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837A - Dental implant system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837A
KR20200129837A KR1020190054827A KR20190054827A KR20200129837A KR 20200129837 A KR20200129837 A KR 20200129837A KR 1020190054827 A KR1020190054827 A KR 1020190054827A KR 20190054827 A KR20190054827 A KR 20190054827A KR 20200129837 A KR20200129837 A KR 2020012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mplant system
dental implant
circumferential surfac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5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837A/en
Priority to PCT/KR2019/005784 priority patent/WO2020230918A1/en
Publication of KR2020012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1Abutment monobloc with rest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ed dental implant system includes a fixing body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at the upper end; and a cap fasten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has an insertion surface formed inclin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ap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surface.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SYSTEM}Dental implant system {DENTAL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ystem.

자연치의 결손 부위를 수복하기 위한 시술 방법 중 하나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A dental implant system is known as one of the surgical methods for repairing a defective part of a natural tooth.

도 7은 종래 알려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ly known dental implant system.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은 고정체(fixture, 11), 지대주(abutment, 12), 연결나사(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general, the dental implant system 10 may include a fixture 11, an abutment 12, a connection screw 13, and the like.

고정체(11)는 결손 부위의 치조골에 식립될 수 있다. 고정체(11)의 외주면에는 식립 및 고정을 위한 외부나사산(1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는 지대주(12)의 체결을 위한 내부나사산(11c)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xture 11 may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in the defective area.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11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screw thread 11a for insertion and fixing, and an internal thread 11c for fastening the abutment 1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지대주(12)는 고정체(11)에 체결되어 하단 일부가 고정체(11) 내부의 공간(11b)에 배치될 수 있다. 지대주(12)의 상단 일부는 고정체(11)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지대주(12)의 중앙에는 고정체(11)와의 체결을 위한 구멍(12a)이 마련될 수 있다.The abutment 12 is fastened to the fixture 11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1b inside the fixture 11.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1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ture 11. A hole 12a for fastening with the fixture 11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abutment 12.

연결나사(13)는 지대주(12)와 고정체(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이 이뤄지면, 연결나사(13)의 머리를 포함한 상부는 지대주(12)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부는 고정체(11)의 공간(11b)에 있는 내부나사산(11c)과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crew 13 may couple the abutment 12 and the fixture 11. When the coupling is made,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head of the connection screw 13 may be disposed inside the abutment 12, and the remaining lower part will be combined with the internal screw thread 11c in the space 11b of the fixture 11 I can.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공치아는 시멘트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지대주(12) 상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artificial tooth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12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cement.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고정체, 지대주 등이 완전히 고정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저작 운동 등으로 인해 지대주에 다양한 하중이 가해질 때, 이러한 하중이 그대로 고정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는 고정체의 고정력 저하로 이어지거나, 심할 경우 고정체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nventional dental implant system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xture, abutment, etc. are completely fixedly coupled. Therefore, when various loads are applied to the abutment due to the mastication movement, such loads are transferred to the fixture as they are. This may lead to a decrease in the fixing power of the fixture, or in severe cases, may cause a problem of damaging the fix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세 동요도를 가지고 교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capable of buffering the occlusal force with a fine degree of mo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크라운을 결합시킬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the use of bonding means and bonding the crow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고정체; 및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외측 둘레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면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되, 상기 삽입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body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at the top; And a cap fastened to the connection part, wherein the connection part has an insertion surface obliquel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ap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insertion surface and A dental implant system including a support formed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식립된 고정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측 둘레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둘레면; 및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홈부로 삽입 체결되도록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둘레면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3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면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relates to a cap of a dental implant system that is fastened to an upper end of a fixture implanted in an alveolar bone, compris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to fac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And a support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an inner upper surface to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a groove part formed in the fixture,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degree with a thir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pport part, A cap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may be provided, in which a suppor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 a predetermined degree with a fourth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고정체에 캡 또는 크라운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되, 캡 또는 크라운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이 삽입면 또는 지지부의 경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cap or crown is mounted on a fixture, but external forces in various directions applied to the cap or crown may be supported by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or the support.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이탈방지부에 의해 캡 또는 크라운이 미세 동요도를 가질 수 있어 자연치와 보다 유사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or the crown may have a fine degree of motion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and thus characteristics more similar to those of natural teeth may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삽입면 및 지지부의 경사, 이탈방지부 등을 통해 캡 또는 크라운이 적절히 지지될 수 있어 접착제의 사용을 생략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or crown may be properly supported through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and the support part,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etc., so that the use of an adhesive may be omitted or minimized.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7은 종래 알려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1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2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n explod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2A.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ly known dental implant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 will omit it.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1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단일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다만, 각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선택은 시술자의 판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반드시 그 사용 대상이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intended to be used for a single missing tooth.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may be made by the judgment of the practitioner, and the object to be us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고정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1A to 1C,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xture 110.

고정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하부 영역은 치조골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체(110)의 상부 영역은 잇몸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상단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될 수 있다.The fixture 110 may be installed and fixed in the alveolar bone. The lower region of the fixture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lveolar bone, and the upper region of the fixture 1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A cap 120 or a crown 16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고정체(110)의 상단 일부 영역에는 연결부(110a)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10a)는 대체로 고정체(110)의 상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10a)는 일부가 잇몸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A connection part 110a may be provided in a partial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110.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part 110a may generally form an upper region of the fixture 110. The connection part 110a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고정체(110)의 하부 영역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xture 110. Thereby, the fixture 110 may be installed and fixed in the alveolar bone.

연결부(110a)는 상측 일부에 삽입영역(112)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영역(112)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삽입영역(112)은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되는 연결부(110a) 상단의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10a may include an insertion region 112 on a part of the upper side.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may be fastened to the insertion region 112. In other words, the insertion region 112 may be defined as a partial reg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10a to which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is fastened.

연결부(110a)는 삽입영역(112) 하측에 소정 범위 노출영역(111)을 구비할 수 있다. 노출영역(111)은 치조골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체(110)의 상단 일측과, 캡(120) 또는 크라운(160) 하단 간의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노출영역(111)은 대체로 잇몸이 접촉되는 부위로 의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10a may have a predetermined range of exposed areas 111 under the insertion area 112. The exposed area 111 may be defined as an exposed area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110 exposed above the alveolar bone and the lower end of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The exposed area 111 may generally be intended as a region where the gums come into contact.

필요에 따라, 노출영역(111)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외면이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exposed area 111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a form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toward the lower side.

삽입영역(112)은 외측 둘레면을 형성하는 삽입면(112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면(112a)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영역(112)은 하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삽입면(112a)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정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면(112a)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경사각을 제1경사각(a1)으로 지칭하도록 한다.The insertion region 112 may have an insertion surface 112a form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insertion surface 112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the insertion region 112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lower side, and thus, the insertion surface 112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egree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Hereinafter,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insertion surface 112a with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inclination angle a1.

삽입영역(112) 중앙에는 상단이 개방된 홈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3)는 삽입영역 (112) 상단으로부터 삽입영역(112)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3)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의 돌출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region 112, a groove 113 with an open top may be formed. The groove 11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top of the insertion region 112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region 112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cap 120 or the protrusion 122 of the crown 16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13.

홈부(113)는 상부영역(113a) 및 하부영역(113b)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oove part 113 may include an upper region 113a and a lower region 113b.

상부영역(113a)은 돌출부(122)에 구비된 지지부(122a)와 대응된다. 상부영역(113a)의 둘레면(113c)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영역(113a)의 둘레면(113c)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경사각(a2)을 이루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region 113a corresponds to the support part 122a provided on the protrusion part 122.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upper region 113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upper region 113a may form a second inclination angle a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상부영역(113a)에는 돌출부(122)에 구비된 지지부(122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의 둘레면(113c)은 지지부(122a)의 지지면(122c)과 접촉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캡(120)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In the upper region 113a, a support part 122a provided on the protrusion 122 may be dispose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surface 122c of the support part 122a. This will be amplified in relation to the cap 120.

하부영역(113b)은 돌출부(122)에 구비된 회전방지부(122b)와 대응된다. 하부영역(113b)은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지부(122b) 또는 캡(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방지부(122b)의 지지면(122c)을 접촉 지지될 수 있다.The lower region 113b corresponds to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provided on the protruding part 122. The lower region 113b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122c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so as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or the cap 120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C. Can be supported.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ap 120.

캡(120)은 고정체(110) 또는 연결부(110a)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연결부(110a)에 마련된 삽입면(112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삽입면(112a)에 밀착되거나,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도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과 삽입면(112a) 사이는 밀폐된 공간으로 의도되며, 후술할 실링부(140) 등을 통해 이물질의 유입이 제한될 수 있다.The cap 12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or the connection portion 110a.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sertion surface 112a provided on the connection portion 110a.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surface 112a or may be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However, even in the latter case,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and the insertion surface 112a of the cap 120 is intended as a sealed space, and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may be restricted through the sealing par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삽입면(112a)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10a)의 삽입면(112a)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a1)을 이루는 것에 대응하여,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3경사각(a3)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각(a3)은 제1경사각(a1)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각도로 이뤄질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112a. That is, in response to the insertion surface 112a of the connection portion 110a forming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has a third inclination angle a3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to achieve.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may be formed at an angle equal to 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캡(120)의 내측 상면에는 돌출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A protrusion 12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 120.

돌출부(122)는 캡(120)의 내측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전술한 홈부(113)로 체결이 의도된다. 즉, 돌출부(122)는 홈부(113)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홈부(113)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2 may exten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 120 toward the lower side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protrusion 122 is intended to be fastened to the groove 113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rotrusion 122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groove 113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groove 113.

돌출부(122)는 지지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22 may include a support part 122a.

지지부(122a)은 홈부(133)로 삽입 체결되어, 캡(120)에 가해지는 외력(예컨대, 측방향 외력)에 대해 캡(12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2a)는 외측 둘레면에 지지면(122c)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면(122c)은 전술한 홈부(113)의 삽입면(112a)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22a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part 133 to support the cap 120 against an external force (eg, lateral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ap 120. The support part 122a may have a support surface 122c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surface 112a of the groove part 113 described above.

지지면(122c)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2a)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면(122c)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a4)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art 122a may be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lower side, and thus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form a fourth inclination angle a4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지지면(122c)의 제4경사각(a4)은 전술한 홈부(113) 상부영역(113a)의 제2경사각(a2)에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각도로 이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면(122c)은 상부영역(113a)의 둘레면(113c)과 소정 각도 경사진 접촉면을 이루며 지지될 수 있다.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of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the same as or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of the upper region 113a of the groove part 113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supported by forming a contact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upper region 113a.

여기서, 제4경사각(a4)은 제3경사각(a3)과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경사각(a2) 또는 제4경사각(a4)은 제1경사각(a1) 또는 제3경사각(a3)과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경사각(a2) 또는 제4경사각(a4)은 제1경사각(a1) 또는 제3경사각(a3)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각의 차이는 보다 다양한 방향의 하중이나 외력에 대해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may be form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Alternatively,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or 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may be form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or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More preferably,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or 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or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difference in the inclination angle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support force to be provided for loads or external forces in more various directions.

필요에 따라, 돌출부(122)는 회전방지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protrusion 122 may include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122b).

회전방지부(122b)는 지지부(122a)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회전방지부(122b)와 지지부(122a)의 상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122b may be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2a. However, if necessary,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and the support part 122a may be changed.

회전방지부(122b)는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한 캡(120)의 회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회전방지부(122b)는 홈부(113)의 하부영역(113b)에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방지부(122b)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홈부(113)의 하부영역(113b)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회전방지부(122b)는 사각, 육각, 팔각 기둥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고정체(11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may have at least one support surface for rotation of the cap 120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C. Alternatively,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may have at least one support surface that is contact-supported with the lower region 113b of the groove part 113. For example,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and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region 113b of the groove part 113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122b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hexagonal, octagonal column. Thereby,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may be restricted from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0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C.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부(122a) 및 회전방지부(122b)는 캡(120)에 일체화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부(122a) 또는 회전방지부(122b)는 별개의 독립된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22a) 및 회전방지부(122b)를 포함하는 돌출부(122)를 하나의 조립부재 형태로 구현하여 캡(120)에 조립시키는 방식, 지지부(122a)는 캡(120)에 일체로 형성하고 회전방지부(122b)만을 조립부재 형태로 구현하여 지지부(122a)에 조립시키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As shown, the support part 122a and the rotation prevention part 122b are integrated with the cap 120, but if necessary, the support part 122a or the rotation prevention part 122b may be formed in a separate and independent structure. .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the protrusion 122 including the support part 122a and the rotation prevention part 122b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e assembly member and is assembled to the cap 120, and the support part 122a is integrated with the cap 120 A method of forming and implementing only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122b in the form of an assembly member and assembling it to the support portion 122a may be considered.

한편, 캡(120)의 외측 둘레면에는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1)은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캡(12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대략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캡(120)의 외측 둘레면에 상하로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결합홈(121)의 형태, 배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홈(121)은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와 같이 캡(120) 및 크라운(160)이 일체화되는 경우 등에는, 적절히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a coupling groove 1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120. The coupling groove 121 is for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approximately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120, and a plurality of the cap 120 It may be densely arranged vertic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owever, the shape, arrangement, etc. of the coupling groove 121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and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121 is for coupling betwe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and may be appropriately omitted wh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are integrated as shown below.

필요에 따라, 캡(120)은 크라운(160)에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캡(120)의 구성(돌출부(122) 등)은 대응되는 위치의 크라운(160)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에서,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경계를 생략한 것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If necessary, the cap 120 may be integrated with the crown 160.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120 (such as the protrusion 122)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tegrated with the crown 16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his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omitting the boundary betwe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as shown.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완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uffer unit 150.

완충부(150)는 고정체(110)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150)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체(110) 상단의 외측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The buffer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Specifically, the buffer unit 15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moun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완충부(150)는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을 향해 배치되는 외측 둘레면(152)과, 캡(120)의 내측 상부면을 향해 배치되는 상측면(151)을 구비할 수 있다.The buffer unit 150 may includ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52 dispos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and an upper side surface 151 disposed towar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 120. have.

완충부(150)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의 미세 동요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15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unit 15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partially or entirely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ne fluctuation of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For example, the buffer unit 150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f silicon.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이탈방지부(130)는 캡(120)과 고정체(110) 간에 체결되어, 고정체(110)에 대한 캡(120)의 이탈을 구속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고정체(110)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탈방지부(130)는 전술한 완충부(15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may be fastened between the cap 120 and the fixture 110 to restrain the separation of the cap 120 from the fixture 110.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may be mounted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ownward. Alternativel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above-described buffer unit 150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egree.

이탈방지부(130)는 탄성을 가진 C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의 이탈을 적절히 구속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그 형상이 예시된 C링 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30 may be formed of a C-ring having elasticity. However,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may be any one capable of properly restraining the separation of the cap 120, and the sha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C-ring.

한편, 바람직하게, 이탈방지부(130)는 일부 또는 전부가 티타늄(titanium)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30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f titanium.

이탈방지부(130)가 체결되는 고정체(110)의 대응 위치에는 제1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30)가 체결되는 캡(120)의 대응 위치에는 제2고정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2고정홈(114, 123)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이탈방지부(130)의 체결을 위한 고정홈(131)을 형성할 수 있다.A first fixing groove 114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xing body 110 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is fastened. In addition, a second fixing groove 123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ap 120 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is fastene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14 and 123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fixing groove 131 for fasten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고정홈(131)의 횡방향 폭(W1)은 이탈방지부(130)의 횡방향 두께(W2)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탈방지부(130)의 횡방향 두께(W2)는 고정홈(131)의 전체 횡방향 폭(W1)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lateral width W1 of the fixing groove 131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lateral thickness W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by a predetermined degree. Alternatively, the lateral thickness W2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entire lateral width W1 of the fixing groove 131 by a predetermined amount.

상기와 같은 경우,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의 고정체(110)로의 삽입 체결을 위해, 제1고정홈(114)을 향해 탄성 변형이 의도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이 완전히 삽입 체결된 경우, 탄성에 의해 제2고정홈(123)에 밀착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탈방지부(130)는 대체로 제1고정홈(114)과 제2고정홈(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캡(120)은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고정체(110)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1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first fixing groove 114 in order to insert and fasten the cap 120 into the fixture 110. In addition, when the cap 120 is completely inserted and fastened,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30 may be inten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by elasticity.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groove 114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in general. Accordingly, in such a state, the cap 120 may be restric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ture 110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실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aling unit 140.

실링부(140)는 삽입영역(112)의 하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실링부(140)는 전술한 이탈방지부(130)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4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Alternatively, the sealing part 140 may be disposed below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실링부(140)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체(110)의 외측 둘레면과,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 사이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140)는 대체로 삽입면(112a) 하부측에 배치가 의도될 수 있으며, 노출영역(111)으로부터 캡(120)과 고정체(110) 사이의 틈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4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mounted and dis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The sealing part 140 may be generally intended to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surface 112a, and restrict the inflow of external foreign matter from the exposed area 111 into the gap between the cap 120 and the fixture 110. I can.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링부(140)는 연결부(110a)의 외측 둘레면를 따라 형성된 홈을 통해 고정체(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실링부(140)는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을 따라 형성된 홈 등을 통해 장착 지지되거나, 고정체(110) 또는 캡(120)과 분리 가능한 별개의 부품 형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the sealing part 14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fixture 110 through a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10a. However, if necessary, the sealing part 140 is mounted and supported through a groov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or a separate part that is detachable from the fixture 110 or the cap 120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r the lik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illustrated.

실링부(140)는 충분한 밀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14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4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partially or entirely so as to have sufficient sealing force. For example, the sealing part 140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f silicon.

이상과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피시술자의 치조골 등에 고정체(110)가 식립되고, 고정체(110) 상단에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씌워지는 순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order in which the fixture 1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is placed on the top of the fixture 110. .

여기서,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고정체(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대체로 캡(120) 또는 크라운(160)에 가해지는 상측(이탈) 방향 외력을 지지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Here,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fixture 110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130 may be intended to support an external force in the upper (departure) direction applied to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in general.

또한, 캡(120) 또는 크라운(160)에 가해지는 횡방향 외력, 또는 보다 다양한 방향이 복합된 외력은, 삽입영역(112) 및 지지부(122a)의 경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삽입영역(112)의 경사와 지지부(122a)의 경사가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 대해 지지면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vers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or an external force in which various directions are combined may be supported by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and the support part 122a. In particular,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and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rt 122a are in opposite directions, a support surface can be secured against external forces in various directions.

상기로 인해,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접착제의 사용을 생략하거나, 최소한의 접착제 사용만을 통해, 고정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고정체(110)와의 경계 등에서 접착제의 사용이 생략되고, 이탈방지부(130), 삽입영역(112)의 경사 및, 지지부(122a)의 경사에 의해 고정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의 생략은 시술 편의성, 시술 후 수정 및 보완의 가능성, 접착제로 인한 부작용 등에 있어 이점을 가질 수 있다.Due to the above,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may be installed on the fixture 110 by omitting the use of an adhesive or using only a minimum amount of adhesive. Preferably, in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the use of an adhesive is omitted at the boundary with the fixture 110,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the slope of the insertion area 112, and the slope of the support part 122a It may be installed on the fixture 110 by. Omission of such an adhesive may have advantages in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the possibility of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after the procedure, and side effects due to the adhesive.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2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n explod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2A.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다만, 각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선택은 시술자의 판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반드시 그 사용 대상이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ental impla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intended to be used for a plurality of defective teeth.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may be made by the judgment of the practitioner, and the object to be us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고정체(210), 캡(220), 이탈방지부(230) 및 실링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2A to 2B, the dental implant system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a fixture 210, a cap 220,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230, and a sealing part 240.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에서는, 제1실시예의 완충부(150)가 생략되고 있다.In the dental implant system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buffer unit 150 of the first embodiment is omitted.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결부(210a)에 형성된 삽입면(212a)의 제1경사각(a1)이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 있어 삽입면(212a)의 제1경사각(a1)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경사각(a1, 도 1c 참조)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dental implant system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intended to be used for a plurality of defective teeth.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of the insertion surface 212a formed on the connection part 210a This can be formed as large as a predetermined degree. 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of the insertion surface 212a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refer to FIG. 1C)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제1경사각(a1)은 복수의 결손치를 수복하는 경우, 각 고정체(210)의 식립 방향이나 각도가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캡(220) 또는 크라운의 체결이 곤란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In the case of repairing a plurality of missing teeth,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as described above may be partially different in the direction or angle of each fixture 210,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fasten the cap 220 or the crown. It was taken into account.

한편, 연결부(210a)의 상단 중앙 부위에는 홈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213)는 상단 일부 영역의 둘레면(213c)이 돌출부(222)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둘레면(213c)은 제2경사각(a2)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둘레면(113c)과 유사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 있어 제2경사각(a2)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2경사각(a2, 도 1c 참조)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groove part 213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210a. The groove part 213 may have a circumferential surface 213c of an upper portion thereof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22,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13c may have a second inclination angle a2. This is similar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refer to FIG. 1C)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또한, 제2실시예의 홈부(213)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홈부(113)와 달리 하부영역(113b, 도 1c 참조)이 생략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되는 바, 캡(22)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groove portion 213 of the second embodiment, unlike the groove portion 113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ower region 113b (see FIG. 1C) is omitte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intended to be used for a plurality of missing teeth, because a separate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ap 22 is not required.

한편, 캡(220)은 연결부(210a) 상단 영역에 체결될 수 있다. 캡(220)은 내측 상면에 돌출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22)는 지지부(222a)만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의 회전방지부(122b, 도 1c 참조)는 생략될 수 있다. 이는 홈부(213)에서 하부영역(113b)이 생략된 것과 대응된다.Meanwhile, the cap 220 may be fastened to an upper region of the connection part 210a. The cap 220 may have a protrusion 222 on the inner upper surface. Here, the protrusion 222 may have only the support 222a. That is, the rotation preventing unit 122b (see FIG. 1C)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This corresponds to the omission of the lower region 113b in the groove 213.

캡(220)은 내측 둘레면(224)이 제3경사각(a3)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삽입면(212a)의 제1경사각(a1)과 대응된다. 또한, 돌출부(222) 또는 지지부(222a)는 지지면(222c)이 제4경사각(a4)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홈부(213) 둘레면(213c)의 제2경사각(a2)에 대응된다. 제1, 3경사각(a1, a3)은 제2, 4경사각(a2, a4)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1, 3경사각(a1, a3)은 제2, 4경사각(a2, a4)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cap 2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24 has a third inclination angle a3,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of the insertion surface 212a. In addition, the protrusion 222 or the support 222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upport surface 222c has a fourth inclination angle a4, which is at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of the groove 213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13c. Corresponds. The first and third inclination angles a1 and a3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and fourth inclination angles a2 and a4, and preferably, the first and third inclination angles a1 and a3 are the second and fourth inclination angles a2 ,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a4) by a predetermined degree.

한편, 이탈방지부(230) 및 실링부(24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230 and the sealing part 240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단일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응된다.The dental impla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intended to be used for a single missing tooth. This corresponds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고정체(310), 고정체(310) 상단의 연결부(310a)에 체결되는 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310) 및 캡(320)은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dental implant system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fixture 310 and a cap 320 that is fastened to a connection part 310a at an upper end of the fixture 310. . The fixture 310 and the cap 320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이탈방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0)는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ental impla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330.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330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에 있어 제1실시예의 실링부(140), 완충부(150) 및 이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은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the sealing unit 140, the buffer unit 150, and components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4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대응된다.The dental implant system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intended to be used for a plurality of missing teeth. This corresponds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4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400)은, 고정체(410), 고정체(410) 상단의 연결부(410a)에 체결되는 캡(420), 캡(4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4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410), 캡(420) 및 이탈방지부(430)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4, a dental implant system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fixture 410, a cap 420 fastened to a connection portion 410a at an upper end of the fixture 410, and a cap 420 It may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unit 430 for restraining the separation of. The fixture 410, the cap 420,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430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제4실시예에 있어 제2실시예의 실링부(240) 및 이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은 생략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ealing unit 24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components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5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대응된다.The dental implant system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be intended to be used for a plurality of missing teeth. This corresponds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5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500)은, 고정체(510), 고정체(510) 상단의 연결부(510a)에 체결되는 캡(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ental implant system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include a fixture 510 and a cap 520 that is fastened to a connection portion 510a at an upper end of the fixture 510. . This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또한,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500)은 캡(5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능상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부(130)와 대응된다.In addition, the dental implant system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530 that restricts separation of the cap 520. This functionally corresponds to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130 of the first embodiment.

다만, 제5실시예의 이탈방지부(530)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돌기(531) 및 홈(5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531)는 연결부(510a)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홈(532)은 이에 대응되도록 캡(52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캡(520)의 내측 둘레면이 홈이 구비되고, 연결부(510a) 의 외측 둘레면에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기(531) 및 홈(532)은 상호 결합되어, 캡(520)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530 of the fifth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protrusion 531 and a groove 532. The protrusion 531 may extend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510a, and the groove 532 may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520 to correspond thereto. In some cases, a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520, and a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510a. The protrusion 531 and the groove 53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limit the separation of the cap 520.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600)은 복수의 결손치에 사용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대응된다.The dental implant system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be intended to be used for a plurality of defective teeth. This corresponds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6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600)은, 고정체(610), 고정체(610) 상단의 연결부(610a)에 체결되는 캡(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ental implant system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include a fixture 610 and a cap 620 that is fastened to a connection portion 610a at an upper end of the fixture 610. . This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또한, 제6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600)은 캡(6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implant system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630 that restricts separation of the cap 620.

여기서, 이탈방지부(630)는 볼(631) 및 탄성체(632)를 포함할 수 있다. 볼(631)은 수용홈(634)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홈(634)은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연결부(610a) 내측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630 may include a ball 631 and an elastic body 632. The ball 631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610a so that a portion of the ball 631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34. The receiving groove 634 may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610a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610a by a predetermined degree.

탄성체(632)는 수용홈(634) 내부에 배치되어,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볼(631)은 탄성체(632)에 의해 수용홈(634) 외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63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632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634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631. The ball 631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outside the receiving groove 634 by the elastic body 632. The elastic body 632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may be formed of a compression spring as shown, for example, as long as it can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631.

볼(631)은 탄성체(632)에 의해 볼체결홈(633)에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620)은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볼체결홈(633)은 캡(62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원형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ball 631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ball fastening groove 633 by an elastic body 632. Thereby, the cap 620 may be restricted from being separated. The ball fastening groove 633 may extend in a circular ring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620.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탄성체(63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체(63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볼(6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탄성체(632)를 수용하는 수용홈(634) 또한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f necessary, the elastic body 632 may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631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the elastic body 632 forms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631. In this case, the receiving groove 634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body 632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corresponding angle.

볼(631) 및 탄성체(632)는 복수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볼(631) 및 이에 대응되는 탄성체(632)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볼(631) 및 탄성체(632)는 연결부(610a)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3 내지 5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볼(631) 및 탄성체(632)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all 631 and the elastic body 63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ts. That is, a plurality of balls 631 and an elastic body 632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610a. For example, the ball 631 and the elastic body 632 may be provided with 3 to 5 set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610a. However, the number of balls 631 and the elastic body 63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ns of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제1실시예) 110: 고정체
120: 캡 130: 이탈방지부
140: 실링부 150: 완충부
160: 크라운
100: dental implant system (first embodiment) 110: fixture
120: cap 130: separation prevention part
140: sealing part 150: buffer part
160: crown

Claims (10)

상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고정체; 및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외측 둘레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면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되, 상기 삽입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 fixtur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at the top; And
Includes; a cap fasten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art,
It has an insertion surface formed inclin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ap,
Doedoe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support formed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surface, dental implan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크라운과 일체로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p,
A dental implant system formed integrally with the crow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고 치조골에 식립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캡의 하단으로 노출되어 잇못의 접촉이 의도되는 노출영역을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ody,
I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with a threa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onnection part,
A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an exposed area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cap and intended for contact of the too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홈부를 향해 연장된 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되어, 종방향 중심축에 대한 상기 캡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p,
Includes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groove,
The rotation preventing unit,
A dental implant system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cap about a longitudinal central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연결부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캡의 상측 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fastened between the cap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separation of the upper direction of the cap, dental implant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삽입면의 외측 둘레면에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제1고정홈과 대응되도록, 내측 둘레면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캡의 상기 연결부로의 삽입 체결을 위해, 상기 제1고정홈에 수용된 상태; 및
상기 캡의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이 상기 제2고정홈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part,
In order to fast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a first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surface,
The cap,
A second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groove,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A state accommoda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for insertion and fastening of the cap in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In order to limit the separation of the cap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t least one side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a dental implan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연결부 사이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하고, 링(ring)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면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캡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 배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a sealing part that restrict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cap and the connection part,
The sealing part,
A dental implant system that includes an elastic body in part or all of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closely dispos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surfac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하고, 링(ring) 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캡의 내측 둘레면을 향해 배치된 외측 둘레면과, 상기 캡의 내측 상부면을 향해 배치된 상측면을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ncludes a buffer portion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The buffer unit,
It includes an elastic body in part or all of it,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and an upper surface disposed towar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 dentistry Implant system.
치조골에 식립된 고정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측 둘레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둘레면; 및
상기 고정체에 형성된 홈부로 삽입 체결되도록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둘레면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3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면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을 가지고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
It relates to a cap of a dental implant system that is fastened to the top of a fixtur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fixtur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t is form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degree with a thir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art,
A cap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wherein a support surface tha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degree with a fourth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경사각은,
상기 제3경사각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경사각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캡.
The method of claim 9,
The fourth inclination angle is,
The cap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nd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third inclination angle by a predetermined degree.
KR1020190054827A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KR2020012983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27A KR20200129837A (en)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PCT/KR2019/005784 WO2020230918A1 (en) 2019-05-10 2019-05-14 Dental impla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27A KR20200129837A (en)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37A true KR20200129837A (en) 2020-11-18

Family

ID=7328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827A KR20200129837A (en)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29837A (en)
WO (1) WO2020230918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67A1 (en) * 2020-12-09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Non-adhesive thumbtack-type abutment and implant having same
KR20230161112A (en)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20230161113A (en)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18B1 (en) * 2007-03-26 2008-07-01 김정찬 Titanium sleev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20090110136A (en)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Healing abutment
KR102212709B1 (en) * 2013-05-02 2021-02-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US9931181B2 (en) * 2014-07-22 2018-04-03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KR101924802B1 (en) *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Non adhesive screw impla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67A1 (en) * 2020-12-09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Non-adhesive thumbtack-type abutment and implant having same
KR20230161112A (en)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20230161113A (en)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0918A1 (en)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729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2323728B1 (en) Dental implant system
ES2870992T3 (en) Dental restoration system
KR20200129837A (en) Dental implant system
JP4801318B2 (en) Dental implant
JP6346903B2 (en) Dental device fixation unit elastically fixed in the implant and / or dental device fixation unit fixed in the implant allowing optional angular position adjustment
US10470851B2 (en) Self-retaining dental screw
US9522053B2 (en) Dental implant assembly for uniform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s
KR20080049378A (en) Implant unit using dentistry
KR102198233B1 (en) Cenemt-free dental implant
EP1745758B1 (en)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KR101953301B1 (en) Dental implant assembly and dental abutment
KR101856232B1 (en) Improved screw head
KR101534622B1 (en) Oral screw, oral plate, and oral anchoring device comprising the screw and plate
TWI712394B (en) Combined assembly for dentures
KR102151344B1 (en) Dental implant structure
KR102208556B1 (en) Dental implant assembly and dental abutment
KR101829912B1 (en) Attachment device of dental structure
JP7239683B2 (en) Implant structure
KR102203823B1 (en) Abutment for dental attachment with C-ring of PEEK Materials
KR102638571B1 (en)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1829911B1 (en) Attachment device of dental structure
CN111683621B (en) Dental anchoring system for fastening a prosthesis
JPH07116174A (en) Parts combination and male screw for implant in bone
KR20240011479A (en) Abutme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