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905A - 분체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체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905A
KR20230162905A KR1020230064110A KR20230064110A KR20230162905A KR 20230162905 A KR20230162905 A KR 20230162905A KR 1020230064110 A KR1020230064110 A KR 1020230064110A KR 20230064110 A KR20230064110 A KR 20230064110A KR 20230162905 A KR20230162905 A KR 20230162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vibration
section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웅주
구재필
신성종
손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3016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1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ibrations, e.g. standing waves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4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2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by feed-back, i.e. a measured parameter of the mixture is measured, compared with the set-value and the feed values are corr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3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 B01F35/7173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usin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4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neumatic pressure, overpressure, gas or ai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cuum, unde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01F35/75471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B01F35/882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using measuring chambers, e.g. volumetric pumps, for feeding the substances
    • B01F35/8821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using measuring chambers, e.g. volumetric pumps, for feeding the substances involving contro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59Mixing reaction ingredients f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은 분체가 이송되며, 분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을 갖는 이송 배관, 상기 이송배관의 각 구간 별로 마련되며, 각 구간 별로 분체 이송시 이송 배관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센싱 유닛, 상기 이송 배관의 각 구간마다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진동 유닛 및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로 상기 센싱 유닛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 진동 유닛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체 이송 시스템{System for conveying powders}
본 발명은 분체 이송 시스템 및 분체 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분체의 이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구간에서 이송 배관으로 진동을 가하여, 분체에 의한 이송 배관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는 분체 이송 시스템 및 분체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2차 전지의 전극 제조 공정은 슬러리 제조 공정, 집전체에 슬러리를 코팅하는 공정, 압연 공정, 슬리팅 공정 및 건조 공정으로 구분된다.
슬러리는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및 용매가 혼합된 물질이다. 활물질 및 도전재는 분체 형태로 건식 혼합된다. 이후, 활물질 및 도전재는 바인더를 녹인 용매에 습식 혼합되어, 슬러리를 형성한다.
2차 전지의 제품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활물질이 사용되는데, 활물질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다른 특성을 가진다. 활물질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원재료가 혼합 장치로 투입되는 시간, 혼합 장치에서 각각의 원재료가 혼합되는 시간 등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혼합 장치로 투입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활물질은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활물질을 이송할 때 배관 내 활물질의 응집된 경우, 이송 시간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응집된 활물질의 위치를 확인하여, 응집된 활물질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슬러리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분체의 이송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구간에서 이송 배관으로 진동을 가하여, 분체에 의한 이송 배관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는 분체 이송 시스템 및 분체 이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은 분체가 이송되며, 분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을 갖는 이송 배관, 상기 이송배관의 각 구간 별로 마련되며, 각 구간 별로 분체 이송시 이송 배관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센싱 유닛, 상기 이송 배관의 각 구간마다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진동 유닛 및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로 상기 센싱 유닛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 진동 유닛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로 상기 센싱 유닛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구간 별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유닛은 분체 이송 시, 이송배관의 각 구간별로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진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진동센서는 이송배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해당 구간에서 복수 개의 진동센서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높이 별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마련된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송배관의 해당 구간에서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 개의 진동센서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송 중인 분체의 적재 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높이에 따라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진동유닛의 진동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진동유닛의 진동세기를 증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상 적재 높이는 상기 이송 배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체 높이(h)의 50%(0.5h) 내지 70%(0.7h) 범위 내의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송 배관의 구간 별로 이송 중인 분체의 적재 높이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유닛은 초음파 진동 바이브레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송 배관으로 상기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투입부, 상기 이송 배관을 따라 이송된 분체가 수용되는 계량 호퍼 및 상기 계량 호퍼와 상기 이송 배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 배관으로 진공압을 가함으로써, 상기 분체가 상기 이송 배관을 따라 상기 계량 호퍼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공 펌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진공 펌프의 진공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분체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분체 투입부와 이송 배관 사이에 마련된 제1 개폐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개폐밸브를 제어함으로 상기 이송 배관으로 공급되는 분체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계량 호퍼에서 계량된 분체가 투입되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된 혼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배관은 상기 혼합부를 향하는 분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공급배관의 각 구간 별로 마련되며, 각 구간 별로 분체 이송시 공급 배관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센싱 유닛 및 복수 개의 구간 중 계량호퍼와 인접한 구간에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된 진동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공급 배관에서 각 구간 별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배관의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분체 이송 중인 이송배관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설정된 정상 진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체의 이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구간으로 판정된 이송 배관의 영역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배관의 영역 별로 개별적으로 진동을 가하거나, 진동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분체가 이송 배관을 폐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분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러리 제조 공정에서 분체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켜, 슬러리 제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배관을 따라 분체가 이송될 때, 분체 이송 시스템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분체 이송 시스템의 계량 호퍼 및 혼합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분체 이송 시스템(100)은 분체가 이송되며, 분체의 이송방향(M)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을 갖는 이송 배관(130), 상기 이송배관(130)의 각 구간 별로 마련되며, 각 구간 별로 분체 이송시 이송 배관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센싱 유닛(141, 142, 143), 상기 이송 배관(130)의 각 구간마다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진동 유닛(150a, 150b, 150c) 및 상기 이송배관(130)의 구간 별로 상기 센싱 유닛(141, 142, 143)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배관(130)의 구간 별 진동 유닛(150a, 150b, 150c)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배관(130)을 따라 분체(P)가 이송될 때, 분체 이송 시스템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분체 이송 시스템(100)은, 상기 이송 배관(130)으로 상기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투입부(120), 상기 이송 배관(130)을 따라 이송된 분체가 수용되는 계량 호퍼(120) 및 상기 계량 호퍼(120)와 상기 이송 배관(13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 배관(130)으로 진공압을 가함으로써, 상기 분체가 상기 이송 배관(130)을 따라 상기 계량 호퍼(120)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공 펌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진공 펌프(170)의 진공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분체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상기 분체 이송 시스템(100)은, 분체 투입부(110), 계량 호퍼(120), 이송 배관(130), 센싱 유닛(141, 142, 143), 진동 유닛(150a, 150b, 150c), 제어부(160) 및 진공 펌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분체 투입부(110)와 이송 배관(130) 사이에 마련된 제1 개폐밸브(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배관(130)은 분체 투입부(110)와 계량 호퍼(120)를 연결한다. 이송 배관(130)은 분체(P)가 분체 투입부(110)에서 계량 호퍼(120)로 이송되는 배관이다. 이송 배관(130)에는 복수 개의 센싱 유닛(141, 142, 143)과 복수 개의 진동 유닛(150a, 150b, 150c)이 설치된다.
이송 배관(130)은 분체의 이송방향(M)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S1, S2, S3)을 갖고, 센싱 유닛(141, 142, 143)과 진동 유닛(150a, 150b, 150c)은 이송 배관(130)의 길이 방향(L)으로, 미리 설정된 구간(S1, S2, S3)마다 이송 배관(130)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배관(130)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구간 별로 분체(P)의 이송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송 배관(130)의 구간의 개수는 이송 배관(P)의 길이 및 활물질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이송배관(130)은 이송 배관(13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3개의 구간(S1, S2, S3)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구간(S1, S2, S3)은 분체의 이송 방향(M)을 따라 제1 구간(S1) 내지 제3 구간(S3)으로 구분하여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간(S1)은 분체 투입부(110)에 인접한 구간이고, 제3 구간(S3)은 계량 호퍼(120)에 인접한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제2 구간(S2)은 제1 구간(S1)과 제3 구간(S3) 사이의 구간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문서에서, 이송배관(130)의 제1 구간(S1)에 설치된 센싱 유닛 및 진동 유닛은 제1 센싱 유닛(141) 및 제1 진동 유닛(150a)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송배관(130)의 제2 구간(S2)에 설치된 센싱 유닛 및 진동 유닛은 제2 센싱 유닛(142) 및 제2 진동 유닛(150b)으로 지칭될 수 있고, 이송배관(130)의 제3 구간(S3)에 설치된 센싱 유닛 및 진동 유닛은 제3 센싱 유닛(143) 및 제3 진동 유닛(150c)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센싱 유닛(141)은 제1 구간(S1)에 마련되며, 제1 구간(S1)을 통과하는 분체(P)의 이송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제2 센싱 유닛(142)은 제2 구간(S2)에 마련되며, 제2 구간(S2)을 통과하는 분체의 이송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제3 센싱 유닛(143)은 제3 구간(S3)에 마랸되며, 제3 구간(S3)을 통과하는 분체의 이송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각각의 센싱 유닛(141~143)은 설치 위치에서 이송 배관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유닛(141) 내지 제3 센싱 유닛(143)은 각각의 센싱 데이터(진동 데이터)를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즉 각각의 센싱 유닛(141~143)은 분체 이송 시, 설치된 위치에서 위치 별 진동데이터를 감지한다. 특히, 액상의 슬러리에 비하여, 분체(활물질)의 경우, 진동 센서를 통해 감지가 유리하고, 분체의 뭉침은 진동자의 물리적 충격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이송배관(130)의 구간 별(S1, S2, S3)로 상기 센싱 유닛(141~143)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구간 별(S, S2, S3)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배관(130)의 구간 별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진동 유닛은 초음파 진동 바이브레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구간 별로 센싱 유닛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기설정된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구간을 “정상 구간” 또는 “이상 구간”으로 판정하고, 이상 구간에 설치된 진동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구간 별(S1, S2, S3)로 상기 센싱 유닛(141~143)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구간 별(S1, S2, S3)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구간을 정상 구간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정상 구간에 마련된 진동 유닛을 작동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60)는 구간 별(S1, S2, S3)로 상기 센싱 유닛(141~143)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구간 별(S1, S2, S3)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구간을 이상 구간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이상 구간에 마련된 진동 유닛을 작동시키게 되고, 진동 유닛에 의해 해당 구간에 진동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센싱 유닛(141~143)은 분체(P) 이송 시, 이송배관(130)의 각 구간별로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진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진동센서는 이송배관(130)의 바닥면(131)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구간에서 복수 개의 진동센서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높이 별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마련된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구간의 진동 유닛은 작동시키지 않고, 이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구간의 진동 유닛만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송배관의 해당 구간에서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구비된 복수 개의 진동센서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송 중인 분체의 적재 높이(h1)를 산출하고, 산출된 높이에 따라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h1)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진동유닛의 진동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h1)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 보다 큰 경우, 진동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h1)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의 차이가 클수록, 진동유닛의 진동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60)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진동유닛의 진동세기를 증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상 적재 높이는 상기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131)을 기준으로 전체 높이(h)의 50%(0.5h) 내지 70%(0.7h) 범위 내의 높이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이송 배관(130)이 3개의 구간(S1, S2, S3)으로 구분되고, 각 구간 별로 분체(P)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3개의 진동센서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상 구간과 이상 구간을 판정하기 위하여, 이송 배관(130)을 따라 이송되는 분체(P)의 적재 높이 방향(h)으로,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131)에 대한 상대적 높이가 상이한 복수 개의 레벨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센싱 유닛은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진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싱 유닛(141, 142 143)은, 각 레벨에 대응되게, 이송 배관(130) 내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진동 센서)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구간(S1) 내에 마련된 제1 센싱 유닛(141)의 복수 개의 진동 센서를 제1 센서(141a~141c)로 지칭하고, 제2 구간(S2) 내에 마련된 제2 센싱 유닛(142)의 복수 개의 진동센서에 대해 제2 센서(142a~142c)로 지칭하며, 제3 구간(S3)에 마련된 제3 센싱 유닛(143)의 복수 개의 진동 센서에 대해 제3 센서(143a~143c)로 지칭한다.
다만, 제1 센싱 유닛(141) 내지 제3 센싱 유닛(143)은 설치 위치만 상이할 뿐,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한 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제1 센싱 유닛(14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간 내에서 복수 개의 제1 센서(141a~141c)는 이송 배관 내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상하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센서(141a~141c)는 이송 배관(13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41a~141c)는 분체의 이송 시 이송 배관(130)의 진동을 감지한다.
우선, 복수 개의 제1 센서(141a~141c)는 제1 구간(S1) 중 임의의 위치인 제1 위치(P1)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센서(141a~141c)는 설치 높이에 따라, 제1a 센서(141a) 내지 제1c 센서(141c)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a 센서(141a)는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b 센서(141b)는 이송 배관(130) 내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이송 배관(130)의 중간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c 센서(141c)는 (130) 내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에서 가장 먼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 사이의 간격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센서(142a~142c)는 제2 구간(S2) 중 임의의 위치인 제2 위치(P2)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센서(142a~142c)는 설치 높이에 따라, 제2a 센서(142a) 내지 제2c 센서(142c)로 구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제3 센서(143a~143c)는 제3 구간(S3) 중 임의의 위치인 제3 위치(P3)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센서(143a~143c)는 설치 높이에 따라 제3a 센서(143a) 내지 제3c 센서(143c)로 구분될 수 있다.
제1a 센서(141a), 제2a 센서(142a) 및 제3a 센서(143a)는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 측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이송 배관(130)의 길이 방향(L)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b 센서(141b), 제2b 센서(142b) 및 제3b 센서(143b)는 이송 배관(130) 내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중간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이송 배관(130)의 길이 방향(L)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c 센서(141c), 제2c 센서(142c) 및 제3c 센서(143c)는 이송 배관(130) 내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h)을 따라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에서 가장 먼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이송 배관의 길이 방향(L)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유닛(150a)은 제1 구간(S1)에서, 제1 센싱 유닛(141)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유닛(150a)은 이송 배관(130)의 제1 구간(S1)으로 진동을 제공한다.
또한, 제2 진동 유닛(150b)은 제2 구간(S2)에서, 제2 센싱 유닛(142)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진동 유닛(150b)은 이송 배관(130)의 제2 구간(S2)으로 진동을 제공한다.
또한, 제3 진동 유닛(150c)은 제3 구간(S3)에서, 제3 센싱 유닛(143)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진동 유닛(150c)은 이송배관(130)의 제3 구간(S3)으로 진동을 제공한다.
제1 진동 유닛(150a) 내지 제3 진동 유닛(150c)은 설치 위치만 상이할 뿐,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며, 제1 진동 유닛(150a) 내지 제3 진동 유닛(150c)은 다양한 종류의 바이브레이터가 사용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분체 이송 시, 센싱 유닛의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부(161), 이송배관(130)의 구간 별로 정상 구간과 이상 구간을 분류하기 위한 구간 분류부(162), 상기 이송 배관(130)의 구간 별로 이송 중인 분체의 적재 높이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164), 적재량 조절부(165) 및 펌프 조절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유닛(150a) 내지 제3 진동 유닛(150c)은 진동 조절부(163)에 의해 작동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유닛(150a) 내지 제3 진동 유닛(150c)은 진동 조절부(163)에 의해 진동 세기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정상 진동 데이터와 센싱 유닛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체의 이송 상태에 따라 각 구간을 "정상 구간" 또는 "이상 구간"으로 판정하여 구분할 수 있고, 이상 구간에 설치된 진동 유닛의 작동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 이송 배관(130) 내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레벨이 설정될 수 있고, 전체 높이(h)에 대한 분체의 적재 높이(h1)에 기초하여 "정상 레벨"과 "이상 레벨"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정상 레벨(L2은 이송 배관(130)의 전체 높이(h)의 0.5h 내지 0.7h 범위 내의 상대 높이(h1/h)로 정의될 수 있다. 이상 레벨(L3, 도3 참조)은 상대 높이를 초과한 높이를 가진 레벨일 수 있다. 기준 레벨(L1, 도 3참조)은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레벨은 레벨1(L1)로 설정될 수 있고, 제1a 센서(141a) 내지 제3a 센서(143a)는 기준 레벨인 레벨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송 배관(130)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정상 레벨은 레벨2(L2)로 설정될 수 있고, 제1b 센서(141b) 내지 제3b 센서(143b)는 레벨2(L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송 배관(130)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상 레벨은 레벨3(L3)으로 설정될 수 있고, 레벨2(L2)보다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131)에 대한 상대적 높이가 높은 위치에 해당한다. 제1c 센서(141c) 내지 제3c 센서(143c)는 레벨3(L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송 배관(130)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이송 배관(130)의 바닥면(131)을 기준으로, 10개의 센서(141a~141j, 142a~142j, 143a~143j)가 분체(P)의 적재 높이 방향(h)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레벨은 레벨1(L1) 내지 레벨10(L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레벨 단위를 10개로 세분화한 예시로서, 분체 이송 시스템(100)의 작동 방식은 도 3과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레벨이 10개의 레벨로 세분화되고, 제어부(160)에 전체 높이(h)에 대한 상대적 높이가 0.5h가 정상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상 레벨 범위는 레벨1(L1) 내지 레벨5(L5)로 설정될 수 있고, 이상 레벨 범위는 레벨6(L6) 내지 레벨10(L10)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지된 진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구간(S1 내지 S3) 별로, 이송 배관(130)의 전체 높이(h)를 기준으로 바닥면(131)에 대한 분체의 적재 높이(h1)의 비율(h1/h)로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산출된 레벨이 이상 레벨로 판정되면, 해당 구간을 이상 구간으로 분류하고, 이상 구간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진동 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진동 유닛을 작동시키면서, 진동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부(161)는 이송배관(130)의 각 구간(S1, S2, S3) 별로, 각각의 센서에서 센싱된 진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간 분류부(162)는 데이터 수집부(161)에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구간(S1 내지 S3) 별로 정상 구간 및 이상 구간을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진동 조절부(163)는 구간 분류부(162)의 분류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구간으로 진동을 가하도록, 각각의 진동 유닛을 개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진동 조절부(163)는 분체의 적재 높이가 정산 적재 높이보다 높을수록 진동 세기가 커지게, 진동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64)는 구간 분류부(162)에서 분류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송 배관(130)의 길이 방향(L)으로, 분체의 이송 상태 정보를 "정상"과 "이상"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모니터링부(164)를 통해, 분체의 이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분체 투입부(110)는 이송 배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 배관(130)으로 분체를 공급한다. 분체 투입부(110)는 호퍼를 포함한다. 분체 투입부(110)에는 진동부재(111)가 설치될 수 있다. 진동 부재(111)는 분체 투입부(110)로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분체 투입부(110)의 내면에 분체가 뭉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체 투입부(110)의 배출구에는 제1 개폐밸브(115)가 마련된다. 제1 개폐밸브(115)는 제어부(160)에 의해 개폐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 개폐밸브(115)를 제어함으로 상기 이송 배관(130)으로 공급되는 분체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적재량 조절부(165)를 통해 분체 투입부(110)에 설치된 제1 개폐밸브(115)의 개폐를 조절하여, 이송 배관(130)으로 투입되는 분체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계량 호퍼(120)는 이송 배관(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 배관(130)을 따라 이송된 분체가 수용된다. 또한, 계량 호퍼(120)에는 진동 부재(121)가 설치된다.
또한, 진공 펌프(170)는 계량 호퍼(120)와 이송 배관(130) 사이에 설치된다. 진공 펌프(170)는 펌프 조절부(166)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진공 펌프(170)는 이송 배관(130)으로 진공압을 가하여, 분체가 이송 배관(130)을 따라 분체 투입부(110)에서 계량 호퍼(120)로 이송되게 작동된다.
도 5는 분체 이송 시스템의 계량 호퍼(120) 및 혼합부(18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계량 호퍼(120)는 공급배관(190)을 매개로 혼합부(180)와 연결된다. 계량 호퍼(120)의 출구 측에는 계량 호퍼(120)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 부재(121)가 설치될 수 있다. 계량 호퍼(120)는 제어부(160)에 기설정된 용량으로 분체를 계량하여, 슬러리를 구성하는 원료가 혼합되는 혼합부(180)로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100)은 계량 호퍼(120)에서 계량된 분체가 투입되는 공급배관(190) 및 상기 공급배관(190)에 연결된 혼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배관(190)은 상기 혼합부(180)를 향하는 분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S4, S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공급배관(190)의 각 구간(S4, S5) 별로 마련되며, 각 구간(S4, S5) 별로 분체 이송시 공급 배관(190)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센싱 유닛(144, 145) 및 복수 개의 구간(S4, S5) 중 계량호퍼(120)와 인접한 구간(S4)에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된 진동 유닛(150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공급 배관(190)에서 각 구간 별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배관(190)의 진동 유닛(150ㅇ)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계량 호퍼(120)의 출구 측에는 제2 개폐밸브(122)가 마련된다. 제2 개폐밸브(122)는 제어부(160)에 의해 개폐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2 개폐밸브(122)를 제어함으로 상기 공급 배관(190)으로 공급되는 분체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분체 이송 시스템 110: 분체 투입부
115: 제1 개폐밸브 120: 계량 호퍼
130: 이송 배관 141: 제1 센싱 유닛
142: 제2 센싱 유닛 143: 제3 센싱 유닛
150a: 제1 진동 유닛 150b: 제2 진동 유닛
150c: 제3 진동 유닛 160: 제어부
161: 데이터 수집부 162: 구간 분류부
163: 진동 조절부 164: 모니터링부
165: 적재량 조절부 166: 펌프 조절부
170: 진동 펌프 180: 혼합부
190: 공급배관

Claims (15)

  1. 분체가 이송되며, 분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을 갖는 이송 배관;
    상기 이송배관의 각 구간 별로 마련되며, 각 구간 별로 분체 이송시 이송 배관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센싱 유닛;
    상기 이송 배관의 각 구간마다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진동 유닛; 및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로 상기 센싱 유닛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 진동 유닛의 작동을 개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체 이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 별로 상기 센싱 유닛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구간 별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구간 별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분체 이송 시, 이송배관의 각 구간별로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진동 센서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진동센서는 이송배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구간에서 복수 개의 진동센서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 및 미리 저장된 높이 별 정상 진동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마련된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구간에서 분체의 적재 높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복수 개의 진동센서에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송 중인 분체의 적재 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높이에 따라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진동유닛의 진동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분체의 적재 높이와 미리 설정된 정상 적재 높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진동유닛의 진동세기를 증가시키는 분체 이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정상 적재 높이는 상기 이송 배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체 높이(h)의 50%(0.5h) 내지 70%(0.7h) 범위 내의 높이인 분체 이송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배관의 구간 별로 이송 중인 분체의 적재 높이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체 이송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은 초음파 진동 바이브레이터인 분체 이송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배관으로 상기 분체를 공급하는 분체 투입부;
    상기 이송 배관을 따라 이송된 분체가 수용되는 계량 호퍼; 및
    상기 계량 호퍼와 상기 이송 배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이송 배관으로 진공압을 가함으로써, 상기 분체가 상기 이송 배관을 따라 상기 계량 호퍼로 이송되도록 하는 진공 펌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체 이송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진공 펌프의 진공압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분체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투입부와 이송 배관 사이에 마련된 제1 개폐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개폐밸브를 제어함으로 상기 이송 배관으로 공급되는 분체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분체 이송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계량 호퍼에서 계량된 분체가 투입되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된 혼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공급배관은 상기 혼합부를 향하는 분체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구간을 갖는 분체 이송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공급배관의 각 구간 별로 마련되며, 각 구간 별로 분체 이송시 공급 배관의 진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센싱 유닛; 및
    복수 개의 구간 중 계량호퍼와 인접한 구간에 진동을 가하도록 마련된 진동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분체 이송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공급 배관에서 각 구간 별로 획득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배관의 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분체 이송 시스템.
KR1020230064110A 2022-05-20 2023-05-18 분체 이송 시스템 KR20230162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1721 2022-05-20
KR1020220061721 2022-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905A true KR20230162905A (ko) 2023-11-29

Family

ID=8883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110A KR20230162905A (ko) 2022-05-20 2023-05-18 분체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2905A (ko)
WO (1) WO20232243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476B2 (ja) * 1998-12-21 2003-07-22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ホッパ内詰まり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563909B1 (ko) * 2004-03-11 2006-03-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분체시료 이송관의 막힘방지장치
JP2008221116A (ja) * 2007-03-12 2008-09-25 Imp:Kk 粉粒体の定量供給装置
JP2009236383A (ja) * 2008-03-26 2009-10-15 Kobelco Eco-Solutions Co Ltd 廃棄物の詰まり検知方法
JP6109796B2 (ja) * 2014-09-16 2017-04-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粉体搬送装置及びチャー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396A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25738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いて流体供給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9540323A (ja) バランスウェイト式計量分配システム
US11186452B2 (en) Sequencing bulk material containers for continuous material usage
CN108861465A (zh) 一种密闭定量振动给料机及其控制系统
US20150247294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Material to a Surface
US9777442B2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material to a surface
KR20230162905A (ko) 분체 이송 시스템
JP2019163163A (ja) 真空コンベアシステム
CN103009485B (zh) 卸料控制系统和卸料控制方法
CN102963701B (zh) 一种烧结分料器的动态控制方法及装置
CN114538124B (zh) 基于多功能称重显示控制器智能配煤工艺
US20200079601A1 (en) Train Load-Out Arrangement
US3253744A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for grinding mill
NL1014666C1 (nl) Regelmechanisme, installatie en werkwijze voor het door een transportleiding transporteren van bulk-, korrel- of poedervormig materiaal.
KR100765113B1 (ko) 컨베이어벨트의 수송물 편심적재방지장치
US9738202B2 (en) Regulating dump rate of trucks
CN104755887B (zh) 用于确定散装物料的量的装置、针对散装物料的进入装置、针对散装物料的清洁机器以及相应的方法
US893001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s, E.G., in the form of bulk material and the like and corresponding device
CN207737526U (zh) 一种节能型超细轻质活性钙自动定量装载机
US20200039148A1 (e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onveyed goods conveyance by means of positive pressure
US5845686A (en) Apparatus for load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KR20180118376A (ko)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8144896A (ja) 水平スクリュー式サイロ及びその運転方法
US6892586B1 (en)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flow of flowable materials
AU20162006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particulate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