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91A -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91A
KR20230161891A KR1020230063211A KR20230063211A KR20230161891A KR 20230161891 A KR20230161891 A KR 20230161891A KR 1020230063211 A KR1020230063211 A KR 1020230063211A KR 20230063211 A KR20230063211 A KR 20230063211A KR 20230161891 A KR20230161891 A KR 20230161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o
phosphocholine
collagenase
liposome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준
황지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16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4Metalloendopeptidases (3.4.24)
    • C12Y304/24007Interstitial collagenase (3.4.24.7), i.e. matrix metalloprotease 1 or MMP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리포좀의 외부 표면에 콜라게네이즈를 결합함으로써 암의 세포외기질을 분해해 암으로의 리포좀 침투 효과를 증진시켰으며, 세포 독성이 없어 보다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LIPOSO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암 치료를 위한 방법 중 암의 직접적인 타겟에 뒤이어, 암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그 밖의 세포외 기질이 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관심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도 세포외 기질 중 콜라겐이 암세포와 상당한 상호작용이 있음이 밝혀진 상황이다.
따라서 암의 성장과 전이에 직접적으로 가장 크게 관여하는 세포외 기질에 존재하는 콜라겐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과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21-0113931호
본 발명은 외부 표면에 콜라게네이즈가 결합된 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표면에 콜라게네이즈가 결합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항암제를 담지한 인지질 이중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외부 표면에 콜라게네이즈가 결합된, 리포좀.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 이중충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3. 위 2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르복시베타인(pCB), 폴리설포베타인(pSB),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m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G),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세린(PS),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monodisperse PEG),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branched PEG) 및 멀티-암 폴리에틸렌글리콜(multi-arm PE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 8, MMP 13, MMP 18,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쿰 유래 콜라게네이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링겐스 유래 콜라게네이즈, 콜라게네이즈 type 1, 콜라게네이즈 type 2, 콜라게네이즈 type 3, AUX-Ⅰ 콜라게네이즈 및 AUX-Ⅱ 콜라게네이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에 링커를 통해 결합된, 리포좀.
6. 위 5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친수성 고분자 및 아민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싸이올(thiol), 카복실릭(carboxylic), N-하이드록시선신이미드 에스터(NHS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이소사이안산화물(isocyanate), 아실 아자이드(acyl azide), 염화설포닐(sulfonyl chloride), 알데하이드(aldehyde), 글리옥살(glyoxal), 에폭사이드(epoxide), 산화 에틸렌(oxirane), 카르보네이트(carbonate), 아릴 할라이드(aryl halide), 이미도에스터(imidoester),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무수물(anhydride) 및 플루오로페닐 에스터(fluorophenyl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
8. 위 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LPC),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S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DSPE), 1,2-디노나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 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OPC), L-α-포스파티딜콜린(HSPC), 1-미리스토일-2-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MSPC) 및 1-미리스토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리포좀.
9. 위 1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이포스파마이드, 티오테파, 프로카바진, 5-플루오로우라실(5-FU), 카페시타빈, 젬시타빈, 메소트렉세이트,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빈크리스틴, 에토포사이드, 이리노테칸, 독소루비신, 아스파라기나제, 이마티닙, 트라스트주맙, 리툭시맙, 게피티닙, 타목시펜, 아비라테론, 아도-트라스트주맙 엠탄신, 아파티닙, 아나스트로졸, 아테졸리주맙, 베바시주맙, 비칼루타미드, 블레오마이신,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카르보플라틴, 세툭시맙, 다카르바진, 다사티닙, 에피루비신, 엘로티닙, 에베로리무스, 엑스메스탄, 풀베스트란트, 고세렐린, 이브루티닙, 라파티닙, 레트로졸, 류프로라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미톡산트론, 팔보시클립, 파조파닙, 펨브롤리주맙, 페메트렉시드,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및 플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의 크기는 50 nm 내지 200 nm인 리포좀.
11. 인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며 항암제가 담지된 리포좀에 콜라게네이즈가 용해된 용매를 혼합해 콜라게네이즈를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외부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르복시베타인(pCB), 폴리설포베타인(pSB),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m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G),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세린(PS),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monodisperse PEG),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branched PEG) 및 멀티-암 폴리에틸렌글리콜(multi-arm PE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14. 위 1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 8, MMP 13, MMP 18,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쿰 유래 콜라게네이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링겐스 유래 콜라게네이즈, 콜라게네이즈 type 1, 콜라게네이즈 type 2, 콜라게네이즈 type 3, AUX-Ⅰ 콜라게네이즈 및 AUX-Ⅱ 콜라게네이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15. 위 1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에 링커를 통해 결합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6. 위 15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친수성 고분자 및 아민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7. 위 16에 있어서,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싸이올(thiol), 카복실릭(carboxylic), N-하이드록시선신이미드 에스터(NHS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이소사이안산화물(isocyanate), 아실 아자이드(acyl azide), 염화설포닐(sulfonyl chloride), 알데하이드(aldehyde), 글리옥살(glyoxal), 에폭사이드(epoxide), 산화 에틸렌(oxirane), 카르보네이트(carbonate), 아릴 할라이드(aryl halide), 이미도에스터(imidoester),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무수물(anhydride) 및 플루오로페닐 에스터(fluorophenyl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18. 위 12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 및 콜라게네이즈를 30:1 내지 50:1의 몰비로 혼합하여 수행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9. 위 1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LPC),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S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DSPE), 1,2-디노나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 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OPC), L-α-포스파티딜콜린(HSPC), 1-미리스토일-2-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MSPC) 및 1-미리스토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인지질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20. 위 11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이포스파마이드, 티오테파, 프로카바진, 5-플루오로우라실(5-FU), 카페시타빈, 젬시타빈, 메소트렉세이트,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빈크리스틴, 에토포사이드, 이리노테칸, 독소루비신, 아스파라기나제, 이마티닙, 트라스트주맙, 리툭시맙, 게피티닙, 타목시펜, 아비라테론, 아도-트라스트주맙 엠탄신, 아파티닙, 아나스트로졸, 아테졸리주맙, 베바시주맙, 비칼루타미드, 블레오마이신,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카르보플라틴, 세툭시맙, 다카르바진, 다사티닙, 에피루비신, 엘로티닙, 에베로리무스, 엑스메스탄, 풀베스트란트, 고세렐린, 이브루티닙, 라파티닙, 레트로졸, 류프로라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미톡산트론, 팔보시클립, 파조파닙, 펨브롤리주맙, 페메트렉시드,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및 플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21. 위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2. 위 21에 있어서, 상기 암은 췌장암, 간암, 위암, 폐암, 유방암, 대장암, 갑상선암, 고환암, 난소암, 신장암, 피부암, 비인두암 및 골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의 리포좀은 외부 표면에 콜라게네이즈가 결합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암의 세포외 기질인 콜라겐을 분해해 암세포 내부로 항암제가 보다 효율적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 제조 방법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과 콜라게네이즈를 일정 비율로 혼합해 리포좀을 제조함으로써 콜라게네이즈의 활성 및 리포좀으로서의 기능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암에 약물을 침투시켜 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 리포좀 제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리포좀의 유체역학적 크기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TEM으로 확인한 리포좀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리포좀에 담지된 항암제의 담지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리포좀의 안정성 테스트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 리포좀의 암세포 타겟능을 확인하기 위한 in vitro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 리포좀의 콜라게네이즈 활성 확인을 위한 실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리포좀의 콜라게네이즈 활성 확인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 리포좀의 생체 내 분포를 알아보기 위한 in vivo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 리포좀이 암 타겟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 리포좀의 암 조직내로의 침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 리포좀의 농도별 암 치료효과 및 몸무게 변화 결과이다.
도 14는 치료실험을 진행한 마우스 주요 장기들의 혈액 검사 결과이다.
도 15는 치료실험을 진행한 마우스 주요 장기들의 H&E 염색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암제를 담지한 인지질 이중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외부 표면에 콜라게네이즈가 결합된 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지질 이중충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을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르복시베타인(pCB), 폴리설포베타인(pSB),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m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G),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세린(PS),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monodisperse PEG),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branched PEG) 및 멀티-암 폴리에틸렌글리콜(multi-arm PE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을 포함함으로써 체내 독성이나 자극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MPS(mononuclear phagocyte system)을 회피하여 체내에서의 리포좀 순환 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약물 전달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콜라게네이즈라면 그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라게네이즈 type 1, 콜라게네이즈 type 2, 콜라게네이즈 type 3, 콜라게네이즈 type 4, 콜라게네이즈 type 5, 콜라게네이즈 type 6, 콜라게네이즈 type 7, 콜라게네이즈 type Ⅰ, 콜라게네이즈 type ⅠA, 콜라게네이즈 type Ⅱ, 콜라게네이즈 type Ⅲ, 콜라게네이즈 type Ⅳ, 콜라게네이즈 type Ⅴ, 콜라게네이즈 type Ⅶ, 콜라게네이즈 type Ⅷ, 콜라게네이즈 type ⅩⅠ, 콜라게네이즈 P, Liberase TL research grade, Liberase TM research grade, Liberase TH research grade, Liberase DL research grade, Liberase DH research grade, Liberase MTF, Liberase MNP, Liberase DI, Liberase DH, NB-4, NB-5, NB-6, NB-8, 콜라게네이즈 type A, 콜라게네이즈 type B, 콜라게네이즈 type D, NB protease, NB-1 콜라게네이즈, 콜라게네이즈 gold, 콜라게네이즈 gold plus, 콜라게네이즈 HA, 콜라게네이즈 MA, Thermolysin, BP protease, RI, AS, rcollasgenase HI, DE collasgenase 10/100, DE collasgenase 20/200, DE collasgenase 40/400, DE collasgenase 60/600, DE collasgenase 80/800, MMP(matrix metalloproteinase) 패밀리(MMP 1, MMP 8, MMP 13, MMP 18 등),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쿰(Clostridium histolyticum) 유래 콜라게네이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링겐스(Clostridium perfringens) 유래 콜라게네이즈, AUX-Ⅰ 콜라게네이즈, AUX-Ⅱ 콜라게네이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에 링커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콜라게네이즈가 리포좀 외부 표면에 결합되어 있어 암세포를 감싸고 있는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요소인 콜라겐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포좀 내부에 담지된 항암제를 암세포 깊숙한 곳까지 침투시켜 암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친수성 고분자 및 아민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카르복시베타인, 폴리설포베타인 또는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2k, 3k, 5k 등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과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친수성 고분자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콜라게네이즈는 아민기를 가지고 있는 효소로서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싸이올(thiol), 카복실릭(carboxylic), N-하이드록시선신이미드 에스터(NHS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이소사이안산화물(isocyanate), 아실 아자이드(acyl azide), 염화설포닐(sulfonyl chloride), 알데하이드(aldehyde), 글리옥살(glyoxal), 에폭사이드(epoxide), 산화 에틸렌(oxirane), 카르보네이트(carbonate), 아릴 할라이드(aryl halide), 이미도에스터(imidoester),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무수물(anhydride) 또는 플루오로페닐 에스터(fluorophenyl es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LPC),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S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DSPE), 1,2-디노나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 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OPC), L-α-포스파티딜콜린(HSPC), 1-미리스토일-2-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MSPC) 및 1-미리스토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암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암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이포스파마이드, 티오테파, 프로카바진, 5-플루오로우라실(5-FU), 카페시타빈, 젬시타빈, 메소트렉세이트,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빈크리스틴, 에토포사이드, 이리노테칸, 독소루비신, 아스파라기나제, 이마티닙, 트라스트주맙, 리툭시맙, 게피티닙, 타목시펜, 아비라테론, 아도-트라스트주맙 엠탄신, 아파티닙, 아나스트로졸, 아테졸리주맙, 베바시주맙, 비칼루타미드, 블레오마이신,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카르보플라틴, 세툭시맙, 다카르바진, 다사티닙, 에피루비신, 엘로티닙, 에베로리무스, 엑스메스탄, 풀베스트란트, 고세렐린, 이브루티닙, 라파티닙, 레트로졸, 류프로라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미톡산트론, 팔보시클립, 파조파닙, 펨브롤리주맙, 페메트렉시드,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또는 플루타마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포좀의 크기는 50 nm 내지 500 nm, 50 nm 내지 450 nm, 50 nm 내지 400 nm, 50 nm 내지 350 nm, 50 nm 내지 300 nm, 50 nm 내지 250 nm, 50 nm 내지 200 nm, 50 nm 내지 150 nm, 50 nm 내지 100 nm, 50 nm 내지 90 nm, 50 nm 내지 80 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며 항암제가 담지된 리포좀에 콜라게네이즈가 용해된 용매를 혼합해 콜라게네이즈를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외부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을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르복시베타인(pCB), 폴리설포베타인(pSB),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m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G),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세린(PS),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monodisperse PEG),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branched PEG) 및 멀티-암 폴리에틸렌글리콜(multi-arm PE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에 링커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친수성 고분자 및 아민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카르복시베타인, 폴리설포베타인 또는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2k, 3k, 5k 등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과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친수성 고분자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콜라게네이즈는 아민기를 가지고 있는 효소로서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싸이올(thiol), 카복실릭(carboxylic), N-하이드록시선신이미드 에스터(NHS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이소사이안산화물(isocyanate), 아실 아자이드(acyl azide), 염화설포닐(sulfonyl chloride), 알데하이드(aldehyde), 글리옥살(glyoxal), 에폭사이드(epoxide), 산화 에틸렌(oxirane), 카르보네이트(carbonate), 아릴 할라이드(aryl halide), 이미도에스터(imidoester),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무수물(anhydride) 또는 플루오로페닐 에스터(fluorophenyl es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제조 방법에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 및 콜라게네이즈를 특정 몰비로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리포좀의 안정성을 위해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 및 콜라게네이즈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해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 대비 콜라게네이즈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제조되는 리포좀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콜라게네이즈의 비율이 너무 낮으면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콜라게네이즈의 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는, 콜라게네이즈끼리의 응집력이 강해져 제조되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 및 콜라게네이즈의 비율에 있어서 친수성 고분자는 예컨대, 콜라게네이즈가 인지질에 링커 없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인지질 이중층 중 일부 인지질에 결합된 친수성 고분자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콜라게네이즈가 인지질에 링커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에는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에 포함된 친수성 고분자뿐만 아니라 링커가 결합된 인지질에 포함된 친수성 고분자까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특정 몰비는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 대비 콜라게네이즈가 30:1 내지 50:1, 30:1 내지 48:1, 30:1 내지 46:1, 30:1 내지 45:1, 30:1 내지 43:1, 31:1 내지 43:1, 32:1 내지 43:1, 33:1 내지 43:1, 34:1 내지 42:1, 35:1 내지 41:1, 36:1 내지 40:1 또는 37:1 내지 39:1의 몰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제조 방법은 상기 콜라게네이즈 결합 단계 전에 항암제가 담지된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가 담지된 리포좀를 제조하는 단계는 인지질 및 지질을 유기 용매에 넣어 혼합한 후 상기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지질케이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지질케이크에 항암제가 용해된 용매를 혼합해 항암제가 담지된 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질은 인지질 이중층 사이에 들어가 리포좀의 형태를 비교적 단단하게 묶어주어 리포좀 형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β-시토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카르다놀, 에르고스테롤 또는 지방 알코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지질 및 지질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리포좀의 형태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질 및 지질의 몰비를 11:1 내지 15:1, 12:1 내지 14:1 등의 비율로 혼합하여 지질케이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질케이크는 리포좀의 전 단계에 해당하는 작은 단위의 인지질 이중층 블럭일 수 있다.
상기 인지질 및 항암제는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암은 췌장암, 간암, 위암, 폐암, 유방암, 대장암, 갑상선암, 고환암, 난소암, 신장암, 피부암, 비인두암 또는 골육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은 콜라게네이즈가 표면에 결합된 리포좀을 포함하기 때문에 조밀한 세포외 기질을 가진 암종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콜라게네이즈가 세포외 기질의 주요 구성 요소인 콜라겐을 분해하여 내부에 담지된 항암제의 암세포로의 투과를 증가시켜 암 치료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투여 경로를 채택하여 개체에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좌약, 경피, 비경구(피하, 근육, 혈관, 복강 등), 경막, 국부, 흡입 또는 기타의 투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암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쥐, 가축, 인간 등의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제학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패치제, 멸균 주사용액 및 기타 적당한 제형으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등이 포함되며, 상기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수크로스, 락토오스, 전분, 젤라틴, 칼슘카보네이트 등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스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수성액제, 현탁제, 시럽제, 유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액상 제제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멸군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예컨대, 종래의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컨대 0.01~1000 mg/kg/day, 0.01~500 mg/kg/day, 더 바람직하게는 0.1~500 mg/kg/day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투여 횟수, 질환의 중증도, 연령, 약물의 민감도 등에 따라 유효량은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험 방법
1. 리포좀 제조 방법
(1) 지질나노입자 합성 프로토콜
먼저 리포좀을 합성하기 위해, 바이알 안에 DSPC, DSPE-PEG-maleimide(2k), DSPE-mPEG(2k), 콜레스테롤을 각각 5.9:5.5:1.6:1의 비율로 넣은 후, 유기 용매인 클로로폼과 메탄올을 각각 2:1의 비율로 넣어 섞어주었다. 섞은 후에 질소가스로 유기 용매를 날려 지질케이크를 형성하였다. 그 후에 강한 바람의 열로 2분 정도 바이알 내의 유기 용매가 날아가도록 바싹 말려주었다. 또한, 남아 있는 잔여 유기 용매가 완벽히 증발할 수 있도록 진공 펌프에서 15-18시간 정도 방치하였다. 후에 DW나 PBS로 수화(hydration)시키게 되면 지질케이크들이 자가조립(self-assembly)을 통해 리포좀을 형성하였다. 해당 리포좀의 일정한 크기 형성 및 정제를 위해 수화시킨 리포좀을 tip sonication에 12분간 에너지를 가했다. 후에 200 nm의 포어 크기를 가진 syringe filter를 이용해 걸러주었다. 마지막으로 해당 리포좀은 PD-10 column인 size exclusive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컬럼 내의 포어 크기에 따른 정제를 통해 완성되었다.
(2) 젬시타빈 담지 프로토콜
먼저 젬시타빈 11 μM을 DW 400 μL에 녹인 후 bath sonication의 에너지를 약간 가해 젬시타빈이 DW에 더 잘 녹도록 하였다. 그 후에 RITC(Rhodamine B isothiocyanate)인 형광 dye를 넣고 섞은 후 37℃ shaker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후에 RITC와 결합되지 않은 free 젬시타빈을 제거하기 위해 size exclusive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다.
RITC-젬시타빈 결합물 2 mL를 지질케이크 수화를 위해 사용하였다. 해당 RITC-젬시타빈 결합물이 존재하는 2 mL 용매를 바이알에 존재하는 지질케이크에 가하는 경우 지질케이크가 자가 조립을 통해 리포좀을 만들고 해당 RITC-젬시타빈은 리포좀의 친수성 부분을 담지되게 된다. 젬시타빈의 리포좀 내로의 담지 확인은 나노드랍(nanodrop)을 통해 확인하였다.
(3) 콜라게네이즈 결합 방법 프로토콜
젬시타빈을 담지한 리포좀이 준비된 후에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type 1, gibco / LOT: 2465415) 200 mg을 200 μL DW에 녹인 후, bath sonication의 에너지를 약간 가해 콜라게네이즈가 DW에 더 잘 녹도록 해주었다. 그 후에 젬시타빈을 담지한 리포좀과 콜라게네이즈를 섞어 37℃ 오븐에서 약 3시간 동안 반응시켜주었다(DSPE-PEG-maleimide:DSPE-mPEG:collagenase의 몰비 = 2.0:0.7:0.07). 반응 후에 free한 콜라게네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Amicon® Ultra-15 Centrifugal Filter Unit 100k를 이용해 3번 이상 정제하였다. 콜라게네이즈가 리포좀에 잘 결합되었는지는 나노드랍(nanodrop)을 통해 확인하였다.
추가로, DSPE-PEG-maleimide:DSPE-mPEG:collagenase의 몰비를 2.0:0.7:0.1로 맞춰 콜라게네이즈가 용해된 DW를 준비해 이를 젬시타빈을 담지한 리포좀과 혼합한 경우, 파티클의 안정성이 리포좀 프렙 후 4시간도 채 안되어 안정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DI 증가함).
2. In vitro 실험 /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 프로토콜
리포좀 자체와 리포좀 내부의 친수성 부분에 존재하는 젬시타빈-RITC(형광) 두 부분을 함께 나노 파티클의 지질 부분에 형광 물질인 DiD를 첨가하였다. cell line은 CT26과 Panc-1을 사용하였으며, 약 2x104개를 confocal dish에 seeding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먼저 각각의 리포좀의 나노파티클을 세포에 90 uL 처리한 후 세포에 잘 섭취 되도록 6시간 정도 인큐베이션에 배양하였다. 세포의 핵 염색을 위해서 Hoechst33342는 플레이트당 0.5 ul을 처리하였으며, 세포골격 염색을 위해서 Viaflor는 각 플레이트에 1 ul씩 처리하였다. Hoechst33342와 Viaflor를 넣고 약 40분 정도 배양했다. 모든 나노 파티클 및 핵과 세포골격 염색 시약 배양 후 free한 dye나 죽은 세포들을 워싱할 수 있도록 모든 단계에서 media나 DPBS로 3번씩 워싱해 주었다.
3. In vivo 실험 / 동위원소 표지 프로토콜
1) chealator 표지
먼저 원래 만들던 리포좀에 동위원소를 표지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에 만들던 리포좀 합성 방식에 킬레이터(chelator)를 달아주었다. 먼저 DSPE-PEG-amine(2k)를 메타올의 유기용매에 녹인후 NOTA (in DMSO, 450 nM)과 섞어주고 맨 마지막에 촉매제로서 DIPEA 1 uL를 넣어준 후 해당 혼합물을 stirring vortexer를 이용해 약 24시간 동안 오븐에서 반응시켜주었다. 반응시킨 해당 혼합물은 기존에 만들던 리포좀 프로토콜 [바이알안에 DSPC, DSPE-PEG-maleimide(2k), DSPE-mPEG(2k), cholesterol을 각각 5.9:5.5:1.6:1의 비율로 넣은 후 유기 용매인 클로로폼과 메탄올을 각각 2:1의 비율로 넣어 섞어줌. (그 뒤 과정은 1번에서와 동일)]에서처럼 유기 용매에 녹아져있는 시약들과 함께 섞어준 후에 질소 퍼징하여 유기 용매를 날려주고 하루 동안 진공 펌프에 넣어 두어 완벽하게 용매가 날아간 지질 케이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chealtor를 달아주었다.
2) 동위원소 표지
후에 Ga68(반감기 6시간)을 HCl을 가지고 illusion을 진행하여 갈륨 generator로부터 얻어냈다. 후에 해당 갈륨을 sodium acetate(2M)을 가지고 pH 4-5정도로 맞춰주었다. pH를 맞춰준 갈륨과 파티클을 1:1비율로 섞어 1시간동안 반응시켜주었다. 마지막으로 free Ga68을 제거하기 위해서 PD-10 column(size exclusive chromatography)을 진행하여 워싱해주었다. 후에 파티클에 잘 달렸는지 동위원소의 activity를 잘 확인하였으며, 동위원소 결합 유무는 iTLC(Instant Thin Layer Chromatography(iTLC))를 통해 알아내었다. 표지가 완성된 Ga68 labeled-GCL은 마우스에 정맥 투여한 후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를 통해 GCL의 지질나노입자의 생체 내 분포를 확인하였다.
4. 콜라게네이즈 kinetic assay를 통한 GCL의 콜라게네이즈 활성 정도 확인 실험 프로토콜
지질나노입자인 리포좀의 DSPE-PEG-maleimide(2k)와 직접 결합되어있는 콜라게네이즈가 직접적으로 활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위해 collagenase assay kit를 구매하여 kinetic assay를 실험하였다. 첫 번째, microplate에 가장 먼저 10X reaction buffer를 1X로 dilution 한 후 각 plate well에 80 uL씩 모두 깔아주었다 (각 모든 control군, sample 군은 4개의 dilution factor를 가지고 dilution을 하였고 각각의 dilution된 샘플의 갯수만큼 reaction buffer를 미리 깔아둠). 두 번째, DQ gelatin을 20 uL씩 넣어주었다. 해당 DQ gelatin의 젤라틴은 콜라겐의 전구체로 (콜라겐 펩타이드<젤라틴<콜라겐) 콜라게네이즈가 직접 분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수단으로서 젤라틴을 모든 plate well에 깔아주었다. 이렇게 reaction buffer와 DQ gelatin 총 100 uL를 모든 plate well에 깔아주었다. 샘플군인 GCL 그리고 positive control로서 only collagenase(GCL의 표면에 결합시킨 해당 collagenase) 와 assay kit에 함께 들어있던 kit collagenase(unit단위로 주어짐, 따라서 1U값에 맞게 dilution 진행)를 사용했다. 그리고 negative control로서 GL(collagenase를 결합하지 않고 오직 젬시타빈만 담지시킨 리포좀)과 아무것도 넣지 않은 empty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총 800분동안 각각 모든 샘플군의 콜라게네이즈 활성정도를 확인하였다.
5. 특성 평가
콜라게네이즈 결합 및 젬시타빈 담지 지질나노입자(리포좀)의 유체역학적 크기는 동적 광 산란 기구(DLS, dynamic light scattering)로 평가되었으며 이 밖에 해당 지질나노입자의 PBS에서의 안정성 실험 또한 동적 광 산란 기구를 통해 확인 및 측정되었다. 리포좀 내의 젬시타빈 담지 및 리포좀의 겉에 결합시킨 콜라게네이즈의 존재 확인의 경우, 나노드랍(nanodrop)을 이용한 흡광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해당 리포좀의 실질적인 이미지는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얻었다. 리포좀의 세포수준에서의 타겟능을 확인하기 위한 In vitro 실험에서는 리포좀에 DiD를 추가로 첨가하였고, 기존의 젬시타빈에 결합시킨 RITC 두 종의 형광을 콘포칼 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을 통해 확인하였다. 리포좀의 체내 동태를 확인하기 위한 In vivo 실험에서는 리포좀 겉에 Cu68동위원소를 반응시켜 표지한 후 정맥투여를 진행하였다. 해당 체내 분포 동향은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imaging을 통해 확인하였다. 후에 각 조직들(심장, 폐, 간, 비장, 신장, 암조직)의 동위원소 SUV(mean)값과 그에 대한 tumor to organ ratio는 MIM-64-Bit program으로 정량하였다. penetration test (세포외 기질을 통해서 리포좀과 같은 나노파티클의 암조직으로의 침투 정도를 형광으로 확인해보는 실험)의 경우 각각의 실험 군에 리포좀의 나노파티클을 정맥투여한 후에 해당 마우스의 암을 채취하여 암 조직을 frozen section한 후 해당 조직을 confocal microscope를 이용하여 암 조직 내의 투과를 통한 형광 정도를 확인하였다.
6. GCL 농도별 치료 실험(파티클 정량 방법 및 마우스 암 모델링)
위의 1의 방법으로 파티클(리포좀) 합성을 진행한 후 파티클의 젬시타빈 농도를 nanodrop이라고 불리는 흡광도 측정기계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농도별로 파티클을 준비하였다. 마우스 모델링의 경우, KPCY(췌장암 세포) 세포 라인을 이용하였으며, 세포의 viability(생존능력)는 90%이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모델링할 KPCY의 셀 수는 1x106만큼을 마우스의 오른쪽 넓적다리에 피하 주입하여 2주 정도의 충분한 시간 동안 암이 마우스 넓적다리에 잘 생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치료실험 시작 시기의 경우, 모델링을 위해 KPCY 암세포를 주입한지 2주째가 되는 날 치료 실험을 시작하였으며, 이때 암세포 크기는 130~150mm 였다 (암 크기 계산 = 4/3 * 3.14 * a(가로)/2 * b(세로)/2 * c(높이)/2 로 계산하였음).
실험 결과
1. 지질나노입자로서 GCL(gemcitabine loaded collagenase conjugated @ liposome) 리포좀의 입자 특성 평가
해당 GCL의 합성 방법의 스킴(도 1)을 통한 합성을 진행하였으며, GCL의 유체역학적 크기(도 2)를 동적 광 산란 기구(DLS, dynamic light scattering)로 측정한 결과 51.53±16.76으로 control(GL,gemcitabine loaded liposome,57.87±16.89)의 크기 차이는 크게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크기는 51.53±16.76로 나타났다. 해당 GCL 및 control(GL)의 이미지(도 3)는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얻었으며 해당 나노파티클의 이미지를 통해 DLS에서의 유체역학적 크기를 TEM 이미지를 통해 실질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젬시타빈의 loading efficiency(도 4)는 44.8%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GCL의 안정성 테스트(도 5)는 PBS와 DMEM(media, 배지)에서 진행한 결과 PBS에서는 7일 동안 안정하였으며, 더욱 가혹한 환경인 DMEM에서는 6시간 동안 안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 GCL의 암세포 타겟능을 확인하기 위한 In vitro 실험
GCL의 암세포 타겟능을 확인하기 위한 In vitro 실험(도 6)을 진행하였다. CT26과 Panc-1 cell line 두 종에서의 나노파티클 타겟능을 실험하였으며 collagenase를 결합시킨 GCL은 control군인 GL(collagenase를 결합시키지 않고 gemcitabine만 담지시킨 리포좀)과 큰 차이점 없이 두 종의 암세포에 잘 타겟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ITC 형광 채널 - gemcitabine약물 형광 / DID 형광 채널-리포좀을 알려주는 형광 채널).
3. GCL의 콜라게네이즈 활성 정도 확인을 위한 collagenase kinetic assay
GCL 나노파티클에 결합된 콜라게네이즈의 활성 확인은 collagenase assay kit로 진행하였으며 해당 키트에 대한 실험 원리는 도 7에 나타내었다. collagenase kinetic assay를 진행한 결과(도 8), GCL은 assay kit에 포함된 collagenase(Unit)와 마찬가지로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이 잘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800분까지 활성정도가 계속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t에서 주어진 collagenase는 mg/mL의 단위가 아닌 unit(효소가 최적조건하, 30℃에서 1분 당 1μmol의 기질을 생성물로 변환시키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을 1 단위(1 IU = 1 μmol·min-1라 함)) 단위로 주어졌기 때문에 GCL의 활성정도도 또한 unit 단위로 환산하였다. 결과적으로 free collagenase(in kit) 0.4 unit, GCL은 0.17 unit 그리고 control인 GL(collagenase를 결합시키지 않고 gemcitabine만 담지시킨 리포좀)은 0.003 unit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GCL에 결합되어 있는 collagenase가 활성을 잘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GCL의 생체 내 분포(biodistribution)를 확인하기 위한 In vivo 실험
collagenase를 결합시킨 GCL의 생체 내 분포를 알아보기 위한 In vivo 실험에서는 피규어(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GCL은 투여 직후 bloodpool을 통해 전신으로 잘 순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6시간대에 암으로 타겟이 잘 이루어지는 생체내 분포를 확인하였다. control군과 비교했을 때 GCL은 collagenase를 결합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큰 영향 없이 암으로 잘 타겟하는 양상을 보였다. 해당 동위원소의 정량을 위해서 MIM-64-Bit program을 사용하였고, 해당 정량 결과도 마찬가지로 control군과 큰 차이 없이 시간이 지날수록 암으로로 잘 타겟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또한 tumor / organ 비율의 정량값(도 11)을 통해서 다른 기관(심장, 비장, 간, 근육)대비 암으로의 Ga68 labeled-GCL의 정량 값을 통해서 정맥 투여 후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기관대비 암으로의 동위원소 activity값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5. GCL의 암 조직내로의 침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penetration 실험
Collagenase를 결합시킨 GCL이 체내 순환을 통해 암으로 도달했을 때 직접적으로 암의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collagen을 분해하여 약물을 담지하고 있는 GCL이 암조직 내까지 침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나노파티클에 존재하는 형광(RITC,DiD)을 암 조직 내에서 확인하여 침투 정도를 확인하는 penetration 실험(도 12)을 진행하였다. GCL과 control군(GL, only RITC-gemcitabine, NS(normal saline))의 지질나노입자를 마우스에 정맥 투여한 후 마우스의 암을 떼어내어 cryo section한 후 confocal microscope(컨포칼 현미경)을 가지고 조직 단면의 형광을 추적한 결과, GCL은 다른 control군에 비해서 암 조직내에 암쪽 내부까지 훨씬 더 깊숙한 곳까지 형광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GCL에 결합된 collagenase가 직접적으로 암조직 주변의 ECM(extracellular matrix, 세포외기질)의 콜라겐을 분해하여 리포좀의 암으로의 침투를 가능하게 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6. 여러 농도의 GCL을 이용한 치료실험 데이터
GCL의 농도를 1) 0mg(NS;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 2) 0.05mg, 3) 0.1mg, 4) 0.2mg, 5) 1mg 다섯 가지 농도로 2주간 치료실험을 진행한 결과(도 13), 0mg(NS;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를 제외한 모든 농도의 GCL의 암세포 크기가 감소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적은 양의 GCL로도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몸무게의 변화를 확인하였을 때, 치료제를 투입하지 않은 0mg(NS;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의 몸무게가 가장 많이 줄어들었으며, 나머지 GCL의 4가지 농도를 투여받은 마우스 군들은 지속적으로 몸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7. 치료실험을 진행한 마우스 혈액 검사 결과 (blood test)
대게, 나노입자를 주입하는 경우 이것들을 가장 먼저 제거시키는 단핵 식세포(mononuclear phagocyte system; MPS)에는 대표적으로 신장, 간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장기들이 혈액 내로 주입된 나노입자를 가장 먼저, 많이 섭취함으로서 나타나는 독성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혈액 검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GCL을 주입하여 치료실험을 진행한 마우스들을 eye puncture(안구를 통한 혈액 채취 방법)하여 각 마우스군들의 혈액을 얻어냈으며, 이렇게 얻어진 혈액을 가지고 신장 독성 평가인 CREA(creatinine; 크레아티닌), BUN(Blood Urea Nitrogen; 혈액요소질소) 2종류 그리고 간 독성 평가인 AST(The aspartate transaminase; 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 1 종류 총 3가지를 진행하였다(도 14). 그 결과, 여러가지 GCL 농도 비율로 치료된 마우스 군들은 가장 낮은 농도인 0mg(NS;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과 큰 차이 없이 모두 정상범위 안에 드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GCL 자체가 마우스 내 신장 및 간 독성을 유발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8. 치료실험을 진행한 마우스 주요 장기들의 H&E staining을 통한 GCL 독성 평가 결과
추가적으로 GCL을 주입한 마우스 군들 장기에서의 독성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GCL의 농도별 치료 실험을 통해 얻어진 마우스들을 sacrifice시킨 후, 마우스로부터 얻은 주요 장기들 (암, 폐, 심장, 신장, 간, 비장)을 4% PFA (paraformaldehyde)의 보존액에 넣고 냉장 보관한 후 이것들을 paraffin block으로 만들어 얻어낸 조직 절편에 H&E 염색을 진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도 15)(조직의 H&E결과는 가장 낮은 농도 0mg(NS;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 중간농도 0.1mg, 가장 높은 농도인 1mg 세 가지 농도를 대표로 선정해 염색을 진행하였음). 그 결과, 간, 비장, 신장, 심장, 폐의 주요 장기는 가장 낮은 농도인 0mg(NS;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과 비교하였을 때, 중간 농도인 0.1mg과 가장 높은 농도인 1mg이 조직 내에서의 형태가 큰 차이 없음을 확인함으로써 농도별로 주입된 GCL은 마우스 주요 장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마우스의 암 조직에서는 가장 낮은 농도에서부터 가장 높은 농도 순서로 보았을 때, 가장 낮은 농도 0mg(NS;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을 주입한 마우스군의 암조직 절편에서는 핵과 세포질들이 잘 유지되어 있는 반면에, 높은 농도 순서로 올라갈수록 마우스 암 조직 내의 핵이 많이 파괴되었으며, 암 조직 심부로의 조직들이 손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GCL을 통해 마우스 암세포 사멸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GCL의 치료효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2)

  1. 항암제를 담지한 인지질 이중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외부 표면에 콜라게네이즈가 결합된, 리포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 이중충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르복시베타인(pCB), 폴리설포베타인(pSB),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m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G),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세린(PS),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monodisperse PEG),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branched PEG) 및 멀티-암 폴리에틸렌글리콜(multi-arm PE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 8, MMP 13, MMP 18,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쿰 유래 콜라게네이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링겐스 유래 콜라게네이즈, 콜라게네이즈 type 1, 콜라게네이즈 type 2, 콜라게네이즈 type 3, AUX-Ⅰ 콜라게네이즈 및 AUX-Ⅱ 콜라게네이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에 링커를 통해 결합된, 리포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친수성 고분자 및 아민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리포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싸이올(thiol), 카복실릭(carboxylic), N-하이드록시선신이미드 에스터(NHS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이소사이안산화물(isocyanate), 아실 아자이드(acyl azide), 염화설포닐(sulfonyl chloride), 알데하이드(aldehyde), 글리옥살(glyoxal), 에폭사이드(epoxide), 산화 에틸렌(oxirane), 카르보네이트(carbonate), 아릴 할라이드(aryl halide), 이미도에스터(imidoester),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무수물(anhydride) 및 플루오로페닐 에스터(fluorophenyl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LPC),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S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DSPE), 1,2-디노나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 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OPC), L-α-포스파티딜콜린(HSPC), 1-미리스토일-2-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MSPC) 및 1-미리스토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리포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이포스파마이드, 티오테파, 프로카바진, 5-플루오로우라실(5-FU), 카페시타빈, 젬시타빈, 메소트렉세이트,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빈크리스틴, 에토포사이드, 이리노테칸, 독소루비신, 아스파라기나제, 이마티닙, 트라스트주맙, 리툭시맙, 게피티닙, 타목시펜, 아비라테론, 아도-트라스트주맙 엠탄신, 아파티닙, 아나스트로졸, 아테졸리주맙, 베바시주맙, 비칼루타미드, 블레오마이신,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카르보플라틴, 세툭시맙, 다카르바진, 다사티닙, 에피루비신, 엘로티닙, 에베로리무스, 엑스메스탄, 풀베스트란트, 고세렐린, 이브루티닙, 라파티닙, 레트로졸, 류프로라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미톡산트론, 팔보시클립, 파조파닙, 펨브롤리주맙, 페메트렉시드,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및 플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의 크기는 50 nm 내지 200 nm인 리포좀.
  11. 인지질 이중층을 포함하며 항암제가 담지된 리포좀에 콜라게네이즈가 용해된 용매를 혼합해 콜라게네이즈를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외부 표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 이중층은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카르복시베타인(pCB), 폴리설포베타인(pSB), 포스포베타인계 폴리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m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G),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포스파티딜세린(PS),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monodisperse PEG),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branched PEG) 및 멀티-암 폴리에틸렌글리콜(multi-arm PE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 8, MMP 13, MMP 18,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쿰 유래 콜라게네이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링겐스 유래 콜라게네이즈, 콜라게네이즈 type 1, 콜라게네이즈 type 2, 콜라게네이즈 type 3, AUX-Ⅰ 콜라게네이즈 및 AUX-Ⅱ 콜라게네이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는 상기 인지질 이중층의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에 링커를 통해 결합된, 리포좀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친수성 고분자 및 아민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아민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싸이올(thiol), 카복실릭(carboxylic), N-하이드록시선신이미드 에스터(NHS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이소사이안산화물(isocyanate), 아실 아자이드(acyl azide), 염화설포닐(sulfonyl chloride), 알데하이드(aldehyde), 글리옥살(glyoxal), 에폭사이드(epoxide), 산화 에틸렌(oxirane), 카르보네이트(carbonate), 아릴 할라이드(aryl halide), 이미도에스터(imidoester),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무수물(anhydride) 및 플루오로페닐 에스터(fluorophenyl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네이즈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친수성 고분자가 결합된 인지질 및 콜라게네이즈를 30:1 내지 50:1의 몰비로 혼합하여 수행되는, 리포좀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LPC),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S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DSPE), 1,2-디노나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 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OPC), L-α-포스파티딜콜린(HSPC), 1-미리스토일-2-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MSPC) 및 1-미리스토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인지질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이포스파마이드, 티오테파, 프로카바진, 5-플루오로우라실(5-FU), 카페시타빈, 젬시타빈, 메소트렉세이트,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빈크리스틴, 에토포사이드, 이리노테칸, 독소루비신, 아스파라기나제, 이마티닙, 트라스트주맙, 리툭시맙, 게피티닙, 타목시펜, 아비라테론, 아도-트라스트주맙 엠탄신, 아파티닙, 아나스트로졸, 아테졸리주맙, 베바시주맙, 비칼루타미드, 블레오마이신,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카르보플라틴, 세툭시맙, 다카르바진, 다사티닙, 에피루비신, 엘로티닙, 에베로리무스, 엑스메스탄, 풀베스트란트, 고세렐린, 이브루티닙, 라파티닙, 레트로졸, 류프로라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미톡산트론, 팔보시클립, 파조파닙, 펨브롤리주맙, 페메트렉시드,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및 플루타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리포좀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암은 췌장암, 간암, 위암, 폐암, 유방암, 대장암, 갑상선암, 고환암, 난소암, 신장암, 피부암, 비인두암 및 골육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30063211A 2022-05-19 2023-05-16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30161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87 2022-05-19
KR20220061387 2022-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91A true KR20230161891A (ko) 2023-11-28

Family

ID=8895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211A KR20230161891A (ko) 2022-05-19 2023-05-16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8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931A (ko) 2020-03-09 2021-09-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피 흡수용 약물 전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931A (ko) 2020-03-09 2021-09-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피 흡수용 약물 전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389B2 (ja) 標的化コンジュゲートならびにその粒子及び製剤
KR0134982B1 (ko) 충실성종양 치료용 조성물
EP2135600B1 (en) Targeting agent for cancer cell or cancer-associated fibroblast
CN104622809B (zh) 用于脂质体纳米颗粒的修饰的药物
CN102266288B (zh) 一种基于胆固醇修饰的还原敏感性肿瘤靶向脂质体
AU2017376766A1 (en) HSP90-targeting conjugates and formulations thereof
CN112402379B (zh) 一种仿生外泌体及其制备和应用
US20230348419A1 (en) Biaminoquinolines and nanoformulations for cancer treatment
EP3723811A1 (en) Hsp90-targeting conjugates and formulations thereof
CN108601735A (zh) 用于癌症治疗的药物制剂
CN106659683A (zh) 包封修饰的环糊精复合物的脂质体组合物及其应用
WO2012097049A2 (en) Dna repair enzyme inhibitor nanoparticles and uses thereof
CA2449856C (en) Pharmaceutical and diagnostic compositions containing nanoparticles useful for treating targeted tissues and cells
KR20230161891A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US11013690B2 (en) Esterification/saponification-based method for liposomal encapsulation of hydrophilic glucuronides
CN111315399B (zh) 用于药物递送的葡萄糖敏感性组合物
CN115414492A (zh) 一种用于胰腺纤维化治疗的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
EP3077007B1 (en) Reversible pegylation of nanocarriers
KR20200044709A (ko) 치료 효능을 개선한 핵산 변형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CN114288417B (zh) 一种双靶向纳米载药胶束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432248B (zh) 一种靶向复合载体、载药体系、制备方法及其用途
CN1679957B (zh) 含脂质体的癌症治疗用药物组合物
Weng et al. PH-sensitive adriamycin hydrochloride and oxaliplatin dual-loaded microspheres synergistically enhance local injections effec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Tanita et al. Carrier-free nano-prodrugs for minimally invasive cancer therapy
KR20240000677A (ko) 나노-바이오 구조 조절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고리형 펩티드, 이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펩티좀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