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805A -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805A
KR20230160805A KR1020237030698A KR20237030698A KR20230160805A KR 20230160805 A KR20230160805 A KR 20230160805A KR 1020237030698 A KR1020237030698 A KR 1020237030698A KR 20237030698 A KR20237030698 A KR 20237030698A KR 20230160805 A KR20230160805 A KR 20230160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ound
display device
unit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요시오카
요시오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화상과 음성의 일체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광원 기판을 갖는 표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광원 기판 또는 표시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를 구비하는 장치이다. 가진기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LED 디스플레이 등의 대화면의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
본 기술은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과 음성의 일체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에 관한 것이다.
LED 디스플레이 등의 대화면의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스피커가 표시부의 배면이나 주위(화면 하부 등)에 놓이는 경우가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2-235426호 공보
이 경우, 배면에 둔 경우에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표시부에 의해 차단되어버리고, 주위에 둔 경우에는 화면 밖에서 소리가 들리기 때문에, 시청자는 화상과 음성의 출처를 일치시켜서 느껴지는 것 같은 화상음 일체의 체험을 얻을 수 없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과 음성의 일체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광원 기판을 갖는 표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표시 모듈은, 복수의 광원 기판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광원 기판을 배면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에 있어서는, 복수의 광원 기판을 갖는 표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된 표시부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고,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함으로써, 상기 표시부로부터 음성이 출력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에 있어서는, 광원 기판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광원 기판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화상 표시부로부터 음성이 출력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표시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1개의 표시 모듈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진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진기의 가진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진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가진기의 고정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가진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4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5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6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7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8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9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표시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음 출력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표시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화면 가진 출음부와 저역용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저역용 스피커가 마련되는 경우의 음 출력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표시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표시 장치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표시 장치의 외관
2. 표시 장치의 구성
3. 변형예
<1. 표시 장치의 외관>
·표시 장치의 외관 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표시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표시 장치(1)를 비듬하게 앞에서 본 경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1)는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인 표시부(11)의 상하 좌우를 세폭의 프레임 부재로 둘러쌈으로써 구성된다. 프레임 부재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표시부(11)에 의해 표시 장치(1)가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어 동화상의 콘텐츠를 재생해서 얻어진 화상과 음성을 출력한다. 표시 장치(1)에 있어서, 화상은 표시부(11)에 표시된다. 또한, 음성은, 도 1의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11) 자체로부터 출력된다. 표시부(11)를 사용한 음성의 출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11)를 가진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2는 표시부(1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실선으로 구획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1)는 복수의 표시 모듈(12)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가로 방향으로 7개, 세로 방향으로 6개 합계 42개의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표시 모듈(12)을 조합함으로써 표시부(11)가 구성된다. 표시부(11)를 구성하는 표시 모듈(12)의 수는, 표시 장치(1)의 사이즈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표시 장치(1)는 임의의 수의 표시 모듈(12)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스케일러블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각각의 표시 모듈(12)의 표면이 화상 표시부가 된다. 각각의 화상 표시부에 동일한 화상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의 화상 표시부 전체를 1개의 표시면으로서 화상의 표시가 행해진다.
·표시 모듈(12)의 구성예
도 3은 1개의 표시 모듈(12)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듈(12)의 화상 표시부(12a)는 복수의 LED 기판(13)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LED 기판(13)은 광원 소자로서의 미세한 RGB의 LED가 기판의 전방면 전체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기판이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가로 방향으로 6개, 세로 방향으로 3개 합계 18개의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LED 기판(13)을 조합함으로써 화상 표시부(12a)가 구성되어 있다. 1개의 표시 모듈(12)을 구성하는 LED 기판(13)의 수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1 가진의 구조(LED 기판을 가진하는 예)
도 4는 제1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는 LED 기판(13)의 배면측이 도시되고, 도 4의 B에는 LED 기판(13)의 전방면측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판상의 형상을 갖는 LED 기판(13)의 배면에는, 박판상의 가진기(21)가 마련된다. 도 4의 A에 있어서, 가진기(21)는 LED 기판(13)의 중앙으로부터 좌측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가진기(21)는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 전자식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가진기(21)가 음성 신호에 따라서 진동함으로써, LED 기판(13)에 대하여 진동이 전달된다. 가진기(21)가 LED 기판(13)을 직접 가진함으로써,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3)의 표시면을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이에 의해, LED 기판(13)을 평면 스피커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가진기(2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LED 기판(13)의 배면에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접 고정된 가진기(21)로서의 모노모르프형의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도 5의 B에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의 세라믹스층이 적층해서 구성된다. 각각의 세라믹스층이 신장함으로써, 도 6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기판(13)을 고정단으로서,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와 LED 기판(13)이 일체로 되어 변형된다.
도 7은 가진기(21)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가진기(21)로서의 바이모르프형의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도, 모노모르프형의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와 마찬가지로, 도 7의 B에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의 세라믹스층이 적층해서 구성된다. 실선으로 나타내는 세라믹스층이 신장함과 함께, 파선으로 나타내는 세라믹스층이 줄어드는 것에 의해,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가 변형된다.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변형이 LED 기판(13)에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LED 기판(13)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11) 자체로부터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는 표시부(11)에 표시시킨 화상에 비추는 인물이나 물체로부터 음성이 발해지고 있는 체험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는 화상과 음성의 일체감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가진기(21)의 고정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에는, 가진기(21)가 LED 기판(13)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의 예에 있어서는, 가진기(21)의 일면의 대략 전체를 양면 테이프 등으로 첩부함으로써 가진기(21)가 LED 기판(13)에 고정된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범위가 첩부 범위를 나타낸다. 가진기(21)의 일면 전체를 고정함으로써, 가진기(21)의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LED 기판(13)에 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의 B의 예에 있어서는, 3군데를 양면 테이프 등으로 첩부함으로써 가진기(21)가 LED 기판(13)에 고정된다. 3군데에서 LED 기판(13)에 고정함으로써, 가진기(21)의 진동을 LED 기판(13)에 전달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가진의 구조(보스를 사용해서 가진기를 고정하는 예)
도 9는 제2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 가진의 구조는, 보스를 사용해서 가진기(21)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진기(21)는 복수의 보스(32)를 통해 LED 기판(13)에 고정된다. 도 9의 A의 예에 있어서는, 원주상의 형상을 갖는 6개의 보스(32)가, 가진기(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다. 가진기(21)와 LED 기판(13) 사이에는, 보스(32)의 높이에 상당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가진기(21)에 의한 진동은, 보스(32)를 통해 LED 기판(13)에 대하여 전달된다. 가진기(21)가 LED 기판(13)을 보스(32)를 통해 가진함으로써,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3)의 표시면을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LED 기판(13)의 배면에 드라이버 IC 등의 마운트 부품이 마련되는 경우, 가진기(21)를 LED 기판(13)의 배면에 직접 고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보스(32)는 LED 기판(13)의 마운트 부품을 피해서 배치된다. 도 9의 예에 있어서는, 가진기(21)와 LED 기판(13)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마운트 부품이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LED 기판(13)의 배면에 마운트 부품이 마련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진기(21)에 의해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가진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표시부(11) 자체로부터 음성이 출력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는 표시부(11)에 표시된 화상에 비추는 인물이나 물체로부터 음성이 발해지고 있는 체험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3 가진의 구조(섀시를 가진하는 예)
도 10은 제3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에는, LED 기판(13)의 단면이 나타나고, 도 10의 B에는 LED 기판(13)의 전방면측이 나타나 있다.
제3 가진의 구조는, LED 기판(13)의 배면측에 마련된 섀시(33)를 가진하는 구조이다. 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섀시(33)에는,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3)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상의 고정부가 마련된다. 섀시(33)와 LED 기판(13) 사이에는, 고정부의 높이에 상당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섀시(33)와 LED 기판(13) 사이의 간극에는, 드라이버 IC 등의 마운트 부품이 배치된다.
섀시(33)의 배면측에는, 모듈 프레임(34)이 소정의 간극을 두고 마련된다. 섀시(33)는 모듈 프레임(34)에 형성된 오목부에 매립된 가진기(41)에 대하여, 자석(42)의 자력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가진기(41)가 섀시(33)의 배면측에 직접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모듈 프레임(34)은 LED 기판(13), 가진기(41) 등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모듈 프레임(34)에는, 가진기(41)가 매립된 오목부가, 예를 들어 표시 모듈(12)에 마련된 LED 기판(13)의 수와 동일 수만큼 형성된다. 각각의 가진기(4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LED 기판(13)이 설치된다.
가진기(41)는 사각 기둥상으로 형성된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가진기(41)가 음성 신호에 따라서 진동함으로써, LED 기판(13)에 대하여 진동이 전달된다. 가진기(41)가 LED 기판(13)을 섀시(33)를 통해 가진함으로써,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13)의 표시면을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도 11은 가진기(4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가진기(41)로서의 사각 기둥상의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도 11의 B에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의 세라믹스층이 적층해서 구성된다. 각각의 세라믹스층이 두께 방향으로 신장함으로써,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 전체가 신장한다.
또한, 도 6의 가진기(21)(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가 LED 기판(13)을 변형시키도록 가진하는 데 반해, 도 10의 가진기(41)(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가진기(41) 자체가 신축함으로써 LED 기판(13)을 가진한다. LED 기판(13)이 섀시(33)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LED 기판(13)을 변형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있어서도, 가진기(41)에 의해 LED 기판(13)을 가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LED 기판(13)을 섀시(33)를 통해 가진함으로써,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42)에 의해 LED 기판(13)(섀시(33))이 모듈 프레임(34)에 설치되기 때문에, LED 기판(13)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LED 기판(13)이 고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LED 기판(13)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가진의 구조(표시 모듈을 가진하는 예)
도 12는 제4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에는, 표시 모듈(12)의 단면이 나타나고, 도 12의 B에는 표시 모듈(12)의 전방면측이 나타내져 있다.
제4 가진의 구조는,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하는 구조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2)은, 화상 표시부(12a)가 부재(12b)를 통해 모듈 프레임(34)에 고정됨으로써 구성된다.
표시 모듈(12)의 배면측에 백 프레임(51)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캐비넷이 구성된다. 캐비넷의 내부이며, 모듈 프레임(34)의 배면측의 예를 들어 중앙의 위치에는 가진기(41)가 마련된다. 가진기(41)는, 백 프레임(51)에 고정된 스프링(52)을 통해 백 프레임(51)에 설치된다. 모듈 프레임(34)과 가진기(41)가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스프링(52)에 의해, 가진기(41)가 모듈 프레임(34)에 압박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듈 프레임(34)과 가진기(41)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의해, 표시 모듈(12)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표시 모듈(12)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진기(41)가 모듈 프레임(34)의 배면측에 직접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가진기(41)가 음성 신호에 따라서 진동함으로써, 표시 모듈(12) 전체에 대하여 진동이 전달된다. 가진기(41)가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함으로써,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2)의 화상 표시부(12a)를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표시 모듈(12)을 구성하는 LED 기판(13)을 가진하는 것이 아니고,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함으로써도,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LED 기판의 각각에 가진기를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있어서도,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킨다고 한 것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가진의 구조(복수의 가진기를 사용하는 예)
도 13은 제5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5 가진의 구조는, 복수의 가진기(41)를 사용해서 표시 모듈(12)을 가진하는 구조이다. 예로서 4군데를 가진한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비넷의 내부이며, 모듈 프레임(34)의 배면측의 상방의 위치에는 가진기(41-1)가 마련되고, 하방의 위치에는 가진기(41-2)가 마련된다. 가진기(41-1)는 백 프레임(51)에 고정된 스프링(52-1)에 설치된다. 가진기(41-2)는, 백 프레임(51)에 고정된 스프링(52-2)에 설치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에, 모듈 프레임(34)과 가진기(41-1, 41-2)가 고정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스프링(52-1, 52-2)에 의해, 가진기(41-1, 41-2)가 모듈 프레임(34)에 압박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진기(41-1, 41-2)와 마찬가지 구성을 갖는 가진기(41-3, 41-4)가 캐비넷의 내부에 마련된다.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된 가진기(41-1 내지 41-4)가 음성 신호에 따라서 진동함으로써, 표시 모듈(12) 전체에 대하여 진동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가진기(41-1 내지 41-4)가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함으로써,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2)의 화상 표시부(12a)를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가진기에 의해 표시 모듈(12) 전체를 균일하게 가진함으로써, 표시 모듈(12)의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LED 기판의 사양을 변경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4 가진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킨다고 한 것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가진의 구조(캐비넷의 외부에서 가진기를 삽입하는 예)
도 14는 제6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6 가진의 구조는, 캐비넷의 외부에서 삽입한 가진기(41)에 의해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하는 구조이다.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51)의 일부에는, 캐비넷의 배면측을 향한 개구부(61)가 형성된다. 캐비넷의 외부로부터 개구부(61)를 통해서 삽입된 가진기(41)는, 스프링(52)에 의해, 모듈 프레임(34)의 배면측의 상방의 위치에 압박하도록 마련된다.
가진기(41)는, 외장 가진 박스(62)의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52)에 설치된다. 가진기(41)가 음성 신호에 따라서 진동함으로써, 표시 모듈(12) 전체에 대하여 진동이 전달된다. 가진기(41)가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함으로써,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2)의 화상 표시부(12a)를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외장 가진 박스(62)에 마련된 가진기(41)에 의해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함으로써,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음성을 출력시키는 캐비넷과, 음성을 출력시키지 않는 캐비넷이 표시부(11)에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캐비넷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비용이 필요해진다. 또한, 표시 장치(1)의 새로운 모델의 설계 시, 표시부(11)를 가진하는 구조를 새로운 모델에 맞춰서 설계하는 공정이 필요해진다.
제6 가진의 구조에 있어서는, 캐비넷의 백 프레임(51)에 개구부(61)를 형성해 두고, 외장 가진 박스(62)(외부 유닛)를 후장착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킨다고 한 것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통의 위치에 개구부(61)를 형성한 복수의 캐비넷 중, 음성을 출력시키는 캐비넷에는 외장 가진 박스(62)가 설치되고, 음성을 출력시키지 않는 캐비넷에는 외장 가진 박스(62)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공통의 설계의 캐비넷을 사용하여, 소정의 캐비넷으로부터만 음성이 출력되는 표시부(11)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개구부(61)를 형성하는 것 이외의 설계의 변경을 캐비넷에 대하여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6 가진의 구조는, 다양한 표시 장치(1)의 모델에 적용 가능하며, 범용성이 높은 구조라 할 수 있다.
·제7 가진의 구조(외장 가진 박스에 기재를 내장하는 예)
도 15는 제7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7 가진의 구조는, 외장 가진 박스(62)의 내부에 기재(63)을 마련한 구조이다.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4의 외장 가진 박스(62)보다 대형의 외장 가진 박스(62)의 내부에는, 가진기(41)의 음향 특성을 보정하는 기재(63)가 마련된다. 기재(63)는 가진기(41)에 접속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앰프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재(63)는 가진기(41)에 최적화한 신호 처리를 음성 신호에 대하여 실시한다.
기재(63)에 있어서 신호 처리가 실시된 음성 신호에 따라서 가진기(41)가 진동함으로써, 표시 모듈(12) 전체에 대하여 진동이 전달된다. 가진기(41)가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함으로써,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2)의 화상 표시부(12a)를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제7 가진의 구조에 있어서는, 외장 가진 박스(62)에 내장된 기재(63)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7 가진의 구조에 있어서는, 외장 가진 박스(62)에 앰프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앰프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제6 가진의 구조(도 14)에 있어서는,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앰프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외장 가진 박스(62)에 내장된 가진기(41)용 앰프를 사용한 신호 처리가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가진의 구조(캐비넷의 외부에서 복수의 가진기를 삽입하는 예)
도 16은 제8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8 가진의 구조는, 캐비넷의 외부에서 삽입한 복수의 가진기(41)에 의해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하는 구조이다.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51)의 상방 위치에는, 캐비넷의 배면측을 향한 개구부(61-1)가 형성되고, 하방의 위치에는, 캐비넷의 배면측을 향한 개구부(61-2)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넷의 외부로부터 개구부(61-1)를 통해서 삽입된 가진기(41-1)는, 스프링(52)에 의해, 모듈 프레임(34)의 배면측의 상방의 위치에 압박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캐비넷의 외부로부터 개구부(61-2)를 통해서 삽입된 가진기(41-2)는 모듈 프레임(34)의 배면측의 하방의 위치에 압박하도록 마련된다.
가진기(41-1)는 외장 가진 박스(62-1)의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52-1)에 설치되고, 가진기(41-2)는 외장 가진 박스(62-2)의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52-2)에 설치된다.
가진기(41-1, 41-2)가 음성 신호에 따라서 진동함으로써, 표시 모듈(12) 전체에 대하여 진동이 전달된다. 가진기(41-1, 41-2)가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함으로써,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2)의 화상 표시부(12a)를 방사면으로서 음성이 출력된다.
제8 가진의 구조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진기(41-1, 41-2)에 의해 표시 모듈(12)을 가진하기 때문에, 1개의 가진기(41)에 의해 표시 모듈(12) 전체를 가진하는 제6 가진의 구조와 비교하여, 음압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개의 표시 모듈(12)에 마련되는 가진기의 수는, 필요해지는 음압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가진기(41-1)와 가진기(41-2)가 밸런스를 취하면서 가진함으로써, 음성에 균일한 지향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간섭이 자연스러운 것이 되는 지향성을, 인접하는 표시 모듈(12)의 각각으로부터 발해지는 음성에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9 가진의 구조(복수의 가진기에 접속된 기재를 외장 가진 박스에 내장하는 예)
도 17은 제9 가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9 가진의 구조는 외장 가진 박스(62)의 내부에, 복수의 가진기에 접속된 기재를 마련한 구조이다.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진기(41-1, 41-2)는 도 14의 외장 가진 박스(62)보다 대형의 외장 가진 박스(62)의 내부에 고정된 스프링(52-1, 52-2)에 설치된다. 외장 가진 박스(62)의 내부에 있어서, 가진기(41-1)와 가진기(41-2) 사이에는, 가진기(41-1)와 가진기(41-2)의 음향 특성을 보정하는 기재(63)가 마련된다.
가진기(41-1)와 가진기(41-2)에 최적화한 신호 처리가 기재(63)에 의해 실시된다. 기재(63)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가진기(41-1)와 가진기(41-2)를 협조시켜서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가진기에서 표시 모듈(12)을 가진한 경우, 1개의 가진기에서 표시 모듈(12)을 가진한 경우보다 복잡한 제어가 필요해진다. 각각의 가진기를 협조시켜서 제어함으로써, 별도 준비된 앰프에서는 이룰 수 없는 고음질의 음성을 표시 모듈(12)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9 가진의 구조에 있어서는, 외장 가진 박스(62)에 앰프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앰프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제8 가진의 구조(도 16)에 있어서는,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앰프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외장 가진 박스(62)에 내장된 가진기(41-1, 41-2)용 앰프를 사용한 신호 처리가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 표시 장치의 구성>
도 18은 표시 장치(1)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제어부(101), 표시부(11) 및 음 출력부(102)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디바이스 등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ROM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CPU가 RAM에 로드해서 실행함으로써, 표시 장치(1)에 의한 화상의 표시 등의 다양한 동작이 제어된다.
제어부(101)는 콘텐츠를 재생해서 얻어진 화상을 표시부(11)에 표시시켜서, 음성을 음 출력부(102)에 출력시킨다. 화상의 표시와 음성의 출력을 통합 제어할 뿐만 아니라, 화상의 표시와 음성의 출력이 별도의 처리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음 출력부(102)는 가진기(21)가 마련된 LED 기판(13)이나 가진기(41)가 마련된 표시 모듈(12)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음 출력부(102)는 제어부(10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음성을 출력한다. 음 출력부(102)가 표시 장치(1)의 외부의 장치로서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도 19는 음 출력부(102)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 출력부(102)는 지연부, 게인 조정부, 이퀄라이저, 필터로 이루어지는 신호 처리계가, 가진기의 수에 따라서 마련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도 19의 예에 있어서는, 음 출력부(102)는, 지연부(121-1 내지 121-3), 게인 조정부(122-1 내지 122-3), 이퀄라이저(123-1 내지 123-3), 필터(124-1 내지 124-3), 및 가진기(125-1 내지 125-3)에 의해 구성된다.
지연부(121-1 내지 121-3)에는 음성 신호가 공급된다. 지연부(121-1 내지 121-3)는 공급된 음성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게인 조정부(122-1 내지 122-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지연부(121-1)의 지연 시간, 지연부(121-2)의 지연 시간 및 지연부(121-3)의 지연 시간은, 각각 적절한 지연 시간이 되게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지연부(121-1 내지 121-3)에서의 지연 처리는, 예를 들어 가진기(125-1 내지 125-3)에서의 음성의 출력 타이밍을 정렬시키기 위해서 행해진다. 그 밖에도, 가진기(125-1 내지 125-3)끼리의 간섭을 제어하거나, 방사되는 소리의 지향성을 제어하거나 하기 위해서도 지연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지연부(121-1 내지 121-3)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통합해서 지연부(121)라고 한다. 복수 마련되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통합해서 설명한다.
게인 조정부(122-1 내지 122-3)는 지연부(121-1 내지 121-3)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게인 조정을 행하고, 게인 조정 후의 음성 신호를 이퀄라이저(123-1 내지 123-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게인 조정부(122-1 내지 122-3)에서는, 가진기(125-1 내지 125-3)에 의한 진동에 의해 표시부(11)로부터 출력시키는 음성의 음압이 같은 음압 등이 원하는 음압이 되게,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 조정이 행해진다.
이퀄라이저(123-1 내지 123-3)는 게인 조정부(122-1 내지 122-3)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이퀄라이저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음성 신호를 필터(124-1 내지 124-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퀄라이저(123-1 내지 123-3)에서는, 가진기(125-1 내지 125-3)에 의한 진동에 의해 표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편평한 특성 등이 원하는 특성이 되도록, 음성 신호에 대한 이퀄라이저 처리가 행해진다.
필터(124-1 내지 124-3)는 이퀄라이저(123-1 내지 123-3)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성분을 통과시키는 필터링을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진 음성 신호를 가진기(125-1 내지 125-3)에 출력한다.
가진기(125-1 내지 125-3)는, LED 기판(13)에 마련된 가진기(21)(예를 들어 도 4)이나 표시 모듈(12)에 마련된 가진기(41)(예를 들어 도 12)에 대응한다. 가진기(125-1 내지 125-3)는, 필터(124-1 내지 124-3)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따라서 진동하고, LED 기판(13)이나 표시 모듈(12)을 가진함으로써,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킨다.
<3. 변형예>
·제1 변형예(저역용 스피커를 마련하는 예)
도 20은 표시 장치(1)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중복된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한 표시 장치(1)는 표시부(11), 화면 가진 출음부(151) 및 저역용 스피커(152; 152-1, 152-2)에 의해 구성된다.
화면 가진 출음부(151)는, 상술한 제1 내지 제9 가진의 구조의 어느 것을 사용한 구성이 표시부(11)의 중앙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제1 내지 제9 가진의 구조의 어느 것을 사용한 구성이, 표시부(1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서 기능한다.
저역용 스피커(152)는, 예를 들어 어레이 스피커에 의해 구성된다. 저역용 스피커(152)로서 어레이 스피커 이외의 스피커가 마련되도록 해도 된다. 저역용 스피커(152-1)는 표시부(11)에 인접해서 상단의 프레임 부분에 마련되고, 저역용 스피커(152-2)는 표시부(11)에 인접해서 하단의 프레임 부분에 마련된다. 또한, 저역용 스피커(152-1)와 저역용 스피커(152-2)의 어느 것만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2대의 저역용 스피커(152-1, 152-2)를 표시부(11)의 상하에 마련함으로써, 일체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0의 예에서는, 음성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와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된다. 화면 가진 출음부(151)에 따라서는 저역의 음성 출력이 곤란하고, 음질의 열화가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고역의 음성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출력되고, 저역의 음성이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된다.
도 21은 화면 가진 출음부(151)와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게인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 이하의 주파수의 음성이, 저역의 음성으로서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도 21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 이상의 주파수의 음성이, 고역의 음성으로서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출력된다.
고역의 음성이 표시부(11) 내에 마련된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출력 됨으로써, 시청자는 음성의 음상이 표시부(11) 상의 위치에 정위하고 있도록 지각하게 된다. 정위가 명확하게 느껴지는 음상, 즉, 정위에 유효한 고음(고역의 음성)의 음상을 표시부(11) 내에 정위시킴으로써, 화상과 음성의 일체감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저역의 음성 음상은, 고역의 음성 음상과 비교해서 정위가 애매해진다(정위감이 낮다). 저역의 음성이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저역의 음성 음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음질 열화가 발생해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고역의 음성을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출력하고, 저역의 음성을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함으로써, 저역으로부터 고역까지의 풀 레인지에서 고음질의 음성의 출력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지향성 제어가 행해짐으로써,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출력된 음성과 대략 동일한 확대 정도에서 전반하는 음성이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된다. 고역의 음성과 저역의 음성을 대략 동일한 확대 정도에서 전반시킴으로써, 시청자가 지각하는, 고역의 음성과 저역의 음성이 들려오는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해서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저역용 스피커(152)가 마련되는 경우의 음 출력부(10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도 19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중복된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음 출력부(102)의 구성은, 필터(124-1 내지 124-3) 대신에HPF(High Pass Filter)(171-1 내지 171-3)가 마련되는 점에서, 도 19의 음 출력부(102)의 구성과 다르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음 출력부(102)의 구성은, 지연부(181), 게인 조정부(182-1, 182-2), 이퀄라이저(183-1, 183-2), LPF(Low Pass Filter)(184-1, 184-2), 지연부(185-1, 185-2) 및 저역용 스피커(152-1, 152-2)가 마련되는 점에서, 도 19의 음 출력부(102)의 구성과 다르다.
HPF(171-1 내지 171-3)는 이퀄라이저(123-1 내지 123-3)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고역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링을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진 고역 신호를 가진기(125-1 내지 125-3)에 출력한다.
즉, HPF(171-1 내지 171-3)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고역 신호를 생성하는 고역 필터부로서 기능한다. HPF(171)가 이퀄라이저(123)에 의해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가진기(125-1 내지 125-3)는 HPF(171-1 내지 171-3)로부터 공급된 고역 신호에 따라서 진동하고, LED 기판(13)이나 표시 모듈(12)을 가진함으로써, 고역의 음성을 방사면으로부터 출력시킨다.
지연부(181)에는, 지연부(121-1 내지 121-3)에 공급되는 음성 신호와 동일한 음성 신호가 공급된다. 지연부(181)는 공급된 음성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게인 조정부(182-1)와 게인 조정부(182-2)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지연부(181)에서는, 가진기(125)의 가진에 의해 표시부(1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저역용 스피커(152-1)나 저역용 스피커(152-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보다 먼저 시청자에게 도달하도록, 음성 신호를 지연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지연부(181)에 있어서의 지연 처리는, 선행음 효과를 위해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표시 장치(1)는 선행음 효과에 의해, 음상의 정위 위치가, 표시부(11) 내의 위치라고 지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도래하는 음성은, 시청자에게 먼저 도달한 음성의 도래 방향으로부터 들려오도록 지각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그러한 현상은 선행음 효과라 불리고 있다.
지연부(181)에 있어서, 고역 신호보다 지연시키는 지연 처리가 음성 신호에 대하여 행해짐으로써, 저역용 스피커(152)보다 먼저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된 음성에 대해서도,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출력된 음성의 도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들려온 것 처럼 시청자에게 지각시킬 수 있다. 즉, 표시부(11) 내의 위치에 음성의 음상을 정위시킬 수 있다.
게인 조정부(182-1, 182-2)는 지연부(181)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게인 조정을 행하고, 게인 조정 후의 음성 신호를 이퀄라이저(183-1, 183-2)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게인 조정부(182-1, 182-2)에서는, 저역용 스피커(152-1, 152-2)로부터 출력된 음성의 음압이 같은 음압 등이 원하는 음압이 되도록, 음성 신호에 대한 게인 조정이 행해진다.
이퀄라이저(183-1, 183-2)는 게인 조정부(182-1, 182-2)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이퀄라이저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음성 신호를 LPF(184-1, 184-2)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퀄라이저(183-1, 183-2)에서는, 저역용 스피커(152-1, 152-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편평한 특성 등이 원하는 특성이 되도록, 이퀄라이저 처리가 행해진다.
LPF(184-1, 184-2)는, 이퀄라이저(183-1, 183-2)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저역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링을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진 저역 신호를 지연부(185-1, 185-2)에 출력한다.
LPF(184)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저역 신호를 생성하는 저역 필터부로서 기능한다. LPF(184)가 이퀄라이저(183)에 의해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지연부(185-1, 185-2)는 LPF(184-1, 184-2)로부터 공급된 저역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저역용 스피커(152-1, 152-2)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지연부(185-1)의 지연 시간과 지연부(185-2)의 지연 시간은, 저역용 스피커(152-1, 152-2)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시청자에게 동시에 도달하도록 제어된다. 지연부(181)에서 행해지는 지연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지연부(185)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저역용 스피커(152-1, 152-2)는 지연부(185-1, 185-2)로부터 공급된 저역 신호에 기초하여 저역의 음성을 출력한다.
·제2 변형예(다분할 구동의 예)
도 22의 제1 변형예에서는 1개의 화면 가진 출음부(151)와 2개의 저역용 스피커(152)가 마련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화면 가진 출음부와 저역용 스피커의 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23은 표시 장치(1)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는, 고역의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파선으로 나타내게 3개의 화면 가진 출음부(151-1 내지 151-3)가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된다.
화면 가진 출음부(151-1 내지 151-3)는 화면 가진 출음부(151)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9 가진의 구조의 어느 것을 사용한 구성이 표시부(11)의 좌측, 중앙,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 이상의 주파수의 음성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1 내지 151-3)로부터 출력되고, 2㎑ 이하의 주파수의 음성이 저역용 스피커(152-1, 151-2)로부터 출력된다.
3개의 화면 가진 출음부가 배치되는 경우, L 채널의 음성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1)로부터 출력되고, C 채널의 음성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R 채널의 음성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3)로부터 출력된다.
예를 들어, 화면 가진 출음부(151-1)로부터 출력된 음성은, 시청자로부터 보면, 표시부(11)의 좌측 부분에 정위하고, 화면 가진 출음부(151-2)로부터 출력된 음성은, 시청자로부터 보면, 표시부(11)의 중앙 부분에 정위한다. 또한, 화면 가진 출음부(151-3)로부터 출력된 음성은, 시청자로부터 보면, 표시부(11)의 우측 부분에 정위한다.
이와 같이, 도 23의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화면 가진 출음부(151-1 내지 151-3)로부터 각각 L 채널, C 채널, R 채널의 음성을 출력시키는 다분할 구동이 실현된다.
이 경우, 화면 가진 출음부(151)마다(L, C, R 채널마다),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의 음성과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의 음성과의 확대 정도를 맞추는 지향성 제어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어레이 스피커인 저역용 스피커(152)를 구성하는 스피커 중, 좌측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는 L 채널의 음성이 주로 출력되고, 중앙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는 C 채널의 음성이 주로 출력된다. 우측에 배치된 스피커로부터는 R 채널의 음성이 주로 출력된다.
이러한 지향성 제어를 행함으로써, 각채널에 있어서 고역의 음성과 저역의 음성 확대 정도를 일치시켜서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채널간의 음성의 간섭도 경감시킬 수 있고, 음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변형예(출신 소리 위치가 이동하는 예)
도 24는 표시 장치(1)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는, 저역용 스피커(152)로서, 저역용 스피커(152-1 내지 152-4)가 마련된다. 화면 가진 출음부(151)는 표시부(11)의 전체에 마련된다.
저역용 스피커(152-1)와 저역용 스피커(152-2)는, 도 20과 마찬가지로, 표시부(11)에 인접해서 상단과 하단의 프레임 부분에 각각 마련된다. 저역용 스피커(152-3)는 표시부(11)에 인접해서 좌측 단부의 프레임 부분에 마련되고, 저역용 스피커(152-4)는 표시부(11)에 인접해서 우측 단부의 프레임 부분에 마련된다.
도 24의 예에 있어서도, 고역의 음성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로부터 출력되고, 저역의 음성이 저역용 스피커(152)로부터 출력된다.
피사체(오브젝트)가 이동하는 화상이 표시 되는 경우가 있다. 도 24의 표시 장치(1)에 있어서는, 오브젝트의 이동에 연동하고, 굵은 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음 위치(음원)을 표시부(11) 상으로 이동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출음 위치의 이동은, 예를 들어 각 시각에 있어서의 이동 음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예를 들어, 어떤 시각에 있어서, 표시부(11)의 좌비스듬히 아래의 위치 P1에 음상이 정위하게, 화면 가진 출음부(151)의 영역 A21로부터 고역의 음성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라 한다.
이때, 저역용 스피커(152-1 내지 152-4)으로부터는, 위치 P1에 음상을 정위시키기 위한 저역 음성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위치 P1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저역용 스피커(152-2)와 저역용 스피커(152-3)로부터 음성이 주로 출력되고, 저역용 스피커(152-1)와 저역용 스피커(152-4)로부터는 음성이 거의 출력되지 않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브젝트의 위치가 위치 P1로부터 위치 P2로 이동한 경우, 화면 가진 출음부(151)의 영역 A22로부터 고역의 음성이 출력된다. 이에 의해, 시청자는, 고역의 음성 출음 위치가 위치 P1로부터 위치 P2로 이동한 것처럼 들리게 된다.
또한, 저역용 스피커(152-1 내지 152-4)로부터는, 고역 음성의 출음 위치의 이동에 맞춰서 위치 P2에 음상을 정위시키기 위한 저역의 음성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위치 P2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저역용 스피커(152-1)와 저역용 스피커(152-4)로부터 음성이 주로 출력되고, 저역용 스피커(152-2)와 저역용 스피커(152-3)로부터 음성이 거의 출력되지 않게 되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화면 가진 출음부(151)와 저역용 스피커(152-1 내지 152-4)를 조합함으로써, 오브젝트가 이동한 경우에도, 임의의 위치에 음상을 정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음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유저 등에 의해 입력되게 해도 되고, 음성 신호의 메타데이터로서 미리 준비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오디오에서는, 각 오브젝트의 음성 신호의 메타데이터에, 공간 내에 있어서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콘텐츠의 화상과 음성 신호의 적어도 한쪽을 입력으로 하고, 위치 정보를 출력으로 하는 DNN(Deep Neural Network)을 미리 학습해 두고, 표시 장치(1)에 있어서, DNN을 이용해서 위치 정보가 생성되도록 해도 된다.
·기타
표시 모듈(12)의 화상 표시부(12a)가 LED 기판(13)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LED 이외의 광원 소자가 배치된 광원 기판에 의해 화상 표시부(12a)가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1)가 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표시 장치(1)가 출력하는 음성에는, 사람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음악, 효과음, BGM 등의 각종의 소리가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구성의 조합 예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복수의 광원 기판을 갖는 표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
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
상기 가진기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인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측에 마련된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인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에 직접 고정되는
상기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에 마련된 보스를 통해 고정되는
상기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측에 마련되고, 신축함으로써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진동시키는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인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광원 기판은, 자석에 의해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설치되는
상기 (6)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에 압박되는
상기 (6)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상기 (8)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표시 모듈을 갖는 캐비넷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서 삽입되는
상기 (8)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외부 유닛은,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음향 특성을 보정하는 기재를 내장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표시 장치.
(12)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상기 (10)에 기재된 표시 장치.
(13)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외부 유닛은,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음향 특성을 보정하는 기재를 내장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표시 장치.
(14)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재에 마련되고, 음성 신호의 저역 성분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복수의 저역용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고역 성분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상기 (1) 내지 (13)의 어느 것에 기재된 표시 장치.
(15)
상기 음성 신호의 저역 성분을, 상기 음성 신호의 고역 성분보다 지연시키는 지연 처리를 행하는 지연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표시 장치.
(16)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복수 마련되는
상기 (14) 또는 (15)에 기재된 표시 장치.
(17)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상기 화상에 비추는 피사체의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로부터 상기 음성을 출력시키는
상기 (14) 또는 (15)에 기재된 표시 장치.
(18)
복수의 광원 기판을 갖는 표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가,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출력 방법.
(19)
복수의 광원 기판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광원 기판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
를 구비하는 표시 모듈.
1: 표시 장치, 11: 표시부, 12: 표시 모듈, 12a: 화상 표시부, 13: LED 기판, 21: 가진기, 32: 보스, 33: 섀시, 34: 모듈 프레임, 41: 가진기, 51: 백 프레임, 52: 스프링, 61: 개구부, 62: 외장 가진 박스, 63: 기재, 101: 제어부, 102: 음 출력부, 151: 화면 가진 출음부, 152-1 내지 152-4: 저역용 스피커, 181: 지연부

Claims (19)

  1. 복수의 광원 기판을 갖는 표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
    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기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인,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측에 마련된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인,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에 직접 고정된,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의 배면에 마련된 보스를 통해 고정되는,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측에 마련되고, 신축함으로써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진동시키는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인,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은, 자석에 의해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에 압박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는, 상기 표시 모듈을 갖는 캐비넷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캐비넷의 외부에서 삽입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외부 유닛은,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음향 특성을 보정하는 기재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갖는 외부 유닛은, 복수의 상기 적층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음향 특성을 보정하는 기재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부재에 마련되고, 음성 신호의 저역 성분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복수의 저역용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상기 음성 신호의 고역 성분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의 저역 성분을, 상기 음성 신호의 고역 성분보다 지연시키는 지연 처리를 행하는 지연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복수 마련되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가진 출음부는, 상기 화상에 비추는 피사체의 상기 표시부상의 위치로부터 상기 음성을 출력시키는, 표시 장치.
  18. 복수의 광원 기판을 갖는 표시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장치가,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광원 기판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출력 방법.
  19. 복수의 광원 기판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광원 기판을 배면측으로부터 가진기에 의해 가진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는 화면 가진 출음부
    를 구비하는 표시 모듈.
KR1020237030698A 2021-03-31 2022-01-26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 KR202301608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59263 2021-03-31
JPJP-P-2021-059263 2021-03-31
PCT/JP2022/002776 WO2022209225A1 (ja) 2021-03-31 2022-01-26 表示装置、出力方法、および表示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805A true KR20230160805A (ko) 2023-11-24

Family

ID=8345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698A KR20230160805A (ko) 2021-03-31 2022-01-26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55273A1 (ko)
JP (1) JPWO2022209225A1 (ko)
KR (1) KR20230160805A (ko)
CN (1) CN117063487A (ko)
WO (1) WO20222092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5426A (ja) 2011-05-09 2012-11-29 Nippon Hoso Kyokai <Nhk>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0597U (ko) * 1984-09-26 1986-04-23
JP4655243B2 (ja) * 2008-09-09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駆動方法
JP2013207601A (ja) * 2012-03-28 2013-10-07 Kyocera Corp 電子機器
JP6514079B2 (ja) * 2015-09-24 2019-05-15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
KR101817103B1 (ko) * 2016-06-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US11337008B2 (en) * 2017-12-07 2022-05-17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210004326A (ko) * 2019-07-04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WO2021014933A1 (ko) * 2019-07-19 2021-01-28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5426A (ja) 2011-05-09 2012-11-29 Nippon Hoso Kyokai <Nhk>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5273A1 (en) 2024-05-09
CN117063487A (zh) 2023-11-14
JPWO2022209225A1 (ko) 2022-10-06
WO2022209225A1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121B2 (en) Surface speaker
JP6489291B2 (ja)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および表示装置
KR100609914B1 (ko)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JP5884048B2 (ja) 圧電スピーカおよび圧電スピーカアレイ
JP5314588B2 (ja) 複合スピーカ、音声画像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音響システム
US9942640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70036388A1 (en) Flat panel audio output apparatus and video/audio output apparatus
CN112019968B (zh) 显示设备
US9288564B2 (en) Integrated audio-visual systems
JP2010166515A (ja) 平面スピーカ、音声画像ディスプレイ、および車両用音響システム
WO2022024763A1 (ja) オーディオデバイスおよび駆動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JP5588752B2 (ja) 透明音響壁体
KR20230160805A (ko) 표시 장치, 출력 방법 및 표시 모듈
JP7205495B2 (ja) 表示装置および信号生成装置
WO2021117575A1 (ja) 音声出力装置、及び加振機構
WO2013118384A1 (ja) スピーカ装置
JP2006041771A (ja) 音響再生装置
JP4946496B2 (ja) スピーカ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JP4961954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音響設備
JP5191468B2 (ja) スピーカ装置,表示装置
JP2006332782A (ja) ラテラル駆動型スピーカ
JP2008227802A (ja) アレイ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5184393A (ja) 音響再生装置
JP2022087771A (ja) スピーカ装置
CN103260113A (zh) 发声器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