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695A -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695A
KR20230166695A KR1020220066989A KR20220066989A KR20230166695A KR 20230166695 A KR20230166695 A KR 20230166695A KR 1020220066989 A KR1020220066989 A KR 1020220066989A KR 20220066989 A KR20220066989 A KR 20220066989A KR 20230166695 A KR20230166695 A KR 2023016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equipment
facility management
inspection
ai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선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주)디더블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더블유아이 filed Critical (주)디더블유아이
Priority to KR102022006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695A/ko
Priority to PCT/KR2023/006894 priority patent/WO2023234613A1/ko
Publication of KR2023016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6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75Faul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e.g. classify fault; estimate cause or root of fail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단말에 통지를 행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a) 사업소별로 장비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장비가 설치되는 위치인 시설 점검 지점 및 상기 장비에 대한 시설 점검 항목을 등록하고, 상기 시설 점검 항목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장비에 대해 주기별 점검 수치를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임계치의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계별 위험 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지정된 단말에 당해 단계별 위험 수위를 통지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 산출을 통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예방 점검 시나리오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물 등의 시설물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건물이나 장비 등으로 대표되는 시설물을 관리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일단 시설물을 짓는 단계에서 주로 신경을 쓰고 그 후의 이용 단계에 있어서는 체계화된 관리 기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설물이 점점 대형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서, 단지 시설물을 잘 지어놓는다고 해서 잘 운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인식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서 생겨난 개념이 FMS(시설 관리 시스템; Facility Management System)이다.
시설 관리 시스템(FMS) 기술은 제어가 필요한 모든 장비의 구성 정보, 성능 정보, 운영자 정보, 장애 정보 및 다양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여 장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장비의 이상 유무에 따른 메시지를 운영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운영자로부터 이상 유무 메시지에 기초한 장비의 제어 명령을 제공받아 장비를 제어하도록 한다. 운영자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메시지를 받고, 제어명령을 제공함으로써, 운영자가 항상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 않아도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로텔레콤, SK하이닉스반도체, LG전자 등 대기업뿐만 아니라 경상북도 교육청, 대구시 교육청 등 공공기관들이 잇따라 FMS를 도입하였고, 주요 지자체가 기반 설비 감시 중요성을 인식해 FMS 도입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하고 있다.
관련된 개념으로서 BAS(빌딩 자동화 시스템 또는 건물 자동제어 시스템; Building Automation System)가 있다. 관리시스템 산업의 발전은 BAS와도 연계되어 건물의 BAS를 발전시키고 있다. 1970년을 경계로 건물은 초고층화, 대형화되며 이에 수반하여 전력 설비, 공조 설비, 방재 시설 등의 복합화, 시스템화가 급속히 진행되었으며, 이들 초고층 건물을 비롯한 대규모 건물 설비의 운전, 제어, 관리에 컴퓨터가 건물 자동제어 시스템(BAS)으로 응용된 것이다.
또한 컴퓨터의 출현으로 BAS는 급속히 발전하여 소규모 건물에도 건물용도에 따른 BAS를 설치하게 되었고, BAS는 건물 설비의 운전, 관리에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다. BAS의 컴퓨터화에 따라 BAS의 Remote Station(RS) 전송간선을 전화회선에 접속하여 지역 내 및 원격지의 복수건물을 연결하여 경보와 운전의 집약으로 인한 관리가 이전에 시작되었으며 이것이 소위 건물 군 관리 시스템의 원형이라 할 수 있고, 현재에는 “관리의 집중, 제어의 분산”을 주요 개념으로 한 분산제어 시스템이 BAS의 주류가 되었으며, 그 응용 시스템으로써 군 관리 시스템이 복수 건물의 BAS를 LAN 또는 전화선(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다른 건물 설비를 군 관리 센터에서 원격으로 운전, 관리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시설 관리자로 하여금 추후에 할 일(예컨대, 내일 할 일)을 알려주는 것, 더 나아가서는 작업 자체의 스케줄링을 바꾸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시설 관리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점검된 수치의 누적 데이터를 통해 (문제 발생 후의) 단순 대응 뿐만이 아니라 (문제 발생 전에) 예방 조치를 취해둘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주기적인 수치 입력(직접 입력하든, NFC를 이용하여 입력하든, 카드 태그를 통해 입력하든, 센서가 자체적으로 입력하든)이 단지 기록에 그치지 않고, 작업(추후에 행할 작업)과는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시설 업무의 최적화가 시설 관리자의 경험에 전적으로 좌우되기보다는 가급적 균일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과제는, 과거에는 전조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특정 문제가 발생하기 전의 전조 증상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결국은 문제가 발생한 후에야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임계치를 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단계별로), 예측 데이터를 알려주면서 볼 수 있게 하여 예방 점검의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단말에 통지를 행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설 관리 방법으로서,
(a) 사업소별로 장비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장비가 설치되는 위치인 시설 점검 지점 및 상기 장비에 대한 시설 점검 항목을 등록하고, 상기 시설 점검 항목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장비에 대해 주기별 점검 수치를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임계치의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계별 위험 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지정된 단말에 당해 단계별 위험 수위를 통지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 산출을 통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예방 점검 시나리오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f)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장비의 교체시기를 결정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g) 상기 누적된 데이터의 분석 및 딥러닝을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LCC(생애 주기)를 예측하고, 사업소별 중장기 수선계획을 수립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는, 상기 임계치에서 벗어난 정도를 2 이상의 단계로 나눈 것이며, 상기 임계치에서 벗어난 정도의 단계에 따라서, 상기 예방 점검 시나리오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비는 공기질 센서이며,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는 단계별 공기질 등급이며, 상기 공기질 등급의 결과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보함과 함께, 상기 단계별 공기질 등급에 따라 공조 시스템을 달리 동작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질 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치가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계학습에 의해 공기질을 예측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질의 예측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외의 환경정보와의 상관 관계를 추가로 고려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적된 데이터의 분석시에, 데이터 마트를 구성하여 분석 수행에 필요한 기능 리스트를 산출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는 감가상각에 대비한 점검 또는 작업의 빈도를 분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조기는 에어컨, 온풍기, 환풍기, 공기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별 공기질 등급에 따라 공조 시스템을 달리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동작하는 강도를 달리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복수의 장치이어서 더 많은 갯수의 장치를 동작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질을 예측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할 때, 공기질 예측 외에도 당해 공기질 예측에 대해 미리 설정된 대응 시나리오를 함께 통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시설 관리 방법을 행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으로서,
(a) 사업소별로 장비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b) 상기 장비가 설치되는 위치인 시설 점검 지점 및 상기 장비에 대한 시설 점검 항목을 등록하고, 상기 시설 점검 항목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c) 상기 장비에 대해 주기별 점검 수치를 입력받는 수단과,
(d)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임계치의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계별 위험 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지정된 단말에 당해 단계별 위험 수위를 통지하는 수단과,
(e)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 산출을 통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예방 점검 시나리오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계치를 설정하여 측정 수치가 그 임계치를 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임계치를 넘는 정도를 단계별로 파악(단계별 위험 수치의 산출)한다. 단계별 위험 수치의 산출이란, 예컨대, 임계치를 1단계로 넘었을 때(조금 넘었을 때)와 2단계로 넘었을 때(1단계보다 더 넘었을 때)의 위험 강도를 차별화하는 것이며, 이러한 위험 강도를 미리 통지받음으로써, 시설 관리자로 하여금 추후에 할 일(예컨대, 내일 할 일)을 알려주는 것, 더 나아가서는 작업 자체의 스케줄링을 바꾸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시설 관리자의 역할은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대응하는 것도 있지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시설 관리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을 일효과로 한다. 즉, 점검된 수치의 누적 데이터를 통해 (문제 발생 후의) 단순 대응 뿐만이 아니라 (문제 발생 전에) 예방 조치를 취해둘 수 있게 한다.
만약 주기적으로 수치 입력(직접 입력하든, NFC를 이용하여 입력하든, 카드 태그를 통해 입력하든, 센서가 자체적으로 입력하든)을 해 두더라도, 이러한 수치 입력이 단지 기록에 그치고, 작업(추후에 행할 작업)과는 연계되지 않는 문제점이 본 발명에서는 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치 입력(수동이든, 자동이든)이 있고, 그 수치가 임계치 밖이면 시설 관리자에게 안내(통보)가 되어, 시설 관리자에게 후속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임계치의 초과 여부 또는 임계치를 얼마나 초과했는지(등급별 차별화)에 따라, 다음에 해야 할 일(즉, 스케줄링)에 대한 통지를 시설 관리자에게 전자적 수단으로 발송하게 하며, 그에 따라, 시설 업무의 최적화가 시설 관리자의 경험에 전적으로 좌우되기보다는 가급적 균일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과거에는 전조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특정 문제가 발생하기 전의 전조 증상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결국은 문제가 발생한 후에야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임계치를 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단계별로), 예측 데이터를 알려주면서 볼 수 있게 하여 예방 점검의 효과를 갖는다. 이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단지 단계별 임계치 초과 통지를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당해 임계치 초과 단계에 따라 어떠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의 시나리오를 미리 정해 두고 당해 시나리오를 행할 것을 시설 관리자의 단말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른 장비 수치 점검 및 임계치 적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데이터 분석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분석 수행 과정을 이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분석 기능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장비 분석을 행하는 UI(User Interface)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장비 분석을 행하는 UI의 일예를 계속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장비 분석을 행하는 UI의 일예를 계속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라, 환경 관리의 일예로서, IoT 기반의 실내 공기질 데이터 분석, 예측 및 알림을 통한 공조 시스템 관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마스터 관리] 화면에서 공기질 센서를 등록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임계치 설정] 탭(컨트롤)을 통해서, 기등록된 공기질 센서에 대해 임계치를 설정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현황 조회(실시간)] 화면에서 공기질 현황을 조회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현황 분석(기간별)] 화면에서 공기질 현황을 분석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른 임계치 적용 분석 화면의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른,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공기질을 예측하고, 등급 결과를 알리고, 공조 시스템과 연계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른 장비 수치 점검 및 임계치 적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시설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에서 장비 시설을 점검함에 있어서, 관리자가 단지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수치에 기반하여 점검하는 경우가 있다.
장비에는 사용 연한이 있는데, 어떻게 보수/관리하는지에 따라 주기가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한다. 장비의 일예로, 사무용 건물에 설치된 대형 보일러를 들면, 이 장비의 통상적인 수명이 20년이라고 해도, 어떻게 사용(관리)하는지에 따라서 25년을 쓸 수도 있고, 15년만에 수리 불능(사용 불능)의 상태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20층짜리 사무용 건물을 예로 들면, 각 층마다 설치된 장비(또는 설비)가 있다. 예컨대, 각 층마다 특정 위치에 분전반이 있고, 2개층마다 하나씩 다른 특정 위치에 보일러실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각 위치를 지점(node)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설비나 장비는 여러 종류이며, 예컨대, 기계 설비, 전기 설비, 소방 설비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설비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점검을 행하는데, 그 주기는 일일/주간/분기/반기/연간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주기적 점검의 결과를 사람이 육안으로 하고 끝내거나 종이에 기록해 두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DB에 저장해 둔다. DB에 저장함에 있어서도, 단지 관리 상태가 양호하다/불량하다 정도의 기록만으로는 추후에 의미있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가 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주기적 점검시에 수치를 입력하는 형태인 것이 좋다.
예컨대, 특정층의 특정 위치에 있는 보일러실의 설정 수온이 80℃로 되어 있는 경우, 그 온도(80℃)를 점검 수치로서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치 입력을 받고, 데이터화하여 장기 시계열로 분석하면, 당해 수치가 사용 연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정도의 수치인지 아니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정도의 수치인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당해 설비(장비)에 대한 적정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임계치라고 표현하였으나, 이는 특정의 수치일 수도 있고, 수치의 범위일 수도 있다.
일단 임계치가 정해지면, 점검시에 측정한 수치가 임계치의 범위 밖인 경우에 시설 관리자에게 알람을 보내어 보수할 수 있게 한다(장비의 수치를 점검하는 사람과 시설 관리자는 동일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참고로, 임계치는 빅 데이터를 통하여 '미리 분석하여 얻어둔 데이터'이면 되고, 특정 건물의 특정 층의 특정 위치에 설비로부터의 장기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여 임계치를 얻어서 당해 설비에 적용할 필요까지는 없다. 물론, 장기간 사용된 장비이고 데이터가 누적되어 있다면, 당해 장비에서 얻은 누적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당해 장비에 대한 임계치 설정에 사용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즉, 임계치는 '당해 장비'로부터 직접 얻어서 피드백하여 설정되어 '(동일한) 당해 장비'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고, '당해 장비와는 동종의 장비'에 대해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 설정한 값일 수도 있다.
요컨대, 설비를 주기적으로 점검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 기준을 도입하여, 위험성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시설 관리자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보일러실 관리시에 시설 점검자가 보일러실에 가서 수온을 직접 웹이나 모바일에서 기록하던, 아니면 NFC나 카드 태그 등을 통해서 수온이 전자적으로 기록하던, 특정 수치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입력(더 나아가 DB에 저장)이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수치를 기록해 두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당해 수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 판단하여 시설 관리자에게 전자적 수단(핸드폰 문자 메시지, SNS, 이메일 등)을 통해 알린다.
상기 임계적 수치를 미리 설정해 두는 기준은, (i) 이 범위의 숫자를 넘어가면 장비에 좋지 않을 것이다라는 단순한 예측을 통한 것일 수도 있고, (ii)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해 장비와 동종의 장비에 대한 장기적 시계열 분석을 통해서 어떠한 수치 범위에서 동작했을 때에 장비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었고, 어떠한 수치 범위에서 동작했을 때에는 수명이 더 짧아졌다는 데이터 분서게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가 있으면, 임계치(범위)의 적절한 설정에 도움이 되고, 나중에 건물에 대한 장비나 설비를 투자/계획할 때에 유용한 자료가 된다.
일예로, 장비마다 및/또는 계절마다 다른 데이터의 DB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주기적으로 수치 입력(직접 입력하든, NFC를 이용하여 입력하든, 카드 태그를 통해 입력하든)을 해 두더라도, 이러한 수치 입력이 단지 기록에 그치고, 작업(추후에 행할 작업)과는 연계되지 않는 문제점이 본 발명에서는 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치 입력이 있고, 그 수치가 임계치 밖이면 시설 관리자에게 안내(통보)가 되어, 시설 관리자에게 후속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임계치의 수치 범위를 넘었다(범위 밖이다), 넘지 않았다(범위 내이다)의 2단계로만 반드시 구분할 필요는 없고, 임계치를 어느 정도 넘었는지에 따라서 차등화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보일러 수온의 겨울의 임계치 내가 75~85℃라 하면, 점검된 온도가 90℃인 것(즉, 임계치 상한과 5℃ 차이)과 100℃인 것(즉, 임계치 상한과 15℃ 차이)을 달리 취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85℃ 초과 95℃ 이하를 임계치 상한 초과 1단계, 95℃ 초과 100℃ 이하를 임계치 상한 초과 2단계로 하여 이를 구분하여 시설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물론, 임계치 하한 아래의 온도에 대해서도 차등을 둘 수 있다.
이러한 임계치 초과(임계치의 범위 밖)이라는 통지가 단지 통지에만 그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는, 임계치의 초과 여부 또는 임계치를 얼마나 초과했는지(등급별 차별화)에 따라, 다음에 해야 할 일(즉, 스케줄링)에 변화를 주도록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임계치를 넘었다는 통지만을 시설 관리자에게 보낼 뿐이라면, 시설 관리자의 경험치나 숙련도에 따라서 다음 대응이 달라지게 된다. 일예로, 경험이 적은 시설 관리자라면, 보일러 수온이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보일러 수온 설정만을 낮추고 실내 온도가 낮아지기를 기다리는 대응을 행할 것이지만, 경험이 많은 시설 관리자라면, 보일러 수온이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보일러 수온 설정을 낮출 뿐만 아니라 공조기의 온도 설정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시설 업무의 최적화가 시설 관리자의 경험에 전적으로 좌우되기보다는 가급적 균일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임계치의 초과 여부 또는 임계치를 얼마나 초과했는지(등급별 차별화)에 따라, 다음에 해야 할 일(즉, 스케줄링)에 대한 통지를 시설 관리자에게 전자적 수단으로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케줄링에 대한 시나리오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기설정의 스케줄링은 동종에 장비나 유사한 건물에 대한 경험(데이터 축적)으로부터 딥 러닝이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주기별로 시설 점검을 행하고, 점검 수치를 입력한다. 그리고 시설 점검 결과 보고서가 제공된다. 이때 시설 점검에 대한 통계가 함께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장비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 가능하다. 또한, 누적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단계별 위험 수위를 산출하고 알림을 (예컨대, 지정된 관리자 등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방점검 계획 및 장비 교체 시기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을 이용하여 장비의 LCC(생애 주기(Life Cycle Cost))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사업소별로 중장기 수선 계획 수립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단계별 위험 수치의 산출이란, 예컨대, 임계치를 1단계로 넘었을 때(조금 넘었을 때)와 2단계로 넘었을 때(1단계보다 더 넘었을 때)의 위험 강도를 차별화한다는 의미이다. 임계치를 넘었다고 해서 당장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 강도를 미리 통지받음으로써, 시설 관리자로 하여금 추후에 할 일(예컨대, 내일 할 일)을 알려주는 것, 더 나아가서는 작업 자체의 스케줄링을 바꾸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중의 하나이다.
과거에는 전조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특정 문제가 발생하기 전의 전조 증상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결국은 문제가 발생한 후에야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임계치를 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단계별로), 예측 데이터를 알려주면서 볼 수 있게 하여 예방 점검의 효과를 갖는다. 이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단지 단계별 임계치 초과 통지를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당해 임계치 초과 단계에 따라 어떠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의 시나리오를 미리 정해 두고 당해 시나리오를 행할 것을 시설 관리자의 단말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은 아래의 단계를 거친다.
(1) 사업소별로 장비를 등록한다(단계 S101).
(2) 시설 점검 지점, 항목 등록 및 항목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한다(단계 S103).
여기서, 시설 점검 지점이란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말하며, 시설 점검 항목이란 장비의 점검 항목을 말한다.
(3) 시설 점검자가 해당 시설에 대해 주기별 점검 수치를 입력한다(단계 S105).
여기서, 점검 주기란 예컨대 일, 주, 월, 분기별일 수 있다.
(4) 데이터 분석 및 임계치를 통한 단계별 위험 수위를 산출하고, 알림을 전송한다(단계 S107).
(5) 위험 수위 산출을 통하여 예방점검을 계획하고, 장비의 교체시기를 결정한다(단계 S109).
(6) 데이터 축적, 분석 및 딥러닝을 이용하여 장비의 LCC(생애 주기)를 예측하고, 사업소별 중장기 수선계획을 수립 및 관리한다(단계 S111).
상기 (4)~(6) 단계는, 표현 및 순서를 다소 달리하여 아래와 같이 동작할 수도 있다.
(e)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 산출을 통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예방 점검 시나리오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
(f)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장비의 교체시기를 결정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
(g) 상기 누적된 데이터의 분석 및 딥러닝을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LCC(생애 주기)를 예측하고, 사업소별 중장기 수선계획을 수립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
도 2는 데이터 분석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상기한 과정 중에 (4)(즉, 단계 S107)의 데이터 분석을 행함에 있어서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A) 먼저, 장비시설 점검 및 작업 내역을 기반으로 수집된 Data에서 Star Modeling 기법을 활용한 Data Mart(201, 203)를 구성하여 분석 수행에 필요한 기능 리스트(205)를 산출한다.
기능 리스트(205)의 예는 아래와 같다.
a. 감가상각 대비 점검/작업의 빈도 분석
b. LCC(생애 주기) 분석 - 생존분석 방식 활용
도 3은 도 2의 데이터 분석 수행 과정을 이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A)에 이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B) 분석 대상 기능 리스트(205)를 중심으로 “시설 점검 및 작업 DB”에서 “분석 수행 DB”로의 Data 이관 작업 수행 후 기술 통계적 Data 탐색, 전처리 등을 수행하고(303), 데이터의 특성을 시각화를 통해 insight를 도출한다(305).
(C) 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단계를 거쳐 장비의 LCC를 예측한다(305-2).
도 4는 분석 기능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401)와, 분석 서버(403)와, 통계 처리 등을 위한 R(R 엔진)(405)과, 데이터베이스(Mart Table)(407)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 분석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1) 사용자가 (웹이나 모바일로 시설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분석 화면을 요청한다(S501).
(2) 분석 서버는 분석 기능 파일 읽기를 요청한다(S503).
(3) R 엔진은 분석 기능 파일을 읽고, 데이터를 분석한다(S505).
(4) R 엔진은 데이터 분석 중에 적절히 DB(마트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S507, S509).
(5) R 엔진의 데이터 분석이 끝나면 분석 결과 파일(.png 또는 .html 등)을 저장하고(S511), 분석 서버는 이 분석 결과 파일을 읽거나 또는 R 엔진으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직접 받는다(S513).
(6) 분석 서버는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S515), 사용자의 단말(PC 또는 스마트폰 등)은 분석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S517).
도 5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장비 분석을 행하는 UI(User Interface)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앱의 구동 화면의 일예가 도 5에 나타난다. 단, 이는 일예이며 시설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이 스마트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C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PDA일 수도 있고, 스마트 패드일 수도 있는 등, 이하 설명하는 기능이 구현 가능한 형태하면 어떠한 단말이라도 가능하다.
도 5의 모바일 앱의 화면에서 좌측의 [분석 관리](601) 아래의 [LCC 분석](603) 아래의 [장비 분석](605) 메뉴를 클릭하여 장비 분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일예로, '감가 상각 대비 작업 빈도 현황' 분석 결과를 보기 위해, 도 5의 화면에 나타난 [분석 구문(선택)] 컨트롤(탭)(607)에서 [감가 상각 대비 점검/작업의 빈도 분석]을 선택하고, [계층(선택)] 탭(609)에서 [보일러]를 선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장비 분석을 행하는 UI의 일예를 계속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화면에 이어서, [차트 보기] 기능을 사용하면, 도 6과 같이 R 분석 결과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보일러의 작업 건수가 많을수록 진한 색(또는 붉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작업 건수가 적을수록 연한 색(또는 노란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의 화면 좌측에는
『진공 온수 보일러 2로
- 설치년도: 2005
- 감가년수: 20』
와 같이, 장비명과 갯수, 설치년도, 감가년수 등이 기재되어 있다.
도 6에 시각적으로 나타난 그래프는 도 3의 도면부호 305-1에 대응된다.
작업이 얼마나 이루어졌는지 횟수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생애주기(수명)의 예측은 작업횟수(사용횟수)와 실제 사용연한의 함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생애주기는 작업횟수와 실제 사용연한에 대하여 미리 정해놓은 공식에 의해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계학습에 의해서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이러한 방식으로 장비에 대한 LCC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장비 분석을 행하는 UI의 일예를 계속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LCC(생애주기 분석)]의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서는 [분석구문(선택)] 컨트롤(도 5의 607)에서 [LCC(생애주기 분석)]을 선택하고, [장비(선택)]에서 [몰드 변압기]를 선택한다.
그 후에 [차트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R 분석 결과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 분석에서는 Y축의 '생존율'이라는 수치를 통해 몰드 변압기의 생애주기를 알 수 있다. 그래프에서 Y축의 높이가 높을수록 몰드 변압기의 생존율이 높고(즉, 사용개시한지 얼마 되지 않은 것이고), X축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몰드 변압기의 생존율이 낮아지는 것(즉, 사용개시한지 오래되어 생애주기가 거의 다 해가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시각적으로 나타난 그래프는 도 3의 도면부호 305-2에 대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라, 환경 관리의 일예로서, IoT 기반의 실내 공기질 데이터 분석, 예측 및 알림을 통한 공조 시스템 관리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도 7에서는 장비 수치 점검 및 그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도 8 이하는 환경 관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환경 관리, 특히 실내 공기질 데이터의 분석/예측/알림을 행하여 공조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은, 일예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행해진다.
(1) 사업소별 IoT 기반의 공기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기상청, 에어코리아 등으로부터 대기 기상정보를 수집한다(S801).
(2) 수집한 데이터에 대하여 웹/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시각화를 행한다(S803).
(3) 실내 공기질 임계치를 적용하여 단계별(등급별)로 공기질 등급을 산출한다(S805).
(4) 공기질 등급 결과의 알림을 행하고, 공조 시스템과 연계한다(S807).
(5)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경정보 상관을 분석하고, 딥러닝을 이용한 공기질을 예측한다(S809).
(6) 공기질 예측 정보의 알림을 행하고, 공조 시스템을 관리한다(S811).
공기질 센서는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환경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설 관리자의 역할은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대응하는 것도 있지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시설 관리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 및 효과로 한다. 즉, 도 1~7의 실시예도 마찬가지이지만, 도 8~14의 실시예에서도, 점검된 수치의 누적 데이터를 통해 (문제 발생 후의) 단순 대응 뿐만이 아니라 (문제 발생 전에) 예방 조치를 취해두는 것이다. 어떠한 예방 조치를 취할지는, 미리 정해놓은 시나리오일 수도 있고, 누적된 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최적의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마스터 관리] 화면에서 공기질 센서를 등록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질 센서를 등록한다 함은, 예컨대 센서 정보 및 설치 장소를 입력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 공기질 센서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므로(IoT 기기) 센서 정보로서 예컨대 MAC 어드레스 등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정보는 제조사 정보, 관리 번호 등도 갖는 것이 좋다. 설치 장소는 예컨대 '지하 1층 자판기 위'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임계치 설정] 탭(컨트롤)을 통해서, 기등록된 공기질 센서에 대해 임계치를 설정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도 10의 우측을 보면, 미세먼지 PM10에 대한 임계치가 200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산화탄소 농도의 임계치가 1000으로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일예로, 도 9~도 10의 과정은 전술한 S801 단계의 전에, 또는 S801 단계와 S803 단계의 사이에 행해두면 좋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현황 조회(실시간)] 화면에서 공기질 현황을 조회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실시간(예컨대 당일 하루)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습도가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S803의 일예가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의 [공기질 현황 분석(기간별)] 화면에서 공기질 현황을 분석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12월 한달간의 미세먼지 PM2.5의 수치가 날짜별로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일~15일까지의 기록이 있고, 16일 이후는 아직 측정되지 않은 상태(날짜가 도래하지 않음)이며, 1일~15일간의 평균은 22.10임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S803의 일예가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른 임계치 적용 분석 화면의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시간대별로 미세먼지 PM10의 추이가 나타나 있다. 이는 전술한 S803 또는 S805의 일예가 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 따른,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공기질을 예측하고, 등급 결과를 알리고, 공조 시스템과 연계하는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등급을 알리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좌측 상단은 웹 화면(PC 화면 등)이고, 웃지 않는 얼굴 표정은 공기질이 좋은 상태가 아님을 나타낸다. 그리고, 센서의 위치와, 미세먼지 농도 수치와 온도 수치 습도 수치 등이 함께 표시된다.
이는 전술한 S807, S809, S811의 일예가 될 수 있다.
도 14의 우측 상단은 유사한 취지이나, 모바일 화면(스마트폰 화면 등)에 적합하게 배치가 다소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공기질을 의미하는 얼굴 표정, 센서의 위치,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등이 나타나 있다. 하단의 원형 4개를 번갈아 누르면 미세먼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4의 하단에는 공기질 센서에 의한 공기질의 측정 수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의 알람이 시설 관리자에게 통보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장비 점검을 위한 수치 측정을 사람이 직접, 또는 NFC 태그를 통해, 또는 카드 태그를 통해 하는 등의 형태가 전형적이나, 도 8~14의 실시예에서는 센서가 자체적으로 주기적으로 센싱(수치 측정)을 행하는 형태가 전형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주기적으로 수치 입력(직접 입력하든, NFC를 이용하여 입력하든, 카드 태그를 통해 입력하든, 센서가 자체적으로 입력하든)을 해 두더라도, 이러한 수치 입력이 단지 기록에 그치고, 작업(추후에 행할 작업)과는 연계되지 않는 문제점이 본 발명에서는 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치 입력(수동이든, 자동이든)이 있고, 그 수치가 임계치 밖이면 시설 관리자에게 안내(통보)가 되어, 시설 관리자에게 후속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임계치의 수치 범위를 넘었다(범위 밖이다), 넘지 않았다(범위 내이다)의 2단계로만 반드시 구분할 필요는 없고, 임계치를 어느 정도 넘었는지에 따라서 차등화할 수도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 PM10의 임계치가 200이라 하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치가 201~205인 것과 206~201인 것을 달리 취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201~205를 임계치 상한 초과 1단계, 206~210을 임계치 상한 초과 2단계로 하여 이를 구분하여 시설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임계치 초과(임계치의 범위 밖)이라는 통지가 단지 통지에만 그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는, 임계치의 초과 여부 또는 임계치를 얼마나 초과했는지(등급별 차별화)에 따라, 다음에 해야 할 일(즉, 스케줄링)에 변화를 주도록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임계치를 넘었다는 통지만을 시설 관리자에게 보낼 뿐이라면, 시설 관리자의 경험치나 숙련도에 따라서 다음 대응이 달라지게 된다. 일예로, 경험이 적은 시설 관리자라면, 미세먼지 PM10이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환풍기(또는 공기청정기)만을 더 강하게 돌리는 대응을 행할 것이지만, 경험이 많은 시설 관리자라면, 미세먼지 PM10이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환풍기(또는 공기청정기)를 더 강하게 돌릴 뿐만 아니라 공조기의 온도 설정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시설 업무의 최적화가 시설 관리자의 경험에 전적으로 좌우되기보다는 가급적 균일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임계치의 초과 여부 또는 임계치를 얼마나 초과했는지(등급별 차별화)에 따라, 다음에 해야 할 일(즉, 스케줄링)에 대한 통지를 시설 관리자에게 전자적 수단으로 발송하거나, 또는 설비 관리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공조기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조기라 함은, 예컨대, 에어콘, 온풍기, 환풍기, 공기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링에 대한 시나리오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기설정의 스케줄링은 동종에 장비나 유사한 건물에 대한 경험(데이터 축적)으로부터 딥 러닝이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상 도 1~7의 실시예와 도 8~14의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성질상 모순이 없는 한, 한 실시예의 일부 단계가 다른 실시예와 조합되어 실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에서는 특정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사상 내에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외의 다양한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1: 1차 데이터 마트
203: 분석 활용 데이터 마트
205: 분석 대상 기능 리스트
303: 데이터 이관 및 탐색/전처리
305: 기능 구현 및 시각화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단말에 통지를 행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설 관리 방법으로서,
    (a) 사업소별로 장비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장비가 설치되는 위치인 시설 점검 지점 및 상기 장비에 대한 시설 점검 항목을 등록하고, 상기 시설 점검 항목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장비에 대해 주기별 점검 수치를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임계치의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계별 위험 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지정된 단말에 당해 단계별 위험 수위를 통지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 산출을 통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예방 점검 시나리오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장비의 교체시기를 결정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설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g) 상기 누적된 데이터의 분석 및 딥러닝을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LCC(생애 주기)를 예측하고, 사업소별 중장기 수선계획을 수립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설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는, 상기 임계치에서 벗어난 정도를 2 이상의 단계로 나눈 것이며,
    상기 임계치에서 벗어난 정도의 단계에 따라서, 상기 예방 점검 시나리오가 상이한, 시설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공기질 센서이며,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는 단계별 공기질 등급이며,
    상기 공기질 등급의 결과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보함과 함께, 상기 단계별 공기질 등급에 따라 공조 시스템을 달리 동작시키는, 시설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치가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계학습에 의해 공기질을 예측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설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의 예측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외의 환경정보와의 상관 관계를 추가로 고려하는, 시설 관리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데이터의 분석시에, 데이터 마트를 구성하여 분석 수행에 필요한 기능 리스트를 산출하며,
    상기 기능 리스트는 감가상각에 대비한 점검 또는 작업의 빈도를 분석하는, 시설 관리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는 에어컨, 온풍기, 환풍기, 공기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별 공기질 등급에 따라 공조 시스템을 달리 동작시키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동작하는 강도를 달리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복수의 장치이어서 더 많은 갯수의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인, 시설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을 예측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에 통지할 때, 공기질 예측 외에도 당해 공기질 예측에 대해 미리 설정된 대응 시나리오를 함께 통지하는, 시설 관리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설 관리 방법을 행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으로서,
    (a) 사업소별로 장비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b) 상기 장비가 설치되는 위치인 시설 점검 지점 및 상기 장비에 대한 시설 점검 항목을 등록하고, 상기 시설 점검 항목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c) 상기 장비에 대해 주기별 점검 수치를 입력받는 수단과,
    (d) 상기 주기별 점검 수치가 임계치의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계별 위험 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지정된 단말에 당해 단계별 위험 수위를 통지하는 수단과,
    (e) 상기 단계별 위험 수위 산출을 통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예방 점검 시나리오를 상기 지정된 단말에 통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
KR1020220066989A 2022-05-31 2022-05-31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KR20230166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89A KR20230166695A (ko) 2022-05-31 2022-05-31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PCT/KR2023/006894 WO2023234613A1 (ko) 2022-05-31 2023-05-22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89A KR20230166695A (ko) 2022-05-31 2022-05-31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695A true KR20230166695A (ko) 2023-12-07

Family

ID=8902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989A KR20230166695A (ko) 2022-05-31 2022-05-31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6695A (ko)
WO (1) WO20232346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961B1 (ko) * 2014-10-07 2022-0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조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50364A (ko) * 2015-06-22 2016-12-30 주식회사 가오트 실내 공기질 및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2589B1 (ko) * 2018-09-05 2020-06-12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44883B1 (ko) * 2019-01-31 2019-11-14 에스이엔에스(주)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KR102067542B1 (ko) * 2019-04-25 2020-0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613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tolini et al. Building inspection system for evaluating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US20210134143A1 (en) Building security system with false alarm reduction recommendations and automated self-healing for false alarm reduction
US10796554B2 (en) Building incident management system with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editing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CA3015407C (en) Diagnostics in building automation
US9613523B2 (en) Integrated hazard risk management and mitigation system
US10480808B2 (en) Energy management computer system
US11268996B2 (en)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virtual audit metrics
JP5388060B2 (ja) エレベータの部品改善計画システム及びその部品改善計画方法
Bang et al. Novel real-time model-based fault detection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bnormal energy performance in building ventilation units
US10607478B1 (en) Building security system with false alarm reduction using hierarchical relationships
US20150088312A1 (en) Smart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ulti-building management system
US20080186160A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ulti-air conditioner and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3576641A (zh) 用于监视操作过程单元中的资产的系统和方法
US20160132839A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facilities maintenance scheduling
CN109840602A (zh) 一种针对工业制造装备的远程运维管理系统及方法
De Carlo et al. Maintenance cost optimization in condition based maintenance: a case study for critical facilities
KR101655247B1 (ko) Bems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분석 시스템
Ihasalo Transforming building automation data into building performance metrics-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use of a performanc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20230166695A (ko)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KR101710029B1 (ko) 건물 에너지 분석 시스템
KR20180112951A (ko)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13537681A (zh) 用于炼化企业设备管理信息化的方法及系统
WO2020075061A1 (en) Asset management
KR102298770B1 (ko) 스마트공정관리시스템 및 스마트공정관리방법
US11334061B2 (en) Method to detect skill gap of operators making frequent inadvertent changes to the process vari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