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729B1 - Dental implant system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729B1
KR102323729B1 KR1020190054829A KR20190054829A KR102323729B1 KR 102323729 B1 KR102323729 B1 KR 102323729B1 KR 1020190054829 A KR1020190054829 A KR 1020190054829A KR 20190054829 A KR20190054829 A KR 20190054829A KR 102323729 B1 KR102323729 B1 KR 10232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butment
dental implant
implant system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9839A (en
Inventor
허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05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729B1/en
Priority to PCT/KR2019/005781 priority patent/WO2020230917A1/en
Publication of KR2020012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립체 및 지대주를 포함하는 고정체; 상기 지대주 상단의 삽입영역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영역은, 외측 둘레면을 형성하는 삽입면이 제1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삽입면과 체결되는 내측 둘레면이 상기 제1경사각과 대응되는 제3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는, 상면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 dental implant system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ture comprising an implant and an abutment; Includes; a cap fastened to the insertion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the insertion area is formed such that the insertion surface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the cap, the inner circumference fastened to the insertion surface The surface is formed to have a third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ation angle, the abutment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concavely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cap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 dental implant system may be provided having a protrusion.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SYSTEM}Dental implant system {DENTAL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ystem.

자연치의 결손 부위를 수복하기 위한 시술 방법 중 하나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A dental implant system is known as one of the surgical methods for repairing a natural tooth defect.

도 5는 종래 알려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ly known dental implant system.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은 고정체(fixture, 11), 지대주(abutment, 12), 연결나사(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general, the dental implant system 10 may include a fixture 11 , an abutment 12 , a connection screw 13 , and the like.

고정체(11)는 결손 부위의 치조골에 식립될 수 있다. 고정체(11)의 외주면에는 식립 및 고정을 위한 외부나사산(11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는 지대주(12)의 체결을 위한 내부나사산(11c)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xture 11 may b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defect site. An external screw thread 11a for implantation and fixing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ture 11 , and an internal thread 11c for fastening the abutment 1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지대주(12)는 고정체(11)에 체결되어 하단 일부가 고정체(11) 내부의 공간(11b)에 배치될 수 있다. 지대주(12)의 상단 일부는 고정체(11)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지대주(12)의 중앙에는 고정체(11)와의 체결을 위한 구멍(12a)이 마련될 수 있다.The abutment 12 is fastened to the fixture 11 so that a lower portion thereof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1b inside the fixture 11 .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12 may be dispose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ture 11 . A hole 12a for fastening with the fixture 11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abutment 12 .

연결나사(13)는 지대주(12)와 고정체(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이 이뤄지면, 연결나사(13)의 머리를 포함한 상부는 지대주(12)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부는 고정체(11)의 공간(11b)에 있는 내부나사산(11c)과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screw 13 may couple the abutment 12 and the fixing body 11 . When the coupling is made,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head of the connecting screw 13 may be disposed inside the abutment 12, and the remaining lower part is to be coupled with the internal screw thread 11c in the space 11b of the fixture 11. can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공치아는 시멘트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지대주(12) 상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artificial tooth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12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cement.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고정체, 지대주 등이 완전히 고정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저작 운동 등으로 인해 지대주에 다양한 하중이 가해질 때, 이러한 하중이 그대로 고정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는 고정체의 고정력 저하로 이어지거나, 심할 경우 고정체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nventional dental implant system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xture, an abutment, and the like are completely fixedly coupled. Therefore, when various loads are applied to the abutment due to mastication motion, these loads are transferred to the fixture as it is. This may lead to a decrease in the fixing force of the fixture or, in severe cases, may cause a problem of damaging the fixture.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0136호(2009.10.21.)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0136 (2009.10.21.)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773호(2014.11.12.)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0773 (2014.11.12.) 등록특허공보 제10-1091350호(2011.12.0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91350 (2011.12.0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세 동요도를 가지고 교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capable of buffering the occlusal force with fine mobi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크라운을 결합시킬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implant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the use of the adhesive means and coupling the crow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립체 및 지대주를 포함하는 고정체; 상기 지대주 상단의 삽입영역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영역은, 외측 둘레면을 형성하는 삽입면이 제1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삽입면과 체결되는 내측 둘레면이 상기 제1경사각과 대응되는 제3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대주는, 상면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접촉 지지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ture comprising an implant and an abutment; Includes; a cap fastened to the insertion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the insertion area is formed such that the insertion surface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first inclination angle, the cap, the inner circumference fastened to the insertion surface The surface is formed to have a third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ation angle, the abutment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concavely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cap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 dental implant system may be provided having a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고정체에 캡 또는 크라운이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되, 캡 또는 크라운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이 삽입면 또는 지지부의 경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cap or a crown is mounted to a fixture, and external forces in various directions applied to the cap or crown may be supported by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or the support part.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이탈방지부에 의해 캡 또는 크라운이 미세 동요도를 가질 수 있어 자연치와 보다 유사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or crown may have a fine degree of mobility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so that characteristics more similar to those of natural teeth may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삽입면 및 지지부의 경사, 이탈방지부 등을 통해 캡 또는 크라운이 적절히 지지될 수 있어 접착제의 사용을 생략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or crown may be properly supported through the insertion surface and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rt,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etc., so that the use of the adhesive may be omitted or minimized.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
도 5는 종래 알려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
1C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ly known dental implant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for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omitted.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 1C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the dental implant system shown in FIG. 1A .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고정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1A to 1C ,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xture 110 .

고정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하부 영역은 치조골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체(110)의 상부 영역은 잇몸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고정체(110)의 상단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될 수 있다.The fixture 110 may be implanted and fixed in the alveolar bone. The lower region of the fixture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lveolar bone, and the upper region of the fixture 110 may be dispose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s. A cap 120 or a crown 16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

고정체(110)는 식립체(110a) 및 지대주(11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ture 110 may include an implant 110a and an abutment 110b.

식립체(110a) 및 지대주(110b)는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고정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The implanted body 110a and the abutment 11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one fixed body 110 .

식립체(110a)는 대체로 고정체(110)의 하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식립체(110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implant 110a may generally form a lower region of the fixture 110 . The implant 110a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by being implanted and fixed in the alveolar bone.

식립체(110a)의 중앙에는 상단이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을 형성하는 식립체(110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대주(110b)가 식립체(110a)와 체결될 수 있다.A fastening groove having an open upper en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mplant 110a.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110a forming the fastening groove, whereby the abutment 110b may be fastened to the fixture 110a.

지대주(110b)는 대체로 고정체(110)의 상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지대주(110b)의 하부 영역은 식립체(110a) 내부로 삽입되어, 식립체(110a) 내주면의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다. 지대주(110b)의 상부 영역은 식립체(110a) 상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The abutment 110b may generally form an upper region of the fixture 110 . The lower region of the abutment 110b may be inserted into the implant 110a and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mplant 110a. The upper region of the abutment 110b may be disposed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implant 110a.

지대주(110b)는 상측 일부에 삽입영역(112)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영역(112)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삽입영역(112)은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체결되는 지대주(110b) 상단의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abutment 110b may have an insertion region 112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 cap 120 or a crown 160 may be fastened to the insertion region 112 . In other words, the insertion region 112 may be defined as a partial region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110b to which the cap 120 or crown 160 is fastened.

식립체(110a)는 상측 일부에 소정 범위 노출영역(111)을 구비할 수 있다. 노출영역(111)은 삽입영역(112) 하단으로부터 소정 범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식립체(110a)는 노출영역(111) 하부에 있어,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노출영역(111)은 치조골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노출영역(111)은 치조골에 외측에서부터 삽입영역(122) 또는 캡(120)의 하단까지의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노출영역(111)은 대체로 잇몸이 접촉되는 부위로 의도될 수 있다.The implant 110a may have an exposed area 111 in a predetermined range on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exposed area 111 may be formed over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area 112 . The implant 110a may be placed under the exposed area 111 and fixed to the alveolar bone, and the exposed area 11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lveolar bone. That is, the exposed region 111 may be defined as an exposed region from the outside of the alveolar bone to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region 122 or the cap 120 . The exposed area 111 may be generally intended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ums.

필요에 따라, 노출영역(111)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외면이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exposed area 111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surface inclined to a predetermined degree in a form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toward the lower side.

삽입영역(112)은 외측 둘레면을 형성하는 삽입면(112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면(112a)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영역(112)은 하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삽입면(112a)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정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면(112a)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경사각을 제1경사각(a1)으로 지칭하도록 한다.The insertion region 112 may have an insertion surface 112a form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insertion surface 112a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egion 112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lower side, and thus the insertion surface 112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 a predetermined extent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Hereinafter,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insertion surface 112a in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inclination angle a1.

삽입영역(112) 중앙에는 상단이 개방된 홈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3)는 삽입영역 (112) 상단으로부터 삽입영역(112)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3)에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의 돌출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region 112 , a groove 113 having an open top may be formed. The groove portion 113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region 112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region 112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protrusion 122 of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113 .

여기서 홈부(113)의 내측 둘레면(113c)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돌출부(122)가 접촉 지지되는 홈부(113)의 내측 둘레면(113c)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경사각(a1)을 이루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캡(120)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groove portion 113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More specifical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groove portion 113 in which the protrusion 122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in contac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hile form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a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relation to the cap 120 .

한편, 지대주(110b)는 삽입영역(112)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서 식립체(110a) 상단에 접촉 지지되며, 경계면(T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경계면(T1)은 식립체(110a)의 상단과, 지대주(110b)의 삽입영역(112) 하단이 접촉 지지된 부위로 정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utment (110b)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110a) in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it can form the interface (T1). That is, the interface T1 may be defined as a region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110a and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region 112 of the abutment 110b are supported in contact.

여기서, 경계면(T1)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식립체(110a) 상단과 삽입영역(112) 하단이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계면(T1)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계면(T1)은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할 수 있다.Here, the boundary surface T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110a and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region 112 ar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boundary surface T1 inclined dow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Such an interface T1 may limi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ap 120 .

캡(120)은 고정체(110) 또는 지대주(110b)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지대주(110b)에 마련된 삽입면(112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삽입면(112a)에 밀착되거나,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도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과 삽입면(112a) 사이는 밀폐된 공간으로 의도되며, 후술할 실링부(140) 등을 통해 이물질의 유입이 제한될 수 있다.The cap 12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or the abutment 110b.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sertion surface 112a provided on the abutment 110b.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surface 112a or may be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However, even in the latter case,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and the insertion surface 112a of the cap 120 is intended to be a closed space, and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may be restricted through the sealing part 140 to be described later. .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삽입면(112a)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대주(110b)의 삽입면(112a)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a1)을 이루는 것에 대응하여,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3경사각(a3)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각(a3)은 제1경사각(a1)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각도로 이뤄질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surface 112a. That is, in response to the insertion surface 112a of the abutment 110b form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a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has a third inclination angle a3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may be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캡(120)의 내측 상면에는 돌출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A protrusion 12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 120 .

돌출부(122)는 캡(120)의 내측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전술한 홈부(113)로 체결이 의도된다. 즉, 돌출부(122)는 홈부(113)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홈부(113) 내측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 120 downward to a predetermined degree. The protrusion 122 is intended to be fastened to the aforementioned groove 113 . That is, the protrusion 122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groove 113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groove 113 .

돌출부(122)는 홈부(133)로 삽입 체결되어, 캡(120)에 가해지는 외력(예컨대, 측방햐 외력)에 대해 캡(120)을 지지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외측 둘레면에 지지면(122c)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면(122c)은 전술한 홈부(113)의 내측 둘레면113c)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2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groove 133 to support the cap 120 against an external force (eg, lateral pressur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ap 120 . The protrusion 122 may have a support surface 122c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aforementioned groove portion 113 .

지지면(122c)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2)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면(122c)은 수직 방향에 대해 제4경사각(a4)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lower side, and thus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form a fourth inclination angle a4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지지면(122c)의 제4경사각(a4)은 전술한 홈부(113)의 제2경사각(a2)에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각도로 이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면(122c)은 홈부(113)의 내측 둘레면(113c)과 소정 각도 경사진 접촉면을 이루며 지지될 수 있다.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of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of the aforementioned groove portion 113 . For this reason, the support surface 122c may be supported while forming a contact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groove portion 113 .

여기서, 제4경사각(a4)은 제3경사각(a3)과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경사각(a2) 또는 제4경사각(a4)은 제1경사각(a1) 또는 제3경사각(a3)과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경사각(a2) 또는 제4경사각(a4)은 제1경사각(a1) 또는 제3경사각(a3)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각의 차이는 보다 다양한 방향의 하중이나 외력에 대해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angle from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 Alternatively,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or 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angle from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or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 More preferably,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2 or the fourth inclination angle a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1 or the third inclination angle a3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difference in inclination angle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support force to be provided for loads or external forces in more various directions.

한편, 제1 내지 4경사각(a1 내지 a4)은 결손치의 개수, 고정체(110)의 식립 방향이나 각도 등에 따라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결손치를 수복하는 경우, 캡(120)과 지대주(110b) 간의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제1, 3경사각(a1, a3)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o fourth inclination angles a1 to a4 may be appropriately var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missing teeth, the direction or angle of the fixture 110 ,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repairing a plurality of missing teeth, the first and third inclination angles a1 and a3 may be formed to be larger for smooth coupling between the cap 120 and the abutment 110b.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돌출부(122)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f necessary, the protrusion 122 may include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회전방지부는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한 캡(120)의 회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방지부는 다각 기둥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회전방지부(122b)는 사각, 육각, 팔각 기둥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종방향 중심축(C)을 중심으로 고정체(11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The anti-rotation part may have at least one support surface for rotation of the cap 120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C). For example, the anti-rot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column or the lik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nti-rotation part 122b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hexagon, or octagonal pole. Accordingly, rotation of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0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C may be restricted.

한편, 캡(120)의 외측 둘레면에는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1)은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캡(12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대략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캡(120)의 외측 둘레면에 상하로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결합홈(121)의 형태, 배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홈(121)은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와 같이 캡(120) 및 크라운(160)이 일체화되는 경우 등에는, 적절히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oupling groove 1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120 . The coupling groove 121 is for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pproximat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120 , and a plurality of the cap 120 . It may be arranged densely up and dow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owever, the shape, arrangement, etc. of the coupling groove 121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and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121 is for coupling betwe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and may be appropriately omitted wh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are integrated as shown below.

필요에 따라, 캡(120)은 크라운(160)에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캡(120)의 구성(돌출부(122) 등)은 대응되는 위치의 크라운(160)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바에서, 캡(120)과 크라운(160) 간의 경계를 생략한 것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If necessary, the cap 120 may be integrated with the crown 160 .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cap 120 (such as the protrusion 122 )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form with the crown 16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his may be in a form similar to that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the cap 120 and the crown 160 is omitted from the illustrated bar.

필요에 따라, 캡(120) 중앙에는 나사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홀(125)은 돌출부(122)를 관통하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f necessary, a screw hole 125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120 . The screw hole 125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so as to penetrate the protrusion 122 .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완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buffer 150 .

완충부(150)는 고정체(110)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150)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체(110) 상단의 외측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The buffer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 Specifically, the buffer 1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ring), it can be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완충부(150)는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을 향해 배치되는 외측 둘레면(152)과, 캡(120)의 내측 상부면을 향해 배치되는 상측면(151)을 구비할 수 있다.The buffer unit 150 may includ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52 dispos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and an upper side surface 151 disposed towar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p 120 . have.

완충부(150)는 캡(120) 또는 크라운(160)의 미세 동요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15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ushioning unit 15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in part or all of it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ne fluctuations of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 For example, the buffer 150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f silicon.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이탈방지부(130)는 캡(120)과 고정체(110) 간에 체결되어, 고정체(110)에 대한 캡(120)의 이탈을 구속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고정체(110)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이탈방지부(130)는 전술한 완충부(15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may be fastened between the cap 120 and the fixed body 110 , thereby constraining the separation of the cap 12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10 .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may be mounted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 Alternativel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buffer unit 150 described above by a predetermined degree.

이탈방지부(130)는 탄성을 가진 C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의 이탈을 적절히 구속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그 형상이 예시된 C링 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may be formed of a C-ring having elasticity. However, as long as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can appropriately restrain the separation of the cap 120 , the sha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C-ring.

한편, 바람직하게, 이탈방지부(130)는 일부 또는 전부가 티타늄(titanium)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may be formed of a part or all of titanium (titanium) material.

이탈방지부(130)가 체결되는 고정체(110)의 대응 위치에는 제1고정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30)가 체결되는 캡(120)의 대응 위치에는 제2고정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2고정홈(114, 123)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이탈방지부(130)의 체결을 위한 고정홈(131)을 형성할 수 있다.A first fixing groove 11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ody 110 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is fastened. In addition, a second fixing groove 12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p 120 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is fastene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14 and 123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fixing groove 131 for fasten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

고정홈(131)의 횡방향 폭(W1)은 이탈방지부(130)의 횡방향 두께(W2)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탈방지부(130)의 횡방향 두께(W2)는 고정홈(131)의 전체 횡방향 폭(W1)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lateral width W1 of the fixing groove 131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ateral thickness W2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30 by a predetermined degree. Alternatively, the lateral thickness W2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verall lateral width W1 of the fixing groove 131 by a predetermined degree.

상기와 같은 경우,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의 고정체(110)로의 삽입 체결을 위해, 제1고정홈(114)을 향해 탄성 변형이 의도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30)는 캡(120)이 완전히 삽입 체결된 경우, 탄성에 의해 제2고정홈(123)에 밀착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탈방지부(130)는 대체로 제1고정홈(114)과 제2고정홈(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캡(120)은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고정체(110)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may be intended to elastically deform toward the first fixing groove 114 for insertion and fastening of the cap 120 to the fixing body 110 . In addition, when the cap 120 is fully inserted and fastened,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may be inten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by elasticity. In this case,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30 may be gener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groove 114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123 . Accordingly, in such a state, the cap 120 may be restricted from detaching from the fixing body 110 by the detachment preventing unit 130 .

한편,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실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aling unit 140 .

실링부(140)는 삽입영역(112)의 하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실링부(140)는 전술한 이탈방지부(130)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40 may be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 Alternatively, the sealing unit 1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

실링부(140)는 링(ring)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체(110)의 외측 둘레면과,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 사이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140)는 대체로 삽입면(112a) 하부측에 배치가 의도될 수 있으며, 노출영역(111)으로부터 캡(120)과 고정체(110) 사이의 틈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4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mounted and dis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 The sealing part 140 may be generally intended to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surface 112a, and to limi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exposed area 111 to the gap between the cap 120 and the fixture 110 . can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링부(140)는 지대주(110b)의 외측 둘레면를 따라 형성된 홈을 통해 고정체(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실링부(140)는 캡(120)의 내측 둘레면(124)을 따라 형성된 홈 등을 통해 장착 지지되거나, 고정체(110) 또는 캡(120)과 분리 가능한 별개의 부품 형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the sealing part 14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fixture 110 through a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110b. However, if necessary, the sealing part 14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through a groov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4 of the cap 120 , or a separate part separable from the fixed body 110 or the cap 120 .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etc.,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실링부(140)는 충분한 밀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14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4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in part or all of it so as to have sufficient sealing force. For example, the sealing part 140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formed of silicon.

이상과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피시술자의 치조골 등에 고정체(110)가 식립되고, 고정체(110) 상단에 캡(120) 또는 크라운(160)이 씌워지는 순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dental implant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order in which the fixture 110 is implanted on the alveolar bone of the recipient, and the cap 120 or crown 160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 .

여기서,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고정체(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대체로 캡(120) 또는 크라운(160)에 가해지는 상측(이탈) 방향 외력을 지지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Here,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fixture 110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30 .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130 may be intended to support an external force in the upper (separa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in general.

또한, 캡(120) 또는 크라운(160)에 가해지는 횡방향 외력, 또는 보다 다양한 방향이 복합된 외력은, 삽입영역(112) 및 돌출부(122)의 경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삽입영역(112)의 경사와 돌출부(122)의 경사가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 대해 지지면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vers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or an external force in various directions may be supported by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and the protrusion 122 . In particular,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and the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122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support surface can be secured against external forces in various directions.

상기로 인해,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접착제의 사용을 생략하거나, 최소한의 접착제 사용만을 통해, 고정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캡(120) 또는 크라운(160)은 고정체(110)와의 경계 등에서 접착제의 사용이 생략되고, 이탈방지부(130), 삽입영역(112)의 경사 및, 돌출부(122)의 경사에 의해 고정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의 생략은 시술 편의성, 시술 후 수정 및 보완의 가능성, 접착제로 인한 부작용 등에 있어 이점을 가질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cap 120 or the crown 160 may be installed on the fixture 110 by omitting the use of an adhesive or using only a minimum amount of adhesive. Preferably, in the cap 120 or crown 160 , the use of adhesive is omitted at the boundary with the fixing body 110 ,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 the inclination of the insertion region 112 , and the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122 . may be installed on the fixture 110 by the Omission of such an adhesive may have advantages in operation convenience, possibility of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after operation, side effects due to adhesive,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escriptions will be made focusing on different components.

도 2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식립체(210a) 및 지대주(210b)를 포함하는 고정체(210), 지대주(210b)에 체결되는 캡(220), 캡(220)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210), 캡(220) 및 이탈방지부(2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ental impla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fixture 210 including an implant 210a and an abutment 210b, and a cap 220 that is fastened to the abutment 210b. ), and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230 for limiting separation of the cap 220 . The fixing body 210 , the cap 220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30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실링부(140), 완충부(150) 및 이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이 생략될 수 있다.However, in the dental impla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aling part 140, the buffer part 150, and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식립체(310a) 및 지대주(310b)를 포함하는 고정체(310), 지대주(310b)에 체결되는 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ental impla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xture 310 including an implant 310a and an abutment 310b, and a cap 320 that is fastened to the abutment 310b. ) may be included. It may be 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제5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캡(3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능상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부(130)와 대응된다.The dental implant system 3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330 for restraining the separation of the cap 320 . This corresponds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of the first embodiment in function.

다만, 제3실시예의 이탈방지부(330)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돌기(331) 및 홈(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331)는 지대주(310b)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홈(332)은 이에 대응되도록 캡(32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캡(320)의 내측 둘레면에 홈이 구비되고, 지대주(310b)의 외측 둘레면에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기(331) 및 홈(332)은 상호 결합되어, 캡(320)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33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protrusion 331 and a groove 332 . The protrusion 33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310b, and the groove 332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320 to correspond thereto. In some cases, a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320 , and a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310b. The protrusion 331 and the groove 33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limiting the separation of the cap 320 .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종단면 분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of a dental implant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400)은, 식립체(410a) 및 지대주(410b)를 포함하는 고정체(410), 지대주(410b)에 체결되는 캡(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대응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ental implant system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a fixture 410 including an implant 410a and an abutment 410b, and a cap 420 that is fastened to the abutment 410b. ) may be included. It may be 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또한,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400)은 캡(420)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implant system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on unit 430 for restraining the detachment of the cap 420 .

여기서, 이탈방지부(430)는 볼(431) 및 탄성체(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볼(431)은 수용홈(434)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지대주(410b)의 외측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홈(434)은 지대주(410b)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지대주(410b)을 향해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430 may include a ball 431 and an elastic body 432 . The ball 431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410b so that a part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434 . The receiving groove 434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butment 410b toward the abutment 410b by a predetermined degree.

탄성체(432)는 수용홈(434) 내부에 배치되어, 볼(4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볼(431)은 탄성체(432)에 의해 수용홈(434) 외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43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볼(4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432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434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431 . The ball 431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434 by the elastic body 432 . As long as the elastic body 432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431,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as shown.

볼(431)은 탄성체(432)에 의해 볼체결홈(433)에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420)은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볼체결홈(433)은 캡(42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원형 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ball 431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ball fastening groove 433 by the elastic body 432 . Thereby, the cap 420 may be restricted from detaching. The ball fastening groove 433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circular ring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420 .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탄성체(43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볼(4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체(43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볼(4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탄성체(432)를 수용하는 수용홈(434) 또한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f necessary, the elastic body 432 may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431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the elastic body 432 may form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431 . In this case, the receiving groove 434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body 432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corresponding angle.

볼(431) 및 탄성체(432)는 복수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지대주(410b) 상단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볼(431) 및 이에 대응되는 탄성체(432)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볼(431) 및 탄성체(432)는 지대주(410b)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3 내지 5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볼(431) 및 탄성체(432)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sets of the balls 431 and the elastic body 432 may be provided. That is, a plurality of balls 431 and an elastic body 432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410b. For example, 3 to 5 sets of the ball 431 and the elastic body 432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410b. However, the number of the balls 431 and the elastic body 43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제1실시예) 110: 고정체
120: 캡 130: 이탈방지부
140: 실링부 150: 완충부
160: 크라운
100: dental implant system (first embodiment) 110: fixture
120: cap 130: escape prevention part
140: sealing part 150: buffer part
160: Crown

Claims (10)

식립체 및 지대주를 포함하는 고정체; 및
상기 지대주 상단의 삽입영역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영역은,
상기 지대주의 외측 둘레면을 형성하고, 수직방향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삽입면; 및
상기 삽입영역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캡에 형성된 돌출부에 접촉 지지되며, 제2경사각을 가지는 내측 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각 및 상기 제2경사각은,
수직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각각 상이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대주는,
상기 삽입영역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식립체 상단에 접촉 지지되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식립체는,
치조골에 식립되되, 상단의 일부 영역에서 상기 치조골 외측으로 노출된 노출영역을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 fixture including an implant and an abutment; and
Including; a cap fastened to the insertion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The insertion area is
an insertion surface formed to for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and to have a first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groove formed by being drawn dow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region;
The groove portion,
I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cap and include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The first inclination angle and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are
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inclination angle, respectively,
the abutment,
I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area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and includes a boundary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implant is
Doedo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an exposed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lveolar bone in a partial area of the upper e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크라운과 일체로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p is
A dental implant system formed integrally with the crow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고정체 간에 구비되어, 상기 캡의 이탈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ntal implant system provided between the cap and the fixture,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for restraining the separation of the cap.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가 체결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체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1고정홈; 및
상기 제1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홈부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제2고정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2고정홈이 형성하는 전체 횡방향 폭은,
상기 이탈방지부의 횡방향 두께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fixing groove 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fastened;
The fixing groove is
a first fix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dy; and
is formed by; a second fix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groove;
The total lateral width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is,
A dental implant system tha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ateral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고정체 사이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일부 또는 전부에 탄성체를 포함하고, 링(ring)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대주의 외측 둘레면과, 상기 캡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 배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ling part for restric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cap and the fixture,
The sealing part,
A dental implant system, comprising an elastic body in part or all,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캡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볼체결홈에 탄성 접촉되는 볼; 및
상기 지대주에 형성된 수용홈에 배치되어, 상기 볼을 상기 볼체결홈을 향해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볼 및 상기 탄성체는,
복수 세트가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이격 배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scape prevention unit,
a ball in elastic contact with the ball fastening groov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and
It includes;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abutment,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toward the ball fastening groove;
The ball and the elastic body,
A dental implant system, wherein a plurality of sets are spaced apart about a longitudinal central axis.
KR1020190054829A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KR102323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29A KR102323729B1 (en)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PCT/KR2019/005781 WO2020230917A1 (en) 2019-05-10 2019-05-14 Dental impla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29A KR102323729B1 (en)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39A KR20200129839A (en) 2020-11-18
KR102323729B1 true KR102323729B1 (en) 2021-11-09

Family

ID=7328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829A KR102323729B1 (en) 2019-05-10 2019-05-10 Dental implant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3729B1 (en)
WO (1) WO202023091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00B1 (en)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dental implant system with crown with good load-absorbing internal surface
CN113057751B (en) * 2021-03-15 2022-02-08 周陈锋 Bacteriostatic implanted tooth ro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53580B1 (en) * 2021-04-27 2022-01-19 권혁찬 Abutment assembly for implant
WO2023094934A1 (en)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421810B1 (en) * 2021-11-24 2022-07-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WO2023094933A1 (en)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418760B1 (en) * 2021-11-24 2022-07-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system
KR102541904B1 (en) * 2022-10-31 2023-06-13 이노덴 주식회사 Implant structure for dental
KR102578686B1 (en) * 2023-02-10 2023-09-15 이노덴 주식회사 Connector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350B1 (en) * 2009-08-28 2011-12-07 동 욱 신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operation and impression method using it
US20140162212A1 (en) 2012-12-11 2014-06-12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543546B1 (en) 2011-08-12 2015-08-10 왕제원 Abut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core crowns manufactured at various angles and functioning as a healing abutment having a cap attached thereto
KR101924802B1 (en) *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Non adhesive screw impla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WO2007136200A1 (en) * 2006-05-19 2007-11-29 Seong-Gyun Oh Separabl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making dental prosthesis using the same
KR20090110136A (en) 2008-04-17 2009-10-21 이도상 Healing abutment
KR101042372B1 (en) * 2009-04-09 2011-06-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One body implant
KR102212709B1 (en) 2013-05-02 2021-02-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Detachable dental im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350B1 (en) * 2009-08-28 2011-12-07 동 욱 신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operation and impression method using it
KR101543546B1 (en) 2011-08-12 2015-08-10 왕제원 Abut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core crowns manufactured at various angles and functioning as a healing abutment having a cap attached thereto
US20140162212A1 (en) 2012-12-11 2014-06-12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924802B1 (en) *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Non adhesive screw im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0917A1 (en) 2020-11-19
KR20200129839A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729B1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2323728B1 (en) Dental implant system
CN101557773B (en)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US9918809B2 (en) Dampening insert for dental implants
US9522053B2 (en) Dental implant assembly for uniform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s
KR20200129837A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190136480A (en) Dental implant
US10470851B2 (en) Self-retaining dental screw
KR20080049378A (en) Implant unit using dentistry
KR102427069B1 (en) Implant crown fastening structure and fastening method
JPH10506818A (en) Fixation device for implant dentures
US9532856B2 (en) Screw head
WO2021233145A1 (en) Implant denture having spring damper flexible base platforms
KR102048180B1 (en) Implant for artificial teeth with improved fixation structure and impact relaxation structure
KR101669612B1 (en) Attachment apparatus of dental structure
KR101554392B1 (en) Dental Implant
KR101829912B1 (en) Attachment device of dental structure
KR102046400B1 (en) Implant for artificial teeth
KR101829911B1 (en) Attachment device of dental structure
KR102208556B1 (en) Dental implant assembly and dental abutment
KR20150019761A (en) Dental implant
KR20180122996A (en) Fixture for implant
KR102203823B1 (en) Abutment for dental attachment with C-ring of PEEK Materials
KR102568818B1 (en) Connector and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CN111683621B (en) Dental anchoring system for fastening a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