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865A - 문양 블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문양 블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865A
KR20230163865A KR1020220063715A KR20220063715A KR20230163865A KR 20230163865 A KR20230163865 A KR 20230163865A KR 1020220063715 A KR1020220063715 A KR 1020220063715A KR 20220063715 A KR20220063715 A KR 20220063715A KR 20230163865 A KR20230163865 A KR 20230163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old
main
forming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홍
Original Assignee
조성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홍 filed Critical 조성홍
Priority to KR102022006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865A/ko
Publication of KR2023016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1Moulds, cores or mandrels specially adapted for mechanically working moulding surfaces during moulding or demoulding, e.g. smoothing by means of mould walls driven during moulding or of parts acting during de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one ram per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블록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된 문양블록 표면의 일측 또는 문양형성부에 거칠게 형성되는 면을 별도의 절단작업 없이 볼륨감 있게 형성시킬 수 있는 문양블록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양 블록 제조장치{Pattern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문양블록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된 문양블록 표면의 일측 또는 문양형성부에 거칠게 형성되는 면을 별도의 절단작업 없이 볼륨감 있게 형성시킬 수 있는 문양블록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가옥, 주택단지 조성, 공용주택단지, 도로건설, 수로, 및 제방공사, 담장 등의 각종 건축공사와 토목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블록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블록들은 건식과 습식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습식방식은 양생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나 색상이나 문양의 표출이 자유롭다. 그리고 건식방식은 상대적으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나 수직 문양 이외에는 다양한 문양과 색상의 표현이 어렵다. 건식으로 제조되는 블록들은 골재와 시멘트를 적절한 혼합비로 혼합한 몰탈을 이용하여 성형, 양생하는 방식으로 제조 되므로 축조된 담,옹벽블록은 콘크리트 질감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외관이 불량하고 미감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블록 또는 옹벽블록의 제조과정에서 안료를 혼합하여 특성 색상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노출되는 부위에 소정의 문양을 넣어 제조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블록의 표면 일측 또는 문양 형성부에 거칠한 면이 형성되게 하기 위하여, 2개 또는 3개의 벽돌식 양면 문양블록이 일체로 연결된 형상의 블록조성물을 양생한 다음, 절단용 블레이드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양생된 상기 블록조성물의 중앙 부분이나 또는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타격 한다.
그런데, 타격을 이용하여 블록조성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타격 시 문양을 형성하도록 돌출된 부분이 균일하게 양분되기 어렵고, 파손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므로 전문시공업자에 의해 절단작업이 이루어져야한 단점이 있다.
또한, 타격을 이용하여 블록조성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전면에 거칠한 면이 형성되어 돌출되지 않아, 볼륨감이 없으며 직선형태로 형성이 되므로 블록의 배면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9671호 : 문양블록 및 문양 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양블록제조방법.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과제는 블록 또는 옹벽블록을 제조함에 있어서, 성형된 블록을 금형으로부터 인출 시 블록 표면의 일측 또는 문양형성부의 일면이 자동으로 거칠게 형성될 수 있어 별도의 절단 또는 파쇄공정이 필요없으며, 일측면과 타측면에 거칠게 형성된 면이 볼륨감 있게 형성될 수 있고, 거칠게 형성된 면의 크기 및 형상을 상호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는 문양 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양블록제조장치는 블록조성물이 주입되어 양생될 수 있도록 상하면이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공간이 마련되고 상호 마주하는 일측 또는 타측 내주면에 인입형성되되 하방으로 개방되며 상호 폭이 동일하거나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양형성홈이 각각 형성된 메인금형과, 상기 주입공간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금형의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주입공간의 상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금형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블록조성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금형을 포함하는 금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문양형성홈은 상부에 인입형성되는 메인문양형성부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블록조성물이 하강 시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에 충진된 상기 블록조성물의 일부가 간섭되는 절단턱이 형성되게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부를 따라 상기 메인문양형성부 보다 적은 깊이로 인입형성되며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와 연통되는 절단턱 형성부과; 상기 절단턱형성부의 하단을 따라 상기 절단턱형성부보다 깊게 인입형성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인출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금형은 내부에 상기 주입공간이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일면 또는 타면에 폭이 좁아지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줄눈형성리브와 상기 문양형성홈이 형성된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의 상호 직교하는 내주면을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금형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 돌출형성되며 마주하는 상기 제1줄눈형성리브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2줄눈형성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금형은 상기 주입공간의 내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주입공간의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한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공간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상기 그룹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다수의 관통공형성바와, 상기 금형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공간의 폭 방향 중심측에 위치되게 상기 금형본체에 지지되며 다수의 상기 관통공형성바의 상단들을 각각 연결하는 바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세팅부 형성유닛;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턱형성부는 상기 절단턱의 측면이 하부에 상하방향 직립되게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인입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양 블록제조장치는 금형유닛의 내측에 하방으로 개방된 문양형성인입부의 하부가 상부보다 적은 깊이로 인입되어 절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주입공간에 성형된 블록조성물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인출 시, 문양형성인입부의 상부에 충진된 부분 블록조성물 중 절단턱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부분이 깍이게 되면서 자동으로 거친 면이 형성되므로, 별도의 절단 또는 파쇄공정이 필요없어 제조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양 블록제조장치는 문양형성인입부의 상부로 충진된 블록조성물을 절단턱을 통해 부분적으로 깍아, 문양블록에 형성되는 거친면을 볼륨감있게 성형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문양블록이 조적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문양블록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문양블록제조장치의 금형에 대한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문양블록제조장치에서 블록조성물이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문양블록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6의 문양블록제조장치에 대한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문양블록(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문양블록제조장치(100)에 제조된 문양블록(1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문양블록(10)은 본체부(20)와, 본체부(20)의 전후방향을 향하는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형성되어 조적 시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부(30)를 구비한다.
본체부(20)는 전방 또는 하방을 향하는 일면 또는 타면에 각각 인입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줄눈형성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20)는 각 모서리 측이 수평방향으로 접하는 다른 문양블록(10)의 본체부(20)의 모서리측과 형합되어 상기 제1줄눈형성부(21)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줄눈형성부(26)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부의 폭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폭 방향 중심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상하로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4)이 마련된 다수의 위치세팅부(23)를 구비한다.
본체부(2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인접하게 형성된 하나의 결속부(23)는 접하는 다른 하나의 문양블록(10)의 길이빙향 타단측에 인접하게 형성된 다른 하나의 위치세팅부(23)와의 이격거리가, 하나의 본체부(2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세팅부(23)들 간의 이격거리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문양형성부(30)는 본체부(20)의 일면에 형성된 제1문양(31)과, 본체부(20)의 타면에 형성된 제2문양(41)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문양형성부(30)는 본체부(20)의 양면에 제1문양(31)들이 본체부(20)를 중심으로 상호 좌우대칭 되거나 점 대칭되게 형성되거나, 본체부(20)의 양면에 제2문양(41)들이 상호 대칭되거나 점 대칭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제1문양(31)은 본체부(20)의 일면의 형성된 하나의 제1줄눈형성부(21)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20)의 일면에 대해 각각 돌출형성되는 제1 및 제2문양형성돌출부(33,35)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문양형성돌출부(33,35)는 본체부(20)의 일면에 대해 돌출된 형상 및 폭의 동일하되 폭의 크기를 달리한다.
제2문양(41)은 본체부(20)의 타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줄눈형성부(21)를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본체부(20)의 타면에 대해 각각 돌출형성되는 제3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43,45,47)를 구비한다. 제3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43,45,47)는 본체부(20)의 타면에 대해 돌출된 형상이 각각 동일하되, 상호 폭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문양형성돌출부(43)와 제4문양형성돌출부(47)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문양형성부(30)는 제1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33,35,43,45,47) 중 본체부(20)의 일면 또는 타면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동일하거나 상호 다른 하나 이상이 상호 조합되어 배열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33,35,43,45,47)은 폭은 서로 다르되, 각각 상부에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스크레치면 형성부(51)와,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매끈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평활면 형성부(53)와, 제1평활면 형성부(5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제1평활면형성부(53)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평활면형성부(57)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수의 문양블록(10)은 도 1을 참고하면, 일면과 타면이 상호 엇갈리거나 동일한 방향을 갖도록 동일 수평선상으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는 상호 엇갈리게 조적되되 수직상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위치세팅부(23)와 연통되게 조적될 수 있다.
상하방향으로 조적된 문양블록(10)들의 연통된 위치세팅부(23)들의 관통공(24)에는 문양블록(10)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연장된 다수의 위치고정바(5)가 관통되어 문양블록(10)들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는 도 3 내지 조 5를 참조하면, 블록조성물이 주입되는 주입공간(121a)이 마련된 금형유닛(100)과,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금형유닛(100)에 설치되어 주입공간(121)으로 블록조성물 주입 시 금형유닛(100)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와, 금형유닛(100)에 블록조성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구비한다.
바이브레이터는 회전하는 회전축에 편심캠이 설치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는 금형유닛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금형유닛를 이동시키는 원형테이블 또는 금형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유닛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입공간(121a)의 상방에 위치하며, 내부에 블록조성물이 유입되는 유입로가 마련되며, 하면에 블록조성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의 유입로에 블록조성물을 공급하는 조성물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조성물공급부는 공급호퍼에 설치되어 공급호퍼의 유입로로 블록조성물을 이송하는 조성물 이송컨베이어와, 조성물 이송컨베이어로 블록조성물을 공급하는 투입호퍼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금형유닛(100)은 내부에 투입되어 성형된 블록조성물 인출 시 양면에 거칠게 형성된 제1 또는 제2문양(31,41)을 갖는 초기 양생물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하면이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공간(121a)이 마련된 메인금형(120)과, 주입공간(121a)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메인금형(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플레이트(110)와, 상기 주입공간의 상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금형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압금형(210)을 구비한다.
메인금형(12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내부공간(121)을 갖는 직사각기둥 형상의 금형본체(122)와, 금형본체(122)의 내부공간(121)이 다수의 주입공간(121a)으로 구획되게 금형본체(12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금형본체(122)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상호 나란한 다수의 구획격벽(128)을 구비한다.
그리고, 메인금형(120)은 구획격벽(128)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일면 또는 타면이나, 구획격벽과 마주하는 금형본체(122)의 내주면 양단 사이에 제1줄눈형성부(21)의 인입된 형상에 대응되게 폭이 좁아지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제1줄눈형성리브(130)와; 구획격벽(128)의 길이방향 양단부측 각 양측면에 메인금형(120)과 접하게 돌출되거나, 구획격벽(128)과 나란하게 마주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 양단부측에 구획격벽(128)과 직교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과 접하게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복수의 제2줄눈형성리브(133);를 구비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금형본체(122)의 폭 방향의 내주면과 금형본체(122)의 길이방향의 내주면을 연결하거나, 금형본체(122)의 길이방향의 내주면과 구획격벽(128)을 연결하는 제2줄준형성리브(133)의 일면은 금형본체(122)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줄준형성리브(130)의 제1면(131) 또는 제2면(132)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메인금형(120)은 문양블록(10)의 다수의 위치세팅부(23) 형성을 위한 위치세팅부 형성유닛(135)을 구비한다.
위치세팅부 형성유닛(135)은 위치세팅부(23)의 관통공(24) 형성을 위해 주입공간(121a) 내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주입공간(121a)의 폭 방향 즉, 금형본체(12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주입공간(121a)의 폭 방향 중심측에서 주입공간(121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그룹을 형성하는 다수의 관통공형성바(136)와; 한 그룹을 형성하는 다수의 관통공형성바의 상단들을 각각 연결하는 원판 형상의 복수의 연결판(140)과, 금형본체(122)의 폭 방향으로 주입공간(121a)보다 돌출되게 연장되어 주입공간(121a)의 폭 방향 중심측에 위치되게 금형본체(122)에 지지되며 하단에 복수의 연결판(140)이 고정된 판 지지리브(138)를 포함하는 바지지부재(137);를 구비한다.
그리고, 문양블록(110)에 제1 및 제2문양(31,41)이 형성되게, 제1문양(31)에 대응되게 인입된 제1 문양형성인입부(145,155)와, 제2문양(41)에 대응되게 인입된 제2문양형성인입부(165,175,185)가 구획격벽(128)과 마주하는 금형본체(122)의 길이방향 내주면 측과, 구획격벽(128)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을 참고하면, 구획격벽(128)의 일면과 마주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과, 구획격벽(128)의 타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복수의 제2줄눈형성리브(133) 사이에 하나의 제1줄눈형성리브(133)가 형성되고, 제1문양(31)에 대응되게 인입된 제1문양형성인입부(145,155)가 형성된다.
구획격벽(128)의 타면과 마주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과, 구획격벽(128)의 일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복수의 제2줄눈형성리브(133) 사이에 복수의 제1줄눈형성리브(133)가 형성되고, 제2문양(41)에 대응되게 인입된 제2문양형성인입부(165,175,185)가 형성된다.
제1문양형성인입부는 구획격벽(128)의 일면과 마주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과, 구획격벽(128)의 타면에 형성된 하나의 제1줄눈형성리브(130)를 사이에 두고 인입형성된 제1 및 제2문양형성홈(145,155)을 구비한다.
제2문양형성인입부는 구획격벽(128)의 타면과 마주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과, 구획격벽(128)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줄눈형성리브(13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제3, 제4 및 제5문양형성홈(165,175,185)을 구비한다.
제1 내지 제5문양형성홈(145,155,165,175,185)은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인입형성되되, 폭은 상호 동일하거나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문양형성홈(145,155,165,175,185)은 메인문양형성부(146,156,166,176,186)와,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방에 절단턱(149,159,169,179,189)이 형성되게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단을 따라 상기 메인문양형성부보다 작은 깊이로 인입형성되며 메인문양형성부와 연통된 절단턱형성부(148,158,168,178,188,188)와, 절단턱형성부의 하방에 절단턱형성부보다 깊게 인입되며 하방으로 개방되게 인입되며 절단턱형성부와 연통되는 인출가이드부(150,160,170,180,190)를 각각 구비한다.
메인문양형성부(146,156,166,176,186)는 사각형상으로 인입되어 있으며, 절단턱(149,159,169,179,189)은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단을 따라 직선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절단턱(149,159,169,179,189)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메인문양형성부에 충진된 블록조성물과 간섭되어 떨어져 나가면서 문양블록(10)에 돌출된 제1 또는 제2문양(31,41)에 스크레치면 형성부(51)가 형성되게 한다.
절단턱형성부(148,158,168,178,188,188)는 절단턱(149,159,169,179,189)의 측면이 하부에 상하방향 직립되게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메인문양형성부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크레치 형성이 용이하게, 절단턱(149,159,169,179,189)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인입된 요홈이 절단턱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절단턱은 상단이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단부에 멀어질수록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며 측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절단턱의 상단 일측이 상방으로 테이퍼지게 돌출되어 절단턱의 측면보다 돌출되게 메인문양형성부에 수용된 블록조성물이 잘 떨어져 나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구획격벽(128)의 일면과 타면, 구획격벽(128)과 마주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들에 형성된 제1줄눈형성리브(133)는 도시된 개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구획격벽(128)의 일면과 타면, 구획격벽(128)과 마주하는 메인금형(120)의 내주면들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제1줄눈형성리브(1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및 제2문양형성인입부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내지 제5문양형성홈(145,155,165,175,185)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거나, 동일한 것이 복수 개 형성되거나, 상호 다른 두 개 이상이 상호 혼합되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가압금형(210)은 주입공간(121a)에 삽입되는 상판(212)들과, 상판(212)들이 다수의 연결봉(253)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승강부재(253)에 의해 승강되는 고정판(211)을 구비한다.
승강부재(253)는 상방에 위치된 프레임(미도시) 상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고정판(211)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212)은 주입공간(121a)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판지지리브(138)가 관통되게 상호 이격되며, 판지지리브(138)에 대해 양측으로 돌출된 연결판(140)이 통과되도록 반원형 형상의 판 통과홈과, 제1줄눈형성리브(130)가 통과되도록 삼각형상의 리브통과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1단위상판(213)과, 제2단위상판(223)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단위상판(213,223)은 제2줄눈형성리브(133)가 통과되도록 구획격벽(128)과 마주하는 금형본체(122)의 내주면을 향하거나, 구획격벽(128)의 일면 또는 타면 측을 향하는 양측 각각 모서리가 각각 절제되어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양블록제조장치(100)를 통해, 문양블록(10)을 제조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주입공간(121a)으로 블록조성물을 주입하고,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주입공간(121a)을 채운다.
메인금형(120)의 각 주입공간(121a)에 블록조성물이 공급완료되면, 승하강부재(235)를 길이신장시켜 상측으로 가압금형을 인입하고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진동을 인가하여 블록조성물 내에 공기구멍을 제거한다. 공기구멍이 제거된 블록조성물을 주입공간(121a) 내에서 소정시간동안 양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235)의 길이를 신장시켜 상판이 블록조성물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블록조성물이 안착플레이트(110)와 함께 하방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판의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블록조성물이 이동시, 불록조성물의 메인문양형성부(146,156,166,176,186)로 유입된 중, 절단턱(149,159,169,179,189)의 측면보다 돌출된 부분이 절단턱(149,159,169,179,189)에 깍이게 되면서, 전면이 거칠게 형성된 스크레치면 형성부(51)가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인출가이드부(150,160,170,180,190)이 절단턱의 측면보다 인입되게 형성된 것은 스크레치면 형성부(51)의 전면이 간섭되어 거칠게 형성된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는 메인금형(120)의 내측에 하방으로 개방된 제1 및 제2문양형성인입부의 하부가 상부보다 적은 깊이로 인입되어 절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주입공간(121a)에 성형된 블록조성물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인출 시 제1 및 제2문양형성인입부의 상부에 충진된 블록조성물 중 절단턱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부분이 깍이게 되면서 자동으로 거친 면이 형성되므로, 별도의 절단 또는 파쇄공정이 필요없어 제조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100)는 제1 및 제2문양형성인입부 상부로 충진된 블록조성물을 절단턱을 통해 부분적으로 깍아, 문양블록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되는 거친면을 볼륨감있게 성형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는 제1 및 제2문양형성인입부의 메인문양형성부와, 절단턱이 이루는 상하로 이루는 형상에 따라 거칠게 형성된 면의 크기 및 형상이 상호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양블록제조장치의 금형유닛(300)과 이에 의해제조된 문양블록(3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형유닛(300)은 제1 내지 제5 문양형성홈의 형상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형유닛(10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문양형성홈(345,355)의 메인문양형성부(346,356)는 원형상으로 인입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문양형성홈(345,355)의 절단턱(349,359)은 일정한 길이로 돌출형성되되 메인문양형성부(346,356)의 가장 큰 폭을 갖는 부분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방으로 오목한 호형곡률을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내지 제5문양형성홈의 메인문양형성부도 원형상으로 인입되고, 제3 내지 제5문양형성홈의 절단턱도 제3 내지 제5문양형성홈의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단을 따라 하방으로 오목한 호형곡률을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상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금형유닛(300)에 의해 제조된 문양블록의 제1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는 도 6을 참고하면, 상호 폭을 달리하되 동일한 두께로 돌출형성된다.
제1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는 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거칠게 형성된 스크레치면 형성부(251)와,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가장 큰 폭을 갖는 부분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하로 일정한 폭으로 하방으로 오목한 호형곡률을 갖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평활면형성부(253)와, 제1평활면형성부의 하방에서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가장 큰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스크레치면 형성부와 제1평활면형성부보다 돌출되며 본체부(20)의 하단까지 연장되며 상단은 제1평활면형성부의 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평활면형성부(255)를 각각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의 스크레치면 형성부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평활면형성부는 마름모 형상의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가장 큰 폭을 갖는 중심측에서 하단까지의 형상에 대응되게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평활명형성부는 제1평활면형성부의 하방에서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가장 큰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스크레치면 형성부와 제1평활면형성부보다 돌출되며 상단이 제1평활면형성부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재 제5문양형성홈의 메인문양형성부는 마름모 형상으로 인입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5문양형성홈의 절단턱은 일정한 길이로 돌출형성되되 메인문양형성부 가장 큰 폭을 갖는 중심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방으로 길이방향 중심측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의 스크레치면 형성부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평활면형성부는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가장 큰 폭을 갖는 하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2평활명형성부는 제1평활면형성부에 대응되는 폭으로 스크레치면 형성부와 제1평활면형성부보다 돌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재 제5문양형성홈의 메인문양형성부는 삼각 형상으로 인입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5문양형성홈의 절단턱은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단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내지 제5문양형성돌출부의 스크레치면 형성부는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평활면형성부는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형상에 대응되게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평활명형성부는 제1평활면형성부의 하방에서 스크레치면 형성부의 가장 큰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스크레치면 형성부와 제1평활면형성부보다 돌출되며 상단이 제1평활면형성부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재 제5문양형성홈의 메인문양형성부는 역삼각 형상으로 인입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5문양형성홈의 절단턱은 일정한 길이로 돌출형성되되 메인문양형성부 가장 큰 폭을 갖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방으로 길이방향 중심측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문양블록 20 : 본체부
21 : 제1줄눈형성부 23 : 위치세팅부
26 : 제2줄눈형성부 30 : 문양형성부
51 : 스크레치면형성부 100 : 금형유닛
110 : 안착플레이트 120 : 메인프레임
121a : 주입공간 146 : 메인문양형성홈
148 : 절단턱형성부 150 : 인출가이드부
210 : 가압금형

Claims (6)

  1. 블록조성물이 주입되어 양생될 수 있도록 상하면이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주입공간이 마련되고 상호 마주하는 일측 또는 타측 내주면에 인입형성되되 하방으로 개방되며 상호 폭이 동일하거나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양형성홈이 각각 형성된 메인금형과, 상기 주입공간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금형의 하부를 지지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주입공간의 상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금형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블록조성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금형을 포함하는 금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문양형성홈은
    상부에 인입형성되는 메인문양형성부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블록조성물이 하강 시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에 충진된 상기 블록조성물의 일부가 간섭되어 탈락되도록 절단턱이 형성되게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의 하부를 따라 상기 메인문양형성부 보다 적은 깊이로 인입형성되며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와 연통되는 절단턱 형성부과;
    상기 절단턱형성부의 하단을 따라 상기 절단턱형성부보다 깊게 인입형성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인출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금형은
    내부에 상기 주입공간이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일면 또는 타면에 폭이 좁아지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줄눈형성리브와 상기 문양형성홈이 형성된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의 상호 직교하는 내주면을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금형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 돌출형성되며 마주하는 상기 제1줄눈형성리브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2줄눈형성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금형은
    상기 주입공간의 내에서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주입공간의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한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공간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상기 그룹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다수의 관통공형성바와, 상기 금형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공간의 폭 방향 중심측에 위치되게 상기 금형본체에 지지되며 다수의 상기 관통공형성바의 상단들을 각각 연결하는 바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세팅부 형성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턱형성부는
    상기 절단턱의 측면이 하부에 상하방향 직립되게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메인문양형성부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인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금형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금형본체의 내부공간이 복수의 상기 주입공간으로 구획되게 상기 금형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문양형성홈이 형성된 상기 금형본체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일면 또는 타면에 상호 폭이 동일하거나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문양형성홈이 각각 형성된 구획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턱은
    상단이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단부에 멀어질수록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제조장치.
KR1020220063715A 2022-05-24 2022-05-24 문양 블록 제조장치 KR20230163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715A KR20230163865A (ko) 2022-05-24 2022-05-24 문양 블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715A KR20230163865A (ko) 2022-05-24 2022-05-24 문양 블록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865A true KR20230163865A (ko) 2023-12-01

Family

ID=8912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715A KR20230163865A (ko) 2022-05-24 2022-05-24 문양 블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8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71B1 (ko) 2015-01-19 2018-01-17 조성홍 문양블록 및 문양 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양블록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71B1 (ko) 2015-01-19 2018-01-17 조성홍 문양블록 및 문양 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양블록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522B2 (en) Block system with corner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lock
US7591447B2 (en) Wall block, system and mold for making the same
CA2700908C (en) Retaining wall block
TW421688B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7963727B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retaining wall comprised of retaining wall blocks
CA2686076A1 (en) Mold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lock
PT1372923E (pt) Mecanismo e método de corte de blocos de alvenaria
US8992814B1 (en) Method for dry casting concrete blocks
US118792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uble faced wall
US20220314490A1 (en) Mold assembly for molding two concrete block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crete blocks
KR101819671B1 (ko) 문양블록 및 문양 블록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양블록제조방법
US6681542B2 (en) Stair block for use in landscaping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230163865A (ko) 문양 블록 제조장치
US3504408A (en) Apparatus for molding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O20080913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masonry block
WO20140896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building blocks and a mold for manufacturing row building blocks or corner building blocks
KR102390723B1 (ko)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제조방법
CN220167548U (zh) 填充墙灰缝控制模具
KR20010027276A (ko)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JPH072173Y2 (ja) 舗装用ブロックの成型装置
CA2574123C (en) Stair block for use in landscaping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