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439A -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 Google Patents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439A
KR20230162439A KR1020220062333A KR20220062333A KR20230162439A KR 20230162439 A KR20230162439 A KR 20230162439A KR 1020220062333 A KR1020220062333 A KR 1020220062333A KR 20220062333 A KR20220062333 A KR 20220062333A KR 20230162439 A KR20230162439 A KR 2023016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delivery
plastic bag
front sheet
packaging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학 김
Original Assignee
영 학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학 김 filed Critical 영 학 김
Priority to KR102022006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439A/ko
Publication of KR2023016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4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two walls, e.g. walls of inequal height, tabs; for maintaining the mouth of the sack or bag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65Integra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또는 함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종 식품류(음식물 등)나 물품류가 내장된 배달 및 포장용기를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는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부가 접합된 정면시트와 배면시트의 하부를 바닥시트를 매개로 연결하여 바닥시트의 크기 만큼 수납공간의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하부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비닐봉투에서 문제로 지적된 배달 및 포장용기의 기울어짐 문제와 배달 및 포장용기의 각진 부위에 의한 찢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PLASTIC BAG FOR TRANSPORTING DELIVERY AND PACKAGING CONTAINERS}
본 발명은 비닐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또는 함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종 식품류(음식물 등)나 물품류가 내장된 배달 및 포장용기를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는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경제적인 여유로움과 함께 맞벌이 증가로 인해 외식문화가 크게 활성화되고 있으며, 그와 함께 음식 배달 및 포장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매장에서 음식물을 먹지않고 각 가정에서 음식물을 주문하거나 소비자가 직접 음식물을 포장해 가서 먹는 배달음식이나 포장음식이 증가하고 있다.
배달음식이나 포장음식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음식물을 보호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한편, 운반이 용이하도록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배달 및 포장용기에 포장된다. 가령 피자류나 제과류 등과 같은 식품은 종이재의 배달 및 포장용기에 포장되고, 밥류나 탕류 등은 합성수지재의 배달 및 포장용기에 포장된다.
배달 및 포장용기는 직접 운반이 불편하기 때문에 보통 비닐봉투(비닐 포장대) 등에 담아 운반하고 있다. 비닐봉투의 다양한 예들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6719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2124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8899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0010419호 등의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닐봉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비닐봉투(1)는 기본적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상부 주변에는 한 쌍의 손잡이(1a)와 묶음대(1b)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닐봉투(1)는 2장의 비닐시트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양측단과 하단을 상호 접착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비닐튜브에서 하단을 접착시켜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닐봉투(1)에서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실링공정에 의해 비닐봉투(1)의 하단부가 뾰족한 형상('A' 참조)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단부로 갈수록 수납공간의 면적 좁아진다. 이로 인해 각형 구조로 이루어진 배달 및 포장용기를 내측 바닥에 수납하는 경우, 배달 및 포장용기가 한 쪽으로 기울어져 음식물이 기울어지는 측으로 쏠리거나 국물 등이 유출되거나, 배달 및 포장용기의 각진 부위(꼭지점)로 인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비닐봉투(1)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1a)가 비닐봉투(1)로부터 쉽게 뜯어져 나갈 수 있다. 이 때문에 비닐봉투(1)에 수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의 중량이 제한될 수 있다. 손잡이(1a)는 '∩'자 형상으로, 비교적 얇은 폭으로 비닐봉투(1)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이로 인해 작은 하중에도 손잡이(1a)가 비닐봉투(1)로부터 뜯어져 나가기 때문에 운반할 수 있는 배달 및 포장용기의 중량에 제약이 따른다.
KR 20-2000-0008899 U, 2000. 05. 25. KR 20-0286719 Y1, 2002. 08. 09. KR 20-2011-0010419 U, 2011. 11. 04. KR 20-1999-0012124 U, 1999. 04. 0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배달 및 포장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하고, 배달 및 포장용기의 각진 부위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닐백으로부터 손잡이가 쉽게 뜯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운반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의 중량에 대한 제약을 종래대비 완화시킬 수 있는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묶음띠부들(11)과, 상기 묶음띠부들(11) 사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손가락 삽입공(12a)이 형성된 손잡이부(12)를 포함하는 정면시트(10); 상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 외측부(j21, j22)가 상기 정면시트(10)의 묶음띠부들(11)의 외측부(j11, j12)와 접합된 묶음띠부들(21)과, 상기 묶음띠부들(21) 사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정면시트(10)의 손가락 삽입공(12a)과 정렬되도록 손가락 삽입공(22a)이 형성된 손잡이부(22)를 포함하는 배면시트(20); 및 접이선(j30)을 경계로 일측부는 상기 정면시트(10)의 하부와 접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와 접합되어 상기 정면시트(10)와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접이선(j30)을 경계로 접철되는 바닥시트(30)를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면시트(10)의 손잡이부(12)는 상기 정면시트(10)의 묶음띠부(1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시트(20)의 손잡이부(22)는 상기 배면시트(20)의 묶음띠부(2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면시트(10)의 손잡이부(12)와 묶음띠부들(11)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면시트(20)의 손잡이부(22)와 묶음띠부들(21)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시트(30)는 상기 접이선(j30)을 경계로 일측부와 타측부가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j31, j32)은 상기 정면시트(10)의 하부 양단(j13, j14)과 접합되고, 일측 하단(j33)은 상기 정면시트(10)의 하부 하단(j15)과 접합되고, 타측 양단(j34, j35)은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 양단(j23, j24)과 접합되고, 타측 하단(j36)은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 하단(j25)과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시트(30)는 일측 양단(j31, j32)과 타측 양단(j34, j35)이 각각 '<' 및 '>'로 돌출 형성된 육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면시트(10), 상기 배면시트(20) 및 상기 바닥시트(30)는 각각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연신폴리프로필렌(OPP : Oriented Polypropylen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따르면, 정면시트와 배면시트의 하부를 바닥시트를 매개로 연결하여 바닥시트의 크기 만큼 배달 및 포장용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비닐봉투에서 문제로 지적된 배달 및 포장용기의 기울어짐 문제와 배달 및 포장용기의 각진 부위에 의한 찢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따르면, 정면시트와 배면시트의 각 손잡이부를 상부 중앙에 형성하되, 묶음띠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 구조로 이루어진 손잡이를 구비한 종래의 비닐봉투에서 문제로 지적된 손잡이의 뜯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포장백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의 중량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따르면, 정면시트 및 배면시트의 묶음띠부의 외측부를 열융착을 통해 상호 접합하여 포장백의 묶음띠부의 전체 폭을 2배로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를 감싸는 면적을 종래대비 증대시키는 한편, 묶음띠부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함으로써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의 고정력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따르면, 바닥시트의 양측부가 '<'와 '>'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돌출된 크기만큼 배달 및 포장용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의 면적을 확장 또는 가변시킴으로써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배달 및 포장용기의 크기와 무관하게 배달 및 포장용기를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따르면, 정면시트, 배면시트 및 바닥시트를 열융착 공정을 통해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하여 자투리 부위가 제거됨으로써 포장백 제조공정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에 따르면, 정면시트와 배면시트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시트를 1/2로 접을 수 있도록 접이선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포장백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이선을 통해 바닥시트를 1/2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포장백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닐봉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백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닐팩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닐백의 구성을 각각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면시트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배면시트의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바닥시트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낸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백의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닐팩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미사용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백(B)은 수납공간(10a)이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도 3과 같이, 내부에 배달 및 포장용기(2, 도 8참조)가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b1)을 펼쳐 확장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닐백의 구성을 각각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정면시트, 배면시트 및 바닥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5는 정면시트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배면시트의 정면도이고, 도 7의 (a)는 바닥시트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바닥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닐백(B)은 실링(열융착)을 통해 상호 연결된 정면시트(10), 배면시트(20) 및 바닥시트(30)를 포함한다.
정면시트(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양측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묶음띠부(11)가 형성되고, 묶음띠부들(11) 사이에는 손잡이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정면시트(10)는 가상의 중심선(C1)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손잡이부(12)의 폭(W2)은 묶음띠부(11)의 폭(W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묶음띠부(11)와 손잡이부(12)는 정면시트(1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2)의 중앙 상부에는 손잡이부(12)를 잡기 위해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손가락 삽입공(12a)은 정면도 상에서 좌우폭이 상하폭보다 넓은 장방형, 반원형, 반달형 또는 바나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6과 같이, 배면시트(20)는 정면시트(10)와 동일한 구조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정면시트(10)와 같이 묶음띠부(21)와 손잡이부(22)를 포함한다.
정면시트(10)와 배면시트(20)는 실링공정, 예를 들어 열융착 공정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정면시트(10)와 배면시트(20)는 도 3과 같이, 묶음띠부(11, 21)의 외측부(j11, j12, j21, j22)가 열융착 공정을 통해 융착되어 접합된다.
정면시트(10)와 배면시트(20)의 하단은 바닥시트(3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바닥시트(30)는 도 3과 같이, 포장백(B)의 수납공간(b1)으로 수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2)의 하부를 받치는 부위로서, 도 7의 (b)와 같이, 바닥시트(30)는 펼쳐진 상태를 위에서 바라볼 때 대략 육각형(벌집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중앙에는 좌우로 연장된 접이선(j30)이 형성되어 바닥시트(30)를 1/2로 접철할 수 있다.
바닥시트(30)는 도 3과 같이, 접이선(j30)을 경계로 하부가 정면시트(10)의 하부와 열융착 공정을 통해 접합된다. 예를 들어 바닥시트(30)의 일측 양단(j31, j32)은 도 5에 도시된 정면시트(10)의 하부 양단(j13, j14)에 열융착 공정을 통해 접합되고, 일측 하단(j33)은 정면시트(10)의 하부 하단(j15)에 열융착 공정을 통해 접합된다.
또한, 바닥시트(30)는 도 3과 같이, 접이선(j30)을 경계로 상부가 배면시트(20)의 하부와 열융착 공정을 통해 접합된다. 예를 들어 바닥시트(30)의 타측 양단(j34, j35)은 열융착 공정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배면시트(20)의 하부 양단(j23, j24)에 상호 접합되고, 타측 하단(j36)은 배면시트(20)의 하부 하단(j25)에 상호 접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포장백(B)은 사각형 구조를 갖는 3장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정면시트용 제1 시트와 배면시트용 제2 시트는 동일한 크기(가로×세로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시트용 제3 시트는 가로길이가 제1 및 제2 시트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고, 세로길이는 제1 및 제2 시트의 세로길이와 다를 수 있다.
각각 사각형 구조를 갖는 정면시트용 제1 시트, 배면시트용 제2 시트 및 바닥시트용 제3 시트를 열융착 공정을 통해 융착하여 접합한다. 열융착 공정을 통해 접합되는 부위는 'j11~j15', 'j21~25' 및 'j31~j36'에 해당한다. 이때 이들 접합 부위에 근접한 부위가 재단되어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는 포장백(B)을 완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백의 사용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백(B)은 포장백(B)을 펼쳐 수납공간(b1)을 확장시킨 후 수납공간(b1)의 내부에 배달 및 포장용기(2)를 수납시킨다. 그리고 서로 접합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정면시트(10)와 배면시트(20)의 한 쌍의 묶음띠부(11, 21)를 서로 묶어 배달 및 포장용기(2)를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백(B)은 3장의 비닐시트 원단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닐시트 원단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연신폴리프로필렌(OPP : Oriented Polypropylen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 Low Density Polyethylene)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백(B)의 작용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포장백(B)에서는 정면시트(10)와 배면시트(20)의 하부를 바닥시트(30)를 매개로 연결하여 바닥시트(30)의 크기(가로×세로) 만큼 배달 및 포장용기(2)가 수납되는 수납공간(b1)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가 'V'자 형상(도 1의 'A' 참조)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비닐봉투에서 문제로 지적된 배달 및 포장용기의 기울어짐 문제와 배달 및 포장용기의 각진 부위에 의한 찢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포장백(B)에서는 정면시트(10)와 배면시트(20)의 각 손잡이부(12, 22)를 상부 중앙에 형성하되, 묶음띠부(11, 2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 구조로 이루어진 손잡이를 구비한 종래의 비닐봉투에서 문제로 지적된 손잡이의 뜯어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포장백(B)의 내부에 수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의 중량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셋째, 포장백(B)에서는 정면시트(10) 및 배면시트(20)의 묶음띠부(11, 21)의 외측부(j11, j12, j21, j22)를 열융착을 통해 상호 접합하여 포장백(B)의 묶음띠부의 전체 폭을 2배로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수납공간(b1)에 수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2)를 감싸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한편, 묶음띠부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함으로써 수납공간(b1)에 수납되는 배달 및 포장용기(2)의 고정력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포장백(B)에서는 바닥시트(30)의 양측부가 '<'와 '>'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돌출된 크기만큼 배달 및 포장용기(2)가 수납되는 수납공간(b1)의 면적을 확장 또는 가변시킴으로써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배달 및 포장용기(2)의 크기와 무관하게 배달 및 포장용기를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다.
다섯째, 포장백(B)에서는 정면시트(10), 배면시트(20) 및 바닥시트(30)를 열융착 공정을 통해 일부를 접합하여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하여 자투리 부위가 제거됨으로써 포장백(B)의 제조공정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포장백(B)에서는 정면시트(10)와 배면시트(2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시트(30)를 1/2로 접을 수 있도록 접이선(j3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포장백(B)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이선(j30)을 통해 바닥시트(30)를 1/2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포장백(B)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 비닐봉투 1a : 손잡이
1b : 묶음대 2 : 배달 및 포장용기
B : 비닐백 b1 : 수납공간
10 : 정면시트 11 : 묶음띠부
12 : 손잡이부 12a : 손가락 삽입공
20 : 배면시트 21 : 묶음띠부
22 : 손잡이부 30 : 바닥시트
j11, j12, j21, j22 : 외측부(묶음띠부) j13, j14 : 하부 양단(정면시트)
j15 : 하부 하단(정면시트) j23, j24 : 하부 양단(배면시트)
j25 : 하부 하단(배면시트) j30 : 접이선
j31, j32 : 일측 양단(바닥시트) j33 : 일측 하단(바닥시트)
j34, j35 : 타측 양단(바닥시트) j36 : 타측 하단(바닥시트)
C1 : 중심선

Claims (6)

  1. 상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묶음띠부들(11)과, 상기 묶음띠부들(11) 사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손가락 삽입공(12a)이 형성된 손잡이부(12)를 포함하는 정면시트(10);
    상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 외측부(j21, j22)가 상기 정면시트(10)의 묶음띠부들(11)의 외측부(j11, j12)와 접합된 묶음띠부들(21)과, 상기 묶음띠부들(21) 사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정면시트(10)의 손가락 삽입공(12a)과 정렬되도록 손가락 삽입공(22a)이 형성된 손잡이부(22)를 포함하는 배면시트(20); 및
    접이선(j30)을 경계로 일측부는 상기 정면시트(10)의 하부와 접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와 접합되어 상기 정면시트(10)와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접이선(j30)을 경계로 접철되는 바닥시트(30);
    를 포함하는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시트(10)의 손잡이부(12)는 상기 정면시트(10)의 묶음띠부(1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시트(20)의 손잡이부(22)는 상기 배면시트(20)의 묶음띠부(2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시트(10)의 손잡이부(12)와 묶음띠부들(11)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면시트(20)의 손잡이부(22)와 묶음띠부들(21)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시트(30)는 상기 접이선(j30)을 경계로 일측부와 타측부가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 양단(j31, j32)은 상기 정면시트(10)의 하부 양단(j13, j14)과 접합되고, 일측 하단(j33)은 상기 정면시트(10)의 하부 하단(j15)과 접합되고, 타측 양단(j34, j35)은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 양단(j23, j24)과 접합되고, 타측 하단(j36)은 상기 배면시트(20)의 하부 하단(j25)과 접합된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시트(30)는 일측 양단(j31, j32)과 타측 양단(j34, j35)이 각각 '<' 및 '>'로 돌출 형성된 육각형 구조로 이루어진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시트(10), 상기 배면시트(20) 및 상기 바닥시트(30)는 각각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연신폴리프로필렌(OPP : Oriented Polypropylen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KR1020220062333A 2022-05-20 2022-05-20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KR20230162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33A KR20230162439A (ko) 2022-05-20 2022-05-20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333A KR20230162439A (ko) 2022-05-20 2022-05-20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439A true KR20230162439A (ko) 2023-11-28

Family

ID=8895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333A KR20230162439A (ko) 2022-05-20 2022-05-20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43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124U (ko) 1997-09-03 1999-04-06 임영래 공기를 주입한 비닐봉투의 손잡이
KR20000008899U (ko) 1998-10-29 2000-05-25 이동기 통기공을 형성한 비닐포장대
KR200286719Y1 (ko) 2002-06-07 2002-08-22 김미순 운반이 용이한 비닐봉투
KR20110010419U (ko) 2010-04-29 2011-11-04 고은경 수박용 비닐 봉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124U (ko) 1997-09-03 1999-04-06 임영래 공기를 주입한 비닐봉투의 손잡이
KR20000008899U (ko) 1998-10-29 2000-05-25 이동기 통기공을 형성한 비닐포장대
KR200286719Y1 (ko) 2002-06-07 2002-08-22 김미순 운반이 용이한 비닐봉투
KR20110010419U (ko) 2010-04-29 2011-11-04 고은경 수박용 비닐 봉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4491A (en) Flexible drinking container or bag
JP4173731B2 (ja) 製品を収蔵する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779998A (en) Composite bag-like package
US4299324A (en) Folding beverage can container
US3136475A (en) Bag bottom closure having a v-shaped bottom
JPH04226607A (ja) ループ状のハンドルを有するバッグ
JP2010516581A (ja) ボトル等のための展開可能な容器
JPH0624487A (ja) バラ荷材料、流体および同等品用コンテナー
JP3146353U (ja) 食品容器水平保持レジ袋
US7591496B1 (en) Up-right carry-out
KR20230162439A (ko) 배달 및 포장용기 운반용 비닐백
JP6048903B1 (ja) 水平保持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45105A1 (en) Carton having stacking strength-enhancing feature
US4986416A (en) Bag bottle carrier
KR20130023367A (ko) 사면 입체 포장체 및 사면 입체 포장 방법
CA2851679A1 (en) Flexible pouches for goods on a roll
KR20120102407A (ko) 사각 바닥구조의 포장상자 수납형 비닐봉지
JP2552008Y2 (ja) 新鮮フルーツ等の包装用角袋
JP6212896B2 (ja) 収納物固定部材
JP2004237987A (ja) 包装体
US3067926A (en) Bags
US3043422A (en) Easel type display container
KR200470977Y1 (ko) 포장용 박스
JP4728464B2 (ja) 梱包用材料及び梱包方法
JPH0333616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