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114A -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 Google Patents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114A
KR20230165114A KR1020230044751A KR20230044751A KR20230165114A KR 20230165114 A KR20230165114 A KR 20230165114A KR 1020230044751 A KR1020230044751 A KR 1020230044751A KR 20230044751 A KR20230044751 A KR 20230044751A KR 20230165114 A KR20230165114 A KR 2023016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mposition
printing
tattoo
tattoo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나
정지희
윤한선
김영환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2313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6510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4354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66040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16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25Semi-permanent tattoos, stencils, e.g. "permanent make-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18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ink-fixing material, e.g. mordant, precipitating agent, after printing, e.g. by ink-jet printing, coating or spra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투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밤(balm) 타입, 젤리 타입, 고형 타입 및 반고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이,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된 후에 도포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Tattoo printing method, ink fixative composition for tattoo printing, ink composition for tattoo printing, fixer composition for tattoo printing and tattoo printing k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에 관한 것이다.
자기표현의 일환으로 많은 사람들이 옷, 헤어, 악세서리 등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자신의 피부에 디자인을 넣는 방식으로 개성을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이미지를 그리는 방법으로는 페이스 페인팅, 화장, 수전사 스티커, 인스턴트 스티커, 타투 스텐실, 도장, 천연 염색, 헤나, 문신 등이 있다. 일반적인 문신, 헤나 또는 바디 페인팅 등은 전문 기술이 있는 사람에게 시술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고, 스티커, 타투 스텐실 등은 한정된 디자인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피부에 용이하게 출력하는 피부 프린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편, 잉크젯 기록 방식은 디지털 데이터 형식의 문서 또는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전달하고 헤드를 통해 각색의 미세한 잉크 방울(Droplet)들을 종이 위에 분사하여 매체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헤드에는 수백 내지 수천개의 미세한 잉크 분사구(노즐)들이 배열돼 각자 배치된 위치에서 1 내지 10 피코리터(pℓ)의 미세한 잉크 방울을 뿌려주게 된다. 잉크젯 기록 방식은 정전기적인 흡인력을 이용하여 잉크 방울을 분사시키는 정전 흡인 방식, 또는 압전 소자 등을 이용하여 잉크에 기계적 진동 또는 변위를 부여하는 압력 전사 방식, 잉크를 가열시킴으로써 기포를 발생시키고 그 때의 압력을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열전사 방식이 있다.
잉크를 피부에 직접 인쇄하기 위해서 무해한 수성 잉크가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성 잉크는 60-9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수성 잉크는 매체 위에 인쇄되어 충돌할 때 증발, 침투, 확산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건조된다. 즉, 잉크의 색소는 매체 위에 남고, 수분은 매체로 침투하거나, 증발하며 건조된다. 이때 수성 잉크가 어떻게 건조되는지, 색소가 떨어진 지점에 고정되는지가 인쇄 품질에 주요한 영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성 잉크 중 색소는 매체의 표면에 머물지 않고 내부로 침투, 정착하여 인쇄되므로, 인쇄 매체로 색소의 수분의 침투가 늦어지면, 매체 표면에서 잉크가 번지고 잉크 색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적인 인쇄 품질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수성 잉크 내에 존재하는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는 표면에 원형의 형태로 많이 잔류하여 선명한 색상을 발현할 수 있어야 하고, 수분은 빠르게 건조되어 수성 잉크가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사무용 종이 또는 잉크젯 전용 용지에서는 수성 잉크의 수직형 흡착이 빠르게 일어나는 반면, 피부는 평활하며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수성 잉크와 상호작용이 불량하므로, 피부 위에서는 수성 잉크의 침투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고, 수성 잉크가 일반적인 종이에 침투하는 것보다 피부 위에 침투하는 것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피부 위에서는 수성 잉크의 주요 용매인 글라이콜 및 다이올의 건조시간이 길고 불량한 스프레딩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인쇄 전 또는 인쇄 후 피부에 처리하여 수성 잉크의 피부 흡착속도와 건조속도를 빠르게 하여, 잉크가 번짐없이 인쇄되고 인쇄 품질이 우수하게 실현되도록 하는 잉크, 고정화제(프라이머) 또는 픽서(탑코트)의 개발에 대한 필요가 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되는 경우,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로 잉크가 피부에 직접 프린팅되거나, 잉크젯 프린터로 특정 매체에 잉크를 프린팅하고 상기 매체를 이용하여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되는 경우, 상기 잉크가 피부에서 번지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인쇄 품질을 실현할 수 있는,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방법은, 분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된 후에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바인더를 3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체는, 구상 분체 또는 판상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구상 분체 54 내지 89 중량%; 또는 판상 분체 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상 분체는, 탤크, 마이카,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보론나이트라이드, 세리사이트, 일라이트, 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보론나이트라이드,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 바륨설페이트 및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상 분체는, 평균 입자 크기가 3 내지 10 μ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상 분체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나일론-12,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페닐다이메티콘/비닐다이페닐다이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및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상 분체는, 흡액성 구상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구상 분체 전체 함량 대비 흡유량과 흡수량의 합이 4 ml/g 이상인 구상 분체를 16%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흡수량 및 흡유량의 합이 0.8 ml/g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흡수량이 0.4 ml/g 이상이며, 흡유량이 0.45 ml/g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를 3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체는, 구상 분체 또는 판상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상 분체 54 내지 89 중량%; 또는 판상 분체 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상 분체는, 탤크, 마이카,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세리사이트, 일라이트, 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보론나이트라이드,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 바륨설페이트 및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상 분체는, 평균 입자 크기가 3 내지 10 μm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상 분체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나일론-12,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페닐다이메티콘/비닐다이페닐다이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및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상 분체는, 흡액성 구상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구상 분체 전체 함량 대비 흡유량과 흡수량의 합이 4 ml/g 이상인 구상 분체를 16%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흡수량 및 흡유량의 합이 0.8 ml/g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액성 구상 분체는, 흡수량이 0.4 ml/g 이상이며, 흡유량이 0.45 ml/g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키트는,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및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포함된 타투 프린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 키트는, 타투 프린팅용 탑코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방법은,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타투 프린팅용 탑코트 조성물 또는 픽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피이지-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습제;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및 피이지-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또는 글리세레스-26 및 식물 유래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보습제를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계면활성제를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소포제를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 유래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틸헥실올리베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불검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 유래 오일은,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수성 잉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색제는,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방법은, 타투 프린팅용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타투 프린팅용 탑코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방법은,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타투 프린팅용 탑코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장치는,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키트는, 상기 타투 프린팅 장치; 및 타투 프린팅용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투 프린팅용 탑코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키트는, 상기 타투 프린팅 장치; 및 타투 프린팅용 탑코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방법은, 밤(balm) 타입, 젤리 타입, 고형 타입 및 반고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이,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된 후에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은,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는, 페트롤라툼, 합성왁스,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은, 픽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65 내지 10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은, 밤(balm) 타입, 젤리 타입, 고형 타입 및 반고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는, 페트롤라툼, 합성왁스,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65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키트는,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포함된 타투 프린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투 프린팅용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 방법은,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타투 프린팅용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화제 조성물은 타투 프린팅용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되기 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된 후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고정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화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된 이후에 사용되는 픽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된 이후에 사용되는 픽서 조성물은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실질적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점도를 갖는 투명한 제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온에서 펴바를 수 있는 경도를 갖는 투명한 밤(balm) 타입, 젤리 타입 또는 고형타입 또는 반고형 타입일 수 있으며, 고정화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페트롤라툼으로 이루어지거나 페트롤라툼을 다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픽서 조성물은 타투 프린팅용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되기 전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고정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픽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분체를 포함하는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및 상기한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된 이후에 사용되는 픽서 조성물을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타투 프린팅 키트는, 잉크 조성물의 프린팅 성능과 잉크 조성물의 피부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타입에 따른 인공 피부 표면의 거칠기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어떤 성분의 함량이 %로 표현되는 경우,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이는 중량 %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어느 하나 이상,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성분과 그와 다른 성분이 함께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 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프린팅 장치(타투 프린팅 장치)는 예를 들어 피부에 잉크 조성물을 프린팅하기 위한 피부 프린터(타투 프린터)를 포함하며, 피부 프린팅 장치는 피부에 사용 가능한 화장품 원료로 구성된 잉크를 사용하여 피부에 특정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피부 상에 인쇄할 수 있으나, 본원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부 프린팅 장치는 잉크를 종이, 필름 등의 매체 또는 피부에 프린팅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장치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타투 프린팅, 타투 프린터, 타투 프린팅 장치"와 용어 “피부 프린팅, 피부 프린터, 피부 프린팅 장치” 등은 피부에 잉크를 인쇄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종이 등의 매체에 잉크를 인쇄하는 장치, 또는 종이 등의 매체에 잉크를 인쇄하여 상기 매체를 이용하여 피부에 인쇄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피부 프린팅, 피부 프린터, 피부 프린팅 장치"는 용어 "타투 프린팅, 타투 프린터, 타투 프린팅 장치"와 각각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잉크, 픽서, 잉크 고정화제" 등은, 각각 "잉크 조성물, 픽서 조성물,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조성물, 픽서 조성물,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타투 프린트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트용 픽서 조성물, 타투 프린트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픽서 조성물은 인쇄 전 또는 인쇄 후 피부에 처리하여 잉크가 외부와 접촉하거나, 외부의 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서, 픽서 조성물은 잉크가 피부에 번짐없이 고정되도록 하고 우수한 인쇄 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픽서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의 도포 후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탑코트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이 프린팅된 후에 잉크 조성물이 프린팅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서, 픽서 조성물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탑코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잉크 조성물을 코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잉크 고정화제는 인쇄 전 또는 인쇄 후 피부에 처리하여 잉크의 피부 흡착속도와 건조속도를 빠르게 하고, 피부에 도공층(Coating layer)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하는 물질로서, 잉크 고정화제는 잉크가 피부에 번짐없이 인쇄되도록 하고 우수한 인쇄 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의 도포 전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프라이머 조성물은 피부 또는 매체 상에 도포되어 피부 또는 매체에 잉크가 수용되는 층을 구성하는 물질로서, 잉크는 피부 또는 매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층에 수용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피부 또는 매체 대비 잉크의 고정력이 향상되며, 인쇄된 이미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프라이머 조성물은 수성 잉크가 프린팅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매체가 수성 잉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성 잉크와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고정화제 조성물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는 면의 잉크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잉크를 분사하기 전 또는 후에 피부에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판상 분체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줄이면서 구상 분체의 함량을 높여, 피부에 도포 시 이질감(백탁 등)을 줄이고 피부 미세 주름을 빈틈없이 메우도록 할 수 있다. 분체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분체는 구상 분체 또는 판상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상 분체의 함량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50 중량% 이상에서 번짐 완화 효과를 나타나며, 특히, 구상 분체의 함량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54 내지 89 중량%에서 매우 우수하다. 구상 분체의 피부 밀착성을 개선하고 인쇄의 피부 고정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판상 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상 분체는 탤크, 마이카,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세리사이트, 일라이트, 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보론나이트라이드,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 바륨설페이트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구상 분체 54 내지 89 중량%를 포함하고, 또는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판상 분체 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상 분체는 더 바람직하게는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59 내지 8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판상 분체는 더 바람직하게는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분체의 가루날림이나 피부로의 밀착력 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바인더를 추가로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이올, 에스터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는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구상 분체는 입자의 평균 크기가 작은 경우 번짐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구상 분체의 입자의 평균 크기는 12μm이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μm이다.
구상 분체는 흡수성 또는 흡유성이 우수한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이 좋거나, 흡유성이 좋은 성분은 수성 잉크(Aqueous ink)의 번짐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흡수성과 흡유성 모두가 우수한 흡액성 성분은 수성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는데 가장 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구상 분체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나일론-12,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페닐다이메티콘/비닐다이페닐다이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및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액성 성분은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친수성 표면을 가지고 다공성을 가지는 도공층을 형성하여 잉크의 흡수를 개선시킬 수 있어, 구상 분체의 성분으로 실리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친수성과 친유성이 우수한 흡액성 실리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수량 및 흡유량의 합이 0.8 ml/g 이상일 수 있으며, 흡액성 실리카는 흡수량이 0.4 ml/g 이상이며, 흡유량이 0.45 m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액성 실리카는 흡수량이 0.4ml/g 내지 2.8ml/g이며, 흡유량이 0.45ml/g 내지 4ml/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구상 분체 전체 함량 대비 흡수량 및 흡유량의 합이 4ml/g 이상인 구상분체를 16% 이상, 26% 이상, 36% 이상, 또는 46%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잉크는 인쇄, 회화, 필기 등에 사용되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색제는 액체 착색제 또는 고체 착색제의 총칭으로 사용되었다. 착색제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색제는 바람직하게 수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잉크는, 수용성 색소가 메인 성분인 조성물로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사용하는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잉크가 프린트 장치에 사용될 때 노즐 막힘을 방지하고 잉크의 토출성을 향상시키고 프린터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잉크의 점도는 2 내지 5cps(25도, Enhanced UL Adapter, 60rpm, Brookfield LTV)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성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며, 잉크 조성물은 착색제, 보습제, 점도 조절제, 표면장력 조절제, 소포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등 잉크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보습제, 계면활성제, 또는 소포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색제는 바람직하게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착색제로서 염료 또는 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염료는 바람직하게 적색, 청색, 황색 계열의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산염료(Acid Dyes)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료에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등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착색제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 조성물에 포함된 보습제는 타투 프린터(피부 프린터)의 노즐에 잉크 조성물의 보습성을 향상시켜, 잉크 조성물이 분사되고 건조될 때 생기는 잉크 크러스트에 의해 노즐이 막히는 것(노즐 클로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캡(decap) 성능(공기로 노출시에 잉크 조성물이 프린트 헤드로부터 용이하게 분사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습제로는 통상적으로 화장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보습제의 역할을 하는 성분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글리세린 및 피이지-8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습제는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1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 활성제는, 잉크 조성물을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는 스펀지에 빠르게 흡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이 프린팅되는 과정에서 잉크 조성물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으로 화장품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하는 성분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및 피이지-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는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포제는 잉크 조성물 내에 포함된 기포를 파괴하여 잉크 조성물의 토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소포제로는 통상적으로 화장품에서 소포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성분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글리세레스-26 및 식물 유래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소포제는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포제는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물 유래 오일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틸헥실올리베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불검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유래 오일은,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물 유래 오일은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서 조성물은, 밤(balm) 타입, 젤리 타입, 고형 타입 및 반고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픽서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을 피부 상에서 고정할 수 있다. 픽서 조성물로는 통상적으로 화장품에서 픽서 조성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성분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픽서 조성물로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가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는, 페트롤라툼, 합성왁스,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픽서 조성물은 픽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65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는 65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양태를 더 설명하기 위해, 하기 실험예가 제시되어 있다. 이 실험예는 예시하기 위함이며, 개시된 실시양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선 안된다.
실험예 1: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원료의 형태에 따른 백탁 현상 발생 정도와 번짐 완화 효과 확인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화장 효과, 결점 커버)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로는 백탁 효과(피부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가 큰 분체가 주로 사용되나,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사용될 때 백탁 현상이 일어나면 인쇄된 이미지가 백탁에 의해 흐려질 수 있으므로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백탁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비셀 퍼프를 이용하여 팔 하완 부위에 각 원료 A-I 파우더 원료를 도포하여 육안으로 백탁 현상에 대해 평가하였다(H = 높음, M = 중간, L = 낮음).
헤이즈(HAZE)와 직진투과율을 측정하여 백탁 현상이 발생하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헤이즈: 높을 수록 백탁 있음, 불투명함, 직진투과율(평행투과율): 높을 수록 백탁 없음, 투명함).
헤이즈는 빛이 투명한 재료 안을 통과할 때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반사나 흡수 외에 그 재료의 고유 성질에 따라 광선이 확산되어 불투명한 흐림상 외관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투명한 것에 입사한 광선이 확산하는 백분율을 헤이즈라고 한다.
직진투과율은, 투명한 재료에 입사한 빛에 대해 입사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투과된 빛의 백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재료의 법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입사한 빛 중에서 상기 법선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재료를 투과한 빛의 백분율을 상기 투과율로 정의할 수 있다.
원료를 각각 피부에 도포하고, 원료 도포 부위에 피부 프린팅용 장치로 인쇄를 진행하였다. 인쇄시 사용한 잉크로는 보습제를 25 중량%로 포함하며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및 피이지-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글리세레스-26,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틸헥실올리베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불검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포제를 더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를 사용하였다. 이때 인쇄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번짐을 관찰하여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번짐 완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래 표 1과 같이 원료의 형태에 따른 백탁 현상 발생 정도와, 번짐 완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번짐완화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번지는 현상없음,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미세주름으로 번지나 경계가 확실함,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 번짐으로 경계가 모호함, -: 효과 없음.
원료 성분명 제조사 형태 백탁 헤이즈
(%)
직진투과율
(%)
번짐
완화 효과
A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TOPY INDUSTRIES, LIMITED 판상 H 57.28 30.13
B 알루미나 케이에스펄 M 47.72 39.83
C 탤크,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케이에스펄 M 48.32 40.25
D 탤크 ASADA MILLING H 61.37 28.05
E 탤크 NIPPON TALC H 50.18 40.61
F 실리카, 메치콘 ASAHI GLASS COMPANY 구상 L 16.99 72.28
G 실리카 ASAHI GLASS COMPANY L 16.00 73.19
H 실리카 선진화학 L 25.46 63.10
I 실리카 ABC NANOTECH L 20.73 68.15
실제 피부의 표면은 아래 표 2의 사진과 같이 관찰되었다.
피부에 본 발명의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원료 (원료A 내지 원료I)를 먼저 도포하고 잉크를 프린팅하면, 고정화제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고 잉크를 프린팅할 때(미도포)에 비해 잉크가 피부 주름을 따라 쉽게 번지지 않고, 잉크의 번짐 현상이 확연히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구형의 형태를 갖는 구상 원료(원료F 내지 원료I)를 사용했을 때에 비하여 판상 원료(원료A 내지 E)를 사용했을 때 백탁 현상이 많이 일어나고 그로 인해 도포 부위가 도드라져 보이는 단점이 있었으며, 구상 원료에 비하여 판상 원료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헤이즈 값과 낮은 직진투과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쇄된 이미지의 품질을 볼 때 구상 원료가 번짐 완화 효과에 있어서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원료의 사이즈에 따른 번짐 완화 효과 확인
구상 원료의 입자 사이즈, 흡유량 및 흡수량을 측정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루비셀 퍼프를 이용하여 팔 하완 부위에 원료F 내지 L를 도포하고, 원료 도포 부위에 피부 프린팅 장치로 잉크를 프린팅하였다. 인쇄시 사용한 잉크로는 실험예 1에서 사용한 잉크와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였다. 인쇄 경계면에서 발생되는 번짐 정도를 관찰하여 번짐 완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번짐완화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번지는 현상없음,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미세주름으로 번지나 경계가 확실함,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 번짐으로 경계가 모호함, -: 효과 없음.
아래 표 3과 같이 원료의 사이즈에 따른 번짐 완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원료  성분명 제조사 형태 평균 입자 사이즈(μm) 흡유
(ml/g)
흡수
(ml/g)
번짐
완화 효과
F 실리카, 메치콘 ASAHI GLASS COMPANY 구상 5 2.5-3 -
G 실리카 ASAHI GLASS COMPANY 5  3-4 2.5-2.8
H 실리카 선진화학 7 0.9-1.3 0.9-1.1
I 실리카 ABC NANOTECH 9 1.5 1.3-1.5
J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선진화학 7 0.45 0.4-0.7
K 메틸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선진화학 8 1.6-1.8 -
L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SHINETSU 12 선택적 흡유량 -
원료의 입자 크기가 12μm를 초과하는 경우 번짐 완화 효과가 떨어졌으며, 원료의 입자 크기가 5 내지 9μm인 경우 번짐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다만, 입자 크기에 따른 번짐 완화 효과는 입자 크기가 5 내지 9μm 내에 있는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추가적으로 입자 크기가 5 내지 9μm 내에 있는 경우 흡수량과 흡유량의 합이 클수록 번짐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흡유량과 흡수량이 모두 큰 경우에 번짐 완화 효과가 가장 좋고, 흡유량과 흡수량 중 어느 하나가 큰 경우에 번짐 완화 효과가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원료는 흡유량과 흡수량이 모두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원료로는 흡유량 및 흡수량의 합이 0.8m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피부의 표면은 아래 표 4의 사진과 같이 관찰되었다.
유사한 사이즈를 가지는 원료F와 원료G를 비교할 때 원료의 분체 표면이 소수성 코팅되어 흡수량이 없는 원료F에 비하여 높은 흡수량을 갖고 있는 원료G의 번짐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동일하게 실리카로 구성된 원료G 내지 I를 비교할 때, 사이즈가 작고 흡유량과 흡수량이 우수한 원료G의 번짐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실험예 3: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배합비에 따른 성능(번짐 완화, 사용성, 투명도) 확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각 구성요소를 아래 표 5와 같이 배합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합성플루오르
플로고파이트
5 30 10 20 0 40
알루미나 25 0 0 0 0 0
실리카 (원료 I) 4 4 4 4 4 4
실리카 (원료 G) 60 60 80 70 90 50
1,2-헥산다이올 1 1 1 1 1 1
헥실라우레이트 5 5 5 5 5 5
합계 (중량 %) 100 100 100 100 100 100
각 실시예와 비교예 조성물의 분체부를 임펠러가 장착된 5L 헨셀믹서에 넣고 5분간 2,000rpm 및 1,000rpm으로 교반하면서 오일 바인더부를 분사하였다. 오일 바인더부를 모두 분사한 후에, 오일 바인더부가 분체부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2,000rpm으로 3분 동안 혼합한 후 오일 바인더부의 분산도 향상을 위해 분쇄 공정을 수행하고, 50메시(mesh)의 망에 여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방치하는 숙성 공정을 수행하여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불균일한 기공을 제거하였다.
각 실시예와 비교예 조성물의 번짐 완화 효과는 피부 프린팅 장치로 프린팅하여 인쇄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번짐 정도를 관찰하였다. 인쇄시 사용한 잉크로는 실험예 1에서 사용한 잉크와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였다. 또한 20-40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여, 도포시 가루날림, 피부에 대한 밀착감, 투명도 등을 관능평가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2의 번짐 완화 효과, 사용성 및 투명도를 평가하여, 아래 표 6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번짐완화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번지는 현상없음,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미세주름으로 번지나 경계가 확실함,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 번짐으로 경계가 모호함, -: 효과 없음.
사용성 평가 방식: ◎: 도포 시, 육안 상의 가루 비산이 보이지 않음, ○: 도포 시, 육안 상으로 가루 비산이 확인되나 피부에 밀착함, △: 도포 시, 육안 상 가루 비산이 확인되나 피부에 밀착이 어려움, -: 도포 시, 육안 상 가루가 매우 비산되어 사용이 어려움.
투명도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 본연의 색상을 나타냄,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옅은 백색감이 확인됨.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백색감이 확인됨,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이질적인 백색감이 확인됨.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인쇄 이미지
번짐 완화
사용성(가루날림, 밀착성 등) -
투명도
표 6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흡수성 및 흡유성이 뛰어나고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원료G가 60% 함량 이상으로 적용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이 번짐 완화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판상분체 함량이 적은 비교예 1과 알루미나가 포함된 실시예 1이 투명도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4와 비교예 2를 대비하면 판상분체의 조성물 내 함량이 높아질수록 조성물의 백탁이 증가하고 투명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판상분체가 과도하게 첨가된 조성물은 고정화제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다만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을 대비하면 판상분체가 첨가되지 않으면 조성물의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판상분체는 번짐완화 효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사용성을 높이도록 조성물 내 일정 함량 이하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각 구성요소를 아래 표 7과 같이 배합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5 비교예 3
합성플루오르
플로고파이트
5 5 5
알루미나 25 25 25
실리카(원료 I) 4 34 54
실리카(원료 G) 60 30 10
1,2-헥산다이올 1 1 1
헥실라우레이트 5 5 5
합계 (중량 %) 100 100 100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5 및 비교예 3의 번짐 완화 효과, 사용성 및 투명도를 평가하여, 아래 표 8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쇄시 사용한 잉크로는 실험예 1에서 사용한 잉크와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였다.
번짐완화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번지는 현상없음,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미세주름으로 번지나 경계가 확실함,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 번짐으로 경계가 모호함, -: 효과 없음.
사용성 평가 방식: ◎: 도포 시, 육안 상의 가루 비산이 보이지 않음, ○: 도포 시, 육안 상으로 가루 비산이 확인되나 피부에 밀착함, △: 도포 시, 육안 상 가루 비산이 확인되나 피부에 밀착이 어려움, -: 도포 시, 육안 상 가루가 매우 비산되어 사용이 어려움.
투명도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 본연의 색상을 나타냄,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옅은 백색감이 확인됨.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백색감이 확인됨,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이질적인 백색감이 확인됨.
실시예 1 실시예 5 비교예 3
인쇄 이미지
번짐 완화
사용성(가루날림, 밀착성 등)
투명도(백탁)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료I를 높은 함량으로 적용 시에 다소 번짐이 발생하여 만족할 만한 번짐 완화 효과를 구현하지 못하였다.
표 3에서 흡수량과 흡유량이 클수록 번짐 완화 효과가 우수한 점을 고려할 때, 흡유량과 흡수량의 합이 큰 실리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카(원료G)의 흡유량과 흡수량의 합이 5.5 내지 6.8 ml/g 이고 실리카(원료I)의 흡유량과 흡수량의 합이 2.8 내지 3.0인 점과 표 8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흡유량과 흡수량의 합이 4 ml/g 이상, 바람직하게 5 ml/g 이상인 구상 분체가 구상 분체 전체 함량 대비 16% 이상, 26% 이상, 36% 이상, 또는 46%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각 구성요소를 아래 표 9와 같이 배합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6 비교예 4 비교예 5
합성플루오르
플로고파이트
5 5 5 5
알루미나 25 25 25 25
실리카(원료 I) 4 4 4 4
실리카(원료 G) 60 55 45 65
1,2-헥산다이올 1 1 1 1
헥실라우레이트 5 10 20 0
합계 100 100 100 100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6,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번짐 완화 효과, 사용성 및 투명도를 평가하여, 아래 표 10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쇄시 사용한 잉크로는 실험예 1에서 사용한 잉크와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였다.
번짐완화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번지는 현상없음,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가 미세주름으로 번지나 경계가 확실함, △: 육안으로 관찰 시, 잉크 번짐으로 경계가 모호함, -: 효과 없음.
사용성 평가 방식: ◎: 도포 시, 육안 상의 가루 비산이 보이지 않음, ○: 도포 시, 육안 상으로 가루 비산이 확인되나 피부에 밀착함, △: 도포 시, 육안 상 가루 비산이 확인되나 피부에 밀착이 어려움, -: 도포 시, 육안 상 가루가 매우 비산되어 사용이 어려움.
투명도 평가 방식: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 본연의 색상을 나타냄,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옅은 백색감이 확인됨.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백색감이 확인됨, -: 육안으로 관찰 시, 피부에 이질적인 백색감이 확인됨.
실시예 1 실시예 6 비교예 4 비교예 5
인쇄 이미지
번짐 완화
사용성(가루날림, 밀착성 등) -
투명도(백탁)
헥실라우레이트는 바인더로서 조성물의 밀착성 및 사용성 조절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바인더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표 10에서와 같이, 3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4: 고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액상 조성물 대비 피부 자극성 확인
액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피부에서 건조되어야 피부에서 고정화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액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건조를 돕기 위해서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에 에탄올과 피막제가 첨가될 수 있다.
실험예 4-1: 에탄올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건조 속도와 피부 자극성을 아래 실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1) 아래 표 11과 같이 에탄올 함량을 달리하며 피막제(피막제: 메타크릴로일에칠베타인/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Methacryloyl Ethyl Betaine/Acrylates Copolymer) 10%의 액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원료 액상1-1 액상1-2 액상1-3 액상1-4 액상1-5
정제수 80 60 40 20 0
에탄올 10 30 50 70 90
피막제 10 10 10 10 10
2) 24.5 ℃, 습도 30% 조건에서,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1 방울을 피부 1x2 cm 사각 영역에 도포하여 건조 시간을 측정한다.
3) 건조 후 피부 자극성(피부당김, 따가움, 붉어짐 등)을 평가한다.
자극성 평가 방식: -: 이상없음, +: 약간의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중증의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심한 따가움/가려움/붉어짐.
아래 표 12를 보면, 액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에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성물의 건조 속도는 높아지나,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은 커진다.
원료 액상1-1 액상1-2 액상1-3 액상1-4 액상1-5
건조속도(초) 200 150 80 50 20
피부 자극성 + + ++ +++ +++
실험예 4-2: 피막제 함량에 따른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 및 클렌징 용이성을 아래 실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1) 아래 표 13과 같이 피막제의 함량을 달리하며 액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원료 액상2-1 액상2-2 액상2-3 액상2-4 액상2-5
정제수 50 45 40 35 30
에탄올 50 50 50 50 50
피막제 0 5 10 15 20
2) 24.5 ℃, 습도 30% 조건에서,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1 방울을 피부 1x2 cm 사각 영역에 도포하여 건조한다.
3) 건조 후 피부 자극성(피부당김, 따가움, 붉어짐 등) 및 클렌징 용이성(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피부에서 용이하게 제거되는지)을 평가한다.
- 자극성 평가 방식: -: 이상없음, +: 약간의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중증의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심한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클렌징 평가 방식: +++: 미온수로 제거 가능, ++: 클렌징폼 30회 문지름으로 제거 가능, +: 클렌징폼 60회 문지름으로 제거 가능, -: 클렌징폼 100회 문지름 이후에도 잔여물 존재.
아래 표 14를 보면, 액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에 피막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은 커지고 클렌징이 어려워진다.
원료 액상2-1 액상2-2 액상2-3 액상2-4 액상2-5
피부 자극성 + ++ ++ +++ +++
클렌징 용이성 +++ ++ + - -
실험예 4-3: 고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 및 클렌징 용이성을 아래 실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1) 24.5 ℃, 습도 30% 조건에서,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피부 1x2 cm 사각 영역에 도포한다.
2) 피부 자극성(피부당김, 따가움, 붉어짐 등) 및 클렌징 용이성(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피부에서 용이하게 제거되는지)을 평가한다.
- 자극성 평가 방식: -: 이상없음, +: 약간의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중증의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심한 따가움/가려움/붉어짐.
- 클렌징 평가 방식: +++: 미온수로 제거 가능, ++: 클렌징폼 30회 문지름으로 제거 가능, +: 클렌징폼 60회 문지름으로 제거 가능, -: 클렌징폼 100회 문지름 이후에도 잔여물 존재.
아래 표 15를 보면,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피부 자극성이 없으며, 클렌징 용이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스틱타입: 수상 경도 형성제로 소듐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 수분 고형화한 제형, 파우더 타입: 흡액성 실리카를 분쇄하여 균질화한 제형).
고상1(파우더타입) 고상2(스틱타입)
피부 자극성 - -
클렌징 용이성 +++ +++
이와 같이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도포 즉시 고정되며, 에탄올이나 피막제와 같은 추가 성분이 첨가되지 않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다. 또한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대비 클렌징도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5: 고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액상 조성물 대비 피부 표면 균일화 효과 확인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균일화 효과를 아래 실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1) ANTERA 3D 기기를 이용하여 인공 피부 표면의 거칠기(Roughness, Ra)를 5회 측정 후 평균 값을 도출한다. 거칠기의 단위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다.
2) 인공 피부에 액상 및 고상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각각 도포하고, 거칠기를 측정한다(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액상 1-3이 사용되고,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파우더 타입과 스틱 타입이 사용됨).
3) 거칠기 값을 비교하여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피부 표면 균일화 효과를 비교한다.
아래 표 16은 피부 이미지 전체의 평균 표면높이가 0으로 설정되고, +0.05mm(적색)부터 -0.05mm(보라색)사이의 표면 높이를 Scale bar에 따라 색으로 표현한 것이다. 적색과 보라색의 영역이 많을수록 위치에 따른 표면 높이 차이가 큰 것이고, 이는 거칠기가 큰 것을 나타낸다.
무도포 액상 도포 고상1(파우더타입) 고상2(스틱타입) Scale bar
표 16의 피부 이미지를 보면,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상태에 상관 없이,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도포되는 경우 도포되지 않는 경우 대비 피부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과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비교하는 경우,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도포된 경우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도포된 경우 대비 적색과 보라색의 영역이 더 적고, 그에 따라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피부를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다.
도 1은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타입에 따른 인공 피부 표면의 거칠기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를 참고하여 보면, 거칠기 값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지 않는 경우(무도포) 거칠기 값은 29.6이고,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27.4이다.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파우더타입은 거칠기 값이 24.4이고, 스틱타입은 거칠기 값이 22.8이다.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경우에 피부의 거칠기 값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는 경우 대비 작으며,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경우에 피부 거칠기 값은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경우 대비 작다. 거칠기 값이 작을수록 피부 표면이 더 균일한 것을 나타내는 바,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의 상태에 상관 없이,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도포되는 경우 도포되지 않는 경우 대비 피부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과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비교하는 경우,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대비 피부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실험예 6-1: 보습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고체화 억제 성능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에 포함된 보습제 종류/함량에 따라 건조 후 잉크 조성물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잉크 조성물은 5 중량%의 착색제(황색 4호, 제조사: 보락)를 포함하며, 보습제를 아래 표 17에서와 같이 포함하며, 보습제 외에 나머지의 함량은 정제수로 채워졌다(to 100 중량%). 각 잉크 조성물은 일정량을 나누어, 50℃ 고온 챔버에 밤새 방치(overnight)되었으며, 각 잉크 조성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고체화 억제 평가 방식: ○: 완전한 액상 형태, △: 고체화가 일부 억제되는 것이 확인, X: 완전 고체 형태가 됨.
아래 표 17 및 표 18에서와 같이, 잉크 조성물은 DPG(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BG(1-3부틸렌글라이콜)의 경우, 25 중량% 이상 포함하더라도 고체화가 진행된 반면, 피이지-8은 15 중량%, 또는 글리세린은 10 중량% 이상이 포함되면 잉크 조성물의 고체화는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피이지-8은 20 중량% 이상, 또는 글리세린은 15 중량% 이상을 포함하면 잉크 조성물의 고체화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보습제(국문 성분명) 제조사 0% 5% 10% 15% 20% 2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주)SKC X X X X X
1-3부틸렌글라이콜 OXEA X X X X X
피이지-8 SURFACHEM X X X
글리세린 LG생활건강 X X
구체적으로, 아래 표 18에서는 보습제가 25% 포함된 잉크 조성물을 보습제의 종류에 따라 나타낸 것(보습제 25%), 피이지-8이 포함된 잉크 조성물을 보습제의 함량에 따라 나타낸 것(피이지-8) 및 글리세린이 포함된 잉크 조성물을 보습제의 함량에 따라 나타낸 것(글리세린)이 기재되었다.
보습제 25% 피이지-8 글리세린
잉크 조성물
위 표 17 및 표 18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보습제를 10 내지 40 중량%, 또는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피이지-8을 15 내지 40 중량%, 또는 15 내지 30 중량%; 또는 글리세린을 10 내지 40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험예 6-2: 피이지-8과 글리세린을 혼합한 보습제의 함량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고체화 억제 성능
잉크 조성물은 5 중량%의 착색제(황색 4호, 제조사: 보락)를 포함하며, 보습제로는 아래 표 19에서와 같이, 피이지-8과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보습제 외에 나머지의 함량은 정제수로 채워졌다(to 100 중량%). 각 잉크 조성물은 일정량을 나누어, 50℃ 고온 챔버에 밤새 방치(overnight)되었으며, 각 잉크 조성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고체화 억제 평가 방식: ○: 완전한 액상 형태, △: 고체화가 일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 X: 완전 고체 형태가 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피이지-8 및 글리세린의 혼합 보습제를 15 내지 40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7: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잉크 저장용 스펀지에 대한 잉크 조성물의 함침성 평가
한편, 잉크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카트리지에 저장되며, 카트리지 내에 잉크 보유 목적의 스펀지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스펀지는 카트리지 내에서 잉크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잉크를 함침하고 있다가 프린팅시 적절하게 잉크를 노즐로 보급하게 된다. 잉크를 함침하고 있는 스펀지는 주로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균일한 기공율을 가지는 다공성 구조로 인해 폴리우레탄 폼은 우수한 잉크 보유능력을 가질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의 스펀지에 대한 함침성이 낮은 경우, 잉크 조성물을 카트리지 혹은 스펀지로 충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 조성물의 함침성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잉크 조성물의 안정적인 연속 토출을 위해서 잉크 조성물이 스펀지에 잘 함침되고, 잉크 조성물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잉크 조성물의 스펀지 함침성을 개선하고, 기포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잉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스펀지 함침성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20에서와 같이, 스펀지 함침성은 각각의 계면활성제를 폴리우레탄 스펀지(HP62 empty(3UB14A) 내부 스펀지)에 마이크로 피펫으로 5μl 떨어트린 후 각각의 계면활성제가 흡수되는 시간에 따라 평가하였다(함침성: ◎ = 즉시 흡수, ○ = 10분 내 흡수, △ = 1시간 내 흡수, X = 흡수되지 않음, HLB: 친수성-친유성 밸런스, Hydrophile-Lipophile Balance).
계면활성제 중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와 피이지-7 글리세릴코코에이트가 스펀지에 빠르게 흡수되며 우수한 함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분명 영문명 제조사 HLB 함침성
글리세레스-26 GLYCERETH-26 - 18
폴리소르베이트 20 Polysorbate 20 - 16.7
피이지-60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PEG-60 GLYCERYL ISOSTEARATE NIHON EMULSION 16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POLYGLYCERYL-4 CAPRATE EVONIC 16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10 OLEATE, POLYGLYCERYL-10 STEARATE 바이오뷰텍 15.1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Croda 14.7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 13
피이지-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PEG-7 GLYCERYL COCOATE BASF 11
피이지-8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PEG-8 GLYCERYL ISOSTEARATE NIHON EMULSION 10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EG-20 GLYCERYL TRIISOSTEARATE NIHON OILLIO 8
잉크 조성물은 아래 표 21에서와 같이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로서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와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로서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와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함침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를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명 잉크조성물1 잉크조성물2
정제수 66.5 66.5
1,2-헥산디올 3 3
글리세린 15 15
피이지-8 10 10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0.5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0.5
황색4호 5 5
함침성
실험예 8: 소포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기포 발생 억제 성능 평가
한편, 잉크 조성물에는 기포(공기)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포를 없애기 위해 기포 생성을 방지하거나, 기포를 파괴하는 소포제(탈포제)가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포제를 포함하게 되면, 잉크 조성물 내 기포 발생이 억제되고 잉크 조성물의 토출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포제는 선택적 상용성(miscible)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포제가 잉크 조성물과 상용성이 우수한 경우 소포제가 기포막으로 이동하지 않고 잉크 조성물과 혼합되므로 소포 효과가 약해지고, 상용성이 우수하지 않은 경우 소포제가 잉크 조성물에서 혼탁(haze) 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의 인쇄 불량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포제는 잉크 조성물과 적절한 상용성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입자성 실리콘 소포제는 잉크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노즐을 막을 수 있고, 타투 프린트용 잉크 조성물과 상용성이 우수한 편이 아니므로, 입자성 실리콘 소포제는 타투 프린팅 잉크 조성물에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실리콘의 경우 최근 인체 위험성과 환경 오염성이 제기되어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이다.
또한 에탄올 성분의 소포제는 화장품의 소포제로 주로 사용되나, 에탄올 성분은 휘발성을 가지므로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노즐 막힘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성분이다.
아래에서는 소포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각 소포제가 포함된 잉크 조성물을 흔들었을 때 발생되는 기포 발생량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22를 보면, 글리세레스-26(26몰의 에칠렌옥사이드와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폴리에틸렌글라이콜에테르)을 포함하는 경우, 글리세레스-26을 포함하지 않는 잉크 조성물(잉크 조성물3) 대비 기포 발생량이 줄어드는 것이 확인되었다.
성분명 잉크 조성물3 잉크 조성물4 잉크 조성물5
정제수 66.70 66.60 66.60
1,2-헥산디올 3.00 3.00 3.00
글리세린 15.00 15.00 15.00
피이지-8 10.00 10.00 10.00
글리세레스-26 - 0.10 0.10
피이지-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0.50 0.50 -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 - 0.50
황색4호 5.00 5.00 5.00
생성된 기포 정도 많음 적음 적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생성된 기포를 빠르게 소멸시키도록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소포제를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9: 식물 유래 오일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기포 제거 성능 평가
아래에서는 잉크 조성물에 소포제로서, 식물 유래 오일(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틸헥실올리베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불검화물, 점도: 20cs(Spindle LV1, Speed 60 rpm, Temperature 20 ± 0.2 ℃), 표면장력: 31.5 dyne/cm)을 추가하는 경우, 각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잉크 조성물을 흔들었을 때 발생되는 기포의 정도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기포가 제거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성분명 잉크 조성물6 잉크 조성물7 잉크 조성물8 잉크 조성물9 잉크 조성물10
정제수 66.55 66.50 66.40 66.60 66.70
1,2-헥산디올 3.00 3.00 3.00 3.00 3.00
글리세린 15.00 15.00 15.00 15.00 15.00
피이지-8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리세레스-26 0.10 0.10 0.10 0.10 0.10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0.30 0.30 0.30 0.20 0.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틸헥실올리베이트,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불검화물 0.05 0.10 0.20 0.10 0.10
황색4호 5.00 5.00 5.00 5.00 5.00
생성된 기포 정도 많음 적음 적음 적음 적음
4시간 후 남은 기포 정도 많음 적음 매우 적음 매우 적음 적음
식물 유래 오일은 실리콘(디메치콘 점도: 100cs(Spindle LV1, Speed 60 rpm, Temperature 20 ± 0.2 ℃), 표면장력: 21.5 dyne/cm)과 유사한 소포 효과를 가지며, 50dyne/cm 이하의 표면 장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소포제로서 식물 유래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틸헥실올리베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불검화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 유래 오일은 잉크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10: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이미지의 선명도 평가
잉크 조성물은 노즐의 출구에서 액적 형태로 배출된다. 잉크 조성물은 액적 형태로 특정 위치로 전달되며 해당 위치에서 프린팅이 일어난다. 노즐이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잉크 조성물을 배출하는 경우 액적이 형성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액적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노즐이 이동할 때 잉크 액적이 특정 위치에서만 프린팅 되지 못하고 액적의 꼬리가 다른 위치의 프린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잉크 액적이 다른 위치의 프린팅에 영향을 주는 경우 잉크 조성물의 선명도는 저하될 수 있으므로, 선명도는 노즐 출구에서 잉크 액적이 형성되는 시간, 액적의 길이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잉크 액적이 외부로 토출될 때, 잉크의 표면장력이 클수록 잉크가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줄여 표면에너지를 낮추려고 하는 경향을 보이며 잉크가 짧은 시간 내에 액적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그에 따라 표면장력이 큰 잉크는 액적의 꼬리가 노즐에서 분리되는 시간(분리시간, breakup time)이 적게 걸리고 노즐의 말단에서 액적의 선단까지의 거리(분리거리, breakup distance)가 짧다. 따라서 잉크의 표면장력이 큰 경우 액적의 체적은 작고 액적의 속도는 느리며 새틀라이트(satellite)의 수가 적을 수 있다.
고속으로 잉크를 프린팅하는 경우, 분리시간과 분리거리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액적의 체적도 적절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잉크의 프린팅 시 안정적인 액적 토출을 유지하기 위해 잉크의 표면장력은 적절한 값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성잉크는 표면장력이 큰 물을 다량으로 함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성잉크의 표면장력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며, 표면장력의 제어를 위해서 표면장력 개질제(Surface tension modifier), 계면활성제(Surfactan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잉크 조성물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잉크 조성물이 인쇄될 때 우수한 인쇄 품질을 갖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이미지의 선명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 아래 표 24와 같이 잉크 조성물 11 내지 13을 제조하였다.
  잉크 조성물11 잉크 조성물12 잉크 조성물1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2-헥산디올 3.0 3.0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린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피이지-8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글리세레스-26       0.1 0.1 0.1 0.1 0.1 0.1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0.5 0.5 0.5 0.5 0.5 0.5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0.5 0.5 0.5
황색4호 5.0     5.0     5.0    
청색1호   5.0     5.0     5.0  
적색227호     5.0     5.0     5.0
아래 표 25에서는 잉크 조성물 11 내지 13을 동일한 조건에서 종이에 인쇄하였을 때, 3색의 잉크가 선명하게 인쇄되는지를 확인하였다. HP HI LX 잉크는 HP사에서 판매중인 동일 규격의 카트리지 용기를 사용하는 잉크 카트리지 완제품으로,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과 인쇄 품질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아래 표 25를 보면 잉크조성물 12, 13이 HP HI LX 잉크만큼 선명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HP HI LX 잉크 잉크 조성물11 잉크 조성물12 잉크 조성물13
실험예 11: 계면활성제 및 소포제에 따른 이미지의 선명도 평가
평가를 위해 아래 표 24와 같이 잉크 조성물 14 내지 18을 제조하였다.
성분 잉크 조성물 14 잉크 조성물 15 잉크 조성물 16 잉크 조성물 17 잉크 조성물 18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2-헥산디올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글리세린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피이지-8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리세레스-26 0.10 0.10 0.10 0.30 0.30 0.30 0.10 0.10 0.10 0.10 0.10 0.10 0.30 0.30 0.30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0.50 0.50 0.50 0.30 0.30 0.30 0.50  0.50  0.50 
황색4호 5.0     5.0     5.0     5.0     5.0    
청색1호   5.0     5.0     5.0     5.0     5.0  
적색227호     5.0     5.0     5.0     5.0     5.0
아래 표 27에서 잉크 조성물 14 내지 18을 동일한 조건에서 종이에 인쇄하였을 때, 3색의 잉크가 선명하게 인쇄되는지 확인하였다. 잉크조성물16, 17, 18은 HP HI LX 잉크만큼 선명도를 가지는 것과, 잉크조성물17이 잉크조성물16 대비 더욱 선명한 것이 확인되었다.
HP HI LX 잉크 잉크 조성물 14 잉크 조성물 15 잉크 조성물 16 잉크 조성물 17 잉크 조성물 18
실험예 12: 픽서 조성물의 성능 평가
피부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프린팅하는 경우, 잉크 조성물은 피부 구조적인 특성상 피부로의 침투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피부 프린팅용 수성 잉크는 낮은 침투 효과, 긴 건조시간의 특징을 갖게 되고, 인쇄된 기재가 물과 접촉할 경우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된 이미지는 외부와 마찰이 생기는 경우, 번지거나 또는 흐려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상당량의 수성 매질에 노출되는 경우(예를 들면, 인쇄된 물품이 물에 노출되거나, 다른 수단을 통해 물과 접촉하게 된다면) 인쇄 화상이 용해되어 사라질 수 있다.
피부 상에서 잉크의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잉크를 제조할 때 접착 성분으로서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할 수 있는데, 프린팅 기기의 노즐이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면 노즐에 남아있는 잉크가 건조되며 노즐 막힘이 발생하거나, 출력된 인쇄물의 인쇄 매체 표면에서의 탈리 현상이 발생하는 내구성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수성 잉크가 피부 상에 이용될 때 잉크 조성물이 피부에서 번지는 것을 완화하고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내수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인쇄 후 추가로 후처리제(픽서, 탑코트)가 도포될 수 있다.
픽서 조성물은 수성 잉크와의 관계에서 불용성이며, 잉크 조성물이 프린팅된 피부 상에서 펴바르고(스프레딩) 일정 시간 고정되며, 사용성을 위해 흘러내리지 않기 위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경도 및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부 상에서 균일한 두께의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휘발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픽서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이 인쇄된 프린팅 이미지의 선명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무색(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의 피부 도포시 고정력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며 간단한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가지며, 내수성이 뛰어나고, 피부 자극 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를 위해 아래 표 28과 같이 픽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중량 %)
페트롤라툼 65-95
합성왁스 0.1-10
세레신 0.1-10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5-20
1,2-헥산디올 0.1 - 5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상면에 상기 표 28 내의 함량비를 가진 픽서 조성물을 도포하고, 해당 부분을 흐르는 물에 30초간 노출한 후 남아있는 인쇄물을 아래 표 29에 나타내었다.
잉크는 실험예 1에서 사용한 잉크와 동일한 잉크를 사용하였고, 이미지 인쇄 전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로 표 9의 실시예 1번을 사용하였다. 표 29를 보면, 픽서가 도포된 후 물에 노출된 경우(픽서 도포), 인쇄물의 선명도는 픽서가 도포되지 않은 것(픽서 미도포) 대비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픽서 조성물은 고체, 반-고체, 겔(gel), 또는 액체의 제조물, 예를 들어, 국부 적용에 적합한 겔, 수용성 젤리, 크림, 로션, 현탁액, 용액, 포움, 분말, 슬러리, 연고, 용액, 오일, 페이스트, 스프레이, 에멀젼, 밤(balm)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픽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제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픽서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에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해 피부에서 흘러내리지 않아야 하므로, 반고체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명세서에서 '반고체'는 실온(15 내지 25 ℃)에서 크림, 연고, 페이스트의 농도(consistency)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유동성이 없거나 적은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픽서 조성물로는, 밤(balm) 제형 또는 젤리(jelly) 타입의 제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밤(balm) 제형은, 에센셜 오일과 글리세린, 왁스 등을 섞어 반고체형으로 굳힌 질감을 가지는 제형이며, 젤리(jelly) 타입의 제형은 콜로이드 용액이 분산제를 함유한 채 반고체상으로 굳어진 제형이다.
픽서 조성물은 수성 잉크와 불용성이며, 상온에서 투명한 반고형 상태의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성이며, 수불용성 반고형(semi- solid 또는 페이스트) 또는 고형 상태의 픽서 조성물은 별도의 건조시간 없이 바로 내수성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수불용성 반고형 또는 고형 상태의 픽서 조성물로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가 바람직하다.
픽서 조성물은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화수소 계열의 왁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 계열의 왁스가 추가될 경우 내수성은 우수하게 유지되고 발림성과 사용성이 좋아질 수 있다. 픽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페트롤라툼, 합성왁스, 세레신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포함할 수 있으며, 픽서 조성물이 탄화수소 계열의 왁스인 합성왁스, 세레신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포함할 경우, i) 프린팅 이후 잉크 조성물의 번짐이 개선(고정력 향상)되었으며, ii) 픽서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이 개선되었으며, iii) 픽서 조성물의 사용감이 개선(피부 도포 시 유분감 및 끈적임 등이 줄어듬)되었다.
특히, 구성성분으로서 페트롤라툼은 고비점 탄화수소들 및 실온에서 통상적으로 액체인 탄화수소들로부터 수득되며, 탄화수소들의 연질(soft), 유성(oily), 반-고형(semi-solid) 혼합물이며, 물, 알코올과 글리세롤에 불용성인 특징을 갖으며, 탄소와 수소만 함유하는 탄화수소(CnH2n+2)의 혼합물이다. 페트롤라툼은 무색이나 옅은 황색의 반고체 형태를 가지며 픽서 조성물의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페트롤라툼의 소수성(즉, 발수성)과 수불용성과 상온에서 반고체 형태로 존재하는 물성으로 인하여 단독 도포시에 인쇄면에 대해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픽서 조성물은 전체 픽서 조성물 중량% 대비 탄화수소 계열의 오일 또는 왁스를 65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도포시 백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도포 과정에서 공중에서 흩어지는 것(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의 피부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은, 고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로서 액상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대비 피부 자극성이 적고 클렌징 용이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보습제를 포함하여 잉크 조성물의 고체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의 노즐 클로깅을 줄일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의 안정적인 분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잉크 조성물의 스펀지 함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의 안정적인 분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소포제를 포함하여 잉크 조성물에 형성되는 기포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의 안정적인 분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또는 소포제를 포함하여 잉크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잉크 조성물은 선명한 인쇄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은,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실질적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점도를 갖을 수 있으며, 잉크 조성물이 도포된 영역의 상면에 도포되어 잉크 조성물이 외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고 잉크 조성물의 피부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은,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탄화수소 계열의 왁스를 포함하여, 우수한 고정력, 고온 안정성 및 우수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피부에 프린팅되기 전 또는 피부에 프린팅된 후에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이,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피부에 프린팅되기 전에 고정화제 또는 프라이머가 사용되거나, 피부에 프린팅된 후에 픽서 또는 탑코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되기 전에 픽서가 사용되거나, 피부에 프린팅된 후에 고정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잉크가 피부에 프린팅된 전과 후에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고정화제(프라이머) 또는 픽서(탑코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잉크 조성물이 피부에 프린팅된 이전에 사용되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피부에 프린팅된 이후에 사용되는 픽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상기한 잉크 조성물이 피부에 프린팅되기 전에 사용되는 고정화제 조성물 및 상기한 잉크 조성물이 피부에 프린팅된 이후에 사용되는 픽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조성물, 상기 고정화제 조성물 및 상기 픽서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타투 프린팅 키트는 상기 타투 프린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잉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픽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방법을 제공한다. 단, 타투 프린팅 방법은 각 단계를 일부 생략하거나,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2)

  1. 밤(balm) 타입, 젤리 타입, 고형 타입 및 반고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이,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도포된 후에 도포되는 타투 프린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은,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는,
    페트롤라툼, 합성왁스,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은,
    픽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65 내지 100중량%로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방법.
  5. 밤(balm) 타입, 젤리 타입, 고형 타입 및 반고형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는,
    페트롤라툼, 합성왁스,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픽서 조성물 전체 함량 대비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왁스를 65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이 포함된 타투 프린팅 장치;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타투 프린팅용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11.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은,
    타투 프린팅용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의 상부에 도포되는 타투 프린팅 방법.

KR1020230044751A 2022-05-26 2023-04-05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KR20230165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5001 2022-05-26
KR1020220065001 2022-05-26
KR1020230023135 2023-02-21
KR1020230023135A KR20230165108A (ko) 2022-05-26 2023-02-21 피부 프린팅 키트, 피부 프린터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및 피부 프린팅 방법
KR20230025195 2023-02-24
KR1020230025195 2023-02-24
KR1020230043540A KR20230166040A (ko) 2022-05-26 2023-04-03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540A Division KR20230166040A (ko) 2022-05-26 2023-04-03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114A true KR20230165114A (ko) 2023-12-05

Family

ID=889196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751A KR20230165114A (ko) 2022-05-26 2023-04-05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KR1020230044747A KR20230165113A (ko) 2022-05-26 2023-04-05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747A KR20230165113A (ko) 2022-05-26 2023-04-05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30165114A (ko)
WO (1) WO20232293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4963T2 (de) * 2002-09-06 2008-04-10 L'oreal Verfahren zur dekorativen Behandlung der Wimpern mit einem Überzugsmittel, das ein klebriges Wachs enthält
US8207108B2 (en) * 2005-12-09 2012-06-26 Dsm Ip Assets B.V. Stabilizing composition
KR20070115461A (ko) * 2006-06-02 2007-12-06 주식회사 새치로 고휘도, 장잔광시간, 높은 내수성 및 높은 형태안정성을갖는 인체도포용 축광안료 조성물
KR101655978B1 (ko) * 2016-02-15 2016-09-08 스케치온 주식회사 2액형 피부프린트용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6581A (ko) * 2018-08-07 2020-02-17 프링커코리아 주식회사 형광 안정성을 갖는 일회성 문신용 2액형 용액 및 이의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113A (ko) 2023-12-05
WO2023229315A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4465B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101612998B1 (ko) 액체 화장재료
US9339452B2 (en) High internal water phase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and cosmetic liquid applicator
CN109223597B (zh) 一种持妆粉底液
KR102416198B1 (ko) 국소 제제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분무가능한 필름 형성 조성물
KR101242356B1 (ko)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KR101647736B1 (ko) 발색 및 사용감이 개선된 지속형 파우더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8454981B2 (en) Cosmetic preparation for coloring the eyelids and eyebrows
JP6068138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230165114A (ko)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KR20230166040A (ko) 타투 프린팅 방법, 타투 프린팅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타투 프린팅용 픽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투 프린팅 키트
TW202410876A (zh) 紋身列印方法、紋身列印用墨水固定劑組合物、紋身列印用墨水組合物、紋身列印用定色劑組合物以及包含其的紋身列印套件
US8388988B2 (en) Cosmetic preparation for coloring of eyelids and eyebrows
KR20230165108A (ko) 피부 프린팅 키트, 피부 프린터용 잉크 고정화제 조성물 및 피부 프린팅 방법
JPH0212924B2 (ko)
DE102011121829B4 (de) Kosmetische Zubereitung
US20180235850A1 (en) Cosmetic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5054548B (zh) 一种透明唇釉及其制备方法
KR20240053322A (ko) 실리콘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E202011109366U1 (de) Kosmetische Zubereitung
WO2023210239A1 (ja) 化粧料インクおよび化粧用シート
WO2023088846A1 (en) Makeup system and use thereof
JP2005008547A (ja) アイブロウ化粧料
KR20030047258A (ko) 젤 타입 립 메이크업 조성물
JPH072626B2 (ja) 黒色液状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