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494A - 결합 요소, 잠금 시스템 및 가구 - Google Patents

결합 요소, 잠금 시스템 및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494A
KR20230163494A KR1020237037050A KR20237037050A KR20230163494A KR 20230163494 A KR20230163494 A KR 20230163494A KR 1020237037050 A KR1020237037050 A KR 1020237037050A KR 20237037050 A KR20237037050 A KR 20237037050A KR 20230163494 A KR20230163494 A KR 2023016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urniture
pull
coupling element
l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군터 베르만
볼커 폴만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16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05B65/46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for two or more drawers
    • E05B65/463Drawer interlock or anti-tilt mechanisms, i.e. when one drawer is ope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awers is locked
    • E05B65/464Drawer interlock or anti-tilt mechanisms, i.e. when one drawer is ope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awers is locked comprising two or more lock elements aligned in end-to-end abutting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68Spring arrangements in locks made of one piece with a lock part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을 갖는 가구의 잠금 바(5)를 상기 풀-아웃 가구 부품(2)들 중 어느 하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액티베이터(9)에 결합하는 결합 요소(3)는, 상기 잠금 바(5)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가구 부품(2) 또는 다른 가구 부품(2)의 풀-아웃 이동을 잠그기 위해 상기 잠금 바(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라이버(4)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1)은 드라이버(4)의 핀(44)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트랙(34)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잠금 바(5)에 대해 상기 하우징(31)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2)를 가진다. 또한, 잠금 시스템 및 가구에 대해 설명한다.

Description

결합 요소, 잠금 시스템 및 가구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풀-아웃 가구 부품들 중 하나의 액티베이터(activator)에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갖는 가구의 잠금 바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잠금 시스템 및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 요소는 특히 가구의 가구 부품을 서로 위에 여러 가구 부품이 배치된 상태로 풀-아웃하기 위한 잠금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러한 잠금 시스템은 예를 들어 EP 2 210 525 B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시스템을 통해 여러 서랍이 서로 위에 배치된 가구의 경우 예를 들어 서랍 중 하나가 인출된 후 다른 서랍 중 하나 이상이 동시에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시스템은 각각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의 작동을 단순화하는 자동-수축(retracting) 장치, 이젝터 또는 댐핑 요소와 같은 추가 기능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잠금 시스템의 복잡한 측면은 특히 가구 부품을 결합 요소에 결합할 때의 잠금 시스템의 조립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잠금 시스템에 개별적인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결합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풀-아웃 가구 부품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시스템에 대응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가구 부품을 잠금 바에 결합하는 것이 간소화되도록 여러 개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갖는 가구를 더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결합 요소, 청구항 9의 특징을 갖는 잠금 시스템, 및 청구항 12의 특징을 갖는 가구에 의해 해결된다.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갖는 가구의 잠금 바를 풀-아웃 가구 부품들 중 하나의 풀-아웃 가구 부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액티베이터에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요소는 잠금 바에 맞닿을 수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가구 부품의 확장 움직임을 잠그기 위해 잠금 바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라이버를 갖는다.
하우징은 드라이버의 핀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트랙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은 잠금 바에 대해 하우징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더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를 통해 결합 요소의 하우징을 고정함으로써, 액티베이터가 배치된 확장 가능한 가구 부품을 삽입 방향으로 간단히 밀어 결합 요소의 드라이버에 대해 간단한 방식으로 밀어 넣을 수 있고, 상기 결합 요소 자체는 스프링 요소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풀-아웃 가구 부품에 부착된 액티베이터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어, 간편하고 안전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 범위의 실시예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에 형성된 스프링 암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스프링 암으로 설계된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에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암으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다리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 다리가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각을 이룬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가,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부터 제1다리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제2다리의 자유단이 하우징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제2다리는 조립과정에서 결합 요소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결합 요소를 잠금 바에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다리는 제2다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다리의 자유단 영역에 체결 요소를 수용하는 체결 영역이 형성된다.
결합 요소의 하우징은, 예를 들어, 눈과 같이 설계된 체결 영역을 통해 가구 몸체의 벽에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톱 핀이나 다월(dowel)의 도움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체결 영역은 접착면으로 설계되어 접착 본딩에 의해 몸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의 대향하는 외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를 통해, 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해 결합 요소의 하우징이 방해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의 체결 영역은 하우징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 서로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의 외측 가장자리 중 정확히 하나에서 돌출된다.
정확히 하나의 외측 가장자리에 2개의 스프링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결합요소의 하우징의 편향 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조립이 용이해진다.
이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으로부터 먼 단부에 체결 요소를 수용하거나 본딩을 위한 체결 영역이 형성된 직선다리로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의 체결 영역은 웹(web)에 의해 함께 결합되며, 이는 결합 요소의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갖는 가구의 풀-아웃 가구 부품용 잠금 장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부착된 수축(retracting) 요소를 갖는 자동-수축 장치, 및 잠금 바를 풀-아웃 가구 부품에 결합시키는 결합 요소를 갖는다.
결합 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되어 결합 요소의 드라이버가 자동-수축 장치의 수축 요소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수축 장치의 하우징은 결합 요소의 하우징에 결합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수축 장치의 하우징은 결합 요소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개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갖는 가구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벽을 갖는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상에는 서로 위에 배열된 여러 개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배열된다.
몸체의 적어도 한 벽에는 가구 부품의 인입(pull-out) 운동을 잠그기 위한 잠금 바가 고정되어 있다.
가구는 잠금 바를 풀-아웃 가구 부품들 중 각각의 하나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한다.
결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된다.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잠금 바 내에 또는 잠금 바 상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의 하우징은 가구의 몸체의 벽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풀-아웃 가구 부품들은 자동-수축 장치 및/또는 잠금 장치와 관련되며, 자동-수축 장치는 하우징과 이에 부착된 수축 요소를 포함하며, 이것은 결합 요소의 드라이버에 결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가구와 이 가구에서 인출될 수 있는 가구 부분의 단면도로, 풀-아웃 가구 부품의 잠금 위치에서 잠금 바에 부착된 결합요소를 도시한다.
도 2는 잠금 바의 후면에서 생략된 가구 몸체의 측면 패널을 갖는 등각 도면이다.
도 3은 잠금 바의 전면에서 내부에 유지된 결합 요소와 액티베이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잠금 위치에서 피봇된 드라이버에 의해 액티베이터의 인-입 또는 밀고-당김 위치에 도시된 액티베이터를 갖는 결합 요소의 등각 도면이다.
도 5는 결합 요소와 풀-아웃 가구 부품의 액티베이터의 결합 이후 또는 결합 이전의 도 1에 대응하는 등각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이한 방향에서의 결합 요소의 하우징의 일 실시예의 등각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에 대응하고, 드라이버가 삽입된 등각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a 및 도 6b에 각각 대응하고, 결합 요소의 하우징의 또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6a 및 도 6b에 각각 대응하고, 결합 요소의 하우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풀-아웃 가구 부품의 액티베이터가 결합 요소에 조립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 1에 대응하는 등각 도면이다.
도 12는 잠금 바의 전방에 배치된 결합요소의 또 다른 설계 변경 예의 상면도로,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링 요소를 갖는 잠금 바의 전면에 배치된 결합 요소의 또 다른 설계 변경 예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결합 요소가 상방으로 이동된 도 12에 대응는 도면이다.
도 14는 자동-수축 장치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결합 요소의 등각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대응하는 자동-수축 장치의 배면도이다.
이하의 도면 설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용어는 각각의 도면에서 선택된 결합 요소, 잠금 바, 가구 부품, 가구, 드라이버 등의 예시적인 표현과 위치를 독점적으로 가리킨다. 이러한 용어들은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즉 상이한 작업 위치나 반사-대칭적인 설계 등으로 인해 이러한 참조가 바뀔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요소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결합 요소(3)는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을 갖는 가구의 잠금 바(5)를 풀-아웃 가구 부품(2)들 중 하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액티베이터(9)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도 1에서 서랍으로 표시된 풀-아웃 가구 부품(2)은 여기서 풀-아웃 가이드로 설계된 가이드(6) 상에 장착된다.
가이드(6) 각각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방식으로 몸체 레일(61), 몸체 레일(61)이 고정되는 구동 레일(62) 및 홀더(63)를 갖는다. 의도한 풀-아웃 거리에 따라, 예를 들어 풀-아웃 가구 부품(2)의 완전한 풀-아웃을 보장하기 위해 몸체 레일(61)과 구동 레일(62) 사이에 다른 중앙 레일을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액티베이터(9)는 풀-아웃 가구 부품(2)의 사이드 프레임(21) 또는 가이드(6)의 구동 레일(6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요소(3)는 가구 몸체(8)의 벽(81)에 부착되어 잠금 바(5)에 안착된다. z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잠금 바(5)도 가구 몸체(2)의 벽(81)에 체결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81)은 가구 몸체(2)의 내부벽으로 풀-아웃 가구 부품(2)과 마주보게 되어 있으며, 이 가구 몸체(2)의 내부벽에는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이 체결되어 있다.
z방향에 수직한 x방향으로 당겨낼 수 있는 가구 부품(2)은 서랍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설계도 예를 들어 보드형 선반, 바스켓 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잠금 바(5)는 기본적으로 스트립 몸체(51)로 구성되며, 복수의 슬라이딩 부품(52)이 스트립 몸체(51)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잠금 바(5)의 스트립 몸체(51) 내의 슬라이딩 부품(52)의 수는 2개의 슬라이딩 부품(52)을 제외하고 모든 슬라이딩 부품(52)이 쌍으로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선택되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52)은 결합 요소(3)의 하우징(3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 요소(3)의 드라이버(4)의 핀(44)에 의해 밀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버(4)는 핀(44)이 슬라이딩 부품(52)의 홈에 위치하는 도 1 및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 및 회전되어야 한다.
작동 중에, 드라이버(4)의 이러한 이동 및 회전 위치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풀-아웃 가구 부품(2)이 가구 몸체(8)로부터 연장되는 경우, 드라이버(4)와 맞물리지 않는 액티베이터(9)에 의해 작용된다.
다른 결합 요소(3)의 추가 드라이버(4)는, 이 상태에서 가구 몸체(8)에서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을 더 끌어낼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잠금 바(5)에 의해 더 잠금된다.
액티베이터(9)가 배치된 풀-아웃 가구 부품(2)의 초기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해, 결합 요소(3)의 하우징(31)은 결합 요소(3)의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피하는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잠금 바(5)에 대해 하우징(3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2)를 포함한다.
모든 도면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서, 두 개의 스프링 요소(32)가 하우징(31) 상에 배치된다.
액티베이터(9)가 배치된 풀-아웃 가구 부품(2)의 초기 조립을 위해, 드라이버(4)는 x-z 평면에서 기울어져 연장되는 가이드 웹(42)을 가지며, 이에 대해 풀-아웃 가구 부품(2)에 배치된 액티베이터(9)는 풀-아웃 가구 부품(2)이 끝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가구 몸체(8) 내로 당겨질 때 접한다.
가이드 웹(42)은 드라이버(4)의 베이스 플레이트(41)에 형성되어 기능적 동작 중에 x-z 평면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웹(42)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베이터(9)가 수축 방향(E)으로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액티베이터(9)는 가이드 웹(42)에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4)의 베이스 플레이트(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채널 벽(47)과 함께, 가이드 웹(42)은 풀-아웃 가구 부품(2)의 조립 중에 액티베이터(9)가 이어지는 조립 채널(46)을 형성한다.
액티베이터(9)가 가이드 웹(42)에 접한 후, 액티베이터(9)는 드라이버(4)에 압력을 가하고, 그와 함께 결합 요소(32)의 하우징(31)이 가이드 웹(42)을 따라 수축 방향(E)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 요소(32)의 탄성력에 대해 상방으로 압력을 가한다.
가이드 웹(42) 뒤에는 조립 채널(46)이 수직으로 정렬된 수용 홈(43)으로 개방되어 액티베이터(9)를 2개의 대향하는 수직벽(431, 432)으로 구획하고, 풀-아웃 가구 부품(2)의 수축된 상태에서 액티베이터(9)의 장착 위치를 구획한다.
액티베이터(9)가 수용 홈(43)에 닿으면 스프링 요소(32)는 하우징(31)에 압력을 가하고, 그와 함께 드라이버를 도 1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조립 중에 드라이버(4)는 항상 수축된 중간 위치에 있으며, 인접한 슬라이딩 부품(52) 사이의 요홈(54)에 핀(44)이 수용되어 원칙적으로 다른 풀-아웃 가구 부품(2)을 풀-아웃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요소(3)의 다른 실시 예는 드라이버(4)를 부분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상태로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32)는 하우징(31)에 형성된 스프링 암으로 설계된다. 여기서 스프링 암으로 형성된 스프링 요소(32)는 하우징(3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1 다리(321)와 이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다리(322)로 각지게 설계된다.
이러한 제2 다리(322)의 물질의 두께 및/또는 길이를 변경하거나 스프링 요소(3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 요소(32)의 스프링 강도가 의도된 용도에 따라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서 제2 다리(322)의 자유단 영역에 체결 요소(11)를 수용하는 눈 형태의 체결 영역(33)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가능한, 체결 요소(11)들은,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핀(111) 및 각각의 소켓(112)을 갖는 정지 핀들이며, 이들은 가구 몸체(8)의 벽(81)에서 대응하는 오목부들 내로 가압되고, 그 후 핀(111)을 망치질함으로써 넓어지고, 따라서 하우징을 가구 몸체(8)의 벽(81)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다른 체결 영역(33)의 체결 옵션이나 설계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 에서는 체결 영역(33)에 직접적으로 확장 슬롯(331)이 구비된 소켓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를 수용하는 나사 홀으로 체결 영역(33)을 설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체결 영역(33)의 영역에 접착면을 제공하여 체결 영역(33)의 영역에서 하우징(31)을 가구 몸체(8)의 벽(81)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암으로 설계된 스프링 요소(32)는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 요소(3)의 하우징(31)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의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1 다리(321)는 제2 다리(322)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굴곡이 안정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요소(32)의 체결 영역(33)도 하우징(31)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 대각선 반대편에 위치하여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 요소(3)의 하우징(31)이 조립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스프링 요소(32)가 하우징(31)의 외측 가장자리 중 정확히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 요소(32)는 하우징(31)의 좌측 수직 측면 가장자리, 즉 후방 수직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수축 방향(E)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 요소(32)는 하우징(31)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직접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직선 다리(323)를 각각 갖는다. 이들 직선 다리(323)의 끝에는 체결 요소(11)를 수용하기 위한 눈 형태의 체결 영역(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요소(32)의 체결 영역(33)이 웹(32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변형된 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32)의 다리들(323)은 조립시 필요한 하우징(31)의 수직 편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6b, 도 7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바(5)와 마주보는 하우징(31)의 후면에는, 하우징(31)의 후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체결 웹(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구비된 잠금 바(5)의 스트립 몸체(51)에 설치된 종방향 홈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결합 요소(3)의 하우징(31)의 실시예에서는 체결 웹(35)의 폭이 잠금 바(5)의 스트립 몸체(51) 내의 홈(53)의 폭보다 작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 요소(3)의 하우징(31)의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 및 도 15에서 참조부호 7이 하우징(71)과 이에 부착된 수축 요소(72)를 갖는 자동-수축 장치를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텐션 스프링의 형태이다.
하우징(71)의 전단에는 잠금 바(5)를 풀-아웃 가구 부품(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요소(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결합 요소(3)의 하우징(71)이 자동-수축 장치(7)의 하우징(7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수축 장치(7)의 하우징(71)이 결합 요소(3)의 하우징(71)에 결합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요소(3)의 드라이버(4)는 자동-수축 장치(7)의 수축 요소(72)에 결합되어 드라이버(4)를 폐쇄위치에 외력이 없이 유지하게 되는데, 이 결합된 풀-아웃 가구 부품(2)은 가구 몸체(8)에서 수납된 상태로 위치된다.
가구 몸체(8)에서 가구 부품(2)을 연장시킴으로써, 드라이버(4)는 도 14 및 도 15 또는 도 1에 도시된 중립위치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변위 및 하강위치로 액티베이터(9)에 의해 변위된다.
그 결과, 수축 요소(72)는 프리로드(preload)된다.
이후, 풀-아웃 가구 부품(2)이 가구 몸체(8)로 밀려 들어가면, 액티베이터(9)는 완전히 수축되기 전의 위치에서 도 4 및 도 7a에 도시된 벽(431)에 접하게 되어, 드라이버(4)가 가이드 트랙(34)의 각진 영역(342)으로 하강된 위치에서 가이드 트랙(34)의 선형 영역(341)으로 다시 회전하게 된 후, 여기에서는 텐션 스프링으로 설계된 수축 요소(72)의 탄성력에 의해 완전히 수축된 끝단 위치로 당겨지게 된다.
여기에 도시된 자동-수축 장치(7)의 실시예 변형예에서, 이젝터(ejector) 장치는 부가 요소(10)를 지지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언급된 EP2210525 B1과 같은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이젝터 장치에 선택적으로 추가 요소(10)로서 부착되는데,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아웃 가구 부품(2)이 수축 위치에서 가구 몸체(8)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선형 댐퍼 형태의 감속장치도 선택적 부가 요소(10)로서 사용될 수 있다.
2 가구 부품
21 사이드 프레임
3 결합 요소
31 하우징
32 스프링 요소
321 제1 다리
322 제2 다리
323 다리
324 웹
33 체결 영역
331 확장 슬롯
34 가이드 트랙
341 선형 영역
342 각진 영역
35 체결 웹
4 드라이버
41 베이스 플레이트
42 가이드 웹
43 수용 홈
431 벽
432 벽
44 핀
46 조립 채널
47 채널 벽
5 잠금 바
51 스트립 몸체
52 슬라이딩 부품
53 가이드 홈
6 가이드
61 몸체 레일
62 구동 레일
63 홀더
7 자동-수축 장치
71 하우징
72 수축 요소
8 가구 몸체
81 벽
9 액티베이터
10 부가 요소
11 체결 요소
111 핀
112 소켓
X 방향
Y 방향
Z 방향
E 수축 방향

Claims (15)

  1.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을 갖는 가구의 잠금 바(5)를 상기 풀-아웃 가구 부품(2)들 중 어느 하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는 액티베이터(9)에 결합하는 결합 요소(3)로서,
    - 상기 잠금 바(5)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31),
    - 상기 하우징(3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른 가구 부품(2) 또는 다른 가구 부품(2)의 풀-아웃 이동을 잠그기 위해 상기 잠금 바(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라이버(4)를 포함하고,
    -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드라이버(4)의 핀(44)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트랙(34)을 포함하고,
    -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잠금 바(5)에 대해 상기 하우징(31)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2)는 상기 하우징(31) 상에 형성된 스프링 암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스프링 암으로서 설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2)는 상기 하우징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1 다리(321)와,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하우징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제2 다리(322)를 가져 각지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리(322)의 자유단 영역에는 체결 요소(11)를 수용하는 체결 영역(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요소(32)는 상기 하우징(31)의 대향하는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32)의 상기 체결 영역(33)은 상기 하우징(31)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2개의 스프링 요소(32)는 상기 하우징(31)의 외측 가장자리 중 정확히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32)는 각각 직선 다리(323)를 가지며, 상기 직선 다리(323)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31)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체결 요소(11)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영역(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요소.
  9.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을 포함하는 가구의 풀-아웃 가구 부품(2)용 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에 부착된 수축 요소(72)를 갖는 자동-수축 장치(7),
    - 풀-아웃 가구 부품(2)에 잠금 바(5)를 결합하는 결합 요소(3)를 포함하고,
    - 상기 결합 요소(3)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으로 형성되며,
    - 상기 결합 요소(3)의 드라이버(4)는 자동-수축 장치(7)의 수축 요소 (7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축 장치(7)의 상기 하우징(71)은 상기 결합 요소(3)의 상기 하우징(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축 장치(7)의 상기 하우징(71)은 상기 결합 요소(3)의 상기 하우징(3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시스템.
  12.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을 포함하는 가구에 있어서,
    -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벽(81)을 가진 몸체(8), 그 위에서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풀-아웃 가구 부품(2)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6)가 배치되고,
    - 상기 가구 부품(2)의 풀-아웃 이동을 잠그는 잠금 바(5)가 상기 몸체(8)의 벽(81)들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고,
    - 상기 잠금 바(5)를 상기 풀-아웃 가구 부품(2)들 중 하나에 각각 결합하는 결합 요소(3)를 포함하고,
    - 상기 결합 요소(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2)에 의해 상기 잠금 바(5) 내에 또는 상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4. 청구항 12항 또는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의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가구의 몸체(8)의 벽(8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5. 청구항 12항 내지 청구항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아웃 가구 부품(2)들 각각에는 자동-수축 장치(7)가 결합되고, 상기 자동-수축 장치(7)는 하우징(71) 및 이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 요소(3)의 드라이버(4)에 결합되는 수축 요소(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KR1020237037050A 2021-03-31 2022-03-09 결합 요소, 잠금 시스템 및 가구 KR202301634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8249.8 2021-03-31
DE102021108249.8A DE102021108249A1 (de) 2021-03-31 2021-03-31 Koppelelement, Schließsystem und Möbel
PCT/EP2022/056034 WO2022207260A1 (de) 2021-03-31 2022-03-09 KOPPELELEMENT, SCHLIEßSYSTEM UND MÖB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494A true KR20230163494A (ko) 2023-11-30

Family

ID=8092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050A KR20230163494A (ko) 2021-03-31 2022-03-09 결합 요소, 잠금 시스템 및 가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167301A1 (ko)
EP (1) EP4314449A1 (ko)
JP (1) JP2024511704A (ko)
KR (1) KR20230163494A (ko)
CN (1) CN117043430A (ko)
CA (1) CA3208008A1 (ko)
DE (1) DE102021108249A1 (ko)
WO (1) WO20222072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0576B2 (en) 2002-08-21 2009-04-21 Compx International Inc. Anti-tip interlocking linkage mechanism for vertical cabinets
DE202009000050U1 (de) 2009-01-22 2010-06-17 Paul Hettich Gmbh & Co. Kg Schließsystem eines ausziehbaren Möbelteils und Möbel
AT509331B1 (de) * 2010-05-28 2011-08-15 Fulterer Gmbh Ausziehsperrvorrichtung für mindestens zwei ausziehbare möbel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1704A (ja) 2024-03-15
EP4314449A1 (de) 2024-02-07
DE102021108249A1 (de) 2022-10-06
WO2022207260A1 (de) 2022-10-06
CN117043430A (zh) 2023-11-10
CA3208008A1 (en) 2022-10-06
US20240167301A1 (en)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629B1 (ko) 서랍
US8696078B2 (en) Coupling device for drawers
US20170105525A1 (en) Pull-out guide for a drawer, and method for securing a drawer to a pull-out guide
US7798583B2 (en) Detent pin bearing retainer lock for a drawer slide
JP6941710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JP2012511351A (ja) 自動引込み装置および引出しガイド
US9861196B2 (en) Slide rail assembly with interlock device
EP3352547B1 (en) Slide rail assembly
US20190200759A1 (en) Slide Rail Assembly
JP2020182821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TW201446115A (zh) 滑軌總成之固定裝置
CN101438901B (zh) 支承结构和家具
CN107529883B (zh) 用于固定推入元件的装置和方法
KR20080097142A (ko) 변위가능 요소용 인입 및 댐핑 장치
KR20230163494A (ko) 결합 요소, 잠금 시스템 및 가구
JP7311539B2 (ja) 家具または家電製品の構成要素および家具または家電製品の構成要素に引出要素の機能ユニットを取り付ける方法
ES2898860T3 (es) Carril de carga para una guía de extracción de cajón
CN110313732B (zh) 滑轨总成
JP7022778B2 (ja) 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CN114847691B (zh) 滑轨总成
CN116548753A (zh) 滑轨总成
TWI712379B (zh) 滑軌總成
CN110337522B (zh) 将导轨安装在家具物品的顶板或底板上的安装单元和方法
EP3372116A1 (en) Retracting mechanism for movable furniture parts
JP7481543B1 (ja) スライドレール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