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003A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003A
KR20230159003A KR1020220058820A KR20220058820A KR20230159003A KR 20230159003 A KR20230159003 A KR 20230159003A KR 1020220058820 A KR1020220058820 A KR 1020220058820A KR 20220058820 A KR20220058820 A KR 20220058820A KR 20230159003 A KR20230159003 A KR 2023015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over
base
segment
cylin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시엉 첸
Original Assignee
글라스프레이 엔지니어링 앤드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라스프레이 엔지니어링 앤드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라스프레이 엔지니어링 앤드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005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003A/ko
Publication of KR2023015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0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컨테이너는 본체 어셈블리, 최상부 커버,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가진다. 본체 어셈블리는 베이스 및 슬리빙 실린더를 가진다. 슬리빙 실린더는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하며 위쪽으로 개구를 갖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진다. 최상부 커버는 슬리빙 실린더의 최상부 상에서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수용 공간의 개구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다.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은 본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최상부 커버에 연결된다. 슬리빙 실린더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될 때, 슬리빙 실린더는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통해 슬리빙 실린더의 수용 공간의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최상부 커버를 구동한다. 컨테이너는 개방 및 폐쇄 시 동작에서의 용이함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장품들 및 약물들을 위하며 개방의 용이한 동작에 전문화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트 또는 분말의 형태에서의 화장품들 및 약물들은 컨테이너들에 패킹된다. 화장품들에 대해, 컨테이너는 말할 것도 없이 수용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화장품 컨테이너들의 개방 및 폐쇄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화장품 컨테이너들의 분야에서 연구 및 개발에 대한 주요 프로젝트들 중 하나이다. 종래의 화장품 컨테이너는 본체 및 최상부 커버를 가진다. 본체는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해 위쪽으로 개구를 가지며 안쪽에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최상부 커버는 수용 공간을 닫기 위해 본체에 끼워지며, 수용 공간을 열기 위해 풀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종래의 화장품 컨테이너는 열거나 또는 닫기 위해 다수의 라운드들 동안 본체에 대하여 최상부 커버를 회전시키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하며, 이것은 동작 시 사용자에게 불편하다. 사용의 용이함을 위해, 스레드형 캡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완화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개방 및 폐쇄 시 동작에서의 용이함을 가능하게 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는 본체 어셈블리, 최상부 커버,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갖는다. 상기 본체 어셈블리는 베이스 및 슬리빙 실린더를 가진다. 상기 슬리빙 실린더는 베이스를 슬리빙하며 위쪽으로 개구를 갖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가진다. 상기 최상부 커버는 본체 어셈블리의 슬리빙 실린더의 최상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수용 공간의 개구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은 본체 어셈블리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최상부 커버에 연결된다. 상기 슬리빙 실린더가 베이스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슬리빙 실린더는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통해 슬리빙 실린더의 수용 공간의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최상부 커버를 구동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는 다음의 이점들을 가진다.
1. 동작의 용이함: 상기 컨테이너는 본체 어셈블리의 슬리빙 실린더에 의해 화장품들 또는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빙 실린더는 사전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시계 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슬리빙 실린더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될 때, 슬리빙 실린더는 슬리빙 실린더의 최상부 상에서 수용 공간의 개구를 개방하며 또는 폐쇄하도록 최상부 커버를 구동하기 위해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내용물을 보관하거나 또는 배출할 때 최상부 커버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용이한 동작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2. 재활용 카테고리들의 표시에서의 용이함: 상기 본체 어셈블리의 베이스 및 슬리빙 실린더, 최상부 커버,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은 상기 컨테이너가 몰딩에 의해 대량-생산될 수 있도록 모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게다가, 이들 구성요소들 모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이들 구성요소들의 각각 상에 재활용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것은 컨테이너가 재활용 동안 직접 간단하게 분류될 수 있게 하고, 상이한 재료들을 분류하는 요구를 제거하며, 그러므로 재활용 프로세스의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본체 어셈블리의 슬리빙 실린더는 또한 내용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유닛은 수용 케이스 및 상기 수용 케이스에 설치된 화장품들 또는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을 갖는다. 상기 수용 케이스의 최상부는 분리 가능한 밀봉 필름으로 밀봉되며, 따라서 화장품들 또는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은, 내용물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 수용 케이스와 밀봉 필름 사이에서 사전-밀봉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내용물 유닛으로 화장품들 또는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을 사전에 실음으로써, 내용물이 본체 어셈블리로 쉽게 실릴 수 있다. 사용자가 내용물의 색 또는 유형을 변경하려고 한다면, 상기 베이스, 상기 슬리빙 실린더, 상기 최상부 커버, 및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 모두가 재사용될 수 있다는 조건하에서, 사용자는 단지 내용물 유닛을 선호되는 내용물이 실린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리소스들의 낭비를 줄이고 교체 비용들을 낮출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베이스의 환상형 벽은 상하(up-and-down) 유도 홈을 형성한다.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은 슬리빙 실린더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베이스의 상하 유도 홈에 장착된 유도 세그먼트를 갖는다. 사전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슬리빙 실린더에 의해, 유도 세그먼트는 슬리빙 실린더에서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리며, 그 후 쉽고 매끄럽게 최상부 커버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되게 하도록, 높이 위치들을 스위칭하기 위해 상하 유도 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베이스의 최하부 표면은 연결 오목부를 형성한다. 연결 오목부에 의해, 컨테이너는 드레싱 테이블 또는 임의의 테이블 표면상에 고정되는 고정된 오브젝트의 연결 유닛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컨테이너는 고정된 오브젝트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 최상부 커버를 쉽게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기 위해 본체 어셈블리의 슬리빙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수반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3은 분리 가능한 슬리빙 케이스를 가진 본체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4는 슬리빙 케이스 및 연결 유닛을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확대도이다;
도 5는 폐쇄된 최상부 커버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폐쇄된 최상부 커버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개방된 최상부 커버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관점에서 개방된 최상부 커버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9는 개방된 최상부 커버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에서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10은 컨테이너 및 고정된 오브젝트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뷰이다; 및
도 11은 고정된 오브젝트 상에 장착된 컨테이너를 도시한, 도 1에서의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동작 뷰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화장품들 및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들을 수용하도록 적응된다. 컨테이너는 본체 어셈블리(1), 최상부 커버(30),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 어셈블리(1)는 베이스(10) 및 슬리빙 실린더(20)를 갖는다. 슬리빙 실린더(20)는 베이스(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슬리빙되며, 베이스(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리빙 실린더(20)는 위쪽으로 개구를 가진 수용 공간(200)을 갖는다. 수용 공간(200)은 화장품들 및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52)을 직접 수용하도록 적응되거나, 또는 수용 공간(200)은 또한 화장품들 및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52)이 실린 내용물 유닛(5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내용물 유닛(50)은 수용 케이스(51) 및 상기 수용 케이스(51)에 포함된 내용물(52)을 가진다. 밀봉 필름(511)은 내용물(5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 케이스(51)와 밀봉 필름(511) 사이에서 내용물(52)을 밀봉하기 위해 수용 케이스의 최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밀봉한다. 사용 중일 때, 밀봉 필름(511)은 먼저 수용 케이스(51)의 최상부로부터 벗겨진다. 화장품들 또는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52)을 내용물 유닛(50)으로 사전에 실음으로써, 내용물(52)은 본체 어셈블리(1)로 쉽게 실릴 수 있다. 사용자가 내용물(52)의 색 또는 유형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베이스(10), 슬리빙 실린더(20), 최상부 커버(30),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이 모두 재사용될 수 있다는 조건하에서, 사용자는 단지 내용물 유닛(50)을 선호되는 내용물(52)이 실린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내용물 유닛(50)에서, 배치 돌출부(53)가 수용 케이스(51)의 최상부 상에 장착되며 수용 케이스(51)를 배치하기 위해 슬리빙 실린더(20)에 장착되도록 적응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본체 어셈블리(1)의 베이스(10)는 받침대(11), 슬리브 세그먼트(12), 및 최상부 커버 버클링 세그먼트(13)를 갖는다. 슬리브 세그먼트(12)는 베이스(10) 상에 장착된다. 슬리브 세그먼트(12)는 환상형 벽을 가진다. 환상형 벽은 아크 형으로 연장되고 경사진 상하 유도 홈(14)을 가진다. 상하 유도 홈(14)은 하위 위치 세그먼트(141) 및 하위 위치 세그먼트(141)보다 높게 위치된 상위 위치 세그먼트(142)를 가진다. 최상부 커버 버클링 세그먼트(13)는 환상형 벽의 외부 환상형 표면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10)는 안쪽에 형성된 베이스 공간(100)을 가진다. 베이스 공간(100)은 최상부 상에 입력 개구를 형성한다. 베이스 공간(100)은 받침대(11)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된 환상형 벽의 최상부 상에 형성된 오목부일 수 있거나, 또는 베이스 공간(100)은 또한 아래쪽으로 연장된 환상형 벽의 최상부 상에 형성되고 받침대(11)의 최하부를 통해 형성된 스루 홀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본체 어셈블리(1)의 슬리빙 실린더(20)는 베이스(10)를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한다. 슬리빙 실린더(20)는 내부 실린더 벽(21), 외부 실린더 벽(22), 및 최상부 환상형 보드(23)를 갖는다. 외부 실린더 벽(22)은 내부 실린더 벽(21) 바깥쪽에 위치되며 내부 실린더 벽(21)으로부터 이격된다. 최상부 환상형 보드(23)는 내부 실린더 벽(21)의 최상부 및 외부 실린더 벽(22)의 최상부에 연결된다. 움직임 공간(201)이 내부 실린더 벽(21)과 외부 실린더 벽(22) 사이에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개구를 갖는다. 슬리빙 실린더(20)의 수용 공간(200)은 최상부 환상형 보드(23)의 중심에 형성되며 내부 실린더 벽(21)의 최하부로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슬리빙 실린더(20)는 베이스(10)를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한다. 내부 실린더 벽(21)은 베이스(10)의 베이스 공간(100)에 위치된다. 베이스(10)의 슬리브 세그먼트(12)는 내부 실린더 벽(21)과 외부 실린더 벽(22) 사이에서의 움직임 공간(201)에 위치된다. 베이스(10)의 받침대(11)는 슬리빙 실린더(20)의 최하부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립 개구(231) 및 삽입 개구(323)가 슬리빙 실린더(20)의 최상부에서 두 개의 측면들 상에 각각 형성된다. 조립 개구(231) 및 삽입 개구(232) 둘 모두는 슬리빙 실린더(20)의 움직임 공간(201)과 연통하며, 최상부 커버(30)를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수용 케이스(51) 상에 장착된 내용물 유닛(50)의 배치 돌출부(53)는 수용 케이스(51)를 배치하기 위해 삽입 개구(23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10)는 받침대(11)의 최하부 상에 바로 형성된 연결 오목부(151)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베이스(10)는 받침대(11)를 분리 가능하게 커버한 슬리빙 케이스(15)를 가지며, 연결 오목부(151)는 슬리빙 케이스(15)의 최하부 표면상에 형성된다. 연결 오목부(151)는 비-원형 오목부이다. 비-원형 연결 오목부(151)는 단면도에서 다각형일 수 있거나, 또는 편평한 표면들 및 곡선 표면들로 구성된 오목부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 오목부(151)는 고정된 오브젝트(60)의 연결 유닛(51)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연결 유닛(61)의 최상부는 형태가 연결 오목부와 일치하는 맞물림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비-원형 연결 오목부(151)에 장착되고 그것과 맞물린 맞물림 세그먼트에 의해, 베이스(10)는 고정된 오브젝트(6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베이스(10)에 대하여 본체 어셈블리의 슬리빙 실린더(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최상부 커버(30)는 슬리빙 실린더(20)의 최상부 상에서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수용 공간(200)의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상부 커버(30)는 커버 몸체(31),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 및 버클(33)을 가진다.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 및 버클(33)은 각각 커버 몸체(31)의 두 개의 반대 측면들 상에 장착된다.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는 슬리빙 실린더(20)의 최상부 상에서 조립 개구(231)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버클(33)은 삽입 개구(232)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두 개의 피봇식 연결 오목부들(233)은 각각 슬리빙 실린더(20)의 조립 개구(231)의 두 개의 반대 측 표면들 상에 형성된다. 최상부 커버(30)의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는 이격된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을 가지며 서로 평행한다. 두 개의 피봇들(323)은 각각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의 두 개의 중간 섹션들 상에 장착되고,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의 외부 측면에 위치되며, 각각 두 개의 피봇식 연결 오목부들(233)에 피봇식 장착된다. 최상부 커버(30)의 커버 몸체(31)는 슬리빙 실린더(20) 바깥쪽에 위치된다.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의 두 개의 단부 섹션들은 슬리빙 실린더(20)의 최상부 상에 최상부 커버(30)를 피봇식으로 장착하기 위해,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에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의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을 연결하기 위해 슬리빙 실린더(20)의 움직임 공간(201)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최상부 커버(30)는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피봇식 연결 오목부들(233)은 조립 개구(231)의 측 벽들의 최상부 상에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두 개의 곡선 암들(321) 상에 장착된 최상부 커버(30)의 두 개의 피봇들(323)이 최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두 개의 피봇식 연결 오목부들(233)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슬라이딩 세그먼트들(324)은 각각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의 두 개의 단부 섹션들 상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본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최상부 커버(30)의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에 연결되며,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본체 어셈블리(1)의 슬리빙 실린더(20)와 베이스(10)에 의해 슬리빙 실린더(20)의 수용 공간(200)의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최상부 커버(3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본체 어셈블리(1)의 슬리빙 실린더(20)의 움직임 공간(20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동작 유닛 본체(41), 구동 세그먼트(42), 및 유도 세그먼트(43)를 갖는다. 유도 세그먼트(43)는 동작 유닛 본체(41)의 측 표면상에 장착된다. 유도 세그먼트(43)는 본체 어셈블리(1)의 베이스(10)의 상하 유도 홈(14)으로 연장된다. 구동 세그먼트(42)는 동작 유닛 본체(41)의 최상부 상에 장착되며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의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의 두 개의 단부 섹션들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수평 슬라이딩 홈들(421)이 각각 구동 세그먼트(42)의 두 개의 측면들 상에 형성되며, 두 개의 곡선 암들(321)의 두 개의 단부 섹션들 상에서의 두 개의 슬라이딩 세그먼트들(324)은 각각 두 개의 슬라이딩 세그먼트들(324)로 장착된다.
본체 어셈블리(1)의 베이스(10)와 슬리빙 실린더(20), 최상부 커버(30),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ABS)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들로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몰딩에 의해 대량-생산될 수 있다. 게다가, 본체 어셈블리(1)의 베이스(10)와 슬리빙 실린더(20), 최상부 커버(30),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모두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테이너의 사용에 관하여, 컨테이너가 내용물 유닛(50)을 포함하며 최상부 커버(30)가 폐쇄될 때, 최상부 커버(30)를 연결한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의 유도 세그먼트(43)는 본체 어셈블리(1)의 하위 위치 세그먼트(141)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높이가 낮은 위치에 위치되며, 따라서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아래쪽으로 회전하도록 최상부 커버(30)의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32)의 단부 섹션을 당기며, 최상부 커버(30)의 커버 몸체(31)는 본체 어셈블리(1)의 슬리빙 실린더(20)의 최상부를 커버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최상부 커버(30)를 개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단지 베이스(10)에 대하여 슬리빙 실린더(20)만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회전시키는 동안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위쪽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슬리빙 실린더(20)의 최상부 상에서 개구를 개방하도록 최상부 커버(30)를 구동시킬 것이다. 본 출원에서, 아크-형으로 상하 유도 홈(14)을 형성하고 경사진 베이스(10)의 환상형 벽, 및 슬리빙 실린더(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하 유도 홈(14)에 장착된 유도 세그먼트(43)를 가진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에 의해, 베이스(10)에 대한 슬리빙 실린더(20)의 회전 동안, 유도 세그먼트(43)는 하위 위치 세그먼트(141)로부터 상위 위치 세그먼트(142)로 상하 유도 홈(14)을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은 개방하도록 최상부 커버(30)를 구동시키기 위해 위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사용자가 최상부 커버(30)를 폐쇄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슬리빙 실린더(20)를 반대로 회전시키며, 상기 언급된 메커니즘은 폐쇄하도록 최상부 커버(30)를 구동하기 위해 반대로 작동한다. 요컨대, 슬리빙 실린더(20) 및 베이스(10)의 상대적인 회전은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최상부 커버(30)를 구동하며, 그에 의해 동작을 간소화하며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 오목부(151)를 형성하는 베이스(10)의 최하부 표면에 의해, 컨테이너는 고정된 오브젝트(60) 상에 베이스(10)를 배치하기 위해 드레싱 테이블과 같은 고정된 오브젝트(60)의 연결 유닛(61)과 맞물릴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쉽게 슬리빙 실린더(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컨테이너는 내용물(5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장품들 또는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52)을 사전에 싣기 위해 내용물 유닛(50)을 사용한다. 내용물 유닛(50)의 밀봉 필름(511)은 사용 시 분리된다. 화장품들 또는 약물들과 같은 내용물(52)을 내용물 유닛(50)에 미리 실음으로써, 내용물(52)이 쉽게 본체 어셈블리(1)에 실릴 수 있다. 사용자가 내용물(52)의 색 또는 유형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베이스(10), 슬리빙 실린더(20), 최상부 커버(30), 및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40)이 모두 재사용될 수 있다는 조건하에서, 사용자는 단지 내용물 유닛(50)을 선호된 내용물(52)이 실린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의 세부사항들 및 특징들과 함께, 본 발명의 다수의 특성들 및 이점들이 앞서 말한 설명에서 제시되었지만, 본 개시는 단지 예시적이다. 세부사항들에서, 특히 첨부된 청구항들이 표현되는 용어들의 광범위한 일반적인 의미에 의해 표시된 최대한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 내에서의 부분들의 형태, 크기, 및 배열의 문제들에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7)

  1. 컨테이너에 있어서,
    본체 어셈블리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슬리빙하며 위쪽으로 개구를 갖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진 슬리빙 실린더를 가진, 상기 본체 어셈블리;
    상기 본체 어셈블리의 슬리빙 실린더의 최상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개구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는 최상부 커버; 및
    상기 본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최상부 커버에 연결된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으로서; 상기 슬리빙 실린더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슬리빙 실린더는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통해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수용 공간의 개구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최상부 커버를 구동하는,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장착되며 상하 유도 홈을 형성한 환상형 벽을 가진 슬리브 세그먼트로서, 상기 상하 유도 홈은 아크-형으로 연장되고, 경사지며,
    하위 위치 세그먼트; 및
    상기 하위 위치 세그먼트보다 높게 위치된 상위 위치 세그먼트를 가진, 상기 슬리브 세그먼트;
    상기 환상형 벽의 외부 환상형 표면상에 장착된 최상부 커버 버클링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슬리빙 실린더는:
    상기 베이스의 베이스 공간에 위치된 내부 실린더 벽;
    상기 내부 실린더 벽 바깥쪽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실린더 벽으로부터 이격된 외부 실린더;
    상기 내부 실린더 벽의 최상부 및 상기 외부 실린더 벽의 최상부에 연결된 최상부 환상형 보드; 상기 최상부 환상형 보드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실린더 벽의 최하부로 아래쪽으로 연장된 상기 수용 공간;
    상기 내부 실린더 벽과 상기 외부 실린더 벽 사이에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개구를 가진 움직임 공간; 상기 움직임 공간에 위치된 상기 베이스의 환상형 벽; 상기 슬리빙 실리너의 최하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베이스의 받침대;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최상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움직임 공간과 연통하는 조립 개구; 및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최상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 개구의 반대편에 있으며, 상기 움직임 공간과 연통하는 삽입 개구를 갖고;
    상기 최상부 커버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최상부 상에서의 상기 조립 개구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 및
    상기 커버 몸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삽입 개구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최상부 커버 버클링 세그먼트에 의해 버클링되도록 적응되는 버클을 가지며;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은 상기 본체 어셈블리의 조립 개구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최상부 커버의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하 유도 홈에 장착된 유도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은 상기 상하 유도 홈을 따라 상기 유도 세그먼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상기 슬리빙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컨테이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두 개의 피봇식 연결 오목부들은 각각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조립 개구의 두 개의 반대 측 벽들 상에 형성되고;
    상기 최상부 커버의 피봇식 연결 세그먼트는,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는 두 개의 곡선 암들;
    각각 상기 두 개의 곡선 암들의 두 개의 중간 섹션들 상에 장착되고, 상기 두 개의 곡선 암들의 외부 측면에 위치되며, 각각 상기 두 개의 피봇식 연결 오목부들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두 개의 피봇들;
    두 개의 곡선 암들의 두 개의 단부 섹션들 상에 각각 장착된 두 개의 슬라이딩 세그먼트들; 상기 슬리빙 실린더 바깥쪽에 위치된 상기 최상부 커버의 커버 몸체;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움직임 공간으로 연장된 상기 두 개의 곡선 암들의 두 개의 단부 섹션들을 갖고;
    상기 최상부 커버 개방-폐쇄 동작 유닛은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움직임 공간에 장착되고,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동작 유닛 본체; 상기 동작 유닛 본체의 측 표면상에 장착된 상기 유도 세그먼트;
    상기 동작 유닛 본체의 최상부 상에 장착된 구동 세그먼트;
    상기 구동 세그먼트의 두 개의 측면들 상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슬라이딩 홈들; 상기 슬라이딩 홈들에 각각 장착된 상기 최상부 커버의 두 개의 슬라이딩 세그먼트들을 가진, 컨테이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용물 유닛이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수용 공간에 장착되며
    수용 케이스; 및
    상기 수용 케이스의 최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 필름을 가진, 컨테이너.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내용물 유닛은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수용 공간에 장착되며
    수용 케이스;
    상기 수용 케이스의 최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 필름; 및
    상기 수용 케이스의 최상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슬리빙 실린더의 삽입 개구에 장착되도록 적응된 배치 돌출부를 가진, 컨테이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의 최하부 표면상에 형성되며 고정된 오브젝트 상에 베이스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고정된 오브젝트 상에 장착된 연결 유닛의 맞물림 세그먼트와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컨테이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받침대를 분리 가능하게 커버하는 슬리빙 케이스를 갖고;
    상기 연결 오목부는 상기 슬리빙 케이스의 최하부 표면상에 형성되는, 컨테이너.
KR1020220058820A 2022-05-13 2022-05-13 컨테이너 KR20230159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820A KR20230159003A (ko) 2022-05-13 2022-05-13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820A KR20230159003A (ko) 2022-05-13 2022-05-13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003A true KR20230159003A (ko) 2023-11-21

Family

ID=8898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820A KR20230159003A (ko) 2022-05-13 2022-05-13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0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8903A1 (en) Rotating Sifter
CN104203039A (zh) 可混合使用两种内容物的滴管型化妆品容器
KR20130040679A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US11905076B2 (en) Container
CA2000912A1 (en) Dispensing closure
TWM627526U (zh) 容器
JPH11503356A (ja) 特に化粧品用のケースを密封閉鎖する方法及び対応のケース
KR101013327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97424A (ko) 결합형 저장, 투여 및 혼합 장치
KR20230159003A (ko) 컨테이너
CN1152808C (zh) 调味品分配器
JP2009534266A (ja) ボトルの首部または容器の注ぎ口のためのスライド開口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閉塞体
EP4272600A1 (en) Container
CA2814568A1 (en) Bin having inner liner within outer shell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JP2018091773A (ja) 試験片収納容器
EP3646753A1 (en) Cosmetic container
CN116692232A (zh) 容器
JP2023166112A (ja) 容器
TW202333602A (zh) 容器
KR20160073358A (ko)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H0415663Y2 (ko)
JP2023156799A (ja) 二重容器
KR102349730B1 (ko) 화장품 용기
CN214649688U (zh) 一种可升降酒托的对开酒盒