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7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73A
KR20230161873A KR1020230046829A KR20230046829A KR20230161873A KR 20230161873 A KR20230161873 A KR 20230161873A KR 1020230046829 A KR1020230046829 A KR 1020230046829A KR 20230046829 A KR20230046829 A KR 20230046829A KR 20230161873 A KR20230161873 A KR 2023016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er
pair
mating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마사 오쿠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자동 불완전 감합 거절 기능을 가지면서도 비스듬한 감합을 잘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21)은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잠그는 한 쌍의 잠금편을 갖고, 커버 부재(31)는 감합 방향 및 제 1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고 커버 부재(31)의 후단을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을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자동 불완전 감합(끼워맞춤) 거절 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은 점화 장치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고,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에어백에 충전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한다.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는 전선의 단부에 접속된 커넥터를 점화 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상대측 커넥터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통해 점화 장치에 공급된다.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대해 완전히 감합되지 않고, 소위 반감합 등, 불완전한 감합 상태가 되면, 점화 장치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에어백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감합 상태를 자동적으로 거절하는 기능을 갖는 커넥터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3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커넥터(1)가 개시되어 있다. 하우징(2)의 후부가 커버 부재(3)에 의해 덮여 있고, 2개의 전선(4)이 커버 부재(3)로부터 커넥터(1)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3)의 내부에, 하우징(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더(6)가 배치되고, 판 스프링(7)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탄성력을 받고 있다. 슬라이더(6)는 전방의 상대측 커넥터(8)를 향해 돌출된 한 쌍의 탄성변형 가능한 잠금편(6A)을 갖고, 하우징(2)의 규제부(2A)가 잠금편(6A)의 내측에 접촉함으로써, 잠금편(6A)의 내측으로의 변형이 규제되어 있다.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8)를 향해 압입하면,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편(6A)의 돌기(6B)가 상대측 커넥터(8)의 오목부(8A)의 가장자리부에 간섭함으로써, 판 스프링(7)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슬라이더(6)가 하우징(2)에 대해 슬라이드하고, 잠금편(6A)이 하우징(2)의 규제부(2A)에서 어긋난 위치로 된다. 이것에 의해, 잠금편(6A)이 내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잠금편(6A)의 돌기(6B)와 상대측 커넥터(8)의 오목부(8A)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섭이 해소되며, 판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6)가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잠금편(6A)이 상대측 커넥터(8)의 오목부(8A)내에 삽입된다.
그 결과,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편(6A)의 돌기(6B)가 상대측 커넥터(8)의 오목부(8A)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8C)에 수용되고, 또, 전선(4)의 단부에 접속된 커넥터(1)의 컨택트가 상대측 커넥터(8)의 컨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커넥터(1)와 상대측 커넥터(8)는 완전 감합 상태로 된다.
잠금편(6A)의 돌기(6B)가 상대측 커넥터(8)의 홈(8C)에 완전히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8)를 향해 압입되어 있던 커넥터(1)에서 손을 놓으면, 판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8)로부터 이탈되고, 불완전한 감합 상태가 자동적으로 거절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353363호
그러나, 감합 방향에 대해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8)를 향해 비스듬히 압입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슬라이더(6)의 한 쌍의 잠금편(6A) 중의 한쪽만이 상대측 커넥터(8)의 홈(8C)에 수용되고, 다른쪽의 잠금편(6A)은 홈(8C)에 수용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슬라이더(6)와 상대측 커넥터(8) 사이에 큰 마찰력이 생기게 된다. 이 마찰력이 판 스프링(7)의 복원력보다 커지면, 커넥터(1)에서 손을 놓아도,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8)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없고, 불완전한 감합 상태가 유지되어 버린다.
근래, 에어백은 차량의 스티어링, 대시보드뿐만 아니라, 차량내의 각종 위치에 탑재되는 경향에 있으며, 점화 장치가 차량의 제조, 점검 등의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자로부터 보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직접 육안으로 보지 않고 커넥터(1)를 상대측 커넥터(8)에 감합하는 이른바 블라인드 감합을 부득이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히,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8)를 향해 비스듬히 압입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자동 불완전 감합 거절 기능을 가지면서도 비스듬한 감합을 잘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에 감합되는 커넥터로서, 전선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컨택트와,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후부를 유지하는 커버 부재와, 감합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우징에 유지된 슬라이더와, 커버 부재와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더에 감합 방향을 따른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잠그는 한 쌍의 잠금편을 갖고, 커버 부재는 감합 방향 및 제 1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고 또한 커버 부재의 후단부를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한 쌍의 외측면을 갖는 것이다.
한 쌍의 외측면은 감합 방향 및 제 1 방향의 쌍방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컨택트에 접속된 전선은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외측면의 사이에서 감합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버 부재는 전선을 사이에 두고 전선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한 쌍의 외측면은 제 1 커버에 배치된 제 1 외측면과 제 2 커버에 배치된 제 2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각 대응하는 전선의 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컨택트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은 커버 부재의 전단부보다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측 통형상부를 갖고, 컨택트는 통형상부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잠금편은 통형상부의 외측에 있어서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완전 감합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잠금편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잠금편의 변형을 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블로킹 빔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는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탄성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를 갖고, 하우징은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에 접촉하고 또한 한 쌍의 다리부를 탄성적으로 밀어 넓히는 다리부 변형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는 하우징에 대해 감합 방향의 후방으로 후퇴시킬 때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또한 커버 부재에 대해 감합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링 형상의 컬러 부재를 구비하고, 컬러 부재는 내주부에 배치되고 또한 감합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더에 걸리는 단차부를 갖고, 컬러 부재를 커버 부재에 대해 감합 방향의 후방으로 후퇴시키면, 단차부가 슬라이더에 걸리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도 후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은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잠그는 한 쌍의 잠금편을 갖고, 커버 부재는 감합 방향 및 제 1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서로 이간되고 커버 부재의 후단을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한 쌍의 외측면을 가지므로,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자동 불완전 감합 거절 기능을 가지면서도 비스듬한 감합이 잘 발생하지 않는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제 1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제 2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슬라이더를 비스듬한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1에서 이용되는 컬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상대측 커넥터의 인플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대측 커넥터의 인플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상대측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대측 커넥터의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의 B-B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개시시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의 A-A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개시시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의 B-B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초기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의 A-A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초기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의 B-B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완료 직전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의 A-A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완료 직전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2의 B-B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완료시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2의 A-A선에 상당하는 절단면에 의한 감합 완료시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감합 전의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감합 도중의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감합 완료시의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도 5에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11)를 나타낸다. 커넥터(11)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의 후부를 유지하는 커버 부재(31)를 갖고 있고, 커버 부재(31)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2개의 전선 C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더(41)가 배치되고, 커버 부재(31) 및 슬라이더(41)의 외측에 컬러 부재(51)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1)은 커버 부재(31)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측 통형상부(21A)를 갖고 있고, 커버 부재(31)는 하우징(21)의 전측 통형상부(21A)의 후부에 위치하는 몸통부(31A)와, 몸통부(31A)의 후단을 닫고 또한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감합력 부여부(31B)를 갖고 있다.
커버 부재(31)의 감합력 부여부(31B)는 커버 부재(31)의 후단을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한 쌍의 평면 형상의 외측면인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을 갖고 있다. 2개의 전선 C는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 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41)의 일부가 커버 부재(31)의 전방에 노출되어 있다. 컬러 부재(51)는 커버 부재(31) 및 슬라이더(41)의 외주부를 덮는 링 형상을 갖고 있다.
편의상, 2개의 전선 C에서 하우징(21)의 전측 통형상부(21A)를 향하는 방향을 +X방향, 2개의 전선 C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방향을 Y방향,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X방향이 커넥터(11)의 감합 방향으로 된다.
또한, 커버 부재(31)의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은 Z방향(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고 XY면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대략 동일한 사이즈를 갖고 있다. 제 1 외측면(31C)은 -X방향 및 -Z방향을 향한 평면 형상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제 2 외측면(31D)은 -X방향 및 +Z방향을 향한 평면 형상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커버 부재(31)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감합력 부여부(31B)의 Y방향의 양단부에도 -X방향을 향해 경사 또는 만곡되는 외측면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Z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는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은 Y방향의 외측면보다 크고 서로 대략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 XY면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커버 부재(31)는 커넥터(11)의 감합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자에게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에 손가락을 걸어 커넥터(11)를 +X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재촉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도 6에, 커넥터(1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커버 부재(31)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전선 C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전선 C의 Z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제 1 커버(32)와 제 2 커버(33)가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에는 슬라이더(41)가 감합 방향인 X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제 1 커버(32)와 슬라이더(41) 사이에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61)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61)는 슬라이더(41)에 X방향을 따른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또한, 2개의 전선 C의 +X방향 단부에는 각각,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21)에 유지되는 소켓형의 컨택트(7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각 X방향으로 연장되고 Y방향에 배열된 2개의 관통구멍을 갖는 페라이트 부재(81)가 커버 부재(31)에 유지되어 있다. 페라이트 부재(81)는 각각 컨택트(71)가 접속된 2개의 전선 C를 2개의 관통구멍에 통과시켜 전자 실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은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하우징(21)의 +X방향측 부분을 차지하는 전측 통형상부(21A)와, 하우징(21)의 -X방향측 부분을 차지하고 전측 통형상부(21A)보다 큰 직경을 갖는 후측 통형상부(21B)가 X방향을 따라 동축상에 연결된 형상을 갖고 있다.
전측 통형상부(21A)의 +Y방향측의 측부 및 -Y방향측의 측부에는 각각 개구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 통형상부(21B)의 +Y방향측 단부 및 -Y방향측 단부에서 각각 전측 통형상부(21A)의 외측에 있어서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 즉 +X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잠금편(21D)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잠금편(21D)은 Y방향(제 1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고 Y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각각 전측 통형상부(21A)의 대응하는 개구부(21C)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잠금편(21D)의 +X방향 단부에는 하우징(21)의 외측을 향해 Y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2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 통형상부(21B)의 +Y방향측의 측부 및 -Y방향측의 측부에는 각각 X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21F)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노치(21F)는 한 쌍의 잠금편(21D)까지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서로 평행하게 X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컨택트 수용부(21G)가 형성되고, 또한, 전측 통형상부(21A)와 후측 통형상부(21B)의 경계 부분에, 소정의 Y방향의 폭을 갖는 다리부 변형부(21H)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버(32)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X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32A)와, 통형상부(32A)의 -X방향 단부의 +Z방향측에 연결되고 -X방향으로 삐져 나오는 제 1 장출부(32B)를 갖고 있다. 제 1 장출부(32B)에, 제 1 외측면(31C)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32A)의 -Z방향 단부에는 -X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X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 32C가 형성되고, 통형상부(32A)의 +Y방향측의 외측부 및 -Y방향측의 외측부에는 각각 X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32D)가 형성되고, 각각의 홈부(32D)의 저부에 +X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X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32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커버(32)의 내부에는 +X방향을 향한 탄성 부재 유지부(32F)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버(33)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XY면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부(33A)와, 평판부(33A)의 -X방향 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X방향으로 삐져 나오는 제 2 장출부(33B)를 갖고 있다. 제 2 장출부(33B)에 제 2 외측면(31D)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1)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슬라이더 본체(41A)를 갖고, 슬라이더 본체(41A)로부터 각각 +Y방향 및 -Y방향으로 한 쌍의 암부(41B)가 연장되고, 한 쌍의 암부(41B)의 선단에서 각각 -X방향으로 한 쌍의 파지부(41C)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41A)에서 각각 +X방향으로 한 쌍의 다리부(41D)가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다리부(41D)는 서로 Y방향으로 이간되고 Y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며, +X방향 단부를 향할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경사면(4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41D)의 -X방향측의 근본 부분은 하우징(21)의 다리부 변형부(21H)의 Y방향의 폭보다 큰 간격을 갖고, 한 쌍의 경사면(41E)의 +X방향 단부는 하우징(21)의 다리부 변형부(21H)의 Y방향의 폭보다 약간 작은 간격을 갖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41A)에서 -X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탄성 부재 유지부(41F)가 형성되고, 슬라이더 본체(41A)의 +Y방향 단부 및 -Y방향 단부에서 각각 +X방향으로 한 쌍의 블로킹 빔부(41G)가 연장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러 부재(51)는 YZ면을 따라 대략 원형을 그리도록 연장되는 링 형상을 갖고 있다. 컬러 부재(51)의 내주부에는 서로 Y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단차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차부(51A)는 슬라이더(41)의 파지부(41C)에 걸리는 것으로, 슬라이더(41)를 컬러 부재(51)와 함께 -X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11)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해서 실행할 수 있다.
우선, 슬라이더(41)의 한 쌍의 암부(41B)가 하우징(21)의 노치(21F) 및 제 1 커버(32)의 노치(32E)에 통과되고, 탄성 부재(61)가 제 1 커버(32)의 탄성 부재 유지부(32F)와 슬라이더(41)의 탄성 부재 유지부(41F) 사이에 배치되고, 페라이트 부재(81)가 제 1 커버(32)와 제 2 커버(33)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에, 하우징(21)의 후측 통형상부(21B)가 제 1 커버(32)로 덮이고, 제 1 커버(32)와 제 2 커버(33)를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31)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커버 부재(31) 및 슬라이더(41)의 외주부에 컬러 부재(51)를 끼움으로써, 커넥터(11)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페라이트 부재(81)의 2개의 관통구멍에는 컨택트(71)가 접속된 2개의 전선 C가 통과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컨택트(71)는 하우징(21)의 컨택트 수용부(21G)에 수용된다.
슬라이더(41)는 탄성 부재(61)에 의해 +X방향을 향하는 탄성력을 받고 또한 한 쌍의 파지부(41C)가 제 1 커버(32)의 홈부(32D)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21) 및 커버 부재(31)에 대해 X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커넥터(11)가 감합되는 상대측 커넥터(91)를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다. 상대측 커넥터(91)는 예를 들면, 에어백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인플레이터(92)와, 인플레이터(92)의 내측에 배치된 리테이너(93)를 갖고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92)는 커넥터(11)의 일부가 삽입되는 오목 형상의 커넥터 수용부(92A)를 갖고 있고, 커넥터 수용부(92A)의 내주면에 홈(9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92B)은 커넥터(11)가 상대측 커넥터(91)에 감합되었을 때에, 하우징(21)의 잠금편(21D)의 돌기(21E)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 커넥터 수용부(92A)내에 각각 -X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서로 Y방향으로 이간되는 2개의 핀형의 컨택트(94)가 배치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93)는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X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2개의 핀형의 컨택트(94)가 통과되는 관통구멍(93A)을 갖고 있다.
다음에,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한 커넥터(11)의 감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1)를 상대측 커넥터(91)를 향해 감합 방향인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41)의 한 쌍의 다리부(41D)의 선단 즉 +X방향 단부가 리테이너(93)에 마주치고,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전측 통형상부(21A)가 상대측 커넥터(91)의 리테이너(93)의 내부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이 때, 커넥터(11)의 컨택트(71)는 아직 상대측 커넥터(91)의 컨택트(94)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
커넥터(11)를 또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1)의 한 쌍의 다리부(41D)의 선단이 리테이너(93)에 마주치고 있기 때문에,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한 슬라이더(41)의 X방향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슬라이더(41)는 탄성 부재(61)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21)에 대해 슬라이드하기 시작한다. 이 때,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잠금편(21D)이 인플레이터(92)의 커넥터 수용부(92A)에 삽입되기 시작하고, 커넥터(11)의 컨택트(71)와 상대측 커넥터(91)의 컨택트(94)의 접촉이 개시된다.
이 상태에서, 커넥터(11)를 또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다리부 변형부(21H)가 슬라이더(41)의 한 쌍의 다리부(41D)의 경사면(41E)에 접촉하고, 한 쌍의 다리부(41D)를 Y방향으로 넓히기 시작한다. 한 쌍의 다리부(41D)의 선단의 Y방향의 간격은 커넥터(11)의 +X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해서 점차 커진다. 또한, 이 때,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잠금편(21D)이 인플레이터(92)의 커넥터 수용부(92A)에 삽입되어, 잠금편(21D)의 돌기(21E)가 커넥터 수용부(92A)의 홈(92B)에 수용되기 시작한다.
커넥터(11)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41)의 한 쌍의 다리부(41D)의 선단이 하우징(21)의 다리부 변형부(21H)에 의해 Y방향으로 넓혀짐으로써, 리테이너(93)에 대한 한 쌍의 다리부(41D)의 마주침이 해소되고,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1)가 탄성 부재(61)의 복원력에 의해 +X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잠금편(21D)의 돌기(21E)가 커넥터 수용부(92A)의 홈(92B)에 수용되고, 커넥터(11)의 컨택트(71)와 상대측 커넥터(91)의 컨택트(94)가 서로 접속 상태로 되어,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한 커넥터(11)의 감합이 완료한다.
또한 이때, 슬라이더(41)의 블로킹 빔부(41G)가 리테이너(93)와 잠금편(21D) 사이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91)로부터 커넥터(11)를 인발하는 힘이 작용해도, 잠금편(21D)의 돌기(21E)는 커넥터 수용부(92A)의 홈(92B)에서 어긋나는 일이 없으며, 커넥터(11)와 상대측 커넥터(91)의 감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하우징(21)의 잠금편(21D)의 돌기(21E)가 커넥터 수용부(92A)의 홈(92B)에 완전히 수용되기 전에, 커넥터(11)를 상대측 커넥터(91)를 향해 +X방향으로 압입하는 감합력이 해제되면, 탄성 부재(61)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1)이 슬라이더(41)에 대해 -X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넥터(11)는 상대측 커넥터(9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즉,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한 커넥터(11)의 자동 불완전 감합 거절 기능이 발휘된다.
이와 같이 해서 커넥터(11)는 상대측 커넥터(91)에 감합되게 되지만,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1)의 커버 부재(31)는 후방인 -X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감합력 부여부(31B)를 갖고, 감합력 부여부(31B)는 -X방향을 향할수록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을 갖고, 이들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 사이로부터 전선 C가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1)의 감합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자는 커버 부재(31)의 감합력 부여부(31B)의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에, 예를 들면 검지 및 엄지 등의 손가락을 걸어 커넥터(11)를 +X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커넥터(11)에 감합력을 부여해서 커넥터(11)를 상대측 커넥터(91)를 향해 누를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31)의 제 1 외측면(31C)은 -X방향 및 -Z방향을 향한 평면 형상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제 2 외측면(31D)은 -X방향 및 +Z방향을 향한 평면 형상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에 +X방향을 향하는 감합력을 부여할 때에,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의 표면을 따른 Y방향을 향하는 분력은 잘 발생하지 않고, 커넥터(11)의 Y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경감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Y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는 하우징(21)의 한 쌍의 잠금편(21D)의 돌기(21E) 중의 한쪽만이 상대측 커넥터(91)의 홈(92B)에 수용되는 불완전한 감합 상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11)는 커버 부재(31)가 하우징(21)의 한 쌍의 잠금편(21D)이 서로 이간되는 Y방향(제 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Z방향(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고 또한 커버 부재(31)의 후단을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을 갖고 있으므로, 자동 불완전 감합 거절 기능을 가지면서도 비스듬한 감합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해 감합 상태에 있는 커넥터(11)를 상대측 커넥터(9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커버 부재(31) 및 슬라이더(4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컬러 부재(51)를 -X방향으로 후퇴시키면 된다. 컬러 부재(51)를 -X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컬러 부재(51)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51A)가 슬라이더(41)의 파지부(41C)에 걸리고, 컬러 부재(51)와 함께 슬라이더(41)가 -X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91)의 리테이너(93)와 하우징(21)의 잠금편(21D)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슬라이더(41)의 블로킹 빔부(41G)가 -X방향으로 인발된다.
이 상태에서 또한 컬러 부재(51)를 -X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슬라이더(41)와 함께 하우징(21)이 -X방향으로 인장되어, 잠금편(21D)의 돌기(21E)가 커넥터 수용부(92A)의 홈(92B)으로부터 어긋난다. 이와 같이 해서,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한 커넥터(11)의 감합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11)는 커버 부재(31) 및 슬라이더(41)의 외주부를 덮는 링 형상의 컬러 부재(51)를 갖기 때문에, 컬러 부재(51)를 -X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상대측 커넥터(91)로부터의 이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36에,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넥터(11A)를 나타낸다. 이 커넥터(11A)는 도 1∼도 5에 나타나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에 있어서, 컬러 부재(51)를 생략하고, 커버 부재(31) 및 슬라이더(41)의 외주부를 노출시킨 것이며, 컬러 부재(51) 이외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넥터(11A)도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와 마찬가지로, 커버 부재(31)의 감합력 부여부(31B)의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에 손가락을 걸어 상대측 커넥터(91)를 향하는 +X방향의 감합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91)에 감합할 수 있다.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한 커넥터(11A)의 감합 동작은 도 28∼도 35에 나타나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의 감합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해 감합 상태에 있는 커넥터(11A)를 상대측 커넥터(9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더(41)의 한 쌍의 파지부(41C)에 손가락을 걸어 슬라이더(41)를 -X방향으로 후퇴시키면 된다. 슬라이더(41)가 -X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상대측 커넥터(91)의 리테이너(93)와 하우징(21)의 잠금편(21D)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슬라이더(41)의 블로킹 빔부(41G)가 -X방향으로 인발되고, 또한, 슬라이더(41)를 -X방향을 향해 인장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21)이 -X방향으로 후퇴하고, 잠금편(21D)의 돌기(21E)가 커넥터 수용부(92A)의 홈(92B)으로부터 어긋나고, 상대측 커넥터(91)에 대한 커넥터(11A)의 감합 상태가 해소된다.
커넥터(11A)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컬러 부재(51)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감합 상태에 있는 커넥터(11A)를 상대측 커넥터(91)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슬라이더(41)의 한 쌍의 파지부(41C)에 -X방향으로 후퇴시키는 힘을 부여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탈의 작업성이 비교적 저하할 우려가 있다. 단, 컬러 부재(51)를 갖지 않으므로, 커넥터(11A)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에 비해 소형의 사이즈를 갖고 있으며, 설치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 된다.
한편,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는 컬러 부재(51)를 갖기 때문에, 커넥터(11A)에 비해 큰 사이즈를 갖고 있지만, 커넥터(11)의 이탈시에, 슬라이더(41)보다 큰 링 형상의 컬러 부재(51)를 파지하여 -X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으므로, 실시형태 2의 커넥터(11A)에 비해 이탈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그래서, 설치 스페이스 등에 따라 실시형태 1의 커넥터(11)와 실시형태 2의 커넥터(11A)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형태 1 및 2에 있어서, Z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는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은 반드시 XY면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단, 제 1 외측면(31C)과 제 2 외측면(31D)이 XY면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쪽이 작업자가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에 손가락을 걸어 커넥터(11, 11A)를 감합 방향으로 누를 때에, 커넥터(11, 11A)의 Z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경감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2개의 전선 C가 커버 부재(31)의 후단에서 감합 방향과 평행하게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부재(31)가 하우징(21)의 한 쌍의 잠금편(21D)의 이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되고 또한 커버 부재(31)의 후단을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제 1 외측면(31C) 및 제 2 외측면(31D)를 갖고 있으면, 예를 들면, 커버 부재(31)의 후단에서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Z방향 또는 Y방향으로 전선 C가 연장되는 소위 앵글 타입의 커넥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선 C의 갯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3개 이상의 전선 C가 커넥터(11, 11A)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에어백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인플레이터(92)와 리테이너(93)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91)에 감합하는 커넥터(11 및 11A)에 대해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 불완전 감합 거절 기능을 갖는 각종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커넥터 2; 하우징
2A; 규제부 3; 커버 부재
4; 전선 6; 슬라이더
6A; 잠금편 6B; 돌기
7; 판 스프링 8; 상대측 커넥터
8A; 오목부 8C; 홈
11, 11A; 커넥터 21; 하우징
21A; 전측 통형상부 21B; 후측 통형상부
21C; 개구부 21D; 잠금편
21E; 돌기 21F, 32C, 32E; 노치
21G; 컨택트 수용부 21H; 다리부 변형부
31; 커버 부재 31A; 몸통부
31B; 감합력 부여부 31C; 제 1 외측면
31D; 제 2 외측면 32; 제 1 커버
32A; 통형상부 32B; 제 1 장출부
32D; 홈부 32F, 41F; 탄성 부재 유지부
33; 제 2 커버 33A; 평판부
33B; 제 2 장출부 41; 슬라이더
41A; 슬라이더 본체 41B; 암부
41C; 파지부 41D; 다리부
41E; 경사면 41G; 블로킹 빔부
51; 컬러 부재 51A; 단차부
61; 탄성 부재 71, 94; 컨택트
81; 페라이트 부재 91; 상대측 커넥터
92; 인플레이터 92A; 커넥터 수용부
92B; 홈 93; 리테이너
93A; 관통구멍 C; 전선

Claims (10)

  1.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에 감합되는 커넥터로서,
    전선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컨택트;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유지하는 커버 부재;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슬라이더; 및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감합 방향을 따른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잠그는 한 쌍의 잠금편을 갖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감합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후단부를 향해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진 한 쌍의 외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측면은 상기 감합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의 쌍방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에 접속된 상기 전선은 상기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외측면의 사이에서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전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선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커버 및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면은 상기 제 1 커버에 배치된 제 1 외측면과 상기 제 2 커버에 배치된 제 2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선의 단부에 접속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컨택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부재의 전단부보다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측 통형상부를 갖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전측 통형상부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잠금편은 상기 전측 통형상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완전 감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잠금편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잠금편의 변형을 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블로킹 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에 접촉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탄성적으로 밀어 넓히는 다리부 변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감합 방향의 후방으로 후퇴시킬 때에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상기 커버 부재에 대해 상기 감합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링 형상의 컬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컬러 부재는 내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걸리는 단차부를 갖고,
    상기 컬러 부재를 상기 커버 부재에 대해 상기 감합 방향의 후방으로 후퇴시키면, 상기 단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도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30046829A 2022-05-19 2023-04-10 커넥터 KR20230161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43725P 2022-05-19 2022-05-19
US63/343,725 2022-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73A true KR20230161873A (ko) 2023-11-28

Family

ID=8572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829A KR20230161873A (ko) 2022-05-19 2023-04-1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78689A1 (ko)
EP (1) EP4280391A1 (ko)
JP (1) JP2023171306A (ko)
KR (1) KR20230161873A (ko)
CN (1) CN1170966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3363A (ja) 2004-06-09 2005-12-22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084U (ja) * 1983-10-24 1985-05-20 星電器製造株式会社 ロツク機構付コネクタ
DE19513358C1 (de) * 1995-04-08 1996-08-08 Amphenol Tuchel Elec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10029670A1 (de) * 2010-06-02 2011-12-08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binderbaugruppe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EP2840664B1 (en) * 2013-08-20 2016-06-08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assembly with spring operated secondary 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3363A (ja) 2004-06-09 2005-12-22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0391A1 (en) 2023-11-22
CN117096667A (zh) 2023-11-21
US20230378689A1 (en) 2023-11-23
JP2023171306A (ja)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342B1 (en) Grounding plate for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US4993967A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ouble locking mechanism
US6179643B1 (en) Connector lock mechanism
EP0360124A2 (en) Connector plug with locking mechanism
CN111628321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KR20050099504A (ko)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CN109314349B (zh) 连接器
US69533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system
KR100532003B1 (ko) 로크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US6527578B2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N112038832B (zh) 连接器连接结构和连接器
CN113745897A (zh) 连接器锁定结构
US702562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system
KR20230161873A (ko) 커넥터
CN112038818B (zh) 连接器
US20230042748A1 (en) Shield connector
JP7405566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構造
JP7103913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74609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7103914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111146613B (zh)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KR102313402B1 (ko) 차량용 커넥터
EP1378973B1 (en)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US20190280424A1 (en) Rubber boot and connector
JP6403316B2 (ja) 電気的接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