and a basket traveling rail 3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A waste input basket 330 may be engaged with the basket traveling rail 340, and the waste input basket 3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ist 310 and provided to rise along the basket traveling rail 340. there is.

뚜껑(110)과 연결된 제2 호이스트(320)의 작동에 의해 뚜껑(110)이 개방되면, 제1 호이스트(310)의 작동에 의해 폐기물이 내부에 적재된 폐기물 투입 바스켓(330)이 통부(10)의 상측 개구 쪽으로 상승하여 내부의 폐기물을 통부(10) 내의 폐기물 연소실(100)로 투입할 수 있다.When the lid 110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oist 320 connected to the lid 110, the waste input basket 330 with waste loaded therein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hoist 310. ) can rise toward the upper opening and inject the internal waste in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in the cylinder 10.

한편, 제1 호이스트(310) 및 제2 호이스트(320)의 구동은 제어부(90, 도 16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감지부(80, 도 16 참조)에서 후술할 자동 록킹 장치(60, 도 16 참조)의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되어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90)는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록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호이스트(310) 및 제2 호이스트(3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통부(10)에 폐기물이 투입되고, 통부(10)의 상부가 뚜껑(110)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driving of the first hoist 310 and the second hoist 3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6). For example, in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see FIG. 16), the locking unit 620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see FIG. 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eceived and contac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unit 630. When detected,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cylinder 10 and the floor door 20 are lock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hoist 310 and the second hoist 320, so that the cylinder 10 Waste is put in, and the upper part of the barrel 10 can be closed with the lid 110.

폐기물 연소실(100)로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폐기물의 예로는 에스알에프(SRF) 성형 연료, 에스알에프비성형 고형연료, 바이오 에스알에프 고형연료, 폐타이어, 폐타이어를 칩 상태로 만든 티디에프(TDF), 기타 생활 폐기물 또는 산업 폐기물을 기계적 파쇄, 분쇄, 선별하여 재활용하도록 생산한 가연성 혼합폐기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waste that is input in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nd pyrolyzed include SRF molded fuel, SRF non- molded solid fuel, bio SRF solid fuel, waste tires, and TDF made by turning waste tires into chips. , and other combustible mixed wastes produced for recycling by mechanically crushing, pulverizing, and sorting household or industrial wastes.

착화 유닛(120)은 통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의 가연성 폐기물에 착화를 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고, 열분해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착화 유닛(120)은 폐기물 연소실(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일정 간격을 두고 4 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ignition unit 12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10 and can ignite the combustible waste inside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to generate a flame and initiate thermal decomposition. The ignition unit 120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nd for example, may be arranged at four positions at regular intervals.

착화 유닛(120)은 폐기물 연소실(100)의 내부로 불꽃이 투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점화관, 점화관의 내부로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 플러그, 점화관의 단부에 제공되는 댐퍼 및 댐퍼를 슬라이딩시켜서 점화관의 단부를 개폐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또는 스크류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gnition unit 120 operates by sliding an ignition tube that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ame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 spark plug that generates a flame into the inside of the ignition tube, a damp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ignition tube, and a damper. It may include a cylinder that opens and closes the end of the ignition tube. The cylinder may be comprised of a pneumatic cylinder, hydraulic cylinder, or screw jack.

이에 따라, 점화 플러그로부터 불꽃이 발생되면 점화관을 통해 폐기물 연소실(100)의 내부로 불꽃이 전달되어 착화가 이루어지며, 소정의 시간 동안 착화가 실시된 후에 가연성 폐기물에 연소가 시작되면 댐퍼가 슬라이딩되어 점화관의 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로써, 착화에 필요한 시간 동안만 불꽃이 전달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착화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안전하게 폐기물에 대한 착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spark is generated from the spark plug, the flame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through the ignition pipe and ignition occurs. After ignition is carried ou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combustion begins in the combustible waste, the damper slides. This closes the end of the ignition tube. As a result, the flame can be transmitted only for the time required for ignition, so the waste can be ignited automatically and safely even if the worker does not manually ignite it.

한편, 착화 유닛(120)은 제어부(90, 도 16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90)는 접촉 감지부(80)에서 감지된 감지 값을 기초로 하여 착화 유닛(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감지부(80)에서 후술할 자동 록킹 장치(60, 도 16 참조)의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에 수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90)는 착화 유닛(120)을 구동시켜서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의 가연성 폐기물에 착화를 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고, 열분해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ignit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6), and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ignition unit 12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can do.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detects that the locking unit 620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see FIG. 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in the restraint unit 630, the control unit 90 detects the ignition unit 120 ) is driven to ignite the combustible waste inside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to generate a flame and allow thermal decomposition to begin.

하부 플랜지(130)는 폐기물 연소실(1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부재로서,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플랜지(130)의 내부에는 열분해 공간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130)는 바닥 도어부(20)의 밀봉링에 의해 압착되면 폐기물 연소실(100)과 바닥 도어부(20) 사이의 갭이 밀봉되는 패킹 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부재(25)는 바닥 도어부(20)에 대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킹 부재(25)는 밀봉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플랜지(13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링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lower flange 130 is a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nd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The interior of the lower flange 13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yrolysis space. Additionally, the lower flange 130 may include a packing member 25 that seals the gap between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nd the bottom door 20 when pressed by the sealing ring of the bottom door 20. The packing member 25 may be provided opposite the bottom door portion 20. For example, the packing member 25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form a sealed environment, and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r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flange 130.

바닥 도어부(20)는 통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통부(1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bottom door 2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10 to selectively seal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10.

이를 위해, 바닥 도어부(20)는 통부(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도어 바디(200), 도어 바디(200)의 상면에 제공되는 하부 내화벽(202), 열분해 공간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노즐(210), 내부에 공기를 포집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공기 공급 노즐(210)과 연결되어 내부에 포집된 공기가 공기 공급 노즐(21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포켓(220), 에어 포켓(220)과 연결되어 에어 포켓(22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 덕트(230), 도어 바디(200)의 내부에 제공되고, 내부에 냉매가 순환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하부 냉각 자켓(240), 베이스 프레임(40)에 고정되고, 도어 바디(200)에 단부가 연결되어 도어 바디(2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250) 및 베이스 프레임(4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 단부가 도어 바디(200)에 연결되는 가이드 포스트(260)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bottom door part 20 includes a door body 200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10, a lower fireproof wall 20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body 200, and a pyrolysis space necessary for combustion. An air supply nozzle 210 for supplying air, has a space inside for collecting air, and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nozzle 210 so that the air collected inside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supply nozzle 210. An air pocket 220, an air supply duct 230 connected to the air pocket 220 and providing a passage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pocket 220, provided inside the door body 200, and refrigerant inside A lower cooling jacket 240 that includes a space in which to circulate, is fixed to the base frame 40, and has an end connected to the door body 200 to raise and lower the door body 200. An elevating means 250 and a base It may include a guide post 260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frame 40 and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door body 200.

도어 바디(200)는 상부에서부터 하부 내화벽(202)-하부 냉각 자켓(240)-에어 포켓(220)으로 적층될 수 있다. 하부 내화벽(202)은 측부내화벽과 마찬가지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공기 공급 노즐(210)의 단부가 수용되는 노즐 수용홈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수용홈에 공기 공급 노즐(210)의 단부가 수용됨에 따라, 하부 내화벽(202)의 상면의 상측으로 공기 공급 노즐(210)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기 공급 노즐(210)이 투입되는 폐기물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내화벽(202)은 테두리부에 제공된 원형 틀에 의해 바닥 도어부(20)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door body 200 may be stacked from the top to the lower fire wall 202, lower cooling jacket 240, and air pocket 220. The lower fire wall 20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ide fire wall, and a plurality of nozzle receiving grooves in which the end of the air supply nozzle 21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s the end of the air supply nozzle 210 is accommodated in the nozzle receiving groove, the air supply nozzle 210 does not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re wall 202, so the air supply nozzle 210 is injected into the waste and The risk of collision and damage can be prevented. Additionally, the position of the lower fire wall 202 within the floor door portion 20 can be fixed by a circular frame provided on the edge portion.

공기 공급 노즐(210)은 하부 내화벽(202)의 노즐 수용홈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 공급 덕트(230)는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즈관(232)으로 구성되어 바닥 도어부(20)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 이에 따라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 덕트(230)의 단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에어 포켓(220)으로 공급하는 송풍팬(2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nozzle 210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nozzl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fire wall 202,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upply duct 230 is composed of a bellows pipe 232 and may be provided to extend or contract accordingly when the floor door portion 20 is raised or lowered.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234 tha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ir supply duct 230 and supplies external air to the air pocket 220.

하부 냉각 자켓(240)은 측부 냉각 자켓과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서 냉매가 내부에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냉각 자켓(240)의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열분해 공간과 열교환하면서 하부 냉각 자켓(240) 내부의 냉매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렇게 냉매에 축적된 열에너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내화벽(202)에 의해 하부 냉각 자켓(240)과 열분해 공간 사이의 열교환이 일부 방해됨으로써 하부 냉각 자켓(240) 내부의 냉매가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높아지거나, 열분해 공간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내화벽(202)의 두께는 측부내화벽과 마찬가지로 약 50mm 내지 약 100mm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Like the side cooling jacket, the lower cooling jacket 2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and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inside. As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lower cooling jacket 240 exchanges heat with the pyrolysis space,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nside the lower cooling jacket 240 may increase. The heat energy accumulated in the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recycled. In addition, heat exchange between the lower cooling jacket 240 and the pyrolysis space is partially interrupted by the lower fire wall 202, so that the refrigerant inside the lower cooling jacket 240 rises to an excessively high temperature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pyrolysis space increases. It may not be excessively low. The thickness of the lower fire wall 202, like the side fire wall, may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about 50 mm to about 100 mm.

하부 냉각 자켓(240)은 외부의 냉매 공급원으로부터 냉매가 공급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매 공급관(242) 및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매 배출관(244)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매 공급관(242)과 냉매 배출관(244)은 도중에 고압 호스 또는 플렉서블 호스와 연결되고, 고압 호스 또는 플렉서블 호스는 도어 바디(200)의 승강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케이블 베어(246)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바디(2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냉매 공급관(242) 및 냉매 배출관(244)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lower cooling jacket 240 may be connected to a refrigerant supply pipe 242, which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refrigerant source, and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244, which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refrigerant supply pipe 242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244 are connected to a high-pressure hose or flexible hose along the way, and the high-pressure hose or flexible hose is a cable bear 246 whose shape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door body 200. ) can be provided to be supported by. 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pply pipe 242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24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raising or lowering of the door body 200.

승강 수단(250)은 도어 바디(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도어 바디(200)를 기 설정된 제1 위치(H1, 도 15 참조) 또는 제1 위치(H1)와 다른 제2 위치(H2, 도 15 참조)까지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수단(25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승강 수단(250)은 베이스 프레임(40)과 도어 바디(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fting means 25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body 200 and moves the door body 200 to a preset first position (H1, see Figure 15) or a second position (H2, Figure 15)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H1). It can be raised up to (see 15). A plurality of lifting means 25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lifting means 2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se frame 40 and the door body 200.

승강 수단(250)은 제1 삽입 포인트(BDC, 도 15 참조) 및 제1 삽입 포인트(BDC)와 다른 제2 삽입 포인트(TDC, 도 15 참조)를 갖는 실린더(252) 및 실린더(252)의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2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 포인트(BDC)는 피스톤(254)의 끝단이 실린더(252)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피스톤(254)이 있는 곳의 위치를 의미하고, 제2 삽입 포인트(TDC)는 피스톤(254)의 끝단이 실린더(252)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을 때, 피스톤(254)이 있는 곳의 위치를 의미한다.The lifting means 250 includes a cylinder 252 having a first insertion point (BDC, see Fig. 15) and a second insertion point (TDC, see Fig. 15) different from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a It may include a piston 254 movab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At this time,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piston 254 when the end of the piston 254 is furthest from the cylinder 252,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piston 254. This means the position of the piston 254 when the end of (254) is closest to the cylinder 252.

피스톤(254)의 끝단이 실린더(252)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위치 감지부(70, 도 15 참조)는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에서 모두 피스톤(254)을 감지할 수 없다. 이와는 달리, 피스톤(254)의 끝단이 실린더(252)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다면, 위치 감지부(70)는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에서 모두 피스톤(254)을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end of the piston 254 is furthest from the cylinder 252, the position sensing unit 70 (see FIG. 15) detects the piston 254 at both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cannot be detected. In contrast, if the end of the piston 254 is closest to the cylinder 252,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can detect the piston 254 at both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You can.

위치 감지부(70)를 통해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에서 모두 피스톤(254)이 감지되면, 위치 감지부(70)는 감지 ON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부(70)를 통해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에서 모두 피스톤(254)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위치 감지부(70)는 감지 OF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감지 ON 신호 및 감지 OFF 신호는 제어부(90, 도 15 참조)로 전송되어 자동 록킹 장치(60, 도 15 참조) 및 재 처리부(50)를 제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When the piston 254 is detected at both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may generate a detection ON signal. In addition, if the piston 254 is not detected at both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may generate a detection OFF signal. You can. The detection ON signal and detection OFF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5) and used to control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see FIG. 15) and the reprocessing unit 50. This will be explained later.

승강 수단(250)의 구동은 제어부(90, 도 16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접촉 감지부(80, 도 16 참조)의 감지 값에 따라 도어 바디(200)가 하강되도록 승강 수단(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는 도어 바디(200)의 상측에 쌓인 재(X)의 양에 따라 도어 바디(200)의 하강 정도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승강 수단(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of the lifting means 25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6). 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lifting means 250 so that the door body 200 is lower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see FIG. 16).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lowering of the door body 2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material (X)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body 200,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lifting means 250 based on this. there is.

가이드 포스트(260)는 베이스 프레임(40)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홀에 삽입 통과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포스트(260)가 베이스 프레임(4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guide post 260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frame 40 by being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Additionally, configurations may be provided to assist the guide post 260 in being firmly fixed to the base frame 40 so that the guide post 260 can be smoothly raised and lower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5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가이드 포스트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메인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단면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guide post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 1, FIG.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housing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40)에 고정되고, 가이드 포스트(26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메인 하우징(262), 메인 하우징(262)에 설치되는 오일 공급체(261), 메인 하우징(26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 포스트(26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리테이너 하우징(264), 메인 하우징(26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 포스트(26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포스트 하우징(266), 및 가이드 포스트(260)의 표면에 공급된 윤활유가 리테이너 하우징(264) 및 포스트 하우징(266)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오일 리테이너(268)가 제공될 수 있다.5 to 7, the main housing 262 is fixed to the base frame 40 and through which the guide post 260 can move up and down, and the oil supply body 261 installed in the main housing 262. , a retainer housing 264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housing 262 and through which the guide post 260 moves up and down,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housing 262, and the guide post 260 moves up and down. A post housing 266 that is movably passed through, and an oil retainer 268 installed to prevent the lubricant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guide post 260 from leaking out of the retainer housing 264 and the post housing 266. may be provided.

메인 하우징(262), 리테이너 하우징(264) 및 포스트 하우징(266)은 모두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가이드 포스트(260)가 삽입 통과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housing 262, the retainer housing 264, and the post housing 266 are all generally circular,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ost 26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메인 하우징(262)의 상면에는 메인 하우징(262)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공(262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62)은 체결공(2622)이 형성된 부분에서부터 중앙부로 가면서 단차가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차가 형성된 부분의 측면에는 윤활유 공급을 위한 오일 공급홀(263)이 중앙부의 홀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오일 공급홀(263)의 외측 단부에는 오일 공급체(261)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6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262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housing 262. The main housing 262 may have a stepped shape extending from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hole 2622 is formed to the central portion. On the side of the part where such a step is formed, an oil supply hole 263 for supplying lubricant may be formed penetrating to the hole in the central part, and an oil supply body 261 may be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oil supply hole 263. .

오일 공급체(261)는 오일 공급홀(263)을 통해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부재이며, 일 예로 구리스 오일 니쁠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포스트(260)가 삽입된 메인 하우징(262)의 중앙부 홀의 표면에 윤활유가 주기적으로 공급되어 가이드 포스트(260)의 승강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oil supply body 261 is a member that periodically supplies lubricating oil through the oil supply hole 263, and may be composed of a grease oil nipple, for example. Accordingly, lubricating oil is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ntral hole of the main housing 262 where the guide post 260 is inserted, so that the guide post 260 can move up and down smoothly.

한편, 메인 하우징(262)의 가이드 포스트(260)가 통과하는 중앙부 홀의 표면에는 수직홈(2624) 및 수평홈(2626)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홈(2624)은 상하 방향으로 홀의 표면으로부터 요입되어 가이드 포스트(260)가 통과하는 중앙부 홀의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홈(2626)은 가이드 포스트(260)가 통과하는 중앙부 홀의 원주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홈(2626)은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높이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 vertical groove 2624 and a horizontal groove 2626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ntral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ost 260 of the main housing 262 passes. At least one vertical groove 2624 may be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ost 260 passes. Additionally, the horizontal groove 2626 may be recessed from the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ost 260 passes. One horizontal groove 2626 may be formed, or a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2626 may be formed depending on the height.

이러한 수직홈(2624) 및 수평홈(2626)에 의해, 오일 공급체(261)로부터 공급된 윤활유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골고루 퍼져서 가이드 포스트(260)에 대한 윤활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Due to these vertical grooves 2624 and horizontal grooves 2626, the lubricating oil supplied from the oil supply body 261 is evenly sprea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so that the lubricating action on the guide post 260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리테이너 하우징(264)은 메인 하우징(262)의 상측에 고정되며, 일 예로 메인 하우징(262)과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하우징(264)의 상면 중앙부의 가이드 포스트(260)와 접촉되는 부분에 링 형상의 오일 리테이너(268)가 제공될 수 있다.The retainer housing 264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housing 262, and may be fastened to the main housing 262 with bolts, for example. Additionally, a ring-shaped oil retainer 268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post 26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er housing 264.

또한, 포스트 하우징(266)은 메인 하우징(262)의 하측에 고정되며, 일 예로 메인 하우징(262)에 형성된 체결공(2622)에 대응되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홀에 볼트가 체결되어 메인 하우징(262) 및 베이스 프레임(40)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포스트 하우징(266)의 하면 중앙부의 가이드 포스트(260)와 접촉되는 부분에 링 형상의 오일 리테이너(268)가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st housing 266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housing 262 and, for example, may have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2622 formed in the main housing 262. Bolts are fastened to these holes so that the main housing 262 and the base frame 40 can be fixed to each other. Additionally, a ring-shaped oil retainer 268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post 260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ost housing 266.

이와 같이, 가이드 포스트(260)의 표면으로 공급된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 하우징(264)의 상면과 포스트 하우징(266)의 하면에 각각 오일 리테이너(268)가 제공되어,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prevent the lubricating oil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guide post 260 from leaking out, an oil retainer 268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er housing 26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st housing 266, respectively, It can prevent lubricating oil from leaking out.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재 처리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재 처리기를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재 처리기를 이용하여 바닥 도어부 상의 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reprocessing unit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S. 8 to 10 are detailed views of the automatic ash processor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and FIG. 11 shows the process of removing ash on the bottom door using the automatic ash processor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It is a drawing.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재 처리부(50)는 바닥 도어부(20) 상에 잔존하는 재(X)를 일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밀어내어 제거하는 자동 재 처리기(510), 자동 재 처리기(510)를 지지하고, 자동 재 처리기(510)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500), 베이스 프레임(4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면에 랙 기어(522)가 형성되는 랙 기어 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to 11, the ash processing unit 50 includes an automatic ash processor 510 that removes the ash (X) remaining on the floor door 20 by pushing it while traveling in one direction, and an automatic ash processor ( A guide frame 500 that supports the 510) and guides the running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and a rack gear frame 520 that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base frame 40 and has a rack gear 5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may include.

가이드 프레임(500)은 자동 재 처리기(510)의 종동휠(517, 518)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종동휠(517, 518)의 이동을 안내하는 주행 가이드(502) 및 자동 재 처리기(510)이 가이드 프레임(500)의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토퍼(5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frame 500 includes a driving guide 502 and an automatic reprocessor 510 that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n wheels 517 and 518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driven wheels 517 and 518. It may include a stopper 504 that prevents the guide frame 500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주행 가이드(502)는 가이드 프레임(5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I-빔의 측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I-빔의 측부를 구성하는 단면이 "ㄷ"자 형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ㄷ"자 형 공간에 종동휠(517, 518)이 수용되어 주행함으로써 자동 재 처리기(510)의 주행이 주행 가이드(50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The traveling guide 502 may be provided as a side portion of an I-beam extending in one direction constituting a part of the guide frame 500. Specifically, the cross section constituting the side portion of the I-beam has a “ㄷ” shape. It can be defined as space. As the driven wheels 517 and 518 are accommodated and driven in this “ㄷ” shaped space, the travel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can be guided by the travel guide 502.

스토퍼(504)는 자동 재 처리기(510)가 주행 가이드(502)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재 처리기(510)가 재(X)를 처리하기 전에 대기하는 위치에서의 종동휠(517, 518)과 주행 방향의 반대쪽에서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행 가이드(502)의 "ㄷ"자 형 공간을 일부 폐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스토퍼(504)가 랙 기어 프레임(520)에 제공되어 자동 재 처리기(5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opper 504 is a driven wheel ( 517, 518) and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travel direction on the opposite side, and may be provided to partially close the “ㄷ” shaped space of the travel guide 502.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stopper 504 may be provided on the rack gear frame 520 to prevent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from leaving.

자동 재 처리기(510)는 랙 기어(52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동기어(516), 구동기어(516)와 연결되어 구동기어(51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512), 구동부재(512)와 구동기어(516)를 연결하여 구동부재(512)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구동기어(516)로 전달하는 구동벨트(514), 구동기어(516)와 동축 연결되는 제1 종동휠(517), 제1 종동휠(517)과 다른 축을 갖는 제2 종동휠(518), 자동 재 처리기(510)의 전방부에 제공되어 재(X)를 밀어내기 위한 푸쉬 플레이트(5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재(512)와 구동기어(516)가 구동벨트를 통해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재(512)와 구동기어(516)는 구동체인 등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includes a driving gear 516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rack gear 522, a driving member 512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516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gear 516, and a driving member ( A drive belt 514 that connects 512 and the drive gear 516 to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drive member 512 to the drive gear 516, and a first driven wheel 517 coaxially connected to the drive gear 516. ), a second driven wheel 518 having a different axis from the first driven wheel 517, and a push plate 519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to push out the ashes (X). there is.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drive member 512 and the drive gear 516 are connected through a drive bel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mber 512 and the driving gear 516 may be connected through a driving chain or the like.

자동 재 처리기(510)는 구동부재(512)의 작동이 시작되면 구동기어(516)가 회전되면서 랙 기어(522)를 따라 전진하게 됨에 따라 직선 운동을 시작하고, 이때 주행 가이드(502)에 의해 종동휠(517, 518)이 안내됨으로써 주행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자동 재 처리기(510)가 가이드 프레임(500)을 따라 주행할 때, 바닥 도어부(20)의 상측에 쌓인 재(X)가 푸쉬 플레이트(519)에 의해 밀려서 바닥 도어부(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푸쉬 플레이트(519)에 의해 밀려난 재(X)는 지면에 설치된 이송 컨베이어(530) 상에 적재되어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512 begins,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begins linear movement as the driving gear 516 rotates and moves forward along the rack gear 522. At this time,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is moved by the driving guide 502. The driving path can be set by guiding the driven wheels 517 and 518. When the automatic ash processor 510 travels along the guide frame 500, the ash (X)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or door 20 is pushed by the push plate 519 and removed from the floor door 20. It can be. The material (X) pushed out by the push plate 519 may be loaded and discharged on the transfer conveyor 530 installed on the ground.

랙 기어 프레임(520)은 자동 재 처리기(510)의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랙 기어 프레임(520)의 상면에는 랙 기어(522)가 형성되며, 랙 기어(522)에 맞물린 구동기어(516)가 회전됨으로써 랙 기어(522)를 따라 자동 재 처리기(510)가 주행하여 재(X)를 제거할 수 있다.The rack gear frame 520 extend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40. A rack gear 5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gear frame 520, and the drive gear 516 engaged with the rack gear 522 is rotated, so that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runs along the rack gear 522 to process the reprocessor. (X) can be removed.

본 실시예에서는 랙 기어 프레임(520)이 베이스 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랙 기어 프레임(520)은 베이스 프레임(40) 외에도 메인 프레임(30) 또는 가이드 프레임(500)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ack gear frame 5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40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rack gear frame 520 includes the main frame 30 in addition to the base frame 40. ) or can be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500.

자동 재 처리기(510)가 재(X)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쌓여있는 재(X)의 하중 및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크랭크 현상에 의해, 승강 수단(250)에 상당한 수준의 횡방향 하중이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이 승강 수단(250)에 온전히 작용할 경우, 승강 수단(250)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In the process of the automatic ash processor 510 pushing the ash (X), a significant level of lateral load is applied to the lifting means 250 due to the load of the accumulated ash (X) and the cranking phenomenon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It can be. If this load fully acts on the lifting means 250, there is a risk that the lifting means 250 may be damaged.

이 때문에 가이드 포스트(260)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가이드 포스트(260)에 의해 횡방향 하중이 분산되어 승강 수단(250)에 작용하는 횡방향 하중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guide post 260 can be provided, and the lateral load is distributed by the guide post 260,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lateral load acting on the lifting means 250.

또한, 쌓여있는 재(X)의 하중 및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크랭크 현상에 의해, 자동 재 처리기(510)의 주행에 있어서도 상당한 수준의 저항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 구동기어(516)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랙 기어(522)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주행하도록 구성되므로, 단순히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에 비하여 적절한 수준의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X)의 하중 및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크랭크 현상에도 불구하고 재(X)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load of the accumulated ashes ( In order to offset this, the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driving gear 516 to rotate along the rack gear 522 to drive, so that an appropriate level of driving force can be secured compared to simply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wheel. Accordingly, the material (X) can be processed smoothly despite the cranking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the load and combustion process of the material (X).

한편, 자동 재 처리기(510)의 구동은 제어부(90, 도 15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70, 도 15 참조)는 실린더(252)에 삽입된 피스톤(254)의 위치가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값을 제어부(90)에 전송한다. 제어부(90)는 위치 감지부(70)의 감지 값을 기초로 하여 자동 재 처리기(5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70)에서 피스톤(254)이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에서 모두 감지되면, 제어부(90)는 도어 바디(200)가 완전히 하강한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 재 처리기(510)를 구동시켜서 소각재 처리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ee FIG. 15). To this end,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see FIG. 15) detect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iston 254 inserted into the cylinder 252 is located at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 the sens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0.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detects the piston 254 at both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body 200 is completely lowered.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the case, and the automatic ash processor 510 is driven to allow the incineration ash treatment process to proceed.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자동 록킹 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배열을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자동 록킹 장치의 언록킹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Below,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FIG. 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of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and FIG. 14 is a view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of FIG. 13. This is a diagram explaining the locking operation.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자동 록킹 장치(60)는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록킹 장치(60)는 바닥 도어부(20)가 통부(10)의 하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바닥 도어부(20)가 통부(10)로부터 하 방향으로 이격되지 못하도록 바닥 도어부(20)와 통부(10)를 록킹시킬 수 있다.12 to 14,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can selectively lock the barrel portion 10 and the bottom door portion 20. For example,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prevents the bottom door 20 from being spaced downward from the barrel 10 while the bottom door 20 seals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10. (20) and the barrel portion (10) can be locked.

이를 위해, 자동 록킹 장치(60)는 통부(10)의 둘레면과 바닥 도어부(20)의 둘레면에 제공되며, 일 예로 통부(10) 및 바닥 도어부(20)의 둘레를 따라 총 8개소에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자동 록킹 장치(60)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is purpose,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0 and the bottom door 20, for example, a total of 8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rrel 10 and the bottom door 20. Can be arranged in various location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automatic locking devices 60 can be set arbitrarily.

자동 록킹 장치(60)는 동력 발생부(600), 동력 중계부(610), 록킹부(620) 및 구속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may include a power generation unit 600, a power relay unit 610, a locking unit 620, and a restraining unit 630.

동력 발생부(600)는 자동 록킹 장치(60)가 동작을 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 및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이를 기계적인 동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발생부(600)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모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600)는 통부(10)에 설치되어 동력 중계부(610)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or 60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power for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to operate, and may be provided as a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it into mechanical power.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or 600 may be provided as a hydraulic cylinder, pneumatic cylinder, motor, etc.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may be installed in the cylinder 10 and connected to the power relay unit 610 to enable power transmission.

예를 들어, 동력 발생부(600)는 실린더(601) 및 실린더(601)에 복동식으로 제공되는 피스톤(60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601)는 통부(10)의 둘레면에 고정 설치된 힌지 부재(601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602)은 링크 연결 부재(6021)를 통해 동력 중계부(6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 발생부(600)는 동력 중계부(6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닥 도어부(20)의 하중이 록킹부(620)에 작용하며, 이는 동력 중계부(610)를 통해 힌지 부재(6011)에 전달될 수 있다. 힌지 부재(6011)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중이나 토크가 작용하더라도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 도어부(20)의 하중이 걸리더라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는 예를 들어 통부(10) 또는 바닥 도어부(20)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일부 또는 이러한 프레임에 연결된 별도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er 601 and a piston 602 provided to the cylinder 601 in a double-acting manner. The cylinder 601 i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a hinge member 6011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10, and the piston 602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relay unit 610 through a link connection member 6021. there is. Accordingly,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wer relay unit 610. At this time, the load of the floor door part 20 acts on the locking part 620, and this can be transmitted to the hinge member 6011 through the power relay part 610. The hinge member 601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support member (not shown) so that its position does not change even when a load or torque is applied. Accordingly, its position will be fixed even if a load is applied to the floor door portion 20. You can. Here, 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a part of a frame supporting the barrel portion 10 or the floor door portion 20 or as a separate member connected to this frame.

동력 중계부(610)는 동력 발생부(600)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록킹부(620)로 중계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동력 중계부(610)는 동력 발생부(6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이를 록킹부(620)에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ower relay unit 610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600 to transmit power and can rela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600 to the locking unit 620. In other words, the power relay unit 61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600 and relay it to the locking unit 620.

동력 중계부(610)는 동력 발생부(600)에 연결되고, 동력 발생부(6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611) 및 캠 부재(611)와 록킹부(620)를 연결하는 록킹 연결 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relay unit 610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600 and includes a cam member 611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600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and a cam member 611 and a locking unit. It may include a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connecting 620 .

캠 부재(611)는 동력 발생부(600)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되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력 발생부(600)가 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되면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am member 611 may be provid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one direction, and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other direction.

이때, 캠 부재(611)의 주동축을 구성하는 회전축 부재(6111)가 링크 연결 부재(6021)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 부재(6111)와 링크 연결 부재(6021)는 연결키(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상대 회전되지 않도록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 발생부(600)의 기계적 동력이 링크 연결 부재(6021)를 회전축 부재(6111)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회전력이 캠 부재(611)에 그대로 전달되어 캠 부재(611) 또한 회전축 부재(611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 부재(6111)는 일 예로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member 6111 constituting the main axis of the cam member 611 may be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ion member 6021. The rotation axis member 6111 and the link connection member 602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key (not shown) and fix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mechanical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can rotate the link connection member 6021 around the rotation axis member 6111, and this rotational for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am member 611 to rotate the cam member 611. ) It can also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member 6111. Although not shown, the rotation axis member 6111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for example, a bearing.

한편, 캠 부재(611)는 제1 길이로 형성된 제1 둘레, 제1 길이와 다른 제2 길이로 형성된 제2 둘레 및 제1 둘레와 제2 둘레를 연결하는 제3 둘레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3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는 록킹 연결 부재(61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용 홈(6112)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m member 61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erimeter formed at a first length, a second perimeter formed at a second length different from the first length, and a third perimeter connecting the first perimeter and the second perimeter.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ircumference may be provided with a guiding groove 6112 into which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is movably inserted.

안내용 홈(6112)에 록킹 연결 부재(6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캠 부재(611)가 회전할 때, 안내용 홈(6112)의 형성된 경로를 따라 록킹 연결 부재(612)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캠 부재(611)의 제1 둘레 및 제2 둘레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록킹 연결 부재(612)가 안내용 홈(6112)을 따라 이동할 때, 일부 구간에서 일 방향으로 밀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cam member 611 rotates while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is accommodated in the guiding groove 6112, the locking connecting member 612 may move along the path formed in the guiding groove 6112. At this time,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perimeters of the cam member 611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when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moves along the guiding groove 6112, it may be pushed in one direction in some sections. As a result, the locking part 6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ing part 630.

록킹부(620)는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이동되어 구속부(63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록킹부(620)는 구속부(630)에 구비되는 수용홈(631)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The locking part 620 may be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part 60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straining part 630. Specifically, the locking part 620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part 600 can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provided in the restraining part 630.

록킹부(620)가 수용홈(631)에 수용되면, 록킹부(620)의 움직임이 구속부(630)에 의해 구속되므로,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록킹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수용홈(631)에 수용된 록킹부(620)가 수용홈(631)으로부터 이탈되면,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언록킹되어 상호 위치 가변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locking part 6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the movement of the locking part 620 is restricted by the restraining part 630, so the barrel part 10 and the bottom door part 20 are locked and relative to each other. The position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change, and when the locking part 6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631, the barrel part 10 and the bottom door part 20 are unlocked and the mutual positions are variable. It can be.

록킹부(620)는 록킹 연결 부재(612)와 연결되어 록킹 연결 부재(612)의 움직임에 의해 기 설정된 경로로 복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록킹부(620)의 복동 운동 경로는 록킹 안내부(미도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록킹 안내부를 따라 록킹부(620)가 운동되면서 구속부(630)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62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and is provided to perform a double-acting movement in a preset path by the movement of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The double-acting movement path of the locking unit 620 may be set by a locking guide unit (not shown). As the locking part 620 moves along the locking guide, it may selectively contact the restraint part 630.

구속부(630)는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록킹부(6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록킹부(620)의 위치를 구속시킬 수 있다. 록킹부(620)의 위치가 구속부(630)에 의해 구속되면, 통부(10)의 하측에 밀착된 바닥 도어부(20)의 하 방향 이동도 구속될 수 있다.The restraining unit 630 may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unit 620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 to restric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620. If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art 620 is restricted by the restraining part 630,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ottom door part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part 10 may also be restricted.

이를 위해, 구속부(630)에는 록킹부(6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631)이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620)와 구속부(630)의 간섭에 의해 바닥 도어부(20)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서로 록킹되어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straining part 63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631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part 620 can be accommodated. Interference between the locking part 620 and the restraining part 630 can prevent the bottom door part 20 from descending due to gravity, and as a result, the barrel part 10 and the bottom door part 20 are locked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Movement may be restricted.

캠 부재(611)의 회전에 의해 록킹 연결 부재(612)가 운동을 하고, 이러한 록킹 연결 부재(612)의 운동에 의해 록킹부(620)의 복동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부재(61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부(620)가 구속부(630)로 수용되어 록킹 상태가 되고, 캠 부재(611)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부(620)가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져서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moves by rotation of the cam member 611, and the double-acting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620 can be implemented by the movement of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612. For example, when the cam member 611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portion 620 is received by the restraint portion 630 and is in a locked state, and when the cam member 611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locking portion 620 The locking state may be released by moving away from the restraint part 630.

이와 같이, 동력 발생부(6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동력 발생부(600)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되면 캠 부재(61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록킹부(620)가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구속부(630)에 삽입되어 록킹 상태가 될 수 있다(도 13). 반대로, 동력 발생부(600)가 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되면 캠 부재(611)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록킹부(620)가 타 방향으로 운동하여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지면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도 14).In this wa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can be controlled, and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one direction, the cam member 61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us the locking unit 620 may move in one direction and be inserted into the restraint part 630 and be in a locked state (FIG. 13). Conversely,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m member 611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locking unit 620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and locks when moving away from the restraint unit 630. The state can be released (Figure 14).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위치 감지부(70), 접촉 감지부(80) 및 제어부(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위치 감지부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접촉 감지부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Hereinafter,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and the control unit 9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FIG. 15 is a diagram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detection unit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 1, and FIG. 16 is a diagram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ntact detection unit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 1.

도 15를 참조하면, 위치 감지부(70)는 승강 수단(25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 도어 바디(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70)는 승강 수단(250)의 실린더(252)에 대한 피스톤(254)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도어 바디(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70)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door body 200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ing means 250.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oor body 200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iston 254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252 of the lifting means 250. For example,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such as a limit switch.

위치 감지부(70)를 통해 제1 삽입 포인트(BDC, 하사점) 및 제2 삽입 포인트(TDC, 상사점)에서 모두 피스톤(254)이 감지되면, 위치 감지부(70)는 감지 ON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부(70)를 통해 제1 삽입 포인트(BDC) 및 제2 삽입 포인트(TDC)에서 모두 피스톤(254)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위치 감지부(70)는 감지 OF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감지 ON 신호 및 감지 OFF 신호는 제어부(90)로 전송되어 자동 록킹 장치(60) 및 재 처리부(50)를 제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When the piston 254 is detected at both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bottom dead center)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top dead center)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sends a detection ON signal. can be created. In addition, if the piston 254 is not detected at both the first insertion point (BDC)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TDC)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may generate a detection OFF signal. You can. The detection ON signal and detection OFF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0 and used to control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and the reprocessing unit 50.

예를 들어, 피스톤(254)이 하사점에 도달한 경우, 위치 감지부(70)에서 감지 OFF 신호가 제어부(90)로 전달되며, 제어부(90)는 피스톤(254)이 하사점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강 수단(250)의 동작을 정지한 후,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의 록킹이 시작되도록 자동 록킹 장치(60)의 구동을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piston 254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a detection OF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o the control unit 90, and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piston 254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After determin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250 is stopped,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is controlled so that the locking of the barrel portion 10 and the floor door portion 20 begins.

제어부(90)를 통해 자동 록킹 장치(60)의 록킹 구동이 시작되면, 동력 발생부(600)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록킹부(620)가 전진하여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starts through the control unit 90, power is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or 600, and the locking unit 620 moves forwar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600. Thus,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part 630.

도 16을 참조하면, 접촉 감지부(80)는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80)는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에 접촉된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인지 파악함으로써, 구속부(630)에 대한 록킹부(620)의 접촉 여부를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can detect whether the locking unit 620 is in contact with the restraining unit 630.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can determine whether the locking unit 620 is in contact with the restraining unit 630 by detecting whether the position where the locking unit 620 is in contact with the restraining unit 630 is a preset position.

접촉 감지부(80)를 통해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되어 접촉되는 경우, 접촉 감지부(80)는 접촉 ON 신호를 생성하고, 접촉 감지부(80)를 통해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비접촉되는 경우, 접촉 감지부(80)는 접촉 OFF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접촉 ON 신호 및 접촉 OFF 신호는 제1 호이스트(310), 제2 호이스트(320), 착화 유닛(120) 및 승강 수단(250)을 제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When the locking unit 620 is received and contac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unit 630 through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generates a contact ON signal, and the contact detection unit ( When the locking unit 620 is not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ing unit 630 through 80,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may generate a contact OFF signal. The contact ON signal and contact OFF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used to control the first hoist 310, the second hoist 320, the ignition unit 120, and the lifting means 250.

접촉 감지부(80)에서 생성된 접촉 ON 신호가 제어부(90)로 전달되면, 제어부(90)는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록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호이스트(310) 및 제2 호이스트(3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통부(10)에 폐기물이 투입되고, 통부(10)의 상부가 뚜껑(110)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착화 유닛(120)의 구동을 제어하여 폐기물에 착화가 수행되도록 한다.When the contact 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0,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barrel unit 10 and the floor door unit 20 are locked, and the first hoist 310 An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econd hoist 320,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cylinder 10 is closed with the lid 110. Additionally,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unit 120 is controlled to ignite the waste.

한편, 열분해가 종료된 시점에서 제어부(90)는 자동 록킹 장치(60)를 제어하여 언록킹을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90)를 통해 자동 록킹 장치(60)의 언록킹 구동이 시작되면, 동력 발생부(600)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록킹부(620)가 후진하여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Meanwhile, at the point when thermal decomposi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90 can control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to proceed with unlocking. In other words, when the unlocking driv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starts through the control unit 90, power is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and the locking unit ( 620 may move backward and escape from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portion 630.

이에 따라 접촉 감지부(80)에서 생성된 접촉 OFF 신호가 제어부(90)로 전달되면, 제어부(90)는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언록킹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강 수단(250)을 제어하여 통부(10)의 하부에 밀착된 바닥 도어부(20)가 통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contact OFF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0,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barrel unit 10 and the floor door unit 20 are unlocked, and lifts and lowers the means ( 250) is controlled so that the bottom door part 2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10, is spaced apart from the cylinder 10.

피스톤(254)이 상사점에 도달한 경우, 위치 감지부(70)에서 감지 ON 신호가 제어부(90)로 전달되며, 제어부(90)는 피스톤(254)이 상사점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승강 수단(250)의 동작을 정지한 후, 재 처리부(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각재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iston 254 reaches top dead center, a detection 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o the control unit 90, and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piston 254 is located at top dead center,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250, the operation of the ash processing unit 50 is controlled so that the incineration ash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자동 록킹 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Below, a modified exampl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FIG. 17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도 17을 참조하면, 자동 록킹 장치(60a)는 동력 발생부(600a), 동력 중계부(610a), 록킹부(620a) 및 구속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630)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동력 발생부(600a), 동력 중계부(610a) 및 록킹부(620a)에 대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7,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a may include a power generating unit 600a, a power relay unit 610a, a locking unit 620a, and a restraining unit 630. Since the restraining unit 63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a, power relay unit 610a, and locking unit 620a will be described below.

동력 발생부(600a)는 일 예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600a)는 케이스(6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6101)는 체결 부재(6102)를 통해 통부(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unit 600a may be provided as a motor,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or 600a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6101. This case 6101 may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10 through a fastening member 6102.

동력 중계부(610a)는 동력 발생부(600a)에 연결되고, 동력 발생부(600a)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 기어(613), 웜 기어(613)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614) 및 피니언 기어(614)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록킹부(620a)와 연결되는 랙 기어(6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relay unit 610a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600a, and includes a worm gear 613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600a, and a pinio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613 ( 614) and a rack gear 615 that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pinion gear 614 and is connected to the locking portion 620a.

이때, 웜 기어(613), 피니언 기어(614) 및 랙 기어(615)는 케이스(6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랙 기어(615)에 연결되는 록킹부(620a)는 구속부(630)에 수용되어 록킹 동작을 수행하는 부재이므로, 케이스(6101)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케이스(6101)의 개방된 부분은 랙 기어(615)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록킹부(620a)의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orm gear 613, pinion gear 614, and rack gear 615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6101. However, since the locking portion 620a connected to the rack gear 615 is a member accommodated in the restraining portion 630 and performs a locking opera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6101 may be opened. The open portion of the case 6101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the locking portion 620a that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the rack gear 615.

웜 기어(613)는 동력 발생부(600a)와 연결된 샤프트(613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6131)는 케이스(610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6131)는 케이스(6101)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worm gear 613 may be provided on the shaft 6131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a. This shaft 6131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6101. The shaft 6131 may be dispos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within the case 6101.

동력 발생부(600a)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샤프트(613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력 발생부(600a)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샤프트(6131)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power generator 600a is controll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the shaft 613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when the power generator 600a is controlled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the shaft 613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can be.

샤프트(6131)의 회전 방향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웜 기어(613)에 의해 피니언 기어(614)가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614)의 회전 방향에 따라 랙 기어(615)가 구속부(63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니언 기어(614)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랙 기어(615)가 구속부(6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랙 기어(615)와 연결된 록킹부(620a) 역시 구속부(6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된다. 이와는 달리, 피니언 기어(614)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랙 기어(615)가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랙 기어(615)와 연결된 록킹부(620a) 역시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으로부터 이탈된다.The pinion gear 614 rotates by the worm gear 613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haft 6131, and the rack gear 615 is connected to the restraint portion 63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614. It can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restraint unit 630. For example, when the pinion gear 614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rack gear 615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estraint portion 630, the locking portion 620a connected to the rack gear 615 also moves to the restraint portion ( It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630 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portion 6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nion gear 614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rack gear 615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straint portion 630, the locking portion 620a connected to the rack gear 615 also moves toward the restraint portion 630. It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and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part 630.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자동 록킹 장치의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Bel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도 18을 참조하면, 자동 록킹 장치(60b)는 동력 발생부(600b), 동력 중계부(610b), 록킹부(620b) 및 구속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630)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동력 발생부(600b), 동력 중계부(610b) 및 록킹부(620b)에 대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8,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b may include a power generating unit 600b, a power relay unit 610b, a locking unit 620b, and a restraining unit 630. Since the restraining unit 63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b, the power relay unit 610b, and the locking unit 620b will be described below.

동력 발생부(600b)는 일 예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600b)는 케이스(6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스(6101)는 체결 부재(6102)를 통해 통부(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unit 600b may be provided as a motor,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or 600b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6101, and the case 6101 may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10 through a fastening member 6102.

동력 중계부(610b)는 동력 발생부(600b)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동력 발생부(600b)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블록(616), 이동 블록(616)과 연결되고, 이동 블록(616)이 전진할 때 압축되어 압축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체(617) 및 탄성체(617)를 매개로 하여 이동 블록(616)과 연결되어 이동 블록(616)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6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relay unit 610b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616, which selectively contacts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b and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b. An elastic body 617 that is compressed when the block 616 moves forward and generates compression restoring force, and a support block 618 that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616 through the elastic body 617 and supports the moving block 616. It can be included.

이때, 이동 블록(616), 탄성체(617) 및 지지 블록(618)은 케이스(6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동 블록(616)에 연결되는 록킹부(620b)는 구속부(630)에 수용되어 록킹 동작을 수행하는 부재이므로, 케이스(6101)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케이스(6101)의 개방된 부분은 이동 블록(616)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록킹부(620b)의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block 616, the elastic body 617, and the support block 618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6101. However, since the locking portion 620b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616 is a member accommodated in the restraining portion 630 and performs a locking opera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6101 may be opened. The open portion of the case 6101 can be used as a passage for the locking portion 620b that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able block 616.

이때, 이동 블록(616)의 둘레면 중 동력 발생부(600b)가 접촉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록킹부(620b)가 연결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600b)가 연장되도록 구동되면, 동력 발생부(600b)의 피스톤 측 단부가 이동 블록(616)을 가압하여 이동 블록(616)이 구속부(6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블록(616)이 구속부(6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블록(616)과 연결된 록킹부(620b)도 구속부(6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part 620b may be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block 616 that is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wer generating part 600b.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b is driven to extend, the piston side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b presses the moving block 616, so that the moving block 616 can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estraint unit 630. . When the moving block 616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estraining unit 630, the locking unit 620b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616 also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restraining unit 630 and becomes closer to the restraining unit 630.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반대로, 동력 발생부(600b)가 수축되도록 구동되면, 동력 발생부(600b)의 피스톤 측 단부가 실린더측 단부 측으로 이동되므로, 이동 블록(616)이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탄성체(617)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이동 블록(616)이 수월하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동 블록(616)이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블록(616)과 연결된 록킹부(620b)도 구속부(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으로부터 이탈된다.Conversely, when the power generator 600b is driven to contract, the piston-side end of the power generator 600b moves toward the cylinder-side end, so the moving block 616 can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straint portion 630. . At this time, the moving block 616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compression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617. When the moving block 616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straining unit 630, the locking unit 620b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616 also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straining unit 630 and enters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straining unit 630. It deviates from (631).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자동 록킹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Below,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도 19를 참조하면, 자동 록킹 장치(60c)는 동력 발생부(600c), 동력 중계부(610c), 록킹부(620c) 및 구속부(630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c may include a power generating unit 600c, a power relay unit 610c, a locking unit 620c, and a restraining unit 630a.

동력 발생부(600c)는 일 예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600c)는 케이스(6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6101)는 체결 부재(6102)를 통해 통부(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on unit 600c may be provided as a motor,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or 600c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6101. This case 6101 may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10 through a fastening member 6102.

동력 중계부(610c)는 동력 발생부(600c)에 연결되고, 동력 발생부(600c)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 기어(613), 웜 기어(613)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614) 및 피니언 기어(614)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피니언 기어(614)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부재(6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relay unit 610c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600c, and includes a worm gear 613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600c, and a pinio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613 ( 614) and a bar member 619 that is formed to have the same center of rotation as the pinion gear 614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so a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pinion gear 614.

이때, 웜 기어(613), 피니언 기어(614) 및 바 부재(619)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스(6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바 부재(619)에 연결되는 록킹부(620c)는 구속부(630a)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야 하므로, 케이스(6101)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610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바 부재(619)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610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m gear 613, pinion gear 614, and bar member 619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6101. However, since the locking portion 620c connected to the bar member 619 must selectively contact the restraining portion 630a,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6101 may be opened. At least a portion of the bar member 619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6101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case 6101.

케이스(6101)의 외측에 배치된 바 부재(619)의 단부에는 록킹부(620c)가 연결될 수 있다. 바 부재(619)의 단부에 연결된 록킹부(620c)는 바 부재(619)의 연장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 부재(619)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부(620c)도 회전될 수 있다.A locking portion 620c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bar member 619 disposed outside the case 6101. The locking portion 620c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ar member 619 may extend in a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r member 619. The locking portion 620c may also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bar member 619.

웜 기어(613)는 동력 발생부(600c)와 연결된 샤프트(613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6131)는 케이스(610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worm gear 613 may be provided on the shaft 6131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unit 600c. This shaft 6131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6101 and may be arrang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동력 발생부(600c)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샤프트(613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력 발생부(600c)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면 샤프트(6131)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power generator 600c is controll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the shaft 613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when the power generator 600c is controlled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the shaft 613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can be.

샤프트(6131)의 회전 방향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웜 기어(613)에 의해 바 부재(619)가 회전하고, 바 부재(619)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부(620c)가 회전하여 록킹부(620c)가 구속부(630a)의 하부면과 가까워질 수 있다. 록킹부(620c)가 구속부(630a)의 하부면과 면 접촉되면, 록킹부(620c)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이렇게 록킹부(620c)의 위치가 구속부(630a)에 의해 구속되면, 통부(10)의 하측에 밀착된 바닥 도어부(20)의 하 방향 이동도 구속될 수 있다.The bar member 619 rotates by the worm gear 613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haft 6131, and the locking portion 620c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bar member 619 to lock the locking portion 620c. ) may be clo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traint portion (630a). When the locking portion 620c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straining portion 630a,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620c may be restricted. If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620c is restricted by the restraining portion 630a,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ottom door portion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10 may also be restricted.

이를 위해, 구속부(630a)에는 록킹부(620c)의 적어도 일부가 면 접촉될 수 있는 하부면이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620c)와 구속부(630a)의 간섭에 의해 바닥 도어부(20)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서로 록킹되어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straining portion 630a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surface that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620c.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locking part 620c and the restraining part 630a, the bottom door part 20 can be prevented from descending due to gravity, and thus the barrel part 10 and the bottom door part 20 are locked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Movement may be restricted.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자동 록킹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B-B'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0의 C 부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Below,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2. FIG. 20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of FIG. 1,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0, and FIG. 23 is a plan view viewed from part C of FIG. 20.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자동 록킹 장치(60d)는 동력 발생부(600d), 동력 중계부(610d), 록킹부(620d), 구속부(630d) 및 록킹 가이드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20 to 22,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d includes a power generating unit 600d, a power relay unit 610d, a locking unit 620d, a restraining unit 630d, and a locking guide unit 640. can do.

동력 발생부(600d)는 자동 록킹 장치(60d)가 동작을 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 및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복동식 실린더(6001) 및 피스톤(600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generator 600d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power for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d to operate, and may include a double-acting cylinder 6001 and a piston 6002.

복동식 실린더(6001)는 플레이트 부재(60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 부재(603)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 부재(603)에는 피스톤(6002)의 끝단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 부재(603)의 전면에는 바 부재(604)가 결합될 수 있다. 바 부재(604)의 일 단부는 플레이트 부재(603)의 전면에 결합되고, 바 부재(604)의 타 단부는 록킹 가이드부(64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 부재(604)는 플레이트 부재(603)의 모서리마다 제공될 수 있다. 바 부재(604)가 플레이트 부재(603)의 모서리에 제공되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603)와 록킹 가이드부(64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렇게 확보된 공간을 통해 피스톤(6002) 및 동력 중계부(610d)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이 가능하다.The double-acting cylinder 6001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plate member 603. The plate member 603 is a square-shaped plate, and the plate member 603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piston 6002 can pass. A bar member 604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ate member 603. One end of the bar member 604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ate member 603, and the other end of the bar member 604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locking guide portion 640. A bar member 604 may be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plate member 603. Since the bar member 604 is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plate member 603, a predetermined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plate member 603 and the locking guide portion 640, and the piston 6002 ) and the power relay unit 610d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동력 중계부(610d)는 동력 발생부(600d)에서 발생한 동력을 록킹부(620d)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력 중계부(610d)는 실린더 하우징(6103) 및 무빙 플레이트(61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relay unit 610d can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d to the locking unit 620d. To this end, the power relay unit 610d may include a cylinder housing 6103 and a moving plate 6104.

실린더 하우징(6103)은 동력 발생부(600d)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 하우징(6103)은 피스톤(6002)의 끝단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하우징(6103)은 피스톤(6002)의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홀(H)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ylinder housing 6103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600d. To this end, the cylinder housing 6103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piston 6002. For example, the cylinder housing 6103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e H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piston 6002 can be fixed in an inserted state.

실린더 하우징(6103)의 전면에는 무빙 플레이트(6104)가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실린더 하우징(6103)과 무빙 플레이트(6104)가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6002)의 복동식 실린더(6001)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때, 실린더 하우징(6103) 및 무빙 플레이트(6104)도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A moving plate 6104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housing 6103. Since the cylinder housing 6103 and the moving plate 6104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is way, when the piston 6002 moves forward or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double-acting cylinder 6001, the cylinder housing 6103 and the moving plate 6104 also move. They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together.

한편, 무빙 플레이트(6104)에는 록킹부(620d)가 결합될 수 있다. 록킹부(620d)의 적어도 일부는 무빙 플레이트(6104)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록킹부(620d)의 나머지는 무빙 플레이트(6104)의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6104)의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은 록킹 가이드부(64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Meanwhile, a locking portion 620d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plate 6104.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part 620d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moving plate 6104, and the remainder of the locking part 620d may protrude to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6104.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6104 can be movab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uide portion 640. This will be explained later.

무빙 플레이트(6104)에는 실린더 하우징(6103) 및 한 쌍의 록킹부(620d)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하우징(6103) 및 한 쌍의 록킹부(620d)는 무빙 플레이트(6104)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록킹부(620d)는 실린더 하우징(6103)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A cylinder housing 6103 and a pair of locking parts 620d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plate 6104. The cylinder housing 6103 and the pair of locking parts 620d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moving plate 6104, and the pair of locking parts 620d may be arranged left and right with the cylinder housing 6103 in between. You can.

록킹부(620d)는 동력 중계부(610d)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될 수 있다. 록킹부(620d)가 전진 이동되는 경우, 구속부(630d)와 접촉될 수 있고, 록킹부(620d)가 후진 이동되는 경우, 구속부(630d)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부(620d)는 슬라이딩식 샤프트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620d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relay unit 610d. When the locking part 620d moves forward,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straint part 630d, and when the locking part 620d moves backward, the contact state of the restraint part 630d may be released. For example, the locking part 620d may be provided as a sliding shaft.

록킹부(620d)의 끝단은 후술할 구속부(630d)의 날개부(6302)들 사이로 선택적으로 진입될 수 있으며, 록킹부(620d)가 날개부(6302)들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되면, 록킹부(620d)의 움직임이 날개부(6302)에 의해 구속되므로,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록킹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록킹부(620d)가 날개부(6302)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면,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언록킹되어 상호 위치 가변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The end of the locking part 620d can selectively enter between the wings 6302 of the restraining part 630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locking part 620d enters the space between the wings 6302, the locking part 620d is locked. Since the movement of the part 620d is restricted by the wing part 6302, the barrel part 10 and the bottom door part 20 can be locked and fixed so that their positions do not change relative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ing part 620d moves out of the space between the wings 6302, the barrel part 10 and the bottom door part 20 are unlocked and their positions can be changed.

구속부(630d)는 결합부(6301) 및 복수의 날개부(6302)로 구분될 수 있다. 결합부(6301) 및 복수의 날개부(630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6301)는 통부(1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날개부(6302)는 결합부(6301)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부분으로 록킹부(620d)의 끝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복수의 날개부(6302)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날개부(6302)들 사이의 공간은 록킹부(620d)가 진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restraint portion 630d may be divided into a coupling portion 6301 and a plurality of wing portions 6302. The coupling portion 6301 and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630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part 6301 is a part that is coupled to the barrel part 10, and the wing part 6302 is a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coupling part 6301 and refers to a part that selectively contacts the end of the locking part (620d). do. The plurality of wing parts 6302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pace between adjacent wing parts 6302 can be used as a space into which the locking part 620d can enter.

록킹 가이드부(640)는 무빙 플레이트(6104)의 전면으로 돌출된 록킹부(620d)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록킹 가이드부(640)는 무빙 플레이트(6104)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무빙 플레이트(6104)의 전면으로 돌출된 록킹부(620d)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홀(6401)을 구비할 수 있다.The locking guide unit 640 may guide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locking unit 620d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6104. For this purpose, the locking guide portion 64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6104, and a hole 6401 into which the locking portion 620d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6104 can be movably inserted is provided. can be provided.

록킹 가이드부(640)와 무빙 플레이트(6104)의 사이에는 베어링 커버(644)가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 커버(644)에는 오일리스 베어링(645)이 연결될 수 있으며, 오일리스 베어링(645)은 록킹 가이드부(640)에 기 형성된 홀(6401)에 삽입되어 록킹부(620d)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A bearing cover 64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cking guide unit 640 and the moving plate 6104. An oilless bearing 645 may be connected to the bearing cover 644, and the oilless bearing 645 is inserted into the hole 6401 formed in the locking guide part 640 to move the locking part 620d forward and backward. We can assist you in making this happen smoothly.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열분해 가스화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도 2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동작 및 언록킹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23 is a flow chart explaining the locking operation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the pyrolysis gasifier of FIG. 1.

도 23을 참조하면, 먼저, 승강 수단(250)의 구동에 의해 도어 바디(200)가 상승한다 (S10). 도어 바디(200)가 상승하면, 도어 바디(200)가 통부(10)의 하측에 밀착된다.Referring to Figure 23, first, the door body 200 is raised by driving the lifting means 250 (S10). When the door body 200 rises, the door body 20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portion 10.

도어 바디(200)가 통부(10)의 하측에 밀착되어 통부(10)의 하부가 바닥 도어부(20)에 의해 밀폐되면, 제어부(90)는 승강 수단(250)의 피스톤(254)이 하사점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0). 위치 감지부(70)에 의해 감지 ON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90)는 피스톤(254)이 하사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의 록킹이 시작되도록 자동 록킹 장치(60)의 구동을 제어한다 (S30).When the door body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10 is sealed by the bottom door 20, the control unit 90 lowers the piston 254 of the lifting means 250. Determine whether it is located at the point (S20). Upon receiving the ON signal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piston 254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and automatically locks the barrel 10 and the bottom door 20 to start locking.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60 (S30).

제어부(90)를 통해 자동 록킹 장치(60)의 구동이 시작되면, 동력 발생부(600)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록킹부(620)가 이동되어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되어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starts operating through the control unit 90, power is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and the locking unit 620 is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It may be received and contac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portion 630.

구속부(630)에 대한 록킹부(620)의 접촉 여부는 접촉 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다. 접촉 감지부(60)에서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90)는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록킹되었음을 인식한다 (S40).Whether the locking part 620 is in contact with the restraining part 630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60. When the contact detection unit 60 detects that the locking unit 62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unit 630, the control unit 90 recognizes that the barrel unit 10 and the bottom door unit 20 are locked. Do (S40).

이렇게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록킹되면, 통부(10) 내의 폐기물 연소실(100)에 폐기물이 투입되고,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이 진행된다 (S50).When the cylinder 10 and the bottom door 20 are locked in this way, waste is input in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in the cylinder 10, and the pyrolysis process of the waste proceeds (S50).

구체적으로, 폐기물이 폐기물 투입 바스켓(330)에 적재 완료되면, 제어부(90)는 제2 호이스트(320)를 구동시켜 뚜껑(110)이 개방되도록 한 후, 제1 호이스트(310)를 구동시켜서 폐기물 투입 바스켓(330)이 바스켓 주행 레일(340)을 따라 상승하여 뚜껑(110) 측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when the waste is completely loaded into the waste input basket 330, the control unit 90 drives the second hoist 320 to open the lid 110 and then drives the first hoist 310 to load the waste. The input basket 330 rises along the basket running rail 340 to provide access to the lid 110.

뚜껑(110) 측에는 바스켓 주행 레일(340)이 뚜껑(110)을 향해 굽어져 있으므로, 뚜껑(110) 측에서 폐기물 투입 바스켓(330)이 회동하여 통부(10)의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로 폐기물이 쏟아져 내려서 적재될 수 있다. 이렇게 폐기물 연소실(100)에 폐기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뚜껑(110)이 다시 폐쇄되어 폐기물 연소실(100)이 밀봉된다. 그 후, 제어부(90)에 의해 착화 유닛(120)이 구동됨으로써, 폐기물의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basket running rail 340 is bent toward the lid 110 on the lid 110 side, the waste input basket 330 rotates on the lid 110 side to discharge waste in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of the barrel 10. It can be poured and loaded. When the loading of waste into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is completed, the lid 110 is closed again to seal the waste combustion chamber 100. Afterwards, the ignition unit 120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90, so that combustion of the waste can occur.

연소가 완료되면,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의 언록킹이 시작된다 (S60). 이를 위해, 제어부(90)는 자동 록킹 장치(60)를 제어한다. 제어부(90)를 통해 자동 록킹 장치(60)의 구동이 시작되면, 동력 발생부(600)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동력 발생부(600)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록킹부(620)가 이동되어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으로부터 이탈된다.When combustion is completed, unlocking of the barrel portion 10 and the bottom door portion 20 begins (S60).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When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60 starts operating through the control unit 90, power is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and the locking unit 620 is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600. It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portion 630.

구속부(630)에 대한 록킹부(620)의 이탈 여부는 접촉 감지부(80)에 의해 감지된다. 접촉 감지부(80)에서 록킹부(620)가 구속부(630)의 수용홈(631)에 수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90)는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언록킹되었음을 인식한다 (S70).Whether the locking part 620 is separated from the restraining part 630 is detected by the contact sensor 80. When the contact detection unit 80 detects that the locking unit 620 is no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1 of the restraint unit 630, the control unit 90 unblocks the barrel unit 10 and the bottom door unit 20. It recognizes that it is locked (S70).

통부(10)와 바닥 도어부(20)가 언록킹되면, 제어부(90)는 승강 수단(250)을 제어하여 통부(10)의 하부에 밀착된 도어 바디(200)가 통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S80).When the barrel 10 and the bottom door 20 are unlocked,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lifting means 250 to move the door body 2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10, away from the barrel 10. Do as much as possible (S80).

도어 바디(200)가 통부(10)의 하부로부터 이격되면, 제어부(90)는 승강 수단(250)의 피스톤(254)이 상사점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90). 위치 감지부(70)에 의해 감지 ON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90)는 피스톤(254)이 상사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각재 처리 공정이 진행되도록 재 처리부(50)의 구동을 제어한다 (S100).When the door body 20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10,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whether the piston 254 of the lifting means 250 is located at top dead center (S90). Upon receiving the detection ON signal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70,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piston 254 is located at top dead cent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sh processing unit 50 so that the incineration ash treatment process proceeds (S100) ).

구체적으로, 재 처리부(50)의 자동 재 처리기(510)가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재(512)가 구동을 시작하면, 구동부재(512)의 구동력이 구동벨트(514)를 통해 구동기어(516)로 전달되어 구동기어(516)가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utomatic reprocessor 510 of the reprocessing unit 50 may start driving. To this end, when the driving member 512 starts dr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mber 512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gear 516 through the driving belt 514, so that the driving gear 516 can start rotating.

구동기어(516)는 랙 기어 프레임(520)의 랙 기어(522)를 따라 회전하면서 동시에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516)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1 종동휠(517)도 회전을 시작하면서 가이드 프레임(500)의 주행 가이드(502)를 따라 안내되면서 주행할 수 있다.The driving gear 516 rotates and moves forward simultaneously along the rack gear 522 of the rack gear frame 520, and accordingly, the first driven wheel 517 coaxi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516 also starts rotating. It is possible to drive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driving guide 502 of the guide frame 500.

자동 재 처리기(510)가 주행하면서 푸쉬 플레이트(519)가 재(X)를 도어 바디(20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재(X)를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재(X)가 낙하되는 지점에는 이송 컨베이어(530)가 배치되어, 낙하된 재(X)가 이송 컨베이어(53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As the automatic ash processor 510 travels, the push plate 519 pushes the ash (X) to the outside of the door body 200, causing the ash (X) to fall. Additionally, a transfer conveyor 530 is disposed at the point where the material (X) falls, so that the fallen material (X) can be discharged by the transfer conveyor (530).

낙하된 재(X)가 이송 컨베이어(530)에 의해 배출되면, 제어부(90)는 재 처리부(50)의 소각재 처리 공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S100). 소각재 처리 공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90)는 바닥 도어부(20)는 다시 상승시켜서 상술한 단계를 반복한다.When the fallen ash (X) is discharged by the transfer conveyor 530,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whether the incineration ash treatment process of the ash processing unit 50 is completed (S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ineration ash treatment process is complete, the control unit 90 raises the floor door unit 20 again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step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에 따르면, 바닥 도어부(20)와 통부(10)를 록킹시키는 장치를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장치 손상 및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제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for locking the bottom door portion 20 and the barrel portion 10 is automated to prevent device damage and safety accidents due to operator error. This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risk.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depending on the field of application, or combine or substitute embodiments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rm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열분해 가스화로 10: 통부
20: 바닥 도어부 25: 패킹 부재
30: 메인 프레임 40: 베이스 프레임
50: 재 처리부
60, 60a, 60b, 60c, 60d: 자동 록킹 장치
70: 위치 감지부 80: 접촉 감지부
90: 제어부 100: 폐기물 연소실
110: 뚜껑 112: 내화벽
114: 실링부재 116: 힌지
120: 착화유닛 130: 하부 플랜지
200: 도어 바디 202: 하부 내화벽
210: 공기 공급 노즐 220: 에어 포켓
230: 공기 공급 덕트 232: 벨로우즈관
234: 송풍팬 240: 하부 냉각 자켓
242: 냉매 공급관 244: 냉매 배출관
246: 케이블 베어 250: 승강 수단
252: 실린더 254: 피스톤
260: 가이드 포스트 261: 오일 공급체
262: 메인 하우징 263: 오일 공급홀
264: 리테이너 하우징 266: 포스트 하우징
268: 오일 리테이너 310: 제1 호이스트
320: 제2 호이스트 330: 폐기물 투입 바스켓
340: 바스켓 주행 레일 500: 가이드 프레임
502: 주행 가이드 504: 스토퍼
510: 자동 재 처리기 512: 구동부재
514: 구동벨트 516: 구동기어
517, 518: 종동휠 519: 푸쉬 플레이트
520: 랙 기어 프레임 522: 랙 기어
530: 이송 컨베이어
600, 600a, 600b, 600c, 600d: 동력 발생부
601: 실린더 602: 피스톤
603: 플레이트 부재 604: 바 부재
610, 610a, 610b, 610c, 610d: 동력 중계부
611: 캠 부재 612: 록킹 연결 부재
613: 웜 기어 614: 피니언 기어
615: 랙 기어 616: 이동 블록
617: 탄성체 618: 지지 블록
619: 바 부재
620, 620a, 620b, 620c, 620d: 록킹부
630, 630a, 630d: 구속부
631: 수용홈 640: 록킹 가이드부
644: 베어링 커버 645: 오일리스 베어링
2622: 체결공 2624: 수직홈
2626: 수평홈 6001: 복동식 실린더
6002: 피스톤 6011: 힌지 부재
6021: 링크 연결 부재 6101: 케이스
6102: 체결 부재 6103: 실린더 하우징
6104: 무빙 플레이트 6111: 회전축 부재
6112: 안내용 홈 6131: 샤프트
6301: 결합부 6302: 날개부
6401: 홀
1: Pyrolysis gasification furnace 10: Tongbu
20: Bottom door part 25: Packing member
30: main frame 40: base frame
50: Ash processing unit
60, 60a, 60b, 60c, 60d: automatic locking device
70: Position detection unit 80: Contact detection unit
90: Control unit 100: Waste combustion chamber
110: Lid 112: Fireproof wall
114: sealing member 116: hinge
120: Ignition unit 130: Lower flange
200: Door body 202: Lower fire wall
210: air supply nozzle 220: air pocket
230: air supply duct 232: bellows pipe
234: blowing fan 240: lower cooling jacket
242: Refrigerant supply pipe 244: Refrigerant discharge pipe
246: cable bear 250: lifting means
252: cylinder 254: piston
260: Guide post 261: Oil supply body
262: main housing 263: oil supply hole
264: retainer housing 266: post housing
268: oil retainer 310: first hoist
320: second hoist 330: waste input basket
340: Basket running rail 500: Guide frame
502: Driving guide 504: Stopper
510: automatic reprocessor 512: driving member
514: drive belt 516: drive gear
517, 518: driven wheel 519: push plate
520: Rack gear frame 522: Rack gear
530: transfer conveyor
600, 600a, 600b, 600c, 600d: Power generation unit
601: cylinder 602: piston
603: plate member 604: bar member
610, 610a, 610b, 610c, 610d: Power relay unit
611: Cam member 612: Locking connection member
613: worm gear 614: pinion gear
615: rack gear 616: moving block
617: elastic body 618: support block
619: Bar member
620, 620a, 620b, 620c, 620d: Locking part
630, 630a, 630d: restraint part
631: Receiving groove 640: Locking guide part
644: Bearing cover 645: Oilless bearing
2622: fastening hole 2624: vertical groove
2626: Horizontal groove 6001: Double-acting cylinder
6002: Piston 6011: Hinge member
6021: Link connection member 6101: Case
6102: fastening member 6103: cylinder housing
6104: Moving plate 6111: Rotating axis member
6112: Guide groove 6131: Shaft
6301: coupling part 6302: wing part
6401: Hall

Claims (19)

폐기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통부;
상기 통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바디를 기 설정된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까지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바닥 도어부; 및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 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를 상호 고정되도록 록킹시키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 barrel where waste is input and pyrolyzed;
A bottom door part including a door body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arrel and a lifting mean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body to raise and lower the door body to a preset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 and
An automatic lock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and the bottom door, and locks the barrel and the floor door to be mutually fixed when the door body reaches the first position by the elevating means.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도어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 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 상기 도어 바디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floor door unit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oor body raised or lowered by the elevating means,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제1 삽입 포인트 및 상기 제1 삽입 포인트와 다른 제2 삽입 포인트를 갖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상기 제1 삽입 포인트 및 상기 제2 삽입 포인트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제1 삽입 포인트 및 상기 제2 삽입 포인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2,
The lifting means is,
a cylinder having a first insertion point and a second insertion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insertion point; and
A piston movab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point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of the cylinder,
The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 piston inserted into the cylinder is located at the first insertion point and the second insertion poin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록킹 장치는,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동력 발생부;
상기 통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구속부; 및
상기 동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3,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A power generating unit installed in any one of the barrel portion and the floor door portion;
a restraining part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barrel part and the floor door part; and
Comprising a locking part that is moved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part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restraint par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가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4,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 lock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restraint uni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록킹 장치는,
상기 동력 발생부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록킹부로 중계하는 동력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4,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wer relay unit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to enable power transmission and relay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to the locking uni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 및
상기 캠 부재와 상기 록킹부를 연결하는 록킹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6,
The power relay unit,
a cam membe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rotating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Including a locking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cam member and the locking portion,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제1 길이로 형성된 제1 둘레, 상기 제1 길이와 다른 제2 길이로 형성된 제2 둘레 및 상기 제1 둘레와 상기 제2 둘레를 연결하는 제3 둘레로 구분되고,
상기 제3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록킹 연결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용 홈이 구비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7,
The cam member is,
It is divided into a first perimeter formed by a first length, a second perimeter formed by a second length different from the first length, and a third perimeter connecting the first perimeter and the second perime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ircumference is provided with a guiding groove into which the locking connection member is movably inserted.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록킹부와 연결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6,
The power relay unit,
a worm gea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a pinio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A rack gear mov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uni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피니언 기어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록킹부가 연결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바 부재의 연장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6,
The power relay unit,
a worm gear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and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a pinion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worm gear; and
a bar member formed to have the same center of rotation as the pinion gear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so as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pinion gear;
The locking par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bar member, and the locking part extends in a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r member.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전진할 때 압축되어 압축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동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블록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블록의 둘레면 중 상기 동력 발생부가 접촉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록킹부가 연결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6,
The power relay unit,
a moving block that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moves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and compressed when the moving block moves forward to generate compression recovery force; and
A support block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via the elastic body to support the moving block,
The locking part is connected to a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lock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wer generating uni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의 감지 값 및 상기 접촉 감지부의 감지 값을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바닥 도어부 상의 재를 제거하기 위한 재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감지 값을 바탕으로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개시 여부 및 상기 재 처리부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5,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ntact detection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n ash processing unit for removing ash on the floor door portion,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sition detection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to initiate locking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and whether to drive the reprocessing uni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감지부의 감지 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통부에 투입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 개시 여부 및 상기 승강 수단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im 12,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ntact detection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of whether to start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combustible waste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and whether to drive the elevating means.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 OFF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의 동작을 정지한 후,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im 12,
When the piston reaches bottom dead center, a detection OF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fter determining that the piston is located at bottom dead cen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controlling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록킹 구동이 시작된 후,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 접촉 ON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통부와 상기 바닥 도어부가 록킹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부의 내부에서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이 진행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im 12,
After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starts, a contact 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act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at the barrel and the bottom door are locked, a pyrolysis process of waste proceeds inside the barrel,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내부에서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언록킹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자동 록킹 장치의 언록킹 구동이 시작된 후,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 접촉 OFF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부와 상기 바닥 도어부가 언록킹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을 제어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im 12,
At the point when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of waste inside the barrel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Afte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starts, a contact OF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act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that the barrel portion and the bottom door portion are unlocked, and controlling the lifting means,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한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 ON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의 동작을 정지한 후, 상기 재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im 12,
When the piston reaches top dead center, a detection 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un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fter determining that the piston is located at top dead center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eprocessing unit,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중계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는 실린더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과 결합되는 무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록킹부의 나머지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6,
The power relay unit,
a cylinder housing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and moving forward or backwar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or; and
Includes a moving plate coupled to the cylinder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moving plate, and the remainder of the locking portion protrudes to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록킹 장치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기 록킹부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록킹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According to clause 18,
The automatic 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guide portion that guides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Pyrolysis gasifi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KR1020230060639A 2022-05-30 2023-05-10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locking apparatus KR202301669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6189 2022-05-30
KR1020220066189 202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903A true KR20230166903A (en) 2023-12-07

Family

ID=8916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639A KR20230166903A (en) 2022-05-30 2023-05-10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loc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90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492B1 (en) 2017-09-10 2019-01-16 임덕준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ash tre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492B1 (en) 2017-09-10 2019-01-16 임덕준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ash tre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9920B (en) Thermal decomposition gasifier comprising an automatic ash treater
US10634343B2 (en) High-temperature pyrolysis incineration apparatus
KR101651789B1 (en) Pyrolysis gasifier
KR101228423B1 (en) Equipment of air cooling type combustion chamber
KR101939492B1 (en)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ash treating apparatus
KR20230166903A (en)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locking apparatus
KR101728995B1 (en) Pyrolysis gas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23814B1 (en) Continuous pyrolysis device
KR10067856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cineration of waste barreled in drum
KR102112477B1 (en) Pyrolysis gasifier
KR102059019B1 (en)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ash treating apparatus
KR101977543B1 (en) Pyrolysis gasifier
KR102114146B1 (en) Pyrolysis gasifier
KR100989939B1 (en) Pyrolysis plant for waste rubber
KR101934209B1 (en)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ash treating apparatus
WO2018128443A1 (en) Marine waste treatment system and marine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same
KR102541154B1 (en) Scattering dust reducing type pyrolysis gasifier
KR102142105B1 (en) Pyrolysis gasifier
KR200335225Y1 (en) dry distillation furnace for dry distillation gas generator of scrapped material, scrapped tire, scrapped resin
KR102593107B1 (en) Scattering dust reducing type pyrolysis gasifier
KR20220095923A (en) Pyrolysis gasifier including automated ash treating apparatus
KR20210012229A (en) Combustible combustible waste heat recovery equipment
KR20130123683A (en) Shooting machine of waste for thermal devices waste
KR0151761B1 (en) An one time lump cast type trash burner
KR20050021713A (en) dry distillation furnace for dry distillation gas generator of scrapped material, scrapped tire, scrapped re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