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113A -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 Google Patents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113A
KR20230161113A KR1020220060734A KR20220060734A KR20230161113A KR 20230161113 A KR20230161113 A KR 20230161113A KR 1020220060734 A KR1020220060734 A KR 1020220060734A KR 20220060734 A KR20220060734 A KR 20220060734A KR 20230161113 A KR20230161113 A KR 2023016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abutment
implant system
dental implant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8899B1 (en
Inventor
허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2006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899B1/en
Priority to PCT/IB2022/060985 priority patent/WO2023094934A1/en
Publication of KR2023016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 및 식립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과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을 제공하는 어버트먼트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몸체 및 어버트먼트부와 보철물 사이에 개재되어 그 자체로 보철물을 어버트먼트부에 고정하는 크라운 매개체를 포함하며, 크라운 매개체는 외부 경사면과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제1 밀착 경사면 및 내부 경사면에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제2 밀착 경사면을 제공하여 어버트먼트부와 결합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 간의 면접촉 및 내부 경사면과 제2 밀착 경사면 간의 면접촉은 어버트먼트에 대한 크라운 매개체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 토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includes an implant body that is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section that is located on top of the installation section and provides a cone-shaped external slope and an inverted cone-shaped internal slope, and an implant body between the abutment unit and the prosthesis. It includes a crown medium that is interposed in and itself fixes the prosthesis to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crown medium has a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makes surface contact, and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and makes surface contact. Provided to include a receiving space coupled to the abutment portion,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and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are resistance that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crown medium with respect to the abutment. Torque can be formed.

Description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치아 등의 보철물에 스크류 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보철물을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보철물로 가해지는 다양한 충격 이벤트에 의해서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prosthesis can be easily mounted or removed without forming a screw hole in a prosthesis such as an artificial tooth, and the prosthesis can be damaged by various impact events applied to the prosthesis. It relates to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that can prevent it from falling off from an abutment.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 식립부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에 접합되는 보철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철물은 인공치아로서 치과용 시멘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어버트먼트와 일체로 결합되며, 보철물에는 스크류 홀을 형성하여 어버트먼트와 함께 보철물을 식립부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7219호 등을 보면, 어버트먼트를 식립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시멘트로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결합하고, 보철물에 형성된 스크류 홀을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 conventional dental implant system may include an installation part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fixed to the installation part, and a prosthesis bonded to the abutment. The prosthesis is an artificial tooth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abutment by an adhesive such as dental cement, and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prosthesis so that the prosthesis can be fixed to or separated from the implantation portion along with the abutment. Korean Patent No. 10-0537219 discloses a method of joining an abutment and a prosthesis with cement while the abutment is positioned in the insertion portion, and using a screw hole formed in the prosthesis.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연결나사의 파절이나 다른 여러 다양한 이유로 치과 현장에서 인공치아, 어버트먼트, 식립부 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치아에 연결나사와 이어지게 스크류 홀을 다시 뚫는 작업, 연결나사를 풀거나 제거하는 작업, 인공치아, 어버트먼트 등을 교체하는 작업, 연결나사를 다시 체결하는 작업, 뚫린 구멍을 레진 등으로 다시 메꾸는 작업 등이 필요할 수 있다.In a conventional dental implant system, for exampl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artificial teeth, abutments, implantation parts, etc. must be repaired or replaced at a dental site due to fracture of a connecting screw or various other reasons. To solve this problem, the work of re-drilling the screw hole to connect the connecting screw to the artificial tooth, loosening or removing the connecting screw, replacing the artificial tooth, abutment, etc., refastening the connecting screw, and removing the drilled hole. It may be necessary to refill the area with resin, etc.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323729호에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캡에 수직으로 스크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버트먼트의 외면으로 C-링 형상의 이탈방지부 및 링-형상의 실링부가 제공되어 캡과 어버트먼트 간의 완전한 밀착을 방해할 수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2323729 discloses a dental implant system. The dental implant system has a screw hol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ap, and a C-ring-shaped separation prevention part and a ring-shaped sealing part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to prevent complete adhesion between the cap and the abutment. can do.

또한, 이탈방지부와 실링부가 어버트먼트의 외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를 5mm 또는 그 이하의 치수로 소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면접촉을 형성할 수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and the sealing part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and occupy a relatively large area, sufficient surface contact is formed when the abutment is formed in a small size of 5 mm or less. I can't do it.

이탈방지부를 오차 없이 만들지 않는 이상 어버트먼트와 캡 간의 면접촉을 형성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부가 미세하게라도 크거나 비틀리게 되면 어버트먼트와 캡 간의 간격이 형성되며, 이탈방지부가 미세하게 작으면 어버트먼트와 캡 간의 결합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Unless the breakaway prevention part is made without error, it is impossible to form surface contact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cap. For example, i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slightly enlarged or twiste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cap, and i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slightly small, the bond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cap may be shaken.

본 발명은 보철물에 스크류 홀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외부 및 내부의 경사면을 이용한 면접촉만으로 어버트먼트부와 보철물을 결합할 수 있으며, 보철물을 식립부가 아닌 어버트먼트부의 구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 등을 할 수 있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butment part and the prosthesis to be joined only by surface contact using external and internal inclined surfaces without forming a screw hole in the prosthesis, and the prosthesi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aired from the structure of the abutment part, not the installation part. Alternatively,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that can be replaced is provided.

본 발명은 면접촉을 이용한 결합에서 결합력을 최대한 개선할 수 있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that can maximize bonding strength in bonding using surface contact.

본 발명은 면접촉에 의한 결합력에 추가로 보철물의 순간적인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that can prevent momentary lifting of the prosthesis in addition to the bonding force caused by surface contact.

본 발명은 식립부의 식립된 상태가 기울어지거나 2개 이상의 식립부를 브릿지로 연결할 때에도 별도의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부의 축방향과 일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보철물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한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vable dental implant that allows easy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prosthesis even when the installed state of the installation part is tilted or two or more installation parts are connected with a bridge, even if the separate prosthesis does not move in the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abutment part. Provides a system.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임플란트 몸체와 크라운 매개체(crown media)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 몸체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 및 식립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과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크라운 매개체는 어버트먼트부와 보철물 사이에 개재되어 그 자체로 보철물을 어버트먼트부에 고정할 수 있다. 크라운 매개체는 외부 경사면과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제1 밀착 경사면 및 내부 경사면에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제2 밀착 경사면을 제공하여 어버트먼트부와 결합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 간의 면접촉 및 내부 경사면과 제2 밀착 경사면 간의 면접촉은 어버트먼트에 대한 크라운 매개체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 토크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can be provided using an implant body and a crown media, and the implant body is located on an installation portion that is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n external inclined surface in the shape of a cone and an internal inclined surface in the shape of an inverted cone can be provided. The crown medium is interposed between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prosthesis and can itself fix the prosthesis to the abutment portion. The crown medium includes a receiving space coupled to the abutment portion by providing a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and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inclined surface may form a resistance torque that prevents rotation of the crown medium relative to the abutment.

크라운 매개체는 어버트먼트부의 외부 및 내부에서 면접촉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으며, 외부 경사면과 내부 경사면은 서로 다른 높이에서 크라운 매개체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crown medium can be joined by surface contact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abutment part, and the external and internal slopes can prevent the crown medium from peeling off at different heights.

본 실시예에서 면접촉은 전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2323729호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와 같이, 어버트먼트부의 외면으로 C-링 형상의 이탈방지부 및 링-형상의 실링부가 제공되어 캡과 어버트먼트부 간에 완전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urface contact may mean a state of full contact, and as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of Korean Patent No. 10-2323729, a C-ring-shaped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and ring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por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is different from the one in which a shaped sealing part is provided to prevent complete contact between the cap and the abutment par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은 C-링 또는 패킹과 같은 개재물 없이 전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can be maintained in full contact without inclusions such as C-rings or packing.

크라운 매개체와 어버트먼트부는 시멘트나 접착제 없이 상호 결속될 수 있으며, 보철물에 스크류 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보철물을 어버트먼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crown medium and the abutment portion can be bonded to each other without cement or adhesive, and the prosthesis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portion without forming a screw hole in the prosthesis.

식립부와 어버트먼트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임플란트 몸체를 형성할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and the abutment part can be formed integrally to form one implant body.

외부 경사면은 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뿔대 형상이라 함은 원뿔대(truncated cone) 또는 각뿔대(truncated pyramid)의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내부 경사면 역시 역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원뿔대 또는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경사면과 내부 경사면은 동일, 유사 또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e, where the cone shape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or truncated pyramid. Likewise, the internal slope may also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cone, such as a truncated cone or truncated pyramid. The external slope and the internal slope may be formed the same, similar, or different.

본 실시예에서 외부 경사면과 내부 경사면은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경사면의 하단이 외부 경사면의 하단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내부 경사면과 제2 밀착 경사면 간의 걸리는 위치가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 간의 걸리는 위치가 상이하여 상호 이탈을 저항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slope and the internal slope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slope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slope. Since the engaging position between the inner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is different from the engaging position betwee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mutual separation can be resisted.

일 예로, 어버트먼트부의 상단에서 내부 경사면의 하단까지의 높이(h1)는 내부 경사면의 하단에서 외부 경사면의 하단까지의 높이(h2)보다 짧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h1) from the top of the abutment portion to the bottom of the internal slope may be shorter than the height (h2) from the bottom of the internal slope to the bottom of the external slope.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는 4도~15도로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의 각도(θ1, θ2)는 방향이 반대이지만 양수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각도가 4도보다 작으면 보철물과 어버트먼트부가 거의 축방향으로만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난이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며, 그 각도가 15도보다 크면 보철물과 어버트먼트부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작은 외력에도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부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경사면의 각도는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기준으로 하며, 상하 무관하게 중심축에 대한 예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angle (θ 2 )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can be set to 4 degrees to 15 degrees. The angles (θ 1 , θ 2 ) of the inclined planes are opposite in direction, but can be understood as positive numbers. If the angle is less than 4 degrees, the difficulty of the system becomes excessive because the prosthesis and abutment must be combined almost only in the axial direction. It increases rapidly, and if the angle is greater than 15 degre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abutment portion is weakened, and the prosthesis may easily be separated from the abutment portion even with a small external force. For reference, the angle of the inclined plane in this specification is based on the cross s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and can be understood as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regardless of the top or bottom.

또한,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는 대략 3도 이내의 편차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angle (θ 2 )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deviation of approximately 3 degrees or less.

내부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크라운 매개체의 수용 공간의 천장에 링형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링형 돌출부의 외면을 제2 밀착 경사면으로 정의하여 내부 경사면과 면접촉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To form an internal inclined surface, a ring-shaped protrusion can be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space for receiving the crown medium,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can be defined as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to form surface contact with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그리고 링형 돌출부의 중앙에는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어버트먼트부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거리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거리 고정부는 어버트먼트부의 내부 공간에서 그 단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크라운 매개체와 어버트먼트부 간의 결합 거리를 제한하여 면접촉을 이루는 경사면들 간에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tance fix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space and entering the inner space of the abutment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The end of the distance fixing part can be fix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butment part, and the coupling distance between the crown medium and the abutment part can be limited to prevent lifting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forming surface contact.

거리 고정부는 단부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거리 고정부의 돌기 또는 홈에 맞물리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fix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illar with a protrusion or groove formed at an end, and a groove or protrusion that engages the protrusion or groove of the distance fix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또한, 거리 고정부는 단부에 탄성 레그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 레그의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내벽에는 탄성 레그의 돌기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tance fixing unit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lastic leg formed at an end,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end of the elastic leg, and a groove that engages the protrusion of the elastic leg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탄성 레그와 맞물리는 홈의 아래로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부 외에도 임프레션 코핑 등을 임시로 고정할 때에는 거리 고정부를 일일이 형성하지 않아도 암나사부에 맞는 부속을 고정시킬 수 있다. A female threa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below the groove that engages the elastic leg, and when temporarily fixing an impression coping, etc. in addition to the abutment part, the parts that fit the female thread are fixed without having to form distance fixing units one by one. You can do it.

외부 경사면의 하부에는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보다 작은 경사각(θ3)으로 형성된 실링 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sealing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n inclination angle (θ 3 ) smaller than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보철물과 어버트먼트부를 영구적으로 접착하지 않으며, 보철물과 어버트먼트부를 결합함에 있어서도 스크류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보철물에 스크류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manently bond the prosthesis and the abutment portion, and does not use screws to join the prosthesis and the abutment portion, so there is no need to form a screw hole in the prosthesis.

본 발명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보철물을 어버트먼트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면서, 뜻하지 않은 이벤트로 보철물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입체적인 면접촉의 의한 결합을 어버트먼트부의 내외로 형성하고, C-링 등을 이용하지 않은 전면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able to easily separate the prosthesis from the abutment portion and prevent the prosthesis from being separated due to an unexpected event. For this purpose,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butment part, and full contact can be maintained without using a C-ring or the like.

경우에 따라서는 면접촉만으로는 보철물의 탈락을 온전히 방지할 수 없었기에, 본 발명에서는 거리 고정부를 추가하여 어버트먼트부로부터 크라운 매개체와 보철물이 쉽게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부와 크라운 매개체 간의 거리 제한을 구성할 수 있다.In some cases,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prosthesis from falling off through surface contact alone, so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distance fixing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wn medium and the prosthesis from being easily lifted from the abutment part. Distance limits between the and crown media can be configured.

거리 고정부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어버트먼트부의 외면이 아닌 내부 공간에 위치시킴으로써 거리 고정부가 외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거리 고정부를 크라운 매개체와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하여 크라운 매개체의 높이와 폭 등의 사이즈를 약 5mm 의 소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크라운 매개체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앞니와 같은 작은 치아의 임플란트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Even in forming the distance fixing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tance fixing part from being affected by external forces by locating it in the internal space ra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part, and by combining the distance fixing part with the crown medium or forming it as one pie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tance fixing part from being affected by the crown medium. It may be possible to produce small sizes such as height and width of about 5 mm. Because the crown medium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it can also be applied to implants for small teeth such as front teeth.

본 발명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내외부 경사면과 거리 고정부로 인해 크라운 매개체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거리 고정부에 의한 거리 제한으로 면접촉을 이용한 결합력을 최대한 개선할 수 있다. 크라운 매개체와 어버트먼트부를 상대적으로 짧게 만들어도 측방향 압력에도 잘 견딜 수 있으며, 매개체를 삭제할 필요도 없다.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rown medium in a small size due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lopes and the distance fixing part, and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using surface contact as much as possible due to the distance limitation by the distance fixing part. Even if the crown medium and abutment part are made relatively short, it can withstand lateral pressure well, and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medium.

또한, 크라운 매개체에 거리 고정부가 뿌리를 두고 고정되기 때문에, 크라운 매개체 및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부에 접근할 때 거리 고정부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어버트먼트부의 내부 공간 또는 내부 경사면을 타고 변형되면서 축방향 이외의 경사진 방향으로의 접근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fixing part is rooted and fixed in the crown medium, when the crown medium and prosthesis approach the abutment part, the end of the distance fixing part is partially deformed along the internal space or internal slope of the abutment part and is axial. Access from inclined directions other than that direction may also be possible.

본 발명은 면접촉에 의한 결합력에 추가로 보철물의 순간적인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외부 또는 내부 경사면을 이용하여 식립부의 식립된 상태가 기울어지거나 2개 이상의 경사지게 식립된 식립부를 브릿지로 연결할 때에도 별도의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부의 축방향과 일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보철물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that can prevent momentary lifting of the prosthesis in addition to the bonding force caused by surface contact. Even when the implanted part is tilted using an external or internal inclined surface or two or more inclined implanted parts are connected with a bridge, the prosthesis can be separated and installed even if the separate prosthesis does not move in the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abutment part. This can be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크라운 매개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크라운 매개체를 이용한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다른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of the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rown medium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joining process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using the crown medium of FIG. 6.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6.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of the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9.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9.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9.
13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use case of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is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under these rules, the description can be made by citing the content shown in other drawings, and content that is judg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at is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and FIG. 5 illustrates the effect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1. This is a drawing for this purpos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식립부(115)와 어버트먼트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임플란트 몸체(110) 및 크라운 매개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lant body 110 and a crown in which an installation portion 115 and an abutment portion 120 are integrally formed. It may include a medium 140.

임플란트 몸체(110)는 식립부(115)를 이용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구조이며, 임플란트 몸체(110)가 식립되면 상부의 어버트먼트부(120)를 통해서 인공치아인 보철물(20)과 일체로 접합된 크라운 매개체(140)가 고정될 수 있다. The implant body 110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the installation part 115. When the implant body 110 is installed, it is integrated with the prosthesis 20,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through the abutment part 120 at the top. The bonded crown medium 140 may be fixed.

임플란트 몸체(110) 및 크라운 매개체(140) 등은 티타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보철물(20)은 복합 레진이나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implant body 110 and the crown medium 140 may be made of titanium, and the prosthesis 20 may be made of composite resin or ceramic.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부(120)는 임플란트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식립부(115)는 나사 형식으로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몸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 조건이나 수술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식립된 이후에도 안정화되는 과정에서도 그 식립된 위치나 각도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합력에 의해 식립부의 골유착의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butment portion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mplant body 110, and the insertion portion 115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in a screw type. Since the implant body 110 is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it may be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depending on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or surgical conditions, and its installed location or angle may change even during the stabilization process after installation. For example, the conditions for osseointegration of the implantation part may be changed by occlusal force.

어버트먼트부(120)는 외부로 뿔때 형상의 외부 경사면(122)을 제공하며, 내부로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130) 및 내부 공간(130)의 상부에 형성된 내부 경사면(132)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어버트먼트부에서도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이 존재하지만, 종래의 어버트먼트부에서 해당 공간은 보철물을 거쳐 스크류가 통과하기 위한 공간인 반면, 본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130)은 보철물(20)로부터 차단될 수 있으며, 내부 경사면(132), 제2 밀착 경사면(152) 및 기타 결속구조가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안정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보호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abutment portion 120 provides an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of a convex shape to the outside, and an internal space 130 with an open top to the inside and an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formed at the top of the internal space 130. can be provided. There i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in the conventional abutment part, but in the conventional abutment part, the space is a space for the screw to pass through the prosthesis, where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nal space 130 is a space for the prosthesis. It can be blocked from (20), and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and other binding structures can be blocked from the outside to function as a protective space that can form a stable bond.

본 실시예에서 외부 경사면(122)과 제1 밀착 경사면(142)은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뿔대(truncated pyrami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경사면(122)과 제1 밀착 경사면(142)은 전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종래와 다르게 C-링이나 실링, 패킹과 같이 두 경사면의 밀착을 방해하는 요소 없이 모든 면에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inclined surface 122 and the first close inclined surface 14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but in other embodiments, they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pyramid. In addition, the outer inclined surface 122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ar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all sides, and unlike the prior art, they are in contact on all sides without any elements that interfere with close contact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such as C-rings, seals, or packing. The status quo can be maintained.

또한, 외부 경사면(122)의 하부에는 외부 경사면(122)의 각도(θ1)보다 작은 경사각으로 형성된 실링 경사면(12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밀착 경사면(142)에서도 실링 경사면(123)에 대응하는 수직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ling inclined surface 123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θ 1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and the sealing inclined surface 123 is also formed on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 A vertical surface or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 may be formed.

외부 경사면(122)은 어버트먼트부(120)의 중심축에 대해 약 4~15도 정도 기울어진 경사를 형성하지만, 실링 경사면(123)은 외부 경사면(122)보다 작은 각도 또는 약 4도 이하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is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4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120, but the sealing inclined surface 123 is inclined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or about 4 degrees or less. An inclination angle of can be formed.

실링 경사면(123)은 외부 경사면(122)의 하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약 4도 이하의 경사각으로 형성되어도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외부 이물질이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미세한 동요를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sealing inclined surface 123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even if it is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4 degrees or less,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coupling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and external foreign substances may not be preve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wn medium from flowing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subtle fluctuations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는 전면적으로 마주하는 경사면의 면접촉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정밀하게 가공된 외부 경사면(122)과 제1 밀착 경사면(142) 간의 밀착, 마찰 또는 음압 등에 의해서 매우 근접한 면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can be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by the surface contact of the inclined surfaces facing the entire surface, and the contact between the precisely machined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is maintained. Very close surface contact can be formed through adhesion, friction, or negative pressure.

크라운 매개체(140)는 캡과 같이 하부로 개방된 수용 공간(145)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면은 보철물(20)과 접합될 수 있다. 보철물(20)과의 접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크라운 매개체(140)의 외면에는 다수의 요철(146)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crown medium 140 may form a receiving space 145 that is open at the bottom like a cap, and its outer surface may be bonded to the prosthesis 20. In order to strengthen the bonding with the prosthesis 20,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14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rown medium 140.

도 2 및 도 4를 보면, 크라운 매개체(140)는 어버트먼트부(12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45)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 공간(145)은 어버트먼트부(120)의 외부 경사면(122)과 전면적으로 면접촉을 형성하는 제1 밀착 경사면(14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용 공간의 천장 중앙에는 링형 돌출부(150)가 형성되고, 그 외면으로 제2 밀착 경사면(152)이 제공될 수 있다.2 and 4 , the crown medium 140 may provide a receiving space 145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portion 120. The receiving space 145 may form a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that forms surface contact on the entire surface wit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of the abutment portion 120, and a ring-shaped protrusion 15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space. ) is formed, and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may be provided on its outer surface.

도 4를 보면, 보철물(20)과 크라운 매개체(140)가 어버트먼트부(120)의 상부에 결합되기 전 상태(a)와 결합된 후 상태(b)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state (a) before the prosthesis 20 and the crown medium 140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portion 120 and a state (b) after the prosthesis 20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portion 120 are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매개체(140)는 수용 공간(145)의 천장 중앙에 형성된 링형 돌출부(150)를 포함하며, 링형 돌출부(150)의 외면을 어버트먼트부(120)의 내부 경사면(132)에 대응하는 제2 밀착 경사면(152)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crown medium 1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ring-shaped protrusion 15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space 145,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150 is formed on the inner inclined surface 132 of the abutment portion 120. ) can be formed as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corresponding to.

어버트먼트부(120)의 내부 공간(130)에는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132)이 내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경사면(122)과 제1 밀착 경사면(142) 간의 면접촉 및 내부 경사면(132)과 제2 밀착 경사면(152) 간의 면접촉에 의해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An inverted cone-shaped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may be formed as an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130 of the abutment portion 120. As a result, a more stable bond can be formed through surface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and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외부 경사면(122)과 내부 경사면(132)은 다른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경사면(132)의 하단이 외부 경사면(122)의 하단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내부 경사면과 제2 밀착 경사면 간의 걸리는 위치(B)가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 간의 걸리는 위치(A)가 상이하여 상호 이탈을 저항할 수 있다.The outer slope 122 and the inner slope 132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engaging position (B) between the inner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is different from the engaging position (A) betwee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so that mutual separation can be resisted.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어버트먼트부(120)의 상단에서 내부 경사면의 하단까지의 높이(h1)는 내부 경사면의 하단에서 외부 경사면의 하단까지의 높이(h2)보다 짧도록 할 수 있다.To express this specifically, the height (h 1 ) from the top of the abutment portion 120 to the bottom of the internal slope can be shorter than the height (h 2 ) from the bottom of the internal slope to the bottom of the external slope. .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라 할 때, 바람직하게는 두 각도(θ1, θ2)를 같게 형성할 수 있지만,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는 대략 3도 이내의 편차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3 ≤ (θ12) ≤ 3 )When considering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angle (θ 2 )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the two angles (θ 1 and θ 2 ) may preferably be formed to be equal, but the abutment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angle (θ 2 )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ent portion can be formed with a deviation of approximately 3 degrees or less. ( -3 ≤ (θ 12 ) ≤ 3 )

또한,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는 모두 약 4도~15도의 범위에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의 각도(θ1, θ2)는 방향이 반대이지만 양수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각도가 4도보다 작으면 보철물(20)과 어버트먼트부(120)가 거의 축방향으로만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난이도가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으며, 그 각도가 15도보다 크면 보철물(20)과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면접촉에 의한 결합력이 약화되어 아주 작은 외력에도 보철물(20)이 어버트먼트부(12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angle (θ 2 )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can both be formed in the range of about 4 degrees to 15 degrees. Here, the angles (θ 1 , θ 2 ) of the inclined planes have opposite directions but can be understood as positive numbers, and if the angle is less than 4 degrees, the prosthesis 2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are aligned almost only in the axial direction. Because it must be combined, the difficulty of the system may increase excessively, and if the angle is greater than 15 degrees, the bonding force due to surface contact between the prosthesis 2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is weakened, so that the prosthesis (20) is damaged even by a very small external force. )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butment portion 120.

외부 경사면(122)과 제1 밀착 경사면(142) 간의 면접촉은 물론 내부 경사면(132)과 제2 밀착 경사면(152) 간의 면접촉은 뜻하지 않은 이벤트에 의해서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22 and the first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as well as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may cause the prosthesis to be separated from the abutment portion 120 due to an unexpected event. Separation can be prevented.

도 5에서와 같이, 임플란트 시스템에 일어날 수 있는 이벤트는 반복된 씹기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a), 치아 간의 밀림이나 비틀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b).As shown in Figure 5, events that may occur in the implant system may occur due to repeated chewing (a), or may also occur due to pushing or twisting between teeth (b).

도 5의 (a)를 보면, 보철물(20)의 상부에서 편심된 힘(F)이 작용하게 되면, 인접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단부(O)를 중심으로 토크가 발생할 수 있다. 편심된 힘(F)에 의한 이벤트 토크(R1)가 F*D1 이라고 가정할 때, 반대 지점(A)에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저항 토크는 f11*d1 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그보다 근접한 지점(B)에서도 저항 토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저항 토크는 f12*d2 로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 when an eccentric force F is applied at the top of the prosthesis 20, a torque is generated centered on the end O between the adjacent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may occur. Assuming that the event torque (R1) due to the eccentric force (F) is F*D 1 , the resistance torque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at the opposite point (A) is f 11 *d It can be expressed as 1 . In addition, resistance torque may also occur at a point (B) closer to it, and this resistance torque can be expressed as f 12 *d 2

만약 내부 경사면(132)과 제2 밀착 경사면(152) 간의 저항 토크가 없다고 가정하면, 저항 토크(f11*d1)가 발생한 이벤트 토크(F*D1)를 극복할 수 있는 한도에서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겠지만, 이벤트 토크(F*D1)가 저항 토크(f11*d1)의 최대치보다 크면 벗겨짐이 발생할 수 있다. If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resistance torque between the inner slope 132 and the second close slope surface 152, peeling occurs to the extent that the resistance torque (f 11 *d 1 ) can overcome the generated event torque (F * D 1 ). Although it will not occur, peeling may occur if the event torque (F*D 1 )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resistance torque (f 11 *d 1 ).

이 외에도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반복 하중에 의해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에 순간적인 들뜸이 발생한다면, 보철물(20)은 크라운 매개체(140)와 함께 허무하게 벗겨질 수 있다.In addition, if momentary lifting occurs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due to a sudden impact or repetitive load, the prosthesis 20 may be peeled off along with the crown medium 140.

하지만, 지점(B)의 저항력(f12)이 다른 거리 및 다른 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반복 하중에 의해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에 순간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resistance force (f 12 ) of point B occurs at a different distance and in a different direction, instantaneous separation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due to a sudden impact or repeated load is prevented. can do.

또한,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진다고 해도, 이벤트 토크(F*D1)에 대한 저항 토크가 A 지점에서의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11*d1)와 B 지점에서의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12*d2)의 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철물(20)의 쉽게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continuous load is applied, the resistance torque to the event torque (F*D 1 ) is the resistance torque due to surfac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t point A (f 11 *d 1 ) and the torque due to surfac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t point B. Since it is formed by the sum of resistance torques (f 12 *d 2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sthesis 20 from easily peeling off.

도 5의 (b)를 보면, 같은 힘(F)이 보철물(20)의 상부가 아닌 측면에서 작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편심된 힘(F)에 의한 이벤트 토크(R2)를 F*D2 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더 큰 이벤트 토크(F*D2)가 가해질 수 있다. Looking at (b) of FIG. 5, it can be assumed that the same force F acts on the side of the prosthesis 20 rather than the top. In this case as well, the event torque (R2) caused by the eccentric force (F) can be expressed as F*D 2 , and a relatively larger event torque (F*D 2 ) can be applied.

이 경우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멀리 있는 단부(O)를 중심으로 토크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도 내부 경사면(132)과 제2 밀착 경사면(152) 간의 저항 토크가 없다고 가정하면, 저항 토크(f21*d1)가 발생한 이벤트 토크(F*D2)를 극복할 수 있는 한도에서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겠지만, 상대적으로 큰 이벤트 토크(F*D2)가 가해지기 때문에 저항 토크(f21*d1)로는 이벤트 토크(F*D2)를 극복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torque may be generated centered on the far end (O)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Here again, assuming that there is no resistance torque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peeling occurs to the extent that the resistance torque (f 21 *d 1 ) can overcome the generated event torque (F * D 2 ). Although it will not occur, it may not be easy to overcome the event torque (F*D 2 ) with the resistance torque (f 21 *d 1 ) because a relatively large event torque (F*D 2 ) is applied.

하지만, 내부 경사면(132)과 제2 밀착 경사면(152) 간의 저항력(f12)이 다른 거리 및 다른 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방향의 충격이나 반복 하중에 의해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에 순간적인 들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because the resistance force (f 12 )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second close inclined surface 152 occurs at different distances an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t may be separated by an impact or repetitive load in a specific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omentary lifting between the parts 120.

또한,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진다고 해도, 이벤트 토크(F*D2)에 대한 저항 토크가 A 지점에서의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21*d1)와 B 지점에서의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22*d2)의 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철물(20)의 속수무책으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continuous load is applied, the resistance torque for the event torque (F * D 2 ) is the resistance torque due to surfac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t point A (f 21 * d 1 ) and the torque due to surfac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t point B. Since it is formed by the sum of resistance torques (f 22 *d 2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sthesis 20 from peeling off helplessly.

어버트먼트부(120)와 크라운 매개체(14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은, 어버트먼트부(120)의 내부 공간(130)에 거리 고정부(160)를 더 형성함으로써 더 강화시킬 수가 있다. The stable coupling between the abutment part 120 and the crown medium 140 can be further strengthened by further forming a distance fixing part 160 in the internal space 130 of the abutment part 1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크라운 매개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크라운 매개체를 이용한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rown medium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joining process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using the crown medium of FIG. 6.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7.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매개체(140')는 링형 돌출부(150)의 중앙에 거리 고정부(160)를 포함하며, 거리 고정부(160)는 수용 공간(145)의 천장 중앙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6 to 8, the crown medium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tance fixing part 160 at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150, and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45. )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ceiling.

거리 고정부(160)의 주변으로 링형 돌출부(150)를 형성하고, 링형 돌출부(150)의 외면을 어버트먼트부(120)의 내부 경사면(132)에 대응하는 제2 밀착 경사면(152)으로 형성할 수 있다. A ring-shaped protrusion 150 is formed around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150 is formed as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of the abutment portion 120. can be formed.

외부 경사면(122)과 제1 밀착 경사면(142) 간의 면접촉 및 내부 경사면(132)과 제2 밀착 경사면(152) 간의 면접촉에 추가로, 거리 고정부(160)가 어버트먼트부(120)와 크라운 매개체(140') 간의 거리를 제한하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스템은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outer inclined surface 122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and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ner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the distance fixing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abutment portion 120. )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is limited, the implant system can form a more stable bond.

거리 고정부(160)는 크라운 매개체(1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단부는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갖고 뭉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130)의 바닥에는 거리 고정부(16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의 입구에는 거리 고정부(160)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탄성편(134)이 제공될 수 있다.The distance fixing part 16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r combined with the crown medium 140', and its end may have a relatively large dimension and be formed bluntly. A space in which the end of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130, and an elastic piece 134 capable of fixing the end of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at the entrance of the space. This can be provided.

도 7에는 거리 고정부(160)의 단부가 탄성편(134)에 결합되기 전후의 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거리 고정부(160)의 단부가 탄성편(134)을 통과하여 일시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어버트먼트부(120)의 외부 경사면(122)과 크라운 매개체(140)의 제1 밀착 경사면(142)은 물론 내부 경사면(132)과 제2 밀착 경사면(152)은 중력 이외의 고정력에 의해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igure 7 shows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end of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is coupled to the elastic piece 134, and the end of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passes through the elastic piece 134 and is temporarily fixed. The outer inclined surface 122 of the butt portion 120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of the crown medium 140, as well as the inner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fixing force other than gravity. The status quo can be maintained.

본 실시예에서도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는 모두 약 4도~15도의 범위에서 형성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는 대략 3도 이내의 편차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3 ≤ (θ12) ≤ 3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angle (θ 2 )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art can both be formed in a range of about 4 degrees to 15 degrees, and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art The angle of the external slope (θ 1 ) and the angle of the internal slope (θ 2 ) can be formed with a deviation of approximately 3 degrees or less. ( -3 ≤ (θ 12 ) ≤ 3)

본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130)은 거리 고정부(160)가 진입하여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고정부(160)가 수용 공간의 천장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에, 보철물(20)에 스크류 홀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space 130 may be used as a space for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to enter and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art 120. In fact,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space,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screw hole in the prosthesis 20.

도 8을 보면, 내부 공간(130)에서 거리 고정부(160)와 탄성편(134) 간의 결합이 추가되면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결합력이 더 강화될 수 있다. 8, as the coupling between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and the elastic piece 134 is added in the internal space 130,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can be further strengthened. .

도 8의 (a)를 보면, 보철물(20)의 상부에서 편심된 힘(F)이 작용하고, 인접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단부(O)를 중심으로 토크가 발생할 수 있다. Looking at (a) of FIG. 8, an eccentric force (F) acts at the top of the prosthesis 20, and a torque is generated centered on the end (O) between the adjacent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ortion (120). may occur.

편심된 힘(F)에 의한 이벤트 토크가 (F*D1)이라고 가정할 때, 이벤트 토크(F*D1)에 대한 저항 토크는 A 지점에서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11*d1), B 지점에서 내부 경사면과 제2 밀착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12*d2), 그리고 C 지점에서 거리 고정부(160)에 의한 저항 토크(f13*d3)의 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철물(20)의 벗겨짐을 더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event torque due to the eccentric force (F) is (F*D 1 ), the resistance torque to the event torque (F*D 1 ) is the resistance due to surface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inclined surface at point A. Torque (f 11 *d 1 ), resistance torque (f 12 *d 2 ) due to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lose inclined surface at point B, and resistance torque (f 13 Since it is formed by the sum of *d 3 ), peeling of the prosthesis 20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특히, 거리 고정부(160)가 어버트먼트부(120)의 축방향 저항력(f13)이 다른 저항력에 비해서 크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거리 고정부(160)의 고정력은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n particular, because the axial resistance force (f 13 ) of the abutment portion 120 of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may act greater than other resistance forces, the fixing force of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can have a significantly large influence. there is.

도 8의 (b)와 같이, 더 큰 이벤트 토크(F*D2)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이벤트 토크(F*D2)에 대한 저항 토크는 A 지점에서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21*d1), B 지점에서 내부 경사면과 제2 밀착 경사면 면접촉에 의한 저항 토크(f22*d2), 그리고 C 지점에서 거리 고정부(160)에 의한 저항 토크(f23*d3)의 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철물(20)의 벗겨짐을 더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8, even if a larger event torque (F*D 2 ) occurs, the resistance torque to the event torque (F*D 2 )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inclined surface at point A. Resistance torque (f 21 *d 1 ), resistance torque (f 22 *d 2 ) due to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lose inclined surface at point B, and resistance torque due to the distance fixing unit 160 at point C ( Since it is formed by the sum of f 23 *d 3 ), peeling of the prosthesis 20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또한, A 지점에서의 저항력(f11)의 방향과 B 지점에서의 저항력(f12)의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저항력 방향에 따른 차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에 대한 대응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resistance force (f 11 ) at point A and the direction of the resistance force (f 12 ) at point B are different, it may be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variable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the resistance forc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9, an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9. This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and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of FIG. 9.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식립부(215)와 어버트먼트부(220)가 일체로 제공되는 임플란트 몸체(210) 및 크라운 매개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9 to 12,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lant body 210 in which an installation portion 215 and an abutment portion 220 are provided integrally, and It may include a crown medium (240).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부(220)는 식립부(21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로는 크라운 매개체(240)가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butment portion 2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15, and the crown medium 2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어버트먼트부(220)는 원뿔때 형상의 외부 경사면(222) 및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230)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공간(230)은 거리 고정부(260)가 진입하여 크라운 매개체(240)와 어버트먼트부(220) 간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abutment portion 220 may provide a cone-shaped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and an internal space 230 with an open top. The internal space 230 may be used as a space for the distance fixing unit 260 to enter and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crown medium 240 and the abutment unit 220.

크라운 매개체(240)는 캡과 같이 하부로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외면으로는 보철물(20)과 접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보면, 크라운 매개체(240)는 어버트먼트부(22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며, 수용 공간에는 어버트먼트부(220)의 외부 경사면(222)과 전면적으로 면접촉을 형성하는 제1 밀착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수용 공간의 천장 중앙에는 링형 돌출부(250)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된 거리 고정부(260)가 아래를 향해 고정될 수 있다. The crown medium 240 may form a receiving space open at the bottom like a cap, and may be bonded to the prosthesis 20 on its outer surface. 10 and 12, the crown medium 240 provide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portion 220,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 222 of the abutment portion 22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A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42 forming surface contact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and a distance fixing part 260 fixed to the ring-shaped protrusion 250 by interference fit can be fixed downward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space. .

거리 고정부(26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로는 2~6개, 바람직하게는 4개로 분기된 탄성 레그(262)를 포함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레그(262)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기(26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레그(262)의 돌기(264)에 대응하여 내부 공간(230)의 내벽에는 원주 형상의 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리 고정부(260)는 높은 탄성력을 갖는 니켈티타늄(Nickel Titanium, Ni-Ti)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fixing part 260 is formed as a whole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2 to 6, preferably 4, branched elastic legs 262 at the bottom, so that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A protrusion 264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at the end of the elastic leg 262, and a cylindrical groove 234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23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64 of the elastic leg 262. It can be.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fixing part 260 may be formed using Nickel Titanium (Ni-Ti), which has high elasticity.

도 12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매개체(240)는 천장 중앙에 링형 돌출부(250)를 형성하고, 링형 돌출부(250)는 내부로 거리 고정부(260)를 고정하는 한편, 외면으로는 제2 밀착 경사면(252)을 형성할 수 있다. 12, the crown medium 2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orms a ring-shaped protrusion 250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and the ring-shaped protrusion 250 fixes the distance fixing part 260 on the inside, while on the outside,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52 may be formed.

링형 돌출부(250)의 제2 밀착 경사면(252)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부(220)에는 내부 공간(230)의 내벽 상부로 내부 경사면(232)이 제2 밀착 경사면(252)과 동일한 경사각,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52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250, the abutment portion 220 has an internal inclined surface 232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230 at an inclination angle equal to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52, It can be formed as an inclined plane.

내부 공간(230)의 내벽으로 헥사 모양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 몸체(210)를 고정할 때, 추가로 헥사 모양의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A hexa-shaped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230, and when fixing the abutment body 210, an additional hexa-shaped tool may be used.

또한, 헥사 모양의 홈에 대응하여 제2 밀착 경사면(252) 하부에 헥사 또는 다각형 돌기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헥사 또는 다각형 돌기는 헥사 모양의 홈에 결속되어 크라운 매개체(240) 및 보철부의 정확한 안착 또는 회전 제한의 기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hexa or polygonal protrusions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52 to correspond to the hexa-shaped groove. The hex or polygonal protrusion may be bound to the hexa-shaped groove and function to accurately seat or limit rotation of the crown medium 240 and the prosthetic part.

또한, 내부 공간(230)에서 원주 홈(234)의 아래로 암나사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236)는 힐링 캡이나 임프레션 코핑 등을 이용할 때, 거리 고정부가 아닌 나사 형태의 결합을 이용하여 해당 부속을 임시로 고정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emale thread 236 may be formed below the circumferential groove 234 in the internal space 230. When using a healing cap or impression coping, etc., the female thread portion 236 can be used to temporarily fix the relevant part using a screw-type combination rather than a distance fixing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부(220)의 외부 경사면(222)과 내부 경사면(232)은 각각 제1 밀착 경사면(242)과 제2 밀착 경사면(252)에 면접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거리 고정부(260)의 탄성 레그(262)들은 내부 공간(230)의 내벽을 타고 진입하여 원주 홈(234)에서 복원되면서 그 홈(234)에 결속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 232 of the abutment portion 220 may form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4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52, respectively, The elastic legs 262 of the distance fixing unit 260 may ent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230, be restored in the circumferential groove 234, and be bound to the groove 234.

내부 공간(230)의 내부 경사면(232)은 역뿔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부(220)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232 of the internal space 230 may be provided in an inverted cone shap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ed angle θ 2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220 .

외부 경사면(222)과 내부 경사면(232)을 형성함으로써, 평행하지 않은 2개 이상의 어버트먼트부에 브릿지 구조로 연결된 보철물의 삽입 및 철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의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By forming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232,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remove a prosthesis connected to two or more non-parallel abutment parts in a bridge structure. For this, please refer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FIGS. 13 to 15.

거리 고정부(260)의 단부가 탄성 레그(262)로 형성되어, 보철물(20)과 크라운 매개체(240)의 조립체는 어버트먼트부(220)에 축에서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탄성 레그(262)는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 변형되면서 내부 공간(230)의 내벽을 타고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end of the distance fixing part 260 is formed with an elastic leg 262, so that the assembly of the prosthesis 20 and the crown medium 240 can enter the abutment part 220 in a direction slightly inclined from the axis. , the elastic leg 262 can enable stable coupl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230 while being deformed within an allowable range.

거리 고정부(260)에 의해서 어버트먼트부(220)의 외부 경사면(222)과 내부 경사면(232)은 크라운 매개체(240)의 제1 밀착 경사면(242) 및 제2 밀착 경사면(252)에 안정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들 경사면들은 전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종래와 다르게 C-링이나 실링, 패킹과 같이 두 경사면의 밀착을 방해하는 요소 없이 모든 면에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outer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 232 of the abutment part 2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4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52 of the crown medium 240 by the distance fixing unit 260. A stable, close state can be maintained. These inclined surfaces ar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on all sides, and unlike the prior art, they can be maintained in contact on all sides without elements such as C-rings, seals, or packing that interfere with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two inclined surfaces.

또한, 외부 경사면(222)의 하부에는 외부 경사면(222)의 각도(θ1)보다 작은 경사각으로 형성된 실링 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밀착 경사면(242)에서도 실링 경사면에 대응하는 수직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ling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θ1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and a vertical or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inclined surface may also be formed in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42. This can be formed.

외부 경사면(222)은 어버트먼트부(220)의 중심축에 대해 약 4~15도 정도 기울어진 경사를 형성하지만, 실링 경사면은 외부 경사면(222)보다 작은 각도 또는 약 4도 이하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forms an inclination of about 4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220, but the sealing inclined surface has an angle smaller tha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or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4 degrees or less. can be formed.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다른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use case of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2개 이상의 임플란트 몸체를 식립한 상태에서 각각에 대응하는 크라운 매개체(240)를 브릿지로 연결하는 보철물(30)를 제작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식립부(215)가 형성된 2개의 임플란트 몸체가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으며, 원래는 서로 평행하게 수직하게 식립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떤 변수나 의도로 인해 식립부(21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진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to 15 , a prosthesis 30 can be manufactured in which two or more implant bodies are installed and the corresponding crown mediators 2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ridge. In the drawing, two implant bodies formed with two insertion portions 215 are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Originally,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parallel to an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ut due to some variable or intention, the insertion portions 215 are placed in opposite directions. It can be assumed that this happened.

도 13에서 외부 경사면(222)을 통해서 브릿지의 보철물(30) 및 크라운 매개체(240)가 접근할 수 있는 상태이며, 거리 고정부(260)의 탄성 레그(262)의 단부가 어버트먼트부(220)의 내부 경사면(232)의 끝에서부터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In Figure 13, the prosthesis 30 and the crown medium 240 of the bridge are accessible throug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end of the elastic leg 262 of the distance fixing part 260 is an abutment part ( You can enter the interior from the end of the inner slope 232 of 220).

도 14에서 보철물(30)을 어버트먼트부(220)에 접근시키면서, 내측에 위치한 탄성 레그(262)가 부분적으로 활처럼 변형되면서 내부 공간의 내부 경사면(232) 및 내벽을 따라 진입할 수 있다. In Figure 14, as the prosthesis 30 approaches the abutment portion 220, the elastic leg 262 located on the inside is partially deformed like a bow and can enter along the inner inclined surface 232 and the inner wall of the inner space. .

그리고, 도 15에서와 같이, 크라운 매개체(240)가 어버트먼트부(220)에 완전 밀착하면서, 탄성 레그(262)의 돌기는 원주 홈(234)에 안착되고, 제1 밀착 경사면(242)은 외부 경사면(222)에 밀착되고, 제2 밀착 경사면(252)은 내부 경사면(232)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경사면과 제1 밀착 경사면의 경사 및 내부 경사면과 제2 밀착 경사면(252)의 경사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면접촉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부의 축방향에서 약간 벗어난 각도로 진입하여도 보철물과 어버트먼트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5, while the crown medium 240 is in full contact with the abutment portion 220, the protrusion of the elastic leg 262 is seated in the circumferential groove 234,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4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22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232. In this way, the inclination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ontact inclined surface and the inclination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252 not only form surface contact over a relatively large area, but also cause the prosthesis to deviate slightly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abutment portion. Even when entering at an angle,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prosthesis and the abutment part.

본 발명에서는 거리 고정부와 그에 대응하는 탄성편 또는 탄성 홈의 구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거리 고정부의 탄성 구조를 도 7의 탄성편에 적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distance fixing part and the corresponding elastic piece or elastic groove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elastic structure of the distance fixing part of FIG. 11 may be applied to the elastic piece of FIG. 7.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편(134')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로 복수의 탄성 레그가 형성되고, 탄성 레그의 안쪽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elastic piece 13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elastic legs may be formed on the top, and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elastic legs.

탄성편(134')은 어버트먼트부(120)의 내부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편(134')이 고정된 위치의 하부로 암나사부(13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136')는 힐링 캡이나 임프레션 코핑 등을 임시로 고정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The elastic piece 134' may be fix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inside the abutment portion 120, and a female thread portion 136' may be further formed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elastic piece 134' is fixed. there is. The female thread portion 136' can be used to temporarily fix a healing cap or impression coping.

거리 고정부(160)는 탄성편(134')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크라운 매개체(140')와 어버트먼트부(120) 간의 거리 고정 및 밀착을 형성할 수 있다. 거리 고정부(160)와 탄성편(134')의 결합에 의해서 크라운 매개체(140')의 제1 밀착 경사면(142)과 제2 밀착 경사면(152)은 어버트먼트부(120)의 외부 경사면(122) 및 내부 경사면(132)과 안정적인 면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The distance fixing part 160 can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piece 134' to fix the distance and form close contact between the crown medium 140' and the abutment part 120. By combining the distance fixing part 160 and the elastic piece 134',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42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2 of the crown medium 140' are formed on the outer inclined surface of the abutment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form stable surface contact with (122) and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132).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거리 고정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어버트먼트부의 내부 공간에 원주 홈을 형성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거리 고정부에 홈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의 내벽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distance fixing part and a circumferential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butment part, but in some cases, a groove is formed on the distance fixing part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 임플란트 시스템 110 : 임플란트 몸체
115 : 식립부 120 : 어버트먼트부
122 : 외부 경사면 130 : 내부 공간
132 : 내부 경사면 140 : 크라운 매개체
142 : 제1 밀착 경사면 150 : 링형 돌출부
152 : 제2 밀착 경사면 160 : 거리 고정부
100: implant system 110: implant body
115: Placement part 120: Abutment part
122: external slope 130: internal space
132: Internal slope 140: Crown medium
142: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150: ring-shaped protrusion
152: second close contact slope 160: distance fixing unit

Claims (12)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있어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부 및 상기 식립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뿔대 형상의 외부 경사면과 역뿔대 형상의 내부 경사면을 제공하는 어버트먼트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몸체; 및
상기 어버트먼트부와 보철물 사이에 개재되어 그 자체로 상기 보철물을 상기 어버트먼트부에 고정하는 크라운 매개체;를 포함하며,
상기 크라운 매개체는 상기 외부 경사면과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제1 밀착 경사면 및 상기 내부 경사면에 밀착하여 면접촉하는 제2 밀착 경사면을 제공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부와 결합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경사면과 상기 제1 밀착 경사면 간의 면접촉 및 상기 내부 경사면과 상기 제2 밀착 경사면 간의 면접촉은 상기 어버트먼트에 대한 상기 크라운 매개체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 토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In the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An implant body including an installation portion installed in the alveolar bone and an abutment portion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providing an external inclined surface in the shape of a cone and an internal inclined surface in the shape of an inverted cone; and
It includes a crown medium that is interposed between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prosthesis and itself fixes the prosthesis to the abutment portion,
The crown medium includes a receiving space coupled to the abutment portion by providing a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outer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and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ner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form a resistance torque that prevents rotation of the crown medium with respect to the abutment. Dental impla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면과 상기 제1 밀착 경사면은 C-링 또는 패킹과 같은 개재물 없이 전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contact inclined surface are maintained in full contact without inclusions such as C-rings or pac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매개체와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시멘트나 접착제 없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wherein the crown medium and the abutment portion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out cement or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에 스크류 홀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보철물을 상기 어버트먼트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sthesis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portion without forming a screw hole in the prosthes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부와 상기 어버트먼트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part and the abutment part are formed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면은 원뿔대(truncated cone) 또는 각뿔대(truncated pyramid)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wherei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or truncated pyram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부의 중심축에 대한 상기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 및 상기 내부 경사면의 각도(θ2)는 4도~1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and the angle (θ 2 ) of the internal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portion are 4 degrees to 15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매개체에서 상기 수용 공간의 천장에는 링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 돌출부의 외측으로 상기 제2 밀착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돌출부의 중앙에는 상기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버트먼트부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부에 단부가 고정되는 거리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crown medium, a ring-shap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space, the second close contac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and the abutment extends downward from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space at the center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abutment part and is formed with a distance fixing part whose end is fixed to the abutment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고정부는 단부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거리 고정부의 돌기 또는 홈에 맞물리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The distance fixing par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pillar with a protrusion or groove formed at an end, and the inner space is formed with a groove or protrusion that engages the protrusion or groove of the distance fixing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고정부는 단부에 탄성 레그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탄성 레그의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탄성 레그의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The distance fixing par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lastic leg formed at an end,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end of the elastic leg,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ternal space to engage with the protrusion of the elastic leg. impla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레그와 맞물리는 상기 홈의 아래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0,
A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female threa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below the groove engaging the elastic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경사면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 경사면의 각도(θ1)보다 작은 경사각으로 형성된 실링 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θ 1 )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is furth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KR1020220060734A 2021-11-24 2022-05-18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638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34A KR102638899B1 (en) 2022-05-18 2022-05-18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PCT/IB2022/060985 WO2023094934A1 (en) 2021-11-24 2022-11-15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34A KR102638899B1 (en) 2022-05-18 2022-05-18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113A true KR20230161113A (en) 2023-11-27
KR102638899B1 KR102638899B1 (en) 2024-02-21

Family

ID=8896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34A KR102638899B1 (en) 2021-11-24 2022-05-18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89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KR100537219B1 (en)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butment for the implant
JP2010500138A (en) * 2006-08-15 2010-01-07 アキュラ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ー. Dental implant with primary crown and secondary crown
KR20200082806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KR20200129837A (en)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ntal implan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KR100537219B1 (en)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butment for the implant
JP2010500138A (en) * 2006-08-15 2010-01-07 アキュラ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ー. Dental implant with primary crown and secondary crown
KR20200082806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KR20200129837A (en)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ntal impla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899B1 (en)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758B1 (en) Implant unit using hook pin combination structure
US20190133723A1 (en) System and method of dental implant and interface to abutment for restoration
AU2007200634B2 (en) Implant
KR101134342B1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et having the same
US6358052B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a dent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KR100537218B1 (en) Abutment for a implant us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JP5694110B2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2562065B1 (en) dental connection system
US20050065525A1 (en) Implant, and tightening member and spacer member for such an implant
AU2002249391A1 (en) Implant
KR20190136480A (en) Dental implant
KR20080049378A (en) Implant unit using dentistry
KR101660183B1 (en) Implant unit
KR102418760B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421810B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US10426580B2 (en) Implant unit
JP5995437B2 (en) Improved screw head
KR102638899B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638571B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556032B1 (en) Dental implant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upper structure of dental implants from sinking and preventing the ablation screw from loosening
KR20230165405A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20230165404A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WO2023094933A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021101B1 (en) Implant module with the function of anti-uncoupling
WO2023094934A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