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987A -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 Google Patents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987A
KR20230163987A KR1020230163465A KR20230163465A KR20230163987A KR 20230163987 A KR20230163987 A KR 20230163987A KR 1020230163465 A KR1020230163465 A KR 1020230163465A KR 20230163465 A KR20230163465 A KR 20230163465A KR 20230163987 A KR20230163987 A KR 2023016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ember
fire
spread
wat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392B1 (ko
Inventor
안광호
Original Assignee
안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호 filed Critical 안광호
Priority to KR102023016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392B1/ko
Publication of KR2023016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57Fire curtains, blankets, walls, fe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57Fire curtains, blankets, walls, fences
    • A62C3/0264Fire curtains, blankets, walls, fences by creating water curt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이 발생 시 인근 민가로 번져 재산 및 인명 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도중에 차단하는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을 위한 자동소화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용융점 160~280℃을 가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재 테이프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직조한 마대 형상의 외피부재; 및 상기 외피부재 내부에 수용되며, 15~50 마이크론 두께이고 융점 110~130℃를 가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를 원통형상으로 압출한 필름상 원통용기로서, 내부 공간에 물이 충진되는 내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Prevention instrument of spreading forest fires}
본 발명은 대형 산불 등의 화재의 발생시 산불이 크게 확산되거나 또는 산불 현장 인근의 주택가 등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산불 확산 차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나 눈 등 강수량이 부족한 건조한 계절, 예를 들면 봄철에는 산야의 나무들이 바짝 말라 함수율이 낮고 주변에 불쏘시개 역활을 하는 바짝마른 낙엽과 덤블 등의 가연성 물질이 많으며, 산소의 공급이 풍부한 강풍이 많이 불기 때문에 조그만 불씨에도 쉽게 대형 산불로 번지는 일이 잦으며, 이 같은 산불은 등산객이나 산 주변의 인근 주민들의 부주의, 특히 담배꽁초의 투척이나 농사를 위한 들불놓기 등 주로 인위적인 원인으로 산불이 발생하곤 하여 대형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그런데 산불은 험한 지형 특성상 접근성이 나쁘고 화재 진압을 위한 물사정이 나쁘며 소화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해서 쉽게 퍼져나가기 때문에 산불이 발생하지 않토록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 때문에, 산불 예방은 건조한 시기에 화기나 산림에서의 인화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그래서 산림법에서는 산림의 보호를 위해 산불예방 등을 위한 화기 휴대금지행위와 산불조심기간 설정 및 입산금지 등의 설정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는 산불예방 및 진화에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며 허가 없이 산림 또는 산림에 근접한 지역에 불을 놓거나 화기를 가지고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
만약,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미리 산불을 예방하는 시설을 하고 근접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에게 통지토록 하고 있다.
그 밖의 예방적 조치로서 방화선의 설정, 방화림대(防火林帶)의 조성, 유령림(幼齡林)의 풀베기와 밑가지치기, 숲길이나 보도의 정비, 저수시설, 흡연장소설치, 입산규제, 화재 감시망이나 순찰에 의한 조기발견체제의 확립 등이 있다.
또한, 소방대를 편성하여 훈련시키는것과 화재발생 통보시설을 정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상기의 소화법으로는 흙이나 물 또는 소화약제를 끼얹기도 하고 생나무 가지나 갈퀴 등의 기구로 두들겨 직법 불을 끄는 직접소화법이 흔히 사용되지만 타는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위험하여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되는 방향의 삼림을 벌채하여 가연물을 제거하고 방화선을 만들어 불을 멈추게 하는 간접소화가 동시에 시행되고 있으며, 큰화재의 경우에는 주로 간접소화로 대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맞불을 놓아 끄기도 한다.
종래의 산불을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방차는 차량의 구조상 산악지형 주행에 부적합하므로 화재장소에의 진입이 어렵고 노즐 및 호스등의 진화장비의 구조가 산림지역에서는 용이한 진화작업을 수행하는 데 적합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압 대용량으로 물이 방수되므로 물의 낭비가 심하여 장시간 진화작업을 하거나 분사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화재 시 많이 사용하는 소화 분말식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화재를 진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불연성 고압가스(이산화탄소, 질소)에 의해 분말 소화약재를 분사시키는 방식의 것이 많으며, 이러한 소화기는 평상시 일정장소에 비치하였다가 화재의 초기에 사용하는 것인데, 소화기 용기 내부에 별도의 압력가스통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 함은 물론 사용자의 조작 또한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산림 화재인 경우 소화기가 비치된 장소와 발화지점이 달라 넓은 면적에 걸쳐 확산되는 산불의 화재 진압용으로는 부적합하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산불 화재시 소방헬기를 이용하여 물 또는 소화약제를 탱크에 담아 화재지역으로 출동한 후 공중에서 산불화재 현장에 물 또는 소화약제를 낙하 투입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헬기에 물을 담아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 물탱크에 저장하는 양이 제한적이고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물탱크에 물을 채운 후 다시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며, 이때,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해 화재 지역의 근처에 있는 계곡에서 물을 물탱크에 채우는 경우가 있으나 계곡의 특성상 여러 가지 지장물(송전탑 등)이 있고 돌풍도 불기 때문에 소방헬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며, 또한 공중에서 낙하되는 물 또는 소화제가 강풍에 흩날리게 되면서 화재 현장에 정확히 투하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산불 화재의 특성이 사방으로 불꽃이 번지므로 모든 산불 경계면에의 진화가 어려울 수 있어 우선적으로 민가 등에 산불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나 민가 가까이까지 산불이 근접하면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대피하는 것이 우선이므로, 산불이 민가로 번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차단 방법이 없어 산불이 막대한 재산 손실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5633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산불이 발생 시 인근 민가로 번져 재산 및 인명 손실이 일어나는 것을 도중에 차단하는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을 위한 자동소화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산불의 확산 차단기구는 용융점 160~280℃을 가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재 테이프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직조한 마대 형상의 외피부재; 및 상기 외피부재 내부에 수용되며, 15~50 마이크론 두께이고 융점 110~130℃를 가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를 원통형상으로 압출한 필름상 원통용기로서, 내부 공간에 물이 충진되는 내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산불 확산 차단기구의 외피부재는 화재 시 열에 잘 견디도록 융점이 높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를 테이프 형상으로 압출하여 그 테이프를 사용하여 위사와 경사를 교차하여 직조하였고, 내피부재는 융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원통형상으로 압출된 필름상 용기로 형성하여 산불 확산 차단지역에 산불 확산 차단기구를 펜스처럼 지면에 놓아 설치하게 되면 화마가 접근하여 외피부재를 가열하게 되면 그 열이 내피부재에 전달되어 융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내피부재가 먼저 녹아 구멍이 형성되면서 소화용 물이 그 녹아내려 형성된 구멍 및 외피부재가 가진 망사 조직의 틈새들을 통해 외부로 분출하여 주변의 불을 소화시키고 외피부재를 냉각하므로 불이 차단기구를 넘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부재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750 데니아(D) 이상이며, 상기 내피부재는 20~40 마이크론 두께이고 융점 120~130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내피부재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내피부재의 단부 또는 상기 내외피부재의 합쳐진 단부는 매듭묶음처리에 의해 봉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내피부재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내피부재의 단부 또는 상기 내외피부재의 합쳐진 단부는 열접착 처리에 의해 봉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피부재는 방염처리되며, 상기 내피부재는 방염처리되지 않거나 또는 물을 분사할 구멍으로 선택한 부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방염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일측에 호스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어 산불 화재시 수도전으로부터 호스를 통해 내피부재 내부 공간에 물을 공급 또는 보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산불 화재 현장에서 산불저지선을 설정하여 그 설정된 위치에 긴 원통형상을 이루는 차단기구를 지면에 펜스처럼 깔아 설치하면, 산불이 번저 원통형상체인 차단기구에 접근하여 외피부재가 먼저 열을 받은 후 그 열이 내피부재에 전달되어 내피부재의 용융점에 도달하면 내피부재의 열을 받은 부분이 녹아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을 통해 외피부재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이 외피부재의 직조된 조직 틈새를 통해 외부로 분출하여 차단기구 주변의 불을 소화시키게 되어 산불은 원통형상부재를 저지선을 삼아 그 너머로 확산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므로 사람이 산불현장에 없어도 자동으로 불을 감지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재산손실과 인명 손실을 없이하면서 산불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내피부재에서 물을 분사할 구멍으로 선택한 부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방염처리하여 화기에 노출 시 방염처리되지 않도록 선택된 부위들만 용융되어 물분사 구멍을 형성하도록 하면, 내피부재의 조직이 한꺼번에 용융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물의 분사유지가 가능하다.
또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내피부재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내피부재의 단부 또는 상기 내외피부재의 합쳐진 단부를 특히 매듭묶음처리하여 봉함하는 경우 고주파 접착 처리 등에 의한 밀봉 방식보다 쉽고 빠르게 단부를 봉합처리할 수 있어 제작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일측에 호스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어 산불 화재로 내피부재의 일부가 녹아 물을 외부로 분사하면서 물의 압력이 감소할 때 호스로 연결된 수도전으로부터 내피부재 내부 공간에 물을 계속하여 보충할 수 있으며, 또한 평시에는 내피부재가 비어 있는 상태로 두다가 산불화재 시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산불 확산 차단용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산불 확산 차단용 기구를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산불 확산 차단용 기구의 외피부재의 직조조직을 나타낸 조직확대도(A)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산불 확산 차단용 기구의 내피부재의 압출상태의 필름상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산불 확산 차단용 기구의 변형된 실시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산불 확산 차단용 기구의 실제 화재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동영상의 정지 화상 사진들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있어 섬유 조직의 두께는 과장되게 표현한 것임을 참작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에 소화용액을 충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에 소화용액을 충진한 상태를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 본 발명의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는 전체를 부호 10으로 나타내었으며,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10)는 외피부재(12)와 내피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부재(12)는 쌀 등의 곡물이나 또는 플라스틱 원료 알갱이들을 보관 이동하는 데 흔히 사용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재의 포대가 사용된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취입성형, 열성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용융 가공될 수 있는 플라스틱재로서, 포장용 필름, 사진 및 자기테이프 등 성형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 특히 곡물이나 플라스틱 원료용 포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외피부재(12)는 후술하겠지만 테이프 직조 조직의 특성상 강도가 매우 크고 질기면서 크랙 발생이 없어 그 내부의 수용체(내피부재)에 대한 보호 효과가 크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로는 ①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융점 105~120),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융점 165~186),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 TPX 등과, ② 폴리에스테르계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융점 265), PET 부직포(융점 200 이상),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융점 220), ③ 폴리에테르계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PPO, 폴리설폰 PSF, 폴리에테르설폰 PES,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PS(융점 290),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융점 340), ④ 폴리비닐계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PVC(융점 224)), 폴리(염화비닐리덴) PVDC(융점 177), 불화비닐리덴 PVDF(융점 172), 폴리(초산비닐) PVAC, 폴리(비닐 알콜) PVAL, 폴리(비닐 아세탈), 폴리스티렌 PS(융점 280), ABS 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융점 135), 불소수지 등이 있으나, 상기 외피부재(12)로는 용융점이 150℃ 이하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따라서 150℃ 이상, 바람직하기는 160~280℃, 더 바람직하기는 180~280℃로 비교적 융점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외피부재(12)는 바람직하기는, 필름 형태로 만들기가 용이하고 융점이 높은 폴리프로필렌(PP)(융점 165~186), 폴리메틸펜텐(융점 230~240), 에틸렌 공중합체(융점 260), PET(융점 265), PET 부직포(융점 200 이상),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융점 220), 폴리(염화비닐) PVC(융점 224)), 폴리(염화비닐리덴) PVDC(융점 177), 불화비닐리덴 PVDF(융점 172), EVOH(융점 171), 테이프 폴리비닐아세탈(polyvinyl acetal) 성분들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지는 필름 또는 복합 필름으로서 된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바람직하기는 난연성 수지나 또는 난연성 물질(방염재)을 코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조직 확대도(A)에서 보여지는 것 같이, 상기에서 예시한 재질의 테이프를 위사(16)와 경사(18)로 삼아 직조한 섬유직조물이 사용되는 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사 테이프(16)와 경사 테이프(18)는 750~950 데니아(D:denia)를 가지며, 폭이 1~4mm의 테이프를 사용하여 직조한 것으로, 바람직하기는 850 데니아 8×8 이상의 테이프로서(두께는 크게 상관이 없다) 융점이 165℃ 이상을 나타낸 PP 재사용 원료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외피부재(12)는 압출 제품 중에서 중간 흐름성을 가지고 있고 분자량 분포도 및 높은 강성을 가지며, ASTM D1238에 의해 측정한 용융지수 4.0를 갖는 롯데 Y130(상품명으로 PP 계열 수지) 계열에 기초한 수지(융점 약 165℃)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도 4 및 도 5는 2.5mm 폭의 위사 테이프(16)와 경사 테이프(18)를 사용하여 직조한 외피부재(12)의 조직을 나타낸 것인바, 씨실과 날실이 한 올씩 교차된 평직(plain)망사, 즉 1:1로 직조된 망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경사와 위사가 3올 이상 상하로 교차시킨 능직(twill-weave)망사를 사용하여 원통형상의 포대를 이루도록 직조 또는 양 단부를 말아 합쳐 재봉하여 내부 공간을 확보한 포대를 형성한다.
외피부재(12)는 불에 강한 난연성 재질이면 더욱 좋으며, 외표면을 통상적으로 알려진 난연성 물질로 방염 코팅처리하여 화마에 노출시에도 쉽게 녹아 내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피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내피부재(14)를 나타낸 도면으로, 내피부재(14)는 저융점, 예를 들면 130℃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원통 형상으로 원주 방향에 걸쳐 이음매 없이 연속 압출한 필름상 용기로서 형성하며, 내피부재(14)는 그의 내부 공간(20)에 소화제, 예를 들면 소화용 물(22)이 충진되므로, 위사 테이프(16)와 경사 테이프(18)가 서로 교차하여 직조된 틈새를 통해 공기가 연통하는 외피부재(12)와는 달리 필름 형태로 압출되므로 물이 필름 조직을 투과하지 못하며, 외피부재(12) 내부에 수용되어 내부 공간(20)에 물이 충진되면, 내피부재(14)가 팽출하면서 도 3의 단면 확대도에서와 같이 내외피부재(12,14)가 서로 밀착하여 내피부재(14)는 그를 둘러싼 외피부재(12)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내피부재(14)는 필름 형태로 압출하기 용이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수지)으로 형성되며, 융점이 140℃ 이하인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융점 135), EVA(융점 88℃)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는 성형성이 좋고 강도도 우수하며 유연성을 가진 필름으로 성형이 용이한 대략 130℃ 이하의 저융점을 가지는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는 것이며, 폴리에틸렌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융점 105~115℃),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융점 110~125℃)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재료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 성분으로 융점이 높다 하더라도 다른 이종 성분을 함유하여 필름상으로 압출 성형이 가능하고 융점이 140℃ 이하 조건을 충족하는 한, PE 계열이나 PP 계열을 불문하고 내피부재(14)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160℃ 이상, 바람직하기는 18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인 한, 외피부재(12)로 사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반드시 내외피부재(12,14)의 소재 계열이 달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융점이 적어도 30℃ 이상, 바람직하기는 50℃ 이상 차이가 나는 재료라면 융점이 높은 재료는 외피부재(12)에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재료는 내피부재(14)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피부재(12)와 달리 내피부재(14)는 불기가 접근하면 녹아서 구멍이 뚫려야 하므로 난연성 재료나 방염 처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만일 방염 처리를 한다면 소정 간격마다 작은 복수개의 구멍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남기도록 나머지 부분만 방염 처리하여 화기의 열이 내피부재(14)에 전해졌을 때 방염 처리되지 않은 구멍부만 녹아 작은 구멍들을 형성하고 몸체는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 같이 하면, 융점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였으므로, 구멍부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하에서 쉽게 녹아 물 분출공의 역할을 하고, 나머지 방염 처리된 부분들은 낮은 융점에도 불구하고 녹지 않아 원통형 몸체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물의 안정적 분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 내피부재(14)는 그의 두께가 60 마이크론 이하, 바람직하기는 100~130℃ 정도의 열을 받게 되면 그 부위가 용융되어 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 두께인 40 마이크론 이하가 최적이며(10~40 마이크론 두께), 내피부재(14)의 필름 원료는 예를 들면 ISO 113의 측정방법에 의한 용융지수(MI) 7.0의 융점 130℃를 가지는 일반용 CPP 필름인 롯데 SFC750(상품명)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같은 용융온도 조건에 대해 외피부재(12)의 융점은 적어도 30℃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피부재(14)는 필름재이어서 다른 물체와 간섭할 경우 구멍이 쉽게 날 수 있고 크랙이 몸체의 다른 부분으로 번져나갈 수 있으나, 강하고 질기며 크랙 발생 및 크랙 전파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외피부재(12)에 의해 보호되므로 서로 다른 조직 특성이 상호 보완력을 발휘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 또는 산불 발생시 확산 저지선으로 설정된 장소, 예를 들면 산과 접한 민가 등의 주변에 펜스처럼 둘러쳐서 설치하게 되는 데, 설치 전에 먼저 소화용 물을 충전하게 된다. 물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포대를 형성하는 내외피부재의 일단을 매듭묶음(24a)한 상태에서 개방된 타단을 통해 내피부재(1)의 내부 공간(22)에 물을 공급하여 빵빵하게 채우고, 그 상태에서 개방된 단부를 매듭묶음(24b)하여 내부를 밀봉하면 설치 준비가 끝난다.
이 상태에서는 차단기구(10)가 마치 막대상 풍선과 같은 길죽한 원통형 몸체가 되며, 이를 산불의 확산을 차단하고자 하는 지점의 지면에 놓아 위치시키면 자중에 의해 지면과의 틈새를 없애도록 지면에 밀착되어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방어선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산불 확산 차단기구의 다른 실시예 구성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실시예는 차단기구(10)인 포대의 양 단부를 매듭묶음(24a,24b)해 놓은 상태에서 별도로 내피부재(14) 내에 소화제로서의 물을 주입할 수 있는 호스 접속구(26)를 구비하고 있다.
호스 접속구(26)는 내피부재(14) 내면에 밀착하는 중심공을 구비한 플랜지(28)와, 그 플랜지(28)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여 내피부재(14)와 외피부재(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중공 형태의 나사부재(30) 및 그 나사부재(30)에 나사 체결되어 플랜지(28)에 대하여 내외피부재(12,14)를 압착하여 밀봉하는 너트부재(32)를 포함하고 있으며, 너트부재(32)가 체결되고 남은 나사부재(30) 부위에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호스가 니플 접속되고 그 급수호스는 다시 수도 설비에 접속되어, 수도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급수호스 및 호스 접속구(26)를 통해 내부공간(20)에 충진된다.
이 급수설비는 산불 확산 차단기구(10)에 산불 화재 시까지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내피부재(14)의 물이 외부로 누출될 때 항시 물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화재와 관계 없이 미리 물을 충진시켜 놓거나 또는 화재시 현장에서 물을 충진시킨 후 급수호스를 분리하고, 마개(34)를 체결하여 밀봉처리할 수 있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차단 기구는 만일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 확산의 저지선으로 설정한 지역(또는 산속이나 산 가까이에 있는 민가)에 저지선(방어선)을 따라 지면에 놓아 울타리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같은 차단 기구의 설치지역에서는 화재 진압자나 주민이 없어도 불이 차단기구(10)까지 접근하여 화기에 노출되면 화재 열기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 기구(10)가 작동하여 물이 분사되면서 주변의 화재를 진화시키게 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a~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산불 확산 차단기구에 대한 차단 효과 시험을 촬영한 동영상의 정지화상으로서, 도 8a는 산불이 번져 차단기구에 도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8b는 외피부재 표면에 산불이 옮겨 붙어 타는 상태로서, 외피부재(12)에 옮겨 붙은 불의 열기가 내부에 수용된 내피부재(14)에 전달되어 융점이 낮고 방염처리가 되지 않은 내피부재(14)가 녹아 구멍이 나면서 외피부재(12)의 직조 조직 틈새를 통해 물이 분출되면서 주변의 불과 외피부재(12) 표면의 불이 소화 진압되는 광경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8c는 분출되는 물에 의해 차단기구를 포함한 주변의 불이 진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외피부재(12) 표면에 불이 옮겨 붙어도 외피부재(12)가 녹지 않는 이유는 외피부재(12)의 융점이 높고 외피부재(12)가 방염처리되었기 때문이며, 반면에 내피부재(14)는 융점이 낮고 방염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또는 물 분사를 위해 용융될 부분으로 선택된 구멍 부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 방염처리) 융점 온도인 110~130℃에 도달하게 되면 내피부재(14)가 용융, 또는 내피부재(14)의 방염처리가 되지 않은 구멍부위가 용융되면서 구멍이 나게 되고, 그 내부공간(20)에 충전된 물이 녹아서 생긴 그 구멍과 외피부재(12)의 직조조직 틈새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외피부재(12)에 옮겨 붙은 불과 그 주변의 불을 소화시켜 차단기구(10)를 넘어서 산불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도 8b 사진 참조).
이로써, 산불 확산 저지선에 화재 진압요원들이나 주민들이 지키고 있을 필요가 없이 안전지대로 대피하더라도 차단기구(10)가 도달한 열기에 의해 내피부재(14)가 녹아 구멍이 형성되면서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주변 화재를 진압하여 소화시키게 되는 것이다(도 8c의 분출되는 물줄기에 의해 불이 소멸된 상태의 사진 참조).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어떤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고, 위에서 개시한 기술 내용을 사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만들어진 간단한 수정, 균등한 변화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산불 확산 차단기구 12: 외피부재
14: 내피부재 16: 위사 테이프
18: 경사 테이프 20: 내부공간
22: 소화제(물) 24(24a,24b): 매듭묶음
26: 호스 접속구 28: 플랜지
30: 나사부재 32: 너트부재
34: 마개

Claims (5)

  1. 열가소성 플라스틱재 테이프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직조한 마대 형상의 외피부재; 및 상기 외피부재 내부에 수용되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재를 원통형상으로 압출한 필름상 원통용기로서, 내부 공간에 물이 충진되는 내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피부재는,
    씨실과 날실이 한 올씩 교차된 평직(plain)망사, 즉 1:1로 직조된 망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경사와 위사를 상하로 교차시킨 능직(twill-weave)망사를 사용하여 원통형상의 포대를 이루도록 제조되고,
    상기 외피부재는 방염처리되며, 상기 내피부재는 물을 분사할 구멍으로 선택한 부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방염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750 데니아(D) 이상이며, 상기 내피부재는 20~40 마이크론 두께이고 융점 120~130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내피부재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내피부재의 단부 또는 상기 내외피부재의 합쳐진 단부는 매듭묶음처리에 의해 봉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내피부재에 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내피부재의 단부 또는 상기 내외피부재의 합쳐진 단부는 열접착 처리에 의해 봉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화재의 확산 차단기구의 일측에 호스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어 산불 화재시 수도전으로부터 호스를 통해 내피부재 내부 공간에 물을 공급 또는 보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KR1020230163465A 2020-06-04 2023-11-22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KR10262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3465A KR102623392B1 (ko) 2020-06-04 2023-11-22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835A KR102607637B1 (ko) 2020-06-04 2020-06-04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KR1020230163465A KR102623392B1 (ko) 2020-06-04 2023-11-22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35A Division KR102607637B1 (ko) 2020-06-04 2020-06-04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987A true KR20230163987A (ko) 2023-12-01
KR102623392B1 KR102623392B1 (ko) 2024-01-10

Family

ID=788165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35A KR102607637B1 (ko) 2020-06-04 2020-06-04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KR1020230163465A KR102623392B1 (ko) 2020-06-04 2023-11-22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35A KR102607637B1 (ko) 2020-06-04 2020-06-04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31609B2 (ko)
KR (2) KR102607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L2021002428A1 (es) * 2021-09-16 2022-01-28 Carlos Risso Juan Sistema y método contra incendios forestales conformado por bolsas contenedoras de agua dispuestas predictivamente como líneas hídricas, instaladas transversalmente al avance del fuego formando barreras cortafuego, para extinguir o mitigar el avance del incendi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335B1 (ko) 2009-12-01 2012-06-13 박형갑 산불 소화장치
KR20150058138A (ko) * 2013-09-27 2015-05-28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자동 소화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05825D0 (en) * 1994-08-15 1995-06-14 Parkes John Improvements in munitions demolition
KR20000021255U (ko) * 1999-05-24 2000-12-26 이경환 산불 방화 물팬스
US7717187B1 (en) * 2004-01-14 2010-05-18 Miller John 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tarding fire
KR100851400B1 (ko) * 2007-07-04 2008-08-11 대한민국 산불진화용 소방호스
US20150192251A1 (en) * 2014-01-07 2015-07-09 Composite Technology Development, Inc. High pressure carbon composite pressure vessel
US20200238113A1 (en) * 2019-01-24 2020-07-30 William Glaser Wildfire containment barr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335B1 (ko) 2009-12-01 2012-06-13 박형갑 산불 소화장치
KR20150058138A (ko) * 2013-09-27 2015-05-28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자동 소화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1609B2 (en) 2024-03-19
KR102623392B1 (ko) 2024-01-10
KR102607637B1 (ko) 2023-11-29
KR20210150869A (ko) 2021-12-13
US20210379430A1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3392B1 (ko) 산불의 확산 차단 기구
DE102016212645B4 (de) Unbemanntes Fahrzeug, System und Verfahren zur Einleitung einer Brandlöschaktion
WO2014127604A1 (zh) 全自动森林灭火工程设备
CN106039625A (zh) 一种水系灭火剂及其与消防无人机结合的灭火方法
NO791289L (no) Middel for forebygging, begrensing og slukking av brann
AU2011366196A1 (en) Fire resistant artificial turf
RU2195468C2 (ru) Устойчивая к ультрафиолету пластмассовая пленка или покрытие, используемое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от неблагоприятных климатических условий
CN102553116A (zh) 一种细水雾灭火系统
KR10116206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US20130202822A1 (en) Encapsulated fire extinguishing agents
EP1103284A2 (de) Brandbekämpfungssystem für Autotunnels
US20150068776A1 (en) Fire-protection mechanism
EP2826624B1 (en) Stretch film comprising calcium carbonate
KR20170116999A (ko) 자동 겸용 수동 소화기
KR100669069B1 (ko)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의 물 분사장치
CN113769319B (zh) 用于森林、草原防火的连接式温控胞衣阻化球及使用方法
CN103537034A (zh) 具有安全逃生功能的消防水带
KR102180417B1 (ko) 화재진압 쓰레기통
KR200390191Y1 (ko) 산불 방화용 물 저장 주머니 설치 구조
DE3814751C2 (de) System zur Reduzierung des Risikos der Brandausbreitung
KR100708594B1 (ko) 산불 방화용 물 저장 주머니 설치 구조
CN109701181A (zh) 森林火灾警示灭火多功型消防系统
CN203971247U (zh) 一种隧道专用检修、消防窄轨牵引机车
Verma et al. FIRE SAFETY OF PLASTIC CIRCULATION AND RECYCLED PLASTICS
KR102412738B1 (ko) 워터 백 및 빗물 저수조를 이용한 산불방지용 화염 차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