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502A -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502A
KR20230166502A KR1020220066549A KR20220066549A KR20230166502A KR 20230166502 A KR20230166502 A KR 20230166502A KR 1020220066549 A KR1020220066549 A KR 1020220066549A KR 20220066549 A KR20220066549 A KR 20220066549A KR 20230166502 A KR20230166502 A KR 20230166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mbedded
terminal device
displaying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이종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502A/ko
Priority to US18/204,022 priority patent/US20230388258A1/en
Publication of KR2023016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06Q50/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3Content adaptation, e.g. replacement of unsuitab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eth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신 방법은, 제1 단말 장치가, 송신 대상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송신 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송신 하는 단계,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된 수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라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베딩 컨텐츠는 서버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에 임베딩 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MBEDDING CONTENT IN THE EDITOR}
본 개시는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송신 시에는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만을 송신하고, 수신 시에는 메타 데이터의 원본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에 내/외부 컨텐츠(예: 메일이나 결재 문서 등의 본문 또는 첨부 등)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송수신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컨텐츠 송수신 방법은 본문을 클립 보드로 복사하거나 로컬 컴퓨터에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편집 영역에 다시 추가하여 송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직접 본문을 복사하고,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전달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고, 다수의 창을 번갈아 가며 이동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위의 과정을 통한 컨텐츠 송수신 방법은 사용자가 내용을 조작하기 쉬워 컨텐츠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메모리 또는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내용이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컨텐츠를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남겨 컨텐츠의 보안이 취약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3-0026215호 (2011.09.05 출원) 한국공개특허 2015-00775911호 (2013.12.27 출원) 한국공개특허 2007-0096286호 (2006.03.23 출원) 일본등록특허 6495511 (2019.03.15 등록)
본 개시가 몇몇 실시예들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송신 대상 컨텐츠 작성 과정에서 임베딩 컨텐츠를 송신 대상 컨텐츠에 추가할 시 추가 대상으로 이동하여 본문을 클립 보드로 복사하거나 제1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생략하여, 사용자의 송신 대상 컨텐츠 작성 과정이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실수하거나 메모리 또는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에 의도적으로 컨텐츠 내용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이 보장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1 단말 장치에 메타데이터만을 제공하고, 원본 데이터는 서버에만 저장하여, 컨텐츠의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신 방법은, 제1 단말 장치가, 송신 대상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송신 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송신 하는 단계와,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된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베딩 컨텐츠는 서버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에 임베딩 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영역에 첨부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첨부 버튼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첨부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영역의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라인에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첨부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과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에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체크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은, 복수의 컨텐츠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제1 컨텐츠 카테고리인 경우 제1 인디케이터 외형을 가지고,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제2 컨텐츠 카테고리인 경우 제2 인디케이터 외형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제2 컨텐츠 카테고리는 상기 제1 컨텐츠 카테고리와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가 적용된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편집 영역의 커서를 상기 인디케이터의 아래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는 편집 불가한 그래픽 요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만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만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신 방법은, 제1 단말 장치가, 송신 대상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고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될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송신 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임베딩 컨텐츠가 첨부된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베딩 컨텐츠는 서버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베딩 컨텐츠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만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신 방법은, 제1 단말 장치가, 송신 대상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첨부파일 포함 컨텐츠에 첨부된 첨부 후보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첨부 후보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첨부 후보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제2 단말 장치가, 첨부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첨부파일은 서버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본은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송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2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로서 이용되는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신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신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부 동작의 수행 주체에 대한 기재가 생략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동작의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시스템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기재에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100), 제2 단말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는 메일 발신자의 단말이고, 제2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단말 장치를 통해 발신한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에서 송신을 입력 받은 컨텐츠는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고, 제2 단말 장치(200)에서 표시 요청을 입력 받은 컨텐츠는 서버(300)에서 제2 단말 장치(200)로 송신될 수 있고, 제2 단말 장치(200)로 수신된 컨텐츠는 제2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송신 받고,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컨텐츠를 송신하는 서버(300)는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320), 임베딩 컨텐츠 저장부(340), 컨텐츠 송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320)와 임베딩 컨텐츠 저장부(340)는 상호간에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임베딩 컨텐츠 저장부(340)는, 임베딩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와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는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송신하려는 컨텐츠 중 사용자가 작성한 것이 아닌 기 존재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 선택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는 선택을 입력 받은 임베딩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 저장 신호를 상기 임베딩 컨텐츠 저장부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원본 데이터 저장 신호를 수신하고 원본 데이터를 저장한 상기 임베딩 컨텐츠 저장부는 상기 저장한 원본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320)와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호간에 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컨텐츠 검색을 입력하면,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에 임베딩 컨텐츠 검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는 컨텐츠 선택지 데이터를 제1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선택지 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 장치는 제1 단말 장치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을 입력 받아,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에 컨텐츠 선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선택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는 선택을 입력 받은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컨텐츠에 대한 송신을 입력 받으면,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에 컨텐츠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는, 제2 단말 장치로부터 표시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컨텐츠 임베딩 관리부는, 컨텐츠 송신부(360)에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 된 수신 컨텐츠에 대한 송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 된 수신 컨텐츠에 대한 송신 신호를 수신 받은 컨텐츠 송신부(360)는 제2 단말 장치에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 된 수신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제1 단말 장치에 송신을 입력하는 컨텐츠는 메일, SN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에 임베딩 되는 임베딩 컨텐츠는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기존에 받은 메일, 첨부하려는 파일,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기존에 받은 메일에 첨부되어 있는 첨부파일,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기존에 작성한 SNS 포스팅, 뉴스 기사, 결재, 웹 페이지 요약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범위가 컨텐츠의 종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100), 제2 단말 장치(200), 서버(300) 및 서버(300)와 별도로 존재하는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는,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사용자를 지정하지 않고 서버에 송신한 송신 대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를 게시하는 게시자의 단말이고, 제2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단말 장치를 통해 게시한 컨텐츠를 조회하는 조회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기존에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 송신한 송신 대상 컨텐츠는 송수신 컨텐츠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고, 이 때 송신 대상 컨텐츠에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 된 수신 컨텐츠가 송수신 컨텐츠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제2 단말 장치로부터 표시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서비스 서버는, 송수신 컨텐츠 저장부(440)에 기 저장된 컨텐츠 중 표시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은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와 서비스 서버(400)가 별도로 존재하는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은 제1 단말 장치에서 특정 제2 단말 장치를 지정하여 송신 대상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이 아닌, 제2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직접 수신 컨텐츠를 찾아 수신하는 것인,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수신 컨텐츠는 기존에 제1 단말 장치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 송신한 송신 대상 컨텐츠에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 된 컨텐츠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0)는 첨부 버튼을 생성(S210)하여,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입력 받고(S220), 사용자로부터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S230), 상기 선택이 입력된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S240)하고, 사용자로부터 송신을 입력(S250) 받을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송신 컨텐츠 본문상에 임베딩 컨텐츠가 배치될 영역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한 그래픽요소이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인디케이터가 대체할 임베딩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따라 외형이 기 정의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제1 컨텐츠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는 제1 인디케이터 외형을 가지고,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제2 컨텐츠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는 제2 인디케이터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송신 대상 컨텐츠 내에서 임베딩 컨텐츠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픽요소이고, 임베딩 컨텐츠에 선택이 입력되면 기 정의된 외형으로 송신 대상 컨텐츠에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로부터 편집을 입력 받을 수 없는 그래픽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9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첨부 버튼(120)을 생성(S210)하여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입력 받는(S220) 제1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101)에 디스플레이 되는 편집 영역(110)에는 첨부 버튼(12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첨부 버튼이 활성화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송신 대상 컨텐츠 선택 영역(14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첨부 버튼은 편집 영역(110)의 커서 위치에 대응되는 라인에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편집 영역의 커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첨부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첨부 버튼 주변부의 기 정의된 영역에 마우스 커서를 스크롤 하는 방법, 상기 첨부 버튼을 터치하는 방법, 상기 첨부 버튼을 클릭하는 방법, 편집 영역(110)에 첨부 버튼(120)만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로 기 정의된 시간만큼 별도의 입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사용자로부터 송신 대상 컨텐츠 선택 영역(140) 중 메일 공유 컨텐츠 작성(142) 또는 메일 첨부파일 포함 컨텐츠 작성(143)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은 것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첨부 버튼(120)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편집 영역에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첨부 버튼(120)이 선택된 것은 송신 대상 컨텐츠 선택 영역(140)중 하나의 영역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에는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161),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 임베딩 후보 컨텐츠(163, 164),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체크박스(165)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체크박스(165)는 송신 대상 컨텐츠가 첨부파일을 포함하는 것일 때 본문에 인디케이터를 추가로 표시할지 여부를 입력 받기 위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은, 복수의 컨텐츠 카테고리 중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선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일 공유 컨텐츠 작성(142) 또는 메일 첨부파일 포함 컨텐츠 작성(143)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161)과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을 포함하는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에는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161)에서 선택을 입력 받은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에서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으로 입력 받은 검색어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기존에 받은 메일 목록 중 상기 검색창으로 입력 받은 검색어를 포함하는 메일(163, 164)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에는 사용자가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 하려하는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서버 시스템이 임베딩 컨텐츠를 조회하여 임베딩하기 위하여 필요한 식별 정보이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임베딩 컨텐츠가 송신, 수신 및 작성된 날짜, 임베딩 컨텐츠를 작성한 작성자, 임베딩 컨텐츠의 타이틀에 포함되는 단어, 첨부 파일의 url, 이메일의 ID, 파일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체크박스(165)를 통해 인디케이터 표시를 입력 받으면,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에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기존에 받은 메일 목록 중 하나의 메일(164)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S230) 것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일 공유 컨텐츠 작성(142)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은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입력 받은(S230)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82)가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S240)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일 첨부파일 포함 컨텐츠 작성(143)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은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입력 받은(S230) 임베딩 컨텐츠가 첨부파일(192)로 자동으로 생성되어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될 수 있다.
상기 메일 첨부파일 포함 컨텐츠 작성(143)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송신 대상 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고(S230), 상기 체크박스에 대한 선택을 추가로 입력 받으면,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82)가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S240) 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편집 영역의 커서가 자동으로 인디케이터의 아래 라인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 첨부파일(192)과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82)는 제1 단말 장치에서는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만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 첨부파일(192)은 제2 단말 장치로 수신될 시 서버로부터 원본 첨부파일로 대체되어 수신된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82)는 제2 단말 장치로 수신될 시 서버로부터 임베딩 컨텐츠의 원본으로 이동하는 링크를 임베딩 하여 수신된다.
상기 원본 첨부파일은 제1 단말 장치에 존재하지 않고, 서버에서 바로 제2 단말 장치로 송신되는 파일 일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송신 대상 컨텐츠 작성 중 본문에 임베딩 컨텐츠를 추가할 시 추가 대상으로 이동하여 본문을 클립 보드로 복사하거나 제1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문을 클립 보드로 복사하거나 제1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생략하면, 사용자가 실수하거나 메모리 또는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컨텐츠 내용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컨텐츠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첨부파일 창 생성 버튼(102)을 사용하여 다수의 창을 번갈아 가며 이동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송신 대상 컨텐츠 작성 과정에 대한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첨부 버튼을 생성(S210)하여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입력 받는(S220) 제1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첨부파일 표시창(190)이 첨부파일 창 생성 버튼(10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첨부파일 창 생성 버튼(102)을 이용하지 않고, 편집 영역(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첨부 버튼(120)이 활성화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송신 대상 컨텐츠 선택 영역(140) 중 파일 첨부(144)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여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사용자로부터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은(S220) 제1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첨부 버튼(120)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편집 영역에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에는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161),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 첨부 후보 컨텐츠(166),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체크박스(165)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은, 복수의 컨텐츠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선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일 첨부(144)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161)과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을 포함하는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160)에는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161)에서 선택을 입력 받은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에서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으로 입력 받은 검색어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기존에 받은 메일 목록 중 상기 검색창으로 입력 받은 검색어를 포함하는 메일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받은 메일 목록은 첨부 후보 컨텐츠(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부 후보 컨텐츠(166)는 기존에 사용자가 수신한 메일에 첨부되어 있던 첨부파일일 수 있다. 하나의 기 수신 메일에는 복수개의 첨부 후보 컨텐츠가 첨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창(162)에는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임베딩 컨텐츠가 송신, 수신 및 작성된 날짜, 임베딩 컨텐츠를 작성한 작성자, 임베딩 컨텐츠의 타이틀에 포함되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편집 영역 본문에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체크박스(165)를 통해 인디케이터 표시를 입력 받으면,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에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기존에 받은 메일 목록 중 하나의 메일에 포함되어 있던 하나의 첨부 후보 컨텐츠(166)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S230) 것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 첨부(144)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은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입력 받은(S230) 임베딩 컨텐츠 첨부파일(194)이 송신 대상 컨텐츠의 첨부파일 표시창(19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일 파일 첨부(144)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송신 대상 컨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고(S230), 상기 체크박스에 대한 선택을 추가로 입력 받으면,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84)가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S240) 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송신 대상 컨텐츠 작성 중 본문에 임베딩 컨텐츠를 추가할 시 대상으로 이동하여 본문을 클립 보드로 복사하거나 제1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문을 클립 보드로 복사하거나 제1 단말 장치에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생략하면, 사용자가 실수하거나 메모리 또는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컨텐츠 내용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안이 필요한 컨텐츠를 제1 단말 장치에 저장할 경우 불필요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남겨 보안이 취약해질 수 있으나,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원본은 서버에만 존재하고 제1 단말 장치에는 메타데이터만 존재하므로, 컨텐츠의 보안을 보장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술한 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송신 대상 컨텐츠에는 복수개의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인디케이터의 추가 및 컨텐츠 작성을 완료했다고 판단하면 송신을 입력(S250)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 송신이 입력(S250)된 송신 대상 컨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서버에서 컨텐츠를 임베딩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임베딩 컨텐츠를 획득하고(S300), 송신 대상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임베딩 컨텐츠를 첨부할지(S310) 판단하여 첨부가 필요하면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파일을 첨부(S320)하고, 첨부파일 첨부가 필요하지 않은 송신 대상 컨텐츠인 경우 송신 대상 컨텐츠에 포함된 인디케이터에 임베딩 컨텐츠와 연결되는 컨텐츠 연결 링크를 추가(S330)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서비스 서버(400)가 포함되면 임베딩 컨텐츠가 첨부되거나 인디케이터에 연결 링크가 추가된 수신 컨텐츠는 서비스 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종류는 송신 대상 컨텐츠가 첨부파일 표시창(190)에 첨부파일을 표시하는지, 편집 영역에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송신 대상 컨텐츠가 첨부파일 표시창(190)에 첨부파일을 표시하고, 편집 영역에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면,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파일을 첨부하고, 송신 대상 컨텐츠에 포함된 인디케이터에 임베딩 컨텐츠와 연결되는 컨텐츠 연결 링크를 추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서버에서 제2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2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표시 실행 요청을 입력 받고(S400),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 된 수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S410)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표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에 개시된 컨텐츠에 대한 표시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수신 컨텐츠에 첨부된 임베딩 컨텐츠를 제2 단말 장치에 다운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수신 컨텐츠의 본문에 표시된 인디케이터를 활성화시켜 임베딩 컨텐츠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수신 컨텐츠를 임베딩 컨텐츠로 하는 새로운 송신 대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구성 요소로 이용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도 1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0), 시스템 버스(16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프로세서(1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400)와,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컨텐츠 임베딩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스토리지(1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키워드 그룹 생성 시스템은 가상 머신 등 클라우드 기술에 기반하여 서버 팜(server farm)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 서버(physical server)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프로세서(1100), 메모리(1400) 및 스토리지(1300) 중 적어도 일부는 가상 하드웨어(virtual hardware)일 수 있을 것이며, 통신 인터페이스(1200) 또한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등 가상화된 네트워킹 요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키워드 그룹 자동 생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시스템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 장치가, 송신 대상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송신 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임베딩 컨텐츠가 임베딩된 수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베딩 컨텐츠는 서버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에 임베딩 되는 것인,
    컨텐츠 송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영역에 첨부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첨부 버튼이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영역의 커서 위치에 대응하는 라인에 컨텐츠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첨부 버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 및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에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지 여부를 가리키는 체크박스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은, 복수의 컨텐츠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제1 컨텐츠 카테고리인 경우 제1 인디케이터 외형을 가지고,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제2 컨텐츠 카테고리인 경우 제2 인디케이터 외형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제2 컨텐츠 카테고리는 상기 제1 컨텐츠 카테고리와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인,
    컨텐츠 송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메타 정보가 적용된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편집 영역의 커서를 상기 인디케이터의 아래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는 편집 불가한 그래픽 요소인,
    컨텐츠 송신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만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만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11.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 장치가, 송신 대상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고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될 임베딩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송신 버튼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본문 데이터 및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임베딩 컨텐츠가 첨부 수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베딩 컨텐츠는 서버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된 것인,
    컨텐츠 송신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상기 임베딩 컨텐츠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편집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베딩 컨텐츠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임베딩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만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신 방법.
  14.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 장치가, 송신 대상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컨텐츠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임베딩 컨텐츠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첨부파일 포함 컨텐츠에 첨부된 첨부 후보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첨부 후보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첨부 후보 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단말 장치가, 첨부파일을 포함하는 수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의 첨부파일은 서버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송신 대상 컨텐츠에 첨부된 것인,
    컨텐츠 송신 방법.
KR1020220066549A 2022-05-31 2022-05-31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166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549A KR20230166502A (ko) 2022-05-31 2022-05-31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18/204,022 US20230388258A1 (en) 2022-05-31 2023-05-31 Method and system for embedding content in editing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549A KR20230166502A (ko) 2022-05-31 2022-05-31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502A true KR20230166502A (ko) 2023-12-07

Family

ID=88875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549A KR20230166502A (ko) 2022-05-31 2022-05-31 편집 영역에 컨텐츠를 임베딩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88258A1 (ko)
KR (1) KR2023016650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6286A1 (en) 2005-10-27 2007-05-03 Nec Electronics Corporation Semiconductor module capable of enlarging stand-off height
US20130026215A1 (en) 2011-07-27 2013-01-31 Mag Aerospace Industries, Inc. Self-sealing box for trash compactors
JP6495511B1 (ja) 2018-04-24 2019-04-03 浜商サービス株式会社 電子メール作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6286A1 (en) 2005-10-27 2007-05-03 Nec Electronics Corporation Semiconductor module capable of enlarging stand-off height
US20130026215A1 (en) 2011-07-27 2013-01-31 Mag Aerospace Industries, Inc. Self-sealing box for trash compactors
JP6495511B1 (ja) 2018-04-24 2019-04-03 浜商サービス株式会社 電子メール作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8258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users of changes to files in cloud-based file-storage systems
KR101159321B1 (ko) 평가에 따른 토론 스레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954052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web page for display in a wiki environment
US8219900B2 (en) Programmatically hiding and displaying Wiki page layout sections
US7707198B2 (en) Harvesting of media objects from searched sites without a user having to enter the sites
US6950982B1 (en) Active annotation mechanism for document management systems
US200903133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Organizing, and Sharing Data
US20080010341A1 (en) Processing model of an application wiki
US20080040661A1 (en) Method for inheriting a Wiki page layout for a Wiki page
US20080010609A1 (en) Method for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a Wiki environment
US20080010387A1 (en) Method for defining a Wiki page layout using a Wiki page
US20080010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ient and server interaction
CN108369577B (zh) 在电子文档之间共享内容
US20080065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gument detection for event firing
US20060277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oring and retrieving selected document sections and user-generated notes
US9495719B2 (en) Multi-source, multi-destination data transfers
US200800103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hub objects
US105859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ummary of textual content
US7730392B2 (en) Electronic web sticky
US20140006967A1 (en) Cross-application transfers of user interface objects
US10437779B2 (en) Intelligent interactive screen capture
US200800103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ient wiring model
US20130174002A1 (en) Database Field Extraction for Contextual Collaboration
US20080010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 wiring model
US20230297211A1 (en) Content box providing method and user 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