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491A -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491A
KR20230164491A KR1020220064289A KR20220064289A KR20230164491A KR 20230164491 A KR20230164491 A KR 20230164491A KR 1020220064289 A KR1020220064289 A KR 1020220064289A KR 20220064289 A KR20220064289 A KR 20220064289A KR 20230164491 A KR20230164491 A KR 20230164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rtual reality
user
outpu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욱
Original Assignee
황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욱 filed Critical 황순욱
Priority to KR102022006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491A/ko
Publication of KR2023016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공급자 단말기; 상기 공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객체 정보를 전달받고,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들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공급자 단말기, 외부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전달받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아이템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컨텐츠 생성 단계;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 이후,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캐릭터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캐릭터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단계; 상기 컨텐츠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캐릭터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내용을 요약한 정보인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요약정보 출력 단계; 및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상기 아이템 정보 선택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전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인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세부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services based on sound and a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ser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아이템 정보의 출력값을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실제 상황과 동일한 3차원 가상 현실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생활하는 것처럼 체험하는 시뮬레이터의 필요성 증가에 따라 가상 현실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가상 현실 시스템은 가상 현실 게임이나 3D 게임 등과 같이 전자적으로 형성된 환경에서 높은 현실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시스템은 가상으로 만든 공간에서 다양하게 형성되는 감각(시각 청각 촉각 등) 입력들을 현실처럼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감각 입력들은 다양한 현실감을 갖도록 가상 세계의 감각 경험들을 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게임에서 현실적인 영상들 및 사운드들이 생성될 수 있지만, 게임 조이스틱(joystick) 또는 제어기는 오직 진동을 통해 실제의 감각을 개략적으로 모방할 수 있을 뿐이다. 가상 현실 시스템의 영상은 모니터 장치, 두부 장착 표시 장치(HMD : Head Mounted Display), 텔레비전(television), 프로젝터(projector), 또 다른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3D로 가상 현실의 영상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가상 현실 시스템의 사운드의 경우, 가상 위치를 표현하는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인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을 사용한다. 가상 현실 시스템의 사운드는 스피커(speaker), 헤드셋(headset), 또 다른 오디오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상 현실 시스템은 대부분 모니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시각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의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가상 현실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인이 이러한 가상 현실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가상 현실 공간 상에서 자신의 캐릭터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부터 가상 현실 공간 상에 존재하는 여러 객체들의 위치 및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기까지 수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시각장애인이 이러한 시각적 인터페이스 기반의 가상 현실 시스템을 이용하기는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가상 현실 시스템에서도 보다 현장감 높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운드 기능을 수행하나, 이는 배경 음원이 반복적으로 재생되거나 가상 현실 컨텐츠 상에 음원을 제공하는 객체에 접근하는 것을 통해 일방적으로 재생되는 형식에 한정되어 시각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의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의 경우에는 가상 현실 상에서 사용자의 캐릭터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이용하고자 하는 객체가 어디에 있는지 등의 식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64680 A (2000.06.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조작에 따라 아이템 정보의 음향 출력값을 조절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구축이 가능하고, 검색 엔진을 통한 검색 결과 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키워드 관련도 순으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공급자 단말기; 상기 공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객체 정보를 전달받고, 가상현실 컨텐츠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들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아이템 정보의 내용을 요약한 정보인 요약정보; 및 상기 아이템 정보의 전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인 세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영역인 기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는,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기준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상기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까지의 거리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감지하여,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부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템 정보를 선택한 신호인 아이템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객체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변환한 정보인 제 1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검색 결과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변환한 정보인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는, 상기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검색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신호가 텍스트로 변환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공급자 단말기, 외부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전달받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아이템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컨텐츠 생성 단계;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 이후,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캐릭터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캐릭터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단계; 상기 컨텐츠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캐릭터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내용을 요약한 정보인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요약정보 출력 단계; 및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상기 아이템 정보 선택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전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인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세부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의 조작 신호를 전송받는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 상기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 이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상기 캐릭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 및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 이후,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상기 아이템 정보가 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인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캐릭터의 위치가 상기 기준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에서 출력하도록 결정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상기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까지의 거리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부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템 정보를 선택한 신호인 아이템 선택 신호를 전달받는 아이템 선택 단계; 및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 이후, 선택된 상기 아이템 정보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세부정보 출력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할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 단계 이후, 상기 검색 결과 정보를 상기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검색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정보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템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들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이 아닌 청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 시각적 컨텐츠 이용이 어려운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에게 음향 기반의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요약정보 및 세부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정보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캐릭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출력 여부가 결정되는 요약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청각적 정보를 입체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보다 현장감이 향상된 가상현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캐릭터의 위치, 상기 아이템 정보로부터 캐릭터의 거리 및 캐릭터의 방향을 기준으로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요약정보가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아이템 정보의 현재 위치 및 가상현실 컨텐츠의 환경 상태를 현장감 있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되는 세부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아이템의 세부정보만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아이템 정보를 식별하는 데에 있어서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아이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객체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로 제공하여 시각적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에게 청각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검색 엔진을 통해 수행한 검색 결과 정보를 변환한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청각적 정보로 습득할 수 있어 시각적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 특히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에게 정보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배치되는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의 관련도가 높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 요청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시각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하는 데에 있어서 음성 인식만으로도 검색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게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 수행을 진행하는 검색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정보의 검색이 필요한 경우에만 검색 엔진과의 연결을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아이템 정보가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배치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의 관련도가 높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식화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아이템 정보 및 사용자 캐릭터를 배치한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배치된 아이템 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성하는 요약정보 출력 단계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성하는 세부정보 출력 단계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식화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공급자 단말기(Ts), 서비스 서버(S) 및 사용자 단말기(T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Ts)와 서비스 서버(S),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S)와 사용자 단말기(Tc)는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먼저, 상기 공급자 단말기(Ts)는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객체 정보는 공급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상품,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광고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상기 공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객체 정보를 전달받고, 가상현실 컨텐츠(V)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V)는 1차원, 2차원 및 3차원 컨텐츠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V)는 공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현된 공간의 특성을 반영하는 자연, 동물 및 물체 등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인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사용자에게 음향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S)는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수집된 각종 정보들을 분석하는 정보 분석 모듈과, 수집된 각종 정보들을 관리하는 관리 모듈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 및 설치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실행 모듈과, 상기 공급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과, 각종 정보, 신호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들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I)로 변환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템 정보(I)는 시각적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들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I)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이 아닌 청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 시각적 컨텐츠 이용이 어려운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에게 음향 기반의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템 정보(I)는 제 1 아이템 정보 및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객체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변환한 정보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신문 기사, 노래 및 광고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종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아이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객체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로 제공하여 시각적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에게 청각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한 검색 결과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변환한 정보이다.
이처럼, 검색 엔진을 통해 수행한 검색 결과 정보를 변환한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청각적 정보로 습득할 수 있어 시각적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용자, 특히 시각장애인과 같은 사용자에게 정보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배치되는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의 관련도가 높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신호가 텍스트로 변환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 요청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시각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하는 데에 있어서 음성 인식만으로도 검색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게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아이템 정보(I)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Tc)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캐릭터(C)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Tc)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Tc)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사용자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사용자 단말기, 글래스형 사용자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Tc)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Tc)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단말기(Tc)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사용자 단말기(Tc)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Tc)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기(Tc)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c)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사용자 단말기(Tc)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사용자 단말기(Tc)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Tc)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기(Tc)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기(Tc)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Tc)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Tc)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Tc)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Tc)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자 단말기(Tc)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Tc)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유/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기(Tc)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Tc)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Tc)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Tc) 각각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Tc)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모듈은 사용자 단말기(Tc)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아이템 정보(I)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아이템 정보 및 사용자 캐릭터를 배치한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배치된 아이템 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 정보(I)는 요약정보(Is)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요약정보(Is)는 상기 아이템 정보의 내용을 요약한 정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Is)는 상기 아이템 정보를 제목 형식으로 요약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약정보(Is)는 상기 아이템 정보를 한 문장으로 요약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 정보(I1, I2)는 기준 영역(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영역(A)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서 상기 요약정보(Is1, Is2)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영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준 영역(A)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서 상기 아이템 정보(I1, I2)가 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 면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요약정보(Is1, Is2)는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기준 영역(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된다.
이처럼, 사용자 캐릭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출력 여부가 결정되는 요약정보(Is)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청각적 정보를 입체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보다 현장감이 향상된 가상현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Is)의 출력값은 상기 서비스 서버를 구성하는 제어모듈(100)을 통해 조절된다.
특히,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상기 아이템 정보(I)로부터 사용자 캐릭터까지의 거리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감지하여,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00)은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조절하며, 여기서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서 캐릭터의 이동 방향 및 시선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C)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아이템 정보(I1, I2)가 형성하는 기준 영역(A)내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아이템 정보(I1, I2)의 요약정보(Is1, Is2)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요약정보(Is1, Is2)의 출력값은 사용자 캐릭터(C)의 위치로부터 각각의 상기 아이템 정보(I)까지의 거리(d1, d2)를 기준으로 조절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C)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아이템 정보(I2)와 사용자 캐릭터(C) 사이의 거리(d2)가, 사용자 캐릭터(C)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아이템 정보(I1)와 사용자 캐릭터(C) 사이의 거리(d1)보다 짧으므로, 상기 제어모듈에서 좌측 아이템 정보(I2)가 사용자 캐릭터로부터 더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감지하여 좌측 아이템 정보의 요약정보(Is2)가 우측 아이템 정보의 요약정보(Is1)보다 더 큰 출력값을 가지도록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의 거리 및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을 기준으로 요약정보(Is)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제어모듈(100)을 포함함으로써, 요약정보가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아이템 정보의 현재 위치 및 가상현실 컨텐츠의 환경 상태를 현장감 있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아이템 정보(I)는 세부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부정보는 상기 아이템 정보의 전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부정보는 정보의 용량이 상기 요약정보(Is)의 용량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템 정보는 요약정보(Is) 및 세부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정보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덧붙여, 상기 세부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템 정보를 선택한 신호인 아이템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출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템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출력되고 있던 요약정보(Is)들은 출력이 중지되거나, 출력값이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되는 세부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아이템의 세부정보만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아이템 정보를 식별하는 데에 있어서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성하는 요약정보 출력 단계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성하는 세부정보 출력 단계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S1000)은 앞에서 설명한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공급자 단말기, 외부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전달받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S1000)은 컨텐츠 생성 단계(S100),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S200), 컨텐츠 출력 단계(S300), 요약정보 출력 단계(S600) 및 세부정보 출력 단계(S7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S100)는 상기 아이템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S100)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객체 정보를 전송하도록 진행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S1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전송받은 객체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제1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도록 진행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S200)는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 이후,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내의 캐릭터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캐릭터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도록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S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 캐릭터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캐릭터 접속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사용자 캐릭터를 배치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출력 단계(S300)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텐츠 출력 단계(S3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S600)는 상기 컨텐츠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캐릭터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내용을 요약한 정보인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S600)는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S610),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S620) 및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S6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S610)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의 조작 신호를 전송받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S620)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 이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상기 캐릭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여부를 결정하도록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S620)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상기 아이템 정보가 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인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캐릭터의 위치가 상기 기준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S630)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 이후,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S630)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에서 출력하도록 결정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상기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까지의 거리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부정보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상기 아이템 정보 선택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전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인 세부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부정보 출력 단계(S700)는 아이템 선택 단계(S710) 및 세부정보 출력 결정 단계(S7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S710)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템 정보를 선택한 신호인 아이템 선택 신호를 전달받도록 진행된다.
또한, 상기 세부정보 출력 결정 단계(S720)는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 이후, 선택된 상기 아이템 정보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S1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한 이후, 공급자 단말기에서 객체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가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객체 정보를 수신받은 이후, 상기 객체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제 1 아이템 정보로 변환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객체 정보를 제 1 아이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를 앞서 생성한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S200)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캐릭터에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 캐릭터 접속 정보를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정보를 수신받은 후,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캐릭터를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출력 단계(S3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출력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S600)는 앞서 언급했듯이,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S610),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S620) 및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S6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사용자 캐릭터 조작단계(S610)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캐릭터를 조작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 캐릭터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S62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수신받은 사용자 캐릭터 조작 신호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를 감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는 감지된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캐릭터가 아이템 정보의 기준 영역 내에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캐릭터가 아이템 정보의 기준 영역 내에 있는 경우 해당 아이템 정보의 요약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캐릭터가 아이템 정보의 기준 영역 내에 있지 않은 경우 다시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감지를 진행한다.
덧붙여, 상기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S63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의 거리 및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등의 요소를 감지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의 거리 및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등의 요소를 기준으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수신받은 후, 출력부를 통해 상기 요약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부정보 출력 단계(S700)는 앞서 언급했듯이, 아이템 선택 단계(S710) 및 세부정보 출력 결정 단계(S7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S710)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아이템 정보를 선택한 신호인 아이템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아이템 선택 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부정보 출력 결정 단계(S72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수신받은 아이템 선택 신호를 기반으로 선택된 아이템 정보의 세부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추출한 세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세부정보를 수신받은 후, 출력부를 통해 상기 세부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진행함에 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표현은 발명의 간결한 기재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서버는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S1000)은 검색 단계(S400) 및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검색 단계(S400)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할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500)는 상기 검색 단계 이후, 상기 검색 결과 정보를 상기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검색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정보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템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검색 단계(S400) 및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5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 단계(S400)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는 상기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받은 후,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500)에서는 서비스 서버가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생성한 검색 결과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제 2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검색 단계에서 수신받은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를 상기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가 높을수록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와 가깝게 배치한다.
덧붙여, 상기 검색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신호가 텍스트로 변환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를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배치한 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업데이트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신받은 후, 출력부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검색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 수행을 진행하는 검색 단계(S400)를 포함함으로써, 정보의 검색이 필요한 경우에만 검색 엔진과의 연결을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검색 요청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시각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하는 데에 있어서 음성 인식만으로도 검색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게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이템 정보가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배치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50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와의 관련도가 높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 및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제어모듈
A : 기준 영역
C : 사용자 캐릭터
I : 아이템 정보
Is : 요약정보
S : 서비스 서버
V : 가상현실 컨텐츠
Tc : 사용자 단말기
Ts : 공급자 단말기
S1000 :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S100 : 컨텐츠 생성 단계
S200 :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
S300 : 컨텐츠 출력 단계
S400 : 검색 단계
S500 :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
S600 : 요약정보 출력 단계
S610 :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
S620 :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
S630 :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
S700 : 세부정보 출력 단계
S710 : 아이템 선택 단계
S720 : 세부정보 출력 결정 단계

Claims (15)

  1.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공급자 단말기(Ts);
    상기 공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객체 정보를 전달받고, 가상현실 컨텐츠(V)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서비스 서버(S); 및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캐릭터(C)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Tc);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S)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들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I)로 변환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모듈(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I)는,
    상기 아이템 정보의 내용을 요약한 정보인 요약정보(Is); 및
    상기 아이템 정보의 전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인 세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영역인 기준 영역(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정보(Is)는,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기준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상기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까지의 거리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감지하여,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템 정보를 선택한 신호인 아이템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I)는,
    상기 객체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변환한 정보인 제 1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S)는,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아이템 정보(I)는,
    상기 검색 결과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변환한 정보인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Tc)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는,
    상기 검색 요청 정보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입력 신호가 텍스트로 변환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컨텐츠로 제공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인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공급자 단말기, 외부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전달받아 음향 포맷으로 출력되는 정보인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아이템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컨텐츠 생성 단계(S100);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 이후,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캐릭터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캐릭터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S200);
    상기 사용자 캐릭터 접속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단계(S300);
    상기 컨텐츠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캐릭터 조작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내용을 요약한 정보인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요약정보 출력 단계(S600); 및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 이후, 사용자의 상기 아이템 정보 선택에 따라, 상기 아이템 정보의 전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인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세부정보 출력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정보 출력 단계(S600)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의 조작 신호를 전송받는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S610);
    상기 사용자 캐릭터 조작 단계 이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에서 상기 캐릭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S620); 및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 이후,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S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S620)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상기 아이템 정보가 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영역을 형성하는 영역인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캐릭터의 위치가 상기 기준 영역 내에 있으면, 상기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정보 출력값 결정 단계(S630)는,
    상기 요약정보 출력여부 결정 단계에서 출력하도록 결정된 상기 요약정보의 출력값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상기 아이템 정보로부터 사용자 캐릭터까지의 거리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상의 사용자 캐릭터의 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정보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아이템 정보를 선택한 신호인 아이템 선택 신호를 전달받는 아이템 선택 단계(S710); 및
    상기 아이템 선택 단계 이후, 선택된 상기 아이템 정보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세부정보 출력 결정 단계(S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검색 엔진을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검색 요청 정보를 입력할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검색 단계(S400); 및
    상기 검색 단계 이후, 상기 검색 결과 정보를 상기 아이템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검색 요청 정보와 상기 아이템 정보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템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내에 배치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64289A 2022-05-25 2022-05-25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164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289A KR20230164491A (ko) 2022-05-25 2022-05-25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289A KR20230164491A (ko) 2022-05-25 2022-05-25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491A true KR20230164491A (ko) 2023-12-04

Family

ID=8916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289A KR20230164491A (ko) 2022-05-25 2022-05-25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4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680A (ko) 2000-06-15 2001-07-11 김양신 3차원 가상공간 웹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680A (ko) 2000-06-15 2001-07-11 김양신 3차원 가상공간 웹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5834B2 (en) Multi-modal, geo-tempo communications systems
US10139623B2 (en) Virtual object orientation and visualization
CN104520787B (zh) 头戴式计算机作为具有自动语音识别和头部追踪输入的辅助显示器
US108142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using multiple controllers and device for the same
CN113965807B (zh) 消息推送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0334352B (zh) 引导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131904B (zh) 视频播放方法及头戴电子设备
KR20120099443A (ko)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의 음성 액션들
JP2019036953A (ja) 映像通話を利用した道案内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2000208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20200049020A (ko)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132343A (zh) 用于在数字现实中实现增强的用户对用户通信的方法和系统
JP6527182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008610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JP4710217B2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076438A (ko) 사용자의 액티비티를 추적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19950B1 (ko)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KR20230164491A (ko)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25769A (ko) 증강현실 기반 관람 가이드 서비스 방법
CN112711335B (zh) 虚拟环境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792666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11518B1 (ko)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04135A (ko) 증강현실 기반의 모델하우스 가상이미지 제공방법
JP6975489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90868B1 (ja) 遠隔地間で意思疎通を行うための端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