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514A -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 Google Patents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514A
KR20230162514A KR1020220102864A KR20220102864A KR20230162514A KR 20230162514 A KR20230162514 A KR 20230162514A KR 1020220102864 A KR1020220102864 A KR 1020220102864A KR 20220102864 A KR20220102864 A KR 20220102864A KR 20230162514 A KR20230162514 A KR 2023016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timulation
fsbr
stimulation
applying
vagus ne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준
최혁
홍기환
문병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to PCT/KR2023/0068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39008A1/ko
Publication of KR2023016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전극을 통해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방법으로서, 전기자극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되,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복수회 측정하여 각각에 대한 FSBR을 산출하고 FSBR 기준값인 FSBRS를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 단계; 전기자극에 대한 수치를 포함하는 전기자극 지침을 입력하는 전기자극 지침 입력 단계; 전기자극을 인가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t와 상기 FSBRS를 비교하여 전기자극 지침을 조정하는 자극값 조절 단계; 및 조정된 값으로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전기자극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SBR은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상태를 반영하는 지수로서, 측정된 심박변이도에서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대역의 파워를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 대역의 파워로 나누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전기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전기자극에 의한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반영하여 전기자극을 인가함으로써, 현재 상태에 맞추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전기자극에 의해서 통증을 느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VAGUS NERVE}
본 발명은 미주신경에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체의 피부에 접촉한 전극을 통해서 미주신경에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주신경은 뇌신경들 중의 하나로서 10번째 뇌신경에 해당된다. 미주신경은 뇌로부터 나와서 얼굴, 흉부, 복부에 걸쳐서 분포하고,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하는 혼합신경으로서 심장, 폐, 소화관 등에 작용하는 부교감신경의 조절에 관여한다. 12쌍의 뇌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감각신경섬유와 운동신경섬유를 모두 포함한다.
간질 치료와 우울증 치료를 위한 미주신경자극 장치가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공인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목에 위치하는 경부가지를 자극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미주신경의 경부가지 전기자극술은 피부에 직접 절개를 가하고 미주신경 경부가지를 노출하여 그 외부에 전기소체인 코일을 감고 마이크로칩을 장착하는 시술을 수행하여 일반인에 의한 자가 치료의 영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한편, 동양의학에서는 귀에 대한 침술을 통해서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귀는 미주신경의 이개가지가 분포하는 곳으로서 미주신경에 대한 자극을 치료에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증상 완화 등의 목적으로 귀에 분포하는 미주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힘들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654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830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증상 정도를 반영하여 효과가 더욱 향상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은,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전극을 통해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방법으로서, 전기자극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되,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복수회 측정하여 각각에 대한 FSBR을 산출하고 FSBR 기준값인 FSBRS를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 단계; 전기자극에 대한 수치를 포함하는 전기자극 지침을 입력하는 전기자극 지침 입력 단계; 전기자극을 인가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t와 상기 FSBRS를 비교하여 전기자극 지침을 조정하는 자극값 조절 단계; 및 조정된 값으로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전기자극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SBR은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상태를 반영하는 지수로서, 측정된 심박변이도에서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대역의 파워를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 대역의 파워로 나누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주파 대역은 0.15Hz이상 0.4Hz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저주파 대역은 0.04Hz이상 0.15Hz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값 설정 단계에서, 상기 FSBRs는 복수회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 값들의 평균에 FSBR 값들의 표준편차를 더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극값 조절 단계에서,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극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FSBRt와 FSBRs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극값 조절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인구통계학적 표지와 환경적 표지 중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산출된 SPI를 적용하여 전기자극 지침에 포함된 수치를 조정한 초기 자극값을 도출하는 초기 자극값 설정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자극값 조절 단계는 초기 자극값에 대한 조절을 수행하며, 상기 SPI는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수치화한 지수로서,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통계학적으로 전기자극에 대하여 민감한 정도를 반영한 표지이고, 환경적 표지는 전기자극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표지일 수 있다.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나이, 성별, BMI, 복약 유무, 유병 유무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적 표지는 온도, 습도, 조도, 불쾌지수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는,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전극; 전기자극에 대한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 지침을 입력받는 입력부; 전기자극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되,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복수회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 정보 각각에서 FSBR을 산출하고 FSBR 기준값인 FSBRS를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 및 전기자극을 인가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t와 상기 FSBRS를 비교하여 전기자극 지침을 조정하는 자극값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FSBR은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상태를 반영하는 지수로서, FSBR는 측정된 심박변이도에서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대역의 파워를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 대역의 파워로 나누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주파 대역은 0.15Hz이상 0.4Hz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저주파 대역은 0.04Hz이상 0.15Hz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SBRs는 복수회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 값들의 평균에 FSBR 값들의 표준편차를 더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극값 조절부는,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극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FSBRt와 FSBRs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인구통계학적 표지와 환경적 표지 중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산출된 SPI를 적용하여 전기자극 지침에 포함된 수치를 조정한 초기 자극값을 도출하는 초기 자극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SPI는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수치화한 지수로서,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통계학적으로 전기자극에 대하여 민감한 정도를 반영한 표지이고, 환경적 표지는 전기자극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표지이며, 상기 자극값 조절부는 초기 자극값 설정부에서 도출된 초기 자극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나이, 성별, BMI, 복약 유무, 유병 유무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적 표지는 온도, 습도, 조도, 불쾌지수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전기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전기자극에 의한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반영하여 전기자극을 인가함으로써, 현재 상태에 맞추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전기자극에 의해서 통증을 느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은 가장 먼저 기준값 설정 단계를 수행한다. 심장 박동의 변이 정도를 의미하는 심박변이도는, 하나의 심장 주기로부터 다음 심장 주기사이의 미세한 변이를 의미한다. 한편, 맥박은 측정위치에서 차이가 있지만, 심장 박동의 특성을 반영하는 점에서 심장 박동과 동일하거나 심장 박동을 대체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맥박변이도가 심박변이도를 대체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으며, 이때 심박변이도 측정에 대한 부분이 맥박변이도 측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기준값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현재 상태를 반영하는 지수로서 FSBR(Fast-to-Slow Beat Ratio)를 사용한다. 기준값 설정을 위한 FSBR 측정은 전기자극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심박변이도에서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대역의 파워를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 대역의 파워로 나누어 산출된 값이다. 이때, 고주파 대역은 0.15Hz이상 0.4Hz이하의 범위이고, 저주파 대역은 0.04Hz이상 0.15Hz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FSBR의 변화하는 것은 증상에 대한 사용자의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태가 변화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FSBR의 기준을 구성하는 단계가 기준값 설정 단계이다.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복수의 FSBR를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특정한 시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고 평상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반복하여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각각에 대한 FSBR을 산출하고 FSBR 기준값인 FSBRS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하루 중에 동일한 시간대에 반복하여 심박변이도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전기자극을 인가하려는 시간대와 같은 시간대에 반복 측정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주일간 동일한 시간대에 측정된 심박변이도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FSBR을 산출하고 FSBRS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FSBRS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복수회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 값들의 평균에 FSBR 값들의 표준편차를 더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값 설정 단계는 전기자극을 인가하기 전에 수행되는 과정이며, 특히 소정 기간 마다 새로운 기준값을 설정하도록 기준값 설정 단계를 반복할 수 있으며, 일주일 간격으로 새로운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FSBRS의 설정 과정은 기준값 설정부에서 수행된다. 기준값 설정부는 FSBR 측정하고 기준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심박변이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기와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FSBR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기 위한 저장장치와 계산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SBR 기준값인 FSBRS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기자극 지침 입력 단계를 수행한다.
전기자극 지침은 미주신경 자극을 위한 전기자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기자극 지침은 병원에서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의해서 정해진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통해서 도출된 것일 수 있다. 미주신경 자극을 위한 전기자극 지침은 전기자극의 전류, 주파수, 듀티비, 자극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극 지침은 사용자의 병증이나 증상에 따라서 결정된 것이지만, 전기자극 인가 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전기자극 지침을 받는 것은 아니므로, 전기자극 지침을 받은 시점과 전기자극을 인가하시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로 인하여 전기자극 지침 대로 인가된 전기자극은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리 심박변이도 측정을 통해서 얻어지는 FSBR 기준값을 통해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반영하여 전기자극을 조절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전기자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 지침을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의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한다. 전기자극 지침을 입력하는 방식은 전기자극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전기자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바코드 또는 QR코드)나 정보 저장장치를 통해서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조절하기에 앞서서, 초기 자극값 설정 단계를 수행한다.
초기 자극값은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반영하여 전기자극 지침을 사용자에게 적합한 범위의 전기자극으로 설정한 값이다.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는 동일한 전기자극에 대하여 통각(통증) 또는 불편감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에서 출발한 개념으로서, 전기자극에 대하여 통증이나 불편감을 쉽게 느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는 물리적 자극 세기에 따른 민감도와 사람이 통증으로 인지하는 민감도 뿐만이 아니라 통증을 느끼지는 않지만 심리적 감정적으로 불편함이나 불안감을 느끼는 민감도까지 반영한다.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으면 동일한 전기자극에 대해서도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게 될 확률이 높고, 특히 전류가 높아짐에 따라서 더욱 큰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수치화한 지수로서 SPI(Stimulation Perception Index)를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SPI는 인구통계학적 표지 및/또는 환경적 표지를 적용하여 산출된다.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나이, 성별, BMI(체질량지수), 복약 유무, 유병 유무 등과 같은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통계화한 표지이다. 예를 들면 유년 또는 노년층의 사람들은 청장년층의 사람들에 비하여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남성에 비하여 여성들의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으며, BMI가 높을수록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낮다. 이러한 정보를 SPI 지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통계학적으로 정리한 것이 인구통계학적 표지이다. 환경적 표지는 기온, 습도, 조도, 불쾌지수 등과 같은 주변 환경정보를 기준으로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통계화한 표지이다. 예를 들면, 특정의 수치보다 기온이나 습도가 낮은 경우에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조도가 낮아지면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며, 불쾌지수는 범위에 따라서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SPI 지수로 표시된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면, 전기자극에 대하여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기 쉬운 경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지 않도록 자극의 정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초기 자극값을 설정하며, 예를 들면 전류의 세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기자극 지침은 소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값이 제공된 것이며, 단순히 전류의 세기를 낮추는 경우에는 충분한 자극이 인가되지 못하여 전기자극 인가에 따른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를 줄이는 것만큼의 보상이 필요하며, 전류를 줄이는 것에 비례하여 듀티비를 늘리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전기자극 지침의 주파수는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시간이 증가하면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기자극 인가 시간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SPI 지수가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에만 전기자극에 민감한 것으로 평가하여, 초과하는 값에 비례하여 전류를 낮추고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초기 자극값을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SPI 지수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에는 입력된 전기자극 지침의 전류와 듀티비를 그대로 초기 자극값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전기자극 지침에서 초기 자극값을 도출하는 과정은 초기 자극값 설정부에서 수행되며, 초기 자극값 설정부는 SPI 지수를 도출하기 위한 DB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구통계학적 표지를 적용하기 위하여 나이와 성별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BMI를 직접 측정하여 적용하도록 BMI 측정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환경적 표지를 적용하기 위하여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온도와 습도 등을 직접 측정하여 반영하기 위한 온도계나 습도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자극값 조절 단계를 수행한다.
자극값은 전극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의미하며, 본 발명은 전기자극 지침 또는 전기자극 지침에 민감도를 반영한 초기 자극값을 그대로 인가하지 않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전기자극 지침 또는 초기 자극값을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자극을 인가하기에 앞서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t를 앞선 기준값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FSBRS와 비교하여 전기자극 지침 또는 초기 자극값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극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조절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사용자의 상태가 평소의 상태보다 나빠진 것으로 평가하고 전기자극 지침 또는 초기 자극값에 포함된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늘려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전기자극의 총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FSBRt와 FSBRs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기자극 지침 또는 초기 자극값의 조정은 자극값 조절부에서 수행된다. 자극값 조절부는 FSBR를 산출하기 위하여 심박변이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기와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FSBR를 산출하고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한 저장장치와 계산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값 조절부는 기준값 설정부와 전부 또는 일부 요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자극 지침 또는 초기 자극값을 조정한 전기자극을 전극에 인가하는 전기자극 단계를 수행한다.
이상의 과정에 따르면, 사용자의 민감도를 반영하여 전기자극 지침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문제를 줄일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하여 전기자극 지침 또는 초기 자극값을 조정한 전기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하기 때문에 전기자극 인가에 따른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통해서 전기자극 지침 또는 초기 자극값을 조정한 전기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전극을 통해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방법으로서,
    전기자극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되,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복수회 측정하여 각각에 대한 FSBR을 산출하고 FSBR 기준값인 FSBRS를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 단계;
    전기자극에 대한 수치를 포함하는 전기자극 지침을 입력하는 전기자극 지침 입력 단계;
    전기자극을 인가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t와 상기 FSBRS를 비교하여 전기자극 지침을 조정하는 자극값 조절 단계; 및
    조정된 값으로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전기자극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SBR은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상태를 반영하는 지수로서, 측정된 심박변이도에서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대역의 파워를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 대역의 파워로 나누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대역은 0.15Hz이상 0.4Hz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저주파 대역은 0.04Hz이상 0.15Hz미만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 설정 단계에서,
    상기 FSBRs는 복수회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 값들의 평균에 FSBR 값들의 표준편차를 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극값 조절 단계에서,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극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FSBRt와 FSBRs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극값 조절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인구통계학적 표지와 환경적 표지 중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산출된 SPI를 적용하여 전기자극 지침에 포함된 수치를 조정한 초기 자극값을 도출하는 초기 자극값 설정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자극값 조절 단계는 초기 자극값에 대한 조절을 수행하며,
    상기 SPI는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수치화한 지수로서,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통계학적으로 전기자극에 대하여 민감한 정도를 반영한 표지이고, 환경적 표지는 전기자극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나이, 성별, BMI, 복약 유무, 유병 유무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환경적 표지는 온도, 습도, 조도, 불쾌지수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10.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여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전극;
    전기자극에 대한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자극 지침을 입력받는 입력부;
    전기자극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되, 소정의 시간 간격 이상으로 복수회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 정보 각각에서 FSBR을 산출하고 FSBR 기준값인 FSBRS를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부: 및
    전기자극을 인가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t와 상기 FSBRS를 비교하여 전기자극 지침을 조정하는 자극값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FSBR은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상태를 반영하는 지수로서, FSBR는 측정된 심박변이도에서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대역의 파워를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 대역의 파워로 나누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대역은 0.15Hz이상 0.4Hz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저주파 대역은 0.04Hz이상 0.15Hz미만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FSBRs는 복수회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FSBR 값들의 평균에 FSBR 값들의 표준편차를 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극값 조절부는,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극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기자극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FSBRt가 FSBRs보다 큰 경우에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FSBRt와 FSBRs의 차이에 비례하여 전기자극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인구통계학적 표지와 환경적 표지 중에 하나 이상을 적용하여 산출된 SPI를 적용하여 전기자극 지침에 포함된 수치를 조정한 초기 자극값을 도출하는 초기 자극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SPI는 전기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수치화한 지수로서,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통계학적으로 전기자극에 대하여 민감한 정도를 반영한 표지이고, 환경적 표지는 전기자극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반영한 표지이며,
    상기 자극값 조절부는 초기 자극값 설정부에서 도출된 초기 자극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인구통계학적 표지는 나이, 성별, BMI, 복약 유무, 유병 유무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환경적 표지는 온도, 습도, 조도, 불쾌지수 중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장치.
KR1020220102864A 2022-05-20 2022-08-17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KR20230162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6863 WO2024039008A1 (ko) 2022-05-20 2023-05-19 생체신호 측정에 따른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2332 2022-05-20
KR1020220062332 2022-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14A true KR20230162514A (ko) 2023-11-28

Family

ID=8895736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865A KR20230162515A (ko) 2022-05-20 2022-08-17 뇌파를 통한 사용자 상태 및 자극 민감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미주신경 자극 장치
KR1020220102864A KR20230162514A (ko) 2022-05-20 2022-08-17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KR1020220102867A KR20230162517A (ko) 2022-05-20 2022-08-17 임피던스 측정을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미주신경 자극 장치
KR1020220102862A KR20230162513A (ko) 2022-05-20 2022-08-17 뇌파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KR1020220102866A KR20230162516A (ko) 2022-05-20 2022-08-17 심박변이도를 통한 사용자 상태 및 자극 민감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미주신경 자극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865A KR20230162515A (ko) 2022-05-20 2022-08-17 뇌파를 통한 사용자 상태 및 자극 민감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미주신경 자극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867A KR20230162517A (ko) 2022-05-20 2022-08-17 임피던스 측정을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미주신경 자극 장치
KR1020220102862A KR20230162513A (ko) 2022-05-20 2022-08-17 뇌파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KR1020220102866A KR20230162516A (ko) 2022-05-20 2022-08-17 심박변이도를 통한 사용자 상태 및 자극 민감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미주신경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20230162515A (ko)
WO (3) WO202403900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40B1 (ko) 2004-11-03 2006-07-06 정종필 미주신경 전기자극기
KR20190088300A (ko)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자극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680B2 (ja) * 1996-08-09 2000-05-29 株式会社アサヒ電子研究所 ツボ刺激装置
EP2719427A4 (en) * 2011-06-06 2015-06-03 System Instruments Co Ltd TRAINING DEVICE
JP2015534862A (ja) * 2012-11-14 2015-12-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経皮デリバリー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信号
US10039928B2 (en) * 2015-03-27 2018-08-07 Equility Llc Ear stimulation with neural feedback sensing
WO2017127756A1 (en) * 2016-01-20 2017-07-27 Setpoint Medical Corporation Control of vagal stimulation
KR20180107750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뉴딘스퀘어 착용형 경부 경피 펄스 전기 자극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3160816A1 (en) * 2019-11-08 2021-05-14 United Therapeutics Corporation Stimul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693053B1 (en) * 2019-11-20 2022-01-05 XanaStim Sàrl Auricular neurostimulation device and system
KR102506777B1 (ko) * 2020-06-12 2023-03-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뉴로피드백 시스템 기반 사용자 맞춤형 미주신경 자극 및 펄스 전자기장 인가 장치 및 방법
WO2022031874A1 (en) * 2020-08-06 2022-02-10 The Feinstein Institutes For Medical Research Compact auricular stimulation device
KR102512499B1 (ko) * 2020-10-30 2023-03-22 주식회사 토닥 미주신경자극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
KR102591072B1 (ko) * 2020-11-20 2023-10-19 주식회사 뉴라이브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자극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540B1 (ko) 2004-11-03 2006-07-06 정종필 미주신경 전기자극기
KR20190088300A (ko) 2018-01-18 2019-07-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15A (ko) 2023-11-28
KR20230162513A (ko) 2023-11-28
WO2024039008A1 (ko) 2024-02-22
WO2024039006A1 (ko) 2024-02-22
KR20230162517A (ko) 2023-11-28
WO2024039007A1 (ko) 2024-02-22
KR20230162516A (ko)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6012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eripheral neuromodulation
US20200155844A1 (en) Systems, methods and kits for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US572556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renergically stimulating the sympathetic system with respect to the venous media
US201701822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to improve sleep
JP2019510529A (ja) 過活動膀胱に関連する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末梢神経調節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11883661B2 (en) Intelligent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stimulation intensity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US110588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contro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based on current and forecasted weather conditions
US8515551B2 (en) Diagnostic method and apparatus
US103840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compensation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or temporal fluctuations such as circadian rhythms
US20070219598A1 (en) Diagnostic method and apparatus
KR102591072B1 (ko)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자극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30162514A (ko) 심박변이도를 통한 증상 정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전기자극 인가 장치
CN115300788A (zh) 一种迷走神经刺激方法及装置
KR102552199B1 (ko) 피시술자의 긴장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시스템
US20220409896A1 (en) System for display of neurostimulation usage and compliance
WO2023081968A1 (en) Brain stimulator apparatus
JPS60176666A (ja) 治療電流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