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89A -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지속적 컴퓨터 판독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지속적 컴퓨터 판독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89A
KR20230161889A KR1020230061596A KR20230061596A KR20230161889A KR 20230161889 A KR20230161889 A KR 20230161889A KR 1020230061596 A KR1020230061596 A KR 1020230061596A KR 20230061596 A KR20230061596 A KR 20230061596A KR 20230161889 A KR20230161889 A KR 20230161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nit
provision
data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나리 마키타
다이시 미야타
다쿠야 하세가와
료 미즈노
료타 아라이
다카시 호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23016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전자 제어 장치(1)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12a)와,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부(12)와, 차량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하는 차량 정보 보존부(12c)와,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부(12g)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지속적 컴퓨터 판독 기억 매체{ELECTRONIC CONTROL UNIT,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NTINUOUS COMPUTER READING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지속적 컴퓨터 판독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장치(이하, ECU(Electronic Control Unit)라고 칭함)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등록 상표)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8974호 공보
ECU가 CAN 버스에 접속되어 있고, ECU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부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것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개개가 CAN 프레임으로부터 CAN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CAN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개개가 차량 정보를 제각각 생성하는 구성에서는,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애플리케이션마다 준비할 필요가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비용 증대나 엄청난 수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애플리케이션마다의 프로그램 모듈을 보존하기 위한 스토리지의 메모리 용량을 불필요하게 소비하게 된다. 또한, CAN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이 애플리케이션간에 다르면, 동일한 CAN 데이터로부터 다른 차량 정보를 생성해 버릴 우려가 있고, 그 다른 차량 정보를 이용해 버리면, 애플리케이션간의 동작에서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개개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에 기초한 차량 정보를 용이하고 또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차량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6)를 구비한다. 데이터 추출부(12a)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차량 정보 생성부(12b)는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차량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한다. 차량 정보 제공부(12g)는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여 보존하고, 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하였다.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애플리케이션마다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비용 증대나 엄청난 수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스토리지의 메모리 용량의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동일한 데이터로부터 다른 차량 정보를 생성해 버릴 우려가 없어져, 애플리케이션간의 동작에서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없어진다. 이에 의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개개가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에 기초한 차량 정보를 용이하고 또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프로토콜 변환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CAN 프레임의 수신 시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카데이터 코디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차량 정보의 생성 시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CAN 데이터 및 차량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차량 정보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차량 정보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차량 정보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서비스 제공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등록 요구 접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차량 정보 보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갱신 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제공 요구 접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시퀀스도
도 16은 시퀀스도
도 17은 시퀀스도
도 18은 시퀀스도
이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마스터 ECU(1)는, 예를 들어 파워 트레인 ECU, 보디 ECU, 콕핏 ECU, 섀시 ECU, 세이프티 ECU 등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각 ECU에 지시함으로써 차량을 제어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마스터 ECU(1)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과, 복수의 미들웨어를 구비한다. 마스터 ECU(1)는, 예를 들어 기능 향상이나 문제 개·보수 등을 목적으로 한 리프로의 실시를 관리하는 갱신 마스터로서 기능한다.
마스터 ECU(1)는, CAN 버스(2)(Controller Area Network)(등록 상표)(통신 버스에 상당함)를 통하여 복수의 ECU(3, 4)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동작 지시를 복수의 ECU(3, 4)에 지시하거나 복수의 ECU(3, 4)로부터 동작 상태를 취득하거나 함으로써, 복수의 ECU(3, 4)를 통합 관리한다. 마스터 ECU(1)와 CAN 버스(2)를 통하여 접속되는 ECU의 개수는, 2개에 한하지 않고 임의이다. 복수의 ECU(3, 4)는, 예를 들어 파워 트레인 ECU, 보디 ECU, 콕핏 ECU, 섀시 ECU, 세이프티 ECU 등이다.
마스터 ECU(1)는, 데이터 통신기로서 기능하는 DCM(Data Communication Module)과 접속되어 있다. DCM은, 외부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접속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게 한다. DCM은, OTA 센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접속함으로써 당해 OTA 센터로부터 송신된 배신 패키지를 수신 가능해진다. DCM은, OTA 센터로부터 송신된 배신 패키지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배신 패키지를 마스터 ECU(1)에 전송한다. 마스터 ECU(1)는, 복수의 ECU 중에서 리프로 대상으로서 기능하는 리프로 대상 ECU를 특정하고, DCM으로부터 배신 패키지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배신 패키지로부터 갱신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갱신 프로그램의 기입을 리프로 대상 ECU에 지시함으로써 리프로를 실시한다.
마스터 ECU(1)는, 제1 제어부(5)와, 제2 제어부(6)(제어부에 상당함)와, 스토리지(7)를 구비한다. 제1 제어부(5) 및 제2 제어부(6)는 각각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 ECU(1)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I/O(Input/Output)를 갖는다. 제1 제어부(5) 및 제2 제어부(6)는 각각 비전이적 실체적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당해 제어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연계하여 마스터 ECU(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6)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차량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1 제어부(5)는 CAN 버스(2)를 통하여 ECU(3, 4)에 접속되어 있고, CAN 프로토콜(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상당함)에 준거하는 데이터 통신을 ECU(3, 4) 사이에서 행한다. 제1 제어부(5)와 제2 제어부(6)는, 이더넷(8)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더넷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통신을 양자 사이에서 행한다. 즉, 제1 제어부(5)는 CAN 버스(2)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제2 제어부(6)는 CAN 버스(2)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고, 이더넷(8)을 통하여 CAN 버스(2)에 접속되어 있다. 이더넷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통신은, CAN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통신보다도 고속 대용량이다. 제1 제어부(5)와 제2 제어부(6)는 복수의 CPU에 상당한다.
마스터 ECU(1)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있어서, 제1 CPU는, CAN 버스(2)에 접속되어 있고, CAN 버스(2)에 직접 액세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2 CPU는, CAN 버스(2)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CAN 버스(2)에 직접 액세스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동일한 기반 내에 있어서, 제2 CPU는, 제1 CPU와 이더넷에 의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CPU 대신에 동일한 기능을 소프트웨어에서 실현하고 있는 가상 머신이어도 된다.
스토리지(7)는 예를 들어 NOR형 플래시 메모리나 NAND형 플래시 메모리를 주체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제1 제어부(5)나 제2 제어부(6)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공유된다. 즉,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스토리지(7)에 액세스하여 데이터의 기입 및 데이터의 읽어내기를 실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리지(7)가 마스터 ECU(1)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스토리지(7)가 마스터 ECU(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1 제어부(5)나 제2 제어부(6)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토리지(7)를 공유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마스터 ECU(1)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다른 ECU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토리지(7)를 공유해도 된다.
애플리케이션층(9)에 속하는 각 애플리케이션(9a)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 요구하는 정보의 입도에 따라서 미들웨어층(10)에 속하는 CAN 서비스(11), 카데이터 코디(12), 씬 코디(13) 중 어느 것에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CAN 서비스(11), 카데이터 코디(12), 씬 코디(13)에는, 각각 정보를 제공 가능해지도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라고 칭함)가 설정되어 있다.
제1 제어부(5)는 상기한 바와 같이 CAN 버스(2)에 직접 접속되어 있으므로, CAN 프로토콜에 준거한 데이터인 CAN 데이터를 포함하는 CAN 프레임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제1 제어부(5)는 CAN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프로토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어부(5)는 CAN 버스(2)로부터 CAN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수신한 CAN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프로토콜 변환하고, 그 프로토콜 변환한 이더넷 프레임을 CAN 서비스(11)에 송신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N 서비스(11)는 제1 제어부(5)로부터 송신된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으로부터 CAN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하, PDU(Protocol Data Unit)라고 칭함)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CANPDU를 카데이터 코디(12)에 송신한다. PDU는, 송수신되는 정보의 단위이며,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되어 있는 제어 정보의 부분과, 데이터의 내용인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CAN 프레임의 ID, 컨트롤 필드, 데이터 필드가 각각 이더넷 프레임의 CANID, DLC, CAN 데이터에 대응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CAN 서비스(11)로부터 송신된 CANPDU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CANPDU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카데이터 코디(12)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데이터 추출부(12a)와, 차량 정보 생성부(12b)와, 차량 정보 보존부(12c)와, 등록 요구 접수부(12d)와, 갱신 유무 판정부(12e)와, 제공 요구 접수부(12f)와, 차량 정보 제공부(12g)를 구비한다. 이러한 카데이터 코디(12)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 부(12a 내지 12g)는 제2 제어부(6)에 의해 실행된다.
데이터 추출부(12a)는 CAN 서비스(11)로부터 송신된 CANPDU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CANPDU로부터 CAN 데이터를 추출한다. CAN 데이터는, CAN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형식이다. 차량 정보 생성부(12b)는 CAN 데이터가 데이터 추출부(12a)에 의해 추출되면, 그 추출된 CAN 데이터를 해석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정보 생성부(12b)는 예를 들어 차속이 「60km/h」일 때의 CAN 데이터가 「01 23 45 67 ab …」라면, 차량 정보로서 차속 「60km/h」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차량 정보로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CAN 데이터로부터 일의적으로 특정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로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CAN 데이터보다도 적은 데이터양으로 표현되는 데이터이다.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차량 정보가 차량 정보 생성부(12b)에 의해 생성되면, 그 생성된 차량 정보를, 도 7에 나타내는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 가능하다. 이 경우,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아직 차량 정보가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신규 보존한다.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차량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지만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가 당해 이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덮어쓰기 보존한다. 한편,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차량 정보가 이미 보존되어 있고,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가 당해 이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하지 않고 파기한다.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되는 차량 정보는, 상기한 차속 이외에, 스마트 키의 유무, 해저드 상태, 운전석 도어, 연료 소비량, IG 릴레이 상태, 오도미터의 수치, 차량 위치, 날짜에 관한 정보가 있다. 각 차량 정보의 내용은 이하와 같다.
「스마트 키의 유무」: 스마트 키의 유무에 관한 정보이며, 키가 차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True」이고, 키가 차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False」이다.
「해저드 상태」: 해저드 램프의 상태에 관한 정보이며, 점멸 상태인 경우에는 「온」이고, 소등 상태인 경우에는 「오프」이다.
「운전석 도어」: 운전석 도어에 관한 정보이며, 운전석의 도어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개방 상태」이고, 운전석의 도어가 폐쇄 상태이고 로크 상태인 경우에는 「로크」이고, 운전석의 도어가 폐쇄 상태이고 언로크 상태인 경우에는 「언로크」이다.
「연료 소비량」: 연료 소비량에 관한 정보이며, 「0ml」 내지 「32ml」의 수치이다.
「IG 릴레이 상태」: IG 릴레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이며, IG 릴레이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온」이고, IG 릴레이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오프」이다.
「오도미터의 수치」, 오도미터의 수치에 관한 정보이며, 오도미터에 표시되는 거리 정보이다.
「차속」: 차속에 관한 정보이며, 차속 펄스 신호의 적산값이며 펄스의 카운터수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이다.
「차량 위치」: 차량 위치에 관한 정보인,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특정되는 위도 경도이다.
「날짜」: 날짜에 관한 정보이며, 년, 월, 일, 시, 분, 초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이다.
또한,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차량 정보를 보존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예를 들어 「스마트 키의 유무」에 대하여 키가 차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상태가 갱신될 때마다 타임 스탬프를 부여해도 된다. 타임 스탬프를 부여함으로써, 스마트 키의 유무에 관한 이력을 보존할 수 있고, 스마트 키의 유무에 관한 과거의 차량 정보를 거슬러 올라가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예를 들어 「해저드 상태」에 대하여 해저드 램프의 점멸 상태와 소등 상태가 갱신될 때마다 타임 스탬프를 부여해도 된다. 타임 스탬프를 부여함으로써, 해저드 상태에 관한 이력을 보존할 수 있고, 해저드 상태에 관한 과거의 차량 정보를 거슬러 올라가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마트 키의 유무」 및 「해저드 상태」이외의 차량 정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등록 요구 접수부(12d)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9a)의 개개로부터의 등록 요구를 접수하고, 그 접수한 등록 요구를 서비스 제공 리스트에 등록한다. 등록 요구는, 차량 정보의 제공을 받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9a)이, 애플리케이션(9a)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ID와, 제공을 받고자 하는 차량 정보 종별을 대응지어서 등록하는 요구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 요구 접수부(12d)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A로부터 차량 정보 종별로서 「스마트 키의 유무」의 등록 요구를 접수하면, 애플리케이션 A의 애플리케이션 ID와 「스마트 키의 유무」를 대응지어서 등록한다. 등록 요구 접수부(12d)는 애플리케이션 B로부터 차량 정보 종별로서 「차속」 및 「차량 위치」의 등록 요구를 접수하면, 애플리케이션 B의 애플리케이션 ID와 「차속」 및 「차량 위치」를 대응지어서 등록한다. 또한, 등록 요구 접수부(12d)는 다른 미들웨어를 애플리케이션(9a)과 마찬가지로 취급함으로써 다른 미들웨어로부터의 등록 요구를 접수하고, 그 접수한 등록 요구를 서비스 제공 리스트에 등록해도 된다.
갱신 유무 판정부(12e)는 차량 정보 보존부(12c)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의 갱신 유무를 판정한다. 갱신 유무 판정부(12e)는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가 차량 정보 보존부(12c)에 의해 신규 보존되었거나, 또는 덮어쓰기 보존된 경우에, 차량 정보 보존부(12c)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의 갱신 있음을 판정한다. 즉, 갱신 유무 판정부(12e)는 CAN 데이터가 갱신된 것에 따라서 차량 정보가 차량 정보 보존부(12c)에 의해 신규 보존되었거나, 또는 덮어쓰기 보존될 때마다, 차량 정보의 갱신 있음을 판정한다. 환언하면, 차량 정보 보존부(12c)는 상시 최신의 차량 정보를 보존한다.
제공 요구 접수부(12f)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9a)의 개개로부터의 차량 정보의 제공 요구를 접수한다. 차량 정보 제공부(12g)는 차량 정보 보존부(12c)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한다. 이 경우, 차량 정보 제공부(12g)는 다른 입도의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애플리케이션(9a)은 임의의 입도의 차량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 정보 제공부(12g)가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로서는, 차량 정보의 갱신 있음이 갱신 유무 판정부(12e)에 의해 판정된 것을 계기로 하는 경우와,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의 차량 정보의 제공 요구가 제공 요구 접수부(12f)에 의해 접수된 것을 계기로 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의 작용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스터 ECU(1)에 있어서, 카데이터 코디(12)가 행하는 등록 요구 접수 처리, 차량 정보 보존 처리, 갱신 시 처리, 제공 요구 접수 처리에 대하여 순차 설명한다.
(1) 등록 요구 접수 처리(도 11 참조)
카데이터 코디(12)는,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의 등록 요구를 접수함으로써 등록 요구 접수 처리의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등록 요구 접수 처리를 개시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등록 요구 접수 처리를 개시하면,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 통지된 애플리케이션 ID와 차량 정보 종별을 취득한다(S1). 카데이터 코디(12)는, 그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ID와 차량 정보 종별을 대응지어서 서비스 제공 리스트에 등록하고(S2), 등록 요구 접수 처리를 종료한다.
(2) 차량 정보 보존 처리(도 12 참조)
카데이터 코디(12)는, CAN 서비스(11)로부터 CANPDU를 수신함으로써 차량 정보 보존 처리의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차량 정보 보존 처리를 개시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 보존 처리를 개시하면, 그 수신한 CANPDU로부터 CAN 데이터를 추출한다(S11, 데이터 추출 수순에 상당함). 카데이터 코디(12)는, 그 추출된 CAN 데이터를 해석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S12, 차량 정보 생성 수순에 상당함).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S13),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 대상으로 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
카데이터 코디(12)는, 아직 차량 정보를 보존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차량 정보를 이미 보존하고 있지만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가 당해 이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 대상으로 한다고 판정하여(S14: "예"),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하고(S15, 차량 정보 보존 수순에 상당함), 차량 정보 보존 처리를 종료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예를 들어 금회의 차량 정보로서 차속「60km/h」를 생성했을 경우에, 차량 정보 리스트의 「차속」의 보존 영역이 비어 있거나, 또는 차량 정보 리스트의 「차속」의 보존 영역에 이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가 차속 「60km/h」 이외이며, 전회로부터 차량 정보가 갱신되어 있으면, 금회의 차량 정보로서 생성된 차속 「60km/h」를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한다.
한편,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를 이미 보존하고 있고,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가 당해 이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하면,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고 판정하여(S14: "아니오"),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하지 않고 폐기하고(S16), 차량 정보 보존 처리를 종료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예를 들어 금회의 차량 정보로서 차속 「60km/h」를 생성했을 경우에, 차량 정보 리스트의 「차속」의 보존 영역에 이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가 차속 「60km/h」이며, 전회로부터 차량 정보가 갱신되어 있지 않으면, 금회의 차량 정보로서 생성된 차속 「60km/h」를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하지 않고 파기한다.
(3) 갱신 시 처리(도 13 참조)
카데이터 코디(12)는, 상기한 차량 정보 보존 처리에 있어서 차량 정보가 갱신되고,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함으로써 갱신 시 처리의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갱신 시 처리를 개시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갱신 시 처리를 개시하면, 서비스 제공 리스트를 참조하여(S21), 갱신 대상이 된 차량 정보에 대응지어져 있는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처의 애플리케이션(9a)을 특정한다(S22).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의 제공처의 애플리케이션(9a)을 특정하면, 차량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S23),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그 차량 정보의 제공처로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하고(S24, 차량 정보 제공 수순에 상당함), 갱신 시 처리를 종료한다. 즉,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의 최신값을, 차량 정보의 제공처로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도 10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리스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가 「차속」인 경우에는, 「차속」에 대응지어져 있는 애플리케이션 B를 차량 정보의 제공처로서 특정하고, 「차속」의 최신값을 애플리케이션 B에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카데이터 코디(12)는, 도 10에 나타낸 서비스 제공 리스트에 있어서,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가 「차량 위치」인 경우에는, 「차량 위치」에 대응지어져 있는 애플리케이션 B, D를 차량 정보의 제공처로서 특정하고, 「차량 위치」의 최신값을 애플리케이션 B, D에 제공한다.
(4) 제공 요구 접수 처리(도 14 참조)
카데이터 코디(12)는,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의 제공 요구를 접수함으로써 제공 요구 접수 처리의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제공 요구 접수 처리를 개시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제공 요구 접수 처리를 개시하면,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 통지된 애플리케이션 ID와 지정 차량 정보를 취득한다(S31). 카데이터 코디(12)는, 그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ID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의 제공처의 애플리케이션(9a)을 특정하고(S32), 그 취득한 지정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처의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하는 차량 정보 종별을 특정한다(S33).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고(S34), 그 특정한 차량 정보 종별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를, 그 차량 정보의 제공처로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하고(S35, 차량 정보 제공 수순에 상당함), 제공 요구 접수 처리를 종료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X가 「스마트 키의 유무」의 제공 요구를 통지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X를 차량 정보의 제공처로서 특정하고, 「스마트 키의 유무」의 최신값을 애플리케이션 X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CAN 서비스(11) 및 카데이터 코디(12)가 연계하여 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예를 들어 마스터 ECU(1)가 기동하면, 오픈 지시를 CAN 서비스(11)에 통지한다(t1). CAN 서비스(11)는 카데이터 코디(12)로부터 오픈 지시가 통지되면, 그 통지된 오픈 지시에 대한 응답을 카데이터 코디(12)에 통지하고(t2), 일시적인 데이터 기억 영역을 작성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세트 ID 필터 지시를 CAN 서비스(11)에 통지한다(t3). CAN 서비스(11)는 카데이터 코디(12)로부터 세트 ID 필터 지시가 통지되면, 그 통지된 세트 ID 필터 지시에 대한 응답을 카데이터 코디(12)에 통지하고(t4), 그 통지된 세트 ID 필터 지시에 의해 지정된 ID를 보유한다.
CAN 서비스(11)는 제1 제어부(5)로부터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하면(t5), 그 보유하고 있는 ID와, 그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CANID를 대조한다. CAN 서비스(11)는 그 보유하고 있는 ID와 일치하는 CANID를 저장하고 있는 이더넷 프레임을 특정하면, 그 특정된 이더넷 프레임으로부터 CANPDU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CANPDU를 데이터 기억 영역에 보존한다. CAN 서비스(11)는 그 보유하고 있는 ID와 일치하지 않는 CANID를 저장하고 있는 이더넷 프레임을 특정하면, 그 특정된 이더넷 프레임으로부터 CANPDU를 추출하지 않고 파기한다. 그 이후, CAN 서비스(11)는 제1 제어부(5)로부터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할 때마다(t10, t14, t17),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 등록 요구가 통지되면(t6), 상기한 도 11에서 설명한 등록 요구 접수 처리를 실시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그 통지된 등록 요구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ID와 차량 정보 종별을 취득하고, 그 취득한 애플리케이션 ID와 차량 정보 종별을 대응지어서 서비스 제공 리스트에 등록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리드 지시를 CAN 서비스(11)에 소정 주기(예를 들어 수밀리초 주기)로 통지한다(t7). CAN 서비스(11)는 카데이터 코디(12)로부터 리드 지시가 통지되면, 데이터 기억 영역에 보존해 둔 CANPDU를 카데이터 코디(12)에 통지한다(t8). 카데이터 코디(12)는, CAN 서비스(11)로부터 CANPDU를 취득하면, 상기한 도 12에서 설명한 차량 정보 보존 처리를 실시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그 취득한 CANPDU로부터 CAN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CAN 데이터를 해석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차량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 대상으로 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이후, 카데이터 코디(12) 및 CAN 서비스(11)는 카데이터 코디(12)가 리드 지시를 통지하는 주기로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t11, t12, t15, t16, t18, t19).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가 갱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하지 않고 폐기한다. 한편, 카데이터 코디(12)는, 차량 정보가 갱신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금회의 생성된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하고,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한 갱신 시 처리를 실시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서비스 제공 리스트를 참조하여, 차량 정보의 제공처의 애플리케이션(9a)을 특정하고, 차량 정보 리스트를 참조하여, 차량 정보 리스트에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 즉, 차량 정보의 최신값을, 그 차량 정보의 제공처로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9a)에 통지한다(t9, t13, t20).
도 17 및 도 18의 예시에서는,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 통지된 등록 요구에 의해 차량 정보 종별로서 「차속」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카데이터 코디(12)는,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 등록 요구가 통지된 직후의 최초로 CAN 서비스(11)로부터 취득한 CANPDU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a)에 통지한다(t9). 그 이후, 카데이터 코디(12)는, 예를 들어 CAN 서비스(11)로부터 「t8」의 타이밍에서 취득한 CANPDU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 정보가 차속 「58km/h」이고, CAN 서비스(11)로부터 「t12」의 타이밍에서 취득한 CANPDU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 정보가 차속 「60km/h」이면, 차량 정보가 전회로부터 갱신되어 있으므로, 차량 정보로서 차속 「60km/h」를 애플리케이션(9a)에 통지한다(t13).
카데이터 코디(12)는, CAN 서비스(11)로부터 「t16」의 타이밍에서 취득한 CANPDU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 정보가 차속 「60km/h」이면, 차량 정보가 전회로부터 갱신되어 있지 않으므로, 차량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a)에 통지하지 않고 파기한다. 카데이터 코디(12)는, CAN 서비스(11)로부터 「t19」의 타이밍에서 취득한 CANPDU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 정보가 차속 「62km/h」이면, 차량 정보가 전회로부터 갱신되어 있으므로, 차량 정보로서 차속 「62km/h」를 애플리케이션(9a)에 통지한다(t20). 이상은, 차량 정보 종별로서 「차속」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다른 차량 정보 종별이어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스터 ECU(1)에 있어서, CAN 프레임으로부터 CAN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CAN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여 보존하고, 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하도록 하였다.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애플리케이션마다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애플리케이션(9a)을 제작할 때 비용 증대나 엄청난 수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스토리지(7)의 메모리 용량의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CAN 데이터로부터 다른 차량 정보를 생성해 버릴 우려가 없어지고, 애플리케이션(9a)간의 동작에서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없어진다. 이에 의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9a)의 개개가 CAN 데이터에 기초한 차량 정보를 용이하고 또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마스터 ECU(1)에 있어서,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가 갱신된 것을 계기로 하여, 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하도록 하였다. 차량 정보가 갱신된 타이밍에서, 최신의 차량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9a)이 제공 요구를 통지하지 않고, 최신의 차량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할 수 있다.
마스터 ECU(1)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9a)으로부터의 제공 요구가 접수된 것을 계기로 하여, 그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하도록 하였다. 차량 정보가 전회로부터 갱신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9a)이 제공 요구를 통지하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최신의 차량 정보를 애플리케이션(9a)에 제공할 수 있다.
마스터 ECU(1)에 있어서, CAN 버스(2)로부터 수신한 CAN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프로토콜 변환하고, 그 프로토콜 변환한 이더넷 프레임으로부터 CAN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였다. CAN 버스(2)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2 제어부(6)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9a)을 대상으로 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9a)의 개개가 CAN 데이터에 기초한 차량 정보를 용이하고 또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덧붙여, 여러 가지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것들에 1 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제어부 및 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체화된 하나 내지는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성함으로써 제공된 전용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혹은, 본 개시에 기재된 제어부 및 그 방법은, 1개 이상의 전용 하드웨어 논리 회로에 의해 프로세서를 구성함으로써 제공된 전용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혹은, 본 개시에 기재된 제어부 및 그 방법은, 하나 내지는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1개 이상의 하드웨어 논리 회로에 의해 구성된 프로세서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1개 이상의 전용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으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전이 유형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이 출원에 기재되는 흐름도, 혹은, 흐름도의 처리는, 복수의 섹션(혹은 스텝으로 언급됨)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은, 예를 들어 S1으로 표현된다. 또한, 각 섹션은, 복수의 서브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고, 한편, 복수의 섹션은 합쳐서 하나의 섹션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 섹션은, 디바이스, 모듈, 민즈로서 언급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6)를 구비하는 전자 제어 장치(1)이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12a)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부(12b)와,
    상기 차량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하는 차량 정보 보존부(12c)와,
    상기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부(12g)를 구비하는 전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개개로부터의 등록 요구를 접수하는 등록 요구 접수부(12d)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등록 요구가 상기 등록 요구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애플리케이션을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하는 전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의 갱신 유무를 판정하는 갱신 유무 판정부(12e)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가 상기 갱신 유무 판정부에 의해 갱신 있음으로 판정된 것을 계기로 하여, 상기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개개로부터의 제공 요구를 접수하는 제공 요구 접수부(12f)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정보 제공부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제공 요구가 상기 제공 요구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것을 계기로 하여, 상기 차량 정보 보존부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 상기 차량 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 정보 보존부 및 상기 차량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전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제공부는, 다른 입도의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내지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더 구비하고,
    하나 내지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데이터 추출부(12a)와, 차량 정보 생성부(12b)와, 차량 정보 보존부(12c)와, 차량 정보 제공부(12g)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전자 제어 장치.
  8.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6)를 구비하는 전자 제어 장치(1)에 있어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순과,
    상기 데이터 추출 수순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수순과,
    상기 차량 정보 생성 수순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하는 차량 정보 보존 수순과,
    상기 차량 정보 보존 수순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 수순을 행하는 차량 정보 제공 방법.
  9.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6)를 구비하는 전자 제어 장치(1)에,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순과,
    상기 데이터 추출 수순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수순과,
    상기 차량 정보 생성 수순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정보를 보존하는 차량 정보 보존 수순과,
    상기 차량 정보 보존 수순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당해 차량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요구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 수순을 실행시키는 것을 구비한 명령이며, 컴퓨터에 의해 실시되는 당해 명령을 구비하는 지속적 컴퓨터 판독 매체.
KR1020230061596A 2022-05-19 2023-05-12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지속적 컴퓨터 판독 기억 매체 KR20230161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82283 2022-05-19
JP2022082283A JP2023170483A (ja) 2022-05-19 2022-05-19 電子制御装置、車両情報提供方法及び車両情報提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89A true KR20230161889A (ko) 2023-11-28

Family

ID=8660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596A KR20230161889A (ko) 2022-05-19 2023-05-12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지속적 컴퓨터 판독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77383A1 (ko)
EP (1) EP4280572A1 (ko)
JP (1) JP2023170483A (ko)
KR (1) KR20230161889A (ko)
CN (1) CN1170875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8974A (ja) 2010-04-09 2011-11-04 Denso Corp 車載情報収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5860A (ja) * 2014-08-26 2016-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データ変換装置及び車両用データ出力方法
JP7207252B2 (ja) * 2019-10-10 2023-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換装置
CN112291124B (zh) * 2020-09-27 2021-12-14 上海赫千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some/ip协议的车载网络ecu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8974A (ja) 2010-04-09 2011-11-04 Denso Corp 車載情報収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0572A1 (en) 2023-11-22
JP2023170483A (ja) 2023-12-01
CN117087565A (zh) 2023-11-21
US20230377383A1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5191B (zh) 车载互联网关、车辆ota升级系统和方法、计算机存储介质
US20190250902A1 (en) On-board update system, on-board update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update method
US108197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data from a communication bus of a motor vehicle
CN109324813A (zh) 电子控制系统刷写方法、装置及计算机介质
US11288054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20110A1 (en) Terminal Upgrade Method and Apparatus
US11126422B2 (en) Program update system, control system, mobile body, program update method, recording medium
US20210141629A1 (en) Program update system and vehicle management server
JP5989190B1 (ja) ゲートウェイ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
US20100211582A1 (en) Open architecture vehicle information module for vehicle and trailer,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5391180A (zh) 针对智能驾驶功能的闭环仿真方法、系统和介质
CN114064091A (zh) Ota升级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自动驾驶车辆
KR20230161889A (ko) 전자 제어 장치,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지속적 컴퓨터 판독 기억 매체
CN112925551A (zh) 对象升级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694848B (zh) 使用引用计数更新数据缓冲的方法及装置
US11803364B2 (en) Server, software updating device, vehicle, software upda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WO2020255760A1 (ja) 車両用制御装置
Poaka et al. New architectural design of the runtime server for remote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s
Hu et al. The development of vehicle diagnostic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US20100211581A1 (en) Open architecture vehicle information module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EP2568382A9 (en) Optimizing of publish-subscribe interprocess communications through the use of content-filters
US11947824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method, and program
US20220284743A1 (en) Center device and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device
US11972248B2 (en) Controlling software update of electronic control units mounted on a vehicle
US20230033832A1 (en) System, center,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