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998A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998A
KR20230161998A KR1020237034291A KR20237034291A KR20230161998A KR 20230161998 A KR20230161998 A KR 20230161998A KR 1020237034291 A KR1020237034291 A KR 1020237034291A KR 20237034291 A KR20237034291 A KR 20237034291A KR 20230161998 A KR20230161998 A KR 20230161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power
aerosol delivery
delivery system
flammable aerosol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커시
대릴 베이커
조셉 피터 서튼
샐리 벨
크리스 인
네잣 에르구벤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2105120.6A external-priority patent/GB202105120D0/en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비가연성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heater)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디바이스(device)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의해, 가열기의 전력 레벨을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0001]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을 제어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0002]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그 구성요소(component))의 구성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소되거나 또는 태워지지 않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다.
[0003]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베이핑 디바이스(vaping device)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END)으로도 알려져 있는 전자 시가렛(cigarette)일 수 있지만,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니코틴이 존재하는 것이 필수 요건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0004]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비연소식 가열(heat-not-burn) 시스템으로도 알려져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가열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로는 담배 가열 시스템이 있다.
[0005]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그 중 하나 또는 복수가 가열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하이브리드(hybrid) 시스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각각은 예를 들어 고체, 액체 또는 겔(gel) 형태일 수 있으며, 니코틴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0006] 전형적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품을 포함할 수 있다.
[0007]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같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력 소스(source) 및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는 예를 들어, 전기 전력 소스 또는 발열 전력 소스일 수 있다. 발열 전력 소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발열 전력 소스에 근접한 열 전달 재료에 열의 형태로 전력을 분배하도록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탄소 기판을 포함한다.
[0008]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소모품, 에어로졸 생성기, 에어로졸 생성 영역, 하우징, 마우스피스(mouthpiece), 필터 및/또는 에어로졸 개질제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0009]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소모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 에어로졸 생성 재료 이송 구성요소, 에어로졸 생성기, 에어로졸 생성 영역, 하우징, 래퍼(wrapper), 필터, 마우스피스, 및/또는 에어로졸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0010] 알려진 접근 방식들은 WO2018/087719A1, US2015/075546A1, WO2017/218982A1, WO2015/192084A1, 및 US2017/086505A1에 설명되어 있다.
[0011] 제1 양태에서 볼 때,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의해, 가열기의 전력 레벨을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배터리 전력의 소비를 관리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 제공된다.
[0012] 제2 양태에서 볼 때,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및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가열기를 포함하고,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가열기의 전력 레벨을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자원 관리를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 제공된다.
[0013] 제3 양태에서 볼 때,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고, 이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가: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및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하고, 여기서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전송하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가열기의 전력 레벨을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게 한다.
[0014]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접근 방식들의 실시예들 및 예들이 예로서로만 설명될 것이다.
[0015] 도 1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0016] 도 2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0017] 도 3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18] 도 4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0019] 본 설명된 접근 방식은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가능하지만,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들 및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바와 같은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들, 등가물들 및 대안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0020]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열 에너지를 가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들을 방출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가열기를 포함한다.
[0021]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가열기에 가해지는 전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로졸들의 특성들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기에 더 많은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더 낮은 전력이 공급될 때보다 주어진 에어로졸 생성 활성화에 대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의해 더 큰 부피의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부피를 클라우드(cloud)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열기 전력의 변화에 따라 클라우드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0022]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에 따라,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에어로졸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때, 사용자가 가열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접근 방식이 제공된다. 이는 차례로 사용자가 예를 들어, 더 큰/더 작은 클라우드, 더 강렬한 경험 등을 생성하기 위해, 생성된 에어로졸들의 특성들을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0023] 이러한 방식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가열기 전력 설정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본 기술들은 생성되는 에어로졸들의 특성들에 대한 높은 레벨의 제어를 제공한다. 이는 예를 들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들(에어로졸 매체라고도 함)의 잠재적으로 상이한 특성들을 보상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화되는 재료들의 변동이 가열 시 상이한 거동을 유발하는 경우, 그에 따라 가열기 설정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러한 재료들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생성되는 에어로졸들의 특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0024] 가열기 전력 설정은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들을 갖는 에어로졸들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 경험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력 공급 및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공급이 고갈되는 속도는 가열기에 공급되는 전력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제어하여 배터리/재료 공급이 소진되는 속도에 영향을 주도록(예를 들어, 느리게 함) 사용될 수도 있다.
[0025] 본 접근 방식들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그리고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고,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저장된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접근 방식들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른 서비스들 또는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디바이스들을 예시하기 위해, 예시적인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 및 예시적인 사용자 디바이스(40)가 각각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예시된다.
[0026]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는 에어로졸 매체 용기 또는 카트리지(12)(END 디바이스의 경우, 에어로졸 매체 용기 또는 카트리지(12)는 니코틴 또는 니코틴 함유 제형을 포함할 것임), 에어로졸 생성 챔버(14), 및 발생된 에어로졸이 배출될 수 있는 출구(16)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이다. 배터리(18)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14)(또는 이와 인접한 기능성) 내의 열 발생기 요소(예를 들어, 가열기 코일(coil)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가열기(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18)는 또한 활성화 트리거(trigger)에 응답하여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디바이스의 활성화와 같은 디바이스 사용의 목적들, 및 통신 및 기능성 제어의 목적들을 서비스할 수 있는 프로세서/제어기(2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제어기(22)는 프로세서/제어기(22)에 대한 작동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메모리(24)에 액세스할 수 있다. 메모리(24)는 또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 및/또는 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작동 조건들 및/또는 상태들을 설명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4)는 프로세서/제어기(22)에 내부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추가적인 별도의 물리적 요소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0027] 데이터 및/또는 메시징(messaging)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제어기(22)에는 송신기/수신기 요소(26)가 제공된다. 송신기/수신기 요소(26)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이 개인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protocol)과 같은 연결 기술을 사용하여 연결된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인 개인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에는 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tm)(BLE), Zigbee™, 무선 USB, 및 근거리 무선 통신(NFC)이 포함된다. 예시적인 개인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에는 또한 적외선 데이터 연결(IrDA)과 같은 광통신을 사용하는 프로토콜들, 및 데이터-오버-사운드(data-over-sound)를 사용하는 프로토콜들도 포함된다.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적절한 기능을 갖는 경우, Wi-Fi™ 기술과 같은 다른 무선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송신기/수신기 요소(26)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물리적 포트(port)들과 연결된 디바이스 사이에 제공되는 유선 통신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통신 채널은 USB™, 직렬 포트, FireWire™ 또는 다른 지점 간 유선 연결과 같은 물리적 연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논의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BLE의 예를 사용할 것이고 BLE 용어를 사용할 것이지만, 다른 개인 영역 네트워크 기술들의 대응하는 또는 동등한 기능성들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예에서, 송신기/수신기 요소(26)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연결되는 BLE 인터페이스 요소이다. 전술한 것들과 같은 다른 예들에서, 이는 대안적인 무선 기술 및/또는 유선 연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일 수 있다.
[0028] 연결된 디바이스와 확립된 임의의 통신은 특정 기능성들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 기간 동안 채널이 확립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비영구적이거나 또는 달리 일시적일 수 있지만, 필요하지 않은 경우 연결이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연결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 및 연결된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활용되고 및/또는 제어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로 지칭될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디바이스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원격이라는 의미에서 원격 디바이스로 지칭되거나, 또는 디바이스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로킹 해제/연령 확인 서비스들 사이의 중간에 있다는 의미에서 중간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의 예가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0029] 도 1의 논의로 돌아가서, 프로세서/제어기(22)는 일 예에서, ST Microelectronics에 의해 제공되고 ARM™ Cortex™-M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는 STM32 마이크로제어기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대안적인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ARM™ 아키텍처(architecture), 및 Atom™ 아키텍처 또는 다른 저전력 프로세서 기술에 기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송신기/수신기 요소(26)는 일 예에서, 프로세서/제어기와 협력하여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BLE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nRF BLE 칩(chip)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 칩들 또는 모듈들이 연결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개될 수 있다.
[0030]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제어기(22)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매체 용기 또는 카트리지(12), 에어로졸 생성 챔버(14) 및 배터리(18)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구성요소들 중 하나들로부터의 인터페이스 연결 또는 출력에 대한 것일 수 있고, 및/또는 구성요소들 중 하나들에 또는 구성요소들 중 하나들 내에 로케이팅(locate)된 센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개개의 구성요소들의 특성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은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31] 프로세서/제어기(22) 및/또는 메모리(24)의 추가의 기능성들은 아래의 본 접근 방식들의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0032] 사용자 디바이스(40)의 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사용자(및/또는 소유자)의 휴대전화(핸드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40)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과 통신하기 위한 수신기 송신기 요소(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신기 송신기 요소(42)는 임의의 주어진 구현에서 상호 작용할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과 동일한 연결성 및 프로토콜들 등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따라서, 본 예들에서, 수신기 송신기 요소(42)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연결되는 BLE 인터페이스 요소이다. 전술한 것들과 같은 다른 예들에서, 이는 대안적인 무선 기술 및/또는 유선 연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요소일 수 있다.
[0033] 수신기 송신기 요소(42)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메시징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44)에 연결된다.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44)는 프로그램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메모리(46)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40)는 추가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유선 근거리 통신망과 같은 유선 연결 및/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셀룰러 데이터 서비스들과 같은 무선 연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기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임의의 특정 구현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다른 디바이스들,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컴퓨터 서비스들에 그리고 이들로부터 메시징을 송신 및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작동 또는 상호 작용과 무관한 사용자 디바이스(40)의 다른 기능성들과 관련된 통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0034] 사용자 디바이스(40)는 또한 출력 디바이스(50)(디스플레이(display), 오디오(audio) 출력, 및 햅틱(haptic) 출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 및 입력 디바이스(52)(버튼(button)들, 키(key)들,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 요소들, 또는 마우스(mouse)/트랙패드(trackpa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한다.
[0035] 사용자 디바이스(40)는 아래에 논의되는 접근 방식들에 따라 기능성들을 제공하도록 사전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는 앱(app)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예를 들어, 메모리(46)에) 저장하여, 소프트웨어가 실행될 때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44)가 해당 기능성들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앱이 실행될 때 설명된 기능성들을 갖는 다목적 디바이스일 수 있다.
[0036] 사용자 디바이스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에 대해 프로그래밍되게 하는 소프트웨어는 또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되거나 또는 인코딩(encode)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포함되거나 또는 인코딩된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명령어들이 실행될 때,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가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 및 캐리어 신호들 및 전송 매체들과 같은 일시적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M),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전자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CD-ROM, 플로피(floppy) 디스크, 카세트, 자기 매체들, 광학 매체들,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이라는 용어는 물리적 저장 매체들을 의미한다. 일시적 통신 매체들은 단일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간에 (예를 들어, 메모리와 프로세서 간의 내부 링크 또는 버스 상에서) 또는 별도의 컴퓨팅 시스템들 간에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간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송 신호들, 반송파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37]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40)로 직접 로딩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에 연결하고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소프트웨어의 로딩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로 로딩될 수 있다.
[0038]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다수의 추가적인 기능성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및 사용자 디바이스가 설명되었다. 이제 그러한 기능성들의 예들을 설명할 것이다.
[0039] 도 3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점선들 내에 도시된 단계는 본 예에서 수행되는 단계이지만, 본 접근 방식의 모든 예들에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004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1)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기존 전력 소비 상태를 사용자 디바이스(10)에 통신한다. 이 예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상이한 전력 소비 프로파일들에 대응하고 선택될 수 있는 가열기 전력 설정들에 영향을 미치는 복수의 전력 소비 상태들에서 작동될 수 있다. 가능한 전력 소비 상태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사용 가능한 가열기 전력 설정들이 "낮은"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 제한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한다. 즉, 절전 모드를 작동시킬 때,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절전 모드 이외의 다른 전력 소비 상태일 때 달리 사용 가능할 수 있는 가열기 전력 설정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디바이스에 대한 가열기 전력 설정이 특정 값 초과로 설정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기에 전달되는 전력은 제한되어, 전력을 절약하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가열기 전력을 제한하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에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의 공급이 고갈되는 것을 늦출 수 있으므로, 공급이 더 오래 지속되게 할 수 있다.
[0041] 사용자 디바이스(40)와 결합하여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전력 소비 상태의 다른 예는 성능 모드이다. 성능 모드로 작동할 때, 사용자에게 가열기 전력 및 결과적으로 발생된 에어로졸들의 특성들에 대한 최대한의 제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더 높은 가열기 전력 설정들에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0042] 전력 소비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40)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배터리(18)의 배터리 레벨이 낮은 (예를 들어, 특정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는 배터리 레벨이 낮은 경우 직접 절전 모드를 개시하도록 프롬프트(prompt)될 수 있다.
[0043]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전력 소비 상태가 사용자 디바이스(40)에 의해 수신된 후(이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단계(S33)에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디바이스(40)에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은 입력 디바이스(52)(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버튼들, 키들,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 요소들, 또는 마우스/트랙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수신된다. 이러한 입력을 초대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40)의 출력 디바이스(5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0044] 사용자 입력은 다수의 가능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40)는 사용자가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해 원하는 값(예를 들어, 전력의 와트(watt)들의 수 또는 최대 전력의 백분율)을 타이핑(type)할 수 있는 입력 필드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입력은 슬라이더(slider) 상의 포지션(position)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포지션은 가열기 전력 설정의 값에 대응한다. 사용자가 인가될 전력에 대한 값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디바이스의 작동에 대한 높은 레벨의 제어가 제공되므로, 발생된 에어로졸들에 대해 원하는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조정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한된 수의 허용 가능한 값들을 선택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한 및 하한 가열기 전력 설정들에 대한 제한들이 부과되어, 사용자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지원되는 가열기 전력 설정들에 대한 선택을 제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4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을 고정 증분만큼 변화하는 값들로 제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40)는 0.1 W의 증분들로 2.0 W 내지 6.5 W의 가열기 전력에 대응하는 값들로 사용자의 선택을 제한한다.
[0045] 그러나,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사전 설정된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선택을 포함한다. 사전 설정된 전력 설정들은 사용자 자신에 의해 사전 설정되고 사용자 디바이스(40)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제조자에 의해 설정된 일반적인 사전 설정된 설정들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가열기 전력 설정들에 대한 보다 대략적인 조정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한 가열기 전력 설정의 선택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0046] 디바이스(10)의 기존 전력 소비 상태가 단계(S31)에서 통신된 경우, 사용자는 기존 전력 소비 상태에 대한 사용 가능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가열기 전력 설정 또는 설정들은 전력 소비 상태의 목적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의 경우, 사용 가능한 가열기 전력 설정들은 절전 모드로 작동하지 않을 때 달리 사용 가능할 수 있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 제한될 수 있다.
[0047]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5)에서, 사용자 디바이스(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송은 사용자 디바이스(40)의 수신기 송신기 요소(42)에 의해 수행되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송신기/수신기 요소(26)에 의해 수신된다. 이 예에서, 전송은 BLE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위에 언급된 것들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0048] 이 예에서, 선택된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40)는 사용자 디바이스(40)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 사이의 BLE 통신을 관장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 사양에 따라 가열기에 인가될 전력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40)는 부호 없는 정수의 형태의 값을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에 기록하도록 배열된다. 부호 없는 정수는 디바이스(10)에 의해 지원되는 가열기 전력의 하한값 및 상한값에 대응하는 특정 범위의 값들을 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기록된 값으로부터 가열기에 인가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10)는 그 값을 10으로 나눈다. 따라서, 가열기 전력이 4.5 W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40)는 BLE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10)에 45의 값을 기록한다.
[0049] 이 예는 가열기 전력 설정들이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는 방법 및 가열기 전력 설정을 위한 다른 통신 모드들 및 인코딩 체계들에 대한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예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0050]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에 응답하여, 단계(S37)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가열기의 전력 레벨을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가열기(예를 들어, 가열기 코일(20))에 전력 소스(예를 들어, 배터리(18) 또는 발열 전력 소스)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열기에 제공되는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에어로졸화 가능한 재료가 가열되는 온도를 조정하여,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들의 특성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들의 클라우드 크기/강도를 제어하여 자신의 경험에 대한 원하는 특성들을 달성할 수 있다.
[0051] 사용자가 가열기의 목표 온도를 지정하는 접근 방식과 달리, 가열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디바이스(10)의 제조 및 가열기의 제어가 간소화될 수 있다. 전력 소스(예를 들어, 배터리(18))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은 비교적 제조 및 제어가 용이한 전력 공급 회로부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으므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을 제조하고 가열기 전력 설정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는 가열기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시도하는 접근 방식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온도 기반 접근 방식은 온도 감지 요소(예를 들어, 서미스터(thermistor)) 및 피드백 제어, 및/또는 매우 신중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필요로 할 것이다.
[0052] 이러한 입력을 초대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40)의 출력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0053]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은 특정 전력 모드(차례로 전력 소비 상태에 대응할 수 있는)를 채택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다수의 전력 모드 표시기들(62)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모드 1에 대한 표시기(62a)는 모든 전력 레벨들이 사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 대응하고, 모드 2에 대한 표시기(62b)는 전력 소비 상태에 응답하여 인게이지(engage)될 수 있는 절전 모드에 대응하며,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0054]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은 또한 특정 전력 레벨 사전 설정을 채택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다수의 본 표시기들(64)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사전 설정 A에 대한 표시기(64a)는 저전력 레벨에 대응하고, 사전 설정 B에 대한 표시기(64b)는 중간 전력 레벨에 대응하며, 사전 설정 C에 대한 표시기(64c)는 고전력 레벨에 대응한다. 본 예에서, 모드 1(일반 모드)이 선택된 경우, 이러한 사전 설정 모드들 모두가 선택에 사용 가능하지만, 모드 2(저전력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저전력 사전 설정 A, 또는 저전력 사전 설정 A 및 중간 전력 사전 설정 B만이 선택에 사용 가능하다.
[0055]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은 또한 전력 선택 슬라이더(66)를 포함하며, 이 전력 선택 슬라이더는 슬라이더(66)를 따라 이동하여 전력을 변화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전력 선택 제어 요소(68)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모드 1(일반 모드)이 선택된 경우, 슬라이더(66)의 전체 범위가 포저(poser) 선택 제어 요소(68)를 사용하여 선택에 사용 가능한 반면, 모드 2(저전력 모드)가 선택된 경우, 가장 낮은 전력 설정 또는 범위의 저전력 끝을 향한 제한된 범위만이 포저 선택 제어 요소(68)를 사용하여 선택에 사용 가능하다.
[0056] 다른 예들에서는, 대안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접근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더 큰 또는 더 작은 범위의 표시기들 및/또는 선택기들이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이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에 걸쳐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는, 사전 설정된 표시기들 또는 슬라이더가 제시될 수 있지만, 둘 모두가 제시되지는 않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는, 전력 모드가 하나만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전력 모드들 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표시기들이 없을 수 있다. 전력 모드가 자동으로 채택되는 예들에서는, 활성 전력 모드에 대한 표시기가 있을 수 있지만, 상이한 전력 모드들 간에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없을 수 있다.
[0057]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40)로부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가열기 전력 설정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들의 특성들을 효과적으로 조정하도록 허용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 설명되었다.
[0058] 본 출원에서, "... 하도록 구성되는"이라는 단어들은 장치의 요소가 정의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구성"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배열 또는 상호 연결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정의된 동작을 제공하는 전용 하드웨어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되는"은 정의된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요소가 임의의 방식으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0059]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만 제공되며, 완전한 및/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합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에는 현재 청구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Claims (24)

  1. 비가연성 에어로졸(aerosol)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heater)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디바이스(device)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의해, 상기 가열기의 전력 레벨(level)을 상기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사전 설정된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선택을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의 선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은 선택 가능한 최대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상한값, 선택 가능한 최소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하한값, 및 하나 이상의 중간 가열기 전력 설정들을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의 상기 선택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시된 전력 선택 슬라이더(slider)의 포지셔닝(positioning)의 형태인,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상기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의해,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기존 전력 소비 상태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들은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가능한 가열기 전력 설정들 중 선택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는 절전 모드이고; 및
    상기 사용 가능한 전력 설정들은,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 이외의 다른 전력 소비 상태일 때 사용 가능한 상기 최대 가열기 전력 설정들보다 더 낮은 하나 이상의 낮은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 제한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9.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및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가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가열기의 전력 레벨을 상기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사전 설정된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선택을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9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의 선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은 선택 가능한 최대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상한값, 선택 가능한 최소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하한값, 및 하나 이상의 중간 가열기 전력 설정들을 포함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의 상기 선택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시된 전력 선택 슬라이더의 포지셔닝의 형태인,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9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함으로써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상기 표시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9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기존 전력 소비 상태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 가능한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 가능한 가열기 전력 설정들 중 선택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가 절전 모드일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 이외의 다른 전력 소비 상태일 때 사용 가능한 상기 최대 가열기 전력 설정들보다 낮은 하나 이상의 낮은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 상기 사용 가능한 전력 설정들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17.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및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의 표시를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상기 표시를 전송하면,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가열기의 전력 레벨을 상기 표시된 가열기 전력 설정으로 설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사전 설정된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선택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0. 제17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의 선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은 선택 가능한 최대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상한값, 선택 가능한 최소 가열기 전력 설정에 대응하는 하한값, 및 하나 이상의 중간 가열기 전력 설정들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부터의 상기 선택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시된 전력 선택 슬라이더의 포지셔닝의 형태인,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2. 제17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의 상기 표시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을 나타내는 값을 기록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3. 제17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기존 전력 소비 상태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수신하게 하고;
    상기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 가능한 상기 가열기 전력 설정들을 제어하게 하고; 및
    상기 사용 가능한 가열기 전력 설정들 중 선택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가 절전 모드일 때,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기존 전력 소비 상태가 상기 절전 모드 이외의 다른 전력 소비 상태일 때 사용 가능한 상기 최대 가열기 전력 설정들보다 낮은 하나 이상의 낮은 가열기 전력 설정들로 상기 사용 가능한 전력 설정들을 제한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37034291A 2021-04-09 2022-04-08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KR202301619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2105120.6A GB202105120D0 (en) 2021-04-09 2021-04-09 Power control
GB2105120.6 2021-04-09
GBGB2105202.2A GB202105202D0 (en) 2021-04-09 2021-04-12 Control of an aerosol provision system
GB2105202.2 2021-04-12
PCT/GB2022/050896 WO2022214833A1 (en) 2021-04-09 2022-04-08 Method of selecting a heater power setting in an aerosol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998A true KR20230161998A (ko) 2023-11-28

Family

ID=8134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291A KR20230161998A (ko) 2021-04-09 2022-04-08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19583A1 (ko)
JP (1) JP2024513898A (ko)
KR (1) KR20230161998A (ko)
BR (1) BR112023021004A2 (ko)
CA (1) CA3214740A1 (ko)
WO (1) WO20222148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5546A1 (en) 2013-07-12 2015-03-19 Stoicheion Technology LLC Controller With Network Access and Unique ID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EP3154382B1 (en) 2014-06-14 2021-12-01 Evolv, LLC Electronic vaporizer having temperature sensing and limit
US10085486B2 (en) 2015-09-24 2018-10-02 Lunatech, Llc Electronic vapor device with film assembly
GB201517088D0 (en) * 2015-09-28 2015-11-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and methods
KR102652682B1 (ko) 2016-06-16 2024-03-29 쥴 랩스, 인크. 온디맨드 휴대형 대류식 기화기
US20180132526A1 (en) 2016-11-11 2018-05-17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al-time temperature control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A3083718A1 (en) * 2017-11-22 2019-05-31 Juul Labs, Inc.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for a vaporizer device
WO2020006109A1 (en) * 2018-06-26 2020-01-02 Juul Lab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essation of nicotine addiction
JP7460556B2 (ja) * 2018-06-27 2024-04-02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接続型気化器デバイスシステム
GB201903248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4833A1 (en) 2022-10-13
JP2024513898A (ja) 2024-03-27
BR112023021004A2 (pt) 2023-12-26
CA3214740A1 (en) 2022-10-13
EP4319583A1 (en)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5039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 нагреваемая ку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US11723414B2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JP2022001044A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の制御
AU2019375079B2 (en) Device calibration and method
KR20230161998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가열기 전력 설정을 선택하는 방법
EP3881519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KR20230161997A (ko) 절전 모드를 갖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N117715553A (zh) 在气溶胶供应系统中选择加热器功率设定的方法
AU2022255797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40017843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WO2022130545A1 (ja) 制御方法、吸引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3238511A1 (en) Automating actions of an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40017838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09481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WO2023175312A1 (en)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finding lost items
CN117677312A (zh) 用于对气溶胶生成制品进行预热的气溶胶生成装置及其操作方法
WO2024013080A1 (en) Method of a first aerosol generation device for exchanging data with a second aerosol generation device, computer program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EP4337046A1 (en) Customizable aerosol generation device by calibration
CN114730268A (zh) 气溶胶产生装置及相关联的计算装置、使能这种气溶胶产生装置的方法以及远程控制这种气溶胶产生装置的方法
CN117813024A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操作方法
JP2024521934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WO2022219322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