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480A -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480A
KR20230162480A KR1020220062409A KR20220062409A KR20230162480A KR 20230162480 A KR20230162480 A KR 20230162480A KR 1020220062409 A KR1020220062409 A KR 1020220062409A KR 20220062409 A KR20220062409 A KR 20220062409A KR 20230162480 A KR20230162480 A KR 20230162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ol magazine
tool
tilting
automatic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2006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480A/ko
Publication of KR2023016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1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 B23Q2003/155425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 B23Q2003/155428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about a common axis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이 틸팅포인트와 메인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종래보다 틸팅포인트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공구매거진의 틸팅 구동시에 진동을 저감하고, 틸팅유닛이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해 공구매거진이 틸팅될 때에 감속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상에서 공구매거진을 지지함에 따라 정지없이 이동하여 공구교환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공작기계의 가공비용을 절감하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Armless automatic tool changer}
본 발명은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구매거진의 틸팅포인트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고, 감속구간에서 공구매거진을 틸팅포인트를 중심으로 상하 2곳 이상에서 지지하여 진동을 저감하고 공구교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복합가공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작기계 중 복합가공기란 선삭가공과 드릴, 탭핑, 밀링가공 등 가공형태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다기능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터닝센터를 의미한다. 복합가공기에서 작업자가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로딩하거나 교환시에 공구를 수동으로 공구 매거진에 장착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 Automatic Palette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 Tool Changer)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 특히 머시닝센터나 터닝센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구매거진의 타입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드럼타입(Drum type)의 툴 매거진과, 체인타입(Chain type)의 툴 매거진이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자동공구교환장치(ATC)는 공구를 클램프하는 방식에 따라 암타입(arm type)과 암리스타입(armless type)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암리스(armless)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 tool changer)는 공구매거진의 매거진 플레이트에 다수 구비된 공구를 별도의 체인지 암(change arm) 없이 컬럼과 스핀들의 움직임만으로 공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주로 수직형 머시닝센터(vertical type machining center)나 수직형 터닝센터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수직형 머시닝센터나 수직형 터닝센터는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로 공작물을 가공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1)는 베이스 또는 베드에 컬럼(2)이 설치되고, 이러한 컬럼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스핀들이 장착된다. 또한, 다수의 공구를 구비하는 매거진이 스핀들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스핀들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매거진에 장착된 공구와 별도의 체인지암 없이 공구교환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틸팅포인트와 매거진의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멀어 매거진의 틸팅시에 이너셔(inertia) 영향에 의해 진동발생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가공정밀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공구교환시에 일정 구간에서 스핀들의 상하 이동 속도를 순간적으로 정지해야 함에 따라 공구교환시간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비가공시간 증가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공구교환을 위한 매거진의 틸팅시에 매거진을 1개소에서만 지지하거나 스프링 등을 통한 단순한 지지만을 수행함에 따라 진동이 증가하고 안정성과 신뢰성이 저하되고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진동 발생에 따른 내구성이 저하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6432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7261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1014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이 공구매거진이 틸팅포인트와 메인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종래보다 틸팅포인트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공구매거진의 틸팅 구동시에 진동을 저감하고, 틸팅유닛이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해 공구매거진이 틸팅될 때에 감속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상에서 공구매거진을 지지함에 따라 정지없이 이동하여 공구교환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공작기계의 가공비용을 절감하고,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스핀들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공구교환을 위해 상기 스핀들유닛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구매거진; 및 메인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매거진이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틸팅시에 상기 공구매거진을 지지하는 틸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이 상기 틸팅포인트와 상기 메인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공구매거진이 틸팅될 때에 소정 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상에서 상기 공구매거진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은 컬럼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유닛을 지지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공구매거진을 상기 스핀들유닛에 틸팅가능하도록 상기 공구매거진을 상기 결합유닛에 결합시키는 서포트부; 상기 스핀들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메인 가이드부; 및 상기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공구매거진을 모든 구간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공구매거진에 결합 설치되는 메인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메인 가이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도록 상기 공구매거진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상기 보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공구매거진을 감속구간에서 지지하는 보조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상기 메인 가이드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유닛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하부에서 소정의 곡률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하부에서 높이방향 하방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곡선부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라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감속구간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 직선부에서 상기 곡선부를 따라 높이방향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2 직선부에서 상기 곡선부를 따라 높이방향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상기 결합유닛은 일측이 상기 컬럼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는 일측이 상기 공구매거진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구름구동하는 제1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상기 보조 슬라이딩부는 상기 브릿지부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하도록 일측이 상기 공구매거진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부를 따라 구름구동하는 제2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일측이 상기 공구매거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핀들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상기 공구매거진을 탄성지지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상기 공구매거진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상기 서포트부가 L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과 상기 틸팅포인트가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이 공구매거진이 틸팅포인트와 메인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종래보다 틸팅포인트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공구매거진의 틸팅 구동시에 진동을 저감하고, 가공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틸팅유닛이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해 공구매거진이 틸팅될 때에 감속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상에서 공구매거진을 지지함에 따라 스핀들유닛의 상하이동시에 정지없이 스핀들유닛이 상하로 이동하여 공구교환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틸팅시에 감속구간에서 2곳 이상을 지지하고 진동 감소를 통해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하고 공작기계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공구매거진의 이너셔 감소 및 공구교환 시간 단축을 도모함에 따라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작업자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럼이 제거된 상태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가공구간에 있는 상태에서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감속구간에 바로 진입한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감속구간을 지나가는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감속구간을 바로 빠져나온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교환구간에서 최대 각도로 틸팅된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구간상태에 따른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위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와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속도제어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럼이 제거된 상태에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가공구간에 있는 상태에서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감속구간에 바로 진입한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감속구간을 지나가는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감속구간을 바로 빠져나온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가 교환구간에서 최대 각도로 틸팅된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구간상태에 따른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위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와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속도제어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폭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2 내지 도 3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길이방향"이란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2 내지 도 7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란 폭방향과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 즉 도 2 내지 도 7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상방)"이란 "높이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2 내지 도 7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하방)"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2 내지 도 7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스핀들에 먼쪽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스핀들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10)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10)는 컬럼(100), 스핀들유닛(200), 결합유닛(300), 공구매거진(400), 및 틸팅유닛(500)을 포함한다.
컬럼(100)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또는 베드에 고정되거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핀들유닛(200)은 스핀들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스핀들 바디부(210)와 공구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작물을 가공하는 스핀들(220)을 포함한다.
스핀들 바디부(210)는 컬럼에 높이방향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핀들(220)은 스핀들 바디부에 설치되어 공구로 공작물을 가공한다.
스핀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는 CNC로 구동되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사용한 공구를 공구매거진의 빈 공구포트에 반납하고 다음 사용하기 위한 공구가 장착된 공구포트를 공구교환위치로 회전시켜 스핀들 바디부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공구를 교환한다.
즉,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공구는 공구매거진의 틸팅된 각도에 따라 스핀들유닛이 높이방향의 상부 또는 하부로의 이동하면서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를 공구매거진에 반납하고, 반대로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공구가 스핀들에 클램핑되게 된다.
결합유닛(300)은 컬럼에 결합되고 틸팅유닛을 지지한다.
즉,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유닛(300)은 연결부(310)와 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연결부(310)는 결합유닛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연결부는 일측이 컬럼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320)는 연결부의 선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포트부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결합부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서포트부와 결합되고, 서포트부를 통해 최종적으로 공구매거진을 결합유닛에 결합시켜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부와 하부로의 이동에 따라 공구매거진을 스핀들유닛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틸팅시킨다.
공구매거진(400)은 스핀들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공구교환을 위해 스핀들유닛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매거진(400)은 드럼부(410)와 다수의 공구포트(420)와 각각의 공구포트에 수납되는 공구(430)를 포함한다.
드럼부(4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틸팅유닛과 결합유닛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다수의 공구포트(420)는 드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각각의 공구(430)가 각각의 공구포트에 수납된다.
이처럼,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공구매거진은 공작물 가공 또는 공구교환을 위해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부와 하부의 이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틸팅되고, 다수의 공구포트에 많은 공구를 수납하고 공작물 가공에 따라 공구를 교환하여 사용함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틸팅유닛(500)은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공구매거진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G)이 공구매거진의 틸팅포인트(T)와 메인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종래보다 틸팅포인트(T)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G)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공구매거진의 틸팅 구동시에 진동을 저감한다.
구체적으로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G)이 공구매거진의 틸팅포인트(T)와 메인 가이드부의 곡선부(523) 사이에 위치하여 종래보다 틸팅포인트(T)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G)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공구매거진의 틸팅 구동시에 진동을 저감하고, 가공정밀도를 향상하며, 정지없이 틸팅 동작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G)에 대한 이너셔 모멘트(Inertia Moment, J0)는 하기 식 1 내지 3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식 1 :
식 2 :
식 3 :
즉, 식 3에서 Fr 값이 큰 편이 작은 편보다 작동이 정숙하고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공구매거진의 틸팅 각도 φ가 작아서 공구매거진의 중량에 의한 영향이 작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R1과 R2를 곱한 값(R1R2)이 클수록 공구매거진은 안정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처럼, 공구매거진이 스핀들유닛에 대해 틸팅될 때에 틸팅포인트(T)가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G)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공구매거진의 틸팅 구동시에 이너셔 영향을 최소화하여 진동을 절감하고, 가공정밀도를 향상하며,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틸팅유닛(500)은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해 공구매거진이 틸팅될 때에 소정 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상에서 공구매거진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스핀들유닛의 상하이동시에 정지없이 스핀들유닛이 상하로 이동하여 공구교환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가공비용을 절감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10)는 텐션부(600)를 더 포함한다.
텐션부(600)는 일측이 공구매거진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핀들유닛에 연결되어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공구매거진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텐션부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코일스프링의 탄성계수를 각 장비별로 조절하여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감속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외에 추가적으로 지지하거나 가공구간이나 감속구간 이외의 교환구간에서 공구매거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공구매거진을 탄성 지지하여 진동을 최소화하고, 탄성력을 통해 간편하게 지지하여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10)는 구동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구동유닛(700)은 캠샤프트(710), 캠(720), 캠팔로우(730), 및 구동부(740)를 포함한다.
구동유닛(700)은 공구매거진을 회전 구동시킨다. 즉, 구동유닛은 드럼을 회전시킨다.
캠샤프트(710)는 드럼의 후방에 폭방향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한, 캠샤프트의 선단에 캠샤프트 기어가 설치된다.
캠(720)은 소정의 프로파일을 갖고 캠의 일부에 형성된다.
캠팔로우(730)는 캠샤프트와 인접하도록 드럼의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캠팔로우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740)가 캠샤프트와 캠샤프트 기어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캠샤프트와 캠샤프트 기어를 회전시킨다. 또한 이러한 구동부는 서보모터(servo motor)로 형성된다.
CNC로 이루어진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부가 작동하면 캠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캠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캠과 캠팔로우의 상호운동에 따라 드럼이 회전하게 된다. 즉, 공구매거진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캠샤프트, 캠, 캠샤프트 기어, 및 캠팔로우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10)의 틸팅유닛(500)은 서포트부(510), 메인 가이드부(520), 메인 슬라이딩부(530), 보조 가이드부(540), 및 보조 슬라이딩부(550)를 포함한다.
서포트부(510)는 공구매거진을 스핀들유닛에 틸팅가능하도록 공구매거진을 결합유닛에 결합시킨다. 즉, 서포트부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공구매거진에 틸팅축을 기준으로 틸팅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서포트부의 틸팅축이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포인트(T)가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서포트부가 영문자 알파벳 L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과 틸팅포인트가 더욱 가까워질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포트부가 영문자 알파벳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과 틸팅포인트가 기존 보다 더욱 가깝게 위치함에 따라 공구매거진의 틸팅 구동시에 진동을 저감하고, 가공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메인 가이드부(520)는 스핀들유닛에 배치되어 스핀들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공구매거진의 틸팅각도를 조절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메인 가이드부(520)는 베이스부(521), 제1 직선부(522), 곡선부(523), 및 제2 직선부(52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521)는 메인 가이드부의 외형을 형성한다. 베이스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스핀들유닛에 설치된다. 즉, 베이스부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스핀들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직선부(522)는 베이스부의 일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다.
곡선부(523)는 제1 직선부의 하부에서 소정의 곡률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 직선부(524)는 곡선부의 하부에서 높이방향 하방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다.
메인 슬라이딩부(530)는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한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공구매거진을 모든 구간에서 지지하도록 공구매거진에 결합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메인 슬라이딩부(530)는 브릿지부(531) 및 제1 롤러부(532)를 포함한다.
브릿지부(531)는 일측이 공구매거진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브릿지부는 공구매거진의 드럼의 후방에서 길이방향으로 메인 가이드부와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1 롤러부(532)는 브릿지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구름구동한다.
보조 가이드부(540)는 메인 가이드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보조 가이드부는 메인 가이드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보조 가이드부(540)는 본체부(541) 및 라운딩부(542)를 포함한다.
본체부(541)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라운딩부(5420)는 곡선부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본체부의 일측면에 굴곡지게 형성된다.
보조 슬라이딩부(550)는 메인 슬라이딩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도록 공구매거진에 결합 설치되어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한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보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공구매거진을 감속구간에서 지지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틸팅유닛의 보조 슬라이딩부(550)는 로드부(551) 및 제2 롤러부(552)를 포함한다.
로드부(551)는 브릿지부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하도록 일측이 공구매거진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로드부는 공구매거진의 드럼의 후방에서 브릿지부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하고 일측이 보조 가이드부와 인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롤러부(552)는 로드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보조 가이드부를 따라 구름구동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공구매거진의 이너셔 감소 및 공구교환 시간 단축을 도모함에 따라 공작기계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작업자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각 구간과 상태 및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유닛이 높이방향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때에 이동거리에 따라 구간과 상태가 변경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유닛이 Z-200 위치에서 Z0 위치까지 높이방향 하부로 이동하거나 높이방향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메인 슬라이딩부의 제1 롤러부가 메인 가이드부의 제1 직선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구간은 가공구간(A)으로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로 공작물을 가공하고 공구매거진은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공구간(A)에서 메인 가이드부의 제1 직선부를 메인 슬라이딩부의 제1 롤러부만 구름구동하고 보조 슬라이딩부의 제2 롤러부는 제1 직선부를 구름구동하지 않는다. 또한 이때에 텐션부에 의해 제1 롤러부와 제1 직선부의 1차적 지지이외에 부가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유닛이 Z0 위치에서 Z+107 위치까지 높이방향 하부로 이동하거나 높이방향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메인 슬라이딩부의 제1 롤러부가 메인 가이드부의 곡선부와 제2 직선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구간은 교환구간(B)으로 최종적으로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를 공구매거진에 반납하거나 반대로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공구가 스핀들에 클램핑되어 공구가 교환된다.
구체적으로 교환구간(B)에서 메인 가이드부의 제2 직선부를 메인 슬라이딩부의 제1 롤러부만 구름구동하고 보조 슬라이딩부의 제2 롤러부는 메인 가이드부의 제1 직선부, 곡선부, 및 제2 직선부 및 보조 가이드부의 라운딩부를 구름구동하지 않는다. 또한 이때에 텐션부에 의해 제1 롤러부와 제2 직선부의 1차적 지지이외에 부가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감속구간은 메인 슬라이딩부가 제1 직선부에서 곡선부를 따라 높이방향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거나, 메인 슬라이딩부가 제2 직선부에서 곡선부를 따라 높이방향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즉, 스핀들유닛이 Z0 위치에서 Z+30 위치까지 높이방향 하부로 이동하거나 높이방향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메인 슬라이딩부의 제1 롤러부가 메인 가이드부의 제1 직선부를 바로 지나서 곡선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메인 가이드부의 곡선부를 따라 이동하다가 메인 가이드부의 제2 직선부로 바로 진입하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보조 슬라이딩부의 제2 롤러부도 보조 가이드부의 라운딩부로 제1 롤러부가 곡선부로 바로 진입하는 것과 연동하여 바로 라운딩부로 진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메인 슬라이딩부의 제1 롤러부가 곡선부를 바로 빠져나가는 순간까지 보조 슬라이딩부의 제2 롤러부가 라운딩부를 따라 동일하게 이동하면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공구매거진을 높이방향 상부와 하부에서 양방향으로 구속하여 지지한다. 이 구간은 감속구간(C)으로 최종적으로 공구교환을 위해 스핀들의 이동속도를 감속하여 공구교환 준비를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종래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감속구간에서 스핀들유닛의 상하 이동속도가 0으로 급격하게 변화한 상태가 반드시 포함되고 이 상태로 공구교환을 수행함에 따라 공구교환 시간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스핀들유닛이 높이방향 하부로 이동하는 감속구간(L1)과 반대로 스핀들유닛이 높이방향 상부로 이동하는 감속구간(L2) 모두 스핀들유닛의 상하 이동속도를 0으로 하지 않고 일정하게 감속만 수행하여 공구교환을 진행함에 따라 공구교환 시간을 감소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에 이동거리에 따른 가공구간, 감속구간, 감속구간을 제외한 교환구간으로 이루어진 모든 구간에서 메인 슬라이딩부가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공구매거진을 높이방향 하부에서 1차적으로 지지한다. 보조 가이드부와 보조 슬라이딩부는 지지를 수행하지 않고, 텐션부로 보조적인 지지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에 이동거리에 따른 감속구간에서 메인 슬라이딩부가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공구매거진을 높이방향 하부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보조 슬라이딩부가 보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공구매거진을 높이방향 항부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틸팅유닛이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해 공구매거진이 틸팅될 때에 감속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상에서 공구매거진을 지지함에 따라 스핀들유닛의 상하이동시에 정지없이 스핀들유닛이 상하로 이동하여 공구교환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상하 2방향의 지지를 통해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하고 공작기계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100 : 컬럼
200 : 스핀들유닛
300 : 결합유닛
400 : 공구매거진
500 : 틸팅유닛
510 : 서포트부
520 : 메인 가이드부
530 : 메인 슬라이딩부
540 : 보조 가이드부
550 : 보조 슬라이딩부
600 : 텐션부
700 : 구동유닛

Claims (13)

  1. 스핀들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공구교환을 위해 상기 스핀들유닛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구매거진; 및
    메인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매거진이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틸팅시에 상기 공구매거진을 지지하는 틸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이 상기 틸팅포인트와 상기 메인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공구매거진이 틸팅될 때에 소정 구간에서 틸팅포인트를 기준으로 높이방향 상하 2지점 이상에서 상기 공구매거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컬럼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유닛을 지지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공구매거진을 상기 스핀들유닛에 틸팅가능하도록 상기 공구매거진을 상기 결합유닛에 결합시키는 서포트부;
    상기 스핀들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메인 가이드부; 및
    상기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공구매거진을 모든 구간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공구매거진에 결합 설치되는 메인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메인 가이드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도록 상기 공구매거진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유닛의 높이방향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상기 보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공구매거진을 감속구간에서 지지하는 보조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유닛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하부에서 소정의 곡률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하부에서 높이방향 하방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곡선부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라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구간은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 직선부에서 상기 곡선부를 따라 높이방향 하부로 슬라이딩이동하거나,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2 직선부에서 상기 곡선부를 따라 높이방향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일측이 상기 컬럼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슬라이딩부는,
    일측이 상기 공구매거진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부를 따라 구름구동하는 제1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슬라이딩부는,
    상기 브릿지부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하도록 일측이 상기 공구매거진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부를 따라 구름구동하는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일측이 상기 공구매거진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핀들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공구매거진의 틸팅시에 상기 공구매거진을 탄성지지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는,
    상기 공구매거진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가 L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공구매거진의 무게중심과 상기 틸팅포인트가 더욱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KR1020220062409A 2022-05-20 2022-05-20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KR20230162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409A KR20230162480A (ko) 2022-05-20 2022-05-20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409A KR20230162480A (ko) 2022-05-20 2022-05-20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480A true KR20230162480A (ko) 2023-11-28

Family

ID=8895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409A KR20230162480A (ko) 2022-05-20 2022-05-20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48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327A (ko) 2009-12-08 2011-06-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엄브렐러 타입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20130072615A (ko) 2011-12-22 2013-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축소형 엄브렐러 타입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20140101472A (ko) 2013-02-08 2014-08-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327A (ko) 2009-12-08 2011-06-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엄브렐러 타입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20130072615A (ko) 2011-12-22 2013-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축소형 엄브렐러 타입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20140101472A (ko) 2013-02-08 2014-08-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8735B1 (en) A machining center equipped with a robot device
EP0463453B1 (en) A machine tool
JP5270299B2 (ja) 複合加工旋盤
GB2138596A (en)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ing system
KR102598071B1 (ko) 자동공구교환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EP3471915A1 (en) Machine for machining workpieces
KR102446405B1 (ko) 툴 매거진 장치
US11433497B2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20230162480A (ko) 암리스 자동공구교환장치
JP3985998B2 (ja) 複合加工用工作機械
KR102562141B1 (ko) 공작기계
CN113382821B (zh) 机床以及其操作方法
KR20230130357A (ko) 공작기계의 매거진
KR101891576B1 (ko)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를 갖는 수직형 머시닝 센터
KR102435068B1 (ko) 공작기계
KR20230157007A (ko) 자동공구교환장치용 추가 도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동공구교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18827A (ko) 자동팔레트교환장치용 공작물 거치대
JP7246253B2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方法とパレット交換装置
JP2014065131A (ja) 工作機械システム
KR20220149300A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이송장치
KR830002271B1 (ko) 로봇 장치를 구비한 기계가공 센타
WO2023276270A1 (ja) 対向二軸型旋盤
KR102595165B1 (ko) 터닝센터의 크로스 슬라이드
KR20220142676A (ko) 공작기계의 자동공구교환장치
WO2022249404A1 (ja) 自動パレット交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