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633A -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 Google Patents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633A
KR20230165633A KR1020220065659A KR20220065659A KR20230165633A KR 20230165633 A KR20230165633 A KR 20230165633A KR 1020220065659 A KR1020220065659 A KR 1020220065659A KR 20220065659 A KR20220065659 A KR 20220065659A KR 20230165633 A KR20230165633 A KR 2023016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outlet hole
shee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택규
최인규
이상만
박양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6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633A/ko
Publication of KR2023016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6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 플로우 보드 및 배기구가 상기 흡입공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다수의 유로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 및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유로의 상부 및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차폐시트 및 상기 차폐시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제1통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는 쿠션 및 상기 배출공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다수의 유로로 분산시켜 공급하는 에어 분산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분산 어댑터는 일측에 배출공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유출공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출공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풍시트의 구조 개선을 통해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통풍시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함에 따라 통풍시트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보다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Air ventilation seat with a balanced dispersion function of air}
본 발명은 통풍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풍시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통풍시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일상 생활속에서 잠자는 시간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 위에서 보낸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즉, 의자 문화 속에서 살면서 하루에도 수십 번씩 자신이 앉을 의자를 선택해야 하는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의자는 현대인이 사용하는 다른 어떤 가구 보다도 가장 긴밀하게 접촉하는 가구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자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인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현재까지도 의자의 선택에는 그 의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지닌 유전적, 인체공학적, 생리적 요인들 보다는 사회적 요인이 더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며, 둔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100a')가 부착된 좌판(110')이 구성되고, 이 좌판(110')의 하부에 좌판(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좌판(110')의 양측에 사용자의 팔을 안착시키는 팔걸이(130')가 구성되고, 상기 좌판(110')을 지지하는 지지축(140')의 하부에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로울러(15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좌판(110')의 후방에 사용자의 인체곡선과 동일한 형태로 충격흡수부재(160a')가 고정되는 등받이판(160')이 구성되고, 이 등받이판(160')과 좌판(110')을 연결하여 등받이판(160')에 탄력을 제공하는 연결부재(170')가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자(100')는 사용자가 좌판(110')에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사타구니에서 열이나 땀이 발산되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일어나서 엉덩이 또는 사타구니에서 발산하는 열과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사용자의 몸에서 발산되는 온도를 떨어뜨려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2354831호 “통풍기능을 갖는 의자”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10-2354831호는 후단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돌기부가 일측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공과 대응되는 후단부 일측에 관체 형상의 결합구가 형성된 에어 플로우 보드 및 흡기구가 상기 흡입공에 배치되고, 배기구가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는 송풍수단 및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유로의 상부 및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차폐시트 및 상기 차폐시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제1통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착좌센서 및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서 상기 쿠션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국등록특허 제10-2354831호는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시트에 의해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 플로우 보드로 손실없이 공급됨에 따라 통풍시트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보다 많은 에어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2354831호는 송풍수단이 에어 플로우 보드의 일 측방에 배치됨에 따라 송풍수단과 근접한 에어 플로우 보드 영역과 송풍수단과 멀리 떨어진 에어 플로우 보드 영역 간에 에어의 불균일한 공급이 발생되어 통풍시트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에어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548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풍시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통풍시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 플로우 보드 및 배기구가 상기 흡입공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다수의 유로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 및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유로의 상부 및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차폐시트 및 상기 차폐시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제1통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는 쿠션 및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다수의 유로로 분산시켜 공급하는 에어 분산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분산 어댑터는 일측이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에어가 공급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유출공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출공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분산 어댑터는 상기 다수개의 격벽이 교차하는 영역에 평탄한 안착면을 갖는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연장형성된 저면 일측에 각각의 유출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다수의 돌기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분산 어댑터는 상기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유출공의 외측에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분할된 각각의 유출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다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분산돌기를 포함하는 분산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분산돌기는 상단에 평탄한 지지면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면은 상기 다수개의 돌기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풍시트의 구조 개선을 통해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통풍시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공급됨에 따라 통풍시트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양의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무용 의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산 어댑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산 어댑터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산 어댑터에 의한 통풍시트 내의 에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6a : 에어 분산 어댑터의 평면도에서 에어의 흐름을 도시
6b : 에어 분산 어댑터의 단면도에서 에어의 흐름을 도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산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산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의 균일한 분산 기능을 갖는 통풍시트(1)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에어 플로우 보드(20), 송풍수단(30), 에어 분산 어댑터(40), 차폐시트(50), 쿠션(60), 열선시트(70), 착좌센서(80) 및 커버(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중앙 양측에 한 쌍의 흡입공(11)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에어 플로우 보드(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한 쌍의 흡입공(11)과 대응되는 일측에 한 쌍의 배출공(21)이 형성되며,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돌기부(22)가 일측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다수의 유로(23)를 형성한다.
여기서, 다수의 돌기부(22)는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배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돌기부(22)는 에어가 이동하는 유로(23)의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대각선 방향의 유로(23)를 형성한다.
송풍수단(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에 한 쌍이 배치되되, 에어가 배출되는 각각의 배기구(31)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흡입공(11)에 결합되어 배출공(21)을 통해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상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분산 어댑터(40)는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배출공(21)에 설치되어 송풍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분산시켜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다수의 유로(23)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부(41), 격벽부(42), 안착부(43) 및 분산돌기부(4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1)는 몸체(41a)와 플랜지(41b)를 포함한다.
몸체(41a)는 배출공(21)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하단부가 송풍수단(30)의 배기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송풍수단(30)으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유출공(41aa)이 형성된다.
플랜지(41b)는 몸체(41a)의 상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베이스부(41)를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상면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이를 에어 플로우 보드(2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의 체결영역을 제공한다.
격벽부(42)는 유출공(41aa)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게 배열되어 유출공(41aa)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격벽(42a)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격벽부(42)는 송풍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 분산 어댑터(40)의 전방향으로 분산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부(43)는 다수개의 격벽(42a)이 교차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부에 평탄한 안착면(4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부(43)는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연장형성된 저면 일측에 각각의 유출공(41aa)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43b)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면(43b)은 공급되는 에어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부(4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면(43a)은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다수개의 돌기부(22)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배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분산돌기부(44)는 격벽(42a)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유출공(41aa)의 외측, 즉 플랜지(41b)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분산돌기(44a)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산돌기부(44)는 각각의 유출공(41aa)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다방향으로 분산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각의 분산돌기(44a)는 상단에 평탄한 지지면(44aa)이 형성되되, 지지면(44aa)이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다수개의 돌기부(22)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분산돌기(44a)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배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차폐시트(50)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다수개의 유로(23)와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통공(51)이 형성되고,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다수의 유로(23)의 상부 및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폐시트(50)는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상부와 가장자리를 차폐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송풍수단(30)으로부터 다수의 유로(23)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 플로우 보드(20)의 측방 또는 하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쿠션(60)은 대략 사각 블록 형상으로서 저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0), 에어 플로우 보드(20), 송풍수단(30), 에어 분산 어댑터(40) 및 차폐시트(50)가 결합된 조립품이 안착되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쿠션(60)은 차폐시트(50)의 제1통공(51)과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2통공(61)이 형성된다.
열선시트(70)는 쿠션(6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쿠션(60)의 제2통공(61)과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3통공(71)이 형성되며, 동절기에 사용자에게 온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착좌센서(80)는 열선시트(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컨트롤러는 착좌센서(8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송풍수단(30) 및 열선시트(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착좌센서(80)는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커버(90)는 쿠션(60)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피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기성을 갖는 재질의 가죽 또는 천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산 어댑터에 의한 통풍시트 내의 에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송풍수단을 통해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 분산 어댑터(40)를 통해 공급됨에 따라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격벽(42a)에 의해 다수로 분할된 유출공(41aa)을 통해 1차적으로 분산되고, 유출공(41aa)의 외측에 설치된 분산돌기()를 통해 2차적으로 분산되어 에어 분산 어댑터(40)의 전체방향으로 분산되어 에어 플로우 보드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유로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할된 각각의 유출공(41aa)을 통해 공급된 후, 안착부(43)의 라운드진 가이드면(43b)을 통해 측방향으로 가이드됨에 따라 에어 플로우 보드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유로로 보다 신속하게 유입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분산 어댑터(40)를 통해 송풍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 플로우 보드(40)의 다수개의 유로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공급됨에 따라 통풍시트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양의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통풍시트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흡입공 20 : 에어 플로우 보드
21 : 배출공 22 : 돌기부
23 : 유로 30 : 송풍수단
31 : 배기구 40 : 에어 분산 어댑터
41 : 베이스부 41a : 몸체
41aa : 유출공 41b : 플랜지
42 : 격벽부 42a : 격벽
43 : 안착부 43a : 안착면
43b : 가이드면 44 : 분산돌기부
44a : 분산돌기 44aa : 지지면
50 : 차폐시트 51 : 제1통공
60 : 쿠션 61 : 제2통공
70 : 열선시트 71 : 제3통공
80 : 착좌센서 90 : 커버

Claims (7)

  1.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그 사이에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 플로우 보드와;
    배기구가 상기 흡입공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다수의 유로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유로의 상부 및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차폐시트와;
    상기 차폐시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제1통공과 대응되는 일측에 다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는 쿠션과;
    상기 에어 플로우 보드의 상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다수의 유로로 분산시켜 공급하는 에어 분산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분산 어댑터는
    일측이 상기 배기구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에어가 공급되는 유출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유출공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출공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다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산 어댑터는
    상기 다수개의 격벽이 교차하는 영역에 평탄한 안착면을 갖는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연장형성된 저면 일측에 각각의 유출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상기 다수의 돌기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산 어댑터는
    상기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유출공의 외측에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분할된 각각의 유출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다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분산돌기를 포함하는 분산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산돌기는 상단에 평탄한 지지면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면은 상기 다수개의 돌기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KR1020220065659A 2022-05-27 2022-05-27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KR20230165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59A KR20230165633A (ko) 2022-05-27 2022-05-27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659A KR20230165633A (ko) 2022-05-27 2022-05-27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633A true KR20230165633A (ko) 2023-12-05

Family

ID=8915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659A KR20230165633A (ko) 2022-05-27 2022-05-27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6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831B1 (ko) 2021-10-05 2022-02-08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통풍 기능을 갖는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831B1 (ko) 2021-10-05 2022-02-08 주식회사 한텍시스템 통풍 기능을 갖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803B2 (en) Chair with air conditioning device
US20140077573A1 (en) Seat shell for seating furniture
US20080084095A1 (en) Ventilation system for seat
US9096158B2 (en) Ventilated padding for a vehicle seat
US20030234564A1 (en) Bowling table with multiple seating arrangements
EP2520491A1 (en) Airplane seat system
JP5033402B2 (ja) 内装具
KR20230165633A (ko) 에어의 균일한 분산기능을 갖는 통풍시트
US20170127839A1 (en) Chair
KR20190023925A (ko) 차량용 통풍 시트
KR102354831B1 (ko) 통풍 기능을 갖는 의자
KR20190125784A (ko)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EP3179886B1 (en) Chair
US11433790B2 (en) Air duct for ventilation seat and ventilation seat having same for vehicle
CN203873356U (zh) 具缓冲调适的弹性椅具结构
EP3493704B1 (en) Dynamic postural device
CN209915519U (zh) 保温皮垫
KR101671147B1 (ko) 통기성이 향상된 열섬유가 구비된 의자
CN219742283U (zh) 一种舒适性便携式座椅垫
CN210158329U (zh) 坐躺椅及汗蒸房
KR200376083Y1 (ko) 통기층이 형성된 의자용 방석
CN216602240U (zh) 一种新型多功能沙发
KR102443223B1 (ko) 의자용 좌판
US2023014058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617406B1 (ko)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