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789A -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789A
KR20230166789A KR1020220067273A KR20220067273A KR20230166789A KR 20230166789 A KR20230166789 A KR 20230166789A KR 1020220067273 A KR1020220067273 A KR 1020220067273A KR 20220067273 A KR20220067273 A KR 20220067273A KR 20230166789 A KR20230166789 A KR 20230166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ustomer
table number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22006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789A/en
Publication of KR2023016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78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1Price look-up processing, e.g. 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xicolog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냉장고와 POS기를 연동하여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은,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냉장고에 적재된 상품 중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상품 정보 및 테이블 번호를 POS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된 상품 정보는 상품명 및 상품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A method of linking a refrigerator and a PO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an actor;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 step of recognizing products taken out by the actor among the products loaded in the refrigerator; Clos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and table number to the POS device, wherein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Description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및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냉장고{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A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roducts taken out of a refrigerator to a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taken out from a refrigerator to a POS device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및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점과 같은 영업장에서 고객이나 점원이 냉장고 문을 열고 상품을 꺼냈을 때, 반출된 상품을 인식한 후 테이블 정보와 상품 정보를 POS기로 원격 전송하는, POS기와 연동된 냉장고, 및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roducts taken out of a refrigerator to a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tha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products taken out from a refrigerator to a POS device. In particular, when a customer or a clerk opens the refrigerator door and takes out a product in a business place such as a restaurant, the product is taken out. This relates to a refrigerator linked to a POS machine that remotely transmits tabl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to a POS machine after recognizing a loaded product,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from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일반적으로 음식점과 같은 영업장에서 주문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보면, 고객이 테이블에서 종업원을 호출하면 종업원이 고객의 주문을 청취한 후 음식점 입구측에 배치된 카운터로 이동하고, POS기를 통해 주문 상품의 종류와 수량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해당 테이블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주문은 POS기에 누적되어 기록되고, 고객이 퇴점할 때 고객의 결제 수단을 POS기에 연동된 결제기 단말에 읽혀 결제가 이루어진다. In general, when ordering is done in a business establishment such as a restaurant, a customer calls an employee at the table, the employee listens to the customer's order, moves to the counter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restaurant, and types the ordered product through the POS machine. Select and enter the quantity. All orders made at the table are accumulated and recorded in the POS machine, and when the customer leaves the store, the customer's payment method is read by the payment terminal linked to the POS machine and payment is made.

그러나, 이와 같은 상품 주문 환경에서는 주문 상품 정보를 종업원이 POS기에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는데, 종업원은 일반적으로 POS기에 상품의 세부 정보까지 세세하게 입력하지 않기 때문 판매 상품의 세부적인 정보 취득에 취약하고 판매 상품 관리가 부정확해진다는 단점이 지적된다. 예컨대, 특정 음식점이 취급하는 주류가 A사의 소주 a1과 a2, B사의 소주 b1과 b2가 있을 경우, 종업원이 고객으로부터 A사의 소주 a1을 주문받더라도 실제로는 POS 시스템에 "소주"로만 입력해버리거나, 상품명을 모두 "a1"으로 입력해 버린다. 4개의 상품 가격이 모두 같다면 판매된 상품의 상품명까지 입력하지 않더라도 매출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음식점은 개개의 상품에 대한 판매량 관리가 어렵고, 주류 제조사는 자사의 상품별 판매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에는 점원의 POS기 조작을 바로잡을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그대로 앉고 있었다.However, in such a product ordering environment, employees are required to manually enter product information into the POS machine. However, since employees generally do not enter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into the POS machine, they are vulnerable to obtain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being sold. The disadvantage is that product management becomes inaccurate. For example, if a specific restaurant sells soju a1 and a2 from company A and soju b1 and b2 from company B, even if the employee receives an order for soju a1 from company A from a customer, the employee actually enters only “soju” in the POS system. Enter all product names as “a1”. This is because if the prices of all four products are the same, errors in sales will not occur even if the product name of the sold product is not entered. In this situation, it is difficult for restaurants to manage sales volume for individual products, and it is difficult for alcohol manufacturers to build sales big data for each product. Nevertheless, because there was no special means to correct the clerk's operation of the POS machine, this problem persisted.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상황에서 고객이 테이블에서 주류를 주문할 경우 종업원은 호출이 발생한 테이블로 이동하고, 주류 주문을 청취한 후 주류가 적재된 냉장고로 이동하여 술을 꺼낸 후 다시 해당 테이블로 이동하여 고객에게 주류를 전달한 후, POS기로 이동하여 주문 상품을 입력하므로, 점원의 노동력이 불필요하게 많이 투입됨에 따라 업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situation, when a customer orders alcohol at a table, the employee moves to the table where the call occurred, listens to the alcohol order, moves to the refrigerator loaded with alcohol, takes out the alcohol, and then moves back to the table to serve the customer. After delivering the alcohol to the customer, they move to the POS machine to input the ordered product,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inefficient as the clerk's labor is invested unnecessaril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인식이 가능한 인공 지능 냉장고를 POS기와 연동하여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테이블 정보와 함께 자동으로 POS기에 전송함으로써, 점원이 주문 상품을 별도로 POS기에 수동 입력하는 수고를 덜고, 상품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품에 관한 세부적인 정보가 POS기에 기록되기 때문에 상품별로 디테일한 판매량 관리가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nk an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capable of product recognition with a POS machine to automatically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along with table information to the POS machine, This saves the effort of manually entering ordered products separately into the POS machine, and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detailed sales volume management for each product is possible becaus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is recorded in the POS machine during the product recognition proces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와 POS기를 연동하여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은,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냉장고에 적재된 상품 중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상품 정보 및 테이블 번호를 POS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된 상품 정보는 상품명 및 상품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 method of linking a refrigerator and a PO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an actor;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 step of recognizing products taken out by the actor among the products loaded in the refrigerator; Clos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and table number to the POS device, wherein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또한, 상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특정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QR 코드 또는 특정 테이블 번호에 매칭된 RFID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스캐너를 통해 행위자부터 QR 코드 또는 RFID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QR 코드 또는 RFID로부터 특정 테이블 번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ep of receiving the table information includes provid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able number or an RFID matched to the specific table number; Recognizing a QR code or RFID from the actor through a scann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identifying a specific table number from the QR code or RFID.

또한, 상기 행위자는 제1 고객이고, 상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스캐너를 통해 제1 고객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1 고객에게 자신의 테이블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최초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or is a first customer, 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table information includes recognizing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QR code through a scann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requesting the first customer to input his or her table number through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receiving an initial input of a table number from the first customer.

또한, 상기 테이블 번호를 최초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fter initially receiving the table number, transmitting a table number confirmation request to the smartphone of the first customer; and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또한,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스캐너를 통해 제2 고객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2 고객에게 자신의 테이블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상기 제1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입력 사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또는 거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recognizing the second customer's smartphone QR code through a scann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requesting the second customer to input his or her table number through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receiving a table number from the second customer, wherein when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second customer matches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first customer,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transmitting the table number entry fact; and receiving approval or rejection from the first customer.

또한,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고,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거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pprov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custome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may be opened, and when approval rejec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custome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may not be opened.

또한,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점원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원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상기 제1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입력 사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또는 거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a step of receiving a table number from a clerk through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clerk is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first customer. If it matches, transmitting the fact that the table number has been entered to the smartphone of the first customer; and receiving approval or rejection from the first customer.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냉장고는,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을 선반에 적재하는 상품 수납부 및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고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스캐너;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고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POS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본체는 내부에 마련된 비젼 카메라를 이용하여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인식하고, 상기 스캐너를 통해 입력된 테이블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POS기로 전송한다.Meanwhile, a refrigerator that transmits shipped product information to a PO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including a product storage unit and a door for loading at least one type of product on a shelf; A scanner installed on the refrigerator body and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actor; 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acto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POS machine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refrigerator body recognizes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using a vision camera provided inside, and uses the tabl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canner and the recognition. Information about the purchased product is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나 점원이 인공지능 기반의 냉장고에서 상품을 반출하면 냉장고가 인식한 상품 및 해당 상품에 관한 세부 정보가 POS기에 자동 전송 및 기록되기 때문에, 영업장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판매량을 상품명까지 세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ustomer or a store clerk takes out a product from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frigerator,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refrigerator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and recorded to the POS machine, so that the product handled at the st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age sales volume in detail down to the product name.

또한, 고객 셀프 주문 및 수령이 가능하고, 점원 주문시 점원의 이동 동선이 줄어들어 육체 노동 낭비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customers can self-order and receive orders, and the clerk's movement line is reduced when ordering,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waste of physical lab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환경을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의 변경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for performing a method of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a refrigerator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or that transmits shipped product information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exported product information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exported product information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exported product information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to 6C are flowchart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exported product information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below,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symbo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nnect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o the case where member C is interposed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to indirectly connect member A and member B. do.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dditionally, when used herein, “comprise, include,” and/or “comprising, including” refer to mention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pecifies the presence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It is obvious that this cannot be done.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are used to refer to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a drawing. It can be us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hese space-related term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states or usage st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n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bottom” or “below” becomes “top” or “above.” Therefore, “below” is a concept encompassing “top” or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환경을 도식화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130)에 전송하는 냉장고(100)에 대하여 설명한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for performing a method of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from a refrigerator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nvironment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from a refrigerator to a PO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frigerator that transmits energy to the refrigerator. Hereinafter, the refrigerator 100 that transmits shipp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POS machin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고객이 직접 상품을 냉장고(100)에서 꺼낼 때 꺼낸 상품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POS기(1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냉장고(100)이다. 고객(들)이 식당에 들어가 테이블을 배정받고 음식이나 주류를 주문하는 상황에서, 점원을 호출할 필요 없이 같은 테이블에 동석한 고객 중 한명이 스스로 냉장고(100)에서 상품(주류 등)을 꺼내들면 냉장고(100)가 반출된 상품이 어떠한 상품이고 상품명이 무엇이며 반출 상품의 수량과 상품의 가격 등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테이블 번호와 함께 매장에 배치된 POS기(130)로 원격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점원이 고객 대신 상품을 꺼낼 때에도 점원이 고객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면 고객 승인 절차를 진행한 후 실제 냉장고(100)에서 상품을 반출하면 고객의 테이블 번호와 상품의 정보가 자동으로 POS기(130)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점원이 냉장고(100)와 먼거리에 있는 POS기(130)에 직접 가기 않아도 주문 상품을 POS기(130)에 직접 입력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rigerator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product taken out when the customer directly takes the product out of the refrigerator 100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o the POS machine 130. It is (100). In a situation where a customer(s) enters a restaurant, is assigned a table, and orders food or alcohol, if one of the customers present at the same table takes out a product (alcohol, etc.) from the refrigerator 100 on his or her own without the need to call a clerk, The refrigerator 100 has a function to remotel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such as what product is taken out, what the product name is, the quantity of the taken out product, and the price of the product, along with the table number, to the POS machine 130 placed in the store. Equipped with In addition, even when a clerk takes out a product on behalf of a customer, the clerk enters the customer's table number, goes through the customer approval process, and then takes the product out of the actual refrigerator 100, and the customer's table number and product information ar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OS machine ( By transmitting the order to the POS machine 130, it is possible to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directly entering the order product into the POS machine 130 without the clerk having to go directly to the POS machine 130 that is far from the refrigerator 100.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냉장고 본체(110), 스캐너(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제어부(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performs this function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110, a scanner 140, a display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4.

냉장고 본체(110)는,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을 선반에 적재하는 상품 수납부 및 상품 수납부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한다. 상품 수납부에는 복수의 선반(미도시)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각 선반의 하면에는 선반과 선반 사이의 공간을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includes a product storage unit for loading at least one type of product on a shelf, and a door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pening of the product storage unit. In the product storage unit, a plurality of shelves (not show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vision camera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each shelf to photograph the space between the shelves.

비젼 카메라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품 수납부의 각 공간을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상품이 위치한 층,열 및 열 중에서도 몇 번째 위치 등 모든 정보가 비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다. 특히, 비젼 카메라는 상시 작동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공간을 실시간 촬영할 수도 있지만, 도어 개방 시점과 폐쇄 시점 사이의 시간 동안에만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 개폐 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개폐 센서가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동작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64)에 전송하면, 제어부(164)가 도어 개방 시점에 비젼 카메라의 동작을 개시하고 도어 폐쇄 시점에 비젼 카메라의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상품 수납부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만 비젼 카메라를 작동시켜 그 시간 동안에만 공간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vision camera generates multiple images taken of each space of the product storage unit at preset time intervals. In other words, all information such as the floor where the product is located, the row, and the position within the row are captured by the vision camera. In particular, the vision camera may maintain a constant operating state and capture real-time images of the spac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ut may be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only during the time betwe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For example, when a door opening/closing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and the opening/closing sensor recognizes a door opening or door closing operation and transmits this to the control unit 164, the control unit 164 starts the operation of the vision camera at the time of the door opening and opens the door.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vision camera at the time of closure, the vision camera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only when the product compartment is open and capture the space only during that tim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전후를 비교 분석하여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비젼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이나 이미지는 서버에 저장되는데, 도어(120)가 개방되기 이전에 촬상된 영상이나 이미지 중 도어 개방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기초 데이터로 설정하고, 도어(120)가 개방된 이후 촬상된 영상이나 이미지 중 도어 폐쇄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비교 데이터로 설정한다. 기초 데이터는 상품이 선반에서 빠지기 이전의 이미지이고 비교 데이터는 상품이 구입되어 빠진 상태의 이미지이며, 상품 인식부(161)는 이러한 기초 데이터와 비교 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특정한다.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163)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is spec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efore and after images captured by the vision camera. Specifically, the video or image captured by the vision camera is stored in the server. Among the videos or images captured before the door 120 is opened, the video or image captured at the time closest to the door opening time is used as basic data. Then, among the images or images captured after the door 120 is opened, the image or image captured at the time closest to the door closing time is set as comparison data. The basic data is an image before th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shelf, and the comparative data is an image of the product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duct was purchased and removed. The product recognition unit 161 compares the basic data and the comparative data to specify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한편, 도어(120)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과 투명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프레임이 상품 수납부의 일측, 예컨대 우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품 수납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품 수납부에 고정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서버의 제어부(164)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품 수납부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120)를 잠금 상태로 설정되며 잠금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잠금 수단이 상품 수납부에 물리적으로 구속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도어(120)를 당기더라도 상품 수납부가 개방되지 않는다. 반대로 서버의 제어부(164)로부터 잠금 해제신호를 전송받으면 상품 수납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도어(120)를 잠금 해제상태로 설정되며 잠금 해제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도어(120)가 상품 수납부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잠금 수단은 전자식 잠금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투명창은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도 구매자가 상품 수납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oor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quare-shaped frame and a transparent window, and the frame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product storage unit, for example, the right side,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product storage unit. One side of the frame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product storage unit. When a lock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s control unit 164, the door 120 is set to a locked state with the product storage compartment closed. In the locked state, the locking means of the frame is physically bound to the product storage unit, allowing the user to open the door from the outside ( Even if you pull 120), the product compartment does not open. Conversely, when an unlock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s control unit 164, the door 120 is set to the unlocked state so that the product storage part can be opened. In the unlocked state, the door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product storage part by external force. It becomes a state. The locking means may include an electronic locking control device. Meanwhile, the transparent window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acrylic so that the buyer can see the inside of the product compartment even when the door 120 is closed.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냉장고 본체(110)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120)가 개방되고 행위자가 상품을 반출한 후 냉장고 도어(120)를 닫으면,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의 정보가 비젼 카메라에 의해 특정되는데, 냉장고(100)에서 반출된 상품의 상품명, 상품 수량, 가격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15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and can display at least one produc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frigerator door 120 is opened and the actor closes the refrigerator door 120 after taking out the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is specified by the vision camera, and the product taken out from the refrigerator 100 Information such as the product name, product quantity, and price of the product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on the display unit 150.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고, 화면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행위자는 터치 방식으로 테이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행위자는 상품을 입력하는 주체로서, 고객 본인이 행위자가 되어 자신의 테이블 번호를 화면에 입력한 후 도어(120)가 개방되면 상품을 냉장고(100)에서 꺼내거나, 또는 음식점의 종업원이 행위자가 되어 고객의 주문을 받아 고객의 테이블 번호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입력하고 도어(120)가 개방되면 상품을 냉장고(100)에서 꺼낸다.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한 테이블 입력과 관련한 실시예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table information can be input from the actor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The display unit 15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display, and a keypad for entering number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ctor may enter the table number by touch. At this time, the actor is the subject who enters the product, and the customer becomes the actor and enters his or her table number on the screen and then takes the product out of the refrigerator 100 when the door 120 is opened, or an employee of the restaurant is the actor.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inputs the customer's table number into the display unit 150, and takes the product out of the refrigerator 100 when the door 120 is opened. Embodiments related to table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편, 스캐너(140)는 냉장고 본체(110)에 설치되고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뒤에 자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2가지 방식으로 고객의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데, 그 중 하나의 방식은 행위자가 특정 테이블 번호에 매칭된 RFID를 스캐너(140)에 스캔함으로써 자신의 테이블 정보를 입력하거나, QR 코드를 스캐너(140)에 스캔하는 방식이다. 이때 QR 코드는 음식점에서 특정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도록 신규 생성한 QR 코드가 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QR 코드가 될 수도 있다. 스캐너(140)는 이러한 방식에 따른 실시예에서 활용되는 디바이스이다.Meanwhile, the scanner 14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and receives table information from the 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customer's tabl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input in two different ways, one of which is by having the actor scan the RFID matched to a specific table number on the scanner 140. This method involves entering your table information or scanning a QR code on the scanner 140. At this time, the QR code may be a QR code newly created by the restaurant to correspond to a specific table number, or it may be a QR code stored on the user's smartphone. The scanner 140 is a device utiliz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method.

예컨대, 매장에 배치된 다수의 테이블마다 그 테이블 번호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RFID 칩을 내장한 물리적인 표식이 플라스틱 태그나 팔지 형태로 테이블 마다 배치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이 앉은 테이블의 RFIF 태그를 들고 냉장고 본체(110)로 가서 스캐너(140)에 스캐닝함으로서 자신의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 physical mark containing a unique RFID chip that can identify the table number of each table placed in a store may be placed on each table in the form of a plastic tag or sleeve. The customer can enter his or her table information by going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with the RFIF tag of the table he or she is sitting at and scanning it on the scanner 140.

또, RFID 태그 대신에 QR 코드를 사용하여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서,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고유의 QR 코드를 사용하여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음식점에 들어오면 점원이 테이블을 배정하면서 해당 테이블에 할당된 고유의 QR 코드를 신규 생성하여 인쇄물의 형태로 고객에 배부하면, 해당 QR 코드는 고객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소정의 시간 동안에 해당 테이블 번호를 특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객은 배부받은 QR 코드 인쇄물을 들고 냉장고 본체(110)로 가서 스캐너(140)에 스캐닝함으로서 자신의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Additionally, table information can be entered using a QR code instead of an RFID tag. As one example embodiment, table information can be entered using a uniqu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table number. For example, when a customer enters a restaurant, the clerk assigns a table, creates a new unique QR code assigned to that table, and distributes it to the customer in printed form. The QR code corresponds to the customer's use of the restaura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be used as a means to specify table numbers. Customers can enter their table information by going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with the distributed QR code printout and scanning it on the scanner 140.

또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서, 고객 본인의 스마트폰에 설정되어 있는 본인 고유의 QR 코드를 사용하여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본인의 스마트폰에서 QR 코드를 로딩하고 냉장고 본체(110)로 가서 스캐너(140)에 QR 코드를 스캐닝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테이블 번호 입력창이 활성화되고, 본인의 테이블 번호를 터치 입력하면 고객의 최종 동의를 거쳐 고객이 사용한 QR 코드가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매칭된다. 이에 따라. 이후에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재차 스캐닝하면 기존에 입력한 테이블 번호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able information can be entered using the customer's unique QR code set on the customer's smartphone. For example, when a customer loads a QR code on his or her smartphone, goes to the refrigerator body 110, and scans the QR code with the scanner 140, a table number input window is activat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customer enters his or her table number. Upon touch input, the QR code used by the customer is matched with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customer after final consent. Accordingly. Afterwards, if you scan the QR code again with your smartphone, it will be recognized as the previously entered table number.

한편, 통신 모듈(165)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POS기(1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165)은 유/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module 165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S machine 130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is communication module 165 can support wired/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제어부(164)는 냉장고 본체(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테이블 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64)가 잠금 수단에 도어 개방 신호를 전송하여 냉장고의 도어(120)를 개방한다. 또, 냉장고(100)가 반출된 상품을 인식한 이후에는 제어부(164)가 잠금 수단에 도어 폐쇄 신호를 전송하여 냉장고의 도어(120)를 폐쇄한다. 이 밖에도 제어부(164)는 냉장고 본체(110)에 설치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품 수납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6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For example, when a table number is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the control unit 164 transmits a door opening signal to the locking means to open the door 120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after the refrigerator 100 recognizes the shipped product, the control unit 164 closes the door 120 of the refrigerator by transmitting a door closing signal to the locking mean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4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product storage uni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compressor, condenser, evaporator, and expand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110)는 내부에 마련된 비젼 카메라를 이용하여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인식하고, 스캐너(140)를 통해 입력된 테이블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통신 모듈(165)을 통해 POS기(130)로 전송된다.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품명, 구매한 상품의 수량, 상품 가격, 제조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행위자가 상품을 반출할 때마다 상품에 관한 정보가 POS기(130)에 전송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body 110 recognizes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using a vision camera provided inside, and communicates tabl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canner 140 and information about the recognized product. It is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130 through the module 165.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may include the product name, quantity of the product purchased, product price, and manufacturer information. For example, each time the actor takes out a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may be programmed to be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130.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130)에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와 POS기(130)를 연동하여 냉장고(100)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130)에 전송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Meanwhile, Figure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export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POS machin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linking the refrigerator 100 and the POS machin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100 to the POS machine 130 will be described.

먼저,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이 가능하며, 테이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서, 또는 스캐너(140)를 통해서 입력받을 수 있다. First, a step (S100) of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acto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able information (S100)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the table information can be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or the scanner 140.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정보 입력 방법은, 특정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QR 코드 또는 특정 테이블 번호에 매칭된 RFID를 제공하는 단계(S101), 냉장고(100)에 설치된 스캐너(140)를 통해 행위자부터 QR 코드 또는 RFID를 인식하는 단계(S102) 및 QR 코드 또는 RFID로부터 특정 테이블 번호를 식별하는 단계(S103)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table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provid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able number or an RFID matched to a specific table number (S101), and a step of provid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able number or an RFID matched to a specific table number. It may include recognizing a QR code or RFID from the actor through the scanner 140 (S102) and identifying a specific table number from the QR code or RFID (S103).

이러한 제1 실시예는 매장에 배치된 각각의 테이블 마다 테이블을 특정할 수 있는 물리적 표식이 마련되어 있고, 행위자는 상품 주문을 위해 해당 표식을 스캐너(140)에 스캐닝함으로써 자신의 테이블을 특정하는 방식이다. 그러한 표식으로서 QR 코드 또는 RFID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매장에 배치된 다수의 테이블마다 그 테이블 번호를 특정할 수 있는 고유의 RFID 칩을 내장한 물리적인 표식이 플라스틱 태그나 팔지 형태로 테이블 마다 배치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이 앉은 테이블의 RFIF 태그를 들고 냉장고 본체(110)로 가서 스캐너(140)에 스캐닝함으로서 자신의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 RFID 태그 대신에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고유의 QR 코드를 사용하여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음식점에 들어오면 점원이 테이블을 배정하면서 해당 테이블에 할당된 고유의 QR 코드를 신규 생성하여 인쇄물의 형태로 고객에 배부하면, 해당 QR 코드는 고객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소정의 시간 동안에 해당 테이블 번호를 특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객은 배부받은 QR 코드 인쇄물을 들고 냉장고 본체(110)로 가서 스캐너(140)에 스캐닝함으로서 자신의 테이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QR 코드 또는 RFID가 스캐너(140)에 스캐닝되면 서버의 테이블 정보 인식부(162)는 이들 표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식별한다.In this first embodiment, a physical mark is provided for each table placed in the store to identify the table, and the actor identifies his or her table by scanning the mark with the scanner 140 to order a product. . As such a mark, a QR code or RFID can be employed. For example, a physical mark containing a unique RFID chip that can identify the table number of each table placed in a store may be placed on each table in the form of a plastic tag or sleeve. The customer can enter his or her table information by going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with the RFIF tag of the table he or she is sitting at and scanning it on the scanner 140. Additionally, table information can be entered using a uniqu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table number instead of an RFID tag. For example, when a customer enters a restaurant, the clerk assigns a table, creates a new unique QR code assigned to that table, and distributes it to the customer in printed form. The QR code corresponds to the customer's use of the restaura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be used as a means to specify table numbers. Customers can enter their table information by going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with the distributed QR code printout and scanning it on the scanner 140. When a QR code or RFID is scanned by the scanner 140, the tabl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62 of the server identifies the table number from these marks.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행위자는 고객 본인이 될 수 있고, 고객의 주문을 받은 점원이 될 수 있다. 고객 본인은 자신이 앉은 테이블의 테이블 식별 표식을 들고 직접 냉장고(100)에 가서 스캐닝함으로써 테이블 번호를 입력한 후 상품을 취득하고, 점원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은 후 고객이 앉은 테이블의 테이블 식별 표식을 들고 냉장고(100)에 가서 스캐닝함으로써 고객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한 후 상품을 취득하여 고객에게 전달한다. In this first embodiment, the actor may be the customer himself or a clerk who received the customer's order. The customer personally goes to the refrigerator 100 with the table identification mark of the table he or she is sitting at and scans it to enter the table number and obtain the product. The clerk receives the order from the customer and then holds the table identification mark of the table the customer sits at. The product is taken to the refrigerator 100 and scanned to enter the customer's table number, then the product is acquired and delivered to the customer.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정보 입력 방법은, 행위자는 제1 고객이고,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냉장고(100)에 설치된 스캐너(140)를 통해 제1 고객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S110), 냉장고(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제1 고객에게 자신의 테이블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20), 및 제1 고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최초 입력받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5, in the table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ctor is the first customer, and the step of inputting table inform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customer through the scanner 140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0. Recognizing the smartphone QR code (S110), requesting the first customer to input his or her table number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0 (S120), and receiving the table number from the first customer It may include a step of receiving the first input (S130).

이러한 제2 실시예는 매장에 배치된 물리적 표식을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고객이 본인의 스마트폰에 할당되어 있는 QR 코드를 사용하여 테이블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고객이 본인의 스마트폰에서 QR 코드를 로딩하고 냉장고 본체(110)로 가서 스캐너(140)에 QR 코드를 스캐닝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테이블 번호 입력창이 활성화된다. 고객이 본인의 테이블 번호를 터치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150)에는 해당 QR 코드를 입력된 테이블 번호에 매칭하는데 동의 여부를 묻는 창을 디스플레이한 후, 고객의 최종 동의를 거치면, 고객이 스캐닝한 본인 스마트폰 고유의 QR 코드가 고객이 기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매칭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QR 코드를 최초 스캐닝한 후 자신의 테이블 번호와 매칭함으로써, 이후 주문시에는 스마트폰 QR 코드를 스캐너(140)에 스캐닝하면 기존에 입력한 테이블 번호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은 후, 테이블에 착석한 고객들의 성별 및 연령대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0)는 예컨대, 테이블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고객 정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여 행위자로부터 고객의 성별과 인원수 및 연령대 정보를 입력하도록 입력창을 출력할 수 있다. This second embodiment does not use a physical sign placed in the store, but rather allows customers to enter table information using a QR code assigned to their smartphone. For example, when a customer loads a QR code on his or her smartphone, goes to the refrigerator body 110, and scans the QR code with the scanner 140, a table number input window is activated on the display unit 150. When a customer touches and inputs his or her table number,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 window asking whether or not to agree to matching the corresponding QR code to the entered table number. After the customer gives final consent, the customer scans his or her smart phone. The phone's unique QR code matches the table number previously entered by the customer. Accordingly, by initially scanning the smartphone QR code and matching it with one's table number, when ordering later, the smartphone QR code can be scanned through the scanner 140 to be recognized as the previously entered table number. At this time, after receiving the table number from the actor,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gender and age information of customers seated at the table. To this end,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may recognize the tab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display a customer information input window to allow the actor to input the customer's gender, number of people, and age group information.

다음,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은 이후에, 냉장고(100)의 도어(120)를 개방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테이블 정보 인식부(162)는 스캐너(140)를 통해 테이블 번호가 입력되거나(제1 실시예)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테이블 번호가 입력되면(제2 실시예) 제어부(164)에 도어(120)의 잠금 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도어(120)를 개방한다. Next, referring again to FIG. 3, after receiving the table number, a step (S200) of opening the door 120 of the refrigerator 100 is performed. The tabl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62 opens the door ( The door 120 is opened by transmitting a signal that controls the locking means of the door 120.

다음, 냉장고(100)에 적재된 상품 중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반 하부에 설치된 비젼 카메라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선반에 놓인 상품들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도어(120)가 개방되기 이전에 촬상된 영상이나 이미지와, 도어(120)가 개방된 이후 촬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비교하여 이미지 차이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정보로부터 행위자가 몇번째 선반에서 몇번째 열에 진열된 상품을 반출하였는지 특정 가능하며, 이를 기초로 행위자가 최종 선택한 상품의 상품명과 구매 수량 및 상품 가격을 특정할 수 있다. 이때,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163)에 저장될 수 있다.Next, a step (S300) is performed to recognize products taken out by the actor among the products loaded in the refrigerator 100. As described above, images of products placed on the shelf are captured at preset time intervals through a vision camera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helf, and images or images taken before the door 120 is opened are captured. Image differenc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captured videos or images, and from thi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pecify which shelf and which row the product was displayed in. Based on this,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name of the product finally selected by the agent are identified. You can specify the purchase quantity and product price.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다음, 냉장고(100)의 도어(120)를 폐쇄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 상품 인식부(161)는 반출 상품이 특정되면 제어부(164)에 도어(120)의 잠금 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며, 제어부(164)는 도어(120)의 잠금 수단을 다시 구동하여 도어(120)를 폐쇄한다. Next, a step (S400) of closing the door 120 of the refrigerator 100 is performed. When the product to be taken out is specified, the product recognition unit 161 transmits a signal to control the locking means of the door 120 to the control unit 164, and the control unit 164 operates the locking means of the door 120 again to open the door ( 120) is closed.

다음, 도어(120)가 닫히면, 인식된 상품 정보 및 테이블 번호를 POS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500)를 수행한다. 인식된 상품 정보는 상품명 및 상품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품 정보는 테이블 번호와 함께 전술한 통신 모듈(165)을 통해 POS기(130)로 전송된다. 즉, 도어(120)가 닫힐 때마다 저장부(163)에 저장된 상품에 관한 정보가 POS기(130)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3)에는 상품의 판매 시각도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품의 반출이 이루어지고 도어가 닫히는 순간의 시각을 해당 상품의 판매 시각으로 간주하여 저장부(163)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163)에 저장된 상품 정보가 POS기(130)에 전송되는 시점을 판매 시각으로 간주하여 POS기에서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품 정보가 POS기(130)로 전송된 이후에는, 상기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163)에 삭제될 수 있다.Next, when the door 120 is closed, a step (S500) of transmitting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and table number to the POS machine 130 is performed.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Product information, along with the tabl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65 described above. That is,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130 whenever the door 120 is closed. Additionally, the sales time of the product may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For example, the time at which the product is taken out and the door is closed can be regarded as the sales time of the produc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and manage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at the POS machine by considering the time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is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130 as the sales time. And, after the produc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130,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actor may be deleted from the storage unit 163.

예컨대, 10번 테이블에 앉은 제1 고객이 도어(120)가 개방된 이후 냉장고에서 소주 1병을 반출하였을 경우, 상품 인식부는 "소주"가 아니라 "처음처럼"으로 특정 상품명까지 특정 가능하며, 이미지 차이 정보에 의해 선반에서 소주 1병이 반출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처음처럼" "1병"이 테이블 번호 10번과 함께 저장부(163)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20)가 폐쇄되면 이러한 상품 정보가 POS기(130)로 전송된다. POS기(130)에는 10번 테이블에서 주문하여 반출한 상품들이 누적 기록된다. For example, if the first customer sitting at table number 10 takes out a bottle of soju from the refrigerator after the door 120 is opened, the product recognition unit can specify a specific product name as "like the first time" instead of "soju", and the image Based on the difference information, it can be recognized that a bottle of soju has been taken off the shelf. In this case, “1 bottle” “just like the first tim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along with table number 10. And, when the door 120 is closed, this produc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S machine 130. In the POS machine 130, products ordered and shipped from table 10 are accumulated and recorded.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냉장고(100)가 상품 인식 알고리즘(즉, 이미지 차이 정보를 이용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품을 상품명까지 특정한 후 이를 POS기(130)에 자동 전송하기 때문에, 종업원이 POS기에 주문 상품을 직접 입력하는 종래의 주문 방식과 비교하여 판매 상품 관리가 매우 정확할 뿐 아니라, 특정 범주의 상품 소비량을 상품명 단위까지 세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frigerator 100 uses a product recognition algorithm (i.e., an algorithm that uses image difference information) to specify the product name and automatically transmits it to the POS machine 130, so the employee can order the product at the POS machin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rdering method of directly entering the order, not only is the management of sold products very accurate,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age the consumption of products in a specific category in detail down to the product name level.

특히, 음식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통해서만 주류를 판매한다고 가정한다면(즉, 종업원이 고객 주문을 받아 일반 냉장고에서 주류를 꺼내고 POS기에 수동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당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모든 주류가 상품명 단위까지 구체적으로 POS기에 기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상품명의 주류에 대하여, 판매 시각, 동일 테이블에서 주문이 이루어지는 시간 간격, 동일 테이블에서 소모하는 개수에 대한 정보까지 POS기에 기록될 수 있는바,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판매 기록이 모두 데이터로 누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ssuming that a restaurant sells alcohol only through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f the employee does not use the method of receiving customer orders, removing alcohol from a general refrigerator, and manually entering it into the POS machine), the restaurant sells alcohol only through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alcoholic beverages sold at can be specifically recorded on the POS machine, down to the product name level. Furthermore, for alcoholic beverages of a specific product name, information on the sales time, the time interval between orders at the same table, and the number of units consumed at the same table can be recorded in the POS machine, so all specific sales records for the product are converted into data. It can be cumulative.

한편,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130)에 전송하는 방법의 변경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Meanwhile, Figures 6A to 6C are flowchart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export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POS machine 1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라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은 제1 고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최초로 입력받은 단계(S130) 이후에,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40) 및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15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고객의 스마트폰 고유의 QR 코드가 자신이 입력한 특정 테이블 번호와 매칭되기 때문에, 매칭을 완료하기 이전에 제1 고객에게 최종 확인을 구하는 개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고객의 QR 코드가 제1 고객 본인의 실수에 의해 임의의 다른 테이블 번호와 매칭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6A, the method of receiving tab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is to confirm the table number on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after the step (S130) of first receiving the table number from the first customer. A step of transmitting a request (S140) and a step of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S150) may be further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ustomer's smartphone's unique QR code matches the specific table number entered by the customer, so the concept is to obtain final confirmation from the first customer before completing the matching. By doing this, the error of the first customer's QR code matching with another table number due to the first customer's mistake can be reduced.

한편, 도 6b는 제1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자신의 테이블 번호와 매칭시킨 이후에, 제1 고객이 아닌 제2 고객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제1 고객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고 상품을 주문하는 상황에서, 냉장고(100)의 도어(120)를 개방하기 전에 해당 테이블에 기 매칭된 제1 고객의 확인을 구하는 개념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라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은, 도 6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 이후, 냉장고(100)에 설치된 스캐너(140)를 통해 제2 고객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S160), 냉장고(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제2 고객에게 자신의 테이블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70), 및 제2 고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171)를 추가로 수행한다. 그리고, 제2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제1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입력 사실을 전송하는 단계(S180) 및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또는 거부를 수신하는 단계(S190)를 더 수행한다.Meanwhile, Figure 6b shows that after the first customer matches his or her smartphone QR code with his or her table number, a second customer, not the first customer, enters the first customer's table number into the display unit 150. In a situation where a product is ordered, the concept is to obtain confirmation from the first customer already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table before opening the door 120 of the refrigerator 100. Referring to FIG. 6B, the method of receiving tab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is after performing the step (S150) of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as described in FIG. 6A, the refrigerator 100 Recognizing the second customer's smartphone QR code through the scanner 140 installed in the second customer (S160), requesting the second customer to input his or her table number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00 (S170), and a step of receiving a table number from the second customer (S171) are additionally performed. And, if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second customer matches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first customer, a step of transmitting the table number input to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S180) and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or A further step of receiving a rejection (S190) is performed.

통상적으로, 음식점에 들어와 자신의 스마트폰 QR 코드로 상품을 첫주문하는 고객은 전술한 것처럼 QR 코드 스캔, 테이블 번호 입력, 및 승인의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두번째 주문시부터는 자신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 도어(120)가 개방되고 상품 주문이 가능하다. 물론, 자신의 스마트폰 QR 코드와 자신의 테이블 번호를 매칭하지 않은 제2 고객이 매칭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자신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50)는 화면에 테이블 번호 입력을 요청할 것이다. 이 경우, 제2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공석 중인 테이블 번호이거나 손님은 있되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으로 메뉴를 주문하는 테이블일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를 노출하여 제2 고객의 상품 주문을 중지할 수 있다. Typically, a customer who enters a restaurant and places his or her first order for a product using the QR code on his or her smartphon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scanning the QR code, entering a table number, and obtaining approval, as described above. And, from the second order, the door 120 is opened and the product can be ordered simply by scanning the QR code on one's smartphone. Of course, even if a second customer who does not match his or her smartphone QR code with his or her table number scans his or her smartphone QR code without going through the matching step, the display unit 150 will request input of the table number on the screen. will be. In this case, if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second customer is an empty table number or a table where there are customers but ordering menus using the conventional analog method, an error message may be displayed and the second customer's product order may be stopped.

그러나, 제2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제1 고객이 기 이용중인 테이블 번호일 경우에는 제1 고객의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만일, 제1 고객과 제2 고객이 동석 관계일 경우에 제1 고객은 테이블 정보 입력 사실을 전송받은 후 승인을 입력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1 고객과 제2 고객이 같은 테이블에 앉은 지인 관계에서는 최초에 테이블 번호를 매칭한 사람이 제1 고객의 스마트폰 QR 코드일지라도, 제2 고객이 테이블 번호 입력하는 것만으로 상품 주문이 진행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second customer is the table number already being used by the first customer, the first customer must go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If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are present together, the first customer will enter approval after receiving the fact that the table information has been entered. In this way, in a relationship where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are acquaintances sitting at the same table, even if the person who initially matched the table number is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QR code, the second customer can order the product simply by entering the table number. It can proceed.

이에 반해, 제1 고객과 제2 고객이 다른 테이블에 앉은 서로 모르는 관계일 경우에는 제1 고객은 다른 사람이 본인의 테이블 정보를 입력한 사실을 냉장고(100)로부터 전송받은 후 승인 거부를 입력할 것이다. 냉장고(100)는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냉장고(100)의 도어(120)를 개방하고,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거부를 수신하는 경우 냉장고(100)의 도어(120)를 개방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customer and the second customer are sitting at different tables and do not know each other, the first customer can input rejection after receiving the fact that another person has entered his/her table information from the refrigerator 100. will be. When approv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customer, the refrigerator 100 opens the door 120 of the refrigerator 100, and when approval rejec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customer, the refrigerator 100 does not open the door 120. .

이러한 방식에 의해, 스마트폰 QR 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경우에도 같은 테이블에 앉은 사람이 추가 주문을 진행할 수 있고, 다른 테이블에 앉은 사람이 다른 테이블 번호를 고의로 입력하고 상품을 무단으로 주문할 수 없도록 조치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when ordering a product using a smartphone QR code, a person sitting at the same table can place an additional order, and a person sitting at a different table can intentionally enter a different table number and order the product without permission. Measures can be taken to prevent this.

한편, 도 6c는 제1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자신의 테이블 번호와 매칭시킨 이후에, 제1 고객이 아닌 점원이 제1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은 후 디스플레이부(150)에 제1 고객의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고 상품을 주문하는 상황에서, 냉장고(100)의 도어(120)를 개방하기 전에 해당 테이블에 기 매칭된 제1 고객의 확인을 구하는 개념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 이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점원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161)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점원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제1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입력 사실을 전송하는 단계(S180) 및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또는 거부를 수신하는 단계(S190)를 수행한다. Meanwhile, Figure 6c shows that after the first customer matches his smartphone QR code with his table number, a clerk who is not the first customer receives the order from the first customer and displays the first customer on the display unit 150. In a situation where a table number is entered and a product is ordered, the concept is to obtain confirmation from the first customer already matched to the corresponding table before opening the door 120 of the refrigerator 100. Referring to FIG. 6C,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S150) as described in FIG. 6A, a step of receiving a table number from the clerk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S161) is further performed. It can be done. And, if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clerk matches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first customer, a step of transmitting the table number input to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S180) and approval or rejection from the first customer. A receiving step (S190) is performed.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점원을 통해 상품을 주문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테이블 번호가 점원에 의해 입력된 사실을 제1 고객이 인지할 수 있고, 또 제1 고객이 점원에게 상품 주문을 하지 않았으나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테이블 번호 입력 사실을 전송받으면 이를 점원의 실수로 인지하고 승인 거부를 송신하여 점원의 잘못된 상품 반출을 중지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even when ordering a product through a clerk, the first customer can recognize that his or her table number has been entered by the clerk, and even though the first customer did not order a product from the clerk, his/her smart phone number can be recognized by the clerk. When the table number input information is sent to the phone, the clerk recognizes this as a mistake and sends an approval rejection to stop the clerk from taking out the wrong produc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및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냉장고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a refrigerator to a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to a PO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Without limita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100: 냉장고 110: 냉장고 본체
120: 도어 130: POS기
140: 스캐너 150: 디스플레이부
161: 상품 인식부 162: 테이블 정보 인식부
163: 저장부 164: 제어부
165: 통신 모듈
100: Refrigerator 110: Refrigerator body
120: Door 130: POS machine
140: scanner 150: display unit
161: Product recognition unit 162: Tabl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63: storage unit 164: control unit
165: communication module

Claims (8)

냉장고와 POS기를 연동하여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냉장고에 적재된 상품 중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상품 정보 및 테이블 번호를 POS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된 상품 정보는 상품명 및 상품 가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A method of linking a refrigerator and a POS machine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Step of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actor;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 step of recognizing products taken out by the actor among the products loaded in the refrigerator;
Clos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and table number to the POS machine;
Including,
The recognize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name and product price,
How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특정 테이블 번호에 대응하는 QR 코드 또는 특정 테이블 번호에 매칭된 RFID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스캐너를 통해 행위자부터 QR 코드 또는 RFID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QR 코드 또는 RFID로부터 특정 테이블 번호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receiving the table information is,
Providing a QR cod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able number or an RFID matched to a specific table number;
Recognizing a QR code or RFID from the actor through a scann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Identifying a specific table number from the QR code or RFID;
which includes,
How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위자는 제1 고객이고,
상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스캐너를 통해 제1 고객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1 고객에게 자신의 테이블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최초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ctor is the first customer,
The step of receiving the table information is,
Recognizing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QR code through a scann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requesting the first customer to input his or her table number through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Receiving an initial table number from the first customer;
which includes,
How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번호를 최초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After the initial input of the table number,
Transmitting a table number confirmation request to the first customer's smartphone; and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which includes,
How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스캐너를 통해 제2 고객의 스마트폰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2 고객에게 자신의 테이블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상기 제1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입력 사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또는 거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Recognizing the second customer's smartphone QR code through a scann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requesting the second customer to input his or her table number through a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and
Receiving a table number from the second customer;
Including,
If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second customer matches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first customer,
Transmitting the fact that the table number has been entered to the smartphone of the first customer; and
receiving approval or rejection from the first customer;
which includes,
How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제5항에 있어서,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고,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거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는 것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n approv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customer, and not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n receiving rejection of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How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점원으로부터 테이블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점원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가 상기 제1 고객이 입력한 테이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고객의 스마트폰에 테이블 번호 입력 사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으로부터 승인 또는 거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냉장고에서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first customer,
Receiving a table number from a clerk through the display unit;
Including,
If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clerk matches the table number entered by the first customer,
Transmitting the fact that the table number has been entered to the smartphone of the first customer; and
receiving approval or rejection from the first customer;
which includes,
How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to the POS machine.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을 선반에 적재하는 상품 수납부 및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고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스캐너;
상기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고 행위자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POS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본체는 내부에 마련된 비젼 카메라를 이용하여 행위자가 반출한 상품을 인식하고, 상기 스캐너를 통해 입력된 테이블 정보와 상기 인식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POS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된 상품 정보를 POS기에 전송하는 냉장고.
A refrigerator main body including a product storage unit and a door for loading at least one type of product on a shelf;
A scanner installed on the refrigerator body and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actor;
A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receiving table information from the acto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POS machine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The refrigerator main body uses a vision camera provided inside to recognize products taken out by the actor, and transmits tabl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canner and information about the recognized products to the POS machin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A refrigerator tha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shipped products to the POS machine.
KR1020220067273A 2022-05-31 2022-05-31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KR202301667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73A KR20230166789A (en) 2022-05-31 2022-05-31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273A KR20230166789A (en) 2022-05-31 2022-05-31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789A true KR20230166789A (en) 2023-12-07

Family

ID=8916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273A KR20230166789A (en) 2022-05-31 2022-05-31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7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3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site distribution of medications and medical supplies
EP0446500B1 (en) Automated order and payment system
EP2798618B1 (en) System for remotely providing services through video communication
US20180182189A1 (en) Displaying targeted messages on display screens of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terminals
JP2016521414A (en) Computer controlled unmanned automatic checkout store outlet
CN108025871A (en) House th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inventory management method in storehouse
CA30672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arcel pickup
US11995607B2 (en) Frictionless re-ordering and re-stocking
TW201805902A (en) Shopping support system
US20200226544A1 (en) Dispensing and tracking system
KR20200061698A (en) Method for self-takeout using takeout box
US20220180710A1 (en) Self-service and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KR20230166789A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product information to pos device and a refrigerator
JP6927679B2 (en) Stocker related equipment
CN109390052B (en) Medical convenience terminal, server and system
CN114303178B (en) Vending machine control system, vending machine and information output method
JP2022105512A (en) Stocker system
US20210201284A1 (en) Sal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398765B2 (en) vending machine
JP2022013371A (en) Product handover system
JP2022072091A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1916004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344492B2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sales data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JPH02171957A (en) Order receiving sales device
JPH02187859A (en) Order accepting and sell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