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008A -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008A
KR20230160008A KR1020220059510A KR20220059510A KR20230160008A KR 20230160008 A KR20230160008 A KR 20230160008A KR 1020220059510 A KR1020220059510 A KR 1020220059510A KR 20220059510 A KR20220059510 A KR 20220059510A KR 20230160008 A KR20230160008 A KR 20230160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shock absorber
torsion bar
low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7503B1 (en
Inventor
방재근
김기정
주성권
Original Assignee
서한이노빌리티(주)
한국무브넥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이노빌리티(주), 한국무브넥스 (주) filed Critical 서한이노빌리티(주)
Priority to KR102022005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03B1/en
Publication of KR2023016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60G11/18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the torsion-bar consisting of a bundle of torsion elements
    • B60G11/185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the torsion-bar consisting of a bundle of torsio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06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4Torsion spring comprising a transversal torsion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60Subfram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일 측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각각 상대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이 차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로워 암; 일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며,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타 단부가 비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동운동을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하는 토크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that are fixed to a vehicle or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a lower arm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on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heel; a torsion bar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at least on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e on the second bracket, and which is arranged so that the other end can be twist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lower arm; and a torque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wer arm into a twisting movement of the torsion bar. Provided is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Description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Shock absorb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 차륜을 통하여 차량의 바디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that can absorb shock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vehicle through each wheel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 및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다.In general, a suspension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ride comfort and increase driving stability b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through spring action and at the same time relieving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wheels.

이러한 현가장치는 보통 차축식과 독립 현가장치로 대별되고, 또한 스프링의 조율에 따라 기계 스프링식, 유체 스프링식(공기식, 유압/공기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se suspension devices are usually roughly divided into axle-type and independent suspension devices, and can also be classified into mechanical spring type, fluid spring type (pneumatic type, hydraulic/pneumatic type), etc. depending on the tuning of the spring.

예컨대, 종래 현가장치 중 맥퍼슨형 독립 현가장치의 경우, 쇽 업소버(shock absorber)가 내장된 스트럿과, 코일 스프링이 일체로 구성되고, 쇽 업소버와 코일 스프링이 차량의 상하 방향 또는 이에 근접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MacPherson type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among conventional suspension systems, a strut with a built-in shock absorber and a coil spring are integrated, and the shock absorber and the coil spring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or close to it. It is installed with an inclination.

따라서, 종래의 충격 흡수장치는 전기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각 차륜과 바디를 연결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바디에 동일한 차량 플랫폼을 공용화 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충격 흡수장치의 중량이 스프링의 하중량을 포함하기 때문에 승차감이 저하되거나, 차량 상단에 위치할 수 밖에 없는 한계성으로 인해 조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connects each wheel and th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t has limitations in sharing the same vehicle platform for various types of bodies. In addition, because the weight of the shock absorber includes the weight of the spring, there is a problem that ride comfort is deteriorated, and steer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due to the limitation of being located at the top of the vehicle.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9094호(1999.07.15 공개)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9-0029094 (published on July 15, 1999)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 방향 방향으로 충격 흡수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that can b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일 측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각각 상대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이 차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로워 암; 일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며,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타 단부가 비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동운동을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하는 토크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ncludes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that are fixed to a vehicle or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a lower arm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on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heel; a torsion bar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at least on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e on the second bracket, and which is arranged so that the other end can be twist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lower arm; and a torque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wer arm into a twisting movement of the torsion bar. Provided is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상기 토크 변환부는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토션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커암과, 상기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로커암의 타 측을 가압하도록 회동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rque converter has one sid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a rocker arm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rsion bar, and the rocker ar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wer arm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racket. It may include a pressurizing plate that rotates to pressurize the other side of the arm.

상기 로커암은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을 향해 돌출되고 외주면의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동하면, 상기 체결부재가 토션바의 타 단부에 비틀림 응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cker arm includes a fastening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is inserted, a pressing member that protrudes from the fastening member toward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has a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fasten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ressing member, and when the pressing member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ing plate, the fastening member may provide torsional stress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가압 플레이트 사이를 차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racket may include a cover member arranged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and a sealing member that shields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상기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측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전력을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plate that is close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plate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arm to the pressure plate.

상기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는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that fixes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t a set interval.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은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 중심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토션바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중심이 서로 등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center of the lower arm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astening member,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orsion bars, the rotation centers of the fastening members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equal angles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wer arm.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vehic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차륜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충격 흡수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바디와 차륜 사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바디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며,First, because the shock absorber is arran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s move due to external shocks, the height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s can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body design.

둘째, 충격 흡수장치가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기존 현가장치가 차량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며,Second, the shock absorbers are arrang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which increases space utiliz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uspension structure where the suspension system is arranged along the top and bottom directions of the vehicle.

셋째,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충격 흡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 플랫폼을 공용화할 수 있고,Third, because shock absorbers can be install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the body platform can be shared.

넷째, 충격 흡수장치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어 주행성능과 연비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Fourth,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of the shock absorber can be lowered,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fuel efficiency, and ride comfort.

다섯째, 충격 흡수장치에서 토션바가 상대 회동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저항에 의해 힘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orsion bar rotates relative to the shock absorber,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loss of force due to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absorbing the shock.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I-I'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토크 변환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The above-described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the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ure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rque conversion portion of the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3 separated.
FIG.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3.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차륜(W)이 4개 구비된 차량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전차륜이 독립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조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또는 전차륜이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shock absorber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vehicle equipped with four wheels (W), but the front wheels can independently absorb shock and the steering can be controlled, and at least two or all wheels may selectively provide driving forc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차륜(W)이 하나에서 세 개인 경우, 또는 4개를 초과하는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is vehicle shock absorber 1 can be applied to vehicles with one to three wheels W or more than four wheels.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는 로워 암(110)과 제1브라켓(도 3 참조, 120) 및 제2브라켓(도 3 참조, 130)과, 토션바(140)와 토크 변환부(150)를 포함한다.The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includes a lower arm 110, a first bracket (see FIG. 3, 120), a second bracket (see FIG. 3, 130), a torsion bar 140, and a torque converter 150.

여기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로워 암(110)의 단부에 너클(10)과 허브 베어링(20)의 조립체를 통해서 차륜(W)이 결합되고,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 또는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을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40)가 차량의 바디(body) 측에 결합된다. 고정 플레이트(40) 상에는 별도의 케이스(200) 구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이 직접적으로 차량의 바디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Here, the vehicle shock absorber 1 is coupled to the wheel (W) at the end of the lower arm 110 through an assembly of the knuckle 10 and the hub bearing 20, and includes a first bracket 120 and a second bracket. 130 or the fixing plate 40 that fixes the first bracket 120 and the second bracket 130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vehicle. A separate case 200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40. Of course, the shock absorber 1 for a vehicl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racket 120 and the second bracket 130 are directly fixed to the body of the vehicle.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I-I'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토크 변환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I' cross section of the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3.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rque conversion part of the absorber separated, and FIG.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3.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로워 암(110)은 일 측이 차륜(W)과 결합된 너클(도 1 참조, 10) 측에 결합되고, 타 측 양 단부가 각각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으로부터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로워 암(110)의 상대 회동은 차륜(W)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6, one side of the lower arm 110 is coupled to the knuckle (see FIG. 1, 10) coupled to the wheel W, and both ends of the other sid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120. and is coupl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from the second bracket 130. At this time,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lower arm 110 may occur in respons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heel W.

로워 암(110)은 세 개의 지점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너클의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암(111)과, 제1브라켓(12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암(112)과, 제2브라켓(13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2암(113)을 포함한다.The lower arm 110 is connected at three points: a connecting arm 111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knuckle, a first arm 112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bracket 120, and a second bracket. It includes a second arm 113 arranged to correspond to 130.

제1암(112)과 제2암(113)은 각각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의 외측에 배치된다.The first arm 112 and the second arm 113 are disposed outside the first bracket 120 and the second bracket 130, respectively.

제1암(112)과 제1브라켓(120) 사이에는 베어링(121)이 결합된다. 따라서, 베어링(121)을 중심으로 제1암(112)은 제1브라켓(120) 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A bearing 121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arm 112 and the first bracket 120. Accordingly, the first arm 112 is arranged to be rotatable on the first bracket 120 around the bearing 121.

그리고, 제2암(113)은 후기할 회전 플레이트(50) 상에 결합되어 가압 플레이트(155)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관련한 토크 변환부의 설명은 후기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rm 113 is coupled to the rotation plate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arranged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ure plate 155. The explanation of the torque conversion unit in relation to this will be provided later.

제1암(112)과 제2암(113)은 대략 "C"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일체로 절곡되며,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연결암은 제1암(112) 및 제2암(113)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로워 암(110)은 대략 "Y"자 형상 또는 "y"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배치된다.The first arm 112 and the second arm 113 are bent integrally into an approximately “C” shape or a “┏┓” shape, and both end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arm is the first arm (112). ) and the lower arm 110 protrudes to ext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arm 113 and is arranged to have an approximately “Y” shape or a “y” shaped cross section.

여기서, 연결암이 제1암(112) 또는 제2암(113)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치우친 경우, 제2암(113)에 인접하게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암(112)과 제2암(113) 중 제2암(113)에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이다. 즉, 제1브라켓(120)과 제1암(112)은 단순히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인 반면에, 제2브라켓(130)과 제2암(113)은 로워 암(110)의 회전에 따라서 토크 변환부에 비틀림 응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암(112) 보다는 제2암(11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힘의 전달구조 또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Here, when the connecting arm is biased adjacent to either the first arm 112 or the second arm 113,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biased adjacent to the second arm 113. This is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arm 113 is greater among the first arm 112 and the second arm 113. That is, while the first bracket 120 and the first arm 112 are simply rotatably coupled, the second bracket 130 and the second arm 113 ar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wer arm 110.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transmits torsional stress to the torque converter, the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or structural stability can be secured by being placed closer to the second arm 113 rather than the first arm 112.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제1브라켓(120) 상에 복수개의 토션바(140)의 일 단부가 고정된다. 토션바(140)의 일 단부는 제1브라켓(120)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제1브라켓(1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토션바(140)의 일 단부가 제1브라켓(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우, 제1브라켓(120)을 관통한 외측에서 스냅링(141)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In the vehicle shock absorber 1, one end of a plurality of torsion bars 140 is fixed on a first bracket 120. One end of the torsion bar 140 may be fixed by penetrating the first bracket 120, or may be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first bracket 120. For example, when one end of the torsion bar 140 penetrates the first bracket 120 and is coupled, it may be fixed so as not to fall off by the snap ring 141 on the outside of the torsion bar 140 that penetrates the first bracket 120.

이때, 토션바(140)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션바(140)는 로워 암(11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6개가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토션바(1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orsion bar 14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as an example, six torsion bars 140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wer arm 110, and the number of torsion bars 140 is not limited to this.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제2브라켓(130)과 제2암(11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힘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즉, 차륜(W)의 상하 이동에 따라 로워 암(110)이 상하 이동하면서 제2암(113)이 회동한 만큼 토크 변환부(150)를 통해서 토션바(140)의 타 단부가 비틀어지는데, 이때 로워 암(110)의 상하운동이 토션바(140)의 비틀림 응력으로 전환되어 힘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장하게 된다.In the vehicle shock absorber 1, the direction of force changes at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bracket 130 and the second arm 113 are connected. That is, as the lower arm 110 moves up and down as the wheel W moves up and down,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40 is twisted through the torque converter 150 as the second arm 113 rotates. At this tim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wer arm 110 is converted into the torsional stress of the torsion bar 140 to change the direction of force and absorb or store the shock.

제2브라켓(130)에는 복수개 토션바(140)의 타 단부가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2브라켓(130)과 토션바(140)가 중첩되는 영역에는 베어링(1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라켓(130)의 외측에서 토션바(140)의 타 단부에는 토크 변환부(150)가 마련된다.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torsion bars 140 is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130 so as to penetrate therethrough. At this time, a bearing 142 may be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bracket 130 and the torsion bar 140 overlap. A torque conversion unit 15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40 outside the second bracket 130.

토크 변환부(150)는 로커암(151)과 가압 플레이트(155)를 포함한다.The torque converter 150 includes a rocker arm 151 and a pressure plate 155.

로커암(151)은 토션바(140)의 타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이 가압 플레이트(155)의 내부에서 간섭되도록 배치된다. 로커암(151)은 토션바(1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토션바(140)의 타 단부는 로커암(151)을 관통한 선단에 스냅링(143)이 결합될 수 있다.The rocker arm 151 is arranged so that one sid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40 and the other side interferes with the inside of the pressure plate 155. The rocker arm 151 is arrang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rsion bar 140. A snap ring 143 may be coupled to the tip of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40 that penetrates the rocker arm 151.

로커암(151)은 체결부재(152)와 가압부재(153) 및 연결부재(154)를 포함한다.The rocker arm 151 includes a fastening member 152, a pressing member 153, and a connecting member 154.

체결부재(152)는 토션바(140)의 타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공(152a)이 형성된다.The fastening member 152 has a through hole 152a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40 is inserted.

가압부재(153)는 가압 플레이트(155)의 내부에 형성된 요홈(156)을 향해 돌출된다. 가압부재(153)의 외주면은 요홈(156)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재(153)는 요홈(156) 내부에서 슬립이 발생하면서 상대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53 protrudes toward the groove 156 formed inside the pressing plate 155.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53 has one cross-section circular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oove 156.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153 may rotate relative to the groove 156 while slip occurs inside the groove 156.

연결부재(154)는 체결부재(152)와 가압부재(153)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재(154)는 요홈(156)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압부재(153)는 요홈(15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폭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54)는 가압부재(153) 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가압부재(153)와 가압 플레이트(155)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면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54 connects the fastening member 152 and the pressing member 153.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154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156. For example, the pressing member 153 has a shape and width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roove 156, and the connecting member 154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pressing member 153, so that the pressing member 153 and the pressing plate ( 155) may limit the rotation angle while providing a space for the opponent to rotate.

또한, 가압부재(153)가 가압 플레이트(155)와 연동하여 회동하면, 체결부재(152)가 각각의 토션바(140)의 타 단부에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비틀림 응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member 153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ing plate 155, the fastening member 152 generates torque at the other end of each torsion bar 140 to provide torsional stress. .

그리고, 가압 플레이트(155)의 일 측은 제2브라켓(130)의 외측에 배치되어 각 로커암(15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주면에 로커암(151)들이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156)이 등각의 방사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pressure plate 155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racket 130 to surround the outside of each rocker arm 151, and has a groov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rocker arms 151 can be inserted. (156) is formed in an equiangular radial shape.

또한, 가압 플레이트(155)는 제2브라켓(130)의 단부가 가압 플레이트(155)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된 커버부재(131) 내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가압 플레이트(155)의 외주면과 커버부재(131)의 내주면 사이에서 이들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실링부재(132)가 개재된다. 따라서, 실링부재(132)는 가압 플레이트(155)의 외주면과 커버부재(131)의 내주면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plate 155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131 arranged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bracket 130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155. Here, a sealing member 132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155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31 in an area where they overlap. Accordingly, the sealing member 132 can shiel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155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31.

가압 플레이트(155)의 타 측과 제2암(113) 사이에는 회전 플레이트(50)가 마련된다.A rotating plate 50 is provid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late 155 and the second arm 113.

회전 플레이트(50)는 제2브라켓(130) 상에서 로워 암(110)의 회전력을 가압 플레이트(155에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회전 플레이트(50)와 제2브라켓(130)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베어링(5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로워 암(110)의 제2암(113)을 관통한 패스너(f)는 회전 플레이트(50)를 관통하여 가압 플레이트(155)까지 고정시킨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50)와 가압 플레이트(155)는 서로 밀착 결합되고, 로워 암(11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50)와 가압 플레이트(155)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배치된다.The rotation plate 50 provide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arm 110 on the second bracket 130 to the pressure plate 155. In the area where the rotation plate 50 and the second bracket 130 overlap, A bearing 51 may be provided. That is, the fastener (f) penetrating the second arm 113 of the lower arm 110 penetrates the rotating plate 50 and secures it to the pressure plate 155. Therefore, , the rotation plate 50 and the pressure plate 155 ar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plate 50 and the pressure plate 155 are arranged to rotate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wer arm 110.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차륜(W)이 지면으로부터 상승된 범프(bump)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정차 상태 또는 차륜(W)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주행중인 상태에서의 차륜(W) 높이를 나타내는 중립 상태를 나타내고, 도 6(c)는 요철을 지나자마자 또는 지면에 홈이 파인 곳을 지날 때 차륜(W)이 아래로 처진 리바운드(rebound) 상태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 FIG. 6(a) shows a bumped state in which the wheel W is raised from the ground, and FIG. 6(b) shows a stationary state or a state in which no impact is applied to the wheel W. It represents a neutral state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wheel (W) in a driving state, and Figure 6(c) shows a rebound state in which the wheel (W) sags down immediately after passing an irregularity or a groove in the ground. represents.

도 6(a)와 같이, 범프 상태가 되면, 로워 암(110)의 차륜(W) 측이 차량 바디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션바(140)의 타 단부는 가압 플레이트가 제1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커암(151)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륜(W)에 전달된 충격량을 적어도 일부 흡수하게 된다. 즉, 범프 상태로 차륜(W)이 상승하게 되면, 차량 바디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토션바(140)에 비틀림 응력(torque)이 발생하면서 차륜(W)의 충격량을 일부 흡수하고 일부 저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a), when a bump occurs, the wheel (W) side of the lower arm 110 moves upward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40 absorbs at least part of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wheel W while the pressure plate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e.g., clockwise)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rocker arm 151. I do it. In other words, when the wheel (W) rises in a bump stat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is relatively lowered. At this time, torsion stress (torque) is generated in the torsion bar 140 and some of the impact of the wheel (W) is absorbed. Some of it will be saved.

그리고, 도 6(b)와 같이, 중립 상태에서는 토션바(140)에 소정의 비틀림 응력이 부여될 수 있지만 이는 외부 충격에 의한 응력이 아닌 차량의 하중에 의한 응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b), a predetermined torsional stress may be applied to the torsion bar 140 in a neutral state, but this can be interpreted as stress due to the load of the vehicle, not stress due to external impact.

또한, 도 6(c)와 같이, 리바운드 상태가 되면, 로워 암(110)의 차륜(W) 측이 차량 바디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션바(140)의 타 단부는 가압 플레이트(155)가 제2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커암(151)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범프 상태에서 저장된 일부 충격량을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상쇄하게 된다. 즉, 리바운드 상태에서 차륜(W)은 하강하게 되고, 차량 바디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토션바(140)에 비틀림 응력이 해제되면서 차륜(W)의 충격량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6(c), when in a rebound state, the wheel (W) side of the lower arm 110 moves downward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4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rocker arm 151 while the pressure plate 155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thereby releasing some of the impulse stored in the bump state. At least some or all of it is offset. That is, in the rebound state, the wheel W is lowered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is relatively raised. At this time, the torsional stress on the torsion bar 140 is released, and all of the impact of the wheel W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의하면, 차륜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충격 흡수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바디와 차륜 사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바디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며, 충격 흡수장치가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기존 현가장치가 차량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충격 흡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 플랫폼을 공용화할 수 있고, 충격 흡수장치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어 주행성능과 연비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격 흡수장치에서 토션바가 상대 회동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저항에 의해 힘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between the body of the vehicle and the wheels can be reduced because the shock absorber is arran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moves due to external shock, and the body accordingly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ncreases, and shock absorbers are arrang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uspension structure in which the suspension system is arranged along the top and bottom directions of the vehicle, and shock absorption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ecause the device can be installed, the body platform can be shared, and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of the shock absorber can be lowered,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fuel efficiency, and ride comfort, and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orsion bar rotates relative to the shock absorber.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loss of force due to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absorbing shock.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rried out withi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1: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110: 로워 암
120: 제1브라켓
130: 제2브라켓
140: 토션바
150: 토크 변환부
1: Vehicle shock absorber
110: Lower arm
120: 1st bracket
130: Second bracket
140: Torsion bar
150: Torque conversion unit

Claims (7)

차량 또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일 측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각각 상대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이 차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로워 암;
일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며,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타 단부가 비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동운동을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하는 토크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are fixed to the vehicle or installation surface and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a lower arm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on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heel;
a torsion bar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at least on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e on the second bracket, and which is arranged so that the other end can be twist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lower arm; and
a torque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wer arm into a twisting movement of the torsion bar;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크 변환부는,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토션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커암과,
상기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로커암의 타 측을 가압하도록 회동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In claim 1,
The torque converter,
a rocker arm coupled at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rsion bar;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pressure plate that rotates outside the second bracket to press the other side of the rocker arm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wer ar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커암은,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을 향해 돌출되고 외주면의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동하면, 상기 체결부재가 토션바의 타 단부에 비틀림 응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In claim 2,
The rocker arm is,
a fastening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to allow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to be inserted;
A pressing member that protrudes from the fastening member toward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and has a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wherein when the pressing member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ing plate, the fastening member provides torsional stress to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가압 플레이트 사이를 차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In claim 2,
The second bracket is,
a cover member dispos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aling member that shields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측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전력을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In claim 1,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plate that is close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ing plate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arm to the pressing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In claim 1,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late that secures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t a set interv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은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 중심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토션바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중심이 서로 등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In claim 3,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wer arm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astening member,
When the torsion bar is plural, the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centers of the fastening member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equal angles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lower arm.
KR1020220059510A 2022-05-16 2022-05-16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KR102627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10A KR102627503B1 (en) 2022-05-16 2022-05-16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10A KR102627503B1 (en) 2022-05-16 2022-05-16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008A true KR20230160008A (en) 2023-11-23
KR102627503B1 KR102627503B1 (en) 2024-01-19

Family

ID=8897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510A KR102627503B1 (en) 2022-05-16 2022-05-16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50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451A (en) * 1994-10-12 1997-07-29 ジェイ. ホルト、ローレンス Suspension system
KR19990029094U (en) 1997-12-27 1999-07-15 양재신 Suspension with thrust bearing mounting structure for easy spring angle setting
JP2017095077A (en) * 2015-11-13 2017-06-01 Kyb株式会社 Suspension device and damper
KR20210050669A (en) * 2019-10-29 2021-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uspension uni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451A (en) * 1994-10-12 1997-07-29 ジェイ. ホルト、ローレンス Suspension system
KR19990029094U (en) 1997-12-27 1999-07-15 양재신 Suspension with thrust bearing mounting structure for easy spring angle setting
JP2017095077A (en) * 2015-11-13 2017-06-01 Kyb株式会社 Suspension device and damper
KR20210050669A (en) * 2019-10-29 2021-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uspension uni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503B1 (en)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8978A1 (en) In-wheel motor system for a steering wheel
CN111043232B (en) Cloud platform damper of mobile robot
JP6084783B2 (en) Anti-roll device for vehicles
KR102627503B1 (en)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JP5625644B2 (en) Car suspension equipment
KR102632596B1 (en) a case for a suspension and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comprising the case
US7614467B2 (en) In-wheel motor system having damping mechanism
JPS58112814A (en) Car suspension-system
KR100475910B1 (en) a roll decreasing structure of a suspension for front and dead axle of commercial vehicles
CN205601605U (en) Transmission shaft intermediate strut assembly
KR102593212B1 (en)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US20090085266A1 (en) Integrated insulator type strut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KR102606916B1 (en)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KR20020056492A (en) A Mounting Structure of Shock Absober and Spring of Suspension Device
JP3168856B2 (en) Strut mount mounting structure
KR100986085B1 (en) Insulator unit for suspension system
JP2000025435A (en) Strut type suspension
US20230406056A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suspension
KR100857648B1 (en) Cup for bump stopper of vehicle
CN215971759U (en) Damping device, power module and mobile chassis
JP4008874B2 (en) Wheel support device incorporating a coupling device
CN217328281U (en) Swing arm type damping device
KR100313799B1 (en) Suspension of automobile
EP1445128B1 (en) Suspension system
CN206218012U (en) Vehicle frame and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