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906A -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리드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리드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906A
KR20230165906A KR1020237033802A KR20237033802A KR20230165906A KR 20230165906 A KR20230165906 A KR 20230165906A KR 1020237033802 A KR1020237033802 A KR 1020237033802A KR 20237033802 A KR20237033802 A KR 20237033802A KR 20230165906 A KR20230165906 A KR 2023016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ealing element
cable entry
cavity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버크루이세
Original Assignee
1엉클로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1엉클로즈 비브이 filed Critical 1엉클로즈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3016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엔트리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엔트리는 본체, - 상기 본체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캐비티,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제 1 및 제 2 개구를 포함함-, 밀봉 요소 -, 상기 밀봉 요소는 중공 본체 내에 수용되고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원통형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채널은 종축을 따라 배향됨 -, 및 제 2 개구의 측에 상기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와 클램핑 요소는 각각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하고,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위치되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종축은 상기 평면 내에 있고, 상기 밀봉 요소는 나선형 형상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리드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케이블 엔트리, 특히, 예를 들어 하우징 내에서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 및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리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 통신(telecom) 및 에너지 시스템의 케이블 연결 환경에서는, 정션 박스(junction boxes), 스위치 박스(switch boxes) 등에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정션 박스와 스위치 박스는 실내와 실외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경우에는, 정션 박스가 지하에 배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정션 박스와 스위치 박스는 물, 먼지를 방지하기 위해, 또는 지하 정션 박스의 경우, 흙이나 진흙 등이 정션 박스나 스위치 박스 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벽한 방수 및 방진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정션 박스의 분기부(branches) 또는 연결부(connections)의 품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원격 통신 및 전기 시스템의 품질 저하 또는 예들 들어 단락(short circuits)으로 인한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케이블 엔트리이다. 과거에는 이를 위해 수많은 해결책이 고안되고 적용되었다. 이에 대한 실시 형태로는 케이블 위에 장착되고 글랜드의 너트를 조여 케이블에 가압되는 고무 밀봉 링을 갖는 일반적인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가 있다.
또 다른 알려진 케이블 엔트리가 EP 2 617 112에 설명되어 있다. EP '112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모듈식 커넥터(modular connecto)를 설명한다. 모듈식 커넥터는 동심의 박리 가능한 층들을 포함한다.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케이블이나 파이프의 통과를 위한 정확한 직경이 얻어질 때까지, 어느 하나 이상의 층도 벗겨지지 않는다.
케이블용 모듈식 커넥터의 다른 실시 형태들은 DE 20 2004 018 347, US 2018/0138681 및 DE 295 18 214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정션 박스 내로 물과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알려진 해결책은, 정션 박스를 수지 또는 2-성분 액체로 완전히 채우는 것이다.
또한 수축 슬리브(shrink sleeves) 또는 가황 고무(vulcanized rubber)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케이블 엔트리와 케이블 주위에서 녹아 방수 및 방진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알려진 해결책들에는 심각한 단점이나 문제가 있다. 글랜드를 사용할 때 글랜드와 고무 씰링 링을 통해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해 케이블을 절단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통신이나 에너지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지 않고는 기존 케이블 주위에 정션 박스를 장착하여 새 분기부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절단 후 케이블의 모든 도체를 다시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며 오류의 위험이 높고 연결 상태가 불량하다. 또한, 케이블 글랜드는 고무 밀봉 링이 예를 들어,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지하 연결에 적합하지 않는데, 이는 지하수, 물 및/또는 진흙이 정션 박스 내에 침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무 밀봉 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어,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의 효율성을 점차 감소시킨다.
EP '112에 따른 모듈식 커넥터는, 모듈식 커넥터가 2개의 절반부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 케이블을 통해 공급하는 데 적합하다. 이 케이블 엔트리의 단점은 케이블의 통과를 위해 얼마나 많은 층들을 벗겨내야 하는지 추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층이 너무 많이 벗겨지면, EP '112에 따른 모듈식 커넥터가 시각적으로 올바르게 접속된 것처럼 보이지만, 국부적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균열이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물, 흙 및/또는 진흙이 높은 수압에서 이러한 균열을 강제로 통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모듈형 커넥터는 다시 지하 케이블 엔트리에 사용될 수 없다. 물과 먼지의 유입을 점진적으로 악화시키는 노후화 문제도 있다.
예를 들어, 정션 박스를 수지 또는 2-성분 액체로 채우는 것은 효과적인 해결책이지만, 예를 들어 케이블에 추가 분기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응고된 수지 또는 2-성분 액체를 절단해야 하므로, 케이블 손상의 위험을 높게 한다는 주요 단점이 있다.
열가소성 재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어, 케이블 엔트리가 더 이상 방수 및 방진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들 또는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 1 형태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엔트리의 가장 큰 장점은 밀봉 요소가 나선형 형상이고 본체 및 클램핑 요소가 각각 두 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를 통과하는 케이블은 케이블을 먼저 절단할 필요가 없다. 밀봉 요소는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은 밀봉 요소의 채널 내에 삽입된다. 본체의 2개의 절반부들은 밀봉 요소 주위에서 폐쇄되고 클램핑 요소의 2개의 절반부들은 케이블 주위에서 폐쇄되며, 그 후 밀봉 요소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의 클램핑 요소에 의해 클램핑된다. 밀봉 요소가 케이블과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를 모두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가 된다. 나선형 형상의 밀봉 요소의 사용을 통해, 여러 개의 연속적인 밀봉 링이 케이블 주위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가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으며, 따라서 지하 사용에 특히 유리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환경과 접촉하는 측면 상의 밀봉 요소가 노후화되면, 방수 및 방진을 계속 보장하기에 충분한 연속적인 연속 링이 있다는 것도 유리하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은 청구항 2-9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청구항 2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캐비티와 밀봉 요소 모두가 원뿔형이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밀봉 요소를 본체의 캐비티에 클램핑할 때, 밀봉 요소는 정점 각도 쪽으로 가압되고 본체에 의해 케이블에 대해 균일하게 압축된다. 이는 케이블 직경이 약간 벗어나더라도,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를 보장한다.
제 2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제 1 형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엔트리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주요 이점은 하우징이 2개의 절반부들로 이루어진 박스를 포함하고, 각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1 절반부는 박스의 제 1 절반부에 통합되고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2 절반부는 박스의 제 2 절반부에 의해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1 절반부에 대해 클램핑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를 사용할 때와 같이 케이블 엔트리와 하우징의 박스 사이에 추가적인 방수 및 방진 밀봉부(seals)가 필요하지 않으며, 박스의 밀봉부는 보장된 방수 및 방진 하우징을 얻기에 충분하다. 추가적인 이점은 케이블 위에 하우징을 배치하기 위해 케이블을 절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제 3 형태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1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무엇보다도, 케이블 엔트리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절단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밀봉 요소는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으며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는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되고 밀봉 요소 주위에 폐쇄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는 또한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되고 케이블 주위에 폐쇄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를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고정한 후, 밀봉 요소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 클램핑되고 케이블은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방수 및 방진으로 공급된다. 나선형 형상 요소의 사용은 또한 유리한데, 그 이유는 결과적으로 여러 개의 연속적인 연속 밀봉 링이 케이블 주위에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엔트리가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으므로 특히 지하 사용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은 종속항 12-14에 설명되어 있다.
제 4 형태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5에 따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사용은 케이블을 절단할 필요가 없고 원격 통신 또는 에너지 시스템을 중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격 통신 또는 에너지 시스템에서 케이블의 유리한 분기를 초래한다. 정션 박스는 이미 설치된 케이블로 케이블 주위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추가 분기를 만들 수 있다. 케이블 엔트리를 사용함으로써, 정션 박스는 지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매우 오랜 기간 동안 방수 및 방진 상태를 유지하며, 예를 들어 수리 또는 추가 분기 등을 위해 쉽게 다시 개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설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다음 용어들을 명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a" 및 "the")은 문맥상 달리 전제되지 않는 한, 단수와 복수를 모두 지시한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a segment)'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의미한다.
"포함하다", "포함하는", "구성된다", "구성되는", "제공되는", "포함한다", "포함한", "함유한다", "함유하는"이라는 용어들은 동의어이며 후속하는 것의 존재를 나타내는 포괄적이거나 개방적인 용어이며,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졌거나 또는 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 특성들, 요소들, 부재들,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거나 막지 않는다.
엔드 포인트(endpoints)별로 숫자 간격을 인용하는 것은 엔드 포인트들 간의 모든 정수, 분수 및/또는 실수로 구성되며, 이러한 엔드 포인트들이 포함된다.
제 1 형태에서, 본 발명은 하우징 내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lead-through)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케이블 엔트리는 본체, 밀봉 요소(sealing element), 및 클램핑 요소(clamping element)를 포함한다.
본체는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본체는 캐비티, 및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제 1 및 제 2 개구를 포함한다. 제 1 개구와 제 2 개구는 본체의 종축 상에 캐비티의 서로 반대 측에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평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케이블은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본체의 종축을 따라 제 1 개구, 캐비티 및 제 2 캐비티를 통과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개구의 직경은 적어도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케이블의 직경보다 더 크다.
밀봉 요소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 수용된다. 밀봉 요소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가요성 재료(flexible material)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는 합성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는 예를 들어, 물, 공기, 태양 등과의 접촉을 통해 밀봉 요소의 노후화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지연시키기 위해 유리하다. 적합한 재료의 비제한적인 실시 형태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또는 기타 적합한 합성 고무이다. 밀봉 요소는 본체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밀봉 요소는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원통형 채널(cylindrical channel)을 포함한다. 원통형 채널은 본체의 종축을 따라 배향된다. 정지 상태에서, 본체의 캐비티 내에 수용되기 전과 덕트 내에 케이블이 통과되기 전에, 밀봉 요소는 캐비티의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사이의 종축을 따른 거리보다 적어도 더 큰 종축을 따른 길이를 갖는다.
클램핑 요소는 본체의 캐비티에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는 데 적합하다. 클램핑 요소는 제 2 개구의 측에 배치된다. 클램핑 요소는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는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클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는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정지 상태에서 밀봉 요소가 적어도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종축을 따른 길이를 갖기 때문에, 밀봉 요소는 클램핑 요소에 의해 클램핑된 후 본체의 캐비티 내에서 압축되며, 이에 의해 밀봉 요소는 캐비티 벽과 케이블 주위에 클림핑되고 케이블 엔트리를 방수 및 방진으로 밀봉한다.
본체와 클램핑 요소는 각각 두 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한다. 본체의 2개의 절반부들은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클램핑 요소의 2개의 절반부들은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본체의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있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있으며, 본체의 세로 축은 평면에 있다. 클램핑 요소의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있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있으며, 본체의 종축은 평면에 있다. 본체와 클램핑 요소의 절반부들이 놓인 평면들은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본체의 절반부들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클릭될 수 있거나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체의 절반부들은 함께 클램핑된다. 클램핑 요소의 절반부들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클릭될 수 있거나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클램핑 요소의 절반부들은 함께 클램핑된다. 밀봉 요소는 나선형 형상이다.
이 실시 형태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밀봉 요소가 나선형 형상이기 때문에, 밀봉 요소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은 밀봉 요소의 채널 내로 도입된다. 추가적인 이점은 밀봉 요소를 업데이트하거나 트림(trim)할 필요 없이 밀봉 요소가 광범위한 케이블 직경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본체의 2개의 절반부들을 분리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도 본체를 밀봉 요소 주위에 폐쇄시킬 수 있으며, 그 후에 밀봉 요소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 수용된다. 클램핑 요소의 2개의 절반부들을 분리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도 클램핑 요소를 케이블 주위에 폐쇄시킬 수 있다. 클램핑 요소를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밀봉 요소가 본체의 캐비티 내에 클램핑된다.
나선형 형상의 밀봉 요소의 사용을 통해 여러 개의 연속적인 밀봉 링이 케이블 주위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가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으므로 지하 사용에 특히 유리하다는 것도 이점이다. 환경과 접촉하는 측면의 밀봉 요소가 노후화되면, 방수 및 방진성을 계속 보장하기에 충분한 연속적인 연속 링들이 있다는 것도 유리하다.
본체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클램핑 요소에 의해 본체의 캐비티에 밀봉 요소를 클램핑할 때, 밀봉 요소는 종축 방향으로 압축되고 종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며, 상기 밀봉 요소가 캐비티의 벽에 대해 가압할 때까지, 채널이 먼저 넓어지고, 그 후 추가 압축 시 채널도 가압되어 폐쇄된다. 따라서 채널이 모든 곳에서 케이블에 완전히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요소의 나선형 형상으로 인해, 나선형 형상의 밀봉 요소의 연속적인 루프가 압축 동안 서로에 대해 비틀리고 이동하여, 밀봉 요소에 포함된 채널이 즉시 수축되는 동시에 밀봉 요소가 캐비티 벽에 대해 압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뱀이 먹이 주위를 휘감는 것과 비슷하다. 이는 밀봉 요소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의 또 다른 이점은 케이블을 절단하거나 연결을 끊을 필요 없이, 설치 후 다시 쉽게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지 상태에서 종축을 따른 밀봉 요소의 길이는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사이의 종축을 따른 거리보다 적어도 5% 더 길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더 길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 길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5% 더 길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더 길다. 이는 결과적으로 밀봉 요소가 캐비티 내의 클램핑에 의해 종축 방향으로 충분히 압축 가능하여 보장된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를 얻기 때문에 유리하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비티와 밀봉 요소는 종축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정합된 단면(conformed cross-section)을 갖는다. 정지 상태에서 밀봉 요소 단면적은 본체의 캐비티의 단면적에 대해 적어도 0.95:1의 스케일로 되어 있으며, 밀봉 요소 단면과 캐비티 단면은 제 1 개구에 대해 종축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의 단면적은 적어도 0.96:1의 스케일로 되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97:1의 스케일로 되어 있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98:1의 스케일로 되어 있으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99:1의 스케일로 되어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밀봉 요소가 캐비티 내에 쉽게 수용될 수 있고, 캐비티 내의 클램핑 요소에 의해 클램핑된 후, 캐비티의 벽에 대해 신속하게 가압하고, 이에 의해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얻기 위해 케이블 주위를 압축하고 클램핑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추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비티와 밀봉 요소의 단면은 본체의 종축에 대해 회전 대칭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캐비티에 대한 밀봉 요소의 배향에 관계없이, 밀봉 요소가 항상 캐비티 내에 수용될 수 있어, 케이블 엔트리의 조립이 간단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비티와 밀봉 요소는 원뿔형이다. 캐비티와 밀봉 요소는 동일한 정점 각도(apex angle)를 갖는다. 정점 각도는 캐비티와 밀봉 요소의 원뿔 형상에 대응하는 원뿔의 정점 각도이다. 캐비티의 정점 각도는 제 1 개구의 측에 위치된다. 정점 각도는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이다.
이 실시 형태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서 밀봉 요소의 클램핑 요소에 의해 클램핑될 때 밀봉 요소가 제 2 개구 측으로부터 제 1 개구 측의 정점 각도 방향으로 가압되고, 본체에 의해 케이블에 대해 고르게 압축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원통형 캐비티로, 밀봉 요소는 먼저 제 1 개구의 측의 캐비티의 벽들에 대해 가압되며 압축될 것이고 나중에야 밀봉 요소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바로 원뿔 형상의 캐비티와 밀봉 요소로 가압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개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캐비티의 벽들에 대해 가압될 것이다. 케이블 직경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특히 정지 상태의 밀봉 요소의 채널 직경에 비해 케이블 직경이 작은 경우,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가 보장되고, 그렇지 않으면 밀봉 요소가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해 제 1 개구 근처에서만 충분히 압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체는 제 1 개구의 측에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릴리프는 압력 플레이트와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을 포함한다. 볼트들 또는 나사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금속 나사들 또는 볼트들이다. 본체는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나사 구멍들을 포함한다. 압력판은 두 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케이블에 부착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U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인 릴리프는 2개의 U자 형상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U자 형상은 압력 플레이트이고, 제 2 U자 형상은 본체의 제 1 절반부에 고정된다. 스트레인 릴리프로 인해, 케이블의 인장력은 제 2 개구 측으로부터 제 1 개구 측의 케이블의 가능한 분기부들(branches)로 전달될 수 없다. 이는 견고한 분기부들에 유리하다. 추가적인 이점은 케이블이 항상 케이블 엔트리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케이블이 케이블 엔트리에 비틀림 힘을 가하지 않거나 제한한다는 것이다. 비틀림 힘은 케이블 엔트리의 방수성 및 방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체는 제 2 개구의 측에 스트레인 릴리프를 포함한다. 제 2 개구 측의 스트레인 릴리프는 제 1 개구의 측의 스트레인 릴리프와 유사하며 유사한 이점을 갖는다. 최적의 스트레인 릴리프를 얻기 위해 두 가지 실시 형태들이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와셔는 제 1 개구 근처의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와셔는 제 1 개구와 밀봉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와셔는 2개의 절반부들을 포함한다. 와셔의 2개의 절반부들은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와셔의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있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있으며, 본체의 종축은 이 평면에 있다. 와셔의 절반부들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클릭될 수 있다. 2개의 절반부들을 포함하는 와셔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도 와셔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와셔는 밀봉 요소가 제 1 개구를 통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요소를 위한 압력 표면으로서 유리하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2 와셔가 제 2 개구 근처의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제 2 와셔는 제 2 개구와 밀봉 요소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와셔는 2개의 절반부들을 포함한다. 제2 와셔의 2개의 절반부들은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제 2 와셔의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있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있으며, 본체의 종축은 평면에 있다. 제 2 와셔의 절반부들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클릭될 수 있다. 2개의 절반부들을 포함하는 제 2 와셔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도 와셔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제 2 와셔는 클램핑 요소에 의한 클램핑 동안 밀봉 요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요소를 위한 압력 표면으로서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램핑 요소는 중공 볼트(hollow bolt)이다. 중공 볼트는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중공 볼트는 종축을 따라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채널(channel)을 포함한다. 채널은 볼트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된다. 중공 볼트는 나사산을 포함한다. 중공 볼트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중공 볼트를 덜 또는 더 많이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중공 볼트가 밀봉 요소를 캐비티 내의 벽에 덜 또는 더 많이 가압하고 채널이 다소 수축되기 때문에, 본체의 캐비티 내의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는 데 유리하다.
중공 볼트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볼트의 2개의 절반부들의 종축을 따라 에지 상에 리세스들(recesses) 및/또는 톱니들(teeth)을 포함한다. 제 1 절반부의 리세스들 및/또는 톱니들은 제 2 절반부의 톱니들 및/또는 리세스들에 상보적이다. 이는 중공 볼트가 케이블 주위에 닫힌 후, 중공 볼트가 중공 볼트의 나사산이 연속되도록 올바르게 구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유리하다. 이는 또한 중공 볼트를 조일 때 2개의 절반부들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추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케이블 엔트리는 본체의 종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제 2 개구의 측에 원통형 나사산 내벽을 포함하되, 원통형 나사산 내벽은 중공 볼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내벽의 나사산과 중공 볼트의 나사산이 적어도 동일한 피치를 가지며, 중공 볼트의 직경과 원통형 내벽의 직경이 서로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통형 나사산 내벽은 케이블 엔트리에 중공 볼트를 간단하게 나사 결합으로 끼우고 빼내는데 유리하며, 상기 중공 볼트는 제 1 개구에 대해 자동으로 정확하게 정렬된다. 원통형 내벽은 바람직하게는 캐비티 외부에 위치된다. 이는 캐비티와 밀봉 요소가 원뿔형 형상을 가져서, 중공 볼트가 본체에서 매우 제한된 정도로만 조여질 수 있고, 이는 밀봉 요소의 너무 제한된 압축을 유발할 수 있고, 그 결과 중공 볼트가 케이블 엔트리에 충분히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는, 이전에 설명된 실시 형태와 조합하여 특히 유리하다.
원통형 나사산 내벽은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일부이다. 대안적으로, 원통형 나사산 내벽은 이전에 설명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제 2 개구의 측의 스트레인 릴리프의 일부이다. 나사산은 본 명세서에서 부분적으로 제 1 U자 형상 및 부분적으로 제 2 U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pressing means)이 중공 볼트 내부에 배치된다. 원통형 가압 수단은 케이블과 중공 볼트 사이에 배치된다. 원통형 가압 수단은 제 2 개구의 측에 환형 압력 표면(annular pressure surface)을 포함한다. 환형 압력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배치된다. 원통형 가압 수단은 제 1 개구로부터 제 2 개구 방향으로 종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중공 볼트를 조임으로써, 원통형 가압 수단은 볼트에 의해 제 1 개구로부터 제 2 개구를 향해 이동된다. 이로써 압력 표면이 밀봉 요소에 대해 가압한다. 압력 표면은 중공 볼트의 회전에 의해 밀봉 요소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압력 표면은 앞서 설명한 제 2 밀봉 링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압력 표면의 외부 에지는 중공 볼트의 나사산의 직경보다 적어도 큰 직경을 갖는다. 압력 표면의 외부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제 2 개구의 레벨에서 본체의 캐비티의 단면보다 작고 종축을 가로지르는 직경을 갖는다. 이는 특히 캐비티가이 원뿔형인 이전에 설명된 실시 형태와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압력 표면이 종축을 따라 캐비티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원통형 가압 수단은 중공 볼트의 회전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데도 유리하다.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의 2개의 절반부들의 종축을 따라 에지 상에 리세스들 및/또는 톱니부들을 포함한다. 제 1 절반부의 리세스들 및/또는 톱니부들은 제 2 절반부의 톱니부들 및/또는 리세스들에 상보적이다. 이는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이 케이블 주위에서 폐쇄된 후에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이 정확하게 구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유리하다. 이는 중공 볼트가 조여질 때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의 2개의 절반부들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유리하다.
제 2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엔트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케이블 엔트리, 및 박스를 포함한다. 각 케이블 엔트리는 제 1 형태를 따른다. 박스는 방수 재질로 제조된다. 박스는 자유로운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박스는 바람직하게는 부식 방지 재질로 제조된다. 박스는 분리 가능한 2개의 절반부들을 포함한다. 각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1 절반부는 박스의 제 1 절반부에 통합된다.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2 절반부는 박스의 제 2 절반부에 의해 본체의 제 1 절반부에 대해 클램핑된다. 선택적으로,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2 절반부는 박스의 제 2 절반부에 통합된다. 각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절반부를 박스의 절반부와 동시에 금형으로 성형하여 각각의 절반부를 박스의 절반부에 통합할 수 있다. 각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절반부를 박스의 절반부에 융합하여 각각의 절반부를 박스의 절반부에 통합할 수 있다.
박스의 절반부는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접촉 면적은 박스를 닫은 후 박스의 절반부들이 서로 접촉하는 표면이다. 접촉 면적은 박스 단면의 둘레이다. 접촉 영역은 상기 단면의 둘레를 따라 그루브(groove)를 포함한다. 박스는 바람직하게는 박스의 방수 및 방진 폐쇄를 위해 상기 그루브 내에 밀봉부를 포함한다. 밀봉부는 예를 들어, 밀봉 고무이다. 대안적으로, 박스의 절반부는 상기 단면의 둘레를 따라 그루브를 포함하고, 박스의 다른 절반부는 상기 단면의 둘레를 따라 상보적인 텅(tongue)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둘 모두의 조합이며, 상기 밀봉부는 그루브 내의 텅에 의해 압축된다. 본체의 제 2 절반부가 박스의 제 2 절반부에 통합되지 않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봉부는 박스의 제 2 절반부와 본체의 제 2 절반부 사이에도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주요 이점은 하우징이 2개의 절반부들로 이루어진 박스를 포함하고, 각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1 절반부가 박스의 제 1 절반부에 통합되고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2 절반부가 박스의 제 2 절반부에 의해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1 절반부에 대해 클램핑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케이블 글랜드를 사용할 때와 같이, 케이블 엔트리와 하우징의 박스 사이에 추가적인 방수 및 방진 밀봉부가 필요하지 않으며, 박스의 밀봉부는 보장된 방수 및 방진 하우징을 얻기에 충분하다. 추가적인 이점은 케이블 위에 하우징을 배치하기 위해 케이블을 절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또 다른 이점은 설치 후 다시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케이블을 절단하거나 연결을 끊을 필요 없이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박스의 제 1 절반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케이블 엔트리가 측벽 너머에 있어 박스의 부피를 넘어선 채로 박스의 측벽 상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각 측벽 상에서, 측벽을 넘어 연장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박스 외부에 그리고 상기 측벽 상에 케이블 엔트리의 길이 방향으로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릴리프는 압력 플레이트와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나사 구멍들을 포함한다. 볼트 또는 나사는 스테인레스 금속 나사 또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플레이트는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에 의하여 케이블에 부착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U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인 릴리프는 2개의 U자 형상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U자 형상은 압력 플레이트이고, 제 2 U자 형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스트레인 릴리프로 인해, 케이블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제 1 개구의 측으로부터 케이블 엔트리로 전달될 수 없다. 이는 견고한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에 유리하다. 추가적인 이점은 케이블이 항상 케이블 엔트리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케이블이 케이블 엔트리에 비틀림 힘을 가하지 않거나 제한한다는 것이다. 비틀림 힘은 케이블 엔트리의 방수성 및 방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는 직경이 큰 케이블에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케이블 엔트리들을 포함한다. 박스는 측벽 상에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한다.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는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원통형 채널(channel)을 포함한다. 채널은 박스로부터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의 자유 단부로 연장된다.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한다.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의 제 1 절반부는 박스의 제 1 절반부의 일부이고,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의 제 2 절반부는 박스의 제 2 절반부의 일부이다. 이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도 채널을 통해 여러 개의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케이블 엔트리는 대향하는 측벽 상에서,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의 길이 방향에 있다. 복수의 케이블들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경우,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케이블용 케이블 엔트리는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의 길이 방향에 있다. 이는 직경이 가장 큰 케이블이 가장 유연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엔트리로부터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로 케이블을 구부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의 하나의 개구를 통해 여러 케이블들을 공급하는 데 유리하다. 복수의 케이블들은 각각 하우징의 별도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별도로 공급된다. 복수의 케이블들은 하우징 외부의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를 통해 함께 공급된다.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는 제 2 하우징의 케이블 엔트리를 통과하며, 이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들이 동시에 제 2 하우징의 케이블 엔트리를 통과하게 된다.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를 제 2 하우징 내에 공급하기 위해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 1 형태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 또는 제 2 형태에 따른 하우징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들이 단일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방수 및 방진으로 제 2 하우징 내로 통과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우징은, 말하자면 제 1 형태에 따른 단일 케이블 엔트리를 위한 다중-케이블 인서트(multi-cable insert)이다.
제 3 형태에서, 본 발명은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케이블 엔트리의 밀봉 요소에서 원통형 채널 내로 케이블을 공급하는 단계;
-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밀봉 요소를 수용하는 단계, - 상기 본체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은 본체의 제 1 및 제 2 개구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는 본체의 종축 상에 캐비티의 서로 반대 측에 위치됨 -;
- 클램핑 요소를 사용하여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는 단계.
밀봉 요소는 나선형 형상이다. 밀봉 요소는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다. 밀봉 요소가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기 때문에, 밀봉 요소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 케이블 주위에 감길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케이블은 밀봉 요소의 채널 내로 도입된다. 추가적인 이점은 밀봉 요소를 업데이트하거나 트림(trim)할 필요 없이 밀봉 요소가 광범위한 케이블 직경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또한 밀봉 요소를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음으로써, 여러 개의 연속적인 연속 밀봉 링이 케이블 주위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가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으며, 따라서 지하 사용에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유리하다. 환경과 접촉하는 측면 상의 밀봉 요소가 노후화되면, 방수성 및 방진성을 계속 보장하기에 충분한 연속적인 연속 링이 있다는 것도 유리하다.
본체는 밀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되어 있다. 그 후, 2개의 절반부들이 밀봉 요소 주위에서 폐쇄된다. 본체를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함으로써, 본체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도 밀봉 요소 주위에 폐쇄될 수 있으며, 그 후에 밀봉 요소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 수용된다.
클램핑 요소는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기 위해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된다. 그 다음 2개의 절반부들이 케이블 주위에 폐쇄되고 클램핑 요소가 케이블 엔트리에 고정된다. 클램핑 요소는 종축을 따른 방향으로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고정된다. 클램핑 요소를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함으로써, 클램핑 요소는 케이블을 자르지 않고도 케이블 주위에 폐쇄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를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케이블 엔트리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밀봉 요소는 본체의 캐비티 내에 클램핑된다.
클램핑 요소에 의해 본체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본체의 캐비티 내에서 밀봉 요소를 클램핑할 때, 밀봉 요소는 종축 방향으로 압축되고 종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며, 상기 밀봉 요소가 캐비티의 벽에 대해 가압할 때까지 채널이 먼저 넓어지고, 그 후 추가 압축 시 채널도 가압되어 폐쇄된다. 따라서 채널이 모든 곳에서 케이블에 완전히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요소를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음으로써, 밀봉 요소의 연속적인 루프가 압축 동안 서로에 대해 비틀어져, 밀봉 요소에 포함된 채널이 즉시 수축되는 동시에, 밀봉 요소가 캐비티의 벽에 대해 압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뱀이 먹이 주위를 휘감는 것과 비슷하다. 이는 밀봉 요소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를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램핑 요소는 중공 볼트이다. 중공 볼트는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중공 볼트는 본체의 종축을 따라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채널을 포함한다. 채널은 볼트의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연장된다. 중공 볼트는 나사산을 포함한다. 중공 볼트는 케이블 엔트리에 조여진다. 중공 볼트는 조이는 동안 밀봉 요소를 압축한다. 중공 볼트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중공 볼트를 덜 또는 더 많이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중공 볼트가 밀봉 요소를 캐비티의 벽에 덜 또는 더 많이 가압하고 채널이 다소 수축되기 때문에, 본체의 캐비티 내의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는 데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 방법은 스트레인 릴리프에 나사 결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릴리프는 케이블 엔트리에 포함되어 있다. 스트레인 릴리프는 압력 플레이트와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을 포함한다. 볼트들 또는 나사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금속 나사들 또는 볼트들이다. 본체는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나사 구멍들을 포함한다. 압력 플레이트는 2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에 의해 케이블에 부착된다. 압력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U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인 릴리프는 2개의 U자 형상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U자 형상은 압력 플레이트이고, 제 2 U자 형상은 케이블 엔트리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스트레인 릴리프들 중 제 1 스트레인 릴리프는 제 1 개구 측에 나사 결합되고, 제 2 스트레인 릴리프는 제 2 개구 측에 나사 결합된다. 스트레인 릴리프로 인해, 케이블의 인장력이 케이블의 가능한 분기부들(branches)로 전달될 수 없다. 이는 견고한 분기부들에 유리하다. 추가적인 이점은 케이블이 케이블 엔트리에 대해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케이블이 케이블 엔트리에 비틀림 힘(torsional forces)을 가하지 않거나 제한한다는 것이다. 비틀림 힘은 케이블 엔트리의 방수성 및 방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케이블은 케이블 엔트리를 통과할 때 절단되지 않는다. 이는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나아가게 하기 위해 원격 통신(telecom) 또는 에너지 시스템이 중단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당업자는 제 1 형태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가 바람직하게는 제 3 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제 3 형태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형태에 따른 케이블 엔트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위와 아래 모두에 설명된 각 특징은, 본 발명의 제 4 형태들 중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제 4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제 2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용도, 또는 원격 통신 또는 에너지 시스템에 정션 박스를 배치하기 위한 제 3 형태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사용은 케이블을 절단할 필요가 없고 원격 통신 또는 에너지 시스템을 중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격 통신 또는 에너지 시스템에서 케이블의 유리한 분기를 초래한다. 정션 박스는 이미 설치된 케이블을 사용하여 케이블 주위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추가 분기부를 만들 수 있다. 케이블 엔트리를 사용함으로서, 정션 박스는 지하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매우 오랜 기간 동안 방수 및 방진 상태를 유지하며, 수리 또는 추가 분기 등을 위해 쉽게 다시 개방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비제한적인 도면에 의해 설명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케이블(1)은 하우징(2) 내의 케이블 엔트리(18)를 통해 공급된다. 도 1에는 하우징(2)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엔트리(18)는 하우징(2)에 통합된다. 케이블 엔트리(18)는 본체(4), 밀봉 요소(sealing element)(5) 및 클램핑 요소(clamping element)(12)를 포함한다. 본체(4)는 종축(20)을 따라 연장된다. 본체(4)는 캐비티(cavity)(6), 제 1 개구(9) 및 제 2 개구(10)를 포함한다. 제 1 개구(9)와 제 2 개구(10)는 종축(20) 상에 캐비티(6)의 서로 반대 측에 위치된다. 밀봉 요소(5)는 캐비티(6) 내에 수용된다. 밀봉 요소(5)는 나선형 형상이며 케이블(1) 주위에 감겨 있다. 캐비티(6)와 밀봉 요소(5)는 원뿔형이고, 캐비티(6)와 밀봉 요소(5)는 동일한 꼭지점 각도(β)를 갖는다. 본체(4)와 클램핑 요소(12)는 2개의 절반부를 포함한다. 본체(4)의 제 1 절반부는 하우징(2)의 제 1 절반부에 통합된다. 본체(4)의 제 2 절반부는 하우징(2)의 제 2 절반부에 의해 본체(4)의 제 1 절반부에 대해 클램핑된다. 케이블 엔트리(18)는 2개의 스트레인 릴리프들(strain reliefs)(8 및 17)을 포함한다. 스트레인 릴리프들(8) 및 17)은 각각 (31)과 (30)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스트레인 릴리프들(8 및 17)은 제 1 볼트(23) 및 제 2 볼트(28)를 2개의 금속 스테인레스 볼트들(24), 제 1 U자 형상(25) 및 제 2 U자 형상(29)을 포함한다. 제 2 U자 형상(29)은 본체(4)의 제 1 절반부에 부착된다. 제 1 U자 형싱(25)은 제 1 볼트(23) 및 제 2 볼트(28)에 의해 제 2 U자 형상(29)에 부착된다. 제 1 와셔(7)는 제 1 개구(9) 근처의 캐비티(6) 내에 배치된다. 제 1 와셔(7)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한다. 클램핑 요소(12)는 중공 볼트(12)이다. 중공 볼트(12)는 중공 볼트(12)의 2개의 절반부들의 종축(20)을 따라 에지에 리세스들(recesses) 및/또는 톱니들(teeth)(13)을 갖는다. 제 2 개구(10) 측에, 케이블 엔트리(18)는 케이블 엔트리(18)의 중공 볼트(12)를 조이기 위해 종축(20)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나사산을 갖는 원통형 내벽(11)을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원통형 내벽(11)은 스트레인 릴리프(17)에 포함된다. 나사형 원통형 내벽(11)은 상세부(30)에 나사형 원통형 내벽(26)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 1 U자 형상(25)의 일부 및 제 2 U자 형상(29)의 일부이다. 스트레인 릴리프(8)의 상세부(31)는 또한 원통형 내부 벽을 갖지만, 나사산은 없다. 화살표가 있는 점선(27)은 케이블 엔트리(18)에서 중공 볼트(12)를 조이기 위한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중공 볼트(12) 내부에는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pressing means)(14)이 배치된다. 케이블(1)은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14)을 통해 나아간다.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14)은 제 2 개구(10)의 측에 환형 압력 표면(15)을 갖고,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14)의 2개의 절반부들의 종축(20)을 따라 에지에 리세스들 및/또는 톱니들(21)을 갖는다. 제 2 와셔(22)는 제 2 개구(10) 근처의 캐비티(6) 내에 배치된다. 제 2 와셔(22)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한다. 제 2 와셔(22)는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14)의 환형 압력 표면(15)에 대해 배치되고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14)에 의해 밀봉 요소(5)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의 직경이 크면, 큰 인장력과 굽힘력이 발생되고 추가 스트레인 릴리프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2)은 선택적인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는 케이블 엔트리(18)로 측벽 너머로 연장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는 케이블 엔트리(18)의 종축 방향으로 스트레인 릴리프(16)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2)은 자유 내부 공간,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19) 및 복수의 케이블 엔트리들(18)을 포함한다. 케이블 엔트리들(18)는 도 1의 케이블 엔트리(18)와 유사하다.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19)에 대향하는 하우징(2)의 측벽에는 케이블 엔트리(18)가 있다. 하우징(2)은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19)와 반대편 케이블 엔트리(18) 사이의 하우징(2)의 제 1 측벽의 3개의 추가 케이블 엔트리들(18) 및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19)와 반대편 케이블 엔트리 사이의 하우징(2)의 제 2 측벽의 3개의 추가 케이블 엔트리들(18)을 포함한다. 상기 6개의 추가 케이블 엔트리들(18)은 상기 반대편 케이블 엔트리(18)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19)는 도 1의 케이블 엔트리(18)와 유사한 케이블 엔트리(18)를 통해 제 2 하우징 내로 방수 및 방진으로 통과하게 된다. 제 2 하우징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의 하우징(2)은 다수의 케이블들의 방수 및 방진 통과에 적합하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엔트리를 통한 메인 케이블과 6개의 추가 케이블들이 있다.

Claims (15)

  1. 하우징 내에 케이블의 방수(watertight) 및 방진(dust-tight) 통과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cable entry)로서, 본체(body), - 상기 본체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는 캐비티(cavity), 상기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제 1 및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종축 상에 상기 캐비티의 서로 반대 측에 위치됨 -, 밀봉 요소(sealing element), - 상기 밀봉 요소는 상기 본체의 캐비티 내에 수용되고, 상기 밀봉 요소는 상기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원통형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채널은 상기 종축을 따라 배향됨 -, 및 상기 제 2 개구의 측에 상기 본체의 캐비티 내에 상기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요소(clamping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클램핑 요소는 각각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halves)을 포함하고,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위치되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종축은 상기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밀봉 요소는 나선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와 상기 밀봉 요소는 원뿔형(conical)이고, 상기 캐비티와 상기 밀봉 요소는 동일한 정점 각도(apex angle)를 가지며, 상기 캐비티의 정점 각도는 상기 제 1 개구의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 1 개구의 측에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 근처의 상기 본체의 캐비티 내에 와셔가 배치되고, 상기 와셔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하고,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위치되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종축은 상기 평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는 중공 볼트(hollow bolt)이고, 상기 중공 볼트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중공 볼트는 상기 종축을 따라 상기 케이블의 통과를 위한 채널(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엔트리는 상기 본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상기 제 2 개구의 측에 원통형 나사산 내벽을 포함하되, 원통형 나사산 내벽은 상기 중공 볼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7.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볼트 내부에 중공 원통형 가압 수단(pressing means)이 배치되고, 상기 원통형 가압 수단은 상기 제 2 개구의 측에 환형 압력 표면(annular pressure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가압 수단은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halves)을 포함하고, 제 1 절반부는 평면의 제 1 측에 위치되고 제 2 절반부는 평면의 제 2 측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종축은 상기 평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엔트리.
  8.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통과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housing)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엔트리 및 박스(box)를 포함하며, 각 케이블 엔트리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이고, 상기 박스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하고, 각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1 절반부는 상기 박스의 제 1 절반부에 통합되고 상기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제 2 절반부는 상기 박스의 제 2 절반부에 의해 상기 케이블 엔트리의 제 1 절반부에 대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제 1 절반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블 엔트리가 측벽 너머에 있는 채로 상기 박스의 측벽 상에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박스 외부에 그리고 상기 측벽 상에 케이블 엔트리의 길이 방향으로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케이블 엔트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박스는 측벽 상에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하고, 상기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는 케이블 통과를 위한 원통형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돌출부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절반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의 제 1 절반부는 상기 박스의 제 1 절반부의 일부이고, 상기 기다란 원통형 돌출부의 제 2 절반부는 상기 박스의 제 2 절반부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11. 방수 및 방진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케이블 엔트리의 밀봉 요소에서 원통형 채널 내에 케이블을 공급하는 단계;
    - 상기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의 캐비티 내에 밀봉 요소를 수용하는 단계, - 상기 본체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본체의 제 1 및 제 2 개구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종축 상에 상기 캐비티의 서로 반대 측에 위치됨-;
    - 클램핑 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의 캐비티 내에 상기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요소는 상기 케이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 있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밀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된 후, 2개의 절반부들은 상기 밀봉 요소 주위로 폐쇄되고, 상기 클램핑 요소는 상기 밀봉 요소를 클램핑하기 위해 2개의 절반부들로 개방된 후, 2개의 절반부들은 상기 케이블 주위에 폐쇄되고 상기 클램핑 요소는 상기 케이블 엔트리 내에 또는 상기 케이블 엔트리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는 중공 볼트이고, 상기 중공 볼트는 상기 케이블 엔트리에서 조여지고, 상기 중공 볼트는 조임 동안 상기 밀봉 요소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케이블 엔트리의 본체에 포함된 스트레인 릴리프에 나사 결합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엔트리를 통과할 때 절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원격 통신(telecom) 또는 에너지 시스템에 정션 박스(junction boxes)를 배치하기 위한, 제 8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또는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용도.
KR1020237033802A 2021-04-07 2022-04-06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리드하기 위한 방법 KR202301659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215268A BE1029279B1 (nl) 2021-04-07 2021-04-07 Kabeldoorvoer voor water- en stofdichte doorvoer van een kabel, behuizing met kabeldoorvoer, en werkwijze voor voeren van een kabel doorheen een kabeldoorvoer
BE2021/5268 2021-04-07
PCT/IB2022/053202 WO2022214989A1 (en) 2021-04-07 2022-04-06 Cable entry for water-tight and dust-tight lead-through of a cable, housing with cable entry, and method of leading a cable through a cable ent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906A true KR20230165906A (ko) 2023-12-05

Family

ID=7547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802A KR20230165906A (ko) 2021-04-07 2022-04-06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리드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4320695A1 (ko)
JP (1) JP2024513224A (ko)
KR (1) KR20230165906A (ko)
CN (1) CN117099279A (ko)
AU (1) AU2022255806A1 (ko)
BE (1) BE1029279B1 (ko)
CA (1) CA3213414A1 (ko)
IL (1) IL307345A (ko)
WO (1) WO20222149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18214U1 (de) * 1995-11-17 1996-01-11 Abb Patent Gmbh Kabelverschraubung
CN2594553Y (zh) * 2002-12-17 2003-12-24 陈强 螺旋锥形密封填料
DE202004018347U1 (de) * 2004-01-21 2005-01-27 Pflitsch Gmbh & Co. Kg Vorrichtung zur Einführung von Kabeln
CA2811329C (en) 2010-09-17 2020-08-18 Roxtec Ab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CN203081332U (zh) * 2013-02-06 2013-07-24 翟丕若 一种螺旋密封垫
DE102015208400B4 (de) * 2015-05-06 2024-02-2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Kabel-/Leitungseinführung
CN205315339U (zh) * 2015-12-30 2016-06-15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多级螺旋密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07345A (en) 2023-11-01
EP4320695A1 (en) 2024-02-14
AU2022255806A1 (en) 2023-10-19
CA3213414A1 (en) 2022-10-13
BE1029279A1 (nl) 2022-11-07
BE1029279B1 (nl) 2022-11-17
JP2024513224A (ja) 2024-03-22
WO2022214989A1 (en) 2022-10-13
CN117099279A (zh)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8381B (zh) 用于电信盒的密封和保持线缆附属装置
US7186929B2 (en) Sealing member for an entry port
DE102007024127B4 (de) Wasserrückhaltekonstruktion für eine abgeschirmte Leitung
US8033408B2 (en) Enclosure with a lead-through and a grommet
US4295005A (en) Cable splice closure
US6222977B1 (en) Optical cable introduc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troducing and connecting an optical cable
CN210490438U (zh) 一种电缆穿线防水固定头
EP2601718B1 (de) Beleuchtungsvorrichtung und dichtelement hierfür
US20230086292A1 (en) Couplings and connectors for cables
EP2506375B1 (de) Zugfeste dichte Befestigung für runde längliche Gegenstände
KR20230165906A (ko) 케이블의 방수 및 방진 리드-스루를 위한 케이블 엔트리, 케이블 엔트리를 갖는 하우징, 및 케이블 엔트리를 통해 케이블을 리드하기 위한 방법
CN111433988B (zh) 线缆接头及将第一线缆端部和第二线缆端部相互连接的方法
CN106716757B (zh) 电气的装置
CN105954847B (zh) 一种海陆缆接头盒
GB2046030A (en) Sleeve assembly for sealing a joint between two cable ends
CA1246172A (en) Apparatus for restricting water propagation along a submerged cable
GB2178909A (en) Cable barrier gland
EP3499661B1 (en) Pulling assembly and method for pulling a submarine cable
AU773336B2 (en) Electrical cable gland
DE10026091C1 (de) Isolierter Schraubverbinder für Energiekabel
US3284109A (en) Tapping saddle for polyethylene cable
KR20060008564A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JP2003274545A (ja) ケー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とその装置を使用した防水施工方法
KR200366035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DE102021112559A1 (de) Verwendung einer Durchführ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