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820A -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820A
KR20230165820A KR1020237037731A KR20237037731A KR20230165820A KR 20230165820 A KR20230165820 A KR 20230165820A KR 1020237037731 A KR1020237037731 A KR 1020237037731A KR 20237037731 A KR20237037731 A KR 20237037731A KR 20230165820 A KR20230165820 A KR 2023016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omain
basic vector
domain basic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쉬안 류
추빈 가오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단말이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frequency-domain basis vector)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4월 2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202110362623.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채널 상태 정보의 리포팅 중에서, 코드북 파라미터의 차원 M v 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표시하며, 관련 기술에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는 네트워크측 구성의 의해 확정되며, 네트워크측 구성에서 확정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는 가장 적절한 수가 아니기 때문에, 만약 과도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보고하면, 단말 오버헤드가 쉽게 낭비될 수 있으며, 관련 기술에서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확정하는 방식에는 단말 피드백 오버헤드가 큰 문제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관련 기술에서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확정하는 방식에 존재하는 단말 피드백 오버헤드가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이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frequency-domain basis vector)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트리거 상태를 수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비트 정보를 확정하되, 상기 타깃 비트 정보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또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깃 비트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는 2부분 리포팅 구조 또는 3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포함할 때,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가 2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를 통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1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는 상기 2부분 리포팅 구조 중의 제1 부분 리포팅 구조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가 3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2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를 통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2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는 상기 3부분 리포팅 구조 중의 제1 부분 리포팅 구조인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Z개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Z는 양의 정수이며, Z는 전송층의 층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에는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을 더 제공하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타깃 비트 정보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타깃 비트 정보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또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Z개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Z는 양의 정수이며, Z는 전송층의 층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메모리,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중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트리거 상태를 수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메모리,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중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추정 유닛;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유닛;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확정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 유닛; 및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유닛;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리포팅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며, 단말은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며, 단말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며, 따라서,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리포팅하면, 과도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리포팅하여, 단말 오버헤드가 쉽게 낭비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는 것에 비해, 확정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보다 정확함으로써, 단말의 피드백 오버헤드들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히 소개하기로 하며,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이러한 도면에 의해 기타 도면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복수개의 CSI 리포팅과 각 CSI 리포팅 및 자원 집합에 관련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관련 객체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표시하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표시할 수 있다. 문자 "/"은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된 객체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용어 "복수개"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가리키며, 다른 수량사도 이와 유사하다.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관련 기술에서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확정하는 방식에 존재하는 단말 피드백 오버헤드가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그 중, 방법과 기기는 동일한 출원에 기초하여 구상되며, 방법과 기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가 유사하기 때문에, 장치와 방법의 실시는 상호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부분은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적용되는 시스템으로는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시스템, 일반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시스템,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6G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이 여러가지 시스템에는 모두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포함된다. 시스템에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 부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5G 시스템(5GS) 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과 네트워크 기기(12)를 포함한다.
그 중,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기기,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기기 등을 가리킬 수 있다. 상이한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의 이름은 상이할 수 있으며, 예컨대 5G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 지칭할 수 있다. 무선 단말 기기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기기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로 칭함)와 이동 단말 기기를 갖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예컨대, 휴대용, 포켓용, 핸드헬드식,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용 이동 장치일 수 있으며, 그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컨대,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ed Protocol, 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Redcap 단말 등 기기이다. 무선 단말 기기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 기기(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 기기(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 기기(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로 지칭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해당 기지국은 복수개의 단말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응용 시나리오가 다름에 따라,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로 지칭될 수 있으며,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중의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다른 이름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한 공중 프레임을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그룹과 상호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 기기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간의 라우터 역할을 하며,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공중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네트워크 기기는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중의 네트워크 기기(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으며,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중의 네트워크 기기(NodeB)일 수 있으며, 또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네트워크 기기(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5G 네트워크 아키텍처(next generation system) 중의 5G 기지국(gNB), 6G 중의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는 홈 진화 기지국(Home evolved Node B, HeNB), 중계 노드(relay node), 홈 기지국(femto), 피코 기지국(pico) 등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네트워크 구조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집중형 유닛(centralized unit, CU) 노드와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집중형 유닛과 분산형 유닛은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사이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MIMO 전송은 단일 사용자 MIMO(Single User MIMO, SU-MIMO) 또는 다중 사용자 MIMO(Multiple User MIMO, MU-MIMO)일 수 있다. 안테나 조합의 형태 및 수량에 따라 MIMO 전송은 2D-MIMO, 3D-MIMO, FD-MIMO 또는 massive-MIMO일 수 있으며, 또는 다이버시티 전송, 프리코딩 전송 또는 빔포밍 전송일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의 리포팅에서, 우선 지적해야 할 것은, 코드북 파라미터의 차원 M v 은 리포팅 과정에서 적절한 수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효과적으로 확정할 수 없어, 단말 피드백의 오버헤드가 큰 것을 초래하며, 이에 대해, 본 출원은 정보의 리포팅 방법을 제공하며, 본 출원 중의 정보의 리포팅 방법은 Rel-17 포트 중의 코드북 파라미터 정보의 리포팅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이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한다.
그 중,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측은 P개의 포트를 통해 빔포밍된 파일럿 신호(CSI Reference Signal, CSI-RS)를 단말로 송신하며, 네트워크측은 단말측에 K개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하는 윈도우 또는 집합을 구성하며, 그 중 K≥1이며, 또한 윈도의 또는 집합의 크기는 이다. 단말은 수신한 P개의 빔포밍된 CSI-RS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한다.
단계 202,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 203,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한다.
상술한 정보의 리포팅 방법에서, 단말은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며, 단말은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며, 단말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며, 따라서,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리포팅하면, 과도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리포팅하여, 단말 오버헤드가 쉽게 낭비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는 것에 비해, 본 출원에서, 단말은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정보를 확정하여, 확정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보다 정확함으로써, 단말의 피드백 오버헤드들 감소시킬 수 있다.
지적해야 할 것은, 일부 실행 가능한 실시예에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예컨대, 단말 중에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는 단말이 유효한 채널에 기초하여 확정한 후보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일 수 있으며, 타깃 지시 내용은 1bit의 지시 정보일 수 있으며, 단말은 해당 1bit의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 또는 미리 설정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이용한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미리 설정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는 엘레먼트가 모두 1인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일 수 있다. 그 중,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길이는 CQI 서브 밴드 사이즈와 네트워크가 구성한 파라미터 R에 의해 확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Z층의 전송층이 있을 때, Zbits의 지시 정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지 예시일 뿐 한정하지 않으며, 기타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이 리포팅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의 선택은 네트워크 기기의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는 한, 또한 기타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포함하며, 바꿔 말하면,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한 것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이다. 가변적으로, 또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한 것은 단말이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이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단말에 구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 방식은 하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변적으로, 또 하나의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바꿔 말하면,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한 것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 단말이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이다. 가변적으로, 기타 실행 가능한 실시예에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또한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지 예시일 뿐 한정하지 않으나, 어떠한 변환을 하든지 상관없이 본 출원의 실시형태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일부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인 것을 예로 하면,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단말은 상술한 단계 중에서 수신한 P개의 포트의 CSI-RS에 기초하여, 각 포트의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해내어 유효 채널로 하며, p번째 포트에 있어서, N 3개의 주파수 영역 유닛 상에서 추정한 유효 채널을 로 표기한다.
단말이 유효 채널에 기초하여 확정한 후보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N 3이라고 가정하면, n번째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의 계산 공식은 다음의 관계식을 충족할 수 있다:
그 후, 순회 방식을 통해 모든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압축 계수 을 계산해내며, 그 중, 이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에 기초하여 얻은 압축 계수 에 기초하여 의 값을 확정한다. 예컨대, 압축 계수가 가장 작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기초하여 의 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행 가능하는 실시형태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술한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단말은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며, 적절한 수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확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값이 4이다, 단말이 확정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값이 2이면,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 값이 2인 것을 리포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에 과도한 수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리포팅함으로 하여, 단말 피드백 오버헤드가 낭비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단말이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단말은 상술한 단계 중에서 수신한 P개의 포트의 CSI-RS에 기초하여, 각 포트의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해내어 유효 채널로 하며, p번째 포트에 있어서, N3개의 주파수 영역 유닛 상에서 추정한 유효 채널을 로 표기한다.
그 후,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N으로 표기하며, 은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의 n번째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이며, 상술한 공식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의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 을 계산해내며, 그 중, 이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에 기초하여 얻은 압축 계수 에 기초하여 의 값을 확정한다. 예컨대, 압축 계수가 가장 작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기초하여 의 값을 확정할 수 있다.
일부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코드북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할 수 있으며, 코드북 파라미터와 트리거 상태에 관련 대응하는 방식을 통해 단말 지시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 중,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며, 단말이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리포팅하는 리포팅 방식 및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트리거 상태를 수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우선, 지적해야 할 것은, 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단말에 구성될 때, 구성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을 위해 하나의 윈도우 또는 집합의 시작 포인트 와 N을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윈도우 또는 집합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단말이 윈도우 또는 집합 내의 연속된 N개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서 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으며, 파라미터 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고층 시그널링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또는 MAC층 제어 유닛(MAC Control Element, MAC-CE)이 단말 구성에 구성한 파라미터 , N 또는 은 한 그룹의 복수개의 후보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고층 시그널링(RRC) 또는 MAC-CE은 복수개의 집합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집합은 파라미터 , N 또는 중의 2개 또는 3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DCI 중에 정보 영역을 추가하여 이러한 정보에 사용되도록 하면, DCI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DCI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는 전제 하에, 상술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 포맷에는 DCI 0_1과 DCI 0_2가 포함된다. 이 2가지 포맷의 DCI 영역에는 하나의 0~6 bits의 CSI 요청 필드가 포함되며, 해당 영역의 길이는 RRC 시그널링 중 CSI의 요청 필드의 정보 길이(reportTriggerSize)에 의해 구성된다. DCI의 요청 필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트리거 상태를 활성화하며, 리포팅 내용은: CSI-RS 자원 지시(CSI-RS Resource Indicator, CRI)/랭크 지시(Rank indicator, RI)/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등을 포함한다.
단말의 리포팅 방식은 비주기 CSI 리포팅과 반지속 CSI 리포팅을 포함하며, 비주기 CSI 리포팅은 MAC CE와 DCI를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 및 트리거를 진행하며, 또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기초하여 리포팅한다. RRC는 복수개의 CSI 트리거 상태를 구성한다. 각 트리거 상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CSI 리포팅에 대응한다. DCI 포맷 0_1/0_2 중의 CSI 요청 필드의 크기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0~6bits로 구성되며, 따라서 최대로 63개의 CSI 트리거 상태(하나의 보류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RRC 시그널링은 최대로 128개의 CSI 트리거 상태를 구성할 수 있으며, RRC 시그널링이 구성한 CSI 트리거 상태가 63을 초과할 때, MAC CE은 그 중 63개의 CSI 트리거 상태를 CSI 요청 필드로 매핑시켜 지시한다. 각 트리거 상태는 1, 2, 3개의 비주기 resource setting(자원 집합)에 관련될 수 있으며, 그 중, 만약 resource setting에 복수개의 비주기 resource setting(자원 집합)이 포함되면, 그 중 하나의 resource setting만을 선택하며, 각 resource setting는 복수개의 CSI-RS 자원을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중, PMI는 해당 CSI 리포팅에 관련된 resource setting에 포함된 CMR에 사용되는 CSI-RS 자원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그러나, PUSCH에 기초한 SP-CSI에 있어서, 상술한 비주기 CSI 리포팅과 유사하게, DCI 시그널링에 의해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다. CSI 피드백 아키텍처 하에서, RRC 시그널링은 복수개의 트리거 상태(trigger state), 최대 64개의 트리거 상태를 구성하며, 또한 각 트리거 상태는 하나의 CSI reporting setting에 대응한다. DCI 중의 CSI 요청 필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활성화 상태를 활성화한다. 또한, 동일한 시각에 복수개의 활성화 상태에 있는 PUSCH의 SP-CSI를 가질 수 있다. 비주기의 CSI 리포팅과 상이하게, 반지속 CSI 리포팅 중의 PMI는 DCI 트리거 이전의 DCI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CMR의 CSI-RS 자원에 기초하여 계산되며, 해당 CSI-RS 자원은 DCI 트리거에 관련된 CSI resource setting 중에 포함된다.
현재, 고층 시그널링(RRC) 또는 MAC-CE가 단말에 구성한 파라미터 , N 또는 은 한 그룹의 복수개의 후보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고층 시그널링(RRC) 또는 MAC-CE은 복수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현재 상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 지시 방법이 없다. 만약 일반적인 방법으로 직접 DCI의 정보 영역을 추가하여 지시에 사용되게 하면, DCI의 오버헤드가 증가된다.
따라서, 해당 실시형태에서, DCI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코드북 파라미터와 DCI 트리거 상태에 관련된 방식을 이용하여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의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네트워크 기기는 고층 시그널링(RRC) 또는 MAC-CE를 통해 단말에 적어도 M v , NM initial 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코드북 파라미터,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구성한다. 각 파라미터는 X≥1개의 후보값을 포함하며, 또는 후보 파라미터 그룹은 X≥1개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각 CSI 리포팅에 S≥1트리거 상태를 구성한다.
단계 2: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DCI중의 CSI 요청 필드를 통해 하나의 트리거 상태를 활성화하며, 해당 트리거 상태는 K≥1개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또한 단계 1중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 값,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지시한다.
단계 3: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 구성 및/또는 DCI 지시에 기초하여 코드북 파라미터 M v /N/M initial 의 값을 확정한다.
단계 4: 단말은 지시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CRI/RI/PMI/CQI 정보를 계산하며 또한 상응하는 CSI를 통해 네트워크측에 리포팅한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DCI 중의 CSI 요청 필드를 통해 활성화된 트리거 상태와 코드북 파라미터 정보는 연합 프리코딩을 지시를 구현하며, 즉 하나의 트리거 상태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비주기 또는 반지속 CSI 리포팅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또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코드북,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하나의 조합에 대응하며, UE로 하여금 코딩 방법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CSI 리포팅의 ID 및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도록 한다.
M v 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를 표시하며; N은 윈도우 또는 집합의 크기를 표시하며; M initial 은 윈도의 시작 포인트를 표시한다. 코드북 파라미터는 M v , NM initial 중의 하나 또는 복수개, 또는 이들 파라미터의 조합을 가리킨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reportTriggerSize를 구성하여 Y개의 트리거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DCI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는 전제 하에 단말에 상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 있다.
하나의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의 구체적인 행동 및 지시의 확정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우선, 네트워크 기기는 고층 시그널링(RRC) 또는 MAC-CE를 통해 단말에 적어도 M v , NM initial 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코드북 파라미터,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구성한다. 각 파라미터는 X≥1개의 후보값을 포함하며, 또는 후보 파라미터 그룹은 X≥1개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각 CSI 리포팅에 S≥1 트리거 상태를 구성하며, 그 중, 동시에 S≥X을 만족해야 한다.
그 후,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DCI중의 CSI 요청 필드를 통해 하나의 트리거 상태를 활성화하며, 해당 트리거 상태는 K=1개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상술한 파라미터 중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 값, 또는 파라미터 조합 중의 복수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지시한다.
하나의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은 트리거 상태 및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한 후보 파라미터 또는 조합에 기초하여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Y=X에 있어서, DCI는 Y 중의 n번째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하며, 단말은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X개의 후보 파라미터 또는 조합의 n번째인 것을 확정한다.
Y>X에 있어서, DCI는 Y 중의 n번째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하며, 또한 n≤X이며, 단말은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X개의 후보 파라미터 또는 조합의 n번째인 것을 확정한다.
Y>X에 있어서, DCI는 Y 중의 m번째 트리거 상태를 트리거하며, 또한 m>X이며, 단말은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X개의 후보 파라미터 또는 조합의 mod(X/m)번째인 것을 확정한다. 여기서 단지 예시일 뿐 한정하지 않는다. 강조해야 할 것은, 여기서 수학적 계산 공식은 Y와 X의 만족하는 하나의 계산 관계를 예시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될 수 있으며, 기타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한 수학적 변환을 통해 또한 기타 수학적 관계를 통해 Y와 X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형태 중의 나머지 계산 공식은 또한 계산 관계의 한가지 표현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어떠한 변환을 하든지 상관없이 본 출원의 실시형태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X개의 후보 파라미터 또는 조합의 하나의 디폴트 값인 것을 확정하며, 예컨대 파라미터 또는 집합 중의 첫번째이다.
또 하나의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DCI 중의 CSI 요청 필드를 통해 하나의 트리거 상태를 활성화하며, 해당 트리거 상태는 K>1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상술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 값, 또는 파라미터 조합 중의 복수개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지시한다. K개의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는 이전 실시예에 따라 확정될 수 있으며, 또한 이 K개의 CSI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는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K개의 CSI는 상이한 코드북 파라미터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첫번째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가 X개 중의 n번째 파라미터값 또는 집합인 것을 확정하며, 단말은 k번째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가 X개 중의 n+k번째 파라미터값 또는 집합인 것을 확정한다. 만약 n+k>X이면, 단말은 k번째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가 X개 중의 mod(n+k,X)번째 파라미터값 또는 집합인 것을 확정하며, 그 중 mod(n+k,X)는 나머지 연산을 표시한다.
진일보하여, 단말은 상술한 방식으로 확정한 코드북 파라미터와 CSI 리포팅에 관련된 측정 채널의 CSI-RS 자원이 추정한 다운링크 채널을 결합하여, CSI 피드백 정보를 계산하며 또한 네트워크 기기로 리포팅한다.
아래에, 네트워크 기기가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을 위해 코드북 파라미터를 구성한 후,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여, 단말이 리포팅 방법 및 리포팅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구체적인 예시를 소개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주요하게 K=1개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 트리거 상태와 코드북 파라미터가 연합 코딩 지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UE에 복수개의 CSI 리포팅 정보를 구성하며, 또한 각 트리거 상태는 하나의 CSI 리포팅에 대응한다. 해당 정보는 코드북 파라미터 M v , NM initial 를 포함한다. 그 중, 한 그룹의 X=4개의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며, 각각 0, N3/4, N3/2, N3이다. 기지국은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3인 reportTriggerSize를 구성한다. DCI 영역의 크기는 3bits이며, 7개의 트리거 상태를 지시할 수 있으며, 그 중 트리거 상태 0은 보류한다. 그 중, 코드북 파라미터와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의 연합 코딩 지시는 다음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비주기 SRS 전송을 캐리하는 DCI를 송신하며, 해당 DCI 영역의 값은 2이며, 트리거 상태가 2인 비주기 CSI 리포팅을 활성화하며, 또한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M initial 코드북 파라미터는 N3/4이다.
표 1: 코드북 파라미터와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의 연합 코딩 지시
Figure pct00029
표 1에서, n/a은 상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없음을 표시하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단말은 해당 DCI 정보에 기초하여 CSI 리포팅의 ID와 파라미터 M initial 의 값을 확정하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M v , N과 같은 기타 파라미터와 해당 CSI 리포팅에 관련된 CSI-RS 자원이 측정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CRI/RI/CQI 등 기타 피드백 정보를 계산해내어 네트워크 기기로 리포팅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주요하게 K>1개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 트리거 상태와 하나의 코드북 파라미터 집합이 연합 코딩 지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UE에 복수개의 CSI 리포팅 정보를 구성하며, 또한 각 트리거 상태는 하나의 CSI 리포팅에 대응한다. CSI 정보에는 X=4개의 M v , NM initial 로 구성된 집합이 포함되며, 각각 {1,4,0}, {2,4,N3/4}, {3,4, N3/2}, {4,4, N3}이다. 기지국은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3인 reportTriggerSize를 구성한다. DCI 영역의 크기는 3bits이며, 7개의 트리거 상태를 지시할 수 있으며, 그 중 트리거 상태 0은 보류한다. 그 중, 코드북 파라미터와 코드북 파라미터 {M v ,N,M initial } 집합의 연합 코딩 지시는 다음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비주기 SRS 전송을 캐리하는 DCI를 송신하며, 해당 DCI 영역의 값은 23며, 트리거 상태가 2인 비주기 CSI 리포팅을 활성화하며, 또한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는 {3,4, N3/2}이다.
표 2: 코드북 파라미터와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의 연합 코딩 지시
Figure pct00030
상술한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해당 DCI 정보를 이용하여 CSI 리포팅의 ID와 코드북 파라미터 M v =3, N=4,M initial =N3/2인 것을 확정하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기타 파라미터와 해당 CSI 리포팅에 관련된 CSI-RS 자원이 측정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CRI/RI/CQI 등 기타 피드백 정보를 계산해내어 네트워크 기기로 리포팅한다. 특히, 만약 DCI 영역의 값 m=5이면,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 집합은 m-X=1이며, 즉 집합 {1,4,0}이다.
UE의 처리 행동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 기술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주요하게 K>1개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UE에 복수개의 CSI 리포팅 정보를 구성하며, 또한 각 트리거 상태는 K=2의 CSI 리포팅에 대응한다. CSI 정보에는 코드북 파라미터 M v , NM initial 가 포함된다. 그 중, 한 그룹의 X=4개의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며, 각각 0, N3/4, N3/2, N3이다. 기지국은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3인 reportTriggerSize를 구성한다. DCI 영역의 크기는 3bits이며, 7개의 트리거 상태를 지시할 수 있으며, 그 중 트리거 상태 0은 보류한다. 그 중, 코드북 파라미터와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의 연합 코딩 지시는 다음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비주기 SRS 전송을 캐리하는 DCI를 송신하며, 해당 DCI 영역의 값은 2이며, 트리거 상태가 2인 비주기 CSI 리포팅을 활성화하며, 또한 해당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M initial 코드북 파라미터는 N3/4이다.
표 3: 코드북 파라미터와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의 연합 코딩 지시
Figure pct00031
표 3에서, 첫번째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은 N3/4이며, 두번째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은 N3/2이며, 즉 트리거 상태 n+1=3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 값이다. 단말은 해당 DCI 정보를 이용하여 이 2개의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ID와 코드북 파라미터 M initial 의 값을 확정하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M v , N과 같은 기타 파라미터와 이 2개의 CSI 리포팅에 관련된 CSI-RS 자원이 측정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CRI/RI/CQI 등 기타 피드백 정보를 계산해내어 네트워크측으로 리포팅한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DCI 요청 필드가 지시하는 트리거 상태는 어느 또는 어떤 비주기 또는 반지속 PUSCH에 기반한 CSI의 리포팅인지를 지시할 뿐만 아니라, 또한 포트가 코드북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코드북 파라미터,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지시하여, DCI 로드의 크기가 변하기 않게 한다.
상술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하는 DCI 중의 CSI 요청 필드를 통해 하나의 트리거 상태가 활성화되는 것을 제공하며, 해당 트리거 상태는 K=1개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또한 코드북 파라미터 중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 값,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합을 지시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reportTriggerSize에 기초하여 Y개의 트리거 상태와 파라미터 또는 조합의 수 X 사이의 관계를 지시할 수 있으며, 코드북 파라미터 값 또는 집합을 지시하는 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DCI 중의 CSI 요청 필드를 통해 하나의 트리거 상태를 확정하며, 해당 트리거 상태는 K>1개의 비주기 또는 PUSCH에 기반한 반지속 CSI 리포팅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또한 코드북 파라미터 중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파라미터 값,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합을 지시한다. k개의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확정되며, 여기서 기술하지 않으며, 또한 이 K개의 CSI에 대응하는 코드북 파라미터는 동일하다.
진일보하여, 단말에 의해 확정되는 K>1개의 CSI 리포팅에 대응하는 상이한 코드북 파라미터값 또는 집합의 방법을 통해, DCI 시그널링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도 코드북 파라미터를 유연하게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비트 정보를 확정하되, 상기 타깃 비트 정보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또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깃 비트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형태에서, 타깃 비트 정보의 형태는 bits일 수 있으며, 바꿔 말하면, 단말은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모든 전송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한다. 그 중, N의 값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이다. 예컨대,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가 4일 때 N은 4이며, 2 bits로 모든 전송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해야 한다. 하나의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00", "01", "10", "11"과 같은 이진수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단말은 또한 하나의 단독적인 CSI를 통해 1 bit를 리포팅하여 모든 전송층이 이용하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인지, 아니면 단말이 리포팅한 인지를 지시한다.
일부 실행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단말은 또한 부분 리포팅 구조 중에서 상술한 타깃 지시 내용을 리포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는 2부분 리포팅 구조 또는 3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포함할 때,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가 2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를 통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1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는 상기 2부분 리포팅 구조 중의 제1 부분 리포팅 구조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가 3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2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를 통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2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는 상기 3부분 리포팅 구조 중의 제1 부분 리포팅 구조인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Rel-17 포트에 대하여 코드북 파라미터 가 선택된다. 는 Part1 및 Part2 2부분으로 리포팅되거나, 또는 Part 0, Part1 및 Part2 3부분으로 리포팅된다.
구체적으로, Part1 및 Part2 2부분으로 리포팅될 때, Part1 중의 리포팅 내용은 적어도: RI, 와이드밴드 CQI, 각 서브 밴드 CQI, 모든 층에서 0이 아닌 계수의 총 수량 KNZ, 단말이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포트 선택 지시, 선택한 포트의 수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한다. Part2 중의 리포팅 내용은 적어도: 각 층의 가장 강력한 계수 지시 SCI,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지시, 기준 진폭, 0이 아닌 계수, 0이 아닌 계수 위치 지시, 포트 선택 지시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한다.
Part 0, Part1 및 Part2 3부분으로 리포팅될 때, Part0 중의 리포팅 내용은 Part1에서 리포팅된 가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한 값인지 아니면 단말이 리포팅한 값인지를 지시한다. 그 중, Part1 중의 리포팅 내용은 적어도: RI, 와이드밴드 CQI, 각 서브 밴드 CQI, 모든 층에서 0이 아닌 계수의 총 수량 KNZ, 단말이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포트 선택 지시, 선택한 포트의 수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한다. Part2 중의 리포팅 내용은 적어도: 각 층의 가장 강력한 계수 지시 SCI,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지시, 기준 진폭, 0이 아닌 계수, 0이 아닌 계수 위치 지시, 포트 선택 지시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Part1 및 Part2 2부분으로 리포팅될 때, Part1에서 이용하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인지, 아니면 단말이 리포팅한 인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Part 0, Part1 및 Part2 3부분으로 리포팅될 때, Part0에서 이용하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인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지 예시일 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깃 지시 내용을 통해, 리포팅한 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는지, 아니면 단말에 의해 추정한 다운링크 채널에 기초하여 확정되는지를 빠르게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Z개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Z는 양의 정수이며, Z는 전송층의 층수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의 선택이 layer-common와 layer-specific 2가지 경우의 지시 리포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 중, layer-common은 하나의 지시 정보를 통해 L층이 이용하는 를 지시하는 것을 표시하며; layer-specific은 하나의 을 통해 제l층이 이용하는 을 지시하는 것을 표시하며, L개의 지시 정보를 리포팅하여 L층이 을 이용함을 지시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바꿔 말하면, layer-common은 각 층의 값이 모두 동일한 것을 표시하며, layer-specific은 각 층의 값이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는 것을 표시하며, 리포팅 과정에서, 각 층의 전송층에 대해 하나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송신한다. 예컨대, 2층의 전송층이 있을 때, layer-common으로 선택될 때, 만약 값이 4이면, 해당 2층의 전송층 값은 모두 4이며, layer-specific로 선택될 때, 해당 2층의 전송층의 값은 모두 4일 수 있으며, 또한 제1 전송층의 값이 2이고, 제2 전송층의 값이 4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단지 예시일 뿐 한정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각 층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모두 대응하여 하나의 타깃 지시 내용을 가지며, 해당 타깃 지시 내용을 통해 각 전송층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의 것인지 또는 미리 설정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인지 표시할 수 있다.
아래에, 각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가 K=1 또는 K>1일 때, 단말이 값을 리포팅하는 구체적인 단계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K=1일 때, 이다.
의 선택이 layer-common이면,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모든 전송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파라미터 을 구성하며, Part1에서 1 bit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모든 전송층이 을 이용하는지, 아니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값을 이용하는지를 지시한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파라미터 구성하며, CSI는 Part0, Part1 및 Part2 3부분으로 리포팅된다. Part0 중에서 또는 하나의 단독적인 CSI를 통해 1 bit를 리포팅하여 모든 전송층이 이용하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인지, 아니면 단말이 리포팅한 인지를 지시한다. 만약 단말이 리포팅한 이면,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모든 전송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가 인 것을 지시해야 한다.
의 선택이 layer-specific이면,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각각 L개의 전송층 중의 제l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네트워크측은 단말에 파라미터 또는 복수개의 을 구성한다. Part1에서 L bit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l번째 전송층의 값이 1인지 아니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인지를 지시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네트워크측은 단말에 파라미터 을 구성하며, CSI는 Part0, Part1 및 Part2 3부분으로 리포팅된다. Part0 중에서 하나의 단독적인 CSI를 통해 Lbits를 리포팅하여 하나의 전송층이 이용하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인지, 아니면 단말이 리포팅한 인지를 지시한다. 만약 단말이 리포팅한 이면,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l번째 전송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한다.
상술한 하나의 단독적인 CSI 리포팅은 하나의 PMI를 포함하지 않는 CSI reporting setting을 통한 리포팅일 수 있다. 추후의 PMI 계산에서, 모두 단말이 리포팅한 Mv값을 이용한다.
K>1일 때, 만약 의 선택이 layer-common이면,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모든 전송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을 지시한다. 는 K개의 윈도우/집합 중 최소치를 표시한다.
의 선택이 layer-specific이면,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각각 L개의 전송층 중의 제l층이 각 윈도우/집합 중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한다.
각 윈도우 또는 집합 내의 리포팅 지시 방법도 K=1일 때의 상기 지시 리포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아래에, 구체적인 전송층을 결부시켜, 단말이 값을 리포팅하는 구체적인 단계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해당 실시예는 주요하게 전송층의 수 L=2,K=1이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윈도우/집합 내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만약 의 선택이 layer-common이면, 네트워크 기기는 파라미터 를 구성하지 않았다. Part1에서 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단말이 선택한 개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측에 파라미터 를 구성하며, Part1에서 1 bit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모든 전송층의 의 값을 지시하며, 만약 해당 bit의 값이 0이면, 모든 전송층이 이용한 이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전송층이 이용한 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이 단말에 파라미터 을 구성한다고 가정하면, CSI는 Part0, Part1 및 Part2 3부분으로 리포팅된다. Part0 중에서 1 bit 지시를 리포팅하고, 만약 bit의 값이 0이면, 모든 전송층이 이용하는 이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전송층이 이용한 것은 단말이 리포팅한 이다. 그 후,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모든 전송층이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이용하는 것을 지시한다.
만약 의 선택이 layer-specific이면, Part1에서 =4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각각 제1층 및 제2층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파라미터 를 구성하며, Part1에서 L=2 bit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l번째 전송층의 값을 지시하며, 만약 2개의 bits 중의 값이 모두 0이면, 2층은 을 이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2개의 전송층은 을 이용한다.
일 예시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을 구성하며, CSI는 Part0, Part1 및 Part2 3부분으로 리포팅된다. Part0 중에서 L bits 지시를 리포팅하며, 만약 2개의 bits 중의 값이 모두 0이면, 2층은 을 이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2개의 전송층은 단말이 리포팅한 을 이용하며, 또한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지시하는 것을 리포팅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주요하게 전송층의 수 L=2,K>1이며, 네트워크측이 구성한 2개의 윈도우/집합 내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일 때 값의 지시에 대해 설명한다.
만약 의 선택이 layer-common이면, 네트워크 기기는 파라미터 를 구성하지 않았다.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단말이 선택한 개의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한다.
만약 의 선택이 layer-specific이면, Part1에서 bits를 리포팅하는 것을 통해 각각 L개의 전송층 중의 제1층 및 제2층이 각 윈도우/집합 중에서 이용하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를 지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며,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타깃 비트 정보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타깃 비트 정보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또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Z개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Z는 양의 정수이며, Z는 전송층의 층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실시형태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기술하지 않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520), 송수신기(500) 및 프로세서(510)를 포함하며,
메모리(52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송수신기(500)는 상기 프로세서(51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510)는 상기 메모리(520) 중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1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5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00)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송 매체는 무선 채널, 유선 채널, 광케이블 등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버스 인터페이스(530)는 또한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51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복합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또한 멀티코어 아키텍처를 채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획득한 실행 가능한 명령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트리거 상태를 수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술한 단말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모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기술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더 이상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620), 송수신기(60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62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600)는 상기 프로세서(61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메모리(620) 중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1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00)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송 매체는 무선 채널, 유선 채널, 광케이블 등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버스 인터페이스(630)는 또한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61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복합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또한 멀티코어 아키텍처를 채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획득한 실행 가능한 명령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모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기술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더 이상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단말의 구조도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700)은: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추정 유닛(701);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유닛(702);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703);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확정 유닛(702)은: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 유닛; 및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유닛; 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술한 단말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모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기술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더 이상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도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800)는: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801)을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모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기술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더 이상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유닛에 대한 분할은 개략적인바, 한가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 별도의 분할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은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한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개별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 될 경우, 하나의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의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전부 또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또는 프로세서(processor)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메모리는 U 디스크, 이동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구성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 또는 데이터 저장 기기일 수 있으며, 자기 메모리(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자기 광학 디스크(MO) 등), 광학 메모리(예컨대, CD, DVD, BD, HVD 등), 및 반도체 메모리(예컨대, ROM, EPROM, EEPROM, 비휘발성 메모리(NAND FLASH),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음) 상에서 실시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따른 방법, 사용자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 중의 각 플로우 및/또는 블록을 실현하고, 및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를 생성하기 위한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되는 명령이 플로우 차트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인도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프로세서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의 제조품을 생성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에 탑재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 상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생성하고,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기기 상에서 수행하는 명령은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해당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개시의 청구범위 및 그 등가 기술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본 개시는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30)

  1. 정보의 리포팅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frequency-domain basis vector)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트리거 상태를 수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에 기초하여 타깃 비트 정보를 확정하되, 상기 타깃 비트 정보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또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깃 비트 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는 2부분 리포팅 구조 또는 3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포함할 때,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가 2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를 통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1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는 상기 2부분 리포팅 구조 중의 제1 부분 리포팅 구조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리포팅 구조가 3부분 리포팅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2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를 통해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2 타깃 부분 리포팅 구조는 상기 3부분 리포팅 구조 중의 제1 부분 리포팅 구조인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Z개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되, Z는 양의 정수이며, Z는 전송층의 층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의 리포팅 방법.
  10.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서 송신한 타깃 비트 정보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타깃 비트 정보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및/또는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 전송층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Z개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Z는 양의 정수이며, Z는 전송층의 층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16.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중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한 것인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트리거 상태를 수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하는 단말.
  22.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메모리,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중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네트워크 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의 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또는 타깃 지시 내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기기에서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또는 단말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중에서 선택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깃 지시 내용은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또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트리거 상태를 송신하되, 상기 트리거 상태는 상기 단말의 리포팅 방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에 구성한 코드북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북 파라미터는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의 크기 또는 상기 주파수 베이식 벡터 집합의 시작 포인트 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단말에 있어서,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추정 유닛;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유닛;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 각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에 대응하는 압축 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 유닛; 및
    상기 압축 계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28.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추정한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네트워크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에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수신한 단말에서 송신한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중에서,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다운링크 채널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베이식 벡터 정보 집합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네트워크 기기.
  30.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정보의 리포팅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37731A 2021-04-02 2022-03-17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30165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362623.3 2021-04-02
CN202110362623.3A CN115175228A (zh) 2021-04-02 2021-04-02 信息上报方法、网络侧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CT/CN2022/081482 WO2022206409A1 (zh) 2021-04-02 2022-03-17 信息上报方法、网络侧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820A true KR20230165820A (ko) 2023-12-05

Family

ID=8345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731A KR20230165820A (ko) 2021-04-02 2022-03-17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19354A1 (ko)
JP (1) JP2024510530A (ko)
KR (1) KR20230165820A (ko)
CN (1) CN115175228A (ko)
WO (1) WO20222064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1724B (zh) * 2018-06-08 2020-11-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预编码矩阵确定方法及装置
WO2020142974A1 (en) * 2019-01-10 2020-07-16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for type ii channel state information
CN112737648B (zh) * 2019-01-11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756415B (zh) * 2019-03-29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1192A (zh) 2022-10-16
WO2022206409A1 (zh) 2022-10-06
CN115175228A (zh) 2022-10-11
EP4319354A1 (en) 2024-02-07
JP2024510530A (ja)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7830A1 (en) Csi report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10076241A1 (en)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WO2020073794A1 (zh)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20240080077A1 (en) Information reporting and receiv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210107816A (ko) 채널 및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3501566A (ja) 情報報告、指示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KR20230165820A (ko) 정보의 리포팅 방법, 네트워크측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TWI837633B (zh) 資訊上報方法、網路側配置方法、終端裝置、網路設備及記憶介質
WO2022028599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40179724A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network side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4032760A1 (zh) Csi报告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AU2020205371B2 (en) Object receiving method and device
CN114501569B (zh)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208190A1 (zh) 信息确定方法及装置
WO2024067158A1 (zh) 信息确定方法、装置、终端及网络设备
WO2023207839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网络设备及终端
WO2022022565A1 (zh) 测量结果上报方法、接收方法、终端和网络设备
EP43404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20240021298A (ko) 채널 상태 정보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장치
TW202416693A (zh) 資訊確定方法、裝置、終端及網路設備
JP2024519344A (ja) コードブック指示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KR20230162112A (ko) 포트 지시 정보의 리포팅 방법 및 단말
CN117998564A (zh) 时频偏移估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633384A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095803A (zh) Srs传输功率确定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