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143A -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143A
KR20230159143A KR1020220059142A KR20220059142A KR20230159143A KR 20230159143 A KR20230159143 A KR 20230159143A KR 1020220059142 A KR1020220059142 A KR 1020220059142A KR 20220059142 A KR20220059142 A KR 20220059142A KR 20230159143 A KR20230159143 A KR 20230159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vinyl duct
duct
greenhous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환
최만권
서태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2005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143A/ko
Publication of KR2023015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5Inflatabl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서까래 상부 외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유체가 주입된 채 양단이 융착된 비닐 덕트(100); 및 상기 비닐 덕트(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막(200);을 포함하고, 상기 비닐 덕트(100)의 상기 양단과 상기 차광막(200)의 양단은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에서 그 전후에 위치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각각의 말뚝(23)에 의해 지면에 함께 고정되며, 상기 비닐 덕트(100)에 의해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비닐 외부와 상기 차광막(200)이 이격되는 차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Light-shielding device for greenhouses using air ducts}
본 발명은 농업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닐하우스 상부에 설치되는 차광 장치로 비닐 덕트를 이용하여 골조 없이도 설치 가능한 비닐하우스의 차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동 비닐하우스는 천창이 없고 측창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단동 비닐하우스가 주로 동절기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름철의 고온기에도 단동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은 계속 재배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온기에 단동 비닐하우스에 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천창을 통한 환기가 불가능하고 측창 또한 낮아서 고온으로 인한 작물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으로 인한 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비닐하우스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비닐하우스 외부에 특히 천창 위쪽에 차광막을 단순히 얹어 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차광막에 산란한 태양열이 하우스 내부로 전열되어 온도를 낮추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 외부에 직접 설치함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피복 비닐과 차광막이 마찰되어 피복 비닐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외부 차광용 골조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외부 차광 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설치 및 운용 비용이 저렴한 단동 비닐하우스에 고가의 외부 차광용 골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은 영세한 농가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외부 골조에 의한 그늘로 인해 비닐하우스 내 일부 작물이 광합성을 충분히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일본등록특허 제5946946호는 보온용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종래기술에서는, 온실 외측에 설치되는 보온용 복합시트가 차광수지 및 융착부를 포함하는 점이 개시되나, 이는 비닐하우스 골조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어서, 상기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못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4214호는 비닐하우스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광막이 개시되나, 차광막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골조를 포함하여 상기한 문제들이 여전했다.
일본등록특허 제5912429호는 비닐하우스나 유리 온실 등에 사용되는 농업용 시트의 사용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비닐하우스 골조에 차광성 시트를 직접 설치하는 것이어서, 상기한 문제들이 여전했다.
일본등록특허 제5912429호는 하우스의 전동식 차광장치를 개시한다. 전동식으로 차광막의 개폐가 수행되기 때문에, 외측 골조는 물론 전동장치의 설치까지 요구되는 것이어서, 상기한 문제들이 여전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61271호는 비닐하우스용 외부차광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일본등록특허와 마찬가지로, 모터를 이용하여 외부차광장치를 작동하는 것이어서, 상기한 문제들이 여전했다.
일본등록특허 제594694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44214호 일본등록특허 제591242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실20-016870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612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단동 비닐하우스의 고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외부 차광용 골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인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차광막을 단순 설치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차광막과 단동 비닐하우스 외부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차광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유체가 주입된 채 양단이 융착된 비닐 덕트(100); 및 상기 비닐 덕트(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막(200);을 포함하고, 상기 비닐 덕트(100)의 상기 양단과 상기 차광막(200)의 양단은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 위치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말뚝(23)에 의해 지면에 함께 고정되며, 상기 비닐 덕트(100)에 의해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비닐 외부와 상기 차광막(200)이 이격되는, 차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 중심부가 융착된 제1 융착부(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격벽 (1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융착부(110) 및 상기 격벽(121)에 의해 상기 비닐 덕트(100)가 다수의 셀로 구분되어, 다수의 셀 각각에 소정의 유체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제2 융착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융착부(110) 및 상기 제2 융착부(122)에 의해 상기 비닐 덕트(100)가 다수의 셀로 구분되어, 다수의 셀 각각에 소정의 유체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닐 덕트(100)는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닐 덕트(100)는 다수 개이며, 상기 비닐 덕트(100)는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격벽 (121) 또는 제2 융착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121) 또는 상기 제2 융착부(122)에 의해 상기 비닐 덕트(100)가 다수의 셀로 구분되고, 다수의 셀 중 상기 비닐 덕트(100)의 양 말단에 위치한 셀 각각에 물이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통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첫째, 단동 비닐하우스와 차광막이 분리 설치되어 열전도에 의한 비닐하우스 내부의 고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저렴한 시공이 가능하다. 외부 골조가 필요 없다.
셋째, 비닐 덕트로 인해 차광막이 단동 비닐하우스의 비닐에 직접 접하지 않게 되어, 차광막 설치에 의한 외부 표면 스크래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비닐 덕트 내부 유체의 양(압력)을 조절하여 단동 비닐하우스의 외부 비닐과 차광막간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닐 덕트 내부의 유체를 제거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철거할 수 있고, 이 때, 비닐 덕트의 부피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보관도 용이하다.
다섯째, 농가에서 버려지는 폐비닐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활용되는 비닐 덕트는 각별히 높은 내구성이나 광투과율 등을 요구하지 않기에 비닐 덕트 형상이라면 폐비닐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경 오염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 제1 융착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닐 덕트가 도시된다.
도 5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의 비닐 덕트가 도시된다.
도 6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의 비닐 덕트가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 및 비닐 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 장치는 단동 비닐하우스(10),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서까래에 설치되는 비닐 덕트(100), 및 비닐 덕트(100)와 차광막(200)의 양단을 고정하는 말뚝(23)을 포함한다.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서까래는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천장 부분에 위치하는 일종의 골조로서 도리와 연결된다.
차광막(200)은 단동 비닐하우스(10)로의 직사광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사용되는 어떠한 차광막도 사용될 수 있다. 단, 후술할 바와 같이, 차광막(200)과 단동 비닐하우스(10) 사이에는 비닐 덕트(100)가 위치한다.
비닐 덕트(100)를 설명한다.
비닐 덕트(100)는 내부에 공기 등이 주입될 수 있는 터널 형태의 비닐 자재로서 에어 튜브로 불리기도 하며, 농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비닐 덕트(100)는 내측에 공기 등의 유체가 주입되어야 하며,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양단이 융착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별도의 공기주입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비닐 덕트(100)는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서까래 상부 외측에 설치된다.
비닐 덕트(100)가 단동 비닐하우스(10)에 노끈, 클립, 접착제 등 다양한 연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제한이 되지 않는다.
비닐 덕트(100)는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비닐 덕트(100)는 내부에 유체가 포함되어 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차광막과 단동 비닐하우스(10) 외부 비닐이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비닐 덕트(100)는 단동 비닐하우스(10) 외측 상부의 상당 부분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외측 상부의 절반 정도를 덮을 수 있다(도 2 참조).
이 때, 비닐 덕트(100) 내부 유체의 양(압력)을 조절하여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외부 비닐과 차광막(200)간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철거시 또한, 비닐 덕트(100) 내부의 유체를 제거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철거가 가능하고 비닐 덕트(100) 내부의 유체가 제거될 경우, 부피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보관 역시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비닐 덕트(100)의 양단에 융착되어 형성된 연장부(130)에 말뚝(23)이 관통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막(200)을 관통한 말뚝(23)이 비닐 덕트(100)의 관통공(131)을 통과하여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차광막(200)과 비닐 덕트(100)를 고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상부를 커버한 비닐 덕트(100)의 말뚝(23)까지의 길이가 부족할 경우, 고정용 끈(133)을 더 이용하여 말뚝(23)에 고정될 수 있다(도 1b 참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제1 융착부(110)를 포함하여 누운 8자 형상일 수도 있으며(도 2 및 도 3), 또는 제1 융착부(110) 없이 0자 형상일 수도 있다.
비닐 덕트(100)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높은 압력으로 채워질 필요는 없으며 적절한 부피를 가질 수 있는 정도로 충분하다. 비닐 덕트(100)에 공기가 채워져 어느 정도 부피를 갖게 되어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외부 비닐과 차광막(200)이 이격된다.
공기 주입을 위해 농가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닐 덕트(100)의 일단을 융착하여 폐쇄한 후 타단에 펌프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한 후 상기 타단을 융착할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비닐 덕트(100)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있는 어떠한 덕트일 수 있어서, 손상이 없는 폐비닐 덕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차광막(200)은 비닐 덕트(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서까래로 향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비닐 덕트(100)에 의해 차광막(200)과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외측 비닐이 이격되어, 열전도에 의해 단동 비닐하우스(10)의 내부가 가열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차광막(200)의 양단은 비닐 덕트(100)의 양단과 함께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 전후에 위치하는 말뚝(23)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이를 위해 차광막(200)과 비닐 덕트(100)는,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하나의 말뚝(23)으로 차광막(200)과 비닐 덕트(100)를 함께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미 차광막(200)을 말뚝(23)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농가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추가의 말뚝을 구매할 필요가 없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광 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는 비닐 덕트(100) 내측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격벽(121)을 더 포함한다.
격벽(121)은 비닐 덕트(100)의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융착부(110) 및 격벽(121)에 의해 비닐 덕트(100)가 다수의 셀로 구획되어, 다수의 셀 각각에 공기 또는 물 또는 공기와 물과 같은 유체가 주입된다. 이 경우, 비닐 덕트(100)의 셀이 외부 환경에 의해 훼손되거나 손상되어 유체가 유출되더라도 다른 셀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단동 비닐하우스(10)와 차광막(200)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격벽(121)은, 1m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광 장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는 제2 실시예에서의 비닐 덕트(100)에 격벽(121) 대신 제2 융착부(120)가 형성된 장치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셀을 형성하여 일부 셀이 훼손되거나 손상되더라도 단동 비닐하우스(10)와 차광막(200)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광 장치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광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단동 비닐하우스(10)의 폭 방향으로 비닐 덕트(100)를 배치한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비닐 덕트(100)와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이 일치한다면, 제4 실시예에서는 비닐 덕트(100)와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이 서로 교차한다(도 7 참조).
비닐 덕트(100)의 양단과 차광막(200)의 양단은 단동 비닐하우스(10)의 폭 방향에서 말뚝(23)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1개의 비닐 덕트(100)를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동 비닐하우스(10)는 충분히 그 폭이 좁고 비닐 덕트(100)는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상부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수준의 폭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닐 덕트(100)가 덮지 못하는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차광막(200)이 닿게 되어 열전도 및 외부 비닐과의 마찰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단동 비닐하우스(10)의 폭이 크고 비닐 덕트(100)의 폭이 좁은 경우 유용하다. 이 경우, 비닐 덕트(100)의 설치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전환하고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전체 길이에 충분히 이를 수 있는 개수의 비닐 덕트(100)를 다수 준비하여 단동 비닐하우스(10)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비닐 덕트(100)가 서로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단동 비닐하우스의 전체 길이에 맞추어 설치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닐 덕트(100)의 직경은 70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4 실시예의 경우, 각 구분된 셀의 양 말단에만 물(W)을 채워 사용 가능한데, 이 경우, 말뚝 없이도 바닥에 고정될 수 있어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비닐 덕트(100)의 양 말단을 제외한 몸체가 비닐하우스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비닐 덕트(100)의 몸체에 위치하는 셀에는 물을 채우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몸체에 위치하는 셀에 물을 채울 경우, 단동 비닐하우스(10) 프레임이 물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단동 비닐하우스
23: 말뚝
100: 비닐 덕트
110: 제1 융착부
121: 격벽
122: 제2 융착부
130: 연장부
131: 관통공
133: 고정용 끈
200: 차광막

Claims (7)

  1.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유체가 주입된 채 양단이 융착된 비닐 덕트(100); 및
    상기 비닐 덕트(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막(200);을 포함하고,
    상기 비닐 덕트(100)의 상기 양단과 상기 차광막(200)의 양단은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외측에 위치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말뚝(23)에 의해 지면에 함께 고정되며,
    상기 비닐 덕트(100)에 의해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비닐 외부와 상기 차광막(200)이 이격되는,
    차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 중심부가 융착된 제1 융착부(110)를 포함하는,
    차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격벽 (1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융착부(110) 및 상기 격벽(121)에 의해 상기 비닐 덕트(100)가 다수의 셀로 구분되어, 다수의 셀 각각에 소정의 유체가 주입되는,
    차광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제2 융착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융착부(110) 및 상기 제2 융착부(122)에 의해 상기 비닐 덕트(100)가 다수의 셀로 구분되어, 다수의 셀 각각에 소정의 유체가 주입되는,
    차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덕트(100)는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덕트(100)는 다수 개이며,
    상기 비닐 덕트(100)는 상기 단동 비닐하우스(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격벽 (121) 또는 제2 융착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121) 또는 상기 제2 융착부(122)에 의해 상기 비닐 덕트(100)가 다수의 셀로 구분되고, 다수의 셀 중 상기 비닐 덕트(100)의 양 말단에 위치한 셀 각각에 물이 주입되는,
    차광 장치.
KR1020220059142A 2022-05-13 2022-05-13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 KR20230159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142A KR20230159143A (ko) 2022-05-13 2022-05-13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142A KR20230159143A (ko) 2022-05-13 2022-05-13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143A true KR20230159143A (ko) 2023-11-21

Family

ID=8898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142A KR20230159143A (ko) 2022-05-13 2022-05-13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14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700Y1 (ko) 1997-11-26 2000-02-01 이정식 하우스의 전동식 차광장치
KR100444214B1 (ko) 2004-02-04 2004-08-16 석남철 접목을 통한 황금소나무의 무성번식방법
JP5912429B2 (ja) 2011-11-09 2016-04-27 ユニチカ株式会社 農業用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農業用シート
JP5946946B1 (ja) 2015-09-08 2016-07-06 千葉機械工業株式会社 保温用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装置・製造方法
KR101761271B1 (ko) 2016-03-11 2017-07-25 박중화 비닐하우스용 외부차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700Y1 (ko) 1997-11-26 2000-02-01 이정식 하우스의 전동식 차광장치
KR100444214B1 (ko) 2004-02-04 2004-08-16 석남철 접목을 통한 황금소나무의 무성번식방법
JP5912429B2 (ja) 2011-11-09 2016-04-27 ユニチカ株式会社 農業用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農業用シート
JP5946946B1 (ja) 2015-09-08 2016-07-06 千葉機械工業株式会社 保温用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装置・製造方法
KR101761271B1 (ko) 2016-03-11 2017-07-25 박중화 비닐하우스용 외부차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8213A (en) Solar heating structure
US8845406B2 (en) Vent sealing device and system
KR101263858B1 (ko) 온실지붕구조
BRPI0708666A2 (pt) estufa hìbrida
KR102073355B1 (ko) 태양광 패널의 지붕 고정장치
EP2457437B1 (en) Smart control system for canopy greenhouse
KR102144384B1 (ko) 이중구조 비닐하우스
KR20230159143A (ko) 비닐 덕트를 이용하는 단동 비닐하우스의 차광장치
JP4091857B2 (ja) トロンブ壁パネル
KR101844093B1 (ko) 결로방지 창호
KR101851164B1 (ko) 비닐하우스 측창 개폐기의 바람막이
JP3547904B2 (ja) 農業ハウス用被覆材及び農業用ハウス
CN211665943U (zh) 一种具有调节光照功能的etfe膜建筑结构
DE4435403C2 (de) Sauglüfter
JP2948183B2 (ja) 貯水タンクを有する温室
KR101425169B1 (ko) 시설재배하우스의 환기장치
CN208080043U (zh) 一种可固定于大棚顶部且无需卷起或放下的透光保温集成
KR20120121945A (ko) 소형비닐하우스용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소형비닐하우스
CN108184503A (zh) 可固定于大棚顶部且无需卷起或放下的透光保温集成
CN206016085U (zh) 雨水分流板
KR200383239Y1 (ko) 축사용 보온막의 설치구조
KR102636198B1 (ko) 온실 골조 환기 시스템
CN214758181U (zh) 一种室外植物保温罩
JP4886641B2 (ja) 農業用ハウスの暖房方法
NL2011727C2 (en) Greenhouse with net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