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826A - 이동식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826A
KR20230159826A KR1020237030431A KR20237030431A KR20230159826A KR 20230159826 A KR20230159826 A KR 20230159826A KR 1020237030431 A KR1020237030431 A KR 1020237030431A KR 20237030431 A KR20237030431 A KR 20237030431A KR 20230159826 A KR20230159826 A KR 2023015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argo loading
lifting device
lift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노부 요시다
코헤이 나가타
케이타로 나카가와
타카후미 카키자키
코타로 미후네
이치로 하마다
토시히코 타케다
Original Assignee
카나모토 코., 엘티디
가부시키가이샤 타케나카
아사히키자이 코., 엘티디
소고 코., 엘티디
에스제이제이 코., 엘티디
주식회사 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나모토 코., 엘티디, 가부시키가이샤 타케나카, 아사히키자이 코., 엘티디, 소고 코., 엘티디, 에스제이제이 코., 엘티디, 주식회사 암코 filed Critical 카나모토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5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8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화물 적재부 위에 싣고 있는 화물을 고소 위치에서 받는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승강 장치의 안전한 조작을 도모할 수 있는 승강 장치를 제공한다.
화물 승강 기구를 구비한 이동식의 승강 장치로서, 화물 승강 기구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부(21)와, 승강부(21) 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화물 적재부(61)와, 화물 적재부(61)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117)를 포함하고, 승강부(21)와 화물 적재부(61) 사이에는 화물 적재부(6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는 프리 볼 베어링(51)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승강 장치
본 발명은 건축 현장, 공장 혹은 창고 등에서 자재 등의 운반 작업, 상차, 하차 작업 등에 이용되는 이동식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체 주행식의 승강 장치나 포크리프트 등, 소정 장소까지 화물 등을 운반하여 소정 위치로 승강 작동 가능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승강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승강 장치는 소정 위치까지 화물을 운반하여 소정 위치에서 화물을 승강 작동 가능한 자체 주행식/수동식의 핸드리프트, 또는 화물을 소정 장소까지 운반하여 소정 위치에서 승강 작동 가능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포크리프트 등의 차량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부터 핸드리프트 등으로 불리는 하역 기기나 포크리프트 등의 하역 차량이 건축 현장, 공장, 창고 등에서 자재 등의 운반 작업, 상차 작업 혹은 하차 작업 등에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이동식의 승강 장치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프트 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리프트 장치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창고내에서 화물 적재부(돌출부) 등의 승강 기구 위에 화물을 실어 소정 장소까지 운반(이동)시키고 그리고 소정 장소에서 소정 높이, 예를 들어 창고내의 2층의 보관 장소의 높이 위치까지 승강 기구를 상승시켜 화물을 들어 올림으로써(상차 작업함으로써) 화물의 이동 및 소정의 높이에서의 고소 작업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 화물 적재부 위에 실은 화물을 2층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받기 위해서는 2층의 수취 장소 가까이까지 화물 적재부를 접근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승강 장치의 조작자는 승강 장치의 화물 적재부 선단을 2층 위치의 하측 영역의 벽면 직전까지 오도록 승강 장치를 전진시키려고 생각한다.
그러나 승강 장치 전체를 더욱 전진 이동시켜 벽면 가까이까지 접근시키고자 할 경우, 돌출부 선단을 벽면에 충돌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어 벽면 손상의 우려뿐 아니라 2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도 있었다.
또한 기둥, 보, 바닥재, 계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간이적인 중2층을 창고내에 설치하고, 그 중2층에 화물 등을 보관하는 등의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강 장치의 전방에 벽면 등은 없으나 중2층의 하부의 영역(1층 부분)에 화물이 쌓여 있는 등의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전방에 놓여 있는 화물 등을 파괴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포크리프트 등의 하역 차량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조작이 어려워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2-154796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 적재부 위에 싣고 있는 화물을 고소 위치에서 받는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승강 장치의 안전한 조작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식의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제1의 본 발명은, 승강 기구를 구비한 이동식의 승강 장치로서,
상기 승강 기구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 위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화물 적재부와,
상기 화물 적재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로 한 것이다.
제2의 본 발명은, 제1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화물 적재부 사이에는, 상기 화물 적재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로 한 것이다.
제3의 본 발명은, 제2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승강부의 화물 적재부 대향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프리 볼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로 한 것이다.
제4의 본 발명은, 제1의 본 발명 내지 제3의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전후 이동 가능한 이동기구와, 상기 이동기구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 가능한 스톱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 적재부에는 상기 스톱퍼부가 걸림 가능한 피걸림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화물 적재부의 이동 제어시에 상기 피걸림면에 걸림되는 걸림 영역과, 상기 화물 적재부의 슬라이드 이동시에는 상기 걸림 영역이 피걸림면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화물 적재부를 이동 조작 가능하게 하는 비걸림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 적재부 위에 싣고 있는 화물을 고소 위치에서 받는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승강 장치의 안전한 조작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식의 승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승강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 상태로부터 마스트부가 연장되어 승강부와 화물 적재부가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 기구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 기구의 개략 사시도로, 실린더에 의해 화물 적재부가 끌어당겨져 있는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 기구의 개략 사시도로, 실린더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화물 적재부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 기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 기구가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로서, (a)는 화물 적재부가 실린더에 의해 끌어당겨져 있는 상태, (b)는 화물 적재부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화물 적재부 위에 화물을 싣고 소정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화물 적재부 위에 화물을 싣고 소정 위치에 도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화물 적재부 위에 실은 화물을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승강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요부인 승강 기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돌출부와 화물 적재부와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로서, (a)는 화물 적재부를 끌어당긴 상태, (b)는 화물 적재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톱퍼로 멈추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a는 제2 실시형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화물 적재부 위에 화물을 싣고 소정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제2 실시형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화물 적재부 위에 화물을 싣고 소정 위치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c는 제2 실시형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화물 적재부 위에 실은 화물을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승강 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개략 전체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승강 장치 본체에 대해서 승강 기구가 기울어짐 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전체 측면도이다.
도 14는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로, 걸림부가 피걸림부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로, 걸림부가 피걸림부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승강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c는 제1 실시형태, 도 9 내지 도 11c는 제2 실시형태, 도 12 내지 도 15는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지나지 않고 하등 이것들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승강 장치는 기대(1)로부터 전방을 향해 각각 긴 막대 모양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다리부(3, 3)와, 기대(1)로부터 연직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V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외틀(제1 마스트)(5)로 구성되는 승강 장치 본체를 가지며, 승강 장치 본체는 승강 기구(11)와, 적어도 전륜(7)과 후륜(9)를 구비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기구(119)를 갖고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도면에서 부호 13은 기대(1) 위에 구비한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다.
승강 기구(11)는 상하 승강 동작 가능한 마스트부(15)와, 마스트부(15)에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한 승강부(21)와, 승강부(21) 위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화물 적재부(61)와, 화물 적재부(61)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마스트부(1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틀(제1 마스트)(5)의 내측에서 인접하여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된 제2 마스트(17)와, 제2 마스트(17)에 인접하여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된 제3 마스트(19)로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마스트부(15)는 컨트롤 박스(13)에 구비한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하 승강 동작을 제어한다.
마스트부(15)의 구성은 특별히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 해석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승강부(21)는 마스트부(15)의 전면에 구비되어 마스트부(15)와 함께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 본체(23)와, 승강부 본체(23)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전방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돌출부(47, 47)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부 본체(23)는 마스트부(15)에 연결되는 센터부(25)와, 센터부(25)의 좌우에 구비되고, 각각 수평 방향(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좌우의 사이드부(39, 39) 에 의해 정면에서 볼 때 개략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부(25)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재(27) 및 하부재(31)와, 상부재(27)와 하부재(31) 사이에 걸쳐 연직 방향으로 가로 놓여지는 좌우의 기둥 부재(35, 35)와, 좌우의 기둥 부재(35, 35)의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둠과 아울러 상부재(27)와 하부재(31) 사이에 걸쳐 가로 놓여지는 중간 기둥 부재(37)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재(27)와 하부재(31)는 각각 양단을 개방시킨 중공의 각진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전면 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속된 장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기둥 부재(35, 35)와 중간 기둥 부재(37) 모두 중공의 각진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부(39)는 각각 각진 통형으로 형성된 기둥부(41)와, 기둥부(41)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설치되는 상하의 삽입부(43, 43)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43)는 각각 각진 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센터부(25)의 상부재(27)와 하부재(31)의 중공 내부에 상하 삽입부(43, 43)가 모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통 굵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삽입부(43, 43)에는 센터부(25)의 상부재(27)와 하부재(31)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장공(29)과 합치하는 볼트공(도시 생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공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공(29)과 도시하지 않은 볼트공을 위치 맞춤함과 함께 센터부(25)의 전면측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체결 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사이드부(39, 39)를 소정 위치에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사이드부(39)가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승강부 본체(23)의 가로 방향 폭을 확장할 수 있으므로 승강부 본체(23)의 가로폭 방향의 길이(크기)가 확장/축소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좌우의 돌출부(47, 47)의 가로폭 방향의 간격을 확장/축소 가능하게 된다.
돌출부(47)는 소정 길이의 각진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사이드부(39)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강도 향상을 위해 중실(solid)의 각 기둥를 채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이다. 또한 돌출부(47) 형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평평한 판 형상 등 다른 형태를 채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7)와 화물 적재부(61) 사이에 화물 적재부(61)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슬라이드 기구(51)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51)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7)의 화물 적재부 대향면(상면)(49)에 일부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프리 볼 베어링을 상정하고 있다(도 3 참조).
프리 볼 베어링(슬라이드 기구)(51)은 주지 일반적인 프리 볼 베어링이 채용되고, 돌출부(47)의 화물 적재부(61) 대향면으로부터 볼(53)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화물 적재부 대향면(49)의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프리 볼 베어링(51)의 배치 수량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1개 내지 복수개 임의로 선택하여 배치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 볼 베어링(51)을 일례로서 채용하고 있으나,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 적어도 돌출부(47)의 길이 방향으로 지장없이 부드럽게 화물 적재부(6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성이면 다른 베어링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그 외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주지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돌출부(47)의 길이 방향에 걸쳐 복수개의 롤러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물 적재부(61)의 전방으로의 튀어나옴을 제어하는 튀어나옴 방지 기구(55)를 구비하고 있다.
튀어나옴 방지 기구(55)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7)의 선단에 제2 스톱퍼부(57)를 구비하여 제2 스톱퍼부(57)가 화물 적재부(61)의 선단에 맞닿음으로써 화물 적재부(61)의 전방으로의 튀어나옴을 방지한다.
제2 스톱퍼부(57)는 얇은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돌출부(47)의 선단면에 있어서 돌출부(47)의 화물 적재부 대향면(49)으로부터 윗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볼트(59)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다. 돌출 높이는 화물 적재부(6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에 맞닿아 더 이상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어 가능한 높이이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화물 적재부(61)는 좌우의 돌출부(47, 47)를 내장하도록 배치된 좌우의 적재부 본체(63, 63)와, 좌우의 적재부 본체(63, 63)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제1 가설부(65) 및 제2 가설부(67)와, 적재부 본체(63)의 상면에 배치된 화물 지탱부(8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적재부 본체(63)는 길이 방향에서 전후의 단면을 개방한 중공의 각진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재부 본체(63)의 중공의 크기는 돌출부(47)가 주위에 놀음을 갖고 내장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적재부 본체(63)의 전후 방향의 길이(L1)는 돌출부(47)의 전후 방향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적재부 본체(63)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 처리는, 미끄럼 방지제를 도포하는 것, 미끄럼 방지재를 붙이는 것 또는 주지의 미끄럼 방지 처리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채용 가능하다.
제1 가설부(65)와 제2 가설부(67)는 좌우의 적재부 본체(63, 63)를 연결하여 좌우의 적재부 본체(63, 63)의 슬라이드 이동을 동기시키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제2 가설부(67)는 화물 적재부(61)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에 있어서의 피걸림면(69)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가설부(65)와 제2 가설부(67)는 각각 분할 구성이 채용되어 있고, 일단측(73)을 일측의 적재부 본체(63)의 내측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놀음단측(77)을 개방시킨 각진 통형의 제1 부재(71)와, 일단측(85)을 타측의 적재부 본체(63)의 내측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놀음단측(87)이 제1 부재(71)의 내부 공간내에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 각진 통형의 제2 부재(79)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재(71)에는 놀음단측(77) 부근에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을 향해 관통된 볼트공(75)이 천공되어 있고 제2 부재(79)에는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에 향해 관통된 장공(83)이 천공되어 있다. 즉, 제1 부재(71)의 볼트공(75)과 제2 부재(79)의 장공(83)을 연통시켜 볼트(81)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제2 부재(79)의 하면측에서 도시하지 않은 너트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가로폭 방향의 소정의 길이 조정을 할 수 있다. 이는 승강부 본체(23)의 가로폭 방향의 길이(크기)를 확장/축소시킬 때에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
화물 지탱부(89, 89)는 각각의 화물 적재부(61)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며 접근 및 괴리 가능하게 전후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화물 지탱부(89)는, 화물 적재부(61)의 상면을 전후 방향(적재부 본체(6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부(91)와, 본체부(91)의 좌우 측면에 축 지지되고, 축 지지부(9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좌우의 걸림부(97, 9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화물 적재부(61, 61)에 전후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화물 지탱부(89, 89)는, 간격 조정 기구(101)에 의해 각각 접근 방향으로는 자유 이동 가능하고, 아울러 괴리 방향으로는 각각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격 조정 기구(10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라쳇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화물 지탱부(89)의 걸림부(97, 97)와, 화물 적재부(61)의 적재부 본체(63)의 양측면의 상단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걸림부(97, 97)가 맞물림 가능한 복수개의 치부(104)가 나란히 설치된 랙부(103, 103)로 구성되어 있다.
랙부(103)는 랙부(103)의 길이 방향의 개략 중간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무치 영역(105)를 경계로 하여, 무치 영역(105)과 랙부 기단(103a) 사이에 존재하는 제1 치부 영역(107)과, 무치 영역(105)과 랙부 선단(103b)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치부 영역(10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치부 영역(107)과 제2 치부 영역(109)에 설치된 각 치부(104)는, 각각의 영역(107, 109)에 배치되어 있는 화물 지탱부(89, 89)의 접근 방향(화살표 A1로 나타내는 무치 영역(105)으로 향하는 방향)을 향해 상승 경사형의 테이퍼부(113)와, 테이퍼부(113)의 하단으로부터 이웃하는 치부(104)의 테이퍼부(113) 상단을 향해 90도 혹은 예각의 각도로 기립 형성된 기립부(115)로 구성되고, 각각의 영역(107, 109)내에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97)는, 아암부(99)와, 아암부(99)의 선단으로부터 개략 직각형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 돌편(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91)의 좌우 측면부(93, 93)에 각각 한개씩, 수평 방향의 축 지지부분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아암부(99)의 기단측을 축 지지하여 구비되고, 걸림부(97)는 항상 자중에 의해 랙부(103)의 치부(104) 방향으로 걸림 돌편(100)이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후 한 쌍의 화물 지탱부(89, 89)가 각각 괴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걸림부(97)의 걸림 돌편(100)이 랙부(103)의 치부(104)의 기립부(115)에 맞닿아 화물 지탱부(89, 89)의 괴리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화물 지탱부(89, 89)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걸림 돌편(100)의 선단이 상승 경사형의 테이퍼부(113)를 따라 걸림 돌편(100)을 밀어 올리면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물 적재부(61)의 상면을 전후 방향(화물 적재부(6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후 한 쌍의 화물 지탱부(89, 89)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좌우의 화물 적재부(61) 위에 걸쳐서 실은 화물, 예를 들어 1개 내지 복수개의 파이프 등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끼워넣도록 하여 지탱시키면,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간단하고 쉽게 방지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밴드 등을 이용한 체결 작업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화물 이송시, 상하차시, 화물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내리지도 않으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물 지탱부(89)는 간격 조정 기구(101)에 의해 접근 방향으로는 자유 이동 가능하고 또한 괴리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는 폭의 것에서부터 굵은 폭의 것까지 화물 지탱부(89, 89)의 간격폭 내에서 폭넓게 지탱 대상물을 선택 가능하다. 또한 괴리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불의의 이동에 의한 화물의 지탱 상태 해제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없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동 제어부(117)는 이동기구(119)와, 이동기구(119)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 가능한 스톱퍼부(1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기구(119)는 승강부 본체(23)의 센터부(25)의 전면의 소정 위치에 장착 고정된 유압 실린더로, 실린더 로드(121)의 선단에 스톱퍼부(123)가 일체로 장착 고정되어 있다. 이동기구(119)는 컨트롤 박스(13)에 구비한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실린더 로드(121)의 인출/인입(신장/수축) 동작을 제어한다.
스톱퍼부(12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판부(125)와 하판부(127) 및 전후판부(129, 133)에 의해 측면이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화물 적재부(61)의 제2 가설부(67)를 그 중공 부분에 삽입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판부(129)의 내면은 제2 가설부(67)의 피걸림 영역(69)에 걸림 가능한 걸림 영역(131)으로서 기능하고, 중공 부분은 제2 가설부(67)가 접촉하지 않고 프리 상태가 되는 비걸림 영역(135)로서 기능하고 있다.
스톱퍼부(123)는 실린더 로드(121)을 당겼을 때 걸림 영역(131)이 제2 가설부(67)의 피걸림면(전면)(69)에 접촉하여 화물 적재부(61)를 승강부 본체(23) 방향으로 끌어당겨 고정함과 아울러, 실린더 로드(121)을 밀었을 때 걸림 영역(131)이 피걸림면(69)으로부터 떨어져 제2 가설부(67)는 프리 상태가 되고 화물 적재부(61)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화물 적재부(61)의 선단이 제2 스톱퍼부(57)에 맞닿았을 때 걸림 영역(131)이 피걸림면(69)에 맞닿도록 그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승강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우선, 화물 적재부(61)의 화물 지탱부 (89, 89)와 (89, 89) 사이에 화물을 적재한다. 이때, 이동 제어부(117)의 유압 실린더(이동기구)(119)는 실린더 로드(121)을 끌어당기고, 스톱퍼부(123)의 걸림 영역(131)이 화물 적재부(61)의 제2 가설부(67)의 피걸림면(69)에 걸림되어 화물 적재부(61)는 승강부 본체(23)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그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도 4, 도 6, 도 7(a) 및 도 8a 참조).
이어서, 화물 보관 장소 2F가 있는 위치까지 승강 장치를 이동시키고 보관 장소 아래의 벽면(W1) 가까이까지 승강 장치를 댄다(도 8a 및 도 8b 참조).
이때, 가능한 한 벽면(W1) 가까이까지 대지만, 벽면(W1)으로의 충돌을 피하도록 돌출부(47) 선단과 벽면(W1)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두고 승강 장치의 이동을 정지시킨다(도 8b참조).
화물 적재부(61) 상의 화물은 화물 지탱부(89)가 가장 선단에 가깝도록 해 두지만, 화물 적재부(61)는 유압 실린더(119)의 스톱퍼부(123)에 의해 승강부 본체(23)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있으므로, 화물 적재부(61)의 선단 부분과 벽면(W1)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G1)가 형성되어 있다(도 8b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승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화물 적재부(6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있다(도 8c참조).
승강 장치가 보관장 2F 아래의 벽면(W1) 가까이로 이동한 후, 제어 스위치를 켜서 이동 제어부(117)의 유압 실린더(119)의 실린더 로드(121)를 전방을 향해 인출시킨다(도 5 및 도 7(b) 참조). 실린더 로드(121)가 전방을 향해 인출된 결과, 실린더 로드(121)의 선단에서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스톱퍼부(123)는 그 걸림 영역(131)이 화물 적재부(61)의 제2 가설부(67)의 피걸림면(69)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해, 제2 가설부(67)에 걸림되어 있던 것이 없어져 제2 가설부(67)는 스톱퍼부(123)의 비걸림 영역(135)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화물 적재부(61)의 이동을 억제시키고 있던 것이 없어지므로 화물 적재부(61)를 수동으로 전방으로 끌어당기거나 혹은 밀어내면 화물 적재부(61)는 돌출부(47)에 구비한 프리 볼 베어링(슬라이드 기구)(51) 위를 미끄러져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도 5, 도 7(b) 및 도 8c 참조).
그리고, 컨트롤 박스(13)에 구비한 제어 스위치를 조작하여 화물 보관 장소(2층 부분 등) 2F가 있는 높이 위치까지 마스트부(15)를 상승시켜 승강부(21)와 함께 화물 적재부(61)을 상승시킨다(도 8c참조).
따라서, 창고내의 보관 장소 2F가 있는 위치까지 승강 장치를 이동시킨 단계에서는, 화물 적재부(61)의 선단 부분과 벽면(W1) 사이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G1)가 형성되어 있으나, 화물 적재부(6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47) 선단의 제2 스톱퍼부(57)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화물 적재부(61)를 벽면(W1) 가까이까지 댈 수 있다. 이에 의해, 화물 적재부(61)의 선단 부분과 벽면(W1) 사이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 G1보다 좁은 틈새 G2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보관 장소 2F까지 상승한 화물 적재부(61) 위의 화물은 틈새(G2) 상태로 보관 장소 2F의 직전에 위치하여 화물과 벽면(W1) 사이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고 용이하게 화물 적재부(61) 상으로부터 화물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는, 돌출부(47)의 선단 가까이까지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면 균형이 무너질 우려가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동시에는 화물 적재부(61)를 승강부 본체(23) 측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우려는 없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승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 즉, 보관 장소 2F 아래에 도착한 단계에서 화물 적재부(6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승 작동시키는 형태를 들어 설명했으나, 보관 장소 2F까지 상승 이동시킨 후에 화물 적재부(6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형태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기구(51)의 일례로서 프리 볼 베어링을 채용함과 아울러 주위에 놀음을 가진 상태로 돌출부(47)가 내장되도록 화물 적재부(61)를 구성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화물 적재부(61)는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과 아울러 좌우 방향으로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화물 적재부(61) 상으로부터 화물을 옮길 때,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과 아울러 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미묘한 위치 조정도 가능해지므로 상당히 사용상의 편의가 우수하고 하차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도 9 내지 도 11c는 본 발명 승강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튀어나옴 방지 기구(55)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아울러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튀어나옴 방지 기구(55)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7)의 선단에서 얇은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스톱퍼부(57)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 스톱퍼부(57)는 돌출부(47)의 선단면에서 돌출부(47)의 하면(화물 적재부 반대 대향면)(5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볼트(59)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화물 적재부(61)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화물 적재부(61)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제2 스톱퍼부(57)가 맞닿음으로써 화물 적재부(61)의 전방으로의 소정 이상의 튀어나옴을 방지하는 돌출편(137)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137)의 배치 위치의 설정은 화물 적재부(61)를 돌출부(47)의 선단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시키는지, 즉 화물 적재부(61)를 전방으로 어느 정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제2 스톱퍼부(57) 및 돌출편(137) 각각의 돌출 높이는, 화물 적재부(6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에 맞닿아 더 이상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어 가능한 높이이면 화물 적재부(61)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에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특유의 작용 효과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화물 적재부(61) 위에 화물을 실어 화물 보관 장소 2F가 있는 위치까지 승강 장치를 이동시키고 보관 장소 2F 아래의 벽면(W1) 가까이까지 승강 장치를 댈 때까지의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도 11a 및 도 11b 참조).
이때, 가능한 한 벽면(W1) 가까이까지 승강 장치를 대나, 본 실시형태의 경우, 화물 적재부(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튀어나옴 방지 기구(55)의 구성을 제1 실시형태와는 달리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돌출부(47)의 선단을 넘어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화물 적재부(61)의 돌출 가능 길이를 고려하여 벽면(W1)으로부터 다소 떨어진 위치에 세워도 문제는 없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7) 선단과 벽면(W1) 사이에 소정의 틈새(G3)를 두고 승강 장치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박스(13)에 구비한 제어 스위치를 조작하여 화물 보관 장소(2층 부분 등) 2F가 있는 높이 위치까지 마스트부(15)를 상승시키고 승강부(21)과 함께 화물 적재부(61)를 상승시킨다(도 11c참조).
그리고 화물 보관 장소 2F까지 상승시킨 후, 이동 제어부(117)의 제어 스위치를 켜서 유압 실린더(119)의 실린더 로드(121)를 전방을 향해 밀어 스톱퍼부(123)의 걸림 영역(131)에 의한 제2 가설부(67)의 피걸림면(69)에 대한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화물 적재부(61)를 수동으로 전방으로 당기면, 화물 적재부(61)는 돌출부(47)에 구비한 프리 볼 베어링(51) 위를 미끄러짐 이동하여 제2 스톱퍼부(57)가 돌출편(137)에 맞닿을 때까지 돌출부(47) 선단을 넘어 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한다(도 11c참조).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7)의 선단을 넘어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화물 적재부(6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므로, 2층의 보관 장소 2F가 있는 위치에서는 화물 적재부(61)의 선단 부분과 벽면(W1) 사이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 G3보다 좁은 틈새 G4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보관 장소 2F까지 상승한 화물 적재부(61) 상의 화물은 틈새(G4) 상태로 보관 장소 2F의 가장자리 바로 앞에 위치하여 화물과 벽면(W1) 가장자리 사이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고 용이하게 화물 적재부(61) 상으로부터 화물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편(137)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는, 화물 적재부(61)의 선단 부분과 벽면(W1)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는, 즉 2층의 보관 장소 2F가 있는 위치에 있어서 벽면(W1)를 넘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관 장소 2F까지 상승 이동시킨 후에 화물 적재부(6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형태(도 11c 참조)로 하고 있으나, 상승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 즉 보관 장소 2F 아래에 도착한 단계에서 화물 적재부(6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승 작동시키는 형태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물 적재부(61)가 돌출부(47) 선단을 넘어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승강 장치를 이동시켜 보관 장소 2F 아래의 벽면(W1) 가까이까지 댈 때에는 화물 적재부(61)의 돌출 거리를 고려하여 벽면(W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벽면(W1)에 충돌하는 우려도 없고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장치 본체(23)의 전방,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13)의 전방(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연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좌우의 기둥부(139, 139)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이 기둥부(139, 139)에 대해서 승강 기구(11)를 기울어짐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장치 본체(23)에 기둥부(139, 139)를 포함하고, 승강 기구(11)에는 외틀(제1 마스트)(5), 마스트부(15)(17, 19) 및 승강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실시의 형태를 상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승강 장치는 그 사양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타입이 상정되나, 본 실시형태는 연직 방향 높이가 높은 타입의 승강 장치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승강 기구(승강부(21), 화물 적재부(61) 및 이동 제어부(117))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승강부(21) 및 화물 적재부(61)로서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낸 형태를 채용하여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특징적인 구성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둥부(139)의 소정 위치에서 전방(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한 제1 축 지지편(141, 141)과, 승강 기구(11)의 외틀(5)의 소정 위치에서 후방(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한 제2 축 지지편(143, 143)과, 제1 축 지지편(141)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통공과 제2 축 지지편(143)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통공을 동축상으로 연통시킴과 아울러 이 두 통공들(도시하지 않음)에 걸쳐 삽입되어 장착되는 축 부재(145, 145)로 구성되어 있는 축 지지부(147, 147)를 구비하고 있다(도 12 내지 도 15).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승강 장치는, 축 지지부(147, 147)의 축 부재(145, 145)를 중심으로 하여, 도 13에서 화살표 R1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승강 기구(11)를 연결함으로써 승강 기구(11)가 기울어짐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축 지지편(141, 141)과 제2 축 지지편(143, 143)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승강 장치 본체(23)의 전방 소정 위치에는 실린더(149)가 구비되어 있고, 그 실린더 로드(151)의 선단은 승강 기구(11)의 외틀(5)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도 12 및 도 13).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149)의 유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151)을 인출/인입(신장/수축) 작동시키면, 그 실린더 로드(151)의 인출/인입(신장/수축) 작동에 의해, 축 지지부(147)의 축 부재(145)를 중심으로 하여 승강 기구(11)가 자동으로, 화살표 R1으로 나타내는 소정 방향으로 회동(기울어짐 운동) 작동한다(도 13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함).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기구(11)의 불의의 기울어짐 운동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로크 기구)(153)을 구비하고 있다(도 12 내지 도 15).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는 기둥부(139)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부(155)와, 승강 기구(11)의 외틀(5)의 측면에 구비되어 걸림부(155)가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림되는 피걸림부(175)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가, 일측의 측면의 상하에 2부위, 타측의 측면의 상하에 2부위로 합계 4부위 구비되어 있다(도 12 및 도 13).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4부위 구비하는 실시의 일 형태를 상정하고 있으나,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의 배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걸림부(155)는 피걸림부(175)에 대해 걸림해제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둥부(139)의 측면에 장착 고정되는 기판(157)과, 기판(157) 위에 일단측이 축 지지되어 기복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레버(161)와, 이 조작 레버(161)로 당김 조작되는 걸림 링크(167)로 구성되어 있다(도 14 및 도 15).
조작 레버(16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기판(157) 상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축 지지편(159)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일단측(163)과, 일단측(163)의 반대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손잡이부(165)를 갖고 있다.
걸림 링크(167)는 조작 레버(161)의 중도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배치되는 회동축(169)과, 회동축(169)에 양단부가 장착되어 일체로 설치되는 개략 U자 형상의 걸림 고리(171)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 링크(167)는 조작 레버(161)의 중도 부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또한 조작 레버(161)의 기복 동작을 추종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항상 후방(도 14 및 도 15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걸림 고리(171)의 선단측(걸림부위 측)(173)이 위치하도록 탄성지지(제어)되고 있다.
즉, 피걸림 상태일 때, 프리 상태의 걸림 링크(167)가 승강 기구(11) 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기울어짐 운동 상태의 승강 기구(11)를 수직 상태로 되돌렸을 때, 잘못해서 승강 기구(11)와 기둥부(139) 사이에 끼워넣어 파손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피걸림부(175)는 승강 기구(11)가 기울어짐 운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도 12에 나타내는 직립 상태)일 때, 걸림부(155)와 수평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도 14).
피걸림부(175)는 전방(도 14 및 도 15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개방된 개략 U자형의 걸림 돌출부(177)를 갖고 있다.
여기서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의 동작 설명을 하면 걸림부(155)와 피걸림부(175)와의 걸림 상태(로크 상태)를 해제하려면, 조작 레버(161)의 손잡이부(165)를 잡고 조작 레버(161)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전방을 향해 세운다.
이 조작 레버(161)를 세우는 동작에 추종하여 걸림 링크(167)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걸림 링크(167)의 걸림 고리(171)가 피걸림부(175)의 걸림 돌출부(177)로부터 이탈하여 승강 기구(11)는 프리(로크 해제 상태)가 된다(도 15).
이때, 걸림 링크(167)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화살표 C로 나타내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므로 동시에 조작 레버(161)도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어서, 걸림부(155)와 피걸림부(177)을 걸림 상태(로크 상태)로 하려면 조작 레버(161)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전방을 향해 세워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걸림 링크(167)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걸림 링크(167)의 걸림 고리(171)를 피걸림부(175)의 걸림 돌출부(177)에 걸림시킴과 아울러, 조작 레버(161)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후방을 향해 되돌리면(눕히면) 걸림 링크(167)가 화살표 C로 나타내는 후방을 향해 끌어당겨져 걸림 상태(로크 상태)가 된다(도 14).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둥부(139)에 대해서 승강 기구(11)를 기울어짐 운동 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연직 방향(화살표 V로 나타내는 방향)의 승강 장치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고내 등을 자체 주행하여 이동할 때, 그 창고내의 높이가 낮은 실내 영역을 통과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를 구성하는 피걸림부(175)에 걸림되어 있는 걸림부(155)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승강 기구(11)를 기울어짐 운동 가능 상태로 한다.
그리고, 걸림부(155)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프리 상태가 되어 있는 승강 기구(11)는 실린더(149)의 유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151)를 인출시키면, 그 실린더 로드(151)의 인출 작동에 의해 축 지지부(147)의 축 부재(145)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동하여 기울어짐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 기구(11)가 기울어짐 운동하면, 승강 장치 전체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창고내의 높이가 낮은 실내 영역일지라도 자체 주행시의 이동을 순조롭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수고도 경감된다.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는 승강 기구(11)를 기울어짐 운동시킬 때 및 기울어짐 운동 상태에서 이동시킬 때에는 걸림부(155)와 피걸림부(177)를 피걸림 상태로 하나, 승강부(21)의 승강 작동시(제2 마스트(17), 제3 마스트(19)의 승강 작동시) 등에 있어서는 걸림부(155)와 피걸림부(177)는 걸림 상태(로크 상태)로 하여 승강 기구(11)의 불의의 기울어짐 운동을 저지한다.
또한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4부위의 모든 기울어짐 운동 저지 기구(153)가 걸림 상태(로크 상태)가 아니면 제2 마스트(17), 제3 마스트(19)의 상하 승강 작동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동 이동식의 승강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 기구를 구비한 장치 전반에 이용 가능하며, 승강 기구를 구비한 건설 차량 일반에도 널리 이용 가능하다.
21 승강부
51 슬라이드 기구
61 화물 적재부
69 피걸림면
117 이동 제어부
119 이동기구
123 스톱퍼부
131 걸림 영역
135 비걸림 영역

Claims (4)

  1. 화물 승강 기구를 구비한 이동식의 승강 장치로서,
    상기 화물 승강 기구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 위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화물 적재부와,
    상기 화물 적재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화물 적재부 사이에는 상기 화물 적재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승강부의 화물 적재부 대향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프리 볼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부는 전후 이동 가능한 이동기구와, 상기 이동기구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 가능한 스톱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 적재부에는 상기 스톱퍼부가 걸림 가능한 피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화물 적재부의 이동 제어시에 상기 피걸림부에 걸림되는 걸림 영역과, 상기 화물 적재부의 슬라이드 이동시에는 상기 걸림 영역이 피걸림부로부터 떨어져 상기 화물 적재부를 이동 조작 가능하게 하는 비걸림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 장치.
KR1020237030431A 2021-03-22 2021-03-22 이동식 승강 장치 KR202301598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1613 WO2022201220A1 (ja) 2021-03-22 2021-03-22 移動式昇降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826A true KR20230159826A (ko) 2023-11-22

Family

ID=8339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431A KR20230159826A (ko) 2021-03-22 2021-03-22 이동식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9826A (ko)
WO (1) WO20222012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796A (ja) 2000-11-22 2002-05-28 Hamada Kogyo Kk リ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1628A (en) * 1965-12-14 1971-02-09 Thomas N Melin Load handling in fork-lift trucks movable fork cover for forklift truck
JPS4843565Y1 (ko) * 1969-12-29 1973-12-15
JP2542669Y2 (ja) * 1992-11-25 1997-07-30 株式会社東芝 搬送治具
CN104925706A (zh) * 2015-06-30 2015-09-23 瓮安县新发建材有限责任公司 简易手推叉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796A (ja) 2000-11-22 2002-05-28 Hamada Kogyo Kk リ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1220A1 (ja)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0125B2 (en) Pallet transportation assembly and processes of transporting pallets using the same
KR101244363B1 (ko) 스키드 및 팔레트용 리프트
US9403547B2 (en) Pallet transportation assembly and processes of transporting pallets using the same
EP3601101B1 (en) Vehicle transport structures
CA2967012C (en) Lifting device for palletized goods
JP6285083B2 (ja) パレットトラック互換床置き型荷物用エレベータ
US7500683B2 (en) Filing cabinet dolly
US20160280246A1 (en) Hand Dolly with Electric Scissor Lift
KR20230159826A (ko) 이동식 승강 장치
US7214024B2 (en) Push back pallet storage system
US11760585B2 (en) Momentum arresting ramp
AU2021100541A4 (en) Crane loading platform
JP6336366B2 (ja) 積荷移動台車
JPH0753530B2 (ja) 航空貨物の荷役装置
JP4587379B2 (ja) 運搬車
JP3595644B2 (ja) 物品格納装置
TWM597766U (zh) 用於提升和降低重物的設備
JP7195548B2 (ja) 昇降装置
JP4586143B2 (ja) ローダ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JP7501912B2 (ja) キャビネット及び引出しのロック機構
US20240017920A1 (en) Dynamic storage system and methods thereof
JP3994791B2 (ja) 可動棚体付き棚設備
CA2551856C (en) Filing cabinet dolly
JP2024036121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